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805B1 -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805B1
KR102516805B1 KR1020207029957A KR20207029957A KR102516805B1 KR 102516805 B1 KR102516805 B1 KR 102516805B1 KR 1020207029957 A KR1020207029957 A KR 1020207029957A KR 20207029957 A KR20207029957 A KR 20207029957A KR 102516805 B1 KR102516805 B1 KR 102516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lay
state
serve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2516A (ko
Inventor
도쿠시 나카시마
게이타 단죠
사토시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글로벌모빌리티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모빌리티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글로벌모빌리티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7044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4938A/ko
Publication of KR20200142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18Central base unlocks or authorises un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6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characterised by the challenge trigg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hiring of objects
    • G07F17/0057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hiring of objects for the hiring or rent of vehicles, e.g. cars, bicycles or wheelchai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26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G07C2009/0030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starting i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유저가 이용료를 지불하고 나서, 차량의 기동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의 타임 래그를 짧게 할 수 있는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차량의 기동 상태를 관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차재기기를 포함하는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금융 시스템에 액세스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차량에 관한 상기 금융 시스템을 통한 소정의 요금의 지불 상태를 감시 가능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에 관하여 소정의 요금이 지불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통신 수단, 휴대 단말, 및 IC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을 상기 차재기기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본 발명은 차재기기를 탑재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이용하는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판매나 자동차 리스(lease)의 업계에 있어서는, 엄격한 파이낸스 여신 심사를 통과하지 못하면 차량을 입수할 수 없었지만, 오늘날에는, 지불 능력은 있지만 종래의 여신 심사에는 통과하지 못했던 층에 대해서, 여신 심사를 생략하여 차량을 제공하고, 소정의 기한 내에 이용 요금(예를 들면 월액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을 원격으로 정지시키는 것과 함께, 해당 차량의 위치를 특정하여 회수하는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에서는, 지불이 없는 경우에 일단 정지 상태로 된 차량은, 그 후 지불이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다시 원격으로 사용 가능 상태로 되어, 유저는 다시 차량을 이용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차량에 원격 제어 기능이 있는 차재기기를 탑재하고, 이 차재기기를 네트워크로 통신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차량을 원격 제어하거나, 차량의 정보를 서버로 수집하거나 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에 접속된 차량의 것을, 커넥티드 카라고 칭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유저에 의한 소정 기한 내의 이용료의 지불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차량의 엔진이 기동중이 아닌 것 등의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켰을 때에, 서버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차량의 기동 제한을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동 제한 후에 유저로부터 이용료의 지불이 이루어진 것이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서버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차량의 기동 제한을 해제하기 위한 원격 제어를 실행한다. 이 기동 제한의 해제에 의해, 유저는 다시 차량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도, 차량에 원격 제어 기능이 있는 차재기기를 탑재하고, 이 차재기기를 네트워크에 통신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차량을 원격 제어하거나, 차량의 정보를 서버로 수집하거나 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유저에 의한 소정 기한 내의 이용료의 지불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켰을 때에, 서버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차량의 기동 제한을 행하는 것이다. 이 소정의 조건에는, 차량의 엔진이 오프로 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되어 있는 것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기동 제한 후에 유저로부터 이용료의 지불이 이루어진 것이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특허문헌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버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차량의 기동 제한을 해제하기 위한 원격 제어를 실행한다. 이 기동 제한의 해제에 의해, 유저는 다시 차량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국제공개특허 WO2016/167350 A1 일본 특허 제6238038호 공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시스템에서는, 모두 기동 제한 후에 유저로부터 이용료의 지불이 이루어진 것이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서버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차량의 기동 제한을 해제하기 위한 원격 제어를 실행한다. 그렇지만, 기동 제한 후에 유저로부터 금융 시스템을 통해서 (금융기관에 대해서) 이용료를 지불하고 나서, 그 지불을 확인하여 서버로부터 기동 제한을 해제하는 지령을 발생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시간이 걸리고 있었다.
