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826B1 -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826B1
KR102517826B1 KR1020220090906A KR20220090906A KR102517826B1 KR 102517826 B1 KR102517826 B1 KR 102517826B1 KR 1020220090906 A KR1020220090906 A KR 1020220090906A KR 20220090906 A KR20220090906 A KR 20220090906A KR 102517826 B1 KR102517826 B1 KR 102517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erbal medicine
solid content
medicin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홍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Priority to KR1020220090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23L27/34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6Spray-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분의 함량을 조절하는 고형분조절단계, 상기 고형분조절단계를 통해 고형분의 함량이 조절된 한약재 추출물에 부형제를 혼합하는 부형제혼합단계 및 상기 부형제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된 제조되는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은 성장이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에 도움이 되는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면서도 우수한 기호도와 보존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IMPROVING COMPOSITION THE HEALTH AND DEVELOPMENT OF GROWING CHILDREN WITH EXCELLENT PALATABILITY}
본 발명은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장이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에 도움이 되는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면서도 우수한 기호도와 보존성을 나타내는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성장은 대부분 사춘기 시기에 대부분이 진행되며, 이 시기에 적절한 영양섭취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성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성장기 어린이들의 뼈는 성인과는 달리 성장판이 열려있으며, 이 시기에 각종 영양성분의 충분한 섭취와 적절한 운동을 통해 성장판의 부위가 성장하여 전체적으로 키가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은 성장판은 남자의 경우 만16세, 여자의 경우 만14세 정도가 되면 닫히게 되므로 성장기 어린이들은 이 시기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받아 성장판의 성장을 도와야 하는데,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이 시기에 적절한 영양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성장이 미흡하게 이루어지는 성장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성장장애의 주된 원인을 신장이 허약하여 성장호르몬(HGH)의 분비와 뼈의 성장이 부진하게 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성장호르몬이 충분히 분비되고 촉진할 수 있는 환경과 음식 및 한약재 등의 섭취가 절실히 필요하다.
한편, 성장을 광의의 개념으로 정의하면 신장의 증가뿐 아니라 신체 각 기관의 크기와 기능의 증대를 포함하는 것이라 할 것이나, 이를 협의의 개념으로 정의하자면 신장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신장의 증가는 영양과 성장 호르몬에 의한 연골 조직의 합성, 골격 길이 성장 및 골격 조직의 광범위한 증식을 포함하는 골격대사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골(뼈) 조직은 특수하게 분화된 형태의 결합 조직으로, 간엽세포, 연골세포, 조골세포, 파골세포, 골수세포 등 여러 종류의 세포로 구성된 결합조직으로,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 양과 조골세포에 의한 골형성의 양 사이에는 균형이 유지되고 있는데, 성장기에는 조골세포에 의한 골 형성 능력이 최고치에 이르러 골형성 양이 골흡수 양을 훨씬 능가하게 되므로 뼈 성장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인간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유전적인 요인은 23%, 나머지 77%는 후천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는데, 후천적 요인 가운데 31%는 영양, 20%는 운동, 16%는 환경 및 나머지 10%는 기타 요인이 그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가와하다 아이요시, 1997 6 13, 『키가 크는 비결』, 제일미디어)
따라서, 유아 또는 성장기 어린이/청소년의 성장 촉진을 위해서는 영양의 균형화, 운동, 환경의 개선 등이 요구되지만, 이중에서도 영양의 균형화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영양의 균형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식생활 형태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으므로 그 대안으로 다양한 성장 촉진용 건강기능식품을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에 일반적인 성장 촉진용 건강기능식품은 단순히 성장을 위하여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 성분들의 조합에만 그치고 있어 아직도 그 효과가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성장에만 초점을 맞춰 제조된 건강기능식품은 유아 또는 성장기 어린이/청소년에게 근본적으로 요구되는 면역력 향상과는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성장 촉진용 건강기능식품은 어린이의 기호도가 낮아 섭취를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보존성이 낮아 장기간 섭취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497944호(2005.06.20.) 한국특허등록 제10-0887377호(2009.02.27.)
