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045B1 - 편조기 - Google Patents

편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045B1
KR102521045B1 KR1020160156407A KR20160156407A KR102521045B1 KR 102521045 B1 KR102521045 B1 KR 102521045B1 KR 1020160156407 A KR1020160156407 A KR 1020160156407A KR 20160156407 A KR20160156407 A KR 20160156407A KR 102521045 B1 KR102521045 B1 KR 102521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ortion
braided yarn
tensioner
braided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7930A (ko
Inventor
박세환
문용균
이희성
Original Assignee
쿠퍼스탠다드오토모티브앤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퍼스탠다드오토모티브앤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퍼스탠다드오토모티브앤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6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0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57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조사의 상향 경로와 하향 경로를 형성하는 디플렉터, 상기 상향 경로로부터 상기 하향 경로로 편조사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리어 및 상기 디플렉터를 통과한 편조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편조사에 의한 직조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직조 작업 시 상기 편조사에 긴장력을 제공하는 텐셔너를 포함하는 편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조기{Weaving Machine}
본 발명은 편조사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호스의 내층을 이루는 격자형 편조사 층을 직조하기 위한 편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편조사가 상기 편조기 내의 구성들과 접촉될 때에 최소한의 마찰력을 받게 함으로써, 편조사의 이동 시간을 단축시킴에 따라 상기 편조사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편조기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 콤바인, 운반차 또는 굴삭기와 같은 농업용 또는 건설용 차량과, 가정용으로 흔히 사용되는 승용차 등의 모든 차량에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부로서 브레이크 오일의 이동 경로인 브레이크 호스가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크 호스는 오일 등의 유체의 공급과 회수가 이루어지도록 유연한 재료로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호스는 차량의 급출발 또는 급제동 시 오일의 급속 움직임에 의해 상기 호스의 일부분에 팽창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호스의 팽창은 브레이크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고, 적절한 오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대한 응답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브레이크 호스의 내층에는 격자 모양의 편조사 층이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편조사 층과 상기 브레이크 호스 사이에 켐 록과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종 재료인 양 구성을 접합시켰다. 다만, 상기 켐 록은 유럽에서 환경 규제 물질에 속할 정도로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재료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켐 록을 RFL(Resorcinol-Formaldehyde-Latex)로 대체한 친환경 브레이크 호스, 즉, RFL이 도포된 PET의 편조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67437호에는 고무호스용 강선 편조사를 편조하는 장치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문헌에 따른 편조장치는 상기 고무호스에 강선 편조사와 같은 보강재를 직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조장치는 강선 편조사를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강선 편조사에 의해 외측 호스가 내측 호스로부터 벌어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하는 예비성형다이를 포함한다. 즉, 상기 강선 편조사는 보빈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예비성형다이를 거쳐서 상기 내측고무의 외주면에 감기게 됨으로써, 상기 강선 편조사에 지속적인 탄성력이 가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문헌에 따른 편조장치는 직조 작업 시 상기 강선 편조사가 상기 예비성형다이 또는 롤러와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단선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편조장치의 작동 시, 상기 강선 편조사가 상기 편조장치의 일 구성에 접촉함으로써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마찰력에 의해 상기 강선 편조사의 이동 경로의 변화 또는 이동 속도의 저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강선 편조사는 직조 작업 도중에 단선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67437호.
본 발명은 브레이크 호스의 내층을 이루는 편조사 층을 제작하기 위한 편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편조사가 상기 편조기 내의 구성들과 접촉 시 최소한의 마찰력을 받게 함으로써, 상기 편조사의 이동 시간이 단축되어 상기 편조사의 단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편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편조사의 상향 경로와 하향 경로를 형성하는 디플렉터, 상기 상향 경로로부터 상기 하향 경로로 편조사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리어 및 상기 디플렉터를 통과한 편조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편조사에 의한 직조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직조 작업 시 상기 편조사에 긴장력을 제공하는 텐셔너를 포함하는 편조기를 제공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편조사가 텐셔너에 의해 보빈에서 풀릴 때부터 지속적으로 긴장력을 제공받으므로 상기 편조사의 얽힘 또는 꼬임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편조사와 접촉하는 편조기의 경사부가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됨에 따라 편조사의 단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텐셔너의 상부를 이루는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에 따라 상기 편조사의 단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편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편조기 중 텐셔너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편조기의 텐셔너에 마찰계수가 작은 재료를 도포하여 상기 텐셔너와 편조사 간의 마찰력이 감소함에 따라 편조사의 단선이 방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상기 텐셔너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텐셔너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편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편조기(1)는 편조사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디플렉터(10) 및 캐리어(20)를 포함한다. 상기 디플렉터(10)와 상기 캐리어(20)를 통과한 편조사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직조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는 텐셔너(100)로 이동된다. 상기 텐셔너(100)는 보빈으로부터 풀린 편조사에 지속적으로 긴장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디플렉터(10)는 상기 편조사의 상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상행부(11)와, 상기 편조사의 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하행부(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20)는 상기 상행부(11)로부터 상기 하행부(12)로 편조사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디플렉터(10)와 상기 캐리어(20)는 편조기(1)의 작동에 따라 회전 가능한 구성이고, 상기 텐셔너(100)는 상기 편조기(1)의 작동 여부에 관계없이 그 위치가 고정된 구성이다.
