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712B1 -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712B1
KR102522712B1 KR1020200106680A KR20200106680A KR102522712B1 KR 102522712 B1 KR102522712 B1 KR 102522712B1 KR 1020200106680 A KR1020200106680 A KR 1020200106680A KR 20200106680 A KR20200106680 A KR 20200106680A KR 102522712 B1 KR102522712 B1 KR 102522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dimensional
pets
sling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6075A (ko
Inventor
권민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앤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앤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앤권
Priority to KR1020200106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712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9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e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the animal on the body of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45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63Flexible luggage; Hand bags comprising an integrated expansion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2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one strap passing over the should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은, 애완동물을 편하게 안고 이동시킬 수 있고 보호자의 신체에 무리가 되지 않도록 하는 입체 패턴으로 형성된 슬링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은, 일체형의 원단이 두 겹으로 포개져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슬링으로서, 상하로 일자형인 어깨부; 어깨부 하단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지며, 부채꼴 반지름에 해당되는 복수의 삽입부와 부채꼴 호에 해당되는 안착부로 구성되는 수용부; 및 어깨부의 상단 중앙에서 수용부의 하단 중앙까지 직선으로 이어지며 슬링백을 횡방향 일측과 타측으로 구분하는 접힘부;를 포함하되, 어깨부에서 수용부로 이어지는 양 측면은 개구부로 형성되고, 타측 삽입부는 일측 삽입부 대비 길고, 타측 삽입부 및 안착부가 만나는 타측 꼭지점은 일측 삽입부 및 안착부가 만나는 일측 꼭지점 대비 낮은 위치로 형성되어, 일측 어깨부 및 수용부가 접힘부를 중심으로 접혀지며 타측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면 포개진 타측 수용부와 일측 수용부 사이에는 안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Stereoscopic Pattern Sling-bag for Pets}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에 관한 것으로서, 애완동물을 편하게 안고 이동시킬 수 있고 보호자의 신체에 무리가 되지 않도록 하는 입체 패턴으로 형성된 슬링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형의 원단이 두 겹으로 포개져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슬링백으로서, 상하로 일자형인 어깨부; 어깨부 하단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지며, 부채꼴 반지름에 해당되는 복수의 삽입부와 부채꼴 호에 해당되는 안착부로 구성되는 수용부; 및 어깨부의 상단 중앙에서 수용부의 하단 중앙까지 이어지며 슬링백을 횡방향 일측과 타측으로 구분하는 접힘부;를 포함하되, 어깨부에서 수용부로 이어지는 양 측면은 개구부로 형성되고, 타측 삽입부는 일측 삽입부 대비 길고, 타측 삽입부 및 안착부가 만나는 타측 꼭지점은 일측 삽입부 및 안착부가 만나는 일측 꼭지점 대비 낮은 위치로 형성되어, 일측 어깨부 및 수용부가 접힘부를 중심으로 접혀지며 타측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면 포개진 타측 수용부와 일측 수용부 사이에는 안착공간이 형성되어 애완동물은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고 보호자의 몸에는 밀착감을 높여 애완동물과의 유대감 향상과 어깨에 무리가 가지 않아 장시간 편안한 착용을 가능하게 하는 입체형 패턴으로 구성되는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인간의 삶에서 반려견, 반려묘 등 가족과 같은 존재로 인식되면서 반려동물이 편안하고 안정감 있게 인간과 함께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많은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 