또한, 서버로부터 기동 제한을 해제하는 지령이 발생되어도, 차재기기가 슬립 상태였을 경우에는, 소정의 기동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한, 서버로부터 기동 제한을 해제하는 지령이 발생되어도, 전파 상태가 나빠 서버로부터의 기동 제어를 해제하는 지령이 차재기기에 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의 기동 제한을 해제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차량을 곧바로 이용하고 싶은 유저에게 있어서, 이용료를 지불하고 나서, 실제로 차량의 기동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시간이 문제가 되고 있었다. 예를 들면 차량이 개인 택시 등인 경우에는, 곧바로 택시에 의한 영업을 행하고 싶어 하는 유저의 요구는 높아, 개인 택시의 운전자에게 있어서는, 이용료를 지불하고 나서, 실제로 차량의 기동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의 시간은 중요한 문제이다.
추가로, 카셰어링이나 카 렌털의 분야에 있어서도, 이용 요금의 지불 후에 차량의 사용을 허가하는 경우에는, 이용 요금의 지불로부터 실제로 차량의 기동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타임 래그가 있으면 문제되며, 또한 차량 기동 제어를 위해서는, 차량의 키 관리 상의 문제도 발생한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원의 과제는, 유저가 이용료를 지불하고 나서, 차량의 기동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의 타임 래그를 짧게 할 수 있는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과제는, 금융 시스템과의 연동에 의해, 유저가 이용료를 지불하고 나서, 서버에 있어서 그 지불이 확인될 때까지의 타임 래그를 짧게 할 수 있는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과제는, 전파 상태가 나쁜 상황이어도, 차량의 기동 제한을 해제할 수 있는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과제는, 차재기기가 슬립 상태여도, 차량의 기동 제한을 해제할 수 있는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추가로, 본원의 다른 과제는, 차량의 키 관리가 용이한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기동 상태를 관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차재기기를 포함하는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금융 시스템에 액세스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차량에 관한 상기 금융 시스템을 통한 소정의 요금의 지불 상태를 감시 가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에 관하여 소정의 요금이 지불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통신 수단, 휴대 단말, 및 IC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을 상기 차재기기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은, 제1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금융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은, 제1 또는 제2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1) 상기 차재기기,
(2) 상기 휴대 단말, 및
(3) 상기 IC 카드
중 적어도 하나와의 사이에서,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을 통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은, 제1~제3 중 어느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및/또는 상기 IC 카드는, 상기 차재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을 통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은, 제1~제4 중 어느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에는, 상기 차재기기에 이용되는 인증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은, 제1~제5 중 어느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되는 차량의 기동 상태로서, 상기 차량의 도어록의 상태, 상기 차량의 엔진 기동 상태, 상기 차량의 이모빌라이저의 상태, 및 상기 차량의 시동용 푸시 버튼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차재기기는,
차량의 기동 상태를 관리하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차재기기로서,
상기 서버는 금융 시스템에 액세스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차량에 관한 상기 금융 시스템을 통한 소정의 요금의 지불 상태를 감시 가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에 관하여 소정의 요금이 지불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통신 수단, 휴대 단말, 및 IC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을 상기 차재기기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8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7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은, 릴레이 제어 지령을 포함하고,
상기 차재기기는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을 가지며,
상기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의 상황에 따라서 상기 릴레이 제어 지령의 채용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7 또는 제8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기는, 상기 차량에 기설된 도어키 스위치와 상기 차량에 기설된 도어록 액츄에이터 사이의 상기 차량에 기설된 배선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릴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릴레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차량에 기설된 도어록의 시정 또는 해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 양태의 차량은, 제7 ~ 제9 중 어느 양태의 차재기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은, 제7~제9 중 어느 양태의 차재기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2 양태의 서버는,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차재기기에 대해서,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을 제공하는,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상기 서버는 금융 시스템에 액세스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차량에 관한 상기 금융 시스템을 통한 소정의 요금의 지불 상태를 감시 가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에 관하여 소정의 요금이 지불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통신 수단, 휴대 단말, 및 IC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을 상기 차재기기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3 양태의 차량 기동 방법은,
차량의 기동 상태를 관리하고,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수단과,
금융 시스템에 액세스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차량에 관한 상기 금융 시스템을 통한 소정의 요금의 지불 상태를 감시 가능한 수단과,
