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642Y1 - 베이비 캐리어 - Google Patents

베이비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642Y1
KR200222642Y1 KR2020000031424U KR20000031424U KR200222642Y1 KR 200222642 Y1 KR200222642 Y1 KR 200222642Y1 KR 2020000031424 U KR2020000031424 U KR 2020000031424U KR 20000031424 U KR20000031424 U KR 20000031424U KR 200222642 Y1 KR200222642 Y1 KR 200222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by carrier
seat
bab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국현
Original Assignee
남국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국현 filed Critical 남국현
Priority to KR2020000031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6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642Y1/ko

Link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베이비 캐리어는, 제1프레임(30)과, 상기 제1프레임(30)의 소정높이에 고정된 조인트(40)를 매개로 회동 자유롭게 힌지되어 베이비 캐리어의 비사용시 제1프레임(30)의 굴곡형상과 대응되는 소정각도로 접혀지는 제2 및 제3프레임(50)(60)과, 상기 제1프레임(30)의 상부와 제2프레임(50)에 결합되어 좌석부(72a), 등받이부(72b) 및 좌우 한쌍의 어깨벨트(74)를 형성하는 시트(70)와, 상기 제1프레임(30)의 하부 양끝단에 결합되어 사용시 보모의 허리에 밀착되는 허리받침대(80)와, 상기 좌석부(72a)와 등받이부(72b)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안전벨트(100)와, 상기 시트(70)의 등받이부(72b) 상단 양측에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햇빛가리개(120)를 구성함으로, 베이비 캐리어의 비사용시 후방 상하에 힌지된 제2 및 제3프레임(50)(60)이 소정각도로 각각 회동되어 전방에 위치한 제1프레임(30)의 굴곡형상과 대응되게 밀착됨에 따라 베이비 캐리어의 전체에 대한 부피를 최소화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베이비 캐리어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안전벨트(100)의 착용에 따라 보모나 아기의 부주위로 인하여 아기가 베이비 캐리어로부터 낙상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베이비 캐리어{BABY CARRIER}
본 고안은 아기를 넣어 운반하기 위한 베이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시 펼쳐서 보모(Baby Nursing Person)가 메고 다닐 수 있게 하고, 비사용시 접어서 부피를 줄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 베이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는 본 출원인에 의해 의장출원 제92-11926호로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번호 제141760호의 아기 운반대가 제안되었다. 동 공보의 아기 운반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의 측면에서 볼때 상부가 수평부(10a)를 이룸과 동시에 이 수평부(10a)의 후방 끝단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일체로 절곡되어 경사부(10b)를 이루는 중공 봉형상의 제1프레임(10)과, 상기 제1프레임(10)의 경사부(10b)의 중간부분에 고정구(12)를 매개로 소정각도로 회동가능케 힌지되어 사용시 펼쳐지고 비사용시 접히는 제2프레임(14)과, 상기 제1프레임(10)의 수평부(10a)에 설치되어 아기가 앉을 수 있게 좌석부(16a)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양단이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보모의 양 어깨에 각각 대향되도록 좌우 한쌍의 어깨벨트(16b)를 형성하는 시트(16)와, 상기 제1프레임(10)의 경사부(10b)측 하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버클(18)을 매개로 상기 한쌍의 어깨벨트(16b)와 대향되게 결합 또는 분리되는 좌우 한쌍의 연결벨트(20)와, 상기 제1프레임(10)의 경사부(10b)측 하단 양측에 고정되어 보모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벨트(22)와, 상기 제1프레임(10)의 경사부(10b)와 제2프레임(14)에 상단 및 하단 양측이 각각 착탈가능케 연결되는 아기용품 가방(2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베이비 캐리어는 제2프레임(14)의 상단이 고정구(12)를 매개로 소정각도로 회동가능토록 제1프레임(10)의 경사부(10b) 중간부분에 