본 발명의 목적은 성장이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에 도움이 되는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면서도 우수한 기호도와 보존성을 나타내는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분의 함량을 조절하는 고형분조절단계, 상기 고형분조절단계를 통해 고형분의 함량이 조절된 한약재 추출물에 부형제를 혼합하는 부형제혼합단계 및 상기 부형제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황기 1 내지 2 중량부, 당귀 1 내지 1.5 중량부, 브로콜리 1 내지 1.5 중량부, 작약 1 내지 1.5 중량부, 백출 1 내지 1.5 중량부, 진피 1 내지 1.5 중량부, 길경 1 내지 1.5 중량부, 구기자 1 내지 1.5 중량부, 감초 1 내지 1.5 중량부 및 말린생강 0.5 내지 1 중량부를 혼합하고 85 내지 95℃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형분조절단계는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을 여과기에 투입하여 고형분의 함량을 4 내지 6%로 조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부형제혼합단계는 상기 고형분조절단계를 통해 고형분의 함량이 조절된 한약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부형제 4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부형제는 텍스트린, 말톡덱스트린, 유당(乳糖) 및 인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부형제혼합단계에서는 상기 한약재 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고결방지제 0.1 내지 1 중량부가 더 함유되며, 상기 고결방지제는 실리코알루민산나트륨 100 중량부, 난각칼슘 5 내지 20 중량부 및 폐각칼슘 5 내지 2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부형제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분무건조기에 투입하고 입구온도가 100 내지 140℃이며, 최종온도가 60 내지 90℃인 상태에서 분무건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부형제혼합단계와 상기 건조단계 사이에는 상기 부형제혼합단계를 통해 부형제가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천연감미료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천연감미료혼합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천연감미료는 말티톨, 자일리톨, 에스트리톨, 솔비톨, 프락토올리고당, 스테비오사이드 및 포도당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성장이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에 도움이 되는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면서도 우수한 기호도와 보존성을 나타내는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S101),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분의 함량을 조절하는 고형분조절단계(S103), 상기 고형분조절단계(S103)를 통해 고형분의 함량이 조절된 한약재 추출물에 부형제를 혼합하는 부형제혼합단계(S105) 및 상기 부형제혼합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S107)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S101)는 황기, 당귀, 작약, 백출, 진피, 길경, 구기자 및 감초 등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정제수 100 중량부에 황기 1 내지 2 중량부, 당귀 1 내지 1.5 중량부, 브로콜리 1 내지 1.5 중량부, 작약 1 내지 1.5 중량부, 백출 1 내지 1.5 중량부, 진피 1 내지 1.5 중량부, 길경 1 내지 1.5 중량부, 구기자 1 내지 1.5 중량부, 감초 1 내지 1.5 중량부 및 말린생강 0.5 내지 1 중량부를 혼합하고 85 내지 95℃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황기는 콩과(豆科, Leguminos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황기의 주피를 거의 벗긴 뿌리로, 자당, 글루코론산(glucoronic acid), 다종의 아미노산, 고미질, 점액질, 콜린(choline), 베타인(betaine) 및 엽산 등을 포함한다. 전통 한의학에서의 효능으로는 보기요약으로서 신체허약, 자한(自汗), 종기, 지갈(止渴), 복통, 신쇠(腎衰), 이농(耳聾), 허천(虛喘), 배농지통(排膿止痛), 음식무미(飮食無味), 식욕부진, 치질, 목적(目赤), 학질(栖疾), 탈항(脫肛), 자궁출혈, 부인대하, 월경불순, 산전산후일절병, 거담수(祛痰嗽), 두통, 석폐심화(潟肺心火), 이질 및 소아백병 등에 유효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10-0997215호에는 황기 추출물이 골길이 성장 장애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상기 당귀는 참당귀, 중국당귀 및 왜당귀로 분류되는데, 이 중 중국당귀는 신농본초경 중품에 수록된 이래 보혈활혈, 조경지통, 윤조활장 등의 효능으로 한의학 임상에서 많이 활용되는 한약재로서 약리작용으로는 혈액 및 조혈계통에 대한 작용, 자궁에 대한 작용, 심혈관 계통에 대한 작용, 면역계에 대한 작용, 진통작용, 소염작용, 항균작용, 간기능 보호작용, 항암작용 및 조혈작용(Zu,KJ et al,, Zhongyaotongbao, p39,1985)을 한다. 중국당귀의 성분으로는 링구스티라이드(ligustilide), n-부틸리덴프탈라이드(nbutylidenephthalide), 비타민 B12(vitamin B12) 및 엽산(folic acid)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어린이의 골길이 성장을 촉진하며 면역력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브로콜리는 설포라판(sulforaphane)을 주요 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데, 상기 설포라판은 항암효소 유도, 암세포의 아포토시스(apoptosis), 세포손상 억제, 혈관신생 억제 작용 등을 통해 암 예방 및 항암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면역증강과 해독효능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Fahey et al, 2002;Haristoy et al, 2003; Yanaka et al, 2009). 