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190B1 - 가방형 의자 - Google Patents

가방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190B1
KR102181190B1 KR1020180080864A KR20180080864A KR102181190B1 KR 102181190 B1 KR102181190 B1 KR 102181190B1 KR 1020180080864 A KR1020180080864 A KR 1020180080864A KR 20180080864 A KR20180080864 A KR 20180080864A KR 102181190 B1 KR102181190 B1 KR 102181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pocket
backrest plate
spreading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134A (ko
Inventor
정진주
배성진
Original Assignee
정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주 filed Critical 정진주
Priority to KR102018008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1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07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C2009/002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into a seat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방의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가방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등받이판부(100)와, 등받이판부의 하측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펼침부(200)와, 등받이판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포켓부(400)를 구성하는 포켓외면(420)과, 상기 등받이판부와 펼침부의 펼침 각도를 제한하는 스트랩부(510)을 포함하는 가방형 의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방형 의자{BAG TYPE COLLAPSABLE 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방의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면서도 의자로서의 사용이 간편한 가방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사람이 앉아서 편히 쉴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이며 착좌하는 부위와 다리 및 등받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통상이다. 이러한 의자는 일체로 형성되어 분해되지 않는 것에서부터 분해 가능한 조립식, 휴대가 간편한 접이식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또한, 목재, 철제, 합성수지제 또는 이들의 복합 재질 등 여러 가지 재질과 여러 형태의 의자가 알려져 있었다.
근래에는 야외 활동이 증가하고 공간활용성에 대한 요청이 증가됨에 따라 휴대가 가능하고, 경량인 의자들이 다수 개발되어 왔는데, 평상시에는 가방으로 사용되다가 의자로 활용이 가능한 형태에 대한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4776호는 종래기술의 의자기능을 갖는 가방을 개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러한 가방(10)의 일측으로 물품을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는 제1개폐부(12a)를 구비한 제1수용부(12)를 형성하며, 상기 제1수용부(12)의 타측으로 제2수용부(14)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수용부(14)의 일측에 형성된 제2개폐부(14a)를 개방하여 등받이부(17)와 좌판부(20)를 형성한다 상기 좌판부(20)의 하부로는 제3개폐부(40a)를 구비한 의자다리수용부(40)가 구비되며, 상기 의자다리수용부(40)의 내측으로 의자다리(30)가 수용된다. 그리고, 등받이부(17)의 내측에는 등받이 프레임(60)이, 좌판부(20)의 내측에는 지지프레임(50)이 수용되는데,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일측에 힌지부(54)가 형성되어 등받이부(17)의 내측에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60)의 하단에 힌지체결부(62)에 결합하여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의자다리(30)는 지지프레임(50)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구(70)로 결합되는데, 상기 의자다리(30) 중 제1다리프레임(32)의 소정구간에 와이어 체결부재(32a)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체결부재(32a)의 소정구간에 형성된 체결공에 와이어(36)를 체결한 후 제2다리프레임(34)에 형성된 체결부재(43a)에 체결하여 의자다리(3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의자로서 활용이 가능한 가방들은 의자 다리와 경첩이 수납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소재로 인해 중량이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의자로서의 펼침과 수납의 과정이 복잡하여 조작의 어려움이 있었고, 의자로서 구성된 경우에 중량의 쏠림이나 수납부분 및 어깨끈 부분 등의 간섭으로 인하여 사용상의 불편함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경량이면서도 가방으로서의 용도와 의자로서의 용도로 전환이 간편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가방형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등받이판부(100), 등받이판부의 하측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펼침부(200), 등받이판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포켓부(400)를 구성하는 포켓외면(420), 상기 등받이판부와 펼침부의 펼침 각도를 제한하는 스트랩부(510)를 포함하는 가방형 의자를 제공한다.
상기 펼침부의 모서리측과 등받이판부 또는 포켓부측의 모서리측을 상하로 결합시키는 지퍼부재로 이루어지는 봉입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펼침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사이드부(300), 등받이판부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하단이 사이드부에 연결되는 사이드연장부(410)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부는 펼침부의 펼침 상태에서 사이드부에 의하여 하부가 당겨져 가방으로 사용시보다 하부의 수납공간이 전후방으로 좁아질 수 있다.