대하여 후방측에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베이비 캐리어를 비사용시 제2프레임(14)이 도 1에 표시한 화살표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제1프레임(10)의 경사부(10b)에 근접되게 포개어질 때 제1프레임(10)의 수평부(10a)와 경사부(10b)가 접하는 경계부분이 항상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비 캐리어의 부피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운반시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는 시트(16)의 좌석부(16a)에 안전벨트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모나 아기의 부주위로 인하여 아기가 베이비 캐리어로부터 낙상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종래는 제1프레임(10)으로부터 시트(16)를 분리하여 세탁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시트(16)에 햇빛가리개가 구비되지 않아 과다한 햇빛 노출로 인하여 아기가 열사병을 일으킨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베이비 캐리어의 비사용시 후방 상하에 힌지된 프레임들이 소정각도로 각각 회동되어 전방에 위치한 프레임에 밀착되게 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킴은 물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하고, 시트에 안전벨트와 햇빛가리개를 구비하여 안전사고는 물론 햇빛을 차단할 수 있으며, 시트를 프레임으로부터 착탈가능케 하여 물세탁이 가능토록 한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베이비 캐리어는 베이비 캐리어에 있어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소정높이에 고정된 조인트를 매개로 회동 자유롭게 힌지되어 베이비 캐리어의 비사용시 제1프레임의 굴곡형상과 대응되는 소정각도로 접혀지는 제2 및 제3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와 제2프레임에 결합되어 좌석부, 등받이부 및 좌우 한쌍의 어깨벨트를 형성하는 시트와, 상기 제1프레임의 하부 양끝단에 결합되어 사용시 보모의 허리에 밀착되는 허리받침대와, 상기 좌석부와 등받이부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안전벨트와, 상기 시트의 등받이부 상단 양측에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햇빛가리개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베이비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의한 베이비 캐리어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베이비 캐리어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베이비 캐리어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베이비 캐리어의 프레임 어세이가 펼쳐진 상태와 접혀진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결합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의한 조인트에 의해 프레임 어세이가 펼쳐진 상태와 접혀진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결합 측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벨트 버클용 보호대의 사용전 상태와 사용후 상태를 각각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에 의한 햇빛가리개가 펼쳐진 상태와 접혀진 상태를 각각 도시한 요부 결합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제1프레임 40 : 조인트
40a : 요홈 40b,40c : 상부 및 하부 삽입홈
40d : 경계면 40e,40f : 걸림돌기
42 : 리벳 50,60 : 제2 및 제3프레임
52,62 : 엔드볼트 52a,62a : 걸림홈
70 : 시트 72a : 좌석부
72b : 등받이부 72d : 손잡이부
72e : 가방 72f : 포켓
74 : 어깨벨트 76 : 지퍼
80 : 허리받침대 100 : 안전벨트
102a,102b : 좌우 한쌍의 제1벨트 104 : 수컷형 버클
104a,104b : 제1 및 제2연결고리 106 : 제2벨트
108 : 암컷형 버클 110 : 안전커버
120 : 햇빛가리개
122a,122b,122c,122d : 제1 내지 제3포울
124a,124b : 리벳 126 : 조인트
126a,126b : 제1 및 제2이동홈 126c : 멈춤돌기
