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998B1 - 아기띠장치 - Google Patents

아기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998B1
KR102119998B1 KR1020190005792A KR20190005792A KR102119998B1 KR 102119998 B1 KR102119998 B1 KR 102119998B1 KR 1020190005792 A KR1020190005792 A KR 1020190005792A KR 20190005792 A KR20190005792 A KR 20190005792A KR 102119998 B1 KR102119998 B1 KR 102119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buckle
connection sheet
us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효정
Original Assignee
백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효정 filed Critical 백효정
Priority to KR1020190005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uckles (AREA)

Abstract

아기띠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아기띠장치는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천재질로 이루어지며, 서로 "X"자 형태로 크로스되도록 배치되는 제1천부재와 제2천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천부재와 상기 제2천부재가 이루는 양측의 공간에 사용자의 양 어깨가 삽입되어져 상기 제1천부재와 상기 제2천부재 각각의 상부가 사용자의 양 어깨에 메어져 착용되어지고, 상기 제1천부재와 상기 제2천부재가 이루는 양측의 공간에 아기의 양 다리가 삽입되어져 아기의 하체를 지지하고 아기의 상체를 감싸보호하는 아기띠본체; 천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내측단에는 상기 제1천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며, 하부 내측단에는 상기 제2천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연결시트; 상기 제1연결시트보다 폭이 작은 천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내측단에는 상기 제2천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며, 하부 내측단에는 상기 제1천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연결시트; 상기 아기띠본체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천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결시트와 상기 제2연결시트를 연결하도록, 일단은 상기 제1연결시트의 중간부 내측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연결시트의 중간부 내측단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아기띠본체의 외측을 덮어 상기 아기띠본체와 더불어 아기를 이중으로 감싸게 하는 보조덮개부;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따라 상기 제1연결시트와 상기 제2연결시트의 겹쳐지는 정도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연결시트와 상기 제2연결시트를 연결시켜 상기 아기띠본체가 사용자에 착용되게 하는 연결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기띠장치{THE BAND APPARATUS FOR CARRYING BABY}
본 고안은 사용자의 가슴에 아기를 안거나 등에 업고 보행하기 위한 아기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착용이 쉽고 착용감이 좋으며, 아기를 보다 편안하고 안전하게 안거나 업어줄 수 있는 아기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띠는 백일 전후해서 아직 걸음마를 하지 못하는 유아들의 외출시에, 편리함과 안전을 위하여 유아들을 사용자의 가슴에 안거나 등에 업고 보행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아기띠에 대해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0-000500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4004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아기띠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제조가 높아져 제품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종래의 아기띠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관하는 것이 매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할 뿐 아니라, 보관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아기띠에 대해 출원하여 등록받았다(등록실용신안 20-0467528호).
다만,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등록실용신안 20-0467528호에 개시된 아기띠는 아기띠본체와 보조아기띠가 각각 환형 고리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의 신체사이즈별로 길이를 조절할 수 없어,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신체사이즈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는 아쉬움이 있었으며, 또한, 아기띠본체와 보조아기띠본체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구조로서, 보관상 분실의 위험을 가지고 있으며, 아기띠본체와 보조아기띠본체로만 아기를 지지하여 아기를 편안하게 안거나 업을 수 없고 아기 또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아쉬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기존 개발된 등록실용신안 20-0467528호의 아기띠에 만족하지 않고 제조 및 사용자 사용측면에서 보다 개선된 아기띠에 대한 연구개발을 계속하였으며, 이에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으로 본 발명을 도출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6752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아기를 안정적으로 안거나 업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착용감도 좋고 다양한 신체사이즈의 사용자에 맞게 크기조정하여 착용할 수 있는 아기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회전형 버클이 적용되어 사용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아기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아기띠장치는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천재질로 이루어지며, 서로 "X"자 형태로 크로스되도록 배치되는 제1천부재와 제2천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천부재와 상기 제2천부재가 이루는 양측의 공간에 사용자의 양 어깨가 삽입되어져 상기 제1천부재와 상기 제2천부재 각각의 상부가 사용자의 양 어깨에 메어져 착용되어지고, 상기 제1천부재와 상기 제2천부재가 이루는 양측의 공간에 아기의 양 다리가 삽입되어져 아기의 하체를 지지하고 아기의 상체를 감싸보호하는 아기띠본체; 천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내측단에는 상기 제1천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며, 하부 내측단에는 상기 제2천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연결시트; 상기 제1연결시트보다 폭이 작은 천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내측단에는 상기 제2천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며, 하부 내측단에는 상기 제1천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연결시트; 상기 아기띠본체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천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결시트와 상기 제2연결시트를 연결하도록, 일단은 상기 제1연결시트의 중간부 내측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연결시트의 중간부 내측단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아기띠본체의 외측을 덮어 상기 아기띠본체와 더불어 아기를 이중으로 감싸게 하는 보조덮개부;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따라 상기 제1연결시트와 상기 제2연결시트의 겹쳐지는 정도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연결시트와 상기 제2연결시트를 연결시켜 상기 아기띠본체가 사용자에 착용되게 