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807B1 - 재활용이 가능한 신선식품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재활용이 가능한 신선식품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807B1
KR102426807B1 KR1020220003841A KR20220003841A KR102426807B1 KR 102426807 B1 KR102426807 B1 KR 102426807B1 KR 1020220003841 A KR1020220003841 A KR 1020220003841A KR 20220003841 A KR20220003841 A KR 20220003841A KR 102426807 B1 KR102426807 B1 KR 10242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vacuum
heat
insulat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비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비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비잠
Priority to KR1020220003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6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 B65B25/065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of meat
    • B65B25/067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of meat combined with its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8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wrappers or flexible containers, e.g. pouches, bags
    • B65D81/389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wrappers or flexible containers, e.g. pouches, bags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e.g. laminated or foam filling betwee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6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한 신선식품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육류를 진공팩에 넣고, 진공흡입기를 이용하여 내부를 진공흡입하여 수축시켜서 밀착되도록 하여 진공팩을 진공 포장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제조된 진공팩을 담는 단열성 파우치를 준비하고, 상기 단열성 파우치의 내부에 진공팩을 넣고 냉각수와 얼음을 충전한 후 단열성 파우치를 밀봉시키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제조된 단열성 파우치를 단열박스에 넣고 밀봉시키되, 상기 단열박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파우치장착홈이 다수 형성되고, 다수의 파우치장착홈을 구분하도록 격벽이 형성된 유동방지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2단계에서 제조된 단열성 파우치를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파우치장착홈에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3단계; 상기 단열박스의 내부에 에어흡입노즐을 삽입하고, 에어흡입작동을 실시하여 단열박스의 내부를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 후 에어흡입노즐을 제거하고, 노즐삽입공을 밀봉시켜 마감하는 4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활용이 가능한 신선식품 포장방법{Recyclable fresh food packaging method}
본 발명은 육류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고 장시간 보존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신선식품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 국민들의 식생활도 변화하여 쌀 소비는 줄어들고, 육류의 소비는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또한,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따른 육류의 소비도 역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기 위하여 신선한 품질의 육류를 제공하는 것이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신선 식품은 선도가 가장 중요하며 유통상의 문제와 수급관계상 일정기간 보관의 문제가 있고,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장방법의 개선은 생산자뿐 아니라 국민 생활의 안정과 건강 증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급자 및 생산자 입장에서는 식품의 생산 및 출하 시기가 제한되므로 가격의 안정화를 기할 수 없으며, 또한 질적 저하에 다른 손실이 커진다.
진공포장이란 유연한 플라스틱필름에 물건을 싸고 내부를 진공으로 탈기함과 동시에 필름의 둘레를 용착밀봉하는 방법이다. 진공포장 용기 내부의 공기가 제거되었으므로 미생물에 의한 부패, 금속 부품류의 녹의 발생이 각각 방지된다. 포장품의 부피도 가장 작은 형태이므로 수송·저장·가열멸균에 편리하다.
진공포장방법은 2가지가 있으며, 봉투에 물품을 넣고 그 입구로 직접 노즐을 삽입하여 봉투 속을 탈기하는 노즐방법과 개폐자재인 기밀실 내에 봉투와 물품을 사이에 2매의 필름을 끼워 넣고 탈기와 용착을 동시에 하는 체임버 방식이 있다.