일실시예돌서, 상기 사이드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양측으로 폭이 좁아지며, 가방으로 사용상태에서 외곽이 사이드연장부 및 포켓외면의 외곽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는, 의자 및 가방으로 사용시 제1수납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등받이판부와 펼침부는, 가방으로 사용시 판형의 물품을 변형 없이 수납할 수 있는 제2수납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등받이판부와 펼침부의 연결부위에 형성되어 등받이판과 바닥판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1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방으로서의 사용 상태에서 펼침부(20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어깨에 걸림될 수 있는 배낭끈(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켓외면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손잡이부(401) 및 펼침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2손잡이부(20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가방 형태로부터 간편하게 좌식 의자로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의자로서 사용시 견고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이드부와 포켓부의 형성에 의하여 동작을 원할하게 하면서도 하중을 정확하게 지탱할 수 있어 사용간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종이의자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형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방형 의자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방형 의자가 접혀서 가방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방형 의자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방형 의자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방형 의자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품이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등받이판부와, 상기 등받이판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포켓부와, 상기 등받이판의 하측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펼침부와, 상기 펼침부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사이드부와, 상기 포켓부의 후방측을 형성하며 사이드부에 연결되어 펼침부와 등받이판부의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는 사이드연장부를 포함하는 가방형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등받이판부와 펼침부가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절첩되었을 때 후방에 배치되는 포켓부에 의하여 가방으로서 기능하도록 하되, 펼침되었을 때에는 포켓부가 후방에서 수납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등받이판부에 전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개념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념은 실시예에 나타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체적인 외관은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합성수지나 종이재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형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등받이판부(100)에 대해 펼침부(200)가 배치되는 측을 전방으로, 등받이판부(100)에서 포켓부(400)가 배치되는 측을 후방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침되어 의자로서 사용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방향성을 설명하나, 펼침부(200)가 상측으로 회동되고 직립되어 등받이판부(100)과 인접된 상태에서 가방으로 사용시에는 펼침부(200)의 각 구성들의 방향성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등받이판부(100)의 하부와 펼침부(200)의 후방측(절첩되었을 때는 하측)은 상호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부위를 통하여 펼침부(200)가 절첩되었을 때에는 등받이판부(100)의 전면과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고 하방으로 회동되어 펼침되었을 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 형태를 구성하게 된다.
펼침되었을 때의 각도는 사이드부(300)와 포켓부(400)의 연결상태 및/또는 스트랩부(510)의 장력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시된 상태에서는 등받이판부(100)와 펼침부(200)가 상호 100도 내외의 각도를 가지는 경우이나 이러한 각도는 상기 사이드부(300) 및/또는 스트랩부(510)의 형상과 크기에 의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등받이판부(100)와 펼침부(200)는 신체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어느 정도 변형이 억제될 필요성이 있고, 이를 위하여 내부에 소정의 수납구조를 구비하여 판상의 등받이판과 바닥판(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등받이판과 바닥판은 합성수지, 종이, 금속 또는 목재 등의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등받이판과 바닥판의 삽입 위치는 선택적일 것인데, 사용간 바람직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등받이판부(100)과 펼침부(200)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10)가 신체를 바라보는 부위에서 각각 상측 및 전방측으로 삽입이 가능한 개구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등받이판부(100)과 펼침부(200)에는 각각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절첩 상태에서 상호 손잡이부들이 인접되어 파지가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펼침부(200)의 전방측에 제2손잡이부(201)가 형성되어 있으며, 등받이판부(100)의 후방측 또는 포켓부(400)의 후방측에 제1손잡이부(40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 및 각 구성들의 결합은 기본적으로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재봉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결합 방식은 재질이나 형상에 따라 선택적이다.