상기 편조기(1)의 작동에 따른 편조사의 이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 등의 작동에 따라 상기 편조기(1)에 동력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디플렉터(10)와 상기 캐리어(2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보빈으로부터 풀린 편조사는 상기 디플렉터(10)의 상행부(11), 상기 캐리어(20)의 상단, 상기 디플렉터(10)의 하행부(12), 상기 텐셔너(10) 및 상기 캐리어(20)의 하단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직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 호스의 내층에 격자형의 편조사 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텐셔너(10)에는 상기 편조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경사부(도 2의 도면부호 1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편조사는 상기 경사부와 접촉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직조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보빈으로부터 풀린 편조사는 상기 디플렉터(10)의 하행부(12)로부터 상기 텐셔너(10)의 경사부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편조사는 상기 경사부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동함으로써 직조가 이루어지게 되고, 그 이후에 상기 경사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캐리어(20)의 하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텐셔너(10)에 의해 편조사가 보빈에서 풀릴 때부터 지속적으로 긴장력을 제공받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편조사의 얽힘 또는 꼬임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텐셔너(10)의 세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편조기 중 텐셔너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텐셔너(100)는, 보빈으로부터 편조사의 풀림이 이루어질 때에 상기 편조기 내로 편조사의 진입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지지부(110), 상기 지지부(110)와 연결되고 하면을 이루는 하단부(130), 상기 하단부(13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면을 이루는 상단부(120) 및 상기 하단부(130)와 상기 상단부(120)를 연결하고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편조사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경사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10)의 일측에는 상기 텐셔너(10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홈(111)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홈(111)에 체결 부재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텐셔너(10)가 캐리어의 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보빈으로부터 풀린 편조사가 상기 지지부(110)에 걸림으로써, 직조 작업 시 상기 편조사의 팽팽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의 일측에는 상기 하단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하단부(130)는 상기 텐셔너(100)의 하부 형상을 이루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하단부(130)의 일측에는 편조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 기울어지는 경사부(1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편조사는 상기 경사부(140)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140)의 하측에 형성되는 경사부의 말단(145)과 상기 하단부(130) 사이에는, 상기 경사부(140)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50)는 상기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140)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될 때에 상기 편조사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경사부(140)의 일측에는 상기 하단부(130)와 대향하는 상단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상단부(120)는 상기 텐셔너(100)의 상부 형상을 이루는 구성이다.
단, 편조기(1)의 구동 시, 즉, 상기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를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동할 때에,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마찰력에 의해 상기 경사부의 상부에서 출발한 편조사는 상기 경사부의 하부 끝까지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편조사가 정상 경로를 이탈하여 원활한 직조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편조사의 단선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경사부(140)의 마찰 계수를 조절하거나 상기 상단부(120)와 상기 경사부(140) 사이의 각도(θ1)를 조절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부(140)를 마찰 계수가 작은 재료로 제조하면, 상기 경사부(140)와 상기 편조사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140)의 하부 끝까지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140)와 상기 상단부(120) 사이의 각도(θ1)를 작게 조절하면 상기 경사부(140)에 작용하는 수직항력(N)이 커짐으로써 상기 경사부(140)와 상기 편조사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140)의 하부 끝까지 이동될 수 있다.
위의 이론은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수학식 1]
DF = T-μN
여기서, DF는 경사부와 편조사 사이의 마찰력이고, T는 편조사의 강성이고, μ는 마찰계수이고, N은 상기 경사부에 작용하는 수직항력이다.
[수학식 2]
N = T/cos(90-θ1)
여기서, θ1는 경사부와 상기 상단부 사이의 각도이다.