종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육류의 포장방법에는 진공포장방법과 고농도의 산소로 치환하는 방법 및 PVC(Poly Vinyl Chloride) 랩 포장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육류의 포장방법에서, 진공포장방법은 진공포장을 하기 때문에 육즙이 많이 발생하여 관능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 PVC 랩 포장방법은 호기성 세균의 번식이 용이하며 육즙이 묻어 나와 소비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1999-003966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육류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고, 장시간 저온 냉동 조건을 유지할 수 있어 보존성이 향상될 수 있고, 변질을 방지할 수 있어 상품성이 최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신선식품 포장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육류를 진공팩에 넣고, 진공흡입기를 이용하여 내부를 진공흡입하여 수축시켜서 밀착되도록 하여 진공팩을 진공 포장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제조된 진공팩을 담는 단열성 파우치를 준비하고, 상기 단열성 파우치의 내부에 진공팩을 넣고 냉각수와 얼음을 충전한 후 단열성 파우치를 밀봉시키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제조된 단열성 파우치를 단열박스에 넣고 밀봉시키되, 상기 단열박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파우치장착홈이 다수 형성되고, 다수의 파우치장착홈을 구분하도록 격벽이 형성된 유동방지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2단계에서 제조된 단열성 파우치를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파우치장착홈에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3단계; 상기 단열박스의 내부에 에어흡입노즐을 삽입하고, 에어흡입작동을 실시하여 단열박스의 내부를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 후 에어흡입노즐을 제거하고, 노즐삽입공을 밀봉시켜 마감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신선식품 포장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2단계의 단열성 파우치는, 알루미늄 박지와, 알루미늄 박지의 내면에 코팅되는 코팅층과, 외면에 접착되는 필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층은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PP, PE, PET 수지와 열가소성 전분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층과 알루미늄판지 사이에 이격되어 공기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팅층은 폴리우레탄에 방향오일, 가소제, 점착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50~80㎛ 두께로 도포한 후 경화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단계의 단열성 파우치는 알루미늄 박지의 외면에 온도표시테이프를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된 온도표시테이프와 단열성 파우치의 외면에 필름층을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단열박스의 바닥면과 바닥면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벽면로 구성되고, 상기 벽면 내에 열전달감쇄부를 형성하여 단열박스의 내부와 외부 간 열전달이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 열전달감쇄부는 단열박스의 벽면 내에 구비되는 제1결합프레임과, 상기 제1결합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결합프레임 및 상기 제1결합프레임과 상기 제2결합프레임이 상호 결합시 외부 벽면에서 전달되는 열이 저감되도록 안내하는 열저감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저감안내부는 상기 제1결합프레임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마감패널로 전달되는 열이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안내홀부와, 상기 유입안내홀부로 유입된 열이 반사 가능하게 충돌되도록 상기 제2결합프레임에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채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반사충돌경사부 및 상기 반사충돌경사부에 반사된 열을 흡수하도록 상기 제1결합프레임에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채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흡열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육류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고, 장시간 저온 냉동 조건을 유지할 수 있어 보존성이 향상될 수 있고, 변질을 방지할 수 있어 상품성이 최상으로 유지될 수 있어 고품질의 상품을 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신선식품 포장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 파우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박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박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4에서 '열전달감쇄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4에서 '열전달감쇄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신선식품 포장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 파우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박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박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4에서 '열전달감쇄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4에서 '열전달감쇄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신선식품 포장방법은, 육류를 진공팩(100)에 넣고, 진공흡입기를 이용하여 내부를 진공흡입하여 수축시켜서 밀착되도록 하여 진공팩(100)을 진공 포장하는 1단계(S1); 상기 1단계(S1)에서 제조된 진공팩(100)을 단열성 파우치(200)에 넣고, 단열성 파우치(200)의 내부에 진공팩(100)을 넣고 냉각수(110)와 얼음(120)을 충전한 후 단열성 파우치(200)를 밀봉시키는 2단계(S2); 상기 2단계(S2)에서 제조된 단열성 파우치(200)를 단열박스(300)에 넣고 밀봉시키는 3단계(S3); 상기 단열박스(300)의 내부를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 후 밀봉시키는 4단계(S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단계(S1)에서, 진공팩(100)은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무해한 폴리에틸렌 소재가 바람직하다. 진공팩에 육류를 넣은 후 진공흡입기에 넣고 진공 압축시켜 밀봉상태가 되도록 한다.
2단계(S2)에서, 육류가 포장된 진공팩(100)을 단열성 파우치(200)에 넣고 보냉재를 충진시킨다. 보냉재는 얼음 또는 드라이아이스일 수 있고, 냉각수를 사용한다. 보냉재를 넣음으로써 단열성 파우치의 내부를 약 5℃ 이하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렇게 냉동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약 20시간 정도 신선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에게 도착할때까지 최상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단열성 파우치(200)는, 알루미늄 박지(220)와, 알루미늄 박지(220)의 내면에 코팅되는 코팅층(240)과, 외면에 접착되는 필름층(260)으로 구성된다.
필름층(260)은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PP, PE, PET 수지와 열가소성 전분이 혼합된다.