128 : 차광포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베이비 캐리어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에 위치되는 제1프레임(30)과, 상기 제1프레임(30)의 소정높이에 조인트(40)를 매개로 회동가능케 힌지되어 베이비 캐리어의 비사용시 제1프레임(30)의 굴곡형상과 대응되는 소정각도로 접혀지는 제2 및 제3프레임(50)(60)과, 상기 제1프레임(30)의 상부와 제2프레임(50)에 의해 지지되어 아기가 앉을 수 있도록 좌석부(72a)와 등받이부(72b)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전방측 양단이 일정길이로 연장 돌출되어 보모의 양 어깨에 각각 착용되도록 좌우 한쌍의 어깨벨트(74)를 형성하는 시트(70)와, 상기 제1프레임(30)의 하부 양끝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사용시 보모의 허리에 밀착되는 허리받침대(80)와, 상기 좌우 한쌍의 어깨벨트(74)의 끝단에 각각 일체로 연결됨과 동시에 그 끝단이 상기 허리받침대(80)의 양단에 각각 버클(92)을 매개로 길이 조절가능케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연결벨트(90)와, 상기 좌석부(72a)와 등받이부(72b)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안전벨트(100)와, 상기 시트(70)의 등받이부(72b) 상단 양측에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햇빛가리개(12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프레임(3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소정높이에 후방으로 원호를 그리면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40)의 일측단과 예를 들어 복수의 리벳(42)에 의해 고정되는 굴곡부(32)와, 상기 굴곡부(32)의 하단에 수직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허리받침대(80)가 예를 들어 하부 끝단을 통해 압입 고정되게 하는 수직부(3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조인트(4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측단에 상기 제1프레임(30)의 굴곡부(32) 소정위치가 예를 들어 적어도 2개이상의 리벳(42)에 의해 유동되지 않게 고정되도록 디긋자형상의 요홈(40a)이 형성되고, 그 타측단 상하부에는 상기 제2프레임(50)의 하단과 제3프레임(60)의 상단이 예를 들어 1개의 리벳(42)에 의해 각각 소정각도로 회동자유롭게 힌지되도록 상부 및 하부 삽입홈(40b)(40c)이 각각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삽입홈(40b)과 하부 삽입홈(40c) 사이에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수평으로 경계면(40d)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면(40d)의 상부 및 하부에 대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삽입홈(40b)(40c)으로 각각 위치되는 안쪽 단부에는 상기 제2프레임(50)의 하단과 제3프레임(60)의 상단에 각각 고정된 엔드볼트(52)(62)의 걸림홈(52a)(62a)이 대응되게 걸려서 제2 및 제3프레임(50)(60)가 펼쳐질때 흔들림이 없이 정지되도록 걸림돌기(40e)가 각각 일체로 돌설되며, 상기 경계면(40d)의 상부 및 하부에 대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삽입홈(40b)(40c)으로 각각 위치되는 중간에는 상기 제2프레임(50)의 하단과 제3프레임(60)의 상단에 각각 고정된 엔드볼트(52)(62)의 걸림홈(52a)(62a)이 대응되게 걸려서 제2 및 제3프레임(50)(60)가 접혀질때 흔들림이 없이 정지되도록 걸림돌기(40f)가 각각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시트(70)는 아기의 다리만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전방 양측에 다리돌출부(부호 미도시)가 형성된 좌석부(72a)와, 아기의 등 및 머리를 받쳐주도록 내부에 쿠션재(미도시)가 내장된 등받이부(72b)와, 상기 좌석부(72a)와 등받이부(72b)의 양측단을 연결하도록 일부가 신축성이 용이한 탄성섬유로 이루어진 좌우 한쌍의 측판부(72c)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좌석부(72a)는 상기 제1프레임(30)의 굴곡부(32)의 상단 외주와 등받이부(72b)의 하단에 예를 들어 재봉질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부(72b)는 상기 제2프레임(50)의 외주에 예를 들어 재봉질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측판부(72c)의 양단은 상기 좌석부(72a)와 등받이부(72b)의 양측에 예를 들어 재봉질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제1프레임(30)의 상단측 시트(70) 부분에는 시트(70)의 전체를 제1 및 제2프레임(40)(50)으로부터 분리시켜 세탁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퍼(7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지퍼(76)는 제1프레임(30)의 상단을 감싸는 시트(70)의 일측을 분리시킬때 제1프레임(30)에 의해 지지된 좌석부(72a)와 측판부(72c)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등받이부(72b)가 상기 제2프레임(50)의 상부로 벗겨지도록 하여 시트(70)의 전체가 분리되게 한다.