중 애완동물을 운반하기 위한 캐리어로서 박스타입 캐리어와 슬링백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박스타입 캐리어는 슬링백 대비 튼튼한 반면 상대적으로 무거워서 오랜 시간 직접 들고 운반하는 용도라기보다는 가정에서 차량에 탑승하기까지의 짧은 시간 내 운반용이라든지, 운송수단에 안정적인 승차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반면 슬링백은 보호자가 애완동물을 품에 안고 산책, 이동,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애완동물이 보호자의 몸에 밀착되어 보호자와 애완동물 간 유대감이 향상되고, 가볍고 부드러운 소재로 제작되어 장시간 보호자가 애완동물을 안고 이동할 수 있는 소프트 타입의 캐리어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슬링백은 홑겹의 원단으로 구성되어 내부공간에 애완동물이 수용되면 애완동물이 슬링백의 내부공간에서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지 못하고 불편한 상태로 있게 되어 불안하며 동시에 보호자는 애완동물이 편안하게 안착되지 못하고 움직이게 되므로 힘이 많이 들고 또한 슬링백이 보호자의 몸에 밀착되지 않고 이격된 형상의 포대기와 같으므로 어깨 및 허리에 가중되는 압력이 높아 무리가 생길 수 있고 또한 애완동물이 슬링백 외부로 뛰어나가려는 안전사고 위험성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가방형 슬링백은 보호자 입장에서는 어깨에 부담되지 않고 장시간 이동할 수 있는 반면 보호자와 애완동물 간의 밀착이 되지 않아 유대감이 저하되고, 애완동물 입장에서는 보호자에 밀착되지 못하고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운반이 되므로 불안하고 불편한 상태로 방치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9851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10536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일체형의 원단이 두 겹으로 포개져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슬링백으로서, 상하로 일자형인 어깨부; 어깨부 하단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지며, 부채꼴 반지름에 해당되는 복수의 삽입부와 부채꼴 호에 해당되는 안착부로 구성되는 수용부; 및 어깨부의 상단 중앙에서 수용부의 하단 중앙까지 이어지며 슬링백을 횡방향 일측과 타측으로 구분하는 접힘부;를 포함하되, 어깨부에서 수용부로 이어지는 양 측면은 개구부로 형성되고, 타측 삽입부는 일측 삽입부 대비 길고, 타측 삽입부 및 안착부가 만나는 타측 꼭지점은 일측 삽입부 및 안착부가 만나는 일측 꼭지점 대비 낮은 위치로 형성되어, 일측 어깨부 및 수용부가 접힘부를 중심으로 접혀지며 타측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면 포개진 타측 수용부와 일측 수용부 사이에는 안착공간이 형성되어 애완동물은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고 보호자의 몸에는 밀착감을 높여 애완동물과의 유대감 향상과 어깨에 무리가 가지 않아 장시간 편안한 착용을 가능하게 하는 입체형 패턴으로 구성되는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은, 일체형의 원단이 두 겹으로 포개져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슬링백으로서, 상하로 일자형인 어깨부; 어깨부 하단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지며, 부채꼴 반지름에 해당되는 복수의 삽입부와 부채꼴 호에 해당되는 안착부로 구성되는 수용부; 및 어깨부의 상단 중앙에서 수용부의 하단 중앙까지 직선으로 이어지며 슬링백을 횡방향 일측과 타측으로 구분하는 접힘부;를 포함하되, 어깨부에서 수용부로 이어지는 양 측면은 개구부로 형성되고, 타측 삽입부는 일측 삽입부 대비 길고, 타측 삽입부 및 안착부가 만나는 타측 꼭지점은 일측 삽입부 및 안착부가 만나는 일측 꼭지점 대비 낮은 위치로 형성되어, 일측 어깨부 및 수용부가 접힘부를 중심으로 접혀지며 타측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면 포개진 타측 수용부와 일측 수용부 사이에는 안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깨부의 내측에는 내장주머니가 구비되어 소정 두께의 어깨패드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 내측 소정 위치에 안전고리가 구비되어 하네스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타측 어깨부의 외측에는 덮개형 외장주머니가 구비되고, 외장주머니의 하단에는 디링고리가 구비되어 배변봉투백이 고리 연결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측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소정 크기의 바닥주머니가 구비되어 바닥패드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입체 패턴의 일측 수용부 및 타측 수용부가 포개지면서 안착공간을 형성하여 보호자는 편하게 안을 수 있고, 애완동물은 바른 자세로 편하게 앉을 수 있으며, 보호자와 애완동물이 밀착되어 상호 유대감이 형성될 수 있다.