따라서, 상기 브로콜리는 어린이의 면역력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작약은 모란과 Paeoniaceae에 속한 Paeonia Lactiflora 품종으로서, 그 재배역사가 모란보다 오래되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씻은 뒤 말린 것 또는 끓는 물에 담갔다 꺼낸 뒤 말린 것을 작약 또는 백작약이라고 하고, 특히 작약의 뿌리를 적작약이라 하며, 작약 뿌리의 껍질을 벗긴 것은 백작약이라고 한다. 작약의 효능과 효과에 대해 서는 오래전부터 연구되어 왔으며, 특히 작약의 뿌리는 진통, 복통, 토혈, 빈혈, 타박상 등의 약재로 쓰였다. 또한, 뼈의 성장에 도움을 주며 뼈를 튼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백출은 국화과의 삽주(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또는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의 뿌리줄기 또는 주피를 제거하여 말린 약재로, 건비와 보비 처방에 많이 사용되며, 진정, 이뇨, 지한, 자양, 안태효과, 진통작용, 항염증작용, 혈당치저해효능, 혈압강하, 이뇨작용 등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어린이의 건강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진피는 열을 내리고 습을 말리는 효능이 있어 이질(痢疾), 대하(帶下), 다래끼, 안구충혈, 동통(疼痛), 해수천식(咳嗽喘息)에 쓰이며 진해거담(鎭咳祛痰) 작용을 하는데, 약리작용으로는 소염, 진통, 요산배설, 진해거담, 억균 작용이 보고된다.
또한, 상기 길경은 초롱꽃과의 도라지의 뿌리 또는 주피를 제거하여 만든 약재로, 뿌리가 단단하고 곧기 때문에 길경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등지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주된 성분으로는 사포닌(saponin) 계열이 잘 알려져 있으며, 길경의 생리활성으로는 간경화 억제(Choi, J H et al, Food Chem Toxicol, 56, 231-239, 2013), 항비만 및 인슐린 저항성 완화(Lee, C E et al,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2, 759143, 2012), 알레르기성 아토피 피부염 억제(Choi, J H et al, Environ Toxicol Pharmacol 33(3), 446-452, 2012), 항암 효과(Hong, S H et al, Journal of Life Science, 24(11), 1244-1251, 2014) 등이 보고되었는데, 어린이의 근육 손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기자는 가지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줄기는 가늘고 회백색이며, 가시가 있으며, 잎은 호생(互生)하는데 난상피침형(卵狀披針形) 또는 타원형이며, 여름에는 자색꽃을 피며 가을에는 장과로 붉은 과일을 맺게 된다. 이와 같은 구기자는 한국각지와 중국, 일본에 분포되어 있으며, 붉은 과실은 구기자라 하여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어린잎은 식용 가능하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실정이다. 구기자는 방약합편에 의하면, '그 맛이 단맛과 구수한 맛 등이 어울린 온화한 맛을 주며, 정신을 맑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풍을 쫓아내고, 근골을 튼튼히 하며, 양기를 북돋운다'고 언급하고 있으며, 현대생약학에 의하면, '구기자중의 betaine hydrochloride은 항지간 작용이 있어 간장병, 고혈압등의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withanolid는 당뇨병, 자양강장, 강정제로 작용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구기자의 효능은 정력강장, 성인병예방과 치료, 시력보호, 피부미용, 정신집중력향상, 청혈작용 등의 효능이 인정되고 있으며, 한방의 필수약제로 오랜세월 사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현대 의학계에 있어서는 드링크제 원료의 첨가제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특히, 음주자들이 복용하는 경우 지방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어린이의 골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말린생강은 생강(生薑)을 건조하여 제조되는데, 생강은 생강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생강 Zingiber officinale Rose의 신선한 근경으로 가을과 겨울에 채취하여 발근과 미사를 제거한 것이다. 정유와 진게롤(ginerol),쇼가올(shogaol) 등의 신미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자발운동 억제, 해열 진통작용을 가져 한방에서는 해표약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S101)에서 가열온도가 85℃ 미만이거나 가열시간이 10분 미만이면 상기에 나열된 한약재 성분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용출량이 저하되며, 상기 가열온도가 95℃를 초과하거나 가열시간이 30분을 초과하게 되면 한약재 성분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파괴되거나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고형분조절단계(S103)는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분의 함량을 조절하는 단계로,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을 여과기에 투입하여 고형분의 함량을 4 내지 6%로 조절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와 같이 고형분의 함량이 4 내지 6%로 조절된 한약재 추출물은 고형분이 제거되어 유효성분의 고농도로 농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형분의 함량이 4% 미만이면 고형분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의 과정이 지나치게 길어지며, 상기 고형분의 함량이 6%를 초과하게 되면 유효성분의 함량이 낮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부형제혼합단계(S105)는 상기 고형분조절단계(S103)를 통해 고형분의 함량이 조절된 한약재 추출물에 부형제를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고형분조절단계(S103)를 