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010B1 - 능형망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능형망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010B1
KR102522010B1 KR1020220097210A KR20220097210A KR102522010B1 KR 102522010 B1 KR102522010 B1 KR 102522010B1 KR 1020220097210 A KR1020220097210 A KR 1020220097210A KR 20220097210 A KR20220097210 A KR 20220097210A KR 102522010 B1 KR102522010 B1 KR 102522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r
crank arm
column
loze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승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승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승테크
Priority to KR1020220097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2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out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e.g. connected by knitting
    • B21F27/06Manufacturing on twister-gea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유닛이 코팅 와이어를 일정 간격으로 감아 단위 코일을 형성한 후 일정 길이마다 절단하고 정렬하여 공급하되, 제2 유닛은 복수의 능형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는 능형망 양측의 가장자리에 매듭을 형성하고 매듭 형성 과정에서 능형망의 요동을 규제함으로써, 복수의 능형, 즉 마름모꼴들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는 능형망을 연속적으로 신속 정확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능형망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능형망 제조 장치{LOZNEGE-SHAPED WIRE NET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능형망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능형, 즉 마름모꼴들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는 능형망을 연속적으로 신속 정확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능형망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휀스용 철망이란 철선인 가로 철선과 세로 철선을 격자인 그물 모양으로 제작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제작된 철망은 공사 현장이나 건축물의 둘레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사람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공고실용 제20-1994-0001399호의 "철망 제조장치"(이하 선행기술)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씨줄 공급기어의 일측 풀리를 구동모터와 연결 설치된 전자클러치 장치의 풀리와 타이밍 벨트로 연결하고 크랭크 샤프트의 작동편과 마주보게 설치된 근접스위치를 전자클러치장치와 연결하고 바디살의 전면에는 상부가 개방된 이탈방지공을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지속적인 가동 결과, 전자클러치 장치와 근접스위치의 전기적 연결이 원활하지 못하여 씨줄이 날줄 사이로 공급되게 하는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불량 발생이 자주 일어나게 되었다.
특히, 선행기술은 복수의 날줄에 씨줄을 삽입하여 직조하듯 철망을 제조하는 작동 메카니즘의 구현에 불필요하고 복잡한 구성 부품이 많이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공고실용 제20-1994-00013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복수의 능형, 즉 마름모꼴들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는 능형망을 연속적으로 신속 정확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능형망 제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팅 와이어를 일정 간격으로 감아 단위 코일을 형성하는 꼬인 평판과, 상기 단위 코일을 일정 길이마다 절단하는 절단기와, 상기 단위 코일에 후속하는 단위 코일을 나선 형상으로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능형(菱形) 배열이 1열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상기 단위 코일들을 정렬시키는 정렬봉 모듈을 포함하는 제1 유닛; 및 상기 복수의 능형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는 능형망을 일방향으로 공급하되 상기 능형망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위 코일들 각각의 양단부에 의하여 교차되는 자투리 부분을 복수회 꼬아 매듭을 형성시키는 결승기(結蠅機)와, 상기 결승기와 상기 정렬봉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능형망이 일정 거리마다 이송후 정지되며 상기 결승기에 의하여 매듭이 형성되는 동안 상기 결승기의 가동시 능형망의 요동을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능형 내측 모서리 부분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규제 바를 포함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닛은,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기 꼬인 평판의 꼬임부를 내장하며, 상기 꼬인 평판의 양단부가 노출되는 양단 관통의 안내통과, 상기 안내통의 외주면을 따라 절개 형성되는 나선 형상의 권취 절개부와, 금속재 와이어의 외주면에 합성수지재의 보호레이러를 가진 상기 코팅 와이어와 금속재의 상기 권취 절개부 양측 가장자리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권취 절개부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되는 합성수지재의 가이드 피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코팅 와이어가 복수회 권취된 와이어 공급부와, 상기 와이어 공급부와 상기 꼬인 평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꼬인 평판측으로 공급되는 상기 코팅 와이어를 일정 정도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복수의 이송휠을 포함하는 장력유지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와이어 