둘째, 수납공간으로서 슬링백의 어깨부 외측에 덮개형 주머니가 구비되고 버튼 등 고정부재가 함께 구비됨으로서 여러 가지 소지품을 넣어서 보관할 수 있고, 주머니 덮개를 닫아 버튼을 고정시키면 보호자가 몸을 숙였을 때 내부 소지품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따라서 슬링백을 착용 시 별도의 가방 없이도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다.
셋째, 슬링백을 착용했을 때 보호자 어깨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완충용 패드가 내장됨으로서 애완동물을 장시간 안고 있어도 어깨에 큰 부담을 주지 않는다.
넷째, 어깨부는 면으로 제작된 외측 원단을 통해 습기 및 열기를 빠르게 배출시켜주어 답답함을 줄여줄 수 있다.
다섯째, 수용부 내측 소정 위치에는 안전고리가 구비되어 있어서, 안전고리를 애완동물 하네스와 연결하여 슬링백의 애완동물에게 빈번히 발생하는 추락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여섯째, 어깨부의 외장주머니 하단에는 디링(D-ring) 고리가 구비되어 애완동물 외출 시 꼭 챙겨야하는 배변봉투백 등 풉백이 고리 연결될 수 있어서, 풉백을 하네스나 리드줄에 걸지 않아 애완동물에 부담을 주지 않고 보호자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풉백용 가방을 따로 들고 다닐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일곱째,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에 사용된 원단은 도비 직조방식의 순면 원단으로 제작되어 여름철 뛰어난 통기성과 겨울철 우수한 보온성을 나타내며, 2중 면으로 제작되어 트윌 100% 순면 안감을 봉제선 없이 제작하여 애완동물의 신체에 봉제선이 닿지 않아 편안하다.
여덟째, 순면의 기능성 원단을 사용하여 가볍고 통기성이 우수하면서도 입체패턴으로 두툼한 착용감을 형성하여 신체에 부담을 덜어주어 장시간 착용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의 펼쳐진 정면도이고 도 1의 (b)는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의 접혀진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의 안착공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의 실제 착용 모습을 전면, 배면, 측면에서 촬영한 실사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의 펼쳐진 정면도이고 도 1의 (b)는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의 접혀진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의 안착공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의 실제 착용 모습을 전면, 배면, 측면에서 촬영한 실사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은 애완동물을 품에 안고 다닐 수 있도록 고안된 슬링으로서 하나의 원단이 두 겹으로 포개져 전면과 후면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원단이라 함은 단일 섬유 재료로 구성된 원단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특정 기능을 위해 여러 종류의 섬유가 합쳐져 한 겹을 형성하는 천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가령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은 겉감과 안감이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데 겉감은 40수 100% 순면 코튼으로서 도비 직조 방식의 바이오 워싱 원단이 사용되고, 안감은 30수 100% 코튼 트윌면이 사용되어, 겉감은 고급스러운 색감에 부드러운 촉감을 지니고 안감은 발톱 긁힘에도 뛰어난 내구성 및 견고하고 탄탄한 조직감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은 제품의 성능 향상을 위해 한 겹이 2중 면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본 설명에서는 이를 하나의 원단이라고 표현하기로 한다.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은 보호자의 일측 어깨에서부터 타측 옆구리를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착용될 수 있으며, 타측 옆구리 부분에 안착공간(500)이 형성되어 애완동물을 수용할 수 있다.