KR20100022669A - 다층구조 보냉팩 - Google Patents

다층구조 보냉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2669A
KR20100022669A KR1020080081295A KR20080081295A KR20100022669A KR 20100022669 A KR20100022669 A KR 20100022669A KR 1020080081295 A KR1020080081295 A KR 1020080081295A KR 20080081295 A KR20080081295 A KR 20080081295A KR 20100022669 A KR20100022669 A KR 20100022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accommodating part
freezing point
cold
accommo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칠
Original Assignee
김호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칠 filed Critical 김호칠
Priority to KR1020080081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2669A/ko
Publication of KR20100022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2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disposed in a cold storage element not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e.g. ice pack or gel accumulator
    • F25D2303/0822Details of the element
    • F25D2303/08221Fasteners or fixing means for th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2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disposed in a cold storage element not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e.g. ice pack or gel accumulator
    • F25D2303/0822Details of the element
    • F25D2303/08222Shape of th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1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th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and the heat-exchanging means being enclosed in on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구조 보냉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냉제가 수용되는 상부 수용부와; 상기 상부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용부에 수용되는 보냉제보다 빙점이 강하된 빙점강하 보냉제가 수용되는 하부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식품, 음료 등의 신선도 등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저온 상태로 장시간 보냉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다층구조 보냉팩에 관한 것이다.
보냉팩, 아이스팩, 다층

