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041B1 - 경사의 순서잡는 기계 - Google Patents

경사의 순서잡는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041B1
KR100382041B1 KR10-2001-0000954A KR20010000954A KR100382041B1 KR 100382041 B1 KR100382041 B1 KR 100382041B1 KR 20010000954 A KR20010000954 A KR 20010000954A KR 100382041 B1 KR100382041 B1 KR 100382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ation
guide piece
interlocking
present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867A (ko
Inventor
금교식
Original Assignee
금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교식 filed Critical 금교식
Priority to KR10-2001-0000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2041B1/ko
Publication of KR20020059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3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leasing warp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HWARPING, BEAMING OR LEASING
    • D02H9/00Leas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06Warp let-off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2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arp, e.g. cleaning, moisten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4Apparatus for threading warp stop-motion droppers, healds, or reeds

Abstract

본 발명은 원사를 종광에 통경하기 위해 순서를 잡기위한 기계에 관한 것이다.
특히, 경사빔에서 뽑아낸 경사를 빔의 순번에 따라 지지해주는 지지부와 걸림부를 구성한 다수의 안내편을 이용하여 경사의 순번을 자동지정해주는 경사의 순서 잡는 기계이다.
종래에는 이 작업이 별도로 구성된 아야기를 통해서 작업이 따로 이루어 진다.
이러한 작업과정은 번거럽고, 많은 비용이 들며, 별도의 아야기를 구입해야 한는 불이익을 감수해야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빔구분부, 걸림부가 구성된 안내편이 빔밍작업시(다수의 경사빔에 감겨진 경사들을 하나의 제직빔에 감아넣는 작업) 경사들에게 순서를 지정하는 야야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아야기에 의해 순서가 잡힌 경사를 이용하여 제직을 할 경우 실에 걸린 장력이 동일 하여 원단의 불량률을 최소화 할 수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경사의 순서잡는 기계{Machine to assign order of warp}
본 발명은 원사를 종광에 통경하기 위해 순서를 잡기위한 기계에 관한 것이다.
특히, 경사빔에서 뽑아낸 경사를 빔의 순번에 따라 지지해주는 지지부와 걸림부를 구성한 다수의 안내편을 이용하여 경사의 순번을 자동지정해주는 경사의 순서 잡는 기계이다.
일반적으로 원단의 제조과정을 보면 실을 뽑아내어 꼬고, 필요시 풀을 먹이는 싸이징 작업을 한다.
이후에 각각의 경사빔에 감겨진 경사를 빔밍작업(정경)을 통해 하나의 제직빔에 감아두고, 이 경사에 순서를 정하여 종광에 통경후 위사를 관통시켜 원단을 제직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중 특히 경사의 순서를 잡는 작업을 관련업계에서는 아야작업이라 통칭하고 있어 하기에는 아야작업, 아야기등으로 통칭하기로 한다.
그럼 여기서 이 아야작업을 개략적으로 보자.
싸이징 작업후 약 600본~1,800본으로 이루어진 경사빔을 여러게 조합하여 하나의 제직빔에 감는다.
이 제직빔을 위해 필요한 경사의 수는 원단에 따라 차이가 많지만 약 10,000본~25,000본 정도가 필요하는데, 이 많은 실(경사)에 순서를 정하는 작업이 뒤따르게 된다.
종래에는 이 작업이 별도로 구성된 아야기를 통해서 작업이 따로 이루어 진다.
이러한 작업과정은 번거럽고, 많은 비용이 들며, 별도의 아야기를 구입해야 한는 불이익을 감수해야 했다.
현 우리나라에 있는 제직공장의 대다수가 이러한 제작공정을 통해서 아야를 잡고 있으며, 약 10%정도는 제직빔에 경사를 감는 것과 동시에 아야를 잡을 수 있는 기계가 비취되어 있으나, 그 문제점은 다수 내포되어 있다.
그럼 도시된 도면과 함께 그 작업을 살펴보자.
종래기술의 아야잡는 모습이나, 본 발명의 아야잡는 모습은 유사하여 도시된 도 5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즉 다수의 경사빔에 감겨진 경사(약 600~1800본(本))들을 하나의 제직빔(3)에 감는 과정중 얇은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아야기를 통과하며 약 10,000~25,000본(本)이 그 순서가 정해지는 아야작업이 이루어 진다.