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은 펼쳐진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일측과 타측으로 구분되고 일측이 접히면서 타측의 내부공간으로 말려 들어가면 일측과 타측이 포개지되 상호 꼭 들어맞지 않고 소정 부분 어긋나도록 포개지면서 어긋난 부분에 애완동물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은 어깨부(100), 수용부(200), 접힘부(300), 개구부(400), 안착공간(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이 펼쳐진 상태에서 어깨부(100)는 상하 종방향으로 일자형을 형성하고, 수용부(200)는 어깨부(100) 하단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지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수용부(200)는 삽입부(210) 및 안착부(22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삽입부(210)는 부채꼴의 반지름에 해당되는 부위로서 수용부(2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복수 형성되며, 안착부(220)는 부채꼴의 호에 해당되는 부위로서 복수의 삽입부(210)를 이으면서 볼록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어깨부(100)에서 수용부(200)로 이어지는 양 측면은 개구부(400)로 형성되어 두 겹의 원단이 개방된 형태로서 일측과 타측이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고, 어깨부(100) 상단 및 수용부(200) 하단인 안착부(220)는 하나의 원단인 두 겹으로 접힌 채 이어진 형상으로 폐쇄된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펼쳐진 상태에서의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 단면은 흡사 하나의 손잡이가 중앙부에 달린 바구니와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접힘부(300)는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의 종방향으로 정 중앙에 형성되는 가상의 접힘 선으로서, 접힘부(300)를 중심으로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은 일측과 타측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어깨부(100)에서 수용부(200)까지 양 측면은 개구부(400)로 형성되었으므로 일측이 접혀져 타측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의 일측에 형성된 어깨부(100) 및 수용부(200) 측면을 안감이 있는 방향으로 말아 넣으면 접힘부(300)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의 어깨부(100)와 수용부(200)가 타측의 어깨부(100) 및 수용부(200) 안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이 절반으로 포개지게 된다.
따라서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을 정면에서 바라보면 접힘부(300)를 기준으로 좌우가 절반으로 접힌 형상이 될 수 있다.
이때 일측 삽입부(210)와 타측 삽입부(210)는 길이와 형태에 있어 약간의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즉 타측 삽입부(210)의 길이는 일측 삽입부(210) 대비 길게 형성되고, 타측 삽입부(210)와 타측 안착부(220)가 만나는 타측 꼭지점(230)은 정면에서 목측 시 일측 삽입부(210)와 일측 안착부(220)가 만나는 일측 꼭지점(230) 대비 수용부(200) 하단 기준으로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측 삽입부(210)와 안착부(220)가 형성하는 일측의 수용부(200)는 타측 삽입부(210)와 안착부(220)가 형성하는 타측의 수용부(200) 보다 전체적으로 작고 꼭지점(230)은 높은 위치에 형성되므로, 도 1의 (a) 내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수용부(200a)와 타측 수용부(200b)는 형상이 상이한 비대칭 구조인 것에 특징이 있으며, 따라서, 접힘부(300)를 기준으로 일측 수용부(200a)를 접어 타측 내부공간으로 집어넣게 되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수용부(200a)와 타측 수용부(200b) 외곽선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고, 일측 수용부(200a)가 형성하는 외곽선은 타측 수용부(200b)가 형성하는 외곽선 내에 수용되는 형상이 되며, 타측의 수용부(200b)는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의 외측면을 구성하고 일측의 수용부(200a)는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의 내측면을 구성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이때 타측 수용부(200)와 일측 수용부(200)는 길이와 형상의 차이로 인해 포개지지 않고 상호간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안착공간(500)으로서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을 접힘부(300)를 기준으로 일측을 타측 내부공간으로 밀어 넣어 절반으로 포개지도록 접게 되면 비로소 애완동물을 품에 안고 이동할 수 있는 슬링백 상태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슬링백 상태는 어깨부(100)가 일측과 타측이 각 두 겹으로 구성되었던 것이 접혀진 것이므로 총 네 겹으로 형성되어 더욱 두툼해지게 되어 슬링백을 착용했을 때 어깨에 무리가 가지 않고 장시간 착용에도 부담이 덜해질 수 있다.