상기 차량에 관하여 소정의 요금이 지불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통신 수단, 휴대 단말, 및 IC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을 차재기기에 제공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4 양태의 차량 기동 프로그램은, 제13 양태의 차량 기동 방법을 실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5 양태의 기억 매체는, 제14 양태의 차량 기동 프로그램을 기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유저가 이용료를 지불하고 나서, 차량의 기동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의 타임 래그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차량에 관하여 소정의 요금이 지불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통신 수단, 휴대 단말, 및 IC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을 차재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서버로부터 차재기기에 제어 지령을 제공하기 위한 매체를 복수 종류 준비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유저에게 있어서 편의성이 높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전파 상태가 나쁜 상황이거나, 혹은, 차재기기가 슬립 상태여도, 차량의 기동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제2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금융 시스템과의 연동에 의해, 소정의 요금의 지불 상태를 즉시 감시 가능하고, 유저가 이용료를 지불하고 나서, 서버에 있어서 그 지불이 확인될 때까지의 타임 래그를 짧게 할 수 있는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3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을 서버와의 사이에서 통신하는 수단이 복수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유저에게 편리한 수단에 의해 도어록의 시정·해정, 차량 기동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유저에게 있어서 편의성이 높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어, 차량의 키 관리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전파 상태가 나쁜 상황이거나, 혹은, 차재기기가 슬립 상태여도, 차량의 기동 제한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에 의한 지불이 확인되고 나서, 차량의 기동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의 타임 래그를 짧게 할 수 있는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제4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휴대 단말 및/또는 IC 카드를 이용하여 차량 기동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휴대 단말 및/또는 IC 카드를 이용하여, 전파 상태가 나쁜 상황이거나, 혹은, 차재기기가 슬립 상태여도, 차량의 기동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제5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제어 지령에 차재기기에 있어서의 인증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차재기기에 있어서 해당 인증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제어 지령을 대조할 수 있다.
제6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적어도, 차량의 도어록의 해정 및 시정, 또는, 차량의 엔진의 기동 가능 상태 및 기동 불가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제7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유저가 이용료를 지불하고 나서, 차량의 기동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의 타임 래그를 짧게 하는 차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차량에 관하여 소정의 요금이 지불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통신 수단, 휴대 단말, 및 IC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을 차재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서버로부터 차재기기에 제어 지령을 제공하기 위한 매체를 복수 종류 준비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유저에게 있어서 편의성이 높은 차재기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전파 상태가 나쁜 상황이거나, 혹은, 차재기기가 슬립 상태여도, 차량의 기동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제8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차량의 상황에 따라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를 제어함으로써, 차량 기동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제9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다양한 형식의 도어록 시스템에 대해서, 도어록의 시정 또는 해정을 제어할 수 있다.
제10 양태의 차량에 의하면, 제7~제9 양태의 차재기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제11 양태의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제7~제9 양태의 차재기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하는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제12 양태의 서버에 의하면, 유저가 이용료를 지불하고 나서, 차량의 기동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의 타임 래그를 짧게 하는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차량에 관하여 소정의 요금이 지불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통신 수단, 휴대 단말, 및 IC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을 차재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서버로부터 차재기기에 제어 지령을 제공하기 위한 매체를 복수 종류 준비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유저에게 있어서 편의성이 높은 서버를 제공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전파 상태가 나쁜 상황이거나, 혹은, 차재기기가 슬립 상태여도, 차량의 기동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제13 양태의 차량 기동 방법에 의하면, 유저가 이용료를 지불하고 나서, 차량의 기동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의 타임 래그를 짧게 하는 차량 기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차량에 관하여 소정의 요금이 지불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통신 수단, 휴대 단말, 및 IC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을 차재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서버로부터 차재기기에 제어 지령을 제공하기 위한 매체를 복수 종류 준비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유저에게 있어서 편의성이 높은 차량 기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전파 상태가 나쁜 상황이거나, 혹은, 차재기기가 슬립 상태여도, 차량의 기동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제14 양태의 차량 기동 프로그램에 의하면, 유저가 이용료를 지불하고 나서, 차량의 기동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의 타임 래그를 짧게 하는 차량 기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차량에 관하여 소정의 요금이 지불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통신 수단, 휴대 단말, 및 IC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지령을 차재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서버로부터 차재기기에 제어 지령을 제공하기 위한 매체를 복수 종류 준비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유저에게 있어서 편의성이 높은 차량 기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전파 상태가 나쁜 상황이거나, 혹은, 차재기기가 슬립 상태여도, 차량의 기동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제15 양태의 기억 매체에 의하면, 제14 양태의 효과를 달성하는 프로그램을 격납한 기억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서버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차재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도이다.
