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999B1 - 소터 - Google Patents

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999B1
KR102523999B1 KR1020220137117A KR20220137117A KR102523999B1 KR 102523999 B1 KR102523999 B1 KR 102523999B1 KR 1020220137117 A KR1020220137117 A KR 1020220137117A KR 20220137117 A KR20220137117 A KR 20220137117A KR 102523999 B1 KR102523999 B1 KR 102523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upport
conveyor device
sorter
tim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대영
이영수
Original Assignee
곽대영
이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대영, 이영수 filed Critical 곽대영
Priority to KR1020220137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4Switching conveyors
    • B65G47/644Switching conveyors by a pivoting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4Cleaning devices comprising plural diverse clea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16H7/023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with belts having a toothed contact surface or regularly spaced bosses or hollows for slipless or nearly slipless meshing with complementary profiled contact surface of a pulle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이송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소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터는 상측에 구비된 분류컨베이어장치(20)의 전단부가 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면에 올려진 대상물을 배출하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이송컨베이어장치(1)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소터{sorter}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이송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송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을 분류할 때 사용되는 소터는 실린더기구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밀어내는 타입이나, 상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로울러를 이용하여 대상물이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타입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소터는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쌀 뿐 아니라,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221019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이송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소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의 전방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전방 가이드레일(12)과, 상기 전방 가이드레일(1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전방슬라이더(13)와, 상기 지지대(11)의 후방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후방 가이드레일(14)과, 상기 후방 가이드레일(14)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후방슬라이더(15)와, 상기 전방슬라이더(13)와 후방슬라이더(15)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전후방 회전블록(16,17)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후방 회전블록(16,17)의 상면에 고정결합된 분류컨베이어장치(20)와, 상기 지지대(11)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슬라이더(13)에 연결되어 전방슬라이더(13)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구동수단(30)과, 상기 분류컨베이어장치(20)와 슬라이드구동수단(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류컨베이어장치(20)는 상기 전후방 회전블록(16,17)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프레임(21)과, 상기 지지프레임(21)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전후방 지지로울러(22,23)와, 상기 전후방 지지로울러(22,23)의 둘레부에 결합된 이송벨트(24)와, 상기 전방 또는 후방 지지로울러(22,23)에 연결된 구동모터(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30)은 상기 지지대(11)의 상면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풀리(31)와, 상기 풀리(31)의 둘레부에 결합된 타이밍벨트(32)와, 상기 타이밍벨트(32)의 일측에 결합되며 서버모터(33)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34)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밍벨트(32)의 일측이 상기 전방슬라이더(13)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타이밍벨트(32)는 내주면에 기어열(32a)이 형성되며, 상기 타이밍벨트(32)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타이밍벨트(32)를 고정하는 제동수단(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동수단(50)은 상기 타이밍벨트(32)의 외측 둘레부에 밀착된 지지휠(51)과, 상기 지지휠(51)에 대응되도록 상기 타이밍벨트(32)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4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액츄에이터(53)에 의해 상기 타이밍벨트(32)의 내주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재(52)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30)을 정지시킬 때, 상기 제동수단(50)을 제어하여 타이밍벨트(32)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류컨베이어장치(20)는 상기 지지프레임(21)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벨트(24)의 둘레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감지하는 오염감지수단(26)과, 상기 지지프레임(21)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벨트(24)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27)와, 상기 지지프레임(21)에 상기 오염감지수단(26)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이송벨트(24)의 둘레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세척하고 이송벨트(24)의 온도를 관리하는 벨트관리수단(A)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벨트관리수단(A)은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측 둘레부가 상기 이송벨트(24)의 하측에 근접되도록 지지프레임(21)에 고정된 배수통체(61)와, 상기 배수통체(61)의 내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측 둘레부에는 상기 이송벨트(24)의 하측면을 향하는 분사노즐(62a)이 구비된 분사관(62)과, 상기 분사관(62)에 연결되어 분사관(62)에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63)과, 상기 분사관(62)의 후방에 위치되면서 상측 둘레부가 이송벨트(24)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배수통체(61)의 내부에 구비되며 구동모터(64b)에 의해 구동되는 세척롤(64)과, 상기 배수통체(61)에 연결되며 배수통체(61) 내부의 공기와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65)과, 상기 배수통체(6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1)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이송벨트(24)의 하측면을 향하는 급기노즐(66a)이 구비된 급기관(66)과, 상기 급기관(66)에 연결되어 급기관(66)에 고압,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67)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오염감지수단(26)과 온도측정기(27)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벨트관리수단(A)의 작동을 제어하여, 이송벨트(24)의 둘레면을 세척하거나, 이송벨트(24)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터는 상측에 구비된 분류컨베이어장치(20)의 전단부가 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면에 올려진 대상물을 배출하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이송컨베이어장치(1)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터를 도시한 정면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터를 도시한 평면 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터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터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 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터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소터의 제2 실시예의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터의 제3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터의 제3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터를 도시한 것으로, 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장치(1)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장치(1)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대상물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분류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터는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의 전방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전방 가이드레일(12)과, 상기 전방 가이드레일(1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전방슬라이더(13)와, 상기 지지대(11)의 후방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후방 가이드레일(14)과, 상기 후방 가이드레일(14)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후방슬라이더(15)와, 상기 전방슬라이더(13)와 후방슬라이더(15)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전후방 회전블록(16,17)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후방 회전블록(16,17)의 상면에 고정결합된 분류컨베이어장치(20)와, 상기 지지대(11)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슬라이더(13)에 연결되어 전방슬라이더(13)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구동수단(30)과, 상기 분류컨베이어장치(20)와 슬라이드구동수단(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 가이드레일(12)은 측방향으로 직선을 이루도록 연장된다.