또한 안착공간(5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 수용부(200)가 슬링백의 내측면을 구성하게 되고 타측 수용부(200)가 슬링백의 외측면을 구성하게 되는데, 일측 수용부(200)는 삽입부(210)와 안착부(220)의 부채꼴 형상으로 인해 보호자의 신체와 밀착되는 입체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수용부(200a)가 어깨와 옆구리에 밀착된 형상으로 착용될 수 있어 보호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하중이 줄어들어 장시간 착용에도 신체적 부담이 줄어들 수 있으며, 게다가 애완동물이 보호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애완동물로 하여금 안정감을 가질 수 있게 하고 보호자와 애완동물 간에 유대감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타측 수용부(200)는 부채꼴 형상으로서 외측면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이 안착공간(500)에 자리를 잡게 되면 애완동물의 몸이 안착부(220)의 곡선을 따라 편안한 상태로 안착될 수 있고, 삽입부(210)는 개방된 형태를 지니므로 애완동물이 안착부(220)에 앉은 상태로 외부를 바라보기에 편할 수 있는 입체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결국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형성하게 되는 측면 패턴을 다르게 제작함으로써 보호자의 몸에 닿는 부분은 더욱 당겨지게 되어 밀착감을 높이고 애완동물이 안착되는 부분은 애완동물의 몸이 편하게 밀착될 수 있는 형상을 만들게 된다.
게다가 안착공간(500)의 부채꼴 곡선으로 인해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은 단순히 애완동물을 수용하고 운반하는 공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애완동물이 바른 자세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입체 패턴에 기반하므로 애완동물이 장시간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에 위치하더라도 힘들지 않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애완동물을 바르게 보호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어깨부(100)의 내측에는 내장주머니(110)가 구비되어 소정 두께의 어깨패드(111)가 내장주머니(110)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내장주머니(110)는 어깨부(100)의 안감 부분 중 어깨에 닿는 부위에 위치하는 사각형상으로 재단되고, 어깨패드(111)는 1.5㎝ 두께로서 스펀지 재질인 것으로서 어깨패드(111)가 내장주머니(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어깨패드(111)는 삽입 탈착식이 아니라 어깨부(100)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내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어깨부(100)는 어깨패드(111)가 삽입되어도 면으로 제작된 겉감을 통해 습기 및 열기를 빠르게 배출시켜주어 장시간 착용 시에도 답답함을 해소시켜 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이 접혀지면 어깨부(100)는 네 겹으로 형성되고, 슬링백의 겉감은 부드럽고 안감은 탄탄한 조직감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네 겹의 어깨부(100)는 보호자의 어깨에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데, 이에 덧붙여 어깨패드(111)가 내장주머니(110)에 삽입이 되면 어깨부(100)에 쿠션감이 더욱 증대되어 보호자가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을 착용하고 애완동물을 장시간 안고 다녀도 큰 부담 없이 다닐 수 있다.
한편 애완동물이 슬링백에 수용된 채 이동될 때 애완동물이 슬링백 밖으로 뛰어내리거나 보호자가 허리를 숙인다든가 하는 부주의로 인해 슬링백에서 지면으로 떨어지는 추락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곤 한다.
전술한 추락사고의 방지를 위해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은 수용부(200) 내측 소정 위치에 안전고리(240)가 구비될 수 있다.
안전고리(240)의 일단은 수용부(200) 내측면에 링과 같은 고리로 연결되고 상기 고리로부터 직물 소재의 부드럽고 강하며 길게 형성된 끈이 이어진 후 타단에 고리가 부착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안전고리(240)의 타단은 애완동물의 하네스에 부착된 카라비너와 같은 고리에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애완동물이 안착공간(500)에서 추락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벨트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타측 어깨부(100)의 외측에는 덮개형 외장주머니(120)가 구비될 수 있다.