도 5는 릴레이값의 설명도로서, 도 5의 (A)는 기동 제어선이 1개인 차종인 경우의 설명도이며, 도 5의 (B)는 기동 제어선이 2개인 차종인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릴레이의 배선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메모리 내의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릴레이 제어부의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릴레이 감시부의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엔진 연동 제어부의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5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6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7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도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8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도이다.
도 18은 차종별 기동 불가 상태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 나타내는 각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를 예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이것들로 특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형태의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 형태 1]
도 1~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카 리스(car lease)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에 적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카 렌털 또는 카셰어링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어되는 차량의 기동 상태에는, 차량의 도어록의 상태, 차량의 엔진 기동 상태, 차량의 이모빌라이저의 상태, 및 차량의 시동용 푸시 버튼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도어록의 해정 및 시정이나 차량의 기동 가능 상태 및 기동 불가 상태의 전환이 포함된다. 본 시스템을 카 리스에 적용하는 경우, 유저에게 차량을 제공하고, 소정의 기한 내에 유저로부터 이용 요금(예를 들면 월액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을 원격으로 정지(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것과 함께, 해당 차량의 위치를 특정하여 회수하는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2는 유저에게 제공된 차량, 1은 차량(2)에 설치되는 차재기기, 3은 차재기기(1)와 통신하여 각 차량의 시정 및 해정을 관리하는 것과 함께 유저 단말(37)과 통신하여 차량의 예약을 관리하는 서버이다. 또한, 카 렌털 또는 카셰어링에 적용했을 경우에는, 특정 차량이 사전의 예약이 없이 사용되었을 경우, 예약에 대한 지불에 문제가 있는 경우, 사전의 연장 수속 없이 상기 예약의 기간을 초과하여 소정의 기간 이상 상기 특정 차량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상기 특정 차량을 사용하는 지리적인 범위가 예약시에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 또는 특정 차량의 사용의 양태가 예약시에 설정된 조건에 반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차량을 원격으로 정지(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것과 함께, 해당 차량의 위치를 특정하여 회수하는 서비스를 실현하는 것이다.
차재기기(1)는 1대의 차량에 1개 설치된다. 차재기기(1)의 차량(2)에의 설치 장소는, 차재기기(1)가 차량(2)을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어가 가능하기만 하면, 차량(2)의 어느 장소여도 상관없다. 차재기기(1)가 옵션인 경우에는, 조수석의 시트 아래 등의 설치 작업이 용이한 장소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난 방지의 관점에서, 차재기기(1)를 떼어내기 어려운 장소, 예를 들면 엔진룸의 하부나 계기판의 내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추가로는, 차재기기(1)를 차량(2)의 제조시에 미리 내장해 둘 수도 있다. 차재기기(1)는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수집한 차량(2)의 차량 정보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34)를 통해서 서버에 송신하는 것과 함께, 서버(3)로부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34)를 통해서 시정 지령, 해정 지령,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차량(2)의 도어록 액츄에이터(29) 및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도 3 참조)를 제어한다. 도어록 액츄에이터(29)를 제어함으로써, 유저 단말로부터의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에 기초하여, 서버(3)를 통함으로써, 차량의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을 원격으로부터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시정 지령, 해정 지령,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신호에는, 차재기기에 이용되는 인증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고, 이 인증 정보는 차재기기(1)에 있어서의 인증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이 인증 정보가 적절한 경우에, 시정 지령, 해정 지령,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신호가 차재기기(1)에 있어서 접수된다. 