상기 전후방 회전블록(16,17)은 베어링(18)을 통해 상기 전후방슬라이더(15)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분류컨베이어장치(20)는 상기 전후방 회전블록(16,17)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프레임(21)과, 상기 지지프레임(21)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전후방 지지로울러(22,23)와, 상기 전후방 지지로울러(22,23)의 둘레부에 결합된 이송벨트(24)와, 상기 후방 지지로울러(23)에 연결된 구동모터(25)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5)로 후방 지지로울러(23)를 구동시키면, 이송벨트(24)가 전후방 지지로울러(22,23)의 둘레부를 따라 순환되어 이송벨트(24)의 상면에 올려진 대상물을 전방으로 이송한다.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30)은 상기 지지대(11)의 상면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풀리(31)와, 상기 풀리(31)의 둘레부에 결합된 타이밍벨트(32)와, 상기 타이밍벨트(32)의 일측에 결합되며 서버모터(33)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34)로 구성된다.
상기 타이밍벨트(32)는 내주면에 기어열(32a)이 형성된 원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기어열(32a)이 풀리(31)에 치합되도록 풀리(31)의 둘레면에 결합된다.
상기 구동풀리(34)는 타이밍벨트(32)의 하측둘레부의 중간부 내측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전방슬라이더(13)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3a)가 고정블록(13b)에 의해 상기 타이밍벨트(32)의 상측 둘레부의 중간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서버모터(33)로 구동풀리(34)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타이밍벨트(32)가 정역방향으로 순환되면서, 상기 전방슬라이더(13)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터의 분류컨베이어장치(20)가 후방에 구비된 이송컨베이어장치(1)와 일직선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분류컨베이어장치(20)는 구동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컨베이어장치(1)에 의해 이송된 대상물이 분류컨베이어장치(20)의 상면으로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40)이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30)을 제어하여 전방슬라이더(13)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류컨베이어장치(20)의 전단부가 상기 전방 회전블록(16)에 지지된 상태로 측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 분류컨베이어장치(20)의 상면으로 공급된 대상물은 상기 분류컨베이어의 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송되어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전방 가이드레일(12)이 측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됨으로, 상기 분류컨베이어의 전단부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 상기 분류컨베이어장치(20)의 후단부는 상기 후방슬라이더(15)에 지지된 상태로 전방으로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분류컨베이어장치(20)가 측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후단 중앙부에 비해 후방에 위치되는 분류컨베이어장치(20)의 후단 모퉁이 부분이 후방에 위치된 이송컨베이어장치(1)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터는 상측에 구비된 분류컨베이어장치(20)의 전단부가 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면에 올려진 대상물을 배출하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이송컨베이어장치(1)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분류컨베이어장치(20)가 측방향으로 회동되면 분류컨베이어장치(20)의 후단부가 전방으로 전진됨으로, 분류컨베이어가 측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후단 중앙부에 비해 후방에 위치되는 분류컨베이어장치(20)의 후단 모퉁이 부분이 후방에 위치된 이송컨베이어장치(1)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타이밍벨트(32)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타이밍벨트(32)를 고정하는 제동수단(5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제동수단(50)은 상기 타이밍벨트(32)의 외측 둘레부에 밀착된 지지휠(51)과, 상기 지지휠(51)에 대응되도록 상기 타이밍벨트(32)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4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액츄에이터(53)에 의해 상기 타이밍벨트(32)의 내주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재(5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휠(51)은 상기 지지대(11)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재(52)는 상기 지지대(11)에 승강은 가능하되 측방향으로는 유동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타이밍벨트(32)의 기어열(32a)에 대응되는 돌출부(52a)가 형성되어, 상승되면 상기 돌출부(52a)가 타이밍벨트(32)의 기어열(32a)에 결합되어, 타이밍벨트(32)가 측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액츄에이터(53)는 상기 제어수단(40)의 제어수단(40)에 따라 결합부재(52)가 상승되도록 하는 전자식 솔레노이드장치를 이용한다.