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연결시트와 상기 제2연결시트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2연결시트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스트랩; 상기 제1스트랩과 연결되어 상기 제1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게 하는 길이조절부가 형성된 제1버클부; 상기 제1연결시트로부터 연장되는 제2스트랩; 상기 제2스트랩의 말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버클부와 체결되는 제2버클부;를 포함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스트랩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버클부와 상기 제2버클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버클부에 걸어, 상기 제1버클부와 상기 제2버클부의 체결이 해제되더라도 상기 제1버클부가 상기 제2버클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해주는 안전걸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버클부는 중앙에 볼삽입홈이 형성된 제1버클본체; 상기 제1버클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볼삽입홈으로 돌출되는 제1위치와 상기 볼삽입홈에 침범하지 않도록 상기 제1버클본체 내부에 인입되는 제2위치로 전후진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셔터; 상기 제1버클본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셔터를 외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고정셔터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조작노브; 상기 한 쌍의 고정셔터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작노브에 가한 외력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고정셔터가 상기 제1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버클부는 제2버클본체; 상기 제2버클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하단 외주면에 고정홈이 형성된 체결볼;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볼이 상기 볼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셔터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버클부와 상기 제2버클부의 체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버클부와 상기 제2버클부는 체결된 상태에서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천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연결시트의 상단과 상부 내측단에 ""ㄱ"형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2천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연결시트의 상단과 상부 내측단에 "ㄱ"형태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천부재 및 상기 제2천부재의 상부가 사용자의 어깨 양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착용되어지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주머니가 형성되도록 상기 보조덮개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보관시, 상기 아기띠본체, 상기 제1연결시트, 상기 제2연결시트, 상기 보조덮개부 및 상기 연결유닛이 상기 주머니에 수납되게 하는 주머니천;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아기띠장치는 "X"자 형태를 이루는 제1천부재와 제2천부재로 구성된 아기띠본체에 팔을 집어넣어 손쉽게 착용할 수 있고, 아기의 다리를 "X"자 형태의 제1천부재와 제2천부재 사이의 공간에 집어넣어 아기의 엉덩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고, 아기의 상체를 덮어주고, 추가로 보조덮개부로 제1천부재와 제2천부재의 외측에서 아기를 이중으로 덮어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착용이 쉽고 착용감이 좋을 뿐 아니라, 아기가 편안함을 느끼고 안정적으로 안겨있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연결유닛을 통해 사용자의 사이즈에 맞게 길이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쉽게 착용이 가능하면서, 30kg의 무거운 아기도 사용의 배꼽아래로 쳐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안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 및 호환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아이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걸이에 의해 제1버클부와 제2버클부의 완전 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제1스트랩과 제2스트랩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아기띠장치가 사용자에게서 이탈해 아기가 낙상하는 위험을 방지하게 해줌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장치을 펼쳐서 내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장치를 펼쳐서 외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쪽을 바라본 상태의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정면을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아기띠장치의 보조덮개부를 삭제하여 아기띠본체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아기띠장치에 적용된 암버클과 수버클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암버클의 내부구조 및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암버클과 수버클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아기띠장치는 아기띠본체(10,20), 보조덮개부(30), 제1연결시트(42), 제2연결시트(44), 연결유닛(6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아기띠본체(10,20)는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로 이루어지며,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 각각은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천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는 신축성이 없는 면과 같은 천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신축성이 있는 스판재질과 같은 천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 각각은 폭방향의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스폰지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소정길이를 갖는 줄 형태의 제1 및 제2쿠션띠(12,22)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의 폭방향 단부가 제1 및 제2쿠션띠(12,22)를 감싸고 재봉질되어 각각의 제1 및 제2쿠션띠(12,22)가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의 폭방향 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는 "X"자 형태로 크로스 되도록 배치되며, 제1천부재(10)의 일단과 제2천부재(20)의 일단은 제1연결시트(4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재봉질에 의해 고정되고, 제1천부재(10)의 타단과 제2천부재(20)의 타단은 제2연결시트(44)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재봉질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X"형태로 크로스 되어 있는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의 양측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사용자의 양 어깨가 삽입되어 아기띠본체(10,20)가 사용자에 착용될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아기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아기의 두 다리가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의 양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아기띠본체(10,20)가 아기의 하체를 지지하고 아기띠본체(10,20)를 펼쳐 아기띠의 상체를 덮도록 할 수 있다.