공급부와 상기 장력유지 이송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코팅 와이어가 관통하여 안내되도록 하는 꼬임방지 안내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절단기는, 다각 기둥 형상의 제1 칼럼과, 상기 제1 칼럼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각 기둥 형상의 제2 칼럼과, 상기 제1 칼럼과 상기 제2 칼럼의 마주보는 면을 따라 승강 가능한 승강 몸체와, 상기 승강 몸체에 탈착 결합되며 상기 단위 코일을 절단하는 커터 블레이드와, 상기 제1 칼럼과 상기 제2 칼럼의 마주보는 면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승강 몸체와 연동 하강하는 상기 커터 블레이드가 접촉하는 내측면과, 상기 제1 칼럼과 상기 제2 칼럼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단위 코일을 받침 지지하는 커터 베이스 블록과, 상기 제1 칼럼의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는 제1 탈착 단부와 상기 제2 칼럼의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는 제2 탈착 단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탈착 단부와 상기 제2 탈착 단부 사이에 1회 꼬여 상기 단위 코일이 통과하는 꼬임 통과부를 형성하는 코일 안내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렬봉 모듈은, 상기 절단기를 통과한 상기 단위 코일들이 거치되는 스타트 베이스의 상부측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단위 코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위치조절 블록과, 상기 위치조절 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스타트 베이스의 표면와 마주보는 하단부에 팁을 형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렬봉과, 상기 정렬봉의 상단부와 상기 위치조절 블록의 외측면과 연결되는 양단부를 가지며, 탄성력을 가지는 이탈방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결승기와 상기 정렬봉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지되, 상기 능형망이 공급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능형망의 전방측 단부 가장자리와 후방측 단부 가장자리와 각각 평행한 가상선 상에 배치되는 상부 지지 바와, 상기 상부 지지 바 상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한 쌍의 승강지지 블록과, 상기 한 쌍의 승강지지 블록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여 승강 가능한 상기 규제 바중 일측 규제 바(이하 제1 바)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 상부 크랭크 암과, 상기 제1 바의 하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상부 크랭크 암을 회동 결합시키는 제1 상부 회동 핀과, 상기 한 쌍의 승강지지 블록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여 승강 가능한 상기 규제 바중 타측 규제 바(이하 제2 바)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 상부 크랭크 암과, 상기 제2 바의 하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상부 크랭크 암을 회동 결합시키는 제2 상부 회동 핀과, 상기 상부 지지 바의 하부측에 상기 상부 지지 바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직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하부 회동 바와, 상기 한 쌍의 승강지지 블록중 일측의 승강지지 블록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회동 바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하부지지 블록과, 상기 제1 하부지지 블록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부 회동 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하부 크랭크 암과, 상기 제1 하부 크랭크 암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하부 회동편과, 상기 제1 하부 크랭크 암의 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1 하부 회동편을 회동 결합시키는 제1 하부 회동핀과, 상기 한 쌍의 승강지지 블록중 타측의 승강지지 블록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회동 바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하부지지 블록과, 상기 제2 하부지지 블록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부 회동 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하부 크랭크 암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하부 크랭크 암과 평행한 제2 하부 크랭크 암과, 상기 제2 하부 크랭크 암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하부 회동편과, 상기 제2 하부 크랭크 암의 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2 하부 회동편을 회동 결합시키는 제2 하부 회동핀과, 상기 제1 상부 크랭크 암과 상기 제1 하부 회동편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봉과, 상기 제2 상부 크랭크 암과 상기 제2 하부 회동편을 상호 연결하는 제2 연결봉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회동 바가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일정 각도만큼 정회전 후 역회전하는 패턴을 반복함에 따라, 상기 제1 바의 상단부가 상승할 때 상기 제2 바의 상단부가 하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능형, 즉 마름모꼴들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는 능형망을 연속적으로 신속 정확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제조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꼬인 평판이 설치된 안내통 주변부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중 장력유지 이송부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중 장력유지 이송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중 절단기와 정렬봉 모듈 주변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중 규제 