상기 등받이부(72b)는 그 상단 중앙에 베이비 캐리어의 전체를 들고 다닐 수 있도록 손잡이부(72d)가 연결되고, 그 외측면 하부에는 아기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몸체와 덮개가 지퍼(부호도시안됨)에 의해 개구가 개폐되는 가방(72e)이 예를 들어 재봉질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그 중간높이 양측면에는 상기 햇빛가리개(120)가 착탈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포켓(72f)이 예를 들어 재봉질에 의해 일체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안전벨트(100)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측단이 상기 시트(70)의 등받이부(72b) 중앙에 대하여 소정높이에 예를 들어 재봉질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아기의 머리가 삽입되면서 아기의 양 어깨쪽을 잡아주는 좌우 한쌍의 제1벨트(102a)(102b)와, 상기 좌우 한쌍의 제1벨트(102a)(102b)에 연결된 수컷형 버클(104)과, 일측단이 상기 시트(70)의 좌석부(72a)의 앞쪽 중앙에 예를 들어 재봉질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아기의 가랑이를 통해 아기의 배쪽을 잡아주는 제2벨트(106)와, 상기 제2벨트(106)에 연결된 암컷형 버클(108)과, 상기 제2벨트(106)에 상하 슬라이딩가능케 결합되어 상기 수컷형 버클(104)과 암컷형 버클(108)과의 결합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커버함과 동시에 수컷 및 암컷형 버클(104)(108)과 아기와의 신체 접촉에 의한 압박감을 최소화시키도록 상하부가 개구된 안전커버(11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컷형 버클(104)의 상단 좌우측에는 상기 좌우 한쌍의 제1벨트(102a)(102b)의 하단이 소정각도를 유지하면서 소정간격으로 떨어져 각각 연결되도록 제1 및 제2연결고리(104a)(104b)가 105-110°의 각도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연결고리(104a)(104b)은 좌우 마주하는 안쪽단보다 바깥단이 하향되게 경사져 있다.
상기 안전커버(110)의 일측면과 상기 시트(70)의 좌석부(72a) 앞쪽 상단에는 서로 대응되게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도시되지 않은 암수 한쌍의 벨크로 테입(Velcro Tape)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햇빛가리개(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70)의 등받이부(72b) 양측에 각각 설치된 포켓(72f)에 하단 양측이 착탈가능케 각각 삽입되도록 상부로 볼록하게 만곡된 제1포울(122a; Pole)과, 상기 제1포울(122a)의 양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뒷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제2포울(122b)과, 상기 제1포울(122a)의 하단 양측 소정높이에 예를 들어 리벳(124a)에 의해 고정된 2개의 조인트(126)와, 상기 2개의 조인트(126)의 일측단에 또 다른 리벳(124b)에 의해 하단 양측이 소정각도로 회동자유롭게 힌지되도록 상부로 볼록하게 만곡된 제3포울(122c)과, 상기 제3포울(122c)의 양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앞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제4포울(122d)과, 상기 제1 내지 제4포울(122a)(122b)(122c) (122d)을 연결하면서 펼쳐질때 상기 시트(70)의 상부를 커버하는 차광포(128)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조인트(126)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둘레에 상기 제1포울(122a)의 양단이 각각 관통되어 상기 리벳(124a)에 의해 고정되게 하면서 상기 제3포울(122c)이 접혔을때 제1포울(122a)에 밀착되도록 제1이동홈(126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이동홈(126a)의 일측에는 제3포울(122c)이 펼쳤질때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되도록 제1이동홈(126a)과 통로가 연결되는 제2이동홈(126b)이 형성되며, 상기 제1이동홈(126a)과 제2이동홈(126b) 사이에는 제3포울(122c)이 접히거나 또는 펼쳐질때 정확한 위치에 정지되게 하면서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멈춤돌기(126c)가 돌설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베이비 캐리어를 이용하여 아기를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베이비 캐리어를 도 3과 같이 펼쳐준다. 이때 제1프레임(30), 제2프레임(50), 제3프레임(60)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40)를 중심으로 다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제1프레임(30)과 제2프레임(50)에 의해 결합된 시트(70)를 펼쳐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아기를 앉히게 되면 아기의 양쪽 발이 시트(70)의 좌석부(72a)의 앞쪽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발삽입구(부호도시안됨)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아기의 엉덩이부분이 좌석부(72a)에 착지됨과 동시에 아기의 등과 머리부분이 등받이부(72b)에 밀착되는 자세로 앉게 된다.
