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320B1 - 내진(耐震)컨테이너 - Google Patents

내진(耐震)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320B1
KR102529320B1 KR1020200137594A KR20200137594A KR102529320B1 KR 102529320 B1 KR102529320 B1 KR 102529320B1 KR 1020200137594 A KR1020200137594 A KR 1020200137594A KR 20200137594 A KR20200137594 A KR 20200137594A KR 102529320 B1 KR102529320 B1 KR 102529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movement
cargo
hydraulic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303A (ko
Inventor
한승림
Original Assignee
한승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림 filed Critical 한승림
Priority to KR1020200137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320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esilient suspension means
    • B65D81/0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esilient suspension means the contents being located between two membranes stretched between opposed sides of the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耐震)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종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송 할 경우, 교통수단의 운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으로부터 화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우징(24, 24') 내부에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단계의 충격 및 진동 흡수장치를 갖춘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3)의 배면에 다수의 코일스프링(4)이 설치되고, 베이스플레이트(3)의 각 모퉁이에 실린더블록(2)이 결합되며, 실린더블록(2)에는 유압실린더(6a)와 유압볼(6)을 갖추고 유압볼(6)의 상부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컬럼(9)과 컬럼(9)을 감싸는 코일스프링(7), 컬럼홀더(8), 결속링(10), 고무공(11) 등으로 구성되어 컬럼부(5)를 이루며, 컬럼부(5)는 베이스플레이트(3)의 각 모퉁이 4개소에 위치하며, 각 4개소의 무브먼트컬럼(9)은 컬럼연결봉(22)에 의해 각 각의 컬럼과 서로 연결되고, 컬럼홀더(8)와 적재함(18)은 인장스프링(17)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며, 적재함(18)의 바닥에는 화물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폼매트(20)를 구비하고, 적재함(18)의 수직벽 사면에 다수의 그물망 고정고리(19)를 구비하여 그물망(21)을 이용하여 화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하여, 이러한 구성은 교통수단이 운행될 때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충격과 진동을 하우징 하단 베이스플레이트(3) 배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4)과 무브먼트컬럼(9)에 설치된 코일스프링(7), 컬럼홀더(8)와 적재함(18)을 연결하는 인장스프링(17)의 완충작용에 의해 여러 단계로 흡수, 완화하며, 동시에 교통수단의 급출발이나, 급정지, 커브를 선회운행할 때 발생되는 쏠림현상 발생 시, 4개의 무브먼트컬럼(9)은 유압볼(6)의 작용에 의해 전후좌우로 움직이며, 유압실린더(6a)는 급격한 멈춤이나 출발 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부드럽게 흡수,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화물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며, 더불어 무브먼트컬럼(9)의 기울기에 연동하여 적재함(18)이 하우징 내부의 허공에 체류하면서 수평을 유지하게 하는 원리와 구조로, 다양한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3축 진동을 감소시켜, 화물 운송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진(耐震)컨테이너{QUAKE PROOF CONTAINER}
본 발명은 차량이나 선박, 항공기 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송할때,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으로부터 운송하고자 하는 화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 흡수, 완화장치를 구비한 컨테이너로서, 스프링 완충장치 및 유압실린더에 구비된 유압볼과 무브먼트컬럼을 적재함에 연결 구성하여, 교통수단의 출발과 주행, 커브의 선회, 제동의 반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로 인해 화물에 전달되는 쏠림 현상과 진동에 즉시 반응하며, x축, y축의 진동과 z축의 진동을 동시에 흡수, 완화시켜 주는 장치를 구비하여 화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평평한 바닥과 벽체, 지붕으로 구성되어 밀폐가 가능한 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대량의 화물을 전문으로 운송하는 수출용 컨테이너가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산업용으로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일상적인 중,소형의 화물을 운송하는 경우에는 평탄한 바닥의 적재함을 갖춘 일반적인 카고 트럭이나 탑차 등의 화물차량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파손에 취약하거나 엎질러지기 쉬운 화물 등, 특별히 취급할 필요가 있는 화물을 운반하는 경우에는 스티로폼이나, 에어캡, 고무재질의 쿠션, 스펀지, 골판지박스 등, 여러가지 종류의 완충재를 적재함의 바닥에 깔거나, 화물의 틈 사이에 끼워 넣어 차량이나 기타 교통수단의 