상기 펼침부(20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사이드부(300)가 배치되며, 이러한 사이드부(300)는 등받이판부(100)의 양측으로 더욱 길게 배치되는 포켓부(400)의 전방측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부(300)는 펼침부(200)의 측면에서 다소 상측으로 융기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더욱 정확하게는 펼침부(200)의 모서리부위에서 외곽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이가 상승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사이드부(300)의 후방 단부는 포켓부(400)의 전방 구조 하측에 연결되며, 이에 형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사이드부(300)는 포켓부(400)의 전방측과 연결되어 절첩 및 펼침시 소정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데, 제1기능으로서 사용자가 착좌시 허벅지와 엉덩이 부위를 감싸면서 정확한 위치에 앉을 수 있도록 하면서 신체의 측면을 지지하고, 제2기능으로서 등받이판부(100)에 연결되는 포켓부(400)측에 연결되어 의자로서 사용시 등받이판부(100)가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는 한계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신체의 하중을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제3기능으로서 절첩상태에서 가방으로서 사용시 등받이판부(100)와 펼침부(200)의 판 형상의 외관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적으로 가방으로서 완벽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등받이판부(100)의 후방측으로는 포켓부(400)가 배치되어 의자로서 사용시 후방의 수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데, 포켓부(400)의 양단측은 등받이판부(100)의 양측으로 다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연장되는 폭과 형상은 실질적으로 펼침부(200)의 폭과 형상에 대응되며 절첩되어 가방으로 사용하는 상태에서 포켓부(400)의 전방측과 사이드부(300)가 겹쳐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포켓부(400)는 의자로서 사용시 가방으로서 사용할 때보다 하방의 공간이 다소 좁아지게 되는데, 이는 사이드부(300)가 포켓부(400)의 하측을 전방으로 당기면서 등받이판부(100)의 지지를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등받이판부(100)와 펼침부(200)의 신체 하중의 안정적인 지지 능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스트랩부(510)가 추가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스트랩부(510)는 최소한 일부분이 사이드부(300)로부터 이격되어 비교적 상측의 공간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트랩부(510)의 일단은 펼침부(200)의 전방 측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등받이판부(100)의 상측 측부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포켓부(400)의 전방 상측과 사이드부(300)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의자로서 펼침 상태에서 스트랩부(510)는 대략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직선 형태를 가지게 되고 등받이판부(100)와 펼침부(200)의 회동되는 모멘트를 지지하는데, 이러한 스트랩부(510)는 의자로서 사용시 팔걸이로서 기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스트랩부(5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나 선택에 따라 어느 일측에만 배치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방형 의자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펼침부(200)가 전방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측으로 착좌부위를 형성하게 되고, 그 측면으로 사이드부(300)가 연장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에 대응되어 등받이판부(100)의 양측 및 후방측으로 포켓부(400)가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포켓부(400)는 후방측에 배치되는 포켓외면(420)과 등받이판부(10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연장부(410) 및 등받이판부(100)의 후면에 의하여 수납공간을 구성하게 된다.
사이드연장부(410)는 대략 사이드부(300)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되고 상측보다 하측의 폭이 비교적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등받이판부(100)의 후면과 포켓외면(420)과 사이드연장부(4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납공간은 가방으로 사용할 때보다 의자로서 사용시 하부가 더 협소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사이드부(300)의 후방측이 사이드연장부(410) 및 포켓외면(420)의 하측을 전방으로 잡아당겨 등받이판부(100)와 펼침부(200)의 회동에 의한 공간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한편, 포켓외면(420)의 상단측은 등받이판부(100)로부터 어느 정도 이격 간격을 형성하는 것이 물품의 수납을 위하여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포켓외면(420)의 상단측에는 제1손잡이부(401)가 배치되어 등받이판부(100)와 펼침부(200)의 인접시 제2손잡이부(201)와 함께 파지가 가능하다.
상기 등받이판부(100)와 펼침부(200)의 면적과 형상은 상호 대응될 수 있으며, 가방으로 사용을 위하여 절첩된 상태에서는 전후면의 외관을 펼침부(200)의 저면과 포켓외면(420)이 형성하며 등받이판부(100)는 그 사이에 수납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에, 등받이판부(100)와 펼침부(200)는 다른 부위보다 경성의 재질을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사이에 서류 등이 변형되지 않도록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가방으로서 사용시 사이드부(300), 사이드연장부(410) 및 포켓외면(420)의 외측은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겹쳐지게 되며, 그 외곽이 대략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사이드부(300)와 포켓외면(420)의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는 내부에 등받이판부(100)를 수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을 가짐은 상기한 바와 같다.
가방으로서의 사용상태에 관하여서는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방형 의자가 접혀서 가방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펼침부(200)의 저면이 정면으로 배치되어 등받이판부(100)와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등받이판부(100)는 포켓외면(420)과 펼침부(200)의 사이에 수납된 상태로 배치되며 정면으로 사이드부(300)의 저면이 노출된다. 사이드부(300)는 사이드연장부(410) 및 포켓외면(420)과 상호 인접되어 등받이판부(100) 및 펼침부(200)의 양측 모서리보다 양측으로 더욱 연장된 상태를 이루며 이에 판재 형상의 모서리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기능한다.