보조덮개부(30)는 아기띠본체(10,20)와 동일한 천재질로 이루어져, 신축성이 없는 재질이나 신축성이 있는 스판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기띠본체(10,2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덮개부(30) 양단은 제1연결시트(42)와 제2연결시트(44)를 연결하도록 제1연결시트(42)의 중간부 내측단과 제2연결시트(44)의 중간부 내측단에 고정설치되며, 아기띠본체(10,20)를 외측에서 커버하도록 아기띠본체(10,2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보조덮개부(30)의 외측면에는 주머니천(31)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주머니천(31)은 보조덮개부(30)보다 작은 천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주머니천(31)의 4개의 테두리 중 3개의 테두리가 보조덮개부(30)의 외측면에 재봉질되거나 접착되어, 주머니천(31)에 의해 보조덮개부(30)의 일측에 주머니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보조덮개부(30)의 폭방향의 양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스폰지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소정길이를 갖는 줄 형태의 제3쿠션띠(32)가 설치될 수 있다. 제3쿠션띠(32)는 제1 및 제2쿠션띠(12,22)가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에 설치되는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보조덮개부(30)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3쿠션띠(32)는 보조덮개부(30)의 폭방향의 상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보조덮개부(30)의 상단 중 주머니천(31)이 설치된 구간에는 설치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제1연결시트(42)는 사각형의 천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 내측단에는 제1천부재(10)의 일단이 재봉질에 의해 고정되고, 하부 내측단에는 제2천부재(20)의 일단이 재봉질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연결시트(44)는 제1연결시트(24)보다 작은 폭을 갖는 천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 내측단에는 제2천부재(20)의 타단이 재봉질에 의해 고정되고, 하부 내측단에는 제1천부재(10)의 타단이 재봉질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아기띠본체(10)와 제1연결시트(42) 및 제2연결시트(44)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아기띠본체(10)가 아기를 지지하는 지지하중을 높일 수 있도록 제1천부재(10)의 양단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제1연결시트(42)와 제2연결시트(44)에 재봉질에 의해 결합되고, 제2천부재(20)의 양단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제1연결시트(42)와 제2연결시트(44)에 재봉질에 의해 결합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천부재(10)의 일단은 제1연결시트(42)의 상부에 재봉질에 의해 결합되되, 제1연결시트(42)의 상단과 상부 내측단에 "ㄱ"형태로 결합되고, 제2천부재(20)의 타단은 제2연결시트(44)의 상부에 재봉질에 의해 결합되되, 제2연결시트(42)의 상단과 상부 내측단에 "ㄱ"형태로 결합되도록 고정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아기띠본체(10,20)를 어깨에 착용하는 경우, 제1천부재(10)의 상부와 제2천부재(20)의 상부가 사용자의 어깨 양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안정감 있게 착용되어질 수 있다(도 3참조)
한편, 본 발명에서, 보조덮개부(30)와 제1연결시트(42) 및 제2연결시트(44)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보조덮개부(30)의 양단 각각은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제1연결시트(42)와 제2연결시트(44)에 재봉질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연결유닛(60)은 제1연결시트(42)와 제2연결시트(44)를 간격조절되게 연결시켜 아기띠본체(10,20)가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사용자에게 착용되게 하는 구성으로서, 제1연결시트(42)와 제2연결시트(44)의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유닛(60)은 제1스트랩(61), 제1버클부(62), 제2스트랩(63), 제2버클부(64)를 포함하는 스트랩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스트랩(61)은 소정길이를 갖는 띠부재로 이루어지며, 제2연결시트(44)로부터 연장되도록 일단이 제2연결시트(44)에 재봉질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1버클부(62)는 통상의 길이조절부를 구비한 수버클로 구현되며, 제1스트랩(61)이 연결되어 길이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제2스트랩(63)은 일단이 제1연결시트(42)에 재봉질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에는 제2버클부(64)가 구비된다.