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으로부터 화물을 보호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또 다른 한 편으로는 무진동 특장차라 일컬는, 차량 자체에 특수한 에어 서스펜션을 장착한 차량이 대량의 특수화물을 운송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화물트럭의 적재함 바닥에 와이어로프마운트 및 유압댐퍼를 이용한 진동저감장치를 여러 개 설치한 후, 그 위에 화물용 전용컨테이너를 올려놓고, 컨테이너 내부에 화물을 적재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화물의 운송, 적재시마다 매번 화물과 화물사이에 일 일이 수작업으로 완충재를 보강해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또한 대량의 화물이 아닌 경우에는 에어서스펜션이 구비되어 있는 무진동 특수차량이나 와이어로프마운트와 유압댐퍼를 이용한 진동저감장치 등을 이용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최근에는 “코로나19” 사태와 더불어 식료품이나 음식물 배달의 경우처럼, 소형 소량의 화물운송 시장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는 추세인데 특히 음식물 운송의 경우에는 이륜차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륜차에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는 소형의 음식물운반용 컨테이너는 단순한 사각형 박스의 형태로서, 충격이나 진동을 억제하거나 방지해주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도로의 요철구간 또는 과속방지턱을 지나거나, 빈번한 급가속, 급정지, 커브구간의 운행 시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으로 인해 음식물이 엎질러지거나 파손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며, 이러한 운반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는 배달원과 판매자, 소비자의 분쟁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배달원은 운반컨테이너 내부에 에어캡 비닐이나 신문지, 골판지박스, 스티로폼 등 다양한 물건 등을 완충재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사례는 배달운행 과정 중, 엎질러진 음식의 국물이나, 음료수 등의 잔여물로 인해 시간이 지날수록 컨테이너 내부를 불결하게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며, 음식물의 위생 안전에도 매우 위협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는 이유는 이와 같은 화물을 운송하는 대다수의 경우에 이륜차, 승용차, 화물차, 선박, 항공기 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하게 되는데, 특히 중,소형, 소량의 화물운송은 이륜차 또는 소형화물차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최종적으로 화물(상품)을 보호하는 전용컨테이너가 존재하지 않거나, 음식물운반용 컨테이너처럼 존재한다고 해도, 이동수단의 운행과정중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화물을 보호해줄 수 있는 아무런 장치도 구비되어 있지 않는것이 대다수이다.
제10-2018-0169423호 와이어로프 마운트 및 유압댐퍼를 이용한 진동저감 장치 제10-2020-0007134호 배달통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진동 완화장치로서 유압실린더 및 유압볼, 코일스프링, 인장스프링, 고무공, 쿠션패드 등을 이용, 다중의 진동 완화장치를 구성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이륜차,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의 교통수단이 다양한 환경에서 운행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3축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완화시켜 주는 컨테이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플레이트부의 완충 장치와 유압볼에 연결되는 무브먼트컬럼과 컬럼홀더, 인장스프링, 적재함까지 연결되어 연동되는 구조로 3축 진동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주므로서,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을 보다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하단부와 중,상단부의 직경을 달리하는 박스형태의 하우징 하단부에, 다수의 코일스프링이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4모퉁이에는 유압실린더 및 유압볼을 갖춘 실린더블록과, 유압볼에는 수직 방향의 컬럼을 구비하고, 컬럼의 외경에는 코일스프링과 인장스프링을 잡아주는 컬럼홀더를 구비하고, 컬럼의 상단에는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일정 재질의 고무공을 배치하여, 유압볼에 의해 컬럼이 x축과 y축으로 움직임과 멈춤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해 주도록 하며, 또한 고무공이 하우징 내벽에 접촉하며 발생할 수 있는 2차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우징 내벽에는 고무공을 받아주는 쿠션패드를 구비하며, 컬럼과 적재함을 연결하는 인장스프링은 무브먼트 컬럼의 움직임에 따라 팽창과 수축작용을 반복하면서 적재함을 x, y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도우며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고, 동시에 적재함이 하우징 내부의 허공에 체류하면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컬럼 상부의 결속링과 연결봉은 4모퉁이의 컬럼과 컬럼을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는 박스형태 구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완화하여 운송하고자 하는 화물을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내진컨테이너는 손상되기 쉬운 화물을 다양한 교통수단으로 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과 진동으로부터 화물의 파손 위험을 줄여주는것은 물론, 화물의 취급시간과 인력, 비용을 절감해 주며 화물을 안전하게 운송함으로서 물류 