또한, 포켓외면(420)과 펼침부(200)에 각각 배치되는 제1손잡이부(401)와 제2손잡이부(201)도 상호 인접되어 가방으로서 사용시 파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포켓외면(420), 등받이판부(100)의 후면 및 사이드연장부(410)에 의하여 형성되는 포켓부(400)는 후방측에 형성되어 물품 등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절첩 상태에서는 사이드부(300)에 의하여 포켓부(400)의 하측을 당기는 힘이 해제되기 때문에 의자로서 사용할 때보다 포켓부(400)의 하부의 공간은 전후방으로 더욱 커지고 이에 따라 물품의 수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등받이판부(100)와 펼침부(200)의 상이에는 판 형상의 종이나 서류철 등이 형상을 유지하면서 수납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포켓부(400)는 의자 및 가방으로 사용시 제1수납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등받이판부(100)와 펼침부(200)는 가방으로 사용시 판형의 물품을 변형 없이 수납할 수 있는 제2수납공간을 마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수납공간은 의자로서 사용할 때 최소한 하부의 공간이 가방으로서 사용할 때보다 좁아짐은 상기한 바와 같다.
한편, 스트랩부(510)가 배치되는 경우 이러한 스트랩부(510)는 등받이판부(100)와 펼침부(200)의 사이에 수납되어 고정이 가능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이드부(300)와 사이드연장부(410)의 사이에 수납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가방으로 사용 상태에서 스트랩부(510)의 일부가 사이드부(30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트랩부(510)와 사이드부(300) 또는 등받이판부(100) 또는 펼침부(200)의 밀착 부위에는 스냅버튼이나, 단추 또는 벨크로 등이 상호 간의 결합을 위하여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추가적인 실시예에 대해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방형 의자에 대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가방 용도로 사용시 포켓부(400)측, 즉 사이드부(300) 및 사이드연장부(410)가 등받이판부(100)와 펼침부(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다만, 경우에 따라 등받이판부(100)와 펼침부(200)의 사이 또는 그에 인접된 부위로 사이드부(300) 측이 수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불필요하게 외부에서 변형되는 부위를 제거함으로써 컴팩트한 부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펼침부(200)의 모서리 측과 등받이판부(100)의 모서리 또는 포켓부(400) 측에 봉입부(430)가 배치되고 봉입부(430)를 닫는 동작을 통하여 사이드부(300) 및/또는 사이드연장부(410)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봉입부(430)는 지퍼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묶을 수 있는 끈, 스냅버튼, 벨크로, 후크 등의 다양한 결합용 부재들이 적용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봉입부(430)가 지퍼로 구성되는 경우 펼침부(200)의 모서리측에서 하나의 지퍼부재가 상하로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포켓부(400) 측에서 대향 지퍼부재가 상하로 배치되어 상호 결합이 가능하다. 이때, 지퍼부재들의 연결부위는 하단의 경첩 부위에 형성되어 상방으로 폐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대향 지퍼부재는 포켓부(400) 또는 등받이판부(100)의 선택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며, 전후방으로의 밀착성을 고려하면 포켓외면(420)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봉입부(430)의 구성에 따라 가방으로서 사용시 등받이판부(100)와 펼침부(200)의 밀착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으며 사이드부(300)는 물론 상기된 스트랩부(510)의 고정 수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간 불필요한 걸림 등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방형 의자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상기된 실시예들에서는 제1손잡이부(401) 및 제2손잡이부(201)가 구성되어 손가방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배낭의 형태로 사용 가능한 경우를 제시한다.