바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중 규제 바의 승강 동작과 능형망의 이송에 따른 규제 바 각각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제조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꼬인 평판(101)이 설치된 안내통(110) 주변부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중 장력유지 이송부(130)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중 장력유지 이송부(130)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중 절단기(102)와 정렬봉 모듈(103) 주변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중 규제 바(210)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형망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중 규제 바(210)의 승강 동작과 능형망(300)의 이송에 따른 규제 바(210) 각각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8에서 도면부호 "⊙"는 본 명세서를 바라보는 독자를 향하여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는 본 명세서를 바라보는 독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각각 가리킨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닛(100)이 코팅 와이어(302)를 일정 간격으로 감아 단위 코일(301)을 형성한 후 일정 길이마다 절단하고 정렬하여 공급하되, 제2 유닛(200)은 복수의 능형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는 능형망(300) 양측의 가장자리에 매듭(303)을 형성하고 매듭(303)의 형성 과정에서 능형망(300)의 요동을 규제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코팅 와이어(302)를 일정 간격으로 감아 단위 코일(301)을 형성하는 꼬인 평판(101)과, 단위 코일(301)을 일정 길이마다 절단하는 절단기(102)와, 단위 코일(301)에 후속하는 단위 코일(301)을 나선 형상으로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능형(菱形) 배열이 1열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단위 코일(301)들을 정렬시키는 정렬봉 모듈(103)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유닛(200)은 복수의 능형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는 능형망(300)을 일방향으로 공급하되 능형망(30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위 코일(301)들 각각의 양단부에 의하여 교차되는 자투리 부분을 복수회 꼬아 매듭(303)을 형성시키는 결승기(201, 結蠅機)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유닛(200)은 결승기(201)와 정렬봉 모듈(103) 사이에 배치되어 능형망(300)이 일정 거리마다 이송후 정지되며 결승기(201)에 의하여 매듭이 형성되는 동안 결승기(201)의 가동시 능형망(300)의 요동을 규제함과 동시에 복수의 능형 내측 모서리 부분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규제 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팅 와이어(302)는, 금속재 와이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합성수지재의 보호레이어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도 2와 같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꼬인 평판(101)의 꼬임부를 내장하며, 꼬인 평판(101)의 양단부가 노출되는 양단 관통의 안내통(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안내통(110)의 외주면을 따라 절개 형성되는 나선 형상의 권취 절개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닛(100)은 금속재 와이어의 외주면에 합성수지재의 보호레이러를 가진 코팅 와이어(302)와 금속재의 권취 절개부(112) 양측 가장자리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도록, 권취 절개부(112)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되는 합성수지재의 가이드 피복(113)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유닛(100)은, 도 2와 함께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절단기(102)측과 마주보는 꼬인 평판(101)의 일단부에 대하여 꼬인 평판(101)의 타단부에 탈착 결합되는 구동축(111)을 가지는 권취 모터(114)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유닛(100)은, 안내통(110)의 외경에 대응하여 안내통(110)의 외주면 양측으로부터 근접 또는 이격하는 왕복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통 고정 블록(11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통 고정 블록(115)과 연결되어 통 고정 블록(115)의 왕복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11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닛(100)은, 지지 블록(116)을 관통하여 통 고정 블록(115)과 연결 고정되며 통 고정 블록(115)의 왕복을 지지하는 왕복 지지봉(117)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통 고정 블록(115)은 안내통(110)의 외주면 양측에 접촉하여 꼬인 평판(101)의 회전에 따른 단위 코일(301)의 형성시에 안내통(110)이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유닛(100)은, 다시 도 1을 살펴보면, 안내통(11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냉각 및 윤활작용을 수행하는 작업액이 분사되는 복수의 분사노즐(이하 미도시)이 일렬로 배치되는 노즐 하우징(118)과, 노즐 하우징(118)과 배관 연결되어 복수의 분사노즐측으로 작업액이 이송되는 내부 유로를 형성되는 공급배관(119)과, 공급배관(119) 상에 장착되어 공급배관(119)의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119v)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유닛(100)은 도 1과 함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코팅 와이어(302)가 복수회 권취된 와이어 공급부(120)와, 와이어 공급부(120)와 꼬인 평판(101) 사이에 배치되며, 꼬인 평판(101)측으로 공급되는 코팅 와이어(302)를 일정 정도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복수의 이송휠(131)을 포함하는 