유통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내진장치를 갖춘 컨테이너는 소형, 소량의 화물 운반용으로만 국한되는것이 아니라, 규격을 달리하여 유리제품, 전자제품, 예술품, 화학제품 등, 특별히 취급해야 하는 각종 화물의 운반 용도에 맞도록 제작하여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내진장치를 갖춘 컨테이너는 이륜차의 경우에는 짐받이에 고정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또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할 경우에는 독립형 이동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내진장치를 갖춘 컨테이너는 일정 규격으로 제작하여, 내진설비가 갖추어지지 않은 산업현장등에서, 진동이나 충격에 민감한 특수한 물품이나 물질 등을 보관하는 보관용 컨테이너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의 내진장치가 구비된 컨테이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의 플레이트부에 컬럼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의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5, 도 6은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의 내부의 컬럼부가 x축으로 기울어지는 운동을 할 때, 적재함부가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의 내부의 컬럼부가 y축의 좌우로 기울어지는 운동을 할 때, 적재함부가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 플레이트부의 배면을 도시해 보인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의 내부를 적재함이 설치되기 전 상태를 상부에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의 내부 플레이트부에 무브먼트컬럼과 연결봉, 고무공이 결합되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의 내부에 모든 구조물이 결합되어 설치된 상태를 상부에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 내부의 무브먼트컬럼이 x축, y축으로 기우는 움직임에 의해 고무공이 여러 방향으로 운동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의 실린더블록 내부의 유압실린더와 유압볼을 확대하여 도시해 보인 부분도.
도 14는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의 실린더블록에 유압볼과 컬럼부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해 보인 분해도.
도 15는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실린더블록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실린더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의 베이스플레이트에 실린더블록이 결합된 상태와 코일스프링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의 실린더블록이 결합된 상태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코일스프링이 결합되어 플레이트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 하우징 내부 벽면에 자외선 살균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는 본 발명 내진장치가 구비된 컨테이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의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며,
도 5, 도 6, 도 7은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의 내부 적재함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운송하는 과정 중, 발생하는 쏠림현상에 의해 무브먼트컬럼과 적재함이 x축과 y축의 기울기에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충격과 진동을 완화함과 동시에 적재함을 수평으로 유지해 주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는 화물을 안전하게 운반 할 수 있게 하는 진동 흡수, 완화 장치를 구비한 구성이다.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는 크게 플레이트부(1); 컬럼부(5); 적재함부(16); 하우징(24, 24')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완충작용을 하는 코일스프링(4)이 설치되고 베이스플레이트(3)의 끝단 4곳의 모퉁이에 실린더블록(2)이 설치된다.
실린더블록(2)에는 유압실린더(6a)와 유압볼(6)이 설치되고 유압볼(6)과 일체된 무브먼트컬럼(9)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고, 유압볼(6)의 상단에서 무브먼트 컬럼(9)의 일정 높이까지 컬럼을 감싸며 코일스프링(7)이 설치되고, 코일스프링(7)의 유동을 방지하며 적재함(18)과 연결되는 인장스프링(17)을 잡아주는 컬럼홀더(8)가 결합되며, 컬럼의 상단에는 각 모퉁이 4개소의 컬럼을 서로 연결해 주는 결속링(10)과 연결봉(22)이 결합되며, 컬럼의 끝단에는 신축성 있는 고무공(11)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각 모퉁이에 위치한 무브먼트컬럼(9)은 컬럼홀더(8)와 인장스프링(17)에 의해 적재함(18)과 연결되어 상호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어 구성된 상태의 내진컨테이너 적재함(18)에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을 적재한다.
본 내진컨테이너를 실은 차량이나 선박 등의 교통수단이 운행하면서 발생되는 충격과 진동은, 베이스플레이트(3) 배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4)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3)가 승강운동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z축의 진동을 완화시킨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3)의 각 모퉁이에 위치한 무브먼트컬럼(9)을 감싸고 있는 코일스프링(7)은 z축의 진동을 완화시킨다.
또한 컬럼홀더(8)와 적재함(18)을 연결하는 인장스프링(17)은 무브먼트컬럼(9)의 운동에 의해 3축 진동을 동시에 저감시키는 원리의 구조이다.