즉 도시된 도 6과 같은 좌.우연동부(10)가 약 10,000~20,000본(本)을 단단히 죄고 좌.우로 순차적으로 연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도 1에서 처럼 경사빔(2)의 순서에 따라 구분된 경사의 제1열은 도면에서 보이는 좌측으로 기울어진다.
이때 올림단(200)이 실린더나 체인에 의해 상승하여 경사를 받아내게 된다.
즉 기울어진 경사(1)는 안내편(201)에 접촉되어 안내편을 타고 있기에 올림단(200)의 승강은 제1열 1번 경사는 도시된 것처럼 올림단(200) 위로 올라서고, 제 1열 2번 경사는 제 2안내편을 타고 있기에 제 1올림단의 우측 밑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후 좌.우연동부(10)는 우측으로 연동하고 제 2열의 경사들을 우측으로 기울게 한다.
그후 또다시 올림단(200)은 상승하여 전 작업과 동일한 작업을 하되 제 2열의 경사들을 제 1열의 경사들과 사선으로 부딛치게 유지한다.
이러한 작업이 설치된 경사빔(2)의 개수와 같이 작업하고, 도시된 도 3의 형태처럼 제 1번 가름봉(61)을 끼워 순서를 잡는다.
제 1번 가름봉(61)을 끼운후 제 2번 가름봉(62)을 끼우는 작업을 위해 전술된 동일한 방법이 사용되는데 다른 점은 좌.우연동부(10)의 작업을 역으로 하는 것이다.
즉 제 1번 가름봉(61)을 끼우는 작업을 위해 좌.우연동부(10)의 처음작업이 서술된 것처럼 좌측으로 연동했다면, 제 2가름봉(62)을 끼우기 위한 작업을 위해서는 좌.우연동부(10)의 처음작업은 우측으로 연동하고 작업을 한다.
따라서 도시된 도 3의 형태로 경사들간에 몸통을 부딪쳐 순서를 형성하게 된다.
이 아야잡는 작업은 경사빔(2)에서 제직빔(3)에 경사를 감은 후 그 끝단부를 가지고 순서를 정하기에, 이 작업 후 모든 경사에 종광을 끼우는 작업인 통경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작업을 수행시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많이 나타났다.
그 문제점을 들어보자.
도시된 듯이 종래기술의 아야잡는 수단인 안내편과 올림단들은 고정된 형태로 올림단의 승하강운동을 허여한다.
따라서 많은 경사빔이나 제직빔의 형태나 그 길이에 대처하기 힘들다.
즉 경사빔의 좌우측길이는 서로 틀리고, 이에 감겨진 경사들의 본(本)수도 차이가 다반사이라 아야기로 접근해오는 경사의 폭은 서로 다르다.
도시된 도 2의 처럼 경사빔에 넓게 감겨 접근해오는 경사는 종래기술의 안내편에 도달해서는 그 폭을 좁혀 안내편과 안내편 사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그 역으로 좁게 감겨져 들어오는 경우에는 안내들에 의해 그 폭을 넣혀지게 되는 경우도 발생된다.
그후 제직빔에 감기는 형태에 따라 도시된 도 2 처럼 그 폭을 넓힐 수도 있다.
물론 더 좁힐 수도 있겠다.
이러한 모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은 실에 고루 부여되어야 할 장력에 문제점이 발생된다.
원단의 제직시 가장 중요한 문제점은 실의 장력을 동일 하게 유지해야 하는 일인데 종래기술의 아야기는 이러한 커다란 결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결점을 가진 아야잡는 수단인 안내편을 통과하며 장력이 흩틀어지게 감긴 제직빔의 경사는 다음작업인 제직의 과정에서 제작된 원단에 많은 불량률을 발생시켜 왔다.
본 발명은 빔구분부와 걸림부가 구성된 안내편이 빔밍작업시(다수의 경사빔에 감겨진 경사들을 하나의 제직빔에 감아넣는 작업) 경사들에게 순서를 지정하는 아야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감겨지는 경사는 스스로 그 폭을 조절하는 안내편에 의해 고르게 장력을 유지시키면서 순서를 정확하게 정해주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아야기의 작동상황을 정면에서 살펴본 실시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아야기의 작동상황을 평면에서 살펴본 예시도
도 3은 아야를 잡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아야기의 요부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업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의해 아야가 잡히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다수의 경사빔을 위치시킨 경사빔 다이와 제직빔 다이 사이에 위치하여 경사들의 순서를 잡는 아야기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 진다.