제2버클부(64)는 제1버클부(62)와 체결가능한 통상의 암버클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버클부(63)와 제2버클부(64)가 체결되거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제1버클부(62)에서 제1스트랩(61)의 길이를 조정한 후, 제1버클부(62)와 제2버클부(64)를 체결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신체사이즈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가 본 발명의 아기띠장치를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2스트랩(63)의 말단에 링형고무줄과 같은 탄성링으로 이루어진 안전걸이(65)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제1버클부(62)와 제2버클부(64)를 체결시킨 상태에서, 안전걸이(65)를 제1버클부(62)의 후단에 걸어주게 되면, 의도치 않게 제1버클부(62)와 제2버클부(64)의 체결이 해제되더라도 보조적으로 안전걸이(65)에 의해 제1버클부(62)와 제2버클부(63)가 서로 이탈되어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제1스트랩(61)과 제2스트랩(63)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기띠장치의 사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아기띠장치의 사용예는, 아기띠장치를 이용해 아기를 가슴에 안은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아기띠본체(10,20)가 사용자의 상체전방에 오도록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의 양측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양팔을 집어 넣어 제1천부재(10)의 상부와 제2천부재(20)의 상부가 어깨에 메어지게 한 다음, 도 3과 같이, 각각의 연결유닛(60)의 제1버클부(62)와 제2버클부(64)를 체결하여 아기띠장치의 착용을 완료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아기의 양다리를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의 양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각각 집어넣어, 아기의 하체가 아기띠본체(10,20)에 지지되도록 한 후,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를 폭방향으로 펴주면서 아기의 상체를 도 5와 같이 덮어주고, 다음으로, 도 4와 같이,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의 외측에 배치된 보조덮개부(30)를 이용하여 아기띠본체(10,20)의 외측을 덮어 아기띠본체(10,20)와 더불어 아기를 이중으로 재차 감싸 덮어줌으로써, 아기를 안정적으로 안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아기띠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체전방에서 아기를 마주보는 형태로 안는 사용예를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의 상체전방에서 아기가 전방을 바라보는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아기가 사용자의 등을 바라보도록 사용자의 등에 업혀지는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아기띠장치는 아기띠본체(10,20)가 "X"자 형태의 천으로 이루어져, "X"자 형태를 이루는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의 양측에 형성된 공간에 팔을 집어 넣어 어깨에 매고, 연결유닛(60)을 사용자의 사이즈에 맞게 적절하게 조정하여 제1버클부(62)와 제2버클부(64)를 체결하여, 쉽게 착용할 수 있으면서도 안정적인 착용이 가능하며, 또한, 아기의 두 다리를 "X"자 형태로 된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의 양측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하여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가 아기의 하체를 지지하면서,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로 아기의 상체를 덮어줄 수 있고, 특히, 제1천부재(10)와 제2천부재(20)로 아기를 덮어준 상태에서 보조덮개부(30)로 아기를 이중으로 덮어줄 수 있어 아기가 보다 편안하게 사용자에게 안길 수 있어 아기에게 편안함을 느끼게 해줄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아기띠장치를 착용할 때, 제1버클부(62)와 제2버클부(64)를 체결한 다음, 안전걸이(65)를 제1버클부(62)에 걸어주게 되면, 의도치 않게 제1버클부(62)와 제2버클부(64)가 체결이 해제되어도 제1스트랩(61)과 제2스트랩(62)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아기띠장치가 사용자에게서 이탈해 아기가 낙상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아기띠장치는 제1천부재(10), 제2천부재(20) 및 보조덮개부(30)의 폭방향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쿠션띠(12,22,32)가 마감처리되어 있어, 쿠션띠(12,22,32)에 의해 제1천부재(10), 제2천부재(20) 및 보조덮개부(30)의 폭방향 말단이 말리는 것을 방지하여 아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고 포근하게 감싸줄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아기띠장치는 제1천부재(10), 제2천부재(20) 및 보조덮개부(30)의 폭방향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쿠션띠(12,22,32)가 마감처리되어 있어, 제1천부재(10), 제2천부재(20) 및 보조덮개부(30)가 면과 같이 신축성이 없는 원단이든 스판과 같이 신축성이 있는 원단이든 상관없이 쿠션띠(12,22,32)에 의해 제1천부재(10), 제2천부재(20) 및 보조덮개부(30)의 폭방향 말단이 말리는 것을 방지해 아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감싸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제1천부재(10), 제2천부재(20) 및 보조덮개부(30)가 면과 같이 신축성이 없는 재질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제1천부재(10), 제2천부재(20) 및 보조덮개부(30)의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쿠션띠(12,22,32)가 설치됨으로써, 제1천부재(10), 제2천부재(20) 및 보조덮개부(30)의 폭방향 양단이 쿠션띠(12,22,32)에 의해 신축성이 부여되도록 할 수 있어, 아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감싸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아기띠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아기띠장치를 접어준다음, 주머니천(31)에 의해 형성된 주머니에 수납하여 