그리고, 아기가 좌석부(72a)에 앉은 상태에서 안전벨트(100)를 착용시킬 경우, 등받이부(72b)에 고정된 좌우 한쌍의 제1벨트(102a)(102b)를 아기의 머리를 통해 끼워서 아기의 가슴쪽으로 위치시킴과 동시에 좌석부(72a)에 고정된 제2벨트(106)를 아기의 몸 앞쪽으로 위치시킨다.
이때, 좌우 한쌍의 제1벨트(102a)(102b)는 그 하단이 수컷형 버클(104)의 상단에 연결될때 수컷형 버클(104)의 상단 좌우측에 105-110°의 각도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연결고리(104a)(104b)에 각각 연결되기 때문에 좌우 한쌍의 제1벨트(102a)(102b)를 사용시 서로 엉키지 않고 넓은 개구를 형성함에 따라 아기의 어깨부분에 용이하게 착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1벨트(102)와 제2벨트(106)에 각각 연결된 수컷형 버클(104)과 암컷형 버클(108)을 도 7a와 같이 서로 결합시키면 아기는 어깨부분을 통해 배 또는 가슴쪽으로 위치하는 제1벨트(102a)(102b)와 가랑이를 통해 배 또는 가슴쪽으로 위치하는 제2벨트(106)에 의해 몸이 고정되고, 이로 인해 보모가 베이비 캐리어를 메고 다닐때 베이비 캐리어로부터 아기가 낙상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안전커버(110)의 앞쪽면에 부착된 암컷용 벨크로 테입(미도시)을 좌석부(72a)의 정면 상단에 부착된 수컷형 벨크로 테입(미도시)에 결합시키면 안전벨트(100)의 수컷형 버클(104)과 암컷형 버클(108)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커버(11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커버됨과 동시에 아기의 배 또는 가슴부분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아기의 몸에 압박감을 주지 않게 된다.
한편, 햇빛가리개(12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도 3에 도시한 상태에서 햇빛가리개(120)의 제1포울(122a)의 양측 하단을 시트(70)의 등받이부(72b) 양측에 각각 설치된 포켓(72f)의 상부 개구를 통해 삽입시키면 햇빛가리개(120)가 도 4와 같이 조립되면서 등받이부(72b)의 상부를 가리개된다.
이때, 햇빛가리개(120)는 제1포울(122a)을 중심으로 제3포울(122c)을 앞쪽으로 잡아당기면, 제1포울(122a)의 하단 양측과 제3포울(122c)의 하단 양측을 연결하는 2개의 조인트(126)를 중심으로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포울(122c)이 리벳(124b)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조인트(126)내에 돌설된 멈춤돌기(126c)를 지나 제2이동홈(126b)쪽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자동으로 정지되면서 제1 내지 제4포울(122a)(122b)(122c)(122d)을 하나의 어셈블리로 연결하는 차광포(128)를 펼쳐주게 되고, 이로 인해 차광포(128)는 등받이부(72b)의 상부를 커버하게 된다.
여기서, 제3포울(122c)은 조인트(126)내의 제1이동홈(126a)에서 제2포울(122b)쪽으로 이동될때 제1이동홈(126a)과 제2이동홈(126b) 사이에 돌설된 멈춤돌기(126c)에 의해 유동됨이 없이 제2이동홈(126b)에 위치 고정되면서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유지됨으로써 시트(70)의 좌석부(72a)에 앉아있는 아기의 머리 위로 햇빛이 빛추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인로 인해 좌석부(72a)에 햇빛이 스며들지 않는 쾌적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다한 햇빛노출에 의해 아기가 열사병을 일으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햇빛가리개(120)를 접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제3포울(122c)을 뒷면으로 제치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포울(122c)의 하단 양측이 리벳(124b)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조인트(126)내의 제2이동홈(126b)쪽에서 멈춤돌기(126c)를 지나 제1이동홈(126a)쪽으로 이동되면서 제1포울(122a)과 나란히 위치하게 되고, 제1포울(122a)과 제3포울(122c) 사이에 연결된 차광포(128)는 접히면서 햇빛가리개(120)의 전체 부피를 줄여주게 된다.