장력유지 이송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력유지 이송부(130)는, 평판 형상의 지지편(132)과, 지지편(132)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지지편(132)의 타측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일정 폭과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조절 절개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장력유지 이송부(130)는, 조절 절개부(133)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의 이송휠(131)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여 복수의 이송휠(131) 각각의 회전을 지지하는 휠 샤프트(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력유지 이송부(130)는, 휠 샤프트(134)의 말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지지편(132)에 고정되는 고정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이송휠(131)들은 복수의 조절 절개부(133) 각각에 결합되어 지지편(132)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이송휠(131)들 각각의 지그재그 위치를 적절히 변형함으로써 코팅 와이어(302)의 장력 조절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장력유지 이송부(130)는, 지지편(132)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와이어 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코팅 와이어(302)를 인입하고 복수의 이송휠(131) 각각으로 안내하는 원통 링 형상의 인입 가이드(13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장력유지 이송부(130)는, 도 5와 같이 복수의 이송휠(131) 각각의 외주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코팅 와이어(302)가 접촉 안내되는 와이어 안내홈(136)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유닛(100)은, 도 5와 같이 와이어 공급부(120)와 장력유지 이송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코팅 와이어(302)가 관통하여 안내되도록 하는 꼬임방지 안내 파이프(1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절단기(102)는, 도 6과 같이, 다각 기둥 형상의 제1 칼럼(151)과, 제1 칼럼(15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각 기둥 형상의 제2 칼럼(152)과, 제1 칼럼(151)과 제2 칼럼(152)의 마주보는 면을 따라 승강 가능한 승강 몸체(153)와, 승강 몸체(153)에 탈착 결합되며 단위 코일(301)을 절단하는 커터 블레이드(15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기(102)는, 제1 칼럼(151)과 제2 칼럼(152)의 마주보는 면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승강 몸체(153)와 연동 하강하는 커터 블레이드(154)가 접촉하는 내측면과, 제1 칼럼(151)과 제2 칼럼(152) 사이를 통과하는 단위 코일(301)을 받침 지지하는 커터 베이스 블록(15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절단기(102)는, 제1 칼럼(151)의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는 제1 탈착 단부(156a)와 제2 칼럼(152)의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는 제2 탈착 단부(156b)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1 탈착 단부(156a)와 제2 탈착 단부(156b) 사이에 1회 꼬여 단위 코일(301)이 통과하는 꼬임 통과부(156c)를 형성하는 코일 안내 와이어(15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일 안내 와이어(156)의 영문 “e”의 소문자 필기체, 이른바 돼지꼬리처럼 꼬인 부분, 즉 꼬임 통과부(156c)는 단위 코일(301)을 안내함과 동시에, 커터 블레이드(154)에 의하여 잘린 단위 코일(301)에 뒤이어 연속으로 공급되는 단위 코일(301)의 시작 단부가 튕겨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한편, 절단기(102)는, 승강 몸체(153)의 외측면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지지 보(157)와, 지지 보(157)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여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장공 형상의 제1 조절 슬롯(157s)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절단기(102)는, 제1 조절 슬롯(157s)에 관통 삽입되어 제1 조절 슬롯(157s)에 위치 변경 가능하게 고정되며, 승강 몸체(153)의 승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설치봉(15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절단기(102)는, 승강 몸체(153)와 연동 하강하면서 단위 코일(301)을 누름 접촉 가능하도록설치봉(158)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커터 블레이드(154)가 단위 코일(301)을 절단하여 후속하는 단위 코일(301)의 절단된 부분이 튀어오르거나 요동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누름편(159)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누름편(159)은 커터 블레이드(154)에 의하여 잘린 후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단위 코일(301)의 시작 단부가커터 블레이드(154)의 절단 작업에 따른 충격으로 들어올려진 부분을 하강시켜 후술할 받침 안내편(160)에 안착되게 함과 동시에, 커터 블레이드(154)가 단위 코일(301)을 절단하여 후속하는 단위 코일(301)의 절단된 부분이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한편, 누름편(159)과 꼬인 평판(101) 사이에는 받침 안내편(160)이 배치되어 절단기(102)측으로 이송되는 단위 코일(301)을 받침 지지하게 된다.
연장 바(161)는 받침 안내편(160)의 일측 가장자리와 연결되며, 연장 바(1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의 제2 조절 슬롯(162)이 관통 형성된다.
절단기(102)의 일측에 상부 지지 바(163)가 배치되어 단위 코일(301)의 공급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부 지지 바(16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의 제3 조절 슬롯(164)이 관통 형성된다.