Description

다층구조 보냉팩{ICE PACK MADE OF MULTI-LAYER STRUCTURE}
본 발명은 다층구조 보냉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냉제가 수용되는 상부 수용부와; 상기 상부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용부에 수용되는 보냉제보다 빙점이 강하된 빙점강하 보냉제가 수용되는 하부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식품, 음료 등의 신선도 등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저온 상태로 장시간 보냉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다층구조 보냉팩에 관한 것이다.
고흡수성 수지(SAP; Super Absorbent Polymer)는 자기중량의 수백 배 내지 천여 배에 이르는 물을 흡수하여 보유할 수 있는 고분자 물질로서, 물을 첨가하면 팽윤(swelling)하여 수화젤(hydrogel)을 형성하고 이 수화된 젤은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해도 물을 쉽게 배출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일정 기간 동안 밀폐된 용기 내부를 저온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얼음이나 드라이아이스를 사용하여 냉기를 보존하거나 최근 들어서는 보냉제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보냉제에 있어 상기 고흡수성 수지가 중요한 구성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보냉팩은 물과 흡수성수지 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0~4℃의 온도로 유지하기 때문에, 저온 상태로 오랫동안 유지시켜야 하는 상품 등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온라인 쇼핑 시장이 백화점과 편의점의 성장이 미미한 가운데서도 최근들어 지속적으로 매년 30%이상의 신장세를 유지하고 있어, 배송량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배송량의 증가와 교통량의 증가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교통체증에 의한 배송시간의 지연에 의해 식품 등의 상품이 상하는 일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냉제의 빙점을 강하시키기 위한 빙점강하제가 포함된 보냉제가 제안되었고, 빙점강하제로서는 식품용의 경우 인체에 무해한 당류, 알콜류 ,염화나트륨, 등을 사용하였고, 공업용 보냉제로서는 글리콜류, 요소 등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빙점강하제에 의해 빙점이 강하된 보냉팩을 신선도 등의 품질이 상품의 가치를 좌우하는 식품에 이용하는 경우 보냉팩과 접촉되는 식품 부분이 동결되어 신선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 등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
즉, 빙점강하제를 사용하지 않은 종래의 보냉팩의 경우 장시간 동안 저온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빙점강하제가 사용된 보냉팩의 경우 식품의 신선도 등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냉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냉 지속시간을 대폭 향상시키고, 식품 및 음료의 신선도 등의 품질을 저해할 우려가 없는 다층구조 보냉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냉제가 수용되는 상부 수용부와;
상기 상부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용부에 수용되는 보냉제보다 빙점이 강하된 빙점강하 보냉제가 수용되는 하부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보냉팩를 제공한다.
상기하부 수용부의 저부면에 단열층이 형성되어 보냉성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부의 수용부는 다수의 수용부를 가지도록 다층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식품, 음료, 저온이 필요한 공산품 등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구조 보냉팩은 식품 등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상부 수용부에 빙점이 높은 보냉제가 수용됨으로써 식품의 신선도 등의 품질을 해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식품 등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상기 상부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수용부에 빙점이 강하된 빙점강하 보냉제가 수용됨에 따라 보냉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하부 수용부의 저부면에 단열층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하부 수용부에 수용된 빙점강하 보냉제가 외기와 열교환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상부 수용부의 보냉제에 집중적으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어 더욱 보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층구조 보냉팩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층구조 보냉팩(10)의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층구조 보냉팩(10)은 도 1과 같이 상부 수용부(110) 및 상기 상부 수용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수용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수용부(110)에는 보냉제(112)가 수용되고, 상기 하부 수용부(130)에는 상기 상부 수용부(110)에 수용된 보냉제(11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빙점이 강 하된 빙점강하 보냉제(132)가 수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수용부(110)에 수용되는 보냉제(112)로서 물을 사용하면, 상기 하부 수용부(130)에 수용되는 빙점강하 보냉제(132)로서는 물에 염화나트륨, 알콜류, 글리콜류, 당류 및 요소 등의 빙점강하제를 용해시킨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는 등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표 1과 같이 상기 상부 수용부(110)에 수용되는 보냉제에 비하여 상기 하부 수용부(130)에 수용되는 보냉제의 빙점이 낮도록 구성하면 족하다. 또한, 상기 보냉제 및 빙점강하 보냉제(132)에는 보냉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흡수성 수지에 물, 수용액 등을 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표 1] 상부 수용부 및 하부 수용부의 구성 예
상부 수용부(110) 하부 수용부(130)
예 1 물+빙점강하제
예 2 물+ 저농도 빙점강하제 물+고농도 빙점강하제
예 3 물+고흡수성수지 물+빙점강하제+고흡수성수지
예 4 물+저농도 빙점강하제+고흡수성수지 물+고농도 빙점강하제+고흡수성수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층구조 보냉팩(10)의 상부 수용부(110)에는 식품의 신선도 등의 품질을 해하지 않는 빙점을 갖는 보냉제(112)를 수용하고, 하부 수용부(130)에는 빙점이 강하된 빙점강하 보냉제(132)를 수용할 경우, 식품의 신선도 등의 품질을 해할 우려가 없고, 보냉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 택배 등 장거리의 배송 등에 널리 이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부 수용부의 하부에 별도의 보냉제가 수용된 수용부가 구비될 수 도 있다.
도 2는 다층구조 보냉팩(10)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층구조 보냉팩(10)은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복수의 필름(F1, F2, F3)을 적층한 후 테두리를 접합(J)시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재질로서는 폴리 에틸렌(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이론(ny) 등의 단독및 합성수지 용기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3장의 필름(F1, F2, F3)을 적층한 후 테두리를 접합(J)시켜 상부 수용부(110) 및 하부 수용부(130)를 제조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수용부(110)를 2개 이상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n(n=2,3,4…)층구조의 보냉팩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 (n+1)장의 필름을 적층시킨 후 테두리를 접합하면 쉽게 n층구조의 다층 보냉팩을 얻을 수 있다.
도 3은 하부 수용부(130)의 저부면에 단열층(150)이 형성된 다층구조 보냉팩(10)의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상기 하부 수용부(130)의 저부면에 단열층(150)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수용부(130)의 저부면에 단열층(150)이 더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하부 수용부(130)에 수용된 빙점강하 보냉제(132)가 외기와 열 교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상부 수용부(110)의 보냉제(112)에 집중적으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보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다층구조 보냉팩(10)의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상부 수용부(110)가 2개의 수용부로 이루어진 다층구조 보냉팩(10)의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다층구조 보냉팩(10)은 도 4와 같이 상부 수용부(110) 및 하부 수용부(130)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수용부(110)에는 보냉제(112)가 수용되고, 상기 하부 수용부(130)에는 상기 상부 수용부(110)에 수용된 보냉제(112)에 비하여 빙점이 강하된 빙점강하 보냉제(132)가 수용된다.
한편, 상기 상부 수용부(110)는 다수의 수용부를 갖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상부 수용부(110)가 2개의 수용부(110a, 110b)로 이루어진 경우, 하측에 위치한 제1 상부 수용부(110b)에는 상기 하부 수용부(130)에 수용된 빙점강하 보냉제(132)에 비하여 빙점이 높은 보냉제가 수용되고, 상측에 위치한 제2 상부 수용부(110a)에는 상기 제1 상부 수용부(110b)에 수용된 보냉제보다 빙점이 높은 보냉제가 수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층구조 보냉팩의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다층구조 보냉팩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하부 수용부의 저부면에 단열층이 형성된 다층구조 보냉팩의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다층구조 보냉팩의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상부 수용부가 2개의 수용부로 이루어진 다층구조 보냉팩의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다층구조 보냉팩, 110; 상부수용부,
110a, 110b; 수용부, 112; 보냉제,
130; 하부수용부, 132; 빙점강하 보냉제,
150; 단열층.