통해 고형분의 함량이 조절된 한약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부형제 4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부형제가 함유된 한약재 추출물은 부형제와 혼합된 후에 건조의 과정을 거치면 식감이나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분말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부형제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분말화공정의 효율성이 저하되며, 상기 부형제의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분말화공정의 효율성은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유효성분의 함량이 지나치게 줄어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때, 상기 부형제는 텍스트린, 말톡덱스트린, 유당(乳糖) 및 인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형제혼합단계(S105)에서는 상기 한약재 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고결방지제 0.1 내지 1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 고결방지제는 분말화 후에 분말화된 입자들이 뭉치는 것을 억제하여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결방지제는 실리코알루민산나트륨 100 중량부, 난각칼슘 5 내지 20 중량부 및 폐각칼슘 5 내지 2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고결방지제는 분말화된 입자들이 뭉치는 것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난각칼슘과 폐각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어린이 뼈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난각칼슘과 상기 폐각칼슘은 수분의 함량이 5% 이하가 되도록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에 상기 실리코알루민산나트륨과 혼합된 후에 고압 미분쇄의 과정을 통해 평균 입도가 4 내지 8㎛인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 고결방지효과적인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고결방지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고결방지제의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성대적으로 한약재 추출물의 함량이 지나치게 줄어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건조단계(S107)는 상기 부형제혼합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로, 상기 부형제혼합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분무건조기(Spray Dryer)에 투입하고 입구온도가 100 내지 140℃이며, 최종온도가 60 내지 90℃인 상태에서 분무건조하여 혼합물을 분말화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분무건조기의 노즐 분사 속도는 slow, 원액 교반기 회전 속도는 2000 내지 9000rpm이 바람직하며, 열풍공기량을 0.5m3/min로 조절하여 함수율이 5%가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건조단계(S107)를 거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가 완료되는데, 상기의 조성물은 분말상태로 제조되어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보존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부형제혼합단계(S105)와 상기 건조단계(S107) 사이에는 상기 부형제혼합단계(S105)를 통해 부형제가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천연감미료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천연감미료혼합단계(S106)가 더 진행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천연감미료가 더 함유되면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되는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기호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연감미료는 말티톨, 자일리톨, 에스트리톨, 솔비톨, 프락토올리고당, 스테비오사이드 및 포도당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천연감미료는 당함량이 낮고, 당에 의한 뭉침현상을 유발하지 않아 단맛을 부여하면서도 인체에 유익하며 보존성이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락토올리고당은 비소화성 당류로 인간의 소화효소로 분해되지 않아 칼로리가 낮으며 혈당지수도 상대적으로 낮고, 건강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대장에서 장내 유익균의 먹이로 활용되어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의 역할을 하며, 장내를 산성화하여 미네랄 성분의 용해도를 증가시켜 칼슘흡수를 촉진하고, 혈청지질 개선, 난충치성, 궤양성 대장염 예방 등의 기능성을 나타내며, 상기 자일로스는 자작나무나 옥수숫대 등에서 추출하는 성분으로 백설탕에 비해 당성분의 체내 흡수율이 낮은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상기 결정과당은 과일에 다량 분포하는 성분으로 적은 양으로도 우수한 단맛을 나타내면서도 낮은 당지수를 나타내며, 상기 스테비아는 잎에서 추출한 글리코시드로 단맛을 낸 것으로, 백설탕의 약 300배에 달하는 단맛을 낼 수 있으며, 칼로리가 거의 없어 혈당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효능을 나타내고, 상기 자일리톨은 자작나무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우수한 단맛을 나타내면서도 치아건강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에리스리톨은 옥수수에서 추출한 포도당을 발효하여 제조되는데, 백설탕에 비해 단맛은 덜하지만 당지수가 낮아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나타내고, 상기 알루로스는 무화과나 포도에 존재하는 당으로, 우수한 단맛을 내면서도 체중감량에 효능을 나타낸다.