위의 수학식들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경사부(140)와 편조사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경사부(140)의 마찰 계수를 조절하거나, 상기 경사부(140)와 상기 상단부(120) 사이의 각도(θ1)를 조절하는 방식이 있다.
먼저, 상기 경사부를 마찰 계수가 작은 재료로 제조하여 상기 경사부(140)와 상기 편조사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하는 내용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편조기의 텐셔너에 마찰계수가 작은 재료를 도포하여 상기 텐셔너와 편조사 간의 마찰력이 감소함에 따라 편조사의 단선이 방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도면부호 A는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와 접촉한 상태로 하향 주행 시 시간에 따른 편조사의 이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부호 A에 따르면, 상기 편조사는 상기 경사부의 하부 끝까지 이동함으로써 단선이 발생하지 않는 정상 구동 상태가 된다.
도면부호 B는, 도면부호 A와 마찬가지로 상기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와 접촉한 상태로 하향 주행 시 시간에 따른 편조사의 이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부호 B에 따르면, 상기 편조사는 상기 경사부의 하부 끝까지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A에 비해 L만큼 하향 이동되지 못하여 상기 편조사의 단선이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은 도면부호 A와 B의 이동 경로 차이는,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즉, 상기 도면부호 A는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이 최소로 작용하는 상태임에 비해, 상기 도면부호 B는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이 도면부호 A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기초로 고려하여 볼 때,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게 되면, 상기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의 하부 말단 부분까지 이동하게 되어 상기 편조사의 단선 발생이 방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마찰력을 줄이는 방법으로서, 도 3의 도면부호 A는 상기 경사부를 마찰 계수가 작은 재료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서 상기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의 하부 말단까지 이동하도록, 상기 경사부는 테프론 또는 크롬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상기 편조사와 접촉하는 상기 편조기(1) 내의 구성 재료가 스틸로 제조되었다. 상기 스틸은 마찰계수가 약 0.78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편조사와 접촉하는 경사부가 상기 스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작은 테프론 또는 크롬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경사부는 마찰계수가 약 0.04인 테프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마찰계수가 약 0.41인 크롬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경사부의 구성 재료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스틸에 비해 마찰계수가 작은 재료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사부는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은 재료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가 테프론 또는 크롬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은, 상기 경사부의 표면에 테프론 또는 크롬이 코팅되는 방식과, 상기 경사부의 표면이 테프론 또는 크롬으로 연마되는 방식과, 상기 경사부가 테프론 또는 크롬으로 제조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부가 상기 스틸에 비해 마찰계수가 작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방식은, 표면 코팅, 표면 연마 또는 상기 경사부 자체의 제작 재료 선택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는 다른 방식에 대한 내용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는 상기 경사부와 상기 상단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텐셔너(100)에 비해 상단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텐셔너(101)에 대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텐셔너(101)는 상단부(121)와 경사부(141) 사이의 각도(θ2)가 도 2에 도시된 텐셔너(100)의 상단부(120)와 경사부(140) 사이의 각도(θ1)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부(141)와 상기 상단부(121) 사이의 각도를 작게 조절하면 상기 경사부(141)에 작용하는 수직항력(N)이 커짐으로써 상기 경사부(141)와 상기 편조사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141)의 말단(146)까지 이동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서, 도 5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텐셔너(100)에 비해 걸림부(151)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텐셔너(102)에 대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텐셔너(102)는 경사부(142)와 연결되는 걸림부(151)의 길이가 도 2에 도시된 텐셔너(100)의 경사부(140)와 연결되는 걸림부(150)의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텐셔너(102)는 상단부(122)와 경사부(142) 사이의 각도(θ3)가 도 2에 도시된 텐셔너(100)의 상단부(120)와 경사부(140) 사이의 각도(θ1)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부(142)와 상기 상단부(122) 사이의 각도를 작게 조절하면 상기 경사부(142)에 작용하는 수직항력(N)이 커짐으로써 상기 경사부(142)와 상기 편조사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142)의 말단(147)까지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에 따른 상기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각도는 30도 이상이고 60도 이하일 수 있다. 즉, 상기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각도는 30도 이상이고 60도 이하일 때에 상기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의 말단까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각도는 43도일 수 있다. 다만,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142)의 말단(147)까지 이동 가능한 범위에서, 상기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각도는 이에 구속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편조사와 접촉하는 경사부를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로 제조하거나, 또는 상기 경사부와 상단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에 따라 상기 편조사의 단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고,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편조기 10: 디플렉터