아기띠장치의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연결유닛(60)은 제1스트랩(61)과 제2스트랩(63)에 설치된 암수버클로 이루어진 제1버클부(62)와 제2버클부(64)가 통상의 암수버클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버클부(71)와 제2버클부(76)는 체결동작이 쉽고 체결된 상태에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버클부(71)는 제1버클본체(72), 고정셔터(73), 조작노브(74), 탄성수단(7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버클본체(72)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후단부에 제1스트랩(61)이 연결되어 길이조절되는 길이조절부(72a)가 구비되며, 일면 중앙에는 볼삽입홈(72b)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고정셔터(73)는 제1버클본체(72)의 내부에 설치되되,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성되며, 볼삽입홈(72b)을 향해 전진이동되거나, 볼삽입홈(72b)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도 7의 (a)와 같이, 볼삽입홈(72b)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위치와 도 7의 (b)와 같이 볼 삽입홈(72b)의 내측으로 침범하지 않도록 제1버큰본체(72)의 내부에 인입된 제2위치에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고정셔터(73)의 후단부 양측에는 조작노브(74)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따라 고정셔터(73)가 제2위치로 후퇴되게 하는 제1경사가이드부(73a)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조작노브(74)는 제1버클본체(72)에 설치되되,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따라 고정셔터(73)가 제2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구성으로서, 조작노브(73)의 내측부 양단에는 제1경사가이드부(73a)와 접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조작노브(74)를 누름조작하는 경우, 제1경사가이드부(73a)를 밀어 고정셔터(73)가 제2위치로 후퇴하게 하는 제2경사가이드부(74a)가 구비된다.
탄성수단(75)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고정셔터(73)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조작노브(74)에 가한 외력을 제거하는 경우, 한 쌍의 고정셔터(73)가 제1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2버클부(76)는 제2스트랩(63)의 말단에 고정되는 제2버클본체(77)와, 제2버클본체(77)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하단외주면에 고정홈(78a)이 형성된 체결볼(7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버클부(71)와 제2버클부(76)는 사용자가 한 쌍의 조작노브(73)를 누른 상태에서, 체결볼(78)이 볼수용홈(72b)에 삽입되도록 제2버클부(76)를 제1버클부(71)에 겹친 다음, 조작노브(73)에 가했던 외력을 제거하면, 체결볼(78)이 볼삽입홈(72b)에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고정셔터(73)가 도 7의 (a)와 도 8의 (a)와 같이 제1위치로 위치이동하여 한 쌍의 고정셔터(73)의 선단이 고정홈(78a)에 삽입되어 체결볼(78)이 볼삽입홈(72b)에서 빠지지 않게 됨으로써 제1버클부(71)와 제2버클부(76)가 체결되게 된다. 이렇게 제1버클부(71)와 제2버클부(76)가 체결된 상태에서 제1버클부(710)와 제2버클부(76)가 상호 회전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아기띠본체를 착용할 때, 체결볼(78)을 손쉽게 볼삽입홈(72b)에 삽입시킴으로써, 기존의 암수버클의 체결방식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제1버클부(71)와 제2버클부(76)를 체결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체결된 상태에서도 제1버클부(71)와 제2버클부(76)의 상대회전이 가능하여 보다 편한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버클부(71)와 제2버클부(76)를 본 발명의 아기띠장치의 연결유닛(60)에 적용하게 되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사용자가 손수 양손을 등쪽으로 넘겨 사용자의 등쪽에서 혼자 제1버클부(71)와 제2버클부(76)를 체결하는 경우에 더욱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연결유닛(60)은 제1스트랩(61), 제1버클부(62,72), 제2스트랩(63), 제2버클부(64)를 포함하는 하는 스트랩유닛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결유닛은 제1연결시트(42)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벨크로와, 제2연결시트(42)의 일면에 설치되며 제1벨크로에 부착되는 제2벨크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연결시트(44)가 제1연결시트(44)에 부착되는 위치를 조정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사이즈에 맞게 아기띠장치를 착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연결유닛은 제1연결시트(42)에 길이방향을 소정간격 복수의 제1지퍼가 설치되고, 제2연결시트(42)에는 상기 복수의 제1지퍼 중 어느 하나에 지퍼체결가능한 하나의 제2지퍼가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사이즈에 맞게 아기띠장치를 착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에서 본 발명의 연결유닛은 스트랩유닛형태, 벨크로형태, 지퍼형태로 이루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트랩유닛형태, 벨크로형태, 지퍼형태 뿐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제1연결시트(42)와 제2연결시트(44)의 간격이나 겹치는 정도를 조절하여 제1연결시트(42)와 제2연결시트(44)를 연결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단추 등 다양한 형태의 연결부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연결유닛은 스트랩유닛형태, 벨크로형태, 지퍼형태 중 어느 하나로만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스트랩유닛형태와 벨크로형태로 이루어지는 2개의 연결유닛이 함께 구성되거나 스트랩유닛형태와 지퍼형태로 이루어진 2개의 연결유닛이 함께 구성되어, 둘 중 하나의 연결유닛의 결합이 의도치 않게 해제되는 경우, 나머지 하나의 연결유닛이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안전성을 확보해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아기띠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하는 여러 착용방법 중에 하나로서, 연결유닛(60)의 제1스트랩(61)의 길이를 제1버클부(71)에 대해 적절하게 조정한 후, 제1버클부(71)와 제2버클부(76)를 체결한 상태에서, 티셔츠와 같은 의류를 입는 방식으로 아기띠장치를 입어 착용한 다음, 아이를 사용자와 아기띠장치 사이에 넣으면서 아기띠장치에 아이를 지지시켜주어 안거나 업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20...아기띠본체