외장주머니(120)는 어깨부(100) 중 보호자의 전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덮개가 구비될 수 있고 잠금단추가 구비될 수 있어,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을 착용 시 애완동물 외출에 필요한 물품 및 보호자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을 착용하면 별도의 가방을 구비할 필요가 없이 슬링백만 착용한 상태로 외출이 가능하고, 외장주머니(120)의 덮개를 닫아 잠금단추를 고정시키면 상체를 숙였을 때 외장주머니(120) 내 소지품이 외부로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장주머니(120)의 하단에는 알파벳 디(D) 형상의 디링고리(130)가 연결 구비될 수 있으며 디링고리(130)에 풉백 등 배변봉투백(131)이 고리 연결될 수 있어, 애완동물의 외출 시 꼭 챙겨야 하는 배변봉투백(131)을 애완동물의 몸에 장착되는 하네스 또는 리드줄에 걸지 않고 슬링백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은 불편함이 해소되고 보호자에게는 손쉽게 배변봉투를 꺼내어 쓸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타측 수용부(200)의 내측면에는 안착공간(500)이 형성되고 애완동물이 안착되는 위치에 소정 크기의 바닥주머니(250)가 구비되어 바닥패드(251)가 삽입될 수 있다.
바닥패드(251)는 넓게 형성된 단일의 스펀지 형 패드로 구비되고 바닥주머니(250)는 상기 패드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다수의 바닥주머니(250)가 구비되고 각 바닥주머니(250)에 다수의 바닥패드(251)가 삽입되면서 수용부(200) 내측 바닥면에 쿠션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어깨패드(111)와 마찬가지로 수용부(200) 내측면에 바닥패드(251)가 내장된 형태로 재단이 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바닥패드(251)를 통해 애완동물은 더욱 편안하게 자리를 잡을 수 있고, 보호자는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을 메고 있다가 바닥에 내려놓을 때 애완동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안전하게 슬링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이 펼쳐진 상태에서 일측 삽입부(210)가 타측 삽입부(210) 대비 길이가 짧고, 일측 꼭지점(230)이 타측 꼭지점(230) 대비 높은 위치에 구비되었다고 가정한다.
이제 일측 수용부(200)의 개구부(400)를 안쪽으로 말아 넣어서 타측 수용부(2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을 시키고 접힘부(300)를 기준으로 일측 수용부(200)가 타측 수용부(200) 내부에 포개지도록 한다.
일측 수용부(200)와 타측 수용부(200)가 포개져 접힌 상태에서 일측 수용부(200)는 안감과 같이 슬링백의 내측면을 형성하고 타측 수용부(200)는 겉감과 같이 슬링백의 외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일측 수용부(200)는 타측 수용부(200) 대비 삽입부(210)가 짧고 안착부(220)도 짧으므로 일측 수용부(200)는 타측 수용부(200) 내에 동일한 형상으로 완전히 맞춤 포개지지 않고, 일측 수용부(200)가 타측 수용부(200) 내에 포함되어 수용되는 형상으로 상호 이격되면서 위치되어 안착공간(500)이 형성된다.
보호자가 네 겹으로 두툼해진 어깨부(100)를 일측 어깨에 메고 나면 타측 옆구리 부분에 안착공간(500)이 위치하게 되므로 애완동물을 상기 안착공간(500)에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수용부(200) 내측에 구비된 안전고리(240)를 애완동물의 하네스에 구비된 고리에 결합시켜서 애완동물이 안착공간(500)에서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등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조치를 취하게 된다.
또한 풉백 등 배변봉투백(131)을 외장주머니(120)의 디링고리(130)에 연결하여 외출 시 배변활동에 대비를 하고, 외장주머니(120)에 보호자 및 애완동물을 위한 추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만약 어깨패드(111)와 바닥패드(251)가 내장된 형태가 아니라면, 어깨패드(111) 및 바닥패드(251)를 삽입할 수 있으며, 둘 줄 하나의 패드만 삽입할 수도 있고 또는 패드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패드를 삽입해야 한다면 바람직하게는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을 포개어 접기 전에 패드를 먼저 삽입하고 접는 것이 수월할 수 있다.