바 체결구(165)는 제2 조절 슬롯(162)과 제3 조절 슬롯(164)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부 지지 바(163)에 대하여 연장 바(161)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정렬봉 모듈(103)은, 절단기(102)를 통과한 단위 코일(301)들이 거치되는 스타트 베이스(180)의 상부측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위 코일(3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위치조절 블록(17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렬봉 모듈(103)은, 위치조절 블록(171)을 관통하여 스타트 베이스(180)의 표면와 마주보는 하단부에 팁(173)을 형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렬봉(17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정렬봉 모듈(103)은, 정렬봉(170)의 상단부와 위치조절 블록(171)의 외측면과 연결되는 양단부를 가지며, 탄성력을 가지는 이탈방지 스프링(17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단위 코일(301)이 나선 방향으로 회전하며 스타트 베이스(180)상에 이송되어옴에 따라, 산과 골이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꼬인 단위 코일(301)의 모서리 부분 각각이, 정렬봉(170) 각각의 팁(173)에 의하여 정렬되며 다음으로 공급되는 단위 코일(301)과의 얽히는 작동 패턴이 반복됨으로 인하여 복수의 능형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는 능형망(300) 직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결승기(201)와 정렬봉 모듈(103) 사이에 배치되어지되, 능형망(300)이 공급되는 방향을 따라 능형망(300)의 전방측 단부 가장자리와 후방측 단부 가장자리와 각각 평행한 가상선 상에 배치되는 상부 지지 바(2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상부 지지 바(220) 상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한 쌍의 승강지지 블록(2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한 쌍의 승강지지 블록(23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여 승강 가능한 규제 바(210)중 일측 규제 바(이하 제1 바(21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 상부 크랭크 암(24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1 바(211)의 하단부에 대하여 제1 상부 크랭크 암(241)을 회동 결합시키는 제1 상부 회동 핀(25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한 쌍의 승강지지 블록(23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여 승강 가능한 규제 바(210)중 타측 규제 바(이하 제2 바(212))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 상부 크랭크 암(24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2 바(212)의 하단부에 대하여 제2 상부 크랭크 암(242)을 회동 결합시키는 제2 상부 회동 핀(25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상부 지지 바(220)의 하부측에 상부 지지 바(220)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직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하부 회동 바(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한 쌍의 승강지지 블록(230)중 일측의 승강지지 블록(230) 하부측에 배치되어 하부 회동 바(260)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하부지지 블록(26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1 하부지지 블록(261)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하부 회동 바(26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하부 크랭크 암(27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1 하부 크랭크 암(271)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하부 회동편(27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1 하부 크랭크 암(271)의 단부에 대하여 제1 하부 회동편(273)을 회동 결합시키는 제1 하부 회동핀(27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한 쌍의 승강지지 블록(230)중 타측의 승강지지 블록(230) 하부측에 배치되어 하부 회동 바(260)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하부지지 블록(26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2 하부지지 블록(262)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하부 회동 바(26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제1 하부 크랭크 암(271)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하부 크랭크 암(271)과 평행한 제2 하부 크랭크 암(27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2 하부 크랭크 암(272)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하부 회동편(27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2 하부 크랭크 암(272)의 단부에 대하여 제2 하부 회동편(274)을 회동 결합시키는 제2 하부 회동핀(27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1 상부 크랭크 암(241)과 제1 하부 회동편(273)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봉(28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닛(200)은, 제2 상부 크랭크 암(242)과 제2 하부 회동편(274)을 상호 연결하는 제2 연결봉(282)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부 회동 바(260)가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일정 각도만큼 정회전 후 역회전하는 패턴을 반복함에 따라, 제1 바(211)의 상단부가 상승할 때 제2 바(212)의 상단부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8과 같이 능형망(300)의 그물코들 중 "□" 표시가 되어 있는 제1 지점(P1)과, "●" 표시가 되어 있는 제2 지점(P2)을 정의하며, 제1 지점(P1)과 제2 지점(P2) 사이에 비교 및 기준점으로 삼기 위하여 임의의 그물코에 기준점(S)을 정의한다.
여기서, 기준점(S)을 관통하여 능형망(300)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가장자리와 평행한 가상선을 제1 가상선(ℓ1)이라 설정하고, 제2 지점(P2)을 관통하여 능형망(300)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가장자리와 평행한 가상선을 제2 가상선(ℓ2)이라 설정한다.
이때, 능형망(300)의 공급 방향은 도 8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도 7의 상태, 즉 제1, 2 바(211, 212)중 제2 바(212)가 상승하여 도 8(a)와 같이 능형망(300)의 그물코 중 하나인 제1 지점(P1)에 걸리면, 이때 하부 회동 바(260)는 정회전하여 도 7의 후방측을 향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하부 회동 바(260)의 상면과 평행한 상면을 가진 제1 하부 크랭크 암(271)에 결합된 제1 하부 회동편(273)은 제1 바(211)을 끌어내려 하강시키고, 제2 하부 크랭크 암(272)에 결합된 제2 하부 회동편(274)은 제2 바(212)를 밀어올려 상승시킨다.