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분류컨베이어장치(20)를 측방향으로 회동시킬 때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52)가 하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30)을 정지시켜 분류컨베이어장치(20)를 전방이나 일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정지시킬 때, 상기 제어수단(4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53)를 제어하여 결합부재(52)를 상승시킴으로써, 결합부재(52)가 타이밍벨트(32)에 결합되어 타이밍벨트(32)가 측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분류컨베이어장치(20)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의 무게에 의해 분류컨베이어가 정확한 방향에 정지되지 못하고, 측방향으로 밀려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분류컨베이어장치(20)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은 무게가 많이 나갈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무게가 많이 나가는 대상물이 분류컨베이어장치(20)에 올려진 상태에서 분류컨베이어장치(20)를 측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정지시킬 때, 분류컨베이어장치(20)가 정확한 방향에 정지되지 못하고, 조금 지나간 위치에 정지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슬라이드구동수단(30)이 정지된 상태에서 분류컨베이어가 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슬라이드구동수단(30)이 정지되면 제동수단(50)이 타이밍벨트(32)에 결합되어 타이밍벨트(32)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함으로, 전술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분류컨베이어장치(20)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1)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벨트(24)의 둘레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감지하는 오염감지수단(26)과, 상기 지지프레임(21)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벨트(24)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27)와, 상기 지지프레임(21)에 상기 오염감지수단(26)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이송벨트(24)의 둘레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세척하고 이송벨트(24)의 온도를 관리하는 벨트관리수단(A)이 더 구비된다.
상기 오염감지수단(26)은 상기 이송벨트(24)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측, 즉, 상기 이송벨트(24)의 하측 둘레면에 빛을 조사하고, 조사된 빛이 이송벨트(24)의 둘레면에서 반사되는 것을 수신하여, 이송벨트(24)의 하측면에 이물질이 묻어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도측정기(27)는 상기 오염감지수단(26)에 근접되도록 구비되어, 비접촉식으로 이송벨트(24)의 온도를 측정하는 레이저온도계를 이용한다.
상기 벨트관리수단(A)은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측 둘레부가 상기 이송벨트(24)의 하측에 근접되도록 지지프레임(21)에 고정된 배수통체(61)와, 상기 배수통체(61)의 내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측 둘레부에는 상기 이송벨트(24)의 하측면을 향하는 분사노즐(62a)이 구비된 분사관(62)과, 상기 분사관(62)에 연결되어 분사관(62)에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63)과, 상기 분사관(62)의 후방에 위치되면서 상측 둘레부가 이송벨트(24)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배수통체(61)의 내부에 구비되며 구동모터(64b)에 의해 구동되는 세척롤(64)과, 상기 배수통체(61)에 연결되며 배수통체(61) 내부의 공기와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65)과, 상기 배수통체(6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1)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이송벨트(24)의 하측면을 향하는 급기노즐(66a)이 구비된 급기관(66)과, 상기 급기관(66)에 연결되어 급기관(66)에 고압,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67)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통체(61)는 일측에 배출구(61a)가 형성된다.
상기 분사노즐(62a)은 여러개로 구성되어, 상기 분사관(62)에 상호 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급수수단(63)은 급수관(63a)을 통해 상기 분사관(62)에 연결된 급수통(63b)과, 상기 급수관(63a)의 중간부에 구비된 급수펌프(63c)로 구성되어, 상기 급수펌프(63c)를 구동시키면, 급수통(63b)에 저장된 물이 상기 분사노즐(62a)을 통해 이송벨트(24)의 하측면으로 분사된다.
상기 세척롤(64)은 둘레면에 다수개의 세척모(64a)가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64b)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세척모(64a)가 이송벨트(24)의 하측면을 세척하게 된다.