또한 안착공간(500)이 형성되면 애완동물을 안착시키고 안전고리(240)를 연결한 후에 어깨에 메는 것이 수월할 수 있는데, 다만 착용 순서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을 사용하는 데 있어 어떠한 순서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제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을 착용하면 보호자 및 애완동물을 위한 별도의 가방을 구비하지 않은 채로 외출, 이동이 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은 보호자와 밀착되고 부채꼴 형상 수용부(200)의 안착공간(500)에서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고, 보호자 입장에서는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1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일측 수용부(200)가 몸에 밀착되면서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일측의 수용부(200)와 타측의 수용부(200)를 부채꼴 형상의 입체 패턴으로 형성하되 양 측의 패턴을 상호 다르게 제작하고 일측과 타측이 포개어지도록 접은 상태로 슬링백을 형성하는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한 것으로서, 일측 수용부(200)는 보호자의 몸에 더욱 가깝게 밀착되도록 하는 부채꼴 형상의 입체 패턴을 형성하고, 타측 수용부(200)는 애완동물이 슬링백에 앉아 외부를 보기 편하도록 제작된 부채꼴 형상의 입체 패턴을 형성하는 것에 기인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
100 : 어깨부
110 : 내장주머니
111 : 어깨패드
120 : 외장주머니
130 : 디링고리
131 : 배변봉투백
200 : 수용부
210 : 삽입부
220 : 안착부
230 : 꼭지점
240 : 안전고리
250 : 바닥주머니
251 : 바닥패드
300 : 접힘부
400 : 개구부
500 : 안착공간

Claims (5)

  1. 일체형의 원단이 두 겹으로 포개져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슬링으로서,
    상하로 일자형인 어깨부;
    어깨부 하단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지며, 부채꼴 반지름에 해당되는 복수의 삽입부와 부채꼴 호에 해당되는 안착부로 구성되는 수용부; 및
    어깨부의 상단 중앙에서 수용부의 하단 중앙까지 직선으로 이어지며 슬링백을 횡방향 일측과 타측으로 구분하여 슬링백을 횡방향 절반으로 접으면서 포개지도록 하는 접힘부;를 포함하되,
    어깨부에서 수용부로 이어지는 양 측면은 개구부로 형성되고,
    타측 삽입부는 일측 삽입부 대비 길고, 타측 삽입부 및 안착부가 만나는 타측 꼭지점은 일측 삽입부 및 안착부가 만나는 일측 꼭지점 대비 낮은 위치로 형성되어 일측 수용부와 타측 수용부는 비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일측 어깨부 및 수용부가 접힘부를 중심으로 접혀지며 타측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면, 일측과 타측의 수용부 외곽선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고 일측 수용부가 형성하는 외곽선은 타측 수용부가 형성하는 외곽선 내에 수용되는 형상이 되며, 타측 수용부는 슬링의 외측면을 구성하고 일측 수용부는 슬링의 내측면을 구성하면서,
    타측 수용부와 일측 수용부는 상기 비대칭 구조로 인해 완전히 포개지지 않고 상호 간에 일정한 공간으로써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에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
  2. 제1항에 있어서,
    어깨부의 내측에는 내장주머니가 구비되어 소정 두께의 어깨패드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
  3. 제1항에 있어서,
    수용부 내측 소정 위치에 안전고리가 구비되어 하네스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
  4. 제1항에 있어서,
    타측 어깨부의 외측에는 덮개형 외장주머니가 구비되고, 외장주머니의 하단에는 디링고리가 구비되어 배변봉투백이 고리 연결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
  5. 제1항에 있어서,
    타측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소정 크기의 바닥주머니가 구비되어 바닥패드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
KR1020200106680A 2020-08-25 2020-08-25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 KR102522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680A KR102522712B1 (ko) 2020-08-25 2020-08-25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680A KR102522712B1 (ko) 2020-08-25 2020-08-25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075A KR20220026075A (ko) 2022-03-04