한편, 베이비 캐리어를 보관 및 운반시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프레임(30)을 향해 제2프레임(50)과 제3프레임(60)을 접어준다. 즉, 제2프레임(50)을 제1프레임(30)을 향해 밀게되면 제2프레임(50)은 그 하단과 힌지된 조인트(4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로 회동되면서 제1프레임(30)의 굴곡부(32) 상단과 대응되는 각도로 제2프레임(50)이 접히게 되고, 제3프레임(60)은 그 상단과 힌지된 상기 조인트(4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로 회동되면서 제1프레임(30)의 굴곡부(32) 하단 및 수직부(34)와 대응되는 각도로 제3프레임(60)이 접히게 됨으로써 베이비 캐리어의 측면에 대한 폭이 현저히 감소되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도 6a의 상태에서 제1프레임(30)을 향해 제2프레임(50)과 제3프레임(60)을 각각 접으면 제2프레임(50)과 제3프레임(60)은 각각 리벳(42)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려는 힘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제2프레임(50)과 제3프레임(60)의 끝단에 각각 고정된 엔드볼트(52)(62)의 걸림홈(52a)(62a)은 도 6b와 같이 조인트(40) 내의 경계면(40d)을 중심으로 상하 안쪽에 각각 돌설된 걸림돌기(40e)와 걸림력이 해제되면서 소정각도로 회전함과 동시에 경계면(40d)의 중간 상하면에 각각 돌설된 또 다른 걸림돌기(40f)에 각각 걸림으로써 소정각도로 회전된 상태(접힌상태)가 고정되고, 이에 따라 제2프레임(50)과 제3프레임(60)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프레임(30)에 최대한 근접되게 각각 밀착됨과 동시에 밀착상태가 벌어지지 않게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등받이부(72b)의 상단에 설치된 손잡이부(72d)를 이용하여 베이비 캐리어를 용이하게 들고 다닐 수 있으며, 베이비 캐리어를 소정의 장소에 보관시 보관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베이비 캐리어를 장기간 보관하거나 시트(70)를 세탁시 제1프레임(30)의 상단측 시트(70) 부분에 부착된 지퍼(76)를 이용하여 제1프레임(30)과 제2프레임(50)으로부터 시트(70)를 분리시킨다. 즉, 지퍼(76)를 열면 제1프레임(30)의 상단에 고정된 좌석부(72a)와 측판부(72c)가 접하는 부분이 먼저 분리되고, 이어서 등받이부(72b)를 상부로 잡아 당기면 제2프레임(50)의 외주에 끼워진 등받이부(72b)가 벗겨지면서 결국에는 시트(70)의 전체가 분리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베이비 캐리어는, 제1프레임의 중간높이에 조인트를 매개로 소정각도로 각각 회동되는 제2프레임과 제3프레임이 힌지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매개로 좌석부와 등받이부를 가진 시트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비 캐리어의 비사용시 후방 상하에 힌지된 제2 및 제3프레임이 소정각도로 각각 회동되어 전방에 위치한 제1프레임의 굴곡형상과 대응되게 밀착됨에 따라 베이비 캐리어의 전체에 대한 부피를 최소화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베이비 캐리어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 시트가 프레임으로부터 착탈되게 하면서 안전벨트와 햇빛가리개를 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를 물세탁할 수 있고, 안전밸트를 착용시 보모나 아기의 부주위로 인하여 아기가 베이비 캐리어로부터 낙상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햇빛가리개를 설치시 햇빛을 차단하여 아기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쾌적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0)

  1. 베이비 캐리어에 있어서,
    제1프레임(30)과,
    상기 제1프레임(30)의 소정높이에 고정된 조인트(40)를 매개로 회동 자유롭게 힌지되어 베이비 캐리어의 비사용시 제1프레임(30)의 굴곡형상과 대응되는 소정각도로 접혀지는 제2 및 제3프레임(50)(60)과,
    상기 제1프레임(30)의 상부와 제2프레임(50)에 결합되어 좌석부(72a), 등받이부(72b) 및 좌우 한쌍의 어깨벨트(74)를 형성하는 시트(70)와,
    상기 제1프레임(30)의 하부 양끝단에 결합되어 사용시 보모의 허리에 밀착되는 허리받침대(80)와,