12...제1쿠션띠
22...제2쿠션띠
30...보조덮개부
31...주머니천
42...제1연결시트
44...제2연결시트
60...연결유닛
61...제1스트랩
62...제1버클부
63...제2스트랩
64...제2버클부
65...안전고리

Claims (7)

  1.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천재질로 이루어지며, 서로 "X"자 형태로 크로스되도록 배치되는 제1천부재와 제2천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천부재와 상기 제2천부재가 이루는 양측의 공간에 사용자의 양 어깨가 삽입되어져 상기 제1천부재와 상기 제2천부재 각각의 상부가 사용자의 양 어깨에 메어져 착용되어지고, 상기 제1천부재와 상기 제2천부재가 이루는 양측의 공간에 아기의 양 다리가 삽입되어져 아기의 하체를 지지하고 아기의 상체를 감싸보호하는 아기띠본체;
    천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내측단에는 상기 제1천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며, 하부 내측단에는 상기 제2천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연결시트;
    상기 제1연결시트보다 폭이 작은 천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내측단에는 상기 제2천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며, 하부 내측단에는 상기 제1천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연결시트;
    상기 아기띠본체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천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결시트와 상기 제2연결시트를 연결하도록, 일단은 상기 제1연결시트의 중간부 내측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연결시트의 중간부 내측단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아기띠본체의 외측을 덮어 상기 아기띠본체와 더불어 아기를 이중으로 감싸게 하는 보조덮개부;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따라 상기 제1연결시트와 상기 제2연결시트의 겹쳐지는 정도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연결시트와 상기 제2연결시트를 연결시켜 상기 아기띠본체가 사용자에 착용되게 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2연결시트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스트랩;
    상기 제1스트랩과 연결되어 상기 제1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게 하는 길이조절부가 형성된 제1버클부;
    상기 제1연결시트로부터 연장되는 제2스트랩;
    상기 제2스트랩의 말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버클부와 체결되는 제2버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버클부는,
    중앙에 볼삽입홈이 형성된 제1버클본체;
    상기 제1버클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볼삽입홈으로 돌출되는 제1위치와 상기 볼삽입홈에 침범하지 않도록 상기 제1버클본체 내부에 인입되는 제2위치로 전후진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셔터;
    상기 제1버클본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셔터를 외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고정셔터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조작노브;
    상기 한 쌍의 고정셔터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작노브에 가한 외력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고정셔터가 상기 제1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버클부는
    제2버클본체;
    상기 제2버클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하단 외주면에 고정홈이 형성된 체결볼;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볼이 상기 볼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고정셔터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버클부와 상기 제2버클부의 체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버클부와 상기 제2버클부는 체결된 상태에서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연결시트와 상기 제2연결시트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스트랩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버클부와 상기 제2버클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버클부에 걸어, 상기 제1버클부와 상기 제2버클부의 체결이 해제되더라도 상기 제1버클부가 상기 제2버클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해주는 안전걸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천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1연결시트의 상단과 상부 내측단에 ""ㄱ"형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2천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연결시트의 상단과 상부 내측단에 "ㄱ"형태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천부재 및 상기 제2천부재의 상부가 사용자의 어깨 양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착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주머니가 형성되도록 상기 보조덮개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보관시, 상기 아기띠본체, 상기 제1연결시트, 상기 제2연결시트, 상기 보조덮개부 및 상기 연결유닛이 상기 주머니에 수납되게 하는 주머니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장치.