KR102522712B1 true KR102522712B1 (ko) 2023-04-20

Family

ID=8081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680A KR102522712B1 (ko) 2020-08-25 2020-08-25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71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7100B2 (ja) 1995-06-12 2001-01-2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網
JP3167337B2 (ja) 1996-08-26 2001-05-21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変性ポリアミンポリマーの予備混合を含む洗剤組成物を製造する為の噴霧乾燥法
KR200298516Y1 (ko) * 2002-09-19 2002-12-16 조순자 애완 동물용 슬링
KR200332039Y1 (ko) * 2003-08-12 2003-11-01 조순자 애완용동물 슬링
JP3137915U (ja) 2007-10-01 2007-12-13 株式会社すとろーはうす 小動物用スリング
JP2007330776A (ja) * 2006-05-18 2007-12-27 Haruko Watari スリング(子守帯)
US20080149673A1 (en) 2006-12-21 2008-06-26 Owen Slater Carrying Device
JP2012034681A (ja) 2010-08-09 2012-02-23 Akie Uchida ペット用の運搬器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337U (ja) * 2011-02-04 2011-04-14 株式会社皇喜 ペット用スリング
KR101510536B1 (ko) 2013-10-07 2015-04-08 김보민 애완동물 운반용 슬링백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7100B2 (ja) 1995-06-12 2001-01-2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網
JP3167337B2 (ja) 1996-08-26 2001-05-21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変性ポリアミンポリマーの予備混合を含む洗剤組成物を製造する為の噴霧乾燥法
KR200298516Y1 (ko) * 2002-09-19 2002-12-16 조순자 애완 동물용 슬링
KR200332039Y1 (ko) * 2003-08-12 2003-11-01 조순자 애완용동물 슬링
JP2007330776A (ja) * 2006-05-18 2007-12-27 Haruko Watari スリング(子守帯)
US20080149673A1 (en) 2006-12-21 2008-06-26 Owen Slater Carrying Device
JP3137915U (ja) 2007-10-01 2007-12-13 株式会社すとろーはうす 小動物用スリング
JP2012034681A (ja) 2010-08-09 2012-02-23 Akie Uchida ペット用の運搬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075A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80543B (zh) 包裹型婴儿背带
CN108471822B (zh) 用于直立睡眠的服装物品
CN110267570A (zh) 幼儿载具系统和方法
US9565951B2 (en) Small child and baby carrier and extension element for the use as a part of a small child and baby carrier
US6036260A (en) Cover for a person in a seat
KR200469068Y1 (ko) 힙시트가 구비된 아기띠
CN109561739B (zh) 用于安全带系统的服装
EP3113647B1 (en) Storage bag convertible into a travel seat
CN105531158A (zh) 具有六个约束点的改进的辅助约束系统
US9480344B1 (en) Bimodal child carrier
JP4809391B2 (ja) 抱っこ用上着
KR102522712B1 (ko)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
KR200482010Y1 (ko) 멀티 백 겸용 아기띠
US20150115003A1 (en) Small child and baby carrier
JP3198213U (ja) ベビーキャリア
US10918138B2 (en) Wearable baby blanket with insulated interchangeable upper and lower pockets for a customized fit and utility that easily converts into a traditional blanket
US20220087451A1 (en) Car Seat and Stroller Blanket
KR102119998B1 (ko) 아기띠장치
AU2015257322B2 (en) A safety device for use with a safety harness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JP2003164313A (ja) 肩掛け鞄
JP6344826B2 (ja) 緊急(避難)持ち出し袋付き枕カバー
JP3193117U (ja) 幼児用保護服
KR200222642Y1 (ko) 베이비 캐리어
JP3030153U (ja) 非常用防災ずき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