    상기 좌석부(72a)와 등받이부(72b)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안전벨트(100)와,
    상기 시트(70)의 등받이부(72b) 상단 양측에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햇빛가리개(12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40)는,
    그 일측단에 상기 제1프레임(30)의 굴곡부(32) 소정위치가 적어도 2개이상의 리벳(42)에 의해 유동되지 않게 고정되도록 형성된 요홈(40a)과,
    그 타측단 상하부에 상기 제2프레임(50)의 하단과 제3프레임(60)의 상단이 1개의 리벳(42)에 의해 각각 소정각도로 회동자유롭게 힌지되도록 대칭되게 각각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삽입홈(40b)(40c)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삽입홈(40b)과 하부 삽입홈(40c)은,
    그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 삽입홈(40b)과 하부 삽입홈(40c)의 공간을 구획하는 경계면(40d)과,
    상기 경계면(40d)의 상부 및 하부에 대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삽입홈(40b)(40c)으로 각각 위치되는 안쪽 단부에 일체로 각각 돌설되어 상기 제2프레임(50)의 하단과 제3프레임(60)의 상단에 각각 고정된 엔드볼트(52)(62)의 걸림홈(52a)(62a)이 대응되게 걸려서 제2 및 제3프레임(50)(60)가 펼쳐질때 흔들림이 없이 정지되게 하는 복수의 걸림돌기(40e)와,
    상기 경계면(40d)의 상부 및 하부에 대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삽입홈(40b)(40c)으로 각각 위치되는 중간에 일체로 각각 돌설되어 상기 제2프레임(50)의 하단과 제3프레임(60)의 상단에 각각 고정된 엔드볼트(52)(62)의 걸림홈(52a)(62a)이 대응되게 걸려서 제2 및 제3프레임(50)(60)가 접혀질때 흔들림이 없이 정지되게 하는 걸림돌기(40f)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30)의 상단측 시트(70) 부분에는 시트(70)의 전체를 제1 및 제2프레임(40)(50)으로부터 분리시켜 세탁할 수 있도록 지퍼(7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72b)는
    그 상단 중앙에 결합되어 베이비 캐리어의 전체를 들고 다닐 수 있게 하는 손잡이부(72d)와,
    그 외측면 하부에 부착되어 아기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72e)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100)는
    상기 등받이부(72b)의 일측에 고정되면서 일측에 수컷형 버클(104)이 설치된 좌우 한쌍의 제1벨트(102a)(102b)와,
    상기 좌석부(72a)의 일측에 고정되면서 일측에 암컷형 버클(108)이 설치된 제2벨트(106)와,
    상기 제2벨트(106)에 상하 슬라이딩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수컷형 버클(104)과 암컷형 버클(108)의 결합상태를 커버하도록 상하부가 개구된 안전커버(1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컷형 버클(104)의 상단 좌우측에는 상기 좌우 한쌍의 제1벨트(102a)(102b)의 하단이 소정각도를 유지하면서 소정간격으로 떨어져 각각 연결되도록 좌우 마주하는 안쪽단보다 바깥단이 하향되게 경사진 제1 및 제2연결고리(104a)(104b)가 소정각도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커버(110)의 일측면과 상기 좌석부(72a)의 앞쪽 상단에는 서로 대응되게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암수 한쌍의 벨크로 테입이 각각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햇빛가리개(120)는,
    상기 시트(70)의 등받이부(72b) 양측에 각각 설치된 포켓(72f)에 하단 양측이 착탈가능케 각각 삽입되도록 상부로 볼록하게 만곡된 제1포울(122a; Pole)과,
    상기 제1포울(122a)의 양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뒷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제2포울(122b)과,
    상기 제1포울(122a)의 하단 양측 소정높이에 예를 들어 리벳(124a)에 의해 고정된 2개의 조인트(126)와,
    상기 2개의 조인트(126)의 일측단에 또 다른 리벳(124b)에 의해 하단 양측이 소정각도로 회동자유롭게 힌지되도록 상부로 볼록하게 만곡된 제3포울(122c)과,