열가소성 전분(Thermoplastic Starch)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효소가 발생하고, 발생된 효소가 합성수지를 분해함으로써 분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필름층(260)과 알루미늄 박지(220) 사이에 이격되어 공기층(250)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층(250)이 형성됨으로써 외부와 내부의 열전달을 차단하거나 또는 지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코팅층(240)은 폴리우레탄에 방향오일, 가소제, 점착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알루미늄 박지(220)의 내면에 50~80㎛ 두께로 도포한 후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열성 파우치(200)는 알루미늄 박지(220)의 외면에 온도표시테이프(230)를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부착된 온도표시테이프(230)와 단열성 파우치(200)의 외면에 필름층(260)을 접착시켜 보호와 열전달의 차단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단계(S3)에서, 단열박스(300)의 내부에 유동방지부재(320)가 삽입된다.
유동방지부재(320)는 단열성 파우치(200)를 한개 또는 여러개를 장착할 수 있도록 파우치장착홈(322)이 다수 형성되고, 다수의 파우치장착홈(322)을 각기 구분될 수 있도록 격벽이 형성된다.
따라서 2단계(S2)에서 제조된 단열성 파우치(200)를 유동방지부재(320)의 파우치장착홈(322)에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흔들리거나 충격을 받지 않도록 보호될 수 있을 것이다.
4단계(S4)에서, 단열박스(300) 내에 단열성 파우치(200)를 넣은 후 뚜껑(330)을 닫고 이음새를 테이프로 막아 밀봉시킨다.
이후 단열박스(300)의 내부에 통하도록 노즐삽입공을 형성하고, 이 노즐삽입공에 에어흡입노즐을 삽입하고, 에어흡입작동을 실시하여 단열박스(300)의 내부를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후 에어흡입노즐을 제거하고, 노즐삽입공을 밀봉시켜 마감한다.
따라서 단열박스(300)를 진공상태로 밀봉함으로써 외부 공기와 접촉을 차단하게 되어 균에 의한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박스(300)의 바닥면과 바닥면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벽면(302)으로 구성되고, 상기 벽면(302) 내에 열전달감쇄부(40)를 형성하여 단열박스(300)의 내부와 외부 간 열전달이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열전달감쇄부(40)는 단열박스(300)의 벽면(302) 내에 구비되는 제1결합프레임(41)과, 상기 제1결합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결합프레임(42) 및 상기 제1결합프레임(41)과 상기 제2결합프레임(42)이 상호 결합시 외부 벽면에서 전달되는 열이 저감되도록 안내하는 열저감안내부(43)를 포함한다.
상기 열저감안내부(43)는 제1결합프레임(41)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벽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안내홀부(43a)와, 유입안내홀부(43a)로 유입된 열이 반사 가능하게 충돌되도록 제2결합프레임(42)에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채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반사충돌경사부(43b) 및 반사충돌경사부(43b)에 반사된 열을 흡수하도록 제1결합프레임(41)에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채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흡열경사부(43c)를 포함한다.
유입안내홀부(43a)는 반사충돌경사부(43b)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1결합프레임(41)에 형성된다. 물론, 유입안내홀부(43a)의 크기 및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벽면 외부를 통과한 열이 유입안내홀부(43a)로 유입되면 반사충돌경사부(43b)의 저면에 부딪히면 열의 일부는 반사충돌경사부(43b)에 흡수되고, 흡수되지 않은 나머지 열은 하측 위치된 반사충돌경사부(43b)에 부딪혀 분산된 후에 흡음경사부(43c) 측으로 이동되어 흡열경사부(43c)에 흡수될 수 있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진공팩 200 : 단열성 파우치
220 : 알루미늄 박지 240 : 코팅층
260 : 필름층 300 : 단열박스

Claims (3)

  1. 육류를 진공팩에 넣고, 진공흡입기를 이용하여 내부를 진공흡입하여 수축시켜서 밀착되도록 하여 진공팩을 진공 포장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제조된 진공팩을 담는 단열성 파우치를 준비하고, 상기 단열성 파우치의 내부에 진공팩을 넣고 냉각수와 얼음을 충전한 후 단열성 파우치를 밀봉시키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제조된 단열성 파우치를 단열박스에 넣고 밀봉시키되, 상기 단열박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파우치장착홈이 다수 형성되고, 다수의 파우치장착홈을 구분하도록 격벽이 형성된 유동방지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2단계에서 제조된 단열성 파우치를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파우치장착홈에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3단계;