상기 배출수단(65)은 배출관(65a)을 통해 상기 배출구(61a)에 연결된 배출펌프를 이용하는 것으로, 작동되면 배출통체의 내부에 저장된 물과 공기가 배출관(65a)을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급기노즐(66a)은 여러개로 구성되어, 상기 급기관(66)의 상면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급기수단(67)은 공급관(67a)을 통해 상기 급기관(66)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서(67b)와, 상기 공급관(67a)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공급관(67a)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67c)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수단(67)을 구동시키면, 에어컴프레서(67b)에 의해 공급된 고압의 공기가 히터(67c)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급기관(66)으로 공급된 후 급기노즐(66a)을 통해 상기 이송벨트(24)의 하측면으로 분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분류컨베이어장치(20)가 구동되면,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오염감지수단(26)을 이용하여, 이송벨트(24)의 둘레면이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었는지를 감시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벨트(24)의 둘레면이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급수수단(63)과 세척롤(64)과 배출수단(65) 및 급기수단(67)을 제어하여 이송벨트(24)의 둘레면을 세척한다.
즉,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급수수단(63)을 제어하여, 이송벨트(24)의 둘레면에 물을 분사하고, 회전되는 세척롤(64)에 의해 이송벨트(24)의 둘레면에 부찰된 이물질을 닦아낸 후, 상기 급기수단(67)을 이용하여 이송벨트(24)의 둘레면에 고온의 공기를 분사시켜 이송벨트(24)에 남은 수분이 증발되도록 한다.
이때, 분사관(62)을 통해 분사된 물은 상기 배수통체(61)의 내부에 수집되며, 상기 배출수단(65)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온도측정수단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송벨트(24)의 표면온도를 측정하고, 이송벨트(24)의 표면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를 벗어날 경우, 상기 급수수단(63)을 구동시켜 이송벨트(24)의 표면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이송벨트(24)를 냉각시키거나, 상기 급기수단(67)을 구동시켜 이송벨트(24)의 표면에 고온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이송벨트(24)의 온도가 상승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벨트(24)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터는 상기 분류컨베이어장치(20)에 오염감지수단(26)과 온도측정기(27)와 벨트관리수단(A)이 구비되어, 이송벨트(24)가 오염될 경우, 이송벨트(24)를 자동으로 세척하여 다른 대상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송벨트(24)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외부온도 등에 의해 이송벨트(24)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거나 과도하게 냉각되어, 이송벨트(24)의 수명이 줄어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 지지대 12. 전방 가이드레일
13. 전방슬라이더 14. 후방 가이드레일
15. 후방슬라이더 16. 전후방 회전블록
20. 분류컨베이어장치 30. 슬라이드구동수단
40. 제어수단

Claims (5)

  1. 지지대(11)와,
    상기 지지대(11)의 전방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전방 가이드레일(12)과,
    상기 전방 가이드레일(1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전방슬라이더(13)와,
    상기 지지대(11)의 후방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후방 가이드레일(14)과,
    상기 후방 가이드레일(14)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후방슬라이더(15)와,
    상기 전방슬라이더(13)와 후방슬라이더(15)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전후방 회전블록(16,17)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후방 회전블록(16,17)의 상면에 고정결합된 분류컨베이어장치(20)와,
    상기 지지대(11)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슬라이더(13)에 연결되어 전방슬라이더(13)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구동수단(30)과,
    상기 분류컨베이어장치(20)와 슬라이드구동수단(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컨베이어장치(20)는
    상기 전후방 회전블록(16,17)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프레임(21)과,
    상기 지지프레임(21)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전후방 지지로울러(22,23)와,
    상기 전후방 지지로울러(22,23)의 둘레부에 결합된 이송벨트(24)와,
    상기 전방 또는 후방 지지로울러(22,23)에 연결된 구동모터(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30)은
    상기 지지대(11)의 상면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풀리(31)와,
    상기 풀리(31)의 둘레부에 결합된 타이밍벨트(32)와,
    상기 타이밍벨트(32)의 일측에 결합되며 서버모터(33)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34)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밍벨트(32)의 일측이 상기 전방슬라이더(13)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벨트(32)는 내주면에 기어열(32a)이 형성되며,
    상기 타이밍벨트(32)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타이밍벨트(32)를 고정하는 제동수단(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동수단(50)은
    상기 타이밍벨트(32)의 외측 둘레부에 밀착된 지지휠(51)과,
    상기 지지휠(51)에 대응되도록 상기 타이밍벨트(32)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4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액츄에이터(53)에 의해 상기 타이밍벨트(32)의 내주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재(52)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30)을 정지시킬 때, 상기 제동수단(50)을 제어하여 타이밍벨트(32)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컨베이어장치(20)는