다수의 경사빔(2)의 개수에 따라 경사(1)들을 구분해주는 좌.우 연동가능하고, 회동가능하도록 다수의 끼워 넣을 수 있는 구분봉(34)을 구성한 사각프레임(35)을 가진 빔구분부(30)와;
실린더나 체인에 의해 순차적인 승.하강 운동이 가능하고, 다수(약 600~2500개)의 안내편(26)을 비취할 수 있는 안내편 승.하강이송구(20)와;
안내편 연동봉(23)이 끼워지는 하나의 좌.우 연동공(24)과 2개의 기립공(25)이 구성되고 하나 걸러서 걸림부(27)를 구성한 다수개의 안내편(26)과;
상기의 2개의 대각선으로 구성된 기립공(25)에 끼워지는 줄(25')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스로 그 폭을 조절하며 경사(1)의 순서를 잡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 연동공(24)에 연동공의 내주면의 면적보다 작은 안내편 연동봉을 끼우되, 자유롭게 늘어나고 좁아지는 스프링(50)을 그 외주면에 감아넣어 인위적으로 그 폭을 조절하며 경사(1)의 순서를 잡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들을 간략하게 설명하였고, 하기에는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전술된 종래기술 부분에서 경사(1)의 순서가 잡히는 과정(아야 작업)은 상세히 설명했기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시된 도 5에서처럼 다수의 경사빔(2)들이 비취되는 경사빔다이와 경사빔의경사들이 모여 감기는 제직빔(3) 이 비취되는 제직빔다이의 중간에 얇은 일점쇄선으로 구분된 본 발명인 경사의 순서잡는 기계(100,아야기)가 설치된다.
도시된 도 6에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경사빔(2) 측에서 뽑혀 나온 경사(1)들을 그 경사빔(2)의 순서에 따라 아래부터 구분봉(34)에의해 구분시키는 빔구분부(30)가 경사빔(2)측에 구성된다.
도시된 듯이 좌.우 연동가능한 슬라이딩 수단(31)이 구성된 지지대(32)의 상방향에는 각도 조절 및 유지가 가능한 힌지부(33)가 구성되어 있다.
이 힌지부(33)는 사각의 프레임(35)을 잡고 있는데, 이 프레임(35)의 내측에는 다수의 구분봉(34)을 끼고 뺄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경사빔(2)의 갯수에 따라 구분봉(34)의 갯수도 조절가능 하다.
본 기계(100)의 상단 타측에는 안내편(26)이 승하강 가능하도록 승.하강공간(20')이 구성되는데 이 공간에 안내편 승.하강이송구(20)가 설치된다.
이 승.하강이송구(20)의 형태는 도시된 도 4의 형태처럼 긴 장형의 프레임(21)이 있고, 적당부위에 승.하강수단(22)이 구성된다.
이 승.하강수단(22)은 실린더나 체인기어에 의해 자동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종래기술인 도 1에서 도시된 듯이 경사의 제 1열, 제 2열사이의 간격만큼 순차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이 승.하강이송구(20)의 내측에는 안내편(26)을 끼울수 있는 안내편 이송봉(23)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안내편 이송봉(23)에 끼워지는 다수(약 600~2500개)의 안내편(26)이 끼워져 좌.우측으로 이송봉(23)을 타고 이동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안내편(26) 사이 사이로 끼워진 경사(1)는 경사빔(2)에 감겨진 경사들의 폭에 따라 안내편(26)들을 적당한 위치로 스스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안내편(26)의 하단에 구성된 좌.우연동공(24)에 끼워진 이송봉(23)은 스스로가 안내편(26)을 기립할 수 있도록 유지시킴과 동시에 좌.우 연동가능 하도록 한 가이드의 역활을 한다.
더욱 확실한 기립을 위하여 안내편(26)의 하단에는 기립공(25)이 대각을 이루며 2개씩 구성되어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듯이 줄(25')을 끼워 구성할 수도, 생략할 수도 작업여건에 따라 변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시된 도 8에서 보여지듯이 좌.우연동공(24)에 좌.우 확장, 축소가 가능한 스프링(50)이 끼워져 작업시 경사들의 폭과, 감겨지는 제직빔(3)의 폭을 고려하여 폭조절을 할 수 있다.