    상기 단열박스의 내부에 에어흡입노즐을 삽입하고, 에어흡입작동을 실시하여 단열박스의 내부를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 후 에어흡입노즐을 제거하고, 노즐삽입공을 밀봉시켜 마감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2단계의 단열성 파우치는, 알루미늄 박지와, 알루미늄 박지의 내면에 코팅되는 코팅층과, 외면에 접착되는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층은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PP, PE, PET 수지와 열가소성 전분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신선식품 포장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과 알루미늄판지 사이에 이격되어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폴리우레탄에 방향오일, 가소제, 점착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50~80㎛ 두께로 도포한 후 경화시켜 형성되고,
    상기 단열성 파우치는 알루미늄 박지의 외면에 온도표시테이프를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된 온도표시테이프와 단열성 파우치의 외면에 필름층을 접착시키는 것이며,
    상기 단열박스의 바닥면과 바닥면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벽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벽면 내에 열전달감쇄부를 형성하여 단열박스의 내부와 외부 간 열전달이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 열전달감쇄부는
    단열박스의 벽면 내에 구비되는 제1결합프레임과, 상기 제1결합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결합프레임 및
    상기 제1결합프레임과 상기 제2결합프레임이 상호 결합시 외부 벽면에서 전달되는 열이 저감되도록 안내하는 열저감안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신선식품 포장 방법.
KR1020220003841A 2022-01-11 2022-01-11 재활용이 가능한 신선식품 포장방법 KR102426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841A KR102426807B1 (ko) 2022-01-11 2022-01-11 재활용이 가능한 신선식품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841A KR102426807B1 (ko) 2022-01-11 2022-01-11 재활용이 가능한 신선식품 포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807B1 true KR102426807B1 (ko) 2022-07-29

Family

ID=8260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841A KR102426807B1 (ko) 2022-01-11 2022-01-11 재활용이 가능한 신선식품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8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663A (ko) 1997-11-13 1999-06-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 착탈장치
KR100767807B1 (ko) * 2007-06-11 2007-10-17 주식회사 인트라이즈 노즐식 진공 포장기
KR20080100401A (ko) * 2007-05-13 2008-11-18 주민수 포장재들 및 이들을 이용한 멀티조합형 포장용기
KR20140070799A (ko) * 2012-11-27 2014-06-11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 보드의 적입공정용 자동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663A (ko) 1997-11-13 1999-06-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 착탈장치
KR20080100401A (ko) * 2007-05-13 2008-11-18 주민수 포장재들 및 이들을 이용한 멀티조합형 포장용기
KR100767807B1 (ko) * 2007-06-11 2007-10-17 주식회사 인트라이즈 노즐식 진공 포장기
KR20140070799A (ko) * 2012-11-27 2014-06-11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 보드의 적입공정용 자동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92611B1 (en) Modified atmosphere package
US8250882B2 (en)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U738076B2 (en) Modified atmosphere package with accelerated reduction of oxygen level in meat compartment
KR20160056368A (ko)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
US3518842A (en) Fish packing system
KR20100022669A (ko) 다층구조 보냉팩
KR102426807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신선식품 포장방법
KR20160017936A (ko)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및 그를 이용한 포장방법
KR20130058334A (ko) 다단 적층식 스티로폼 보냉 포장용기
KR101458084B1 (ko) 발효식품용 포장지
EP0961741A1 (en) Insulated transport container
US201101265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lable gel pack
CN211870222U (zh) 果蔬物流防机械伤包装盒
KR20160003271U (ko) 포장용 파우치
WO2019230627A1 (ja) 梱包容器、保冷対象物の輸送方法
CA3102632C (en) Insulated and ventilated shellfish storage
KR200485945Y1 (ko) 삼중차단 보냉팩
KR102042051B1 (ko) 식음료저장 파우치팩
JPH0311181Y2 (ko)
ES2324581B1 (es) Bolsa isotermica para alimentos.
CN111071633A (zh) 果蔬物流防机械伤包装盒
KR20140114685A (ko) 발효식품용 포장지
CN219524727U (zh) 包装衬垫及包装组件
KR200250916Y1 (ko) 화훼 및 농산물 포장용기
CN207417578U (zh) 一种油桃储藏保鲜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