여기서, 기준점(S)과 제1 가상선(ℓ1) 및 제2 지점(P2)과 제2 가상선(ℓ2)은 제1, 2 바(211, 212)를 통과하기 전이다.
이후, 능형망(300)이 일정 거리만큼 이송되어 결승기(201)에 의한 매듭(303) 형성이 이루어지는 동안 능형망(300)의 이송은 일시 정지된다.
이와 동시에, 하부 회동바(260)가 역회전하여 도 7의 전방측을 향해 경사진 상태를 유지(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음)하게 되면, 제2 하부 크랭크 암(272)에 결합된 제2 하부 회동편(274)은 제2 바(212)를 끌어내려 하강시키고, 제1 하부 크랭크 암(271)에 결합된 제1 하부 회동편(273)은 제1 바(211)을 밀어올려 상승시킨다.
이때, 제2 지점(P2)을 관통하는 제2 가상선(ℓ2)이 제1, 2 바(211, 212)를 지나게 될 때, 기준점(S1)과 제1 가상선(ℓ1)은 제1, 2 바(211, 212)를 통과하였다.
상기와 같은 패턴이 반복됨으로써, 매듭(303)이 형성된 능형망(300)의 일방향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능형, 즉 마름모꼴들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는 능형망을 연속적으로 신속 정확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능형망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01...꼬인 평판
102...절단기
103...정렬봉 모듈
110...안내통
111...구동축
112...권취 절개부
113...가이드 피복
114...권취 모터
115...통 고정 블록
116...지지 블록
117...왕복 지지봉
118...노즐 하우징
119...공급배관
119v...밸브체
120...와이어 공급부
130...장력유지 이송부
131...이송휠
132...지지편
133...조절 절개부
134...휠 샤프트
135...고정구
136...와이어 안내홈
137...인입 가이드
140...꼬임방지 안내 파이프
151...제1 칼럼
152...제2 칼럼
153...승강 몸체
154...커터 블레이드
155...커터 베이스 블록
156...코일 안내 와이어
156a...제1 탈착 단부
156b...제2 탈착 단부
156c...꼬임 통과부
157...지지 보
157s...제1 조절 슬롯
158...설치봉
159...누름편
160...받침 안내편
161...연장 바
162...제2 조절 슬롯
163...상부 지지 바
164...제3 조절 슬롯
165...바 체결구
170...정렬봉
171...위치조절 블록
172...이탈방지 스프링
173...팁
180...스타트 베이스
200...제2 유닛
201...결승기
210...규제 바
211...제1 바
212...제2 바
220...상부 지지 바
230...승강지지 블록
241...제1 상부 크랭크 암
242...제2 상부 크랭크 암
251...제1 상부 회동 핀
252...제2 상부 회동 핀
260...하부 회동 바
261...제1 하부지지 블록
262...제2 하부지지 블록
271...제1 하부 크랭크 암
272...제2 하부 크랭크 암
273...제1 하부 회동편
274...제2 하부 회동편
275...제1 하부 회동핀
276...제2 하부 회동핀
281...제1 연결봉
282...제2 연결봉
300...능형망
301...단위 코일
302...코팅 와이어
303...매듭

Claims (7)

  1. 코팅 와이어를 일정 간격으로 감아 단위 코일을 형성하는 꼬인 평판과, 상기 단위 코일을 일정 길이마다 절단하는 절단기와, 상기 단위 코일에 후속하는 단위 코일을 나선 형상으로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능형(菱形) 배열이 1열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상기 단위 코일들을 정렬시키는 정렬봉 모듈을 포함하는 제1 유닛; 및
    상기 복수의 능형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는 능형망을 일방향으로 공급하되 상기 능형망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위 코일들 각각의 양단부에 의하여 교차되는 자투리 부분을 복수회 꼬아 매듭을 형성시키는 결승기(結蠅機)와, 상기 결승기와 상기 정렬봉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능형망이 일정 거리마다 이송후 정지되며 상기 결승기에 의하여 매듭이 형성되는 동안 상기 결승기의 가동시 능형망의 요동을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능형 내측 모서리 부분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규제 바를 포함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기 꼬인 평판의 꼬임부를 내장하며, 상기 꼬인 평판의 양단부가 노출되는 양단 관통의 안내통과,
    상기 안내통의 외주면을 따라 절개 형성되는 나선 형상의 권취 절개부와,
    금속재 와이어의 외주면에 합성수지재의 보호레이러를 가진 상기 코팅 와이어와 금속재의 상기 권취 절개부 양측 가장자리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권취 절개부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되는 합성수지재의 가이드 피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제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코팅 와이어가 복수회 권취된 와이어 공급부와,
    상기 와이어 공급부와 상기 꼬인 평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꼬인 평판측으로 공급되는 상기 코팅 와이어를 일정 정도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복수의 이송휠을 포함하는 장력유지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제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와이어 공급부와 상기 장력유지 이송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코팅 와이어가 관통하여 안내되도록 하는 꼬임방지 안내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제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는,
    다각 기둥 형상의 제1 칼럼과,