도시된 도 8에서 보이듯 좌.우연동공(24)의 내주면보다 적은 면적을 보유한 안내편 이송봉(23')에 스프링을 감고, 이 스프링의 사이의 하나의 간격에 하나의 안내편을 구성시켜 안내편(26)의 폭을 자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아야작업을 수행시 적정길이 까지 스프링(50)을 늘이거나, 좁혀 놓고 작업을 시작하는 것이다.
각설하고 본 발명의 안내편(26)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은 안내편(26)의 중단부에 걸림부(27)가 구성된 안내편(26)들이 있는데, 하나 걸러서 안내편연동봉(23)에 끼워진다.
즉, 걸림부(27)가 없는 민자형의 안내편이 하나 구성되고, 다음에 걸림부(27)가 구성된 안내편이 하나구성된다.
이러한 수순이 전체적인 안내편(26)의 수(약 600~2500개)에 동일하게 적용되어 있다.
이 걸림부(27)의 작용은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올림단(200 ,도 1에 도시)의 역활을 수행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좌.우 연동부(10)는 좌.우측방향중 어느 일측으로 연동후 안내편(26)이 상승하여 민자형의 안내편은 경사를 밑으로 흘려보내고, 걸림부(27)가 구성된 안내편은 걸림부에 경사(1)를 하나 걸러서 모아두게 된다.
좌.우 연동부(10)의 작동은 공지된 것으로 도시된 도 7처럼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 1열의 경사(1)를 잡고, 다음은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 2열의 경사를 잡는다.
이러한 과정은 경사빔(2)의 갯수만큼 반복됨은 당연하다.
따라서 경사의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고, 낮아 도시된 도 3처럼 제 1번 가름봉(61)을 끼우고, 제 2번 가름봉(62)을 끼우는 작업을 반복한다.
경사의 순서가 잡히는 작동과, 과정은 종래기술 분야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경사빔에 감겨진 경사를 제직빔에 모아 감는 과정중 아야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그 작업시간의 단축을 가져온 유용한 발명이다.
이러한 아야기에 의해 순서가 잡힌 경사를 이용하여 제직을 할 경우 실에 걸린 장력이 동일 하여 원단의 불량률을 최소화한다.

Claims (2)

  1. 다수의 경사빔을 위치시킨 경사빔 다이와 제직빔 다이 사이에 위치하여 경사들의 순서를 잡는 기계(아야기)에 있어서,
    다수의 경사빔(2)의 개수에 따라 경사(1)들을 구분해주는 좌.우 연동가능하고, 회동가능하도록 다수의 끼워 넣을 수 있는 구분봉(34)을 구성한 사각프레임(35)을 가진 빔구분부(30)와;
    실린더나 체인에 의해 순차적인 승.하강 운동이 가능하고, 다수(약 600~2500개)의 안내편(26)을 비취할 수 있는 안내편 승.하강이송구(20)와;
    안내편 연동봉(23)이 끼워지는 하나의 좌.우 연동공(24)과 2개의 기립공(25)이 구성되고 하나 걸러서 걸림부(27)를 구성한 다수개의 안내편(26)과;
    상기의 2개의 대각선으로 구성된 기립공(25)에 끼워지는 줄(25')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스로 그 폭을 조절하며 경사(1)의 순서를 잡는것에 특징이 있는 경사의 순서잡는 기계.