KR1020190005792A 2019-01-16 2019-01-16 아기띠장치 KR102119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792A KR102119998B1 (ko) 2019-01-16 2019-01-16 아기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792A KR102119998B1 (ko) 2019-01-16 2019-01-16 아기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998B1 true KR102119998B1 (ko) 2020-06-05

Family

ID=7108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792A KR102119998B1 (ko) 2019-01-16 2019-01-16 아기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003U (ko) *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다이치 영유아용 슬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7603A (ko) * 2004-04-30 2006-05-18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아기 보호대
KR20100123220A (ko) * 2009-05-15 2010-11-24 오은주 사용하기 쉽고 휴대가 쉬운 아기띠
WO2011070498A1 (en) * 2009-12-10 2011-06-16 Loopi Group Ltd. Baby carrier
KR200467528Y1 (ko) 2012-11-26 2013-06-19 백효정 아기띠
KR200480036Y1 (ko) * 2014-11-14 2016-04-05 권대한 아기캐리어 커버
WO2018147983A1 (en) * 2017-02-10 2018-08-16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7603A (ko) * 2004-04-30 2006-05-18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아기 보호대
KR20100123220A (ko) * 2009-05-15 2010-11-24 오은주 사용하기 쉽고 휴대가 쉬운 아기띠
WO2011070498A1 (en) * 2009-12-10 2011-06-16 Loopi Group Ltd. Baby carrier
KR200467528Y1 (ko) 2012-11-26 2013-06-19 백효정 아기띠
KR200480036Y1 (ko) * 2014-11-14 2016-04-05 권대한 아기캐리어 커버
WO2018147983A1 (en) * 2017-02-10 2018-08-16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system and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2018년 8월 13일,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hongjis815/221349341636 >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003U (ko) *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다이치 영유아용 슬링
KR200497270Y1 (ko) * 2021-02-08 2023-09-18 주식회사 다이치 영유아용 슬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0462B2 (en) Adjustable child carriers
CN108244885B (zh) 可扩展座位的婴儿背带
EP3579728B1 (en) Baby carrier system
US10786091B2 (en) Infant stabilization and immobilization apparatus
CN109480543B (zh) 包裹型婴儿背带
US8925772B2 (en) Infant carrier
KR200459539Y1 (ko)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101542837B1 (ko) 힙시트 겸용 아기띠
US10653251B1 (en) Child carrier having selectively adjustable side panels for inward facing and outward facing child carrying positions
KR102119998B1 (ko) 아기띠장치
JP6757161B2 (ja) 骨盤補強ベルト
JP6026555B2 (ja) 抱きかかえ補助具
KR20160035495A (ko) 아기띠
KR100531611B1 (ko) 유아용 포대기
KR101791471B1 (ko) 힙시트 허리밴드 구조체
JP6164562B1 (ja) 介護用衣服
CN219721009U (zh) 轮椅快速约束带结构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JP4591999B2 (ja) 乳幼児の保護具
US2917044A (en) Restraining apparatus
CN212629901U (zh) 身体覆盖物
KR200487262Y1 (ko) 유아용 포대기
TWM517571U (zh) 雙肩背嬰幼兒揹巾
JP3101075U (ja) 布の幅を広く取り肩への負担を軽減したポケット及び帽子兼用付きの乳幼児用ス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