내연기관 자동차의 경우, 기동 불가 상태에서는 엔진을 시동할 수 없고(기동중의 엔진을 끊는 것은 아니며, 엔진의 재시동을 금지하는 것임.), 기동 가능 상태에서는 엔진을 시동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34)로서는, 차재기기(1) 및 서버(3) 간의 통신이 가능하기만 하면 임의의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2G, 3G, 4G, 5G, Wi-Fi(등록상표), WiMAX(등록상표), 무선 LAN, 비컨, 블루투스(등록상표), 지그비(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서버(3)는 유저 정보 관리부(38), 지불 상황 감시부(30), 원격 제어 지시부(31), 차량 정보 수집부(32) 및 송수신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지불 상황 감시부(30)는 금융 시스템(36)의 API(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39)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감시한다. 「API란, 어느 컴퓨터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의 기능이나 관리하는 데이터 등을, 외부의 다른 프로그램으로부터 호출하여 이용하기 위한 절차나 데이터 형식 등을 정한 규약을 말한다. (IT 용어 사전 e-Words)」이다. 외부의 다른 프로그램에서 범용적으로 이용되는 기능이, OS나 미들웨어 등의 플랫폼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 그 플랫폼의 기능을, 호출하여 이용하기 위한 절차를 정한 것이 API이며, 외부의 프로그램의 개발자는 API에 의해 각 기능을 호출하여 이용함으로써, 각 기능의 개발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지불 상황 관리부(30)는 금융기 시스템(36)의 API(39)를 이용함으로써, 유저에 의한 금융 시스템(36)을 통한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가 소정의 지불을 행한 것을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지불 상황 감시부(30)에 의해 감시된 리얼타임으로의 유저의 지불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카 렌털이나 카셰어의 경우에 유저 단말(37)과의 통신에 의해 차량의 예약을 관리하고, 예약 상황 및 지불 상황에 대응하여, 유저 단말(37)에 도어록 키 정보를 송신하는 것과 함께, 유저 단말(37)로부터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접수한다. 또한, 원격 제어 지시부(31)는 차재기기(1)에 대한 시정 지령, 해정 지령,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생성한다. 유저 정보 관리부(38)가 유저 단말(37)에 도어록 키 정보를 송신하는 것, 원격 제어 지시부(31)가 차재기기(1)에 대해서 해정 지령을 생성하는 것, 및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에 의해 엔진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것은, 「기동 불가 상태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것」에 상당한다. 차량 정보 수집부(32)는 차재기기(1)로부터의 차량 정보를 수집한다. 송수신부(33)는 차재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서버(3)는 관리자 단말(35)과 접속되어 있다.
유저 단말(37)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휴대 전화나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 단말이 바람직하고, 후술하는 실시 형태 2와 같이, 차량의 도어록 키로서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휴대 가능할 필요가 있고, 추가로, 차량(2) 및 유저 단말(37)에 GPS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2) 및 유저 단말(37)이 GPS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서버(3)는 차량(2)에 탑재된 GPS에 의해 차량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유저 단말(37)의 GPS에 의해 유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 단말(37)로부터 송신되는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이 유효한지, 무효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유저 단말(37)이 대응하는 차량(2)으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에 유저 단말(37)로부터 해정 지령이 송신되어도, 서버(3)에서는 당해 해정 지령은 무효라고 판단하여, 대응하는 차량(2)에 대해서 해정 지령을 송신하지 않는다. 한편, 유저 단말(37)이 대응하는 차량(2)에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에 유저 단말(37)로부터 해정 지령이 송신되면, 서버(3)에서는 당해 해정 지령은 유효라고 판단하여, 대응하는 차량(2)에 대해서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 여기에서는, 차량(2) 및 유저 단말(37)에 구비된 GPS 기능에 의해서, 차량(2) 및 유저 단말(37)의 거리를 검출했지만, 그 외의 구성에 의해서 차량(2) 및 유저 단말(37)의 거리를 검출해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유저 단말(37) 및 차재기기(1)에, 각각 특정 근거리 무선 통신의 송수신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저 단말(37)과 예약 차량(2)의 거리가, 유저 단말(37)로부터 차재기기(1)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에어리어 내인지 여부에 의해서 거리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서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등록상표), 지그비(등록상표), 적외선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er),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자택의 PC로부터 차량의 예약을 행했을 경우여도, 도어록 키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수신하고 있으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차량에 대해서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유저 단말(37)로서는 하나의 휴대 단말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스마트폰 및 태블릿 단말과 같은 복수의 휴대 단말 모두가 특정한 하나의 차량에 대해서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하는 등, 다종 다양한 형태가 포함된다.