상기 등받이판부(100)의 후방측에 포켓부(400)가 구비되고 펼침부(200)가 전개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되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된 봉입부(430)가 측면에 구성되어 펼침부(200)와 포켓부(400) 측을 보다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포켓부(400)의 포켓외면(420) 전방측에 봉입부재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등받이판부(100)의 저면이 되는 전방측에는 배낭끈(2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낭끈(210)은 어깨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양측에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낭끈(210)은 경우에 따라 포켓부(400)의 측면이나 저면 또는 등받이판부(100)의 저면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선택적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배낭끈(210)은 제1손잡이부(401) 및 제2손잡이부(201)와 함께 구성되고 후크나 고리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탈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배낭으로서 사용시 포켓부(400)의 입구 부위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포켓부(400)의 상측으로 덮개부(4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된 실시예들의 구성들은 상호 치환 및 부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방형 의자는 가방 형태로부터 간편하게 좌식 의자로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의자로서 사용시 견고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이드부와 포켓부의 형성에 의하여 동작을 원할하게 하면서도 하중을 정확하게 지탱할 수 있어 사용간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등받이판부 110...삽입부
200...펼침부 201...제2손잡이부
210...배낭끈 300...사이드부
400...포켓부 401...제1손잡이부
410...사이드연장부 420...포켓외면
430...봉입부 440...덮개부
510...스트랩부

Claims (8)

  1. 등받이판부(100);
    상기 등받이판부의 하측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펼침부(200);
    상기 등받이판의 하부에 연결되고 포켓부(400)를 구성하는 포켓외면(420);
    상기 등받이판부와 펼침부의 펼침 각도를 제한하는 스트랩부(510);
    상기 펼침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부(300);
    상기 등받이판부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양측이 포켓외면에 연결되고 하단이 사이드부에 연결되는 사이드연장부(410);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부는,
    등받이판부의 후면과 포켓외면과 사이드연장부에 의하여 내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되, 펼침부의 펼침 상태에서 사이드부에 의하여 하부가 당겨져 가방으로 사용시보다 의자로서 사용시 하부의 수납공간이 전후방으로 좁아지는 가방형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부의 모서리측과 등받이판부 또는 포켓부측의 모서리측을 상하로 결합시키는 지퍼부재로 이루어지는 봉입부(430);를 더 포함하는 가방형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펼침부의 펼침 상태에서 포켓외면의 상단측은 등받이판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방형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양측으로 폭이 좁아지며, 가방으로 사용상태에서 외곽이 사이드연장부 및 포켓외면의 외곽에 대응되는 가방형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는,
    의자 및 가방으로 사용시 제1수납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등받이판부와 펼침부는,
    가방으로 사용시 판형의 물품을 변형 없이 수납할 수 있는 제2수납공간을 마련하는 가방형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판부와 펼침부의 연결부위에 형성되어 등받이판과 바닥판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110);를 포함하는 가방형 의자.
  7. 제1항에 있어서,
    가방으로서의 사용 상태에서 펼침부(20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어깨에 걸림될 수 있는 배낭끈(210);을 더 포함하는 가방형 의자.
  8. 제1항에 있어서,
    포켓외면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손잡이부(401); 및
    펼침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2손잡이부(201);를 더 구비하는 가방형 의자.
KR1020180080864A 2018-07-12 2018-07-12 가방형 의자 KR102181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864A KR102181190B1 (ko) 2018-07-12 2018-07-12 가방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864A KR102181190B1 (ko) 2018-07-12 2018-07-12 가방형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134A KR20200007134A (ko) 2020-01-22
KR102181190B1 true KR102181190B1 (ko) 2020-11-20

Family

ID=6936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864A KR102181190B1 (ko) 2018-07-12 2018-07-12 가방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19923B (zh) * 2020-07-24 2021-02-21 陳德隆 可折疊之椅墊
KR102529320B1 (ko) 2020-10-22 2023-05-03 한승림 내진(耐震)컨테이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2320A1 (fr) * 1995-12-18 1997-06-20 Malloul Lydie Mathilde Siege sans pied transformable en sac
CN201831351U (zh) * 2010-08-30 2011-05-18 浙江工业大学 便携式户外座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2320A1 (fr) * 1995-12-18 1997-06-20 Malloul Lydie Mathilde Siege sans pied transformable en sac
CN201831351U (zh) * 2010-08-30 2011-05-18 浙江工业大学 便携式户外座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134A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9022E1 (en) Backpack chair
US6145716A (en) Combination backpack and folding chair
US5785427A (en) Convertible seat and tote bag
US4824171A (en) Collapsible beach chair
US9185983B1 (en) Folding lounge chair with backpack straps
US6969120B2 (en) Foldable baby's chair
US6264078B1 (en) Combination sports bag and chair assembly
KR102181190B1 (ko) 가방형 의자
AU2002336726A1 (en) Foldable baby's chair
US6824209B1 (en) Collapsible portable seat construction
JP2017507767A (ja) 簡易椅子のフレーム構造体
KR200275576Y1 (ko) 의자 기능을 가진 가방
KR101219152B1 (ko) 의자 겸용 배낭
US10070730B2 (en) Folding chair with side bags on both sides
US10070729B2 (en) Folding chair with a side bag on one side
KR200492815Y1 (ko)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
US10070731B2 (en) Folding chair with side bags with self-contained packaging functionality
JP3134837U (ja) 折たたみ式携行クッションシート
JP3800550B2 (ja) 折畳み椅子付袋体
GB2250679A (en) Folding seat
KR200458626Y1 (ko) 자전거 가방
JP3014384U (ja) ザック
JP3182087U (ja) 折畳み椅子
JP3138481U (ja) 折畳み椅子付きバッグ
KR200210697Y1 (ko) 간이의자 겸용 배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