상기 천연감미료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천연감미료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단맛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한약재 추출물의 제조
정제수 900g에 황기 15g, 당귀 10g, 브로콜리 10g, 작약 10g, 백출 10g, 진피 10g, 길경 10g, 구기자 10g, 감초 10g 및 말린생강 5g을 혼합하고 90℃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여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고결방지제의 제조
실리코알루민산나트륨 100g에 난각칼슘 12.5g 및 폐각칼슘 12.5g을 혼합하고 고압 미분쇄하여 평균 입도가 6㎛인 고결방지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을 여과기에 투입하고 여과하여 고형분의 함량을 5%로 조절하고, 고형분의 함량이 조절된 한약재 추출물 100 중량부와 부형제(덱스트린) 43 중량부를 교반기가 구비된 혼합장치에 투입하고 500rpm의 속도로 10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에, 제조된 혼합물을 분무건조기에 투입하고 입구온도가 120℃이며, 최종온도가 75℃이며, 노즐 분사 속도가 slow이며, 원액 교반기 회전 속도가 5500rpm의 조건에서 열풍공기량을 0.5m3/min로 조절하여 함수율이 5%가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는 과정을 통해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혼합물을 분무건조기에 투입하기 전에 상기 혼합물에 함유된 한약재 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고결방지제 0.5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천연감미료(스테비오사이드) 8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혼합물을 분무건조기에 투입하기 전에 상기 혼합물에 함유된 한약재 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고결방지제 0.5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천연감미료(스테비오사이드) 8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정제수 900g에 황기 15g, 당귀 10g, 브로콜리 10g, 작약 10g, 백출 10g, 진피 10g, 길경 10g, 구기자 10g, 감초 10g 및 말린생강 5g을 혼합하고 90℃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가열한 후에 열풍건조하여 분말형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과 상기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분말형 한약재 추출물의 맛, 식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완 보존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맛, 식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피시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5점 척도법으로 조사한 후에 평균값을 나타내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5점:매우 우수, 4점:우수, 3점:보통, 2점:나쁨, 1점:매우 나쁨
또한, 보존성은 실온과 상대습도(R.H.) 50±5%의 조건에서 24개월 동안 제조된 분말 성분에서 응집여부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응집 다량 발생, ○:응집 약간 발생, ×:응집 발생 없음}
<표 1>
Figure 112022076777349-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기호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보존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성장이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에 도움이 되는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면서도 우수한 기호도와 보존성을 나타내는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S101 ;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
S103 ; 고형분조절단계
S105 ; 부형제혼합단계
S106 ; 천연감미료혼합단계
S107 ; 건조단계

Claims (8)

  1.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분의 함량을 조절하는 고형분조절단계;
    상기 고형분조절단계를 통해 고형분의 함량이 조절된 한약재 추출물에 부형제를 혼합하는 부형제혼합단계; 및
    상기 부형제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형분조절단계는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물을 여과기에 투입하여 고형분의 함량을 5%로 조절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부형제혼합단계는 상기 고형분조절단계를 통해 고형분의 함량이 조절된 한약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부형제 43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부형제는 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형제혼합단계에서는 상기 한약재 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고결방지제 0.5 중량부가 더 함유되며,
    상기 고결방지제는 실리코알루민산나트륨 100 중량부, 난각칼슘 12.5 중량부 및 폐각칼슘 12.5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형제혼합단계와 상기 건조단계 사이에는 상기 부형제혼합단계를 통해 부형제가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천연감미료 8 중량부를 혼합하는 천연감미료혼합단계가 더 진행되며,