    상기 지지프레임(21)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벨트(24)의 둘레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감지하는 오염감지수단(26)과,
    상기 지지프레임(21)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벨트(24)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27)와,
    상기 지지프레임(21)에 상기 오염감지수단(26)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이송벨트(24)의 둘레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세척하고 이송벨트(24)의 온도를 관리하는 벨트관리수단(A)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벨트관리수단(A)은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측 둘레부가 상기 이송벨트(24)의 하측에 근접되도록 지지프레임(21)에 고정된 배수통체(61)와,
    상기 배수통체(61)의 내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측 둘레부에는 상기 이송벨트(24)의 하측면을 향하는 분사노즐(62a)이 구비된 분사관(62)과,
    상기 분사관(62)에 연결되어 분사관(62)에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63)과,
    상기 분사관(62)의 후방에 위치되면서 상측 둘레부가 이송벨트(24)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배수통체(61)의 내부에 구비되며 구동모터(64b)에 의해 구동되는 세척롤(64)과,
    상기 배수통체(61)에 연결되며 배수통체(61) 내부의 공기와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65)과,
    상기 배수통체(6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1)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이송벨트(24)의 하측면을 향하는 급기노즐(66a)이 구비된 급기관(66)과,
    상기 급기관(66)에 연결되어 급기관(66)에 고압,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67)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오염감지수단(26)과 온도측정기(27)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벨트관리수단(A)의 작동을 제어하여, 이송벨트(24)의 둘레면을 세척하거나, 이송벨트(24)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
KR1020220137117A 2022-10-24 2022-10-24 소터 KR102523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117A KR102523999B1 (ko) 2022-10-24 2022-10-24 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117A KR102523999B1 (ko) 2022-10-24 2022-10-24 소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999B1 true KR102523999B1 (ko) 2023-04-20

Family

ID=8614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117A KR102523999B1 (ko) 2022-10-24 2022-10-24 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9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8023A (ja) * 1991-05-15 1992-11-25 Idemitsu Eng Co Ltd コンベア等の方向切換装置
JP2009029620A (ja) * 2007-06-26 2009-02-12 Sanki Eng Co Ltd ベルトジャンクションコンベヤ
US20110315514A1 (en) * 2010-06-28 2011-12-29 Pteris Global Limited Belt conveyor system
KR20190138629A (ko) * 2016-12-21 2019-12-13 도요 가네쓰 가부시키가이샤 분기 장치
KR102210193B1 (ko) 2019-08-12 2021-02-01 주식회사 이노비 독립 구동 가능한 다수의 가변휠모듈을 구비하는 휠 소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8023A (ja) * 1991-05-15 1992-11-25 Idemitsu Eng Co Ltd コンベア等の方向切換装置
JP2009029620A (ja) * 2007-06-26 2009-02-12 Sanki Eng Co Ltd ベルトジャンクションコンベヤ
US20110315514A1 (en) * 2010-06-28 2011-12-29 Pteris Global Limited Belt conveyor system
KR20190138629A (ko) * 2016-12-21 2019-12-13 도요 가네쓰 가부시키가이샤 분기 장치
KR102210193B1 (ko) 2019-08-12 2021-02-01 주식회사 이노비 독립 구동 가능한 다수의 가변휠모듈을 구비하는 휠 소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54590A1 (ja) ローラコンベア及び板状体の検査装置、並びにガラス板の製造装置
US6971503B2 (en) Conveyor belt cleaning apparatus
KR101982467B1 (ko) 원단정련장치
CN109420635B (zh) 用于对传送螺杆进行清洁的清洁设备及方法
KR102523999B1 (ko) 소터
JPH10337541A (ja) 基板洗浄装置
KR101123282B1 (ko) 강구 비전 검사기
US20020011260A1 (en) Automatic empty container return machine equipped with self-cleaning arrangement
JP3916891B2 (ja) 基板処理装置及び現像処理装置
JP6578088B2 (ja) ワゴン洗浄機
KR100221387B1 (ko) 벨트공급장치의 센터링방법 및 장치
JP3763125B2 (ja) 基板処理装置
JP2004136867A (ja) 車輪洗浄装置
KR101569920B1 (ko) 컨베이어 에어브러시 타입 클리닝 시스템
WO2019097747A1 (ja) ストリップの端部検出装置及びブラッシング装置
KR0138683Y1 (ko) 복층유리 세척, 건조장치
JP2019005385A (ja) 水分の除滴乾燥方法およびコンテナ処理装置
CN217180629U (zh) 一种aoi自动光学检测装置
JP3790330B2 (ja) 注射器目視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10004559A (ko) 지육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
JPH0512319Y2 (ko)
KR200208270Y1 (ko) 풀리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JP2002177613A (ja) 遊技媒体清浄化装置及び遊技媒体清浄化方法
JP4042427B2 (ja) ワーク搬送装置
KR102273707B1 (ko) 액류 염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