도 5, 도 6, 도7은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의 내부, 적재함(18)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교통수단이 운행 과정 중, 출발과 정지 그리고 커브의 선회 시에 발생되는 충격과 기울기 현상에 반응하여 무브먼트컬럼(9)이 x축과 y축 방향으로 운동하며 적재함(18)의 수평을 유지해 주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또한, 교통수단의 급가속, 급정지, 커브 선회 시에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유압볼(6)에 연결된 무브먼트컬럼(9)은 유압실린더(6a)의 유압에 의해, 충격에너지를 순간적으로 흡수하며 시차를 두고 작동되는 원리이다.
유압실린더(6a)와 유압볼(6)에 의해 컬럼은 수직방향으로 30°, 수평방향으로는 360° 운동하며 무브먼트가 되는 구성으로. 이러한 원리는 적재함(18)의 수평을 유지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무브먼트컬럼(9)의 선단에는 수축과 원형회복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재질의 고무공(11)이 구비되며, 고무공(11)에는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쉽게 드나들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고무공(11)이 접촉되는 범위의 하우징 내벽 좌우측면에 고무공(11)을 받아주는 쿠션패드(13)가 구비되며, 무브먼트컬럼(9)의 운동각이 한계에 다다르며 멈출 때, 고무공(11)과 쿠션패드(13)는 서로 부딪치게 되고, 부딪치는 과정에서 상호 수축하며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무브먼트컬럼(9)이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무공(11)과 쿠션패드(13)가 서로 멀어지게 되면, 고무공(11)은 곧 바로 원래의 상태대로 복원되면서 다음의 충격에너지 흡수를 위한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또한, 각 모퉁이 4개소에 위치한 무브먼트컬럼(9)과 컬럼홀더(8)에 의해 인장스프링(17)과 연결되는 적재함(18)은 무브먼트컬럼(9)과 인장스프링(17)의 운동에 따라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적재함(18)의 바닥에는 일정 두께의 폼매트(20)가 구비되어, 화물의 전도나 미끄러짐을 억제한다.
적재함(18) 가장자리의 수직벽 상단 사면에 그물망(21)을 고정할 수 있는 그물망 고정고리(19)를 다수 배치하여, 필요한 경우 그물망(21)을 이용하여 화물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식료품이나 음식물 등을 전용으로 운송하는 컨테이너일 경우, 하우징(24) 내부에 자외선램프(12)를 설치,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억제하여 보건 안전성을 확보하며, 음식물이 아닌 화물용의 컨테이너는 일반조명을 설치하여 화물의 출납을 용이하게 해 준다.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는 용도에 따라 교통수단에 붙박이로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이동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병 내진컨테이너는 일정 규격으로 제작하여 내진설비 등이 갖추어지지 않은 창고 등, 각종 산업현장에서 진동에 민감한 특수한 물건이나 물질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는 하우징 본체 상면을 개방과 밀폐가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힌지(14)에 결합되어 덮개(15)가 구성된다.
본 발명 내진컨테이너는 베이스플레이트(3), 실린더블록(2),유압볼(6), 컬럼부(5), 스프링(4, 7, 17), 고무공(11), 하우징(24, 24')등의 주요 부품사양을 운송하고자 하는 화물의 종류와 적재용량, 중량에 따라 규격을 비례하여 제작할 수 있다.