  2. 제 1항에 있어서,
    좌.우 연동공(24)에 연동공의 내주면의 면적보다 작은 안내편 연동봉을 끼우되, 자유롭게 늘어나고 좁아지는 스프링(50)을 그 외주면에 감아넣어 인위적으로 그 폭을 조절하며 경사(1)의 순서를 잡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경사의 순서잡는 기계
KR10-2001-0000954A 2001-01-08 2001-01-08 경사의 순서잡는 기계 KR100382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954A KR100382041B1 (ko) 2001-01-08 2001-01-08 경사의 순서잡는 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954A KR100382041B1 (ko) 2001-01-08 2001-01-08 경사의 순서잡는 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867A KR20020059867A (ko) 2002-07-16
KR100382041B1 true KR100382041B1 (ko) 2003-04-26

Family

ID=2769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954A KR100382041B1 (ko) 2001-01-08 2001-01-08 경사의 순서잡는 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20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212B1 (ko) 2011-06-21 2012-04-02 김경순 직기의 경사 가이드 플레이트
KR101279668B1 (ko) 2011-10-17 2013-06-27 김용섭 자카드를 이용한 천연섬유사 제직장치
CN103590172A (zh) * 2013-11-25 2014-02-19 天津工业大学 碳纤维多层角联织机的收纱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5422B (zh) * 2017-01-18 2023-01-17 东丽酒伊织染(南通)有限公司 一种经轴纱线分绞装置及其分绞方法
KR102082726B1 (ko) 2017-08-03 2020-02-28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신경문합용 인공도관
CN112176488B (zh) * 2020-10-13 2022-10-11 江阴市华方新技术科研有限公司 一种自动分绞方法
CN112981674B (zh) * 2021-03-15 2022-07-19 安庆得发纺织有限公司 一种穿棕机快速送纱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885U (ko) * 1987-07-24 1989-03-25 금성전선 주식회사 콤바인 탈곡통의 스프링 급치
KR940022703U (ko) * 1993-03-12 1994-10-20 허위구 정경용 사침대
KR940022701U (ko) * 1993-03-12 1994-10-20 정경기 아야 분리 장치
KR970062370U (ko) * 1996-05-25 1997-12-10 주식회사욱일기계 정경용 사침바듸 및 정폭바듸의 상하 구동장치
JPH11200169A (ja) * 1997-10-08 1999-07-27 Okui Tekko Kk 部分整経機および整経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885U (ko) * 1987-07-24 1989-03-25 금성전선 주식회사 콤바인 탈곡통의 스프링 급치
KR940022703U (ko) * 1993-03-12 1994-10-20 허위구 정경용 사침대
KR940022701U (ko) * 1993-03-12 1994-10-20 정경기 아야 분리 장치
KR970062370U (ko) * 1996-05-25 1997-12-10 주식회사욱일기계 정경용 사침바듸 및 정폭바듸의 상하 구동장치
JPH11200169A (ja) * 1997-10-08 1999-07-27 Okui Tekko Kk 部分整経機および整経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212B1 (ko) 2011-06-21 2012-04-02 김경순 직기의 경사 가이드 플레이트
KR101279668B1 (ko) 2011-10-17 2013-06-27 김용섭 자카드를 이용한 천연섬유사 제직장치
CN103590172A (zh) * 2013-11-25 2014-02-19 天津工业大学 碳纤维多层角联织机的收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867A (ko) 200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041B1 (ko) 경사의 순서잡는 기계
DE302590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stellen einer webnaht als verbindung zweier gewebeenden
US4160467A (en) Hand loom having rotary heddle assembly
US5069256A (en) Loom harness system with spaced parallel rotating shafts
JPH0362810B2 (ko)
EP0534629B1 (en) A leno heald assembly
JP3426120B2 (ja) 織成機構及びそのような織成機構を備えたジャカード式織機
US4463782A (en) Shedding apparatus for circular weaving of multi-harness fabrics and method of using the apparatus
FR2779158A1 (fr) Methode et metier a tisser pour le tissage d'un tissu a poil
KR102073025B1 (ko) 보행용매트 직조장치
EP1375715B1 (de) Verfahren und Doppelflor-Webmaschine zur Herstellung von gemustertem Polgewebe
JP3401123B2 (ja) 部分整経機械のヤーン分割装置
JPH0411043A (ja) 三次元織物及びその製織方法
US4077437A (en) Apparatus for forming a double catch thread narrow weave
SU1527342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ткацкого берда с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вум измен ющимис по плотности зонами зубьев
CN87107869A (zh) 圆形织机
US5738151A (en) Seam loop form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WO2022191686A1 (fr) Système à lame unique pour la réalisation d'un tissu à pas de gaze
US3164883A (en) Comb for warp leasing
CA1078707A (en) Method of laying and preparing the warp for weaving on a loom
CN210438948U (zh) 一种刺绣机的悬挂式辅料安装结构
JP2635903B2 (ja) 自動綾取装置
JPH02449Y2 (ko)
SU1567669A1 (ru) Шпул рник текстильных машин,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сновальной
US2111937A (en) Lease form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