    상기 제1 칼럼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각 기둥 형상의 제2 칼럼과,
    상기 제1 칼럼과 상기 제2 칼럼의 마주보는 면을 따라 승강 가능한 승강 몸체와,
    상기 승강 몸체에 탈착 결합되며 상기 단위 코일을 절단하는 커터 블레이드와,
    상기 제1 칼럼과 상기 제2 칼럼의 마주보는 면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승강 몸체와 연동 하강하는 상기 커터 블레이드가 접촉하는 내측면과, 상기 제1 칼럼과 상기 제2 칼럼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단위 코일을 받침 지지하는 커터 베이스 블록과,
    상기 제1 칼럼의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는 제1 탈착 단부와 상기 제2 칼럼의 외측면에 탈착 결합되는 제2 탈착 단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탈착 단부와 상기 제2 탈착 단부 사이에 1회 꼬여 상기 단위 코일이 통과하는 꼬임 통과부를 형성하는 코일 안내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제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봉 모듈은,
    상기 절단기를 통과한 상기 단위 코일들이 거치되는 스타트 베이스의 상부측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단위 코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위치조절 블록과,
    상기 위치조절 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스타트 베이스의 표면와 마주보는 하단부에 팁을 형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렬봉과,
    상기 정렬봉의 상단부와 상기 위치조절 블록의 외측면과 연결되는 양단부를 가지며, 탄성력을 가지는 이탈방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제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결승기와 상기 정렬봉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지되, 상기 능형망이 공급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능형망의 전방측 단부 가장자리와 후방측 단부 가장자리와 각각 평행한 가상선 상에 배치되는 상부 지지 바와,
    상기 상부 지지 바 상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한 쌍의 승강지지 블록과,
    상기 한 쌍의 승강지지 블록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여 승강 가능한 상기 규제 바중 일측 규제 바(이하 제1 바)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 상부 크랭크 암과,
    상기 제1 바의 하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상부 크랭크 암을 회동 결합시키는 제1 상부 회동 핀과,
    상기 한 쌍의 승강지지 블록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여 승강 가능한 상기 규제 바중 타측 규제 바(이하 제2 바)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 상부 크랭크 암과,
    상기 제2 바의 하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상부 크랭크 암을 회동 결합시키는 제2 상부 회동 핀과,
    상기 상부 지지 바의 하부측에 상기 상부 지지 바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직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하부 회동 바와,
    상기 한 쌍의 승강지지 블록중 일측의 승강지지 블록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회동 바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하부지지 블록과,
    상기 제1 하부지지 블록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부 회동 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하부 크랭크 암과,
    상기 제1 하부 크랭크 암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하부 회동편과,
    상기 제1 하부 크랭크 암의 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1 하부 회동편을 회동 결합시키는 제1 하부 회동핀과,
    상기 한 쌍의 승강지지 블록중 타측의 승강지지 블록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회동 바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하부지지 블록과,
    상기 제2 하부지지 블록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부 회동 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하부 크랭크 암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하부 크랭크 암과 평행한 제2 하부 크랭크 암과,
    상기 제2 하부 크랭크 암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하부 회동편과,
    상기 제2 하부 크랭크 암의 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2 하부 회동편을 회동 결합시키는 제2 하부 회동핀과,
    상기 제1 상부 크랭크 암과 상기 제1 하부 회동편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봉과,
    상기 제2 상부 크랭크 암과 상기 제2 하부 회동편을 상호 연결하는 제2 연결봉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회동 바가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일정 각도만큼 정회전 후 역회전하는 패턴을 반복함에 따라, 상기 제1 바의 상단부가 상승할 때 상기 제2 바의 상단부가 하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형망 제조 장치.