1: 플레이트부 2: 실린더블록
3: 베이스플레이트 4: 코일스프링
5: 컬럼부 6: 유압볼
6a:유압실린더 7: 코일스프링
8: 컬럼홀더 9: 무브먼트컬럼
10: 결속 링 11: 고무공
12: 자외선램프 13: 쿠션패드
14: 힌지 15: 덮개
16: 적재함부 17: 인장스프링
18: 적재함 19: 그물망 고정고리
20: 폼매트 21: 그물망
22: 컬럼 연결봉 23: 가드레일
24, 24': 하우징 25: 전원선 인입구

Claims (7)

  1. 내진컨테이너는 베이스플레이트(3)와 베이스플레이트(3)의 각 모퉁이에 유압실린더(6a)와 유압볼(6)이 구비된 실린더블록(2)이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의 배면에 다수의 코일스프링(4)이 위치하여 플레이트부(1)로 구성되며, 유압볼(6)의 상부 일측에 무브먼트컬럼(9)이 연결되며, 무브먼트컬럼(9)의 외경에는 코일스프링(7)이 감싸지며 위치하고 코일스프링(7)의 상단에는 컬럼홀더(8)가 결합되고, 무브먼트컬럼(9)의 상단에는 컬럼과 컬럼을 연결하는 결속링(10)과 컬럼연결봉(22)이 결합되며, 컬럼의 끝단에는 수축과 팽창이 용이한 고무공(11)이 구비되고 이러한 컬럼부(5)는 베이스플레이트(3)의 4모퉁이에 설치되고, 4곳의 무브먼트컬럼(9)은 컬럼홀더(8)와 인장스프링(17)으로 적재함에(18)에 연결되어 3축 진동을 흡수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 베이스플레이트(3)와 실린더블록(2)은 배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4)의 완충작용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에서 승강운동을 반복하며 진동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3. 제1항에 있어서, 유압실린더(6a) 및 유압볼(6)의 운동에 의해 결속링(10)과 연결봉(22)으로 결합된 4개의 컬럼이 x축의 방향이나 y축의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4. 제3항에 있어서, 유압볼(6)과 연결된 무브먼트컬럼(9)의 컬럼홀더(8)는 인장스프링(17)으로 적재함(18)과 연결되며, 적재함(18)은 유압볼(6)에 의한 무브먼트컬럼(9)의 운동과 컬럼을 감싸고 있는 코일스프링(7)과 컬럼홀더(8)의 승강운동에 연동하여 움직이고, 수평을 유지하며 진동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5. 제3항에 있어서, 무브먼트컬럼(9)이 x축과 y축 방향으로 운동을 하며, 하우징(24)의 내벽에 부딪치며 멈출 때 발생할 수 있는, 2차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공과(11)과 쿠션패드(1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6. 제4항에 있어서, 적재함(18)은 바닥에 화물의 전도나 미끄러짐을 억제하기 위한 폼매트(20)와 적재함의 수직벽 끝단에 화물을 고정하기 위한 그물망(21)을 고정할 수 있는 다수의 그물망 고정고리(19)를 구비한 컨테이너.
  7.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24, 24') 내부의 세균번식 억제를 위한 자외선 램프(12)를 구비한 컨테이너.

KR1020200137594A 2020-10-22 2020-10-22 내진(耐震)컨테이너 KR102529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594A KR102529320B1 (ko) 2020-10-22 2020-10-22 내진(耐震)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594A KR102529320B1 (ko) 2020-10-22 2020-10-22 내진(耐震)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303A KR20220053303A (ko) 2022-04-29
KR102529320B1 true KR102529320B1 (ko) 2023-05-03

Family

ID=81429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594A KR102529320B1 (ko) 2020-10-22 2020-10-22 내진(耐震)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32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531Y2 (ja) * 1989-12-28 1995-07-12 旭化成工業株式会社 ソフトマウントパッケージ
KR102181190B1 (ko) 2018-07-12 2020-11-20 정진주 가방형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303A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7136A (en) Vibration free container for transportation
JP5992823B2 (ja) 免振パレット
CN101287625B (zh) 集装箱等的防振装置及其使用方法
TWI501908B (zh) A container and a container for a plate-like body, and a loading device for a plate-like body and a transport vehicle
US8720350B2 (en) Pallet, method of manufacturing and method of transporting or handling goods
US5484643A (en) Space filling unit and method of use therefor
KR100817463B1 (ko) 판형상체 곤포 상자, 판형상체 반송 방법, 판형상체 적재방법, 판형상체 취출 방법 및 판형상체 곤포체
KR101464294B1 (ko) 컨테이너
JP2008239170A (ja) 防振機構
JP4901289B2 (ja) 大型精密貨物の輸送用パレット装置
JP7022391B2 (ja) 防振パレットおよびガラス梱包体
JP5992822B2 (ja) 移動体
KR102529320B1 (ko) 내진(耐震)컨테이너
JP5520157B2 (ja) 防振架台
JP3047406B2 (ja) 輸送用除振装置
JP2676066B2 (ja) 輸送用除振コンテナ
CN216784310U (zh) 一种用于危化品储运的隔离箱
JPS6037346Y2 (ja) コンテナなどの床構造
US3098562A (en) Loading system apparatus
KR102278632B1 (ko) 컨테이너 화물 방진장치
CN213800911U (zh) 一种简易二维减振运输装置
JPH08268462A (ja) 輸送用容器
CN210364807U (zh) 一种适用于多种易碎货物的减震悬挂箱
JPS63272689A (ja) 輸送除振コンテナ
JP7263752B2 (ja) 梱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