    상기 천연감미료는 말티톨, 에스트리톨, 솔비톨 및 포도당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부형제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분무건조기에 투입하고 입구온도가 100 내지 140℃이며 최종온도는 60 내지 90℃이고, 열풍공기량을 0.5m3/min로 조절하여 함수율이 5%가 되도록 건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추출물제조단계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황기 1 내지 2 중량부, 당귀 1 내지 1.5 중량부, 브로콜리 1 내지 1.5 중량부, 작약 1 내지 1.5 중량부, 백출 1 내지 1.5 중량부, 진피 1 내지 1.5 중량부, 길경 1 내지 1.5 중량부, 구기자 1 내지 1.5 중량부, 감초 1 내지 1.5 중량부 및 말린생강 0.5 내지 1 중량부를 혼합하고 85 내지 95℃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090906A 2022-07-22 2022-07-22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17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906A KR102517826B1 (ko) 2022-07-22 2022-07-22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906A KR102517826B1 (ko) 2022-07-22 2022-07-22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826B1 true KR102517826B1 (ko) 2023-04-05

Family

ID=8588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906A KR102517826B1 (ko) 2022-07-22 2022-07-22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82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944B1 (ko) 2001-06-26 2005-06-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용 생약추출물
KR100780552B1 (ko) * 2007-06-22 2007-11-28 박종갑 한약재를 포함한 영·유아용 기능성 분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887377B1 (ko) 2007-03-09 2009-03-05 김재현 유아 및 청소년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JP2011132161A (ja) * 2009-12-24 2011-07-07 Lion Corp 成長ホルモン分泌促進剤
KR20140000464A (ko) * 2012-06-22 2014-01-03 (주) 젠셀 천연 발효물을 이용한 집중력향상 또는 성장발육촉진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0902A (ko) * 2015-06-24 2017-01-04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성장촉진용 조성물 및 제형화
WO2019245397A1 (en) * 2018-06-22 2019-12-26 "Bio 8", Limited Liability Company Dry concentrate for preparation of a protein cocktai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944B1 (ko) 2001-06-26 2005-06-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용 생약추출물
KR100887377B1 (ko) 2007-03-09 2009-03-05 김재현 유아 및 청소년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KR100780552B1 (ko) * 2007-06-22 2007-11-28 박종갑 한약재를 포함한 영·유아용 기능성 분유 및 그 제조방법
JP2011132161A (ja) * 2009-12-24 2011-07-07 Lion Corp 成長ホルモン分泌促進剤
KR20140000464A (ko) * 2012-06-22 2014-01-03 (주) 젠셀 천연 발효물을 이용한 집중력향상 또는 성장발육촉진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0902A (ko) * 2015-06-24 2017-01-04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성장촉진용 조성물 및 제형화
WO2019245397A1 (en) * 2018-06-22 2019-12-26 "Bio 8", Limited Liability Company Dry concentrate for preparation of a protein cocktai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40606A (zh) 调理八种偏颇体质的鹿胶保健品
CN1095952A (zh) 一种新型药茶的生产方法
CN103493941A (zh) 一种减肥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871932A (zh) 薜荔籽胶和薜荔籽胶凝胶粉的制备方法
CN109010371A (zh) 一种阿胶口服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115959A (zh) 一种保健茶饮料
CN107094974A (zh) 一种黑枸杞保健糖果及其制备方法
CN106562428A (zh) 一种美颜美体膏滋及其制备方法
CN101690602A (zh) 一种桔梗饮料的制作方法
CN109198538A (zh) 一种山楂六物膏的配方及制备方法
CN112167574A (zh) 一种新鲜龟苓膏及其制备方法
CN110151983A (zh) 一种用于补肾益气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3977206B (zh) 改善肠胃消化系统功能的中药制剂及其生产方法
CN105232911A (zh) 一种中药组合物
CN108813501A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102517826B1 (ko) 기호도가 우수한 성장기 어린이의 건강 및 발육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4586977A (zh) 苦丁茶颗粒剂及其生产方法
CN108902972A (zh) 一种木姜叶柯咀嚼片及其制备方法
CN104031806B (zh) 一种夏季调和养生酒及其制备方法
CN1156031A (zh) 一种降血铅的口服药剂及其制备方法
CN103704409B (zh) 一种凉茶及其制备方法
KR20120088264A (ko) 한약재와 아카시아꿀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KR20110025454A (ko) 감기에 좋은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1387A (ko) 갈화 추출물 및 차전자피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CN105998797B (zh) 以金花茶-石斛为原料的解酒颗粒剂及其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