KR1020220097210A 2022-08-04 2022-08-04 능형망 제조 장치 KR102522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210A KR102522010B1 (ko) 2022-08-04 2022-08-04 능형망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210A KR102522010B1 (ko) 2022-08-04 2022-08-04 능형망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010B1 true KR102522010B1 (ko) 2023-04-14

Family

ID=85946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210A KR102522010B1 (ko) 2022-08-04 2022-08-04 능형망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0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32589A (zh) * 2023-05-18 2023-08-04 广东金大湾新材料有限公司 金属菱形扩展网折边整形一体机
CN116984528A (zh) * 2023-09-26 2023-11-03 承德县国晟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数控菱形网编织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399Y1 (ko) 1992-02-14 1994-03-16 변철수 철망 제조장치
KR20030043561A (ko) * 2001-11-23 2003-06-02 정기관 가시철망과 철망 및 그 제조장치
KR20050034047A (ko) * 2003-10-08 2005-04-14 유재순 철망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392812Y1 (ko) * 2005-05-18 2005-08-17 정광희 철망 제조장치
KR20200122858A (ko) * 2019-04-19 2020-10-28 안승환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KR102396989B1 (ko) * 2017-10-12 2022-05-12 지오브러그 아게 와이어 네팅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399Y1 (ko) 1992-02-14 1994-03-16 변철수 철망 제조장치
KR20030043561A (ko) * 2001-11-23 2003-06-02 정기관 가시철망과 철망 및 그 제조장치
KR20050034047A (ko) * 2003-10-08 2005-04-14 유재순 철망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392812Y1 (ko) * 2005-05-18 2005-08-17 정광희 철망 제조장치
KR102396989B1 (ko) * 2017-10-12 2022-05-12 지오브러그 아게 와이어 네팅 시스템
KR20200122858A (ko) * 2019-04-19 2020-10-28 안승환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32589A (zh) * 2023-05-18 2023-08-04 广东金大湾新材料有限公司 金属菱形扩展网折边整形一体机
CN116984528A (zh) * 2023-09-26 2023-11-03 承德县国晟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数控菱形网编织机
CN116984528B (zh) * 2023-09-26 2023-12-12 承德县国晟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数控菱形网编织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2010B1 (ko) 능형망 제조 장치
DE69836286T2 (de) Gewebtes Material mit bandformigen Schuss und Kettfaden und Hilfsmitel zur Herstellung
CN1062562A (zh) 簇绒设备
KR101329103B1 (ko) 사조 권취 장치 및 방사기
JP2007512451A (ja) 房形成機械のためのゲートアセンブリ
CN101158089A (zh) 缝纫机的拉线器
US6453704B2 (en) Method of positioning a pulled fiber strand
DE19581887C2 (de) Nähmaschine, die einen Nähvorgang unter Verwendung einer Mehrzahl von Fadenarten durchführt
US7168377B2 (en) Wig making needle
CN1134390A (zh) 防止对绕在线轴上的线因抽打损伤的装置和方法
KR20100111909A (ko) 옷걸이 제조장치용 철사 직선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옷걸이 제조장치
KR100504986B1 (ko)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펀칭부
KR101395297B1 (ko) 종균 자동 삽입장치
KR20200025297A (ko) 로드 매트 직조기
DE2846517C3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Bahn aus einem in Zick-Zack-Form abgelegten Faserstrang
JP2000247426A (ja) スプリングフィーダー
KR100382041B1 (ko) 경사의 순서잡는 기계
DE19706073A1 (de) Stall-Entmistungsanlage
CN210573890U (zh) 超声波振动和垂直穿线装置
KR101537662B1 (ko)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KR100609317B1 (ko) 스팡글 부착장치의 다중스팡글 부착구조
KR100666474B1 (ko) 돌망테용 철망의 제조장치
KR200296972Y1 (ko) 인터레이스기의 노즐부 실 날림 방지용 가이드 텐션장치
DE102017119934B4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piralsieben aus einem Wendelverbund
DE4001761C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