Claims (4)

  1. 보냉제가 수용되는 상부 수용부와;
    상기 상부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용부에 수용되는 보냉제보다 빙점이 강하된 빙점강하 보냉제가 수용되는 하부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보냉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용부의 저부면에 단열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보냉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용부는 다수의 수용부를 가지도록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보냉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용부의 하부에 보냉제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보냉팩.
KR1020080081295A 2008-08-20 2008-08-20 다층구조 보냉팩 KR20100022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295A KR20100022669A (ko) 2008-08-20 2008-08-20 다층구조 보냉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295A KR20100022669A (ko) 2008-08-20 2008-08-20 다층구조 보냉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669A true KR20100022669A (ko) 2010-03-03

Family

ID=4217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295A KR20100022669A (ko) 2008-08-20 2008-08-20 다층구조 보냉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266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025B1 (ko) * 2012-01-20 2014-08-28 정성록 복합 축냉재
CN105129239A (zh) * 2015-08-27 2015-12-09 天津瀛德科技有限公司 蓄冷包材
CN105129238A (zh) * 2015-08-27 2015-12-09 天津瀛德科技有限公司 柔性蓄冷板
CN105129210A (zh) * 2015-08-27 2015-12-09 天津瀛德科技有限公司 蓄冷包装袋
CN105383804A (zh) * 2015-08-27 2016-03-09 天津瀛德科技有限公司 充填式蓄冷包材
KR102020183B1 (ko) * 2019-05-02 2019-09-09 이경임 신선도 유지 기능이 부여된 밀키트
KR20190107394A (ko) 2018-03-12 2019-09-20 (주)다모아패키지 방향성 보냉제, 이를 포함하는 보냉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5870A (ko) 2018-04-30 2019-11-0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친환경 생분해성 보냉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9919A (ko) * 2019-12-04 2021-06-14 주식회사 한울티엘 보온 보냉 컨테이너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025B1 (ko) * 2012-01-20 2014-08-28 정성록 복합 축냉재
CN105129239A (zh) * 2015-08-27 2015-12-09 天津瀛德科技有限公司 蓄冷包材
CN105129238A (zh) * 2015-08-27 2015-12-09 天津瀛德科技有限公司 柔性蓄冷板
CN105129210A (zh) * 2015-08-27 2015-12-09 天津瀛德科技有限公司 蓄冷包装袋
CN105383804A (zh) * 2015-08-27 2016-03-09 天津瀛德科技有限公司 充填式蓄冷包材
KR20190107394A (ko) 2018-03-12 2019-09-20 (주)다모아패키지 방향성 보냉제, 이를 포함하는 보냉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5870A (ko) 2018-04-30 2019-11-0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친환경 생분해성 보냉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020183B1 (ko) * 2019-05-02 2019-09-09 이경임 신선도 유지 기능이 부여된 밀키트
KR20210069919A (ko) * 2019-12-04 2021-06-14 주식회사 한울티엘 보온 보냉 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2669A (ko) 다층구조 보냉팩
WO2017090567A1 (ja) 包装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CN204640963U (zh) 一种保温材料的层状结构
KR101176077B1 (ko) 보냉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박스
KR101658317B1 (ko) 습기 제거용 지퍼백
KR102279881B1 (ko) 포장용 상자
CN208715925U (zh) 一种果蔬保鲜复合包装纸箱
CN206984757U (zh) 一种猕猴桃保鲜盒
KR20080100401A (ko) 포장재들 및 이들을 이용한 멀티조합형 포장용기
WO1998031608A1 (en) Insulated transport container
CN212922590U (zh) 一种冷链运输用保温隔热材料
CN105415804A (zh) 一种复合型隔热保鲜保护膜
CN205291773U (zh) 一种复合型隔热保鲜保护膜
KR100707276B1 (ko) 육류의 냉장 운반용 포장 용기
KR101411601B1 (ko) 식료품용 아이스 팩
KR20100036059A (ko) 유연성을 갖는 보냉 포장재
CN207482568U (zh) 一种蓄冷生鲜托盘
CN213263800U (zh) 一种冷链物流运输用保温装置
KR102426807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신선식품 포장방법
CN218949910U (zh) 一种共挤膜冰袋
CN213083756U (zh) 一种保鲜杀菌的瓦楞纸箱
CN208979478U (zh) 一种生鲜商品包装膜
JPH10111057A (ja) 野菜類及び果実類の凍傷防止用保冷材
CN217533945U (zh) 一种杨梅运输用果篮及其高级复合型吸水缓冲垫
JP7029228B2 (ja) 盛り付け冷凍食品の製造方法、トレイ、及び盛り付け食品の流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