20: 캐리어 100, 101, 102: 텐셔너
120, 121, 122: 상단부 130, 131, 132: 하단부
140, 141, 142: 경사부

Claims (9)

  1. 편조사의 상향 경로와 하향 경로를 형성하는 디플렉터;
    상기 상향 경로로부터 상기 하향 경로로 편조사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리어; 및
    상기 디플렉터를 통과한 편조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편조사에 의한 직조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직조 작업 시 상기 편조사에 긴장력을 제공하는 텐셔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조사는,
    상기 디플렉터의 상향 경로, 상기 캐리어의 상면, 상기 디플렉터의 하향 경로, 상기 텐셔너, 상기 캐리어의 하면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직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는,
    보빈으로부터 편조사의 풀림이 이루어질 때에 상기 편조기 내로 상기 편조사의 진입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고 하면을 이루는 하단부;
    상기 하단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면을 이루는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와 상기 상단부를 연결하고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편조사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경사부의 말단과 상기 하단부 사이에는,
    상기 편조사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경사부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서 상기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의 말단까지 이동하도록, 상기 경사부는 테프론 또는 크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가 테프론 또는 크롬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은,
    상기 경사부의 표면에 테프론 또는 크롬이 코팅되는 방식과, 상기 경사부의 표면이 테프론 또는 크롬으로 연마되는 방식과, 상기 경사부가 테프론 또는 크롬으로 제조되는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채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기.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서 상기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의 말단까지 이동하도록, 상기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각도는 30도 이상이고 6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각도는 43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기.
  9.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각도 조절 방식은,
    상기 상단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과, 상기 걸림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채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기.
KR1020160156407A 2016-11-23 2016-11-23 편조기 KR102521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407A KR102521045B1 (ko) 2016-11-23 2016-11-23 편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407A KR102521045B1 (ko) 2016-11-23 2016-11-23 편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930A KR20180057930A (ko) 2018-05-31
KR102521045B1 true KR102521045B1 (ko) 2023-04-11

Family

ID=6245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407A KR102521045B1 (ko) 2016-11-23 2016-11-23 편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0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6533A (en) 1983-08-26 1986-10-14 C. A. Weidmuller Gmbh & Co. Stripping device for coaxial cables
US5974938A (en) 1992-06-02 1999-11-02 Lloyd; Carter Francis Braiding machine
US8833224B2 (en) 2011-10-17 2014-09-16 Sequent Medical, Inc. Braiding mechanism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437B1 (ko) 2008-05-22 2010-07-01 주식회사 센텍 고무호스용 강선편조장치
KR101173615B1 (ko) * 2010-09-16 2012-08-13 디에치이앤이 (주) 캐리어 라인 편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6533A (en) 1983-08-26 1986-10-14 C. A. Weidmuller Gmbh & Co. Stripping device for coaxial cables
US5974938A (en) 1992-06-02 1999-11-02 Lloyd; Carter Francis Braiding machine
US8833224B2 (en) 2011-10-17 2014-09-16 Sequent Medical, Inc. Braiding mechanism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930A (ko)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6586B1 (en) Reinforced fabric elevator belt with improved internal wear resistance
US11498808B2 (en) Elevator bel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021339B2 (en) Brake hose for motor vehicle
KR102561066B1 (ko) 과편조 비금속 인장 부재
US10239731B2 (en) Belt including fibers
KR102521045B1 (ko) 편조기
EA035477B1 (ru) Блок с лифтовым канатом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лифтового каната в лифт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блока с канатом
KR101445652B1 (ko) 노출된 직조 섬유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트랙션 표면을 갖는 구동 조립체 및/또는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CN108177509B (zh) 用于遮阳屏的卷绕机构
JP5483426B2 (ja) ケーブル式操作装置
CN111792492B (zh) 具有织物结构的电梯承载部件
CN1087707C (zh) 纱线制动装置和导纱器
JP2020015566A (ja) 線状体引出し装置
JP5761228B2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マンコンベア用手摺
EP1526102B1 (en) Braking device of weft feeders for textile machines
US20170217716A1 (en) Hose manufacturing machine
JP2022525182A (ja) ばね束のための騒音防止要素
KR20210147285A (ko) 차량용 주차케이블장치
JP2017120112A (ja) 車両用ドラムブレーキ
JP2016037147A (ja) タイヤ用騒音低減装置
JP2009127708A (ja) スタビライザーブッシュ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