    상기 제3포울(122c)의 양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앞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제4포울(122d)과,
    상기 제1 내지 제4포울(122a)(122b)(122c) (122d)을 연결하면서 펼쳐질때 상기 시트(70)의 상부를 커버하는 차광포(12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조인트(126)는,
    그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제1포울(122a)의 양단이 각각 관통되어 상기 리벳(124a)에 의해 고정되게 하면서 상기 제3포울(122c)이 접혔을때 제1포울(122a)에 밀착되게 하는 제1이동홈(126a)과,
    상기 제1이동홈(126a)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3포울(122c)이 펼쳤질때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되도록 제1이동홈(126a)과 통로가 연결되는 제2이동홈(126b)과,
    상기 제1이동홈(126a)과 제2이동홈(126b) 사이에 돌설되어 상기 제3포울(122c)이 접히거나 또는 펼쳐질때 정확한 위치에 정지되게 하면서 흔들림이 방지되게 하는 멈춤돌기(126c)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KR2020000031424U 2000-11-10 2000-11-10 베이비 캐리어 KR200222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424U KR200222642Y1 (ko) 2000-11-10 2000-11-10 베이비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424U KR200222642Y1 (ko) 2000-11-10 2000-11-10 베이비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642Y1 true KR200222642Y1 (ko) 2001-05-15

Family

ID=7309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424U KR200222642Y1 (ko) 2000-11-10 2000-11-10 베이비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6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1090B2 (en) 2015-01-15 2019-10-15 Lillebaby, Llc Child carrier having adjustable seat coupl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1090B2 (en) 2015-01-15 2019-10-15 Lillebaby, Llc Child carrier having adjustable seat coup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3891B2 (ja) ベビーキャリア
US5819999A (en) Combination backpack and chair
AU634050B2 (en) Convertible child carrier
RU2728826C1 (ru) Детская переноска
US3099486A (en) Safety car seat
EP1907259B1 (en) Baby and toddler carrier
CN109527878A (zh) 带有3d空间的婴儿背带
US8690031B1 (en) Backpack system
US20070262103A1 (en) Cover-U umbrella/canopy backpack
JPS58175512A (ja) ソフトな袋タイプの乳児用キヤリヤ
KR200453681Y1 (ko) 휠체어용 안전 벨트
KR200222642Y1 (ko) 베이비 캐리어
JP4145982B2 (ja) 子守帯
EP0481453A1 (en) Seat construction for a stroller
JP6957023B2 (ja) 幌及び幌を備えた育児器具
KR101219152B1 (ko) 의자 겸용 배낭
ES2970533T3 (es) Porta bebés y silla plegable para niños para fijar a una silla, un cochecito de bebé o una maleta de ruedas
KR200252522Y1 (ko) 베이비 캐리어
AU2015257322B2 (en) A safety device for use with a safety harness
KR102522712B1 (ko) 애완동물용 입체 슬링백
KR200242137Y1 (ko) 유아용 캐리어
KR20210097783A (ko) 베이비 캐리어
KR200483520Y1 (ko) 아기띠
JP3136266B2 (ja) ベビーホルダー兼用ウエストバッグ
KR200251616Y1 (ko) 뒷 주머니를 구비한 성인용 바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