지불 상황 감시부(30)는 금융 시스템(36)의 API(39)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할 수 있지만, 지불 상황 감시부(30)에 직접, 유저의 지불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마련해도 된다.
송수신부(33)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4)를 통해서, 복수의 차재기기(1)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도 1에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4)에 의한 통신, 및 유저 정보 관리부(38)와 유저 단말(37) 간의 통신을 별개로 도시하고 있지만, 무선 통신 네트워크(34)에 의해, 유저 정보 관리부(38)와 유저 단말(37) 간의 통신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즉, 유저 정보 관리부(38)와 유저 단말(37) 간의 통신도, 예를 들면 2G, 3G, 4G, 5G, Wi-Fi(등록상표), WiMAX(등록상표), 무선 LAN, 비컨, 블루투스(등록상표), 지그비(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관리자 단말(35)은 관리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수단과, 관리자로부터의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예를 들면 PC, 태블릿 단말, 휴대 단말 등으로 이루어진다.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는,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 키보드, 마우스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별도의 키보드 등을 생략할 수 있다.
서버(3)는 차재기기(1)로부터 정기적으로 수신하는 차량 정보로부터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차량 정보로서는, 차량의 도어록의 상황, 차량의 동력의 온·오프 정보, 전원 입력 검지 정보,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의 상태, 및 GPS에 의한 차량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3)가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소정의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중인지, 소정의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 차량을 주차중인지, 유저가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중인지, 혹은, 차량이 도난되었을 가능성이 있는지 등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차량이 사전의 예약이 없이 사용되었는지 여부의 판단, 예약에 대한 지불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의 판단, 사전의 연장 수속없이 예약의 기간을 초과하여 소정의 기간 이상 특정 차량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 특정 차량을 사용하는 지리적인 범위가 예약시에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 특정 차량의 사용의 양태가 예약시에 설정된 조건에 반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 각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의 판단, 대응하는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변경할지 여부의 판단, 후술하는 차량의 운행 상태의 판단 또는 후술하는 도난 발생시나 이상 발생시의 유저에게의 문의 및 경찰에게의 통보 등을 행할지 여부의 판단 등은, 서버(3)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그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관리자가 메뉴얼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서버(3)에 의해 자동화하면, 관리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한편, 이들 판단의 일부 또는 전부를 관리자가 메뉴얼로 행하도록 했을 경우에는, 서버(3)에 있어서 복잡한 조건 판단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버(3)의 구성을 간략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3)에 의해 자동적으로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카셰어링, 카 렌털의 경우, 유저가 차량의 수령 및 반환하는 주차장은, 복수 지점의 영업소(유인 혹은 무인의 주차장 등) 중에서, 사전에 등록되어 있다. 카 리스의 경우에도, 유저는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주차장을 사전에 등록하고 있다. 사전에 등록한 주차장에 상당하는 장소에서, 소정 시간 이상, 차량의 동력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중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사전에 등록된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서, 소정 시간 이상, 차량의 동력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 차량을 주차중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차량이 사전에 등록된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 있고, 차량의 동력이 소정의 시간 이상 오프 상태로는 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가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중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차량이 유저의 사전 등록한 범위로부터 소정 기간 이상 벗어나 있었을 경우에는, 차량이 도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별한다. 차량이 도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유저가 사전에 등록하고 있는 연락처에 그 차량 운행 상황을 통지하는 것과 함께, 도난의 유무의 문의를 행한다. 소정의 기간 내에 유저로부터의 회답이 없는 경우, 및 유저로부터 도난이라는 취지의 회답이 있었을 경우에는, 관리자에게 도난의 발생을 알리는 것과 함께, 차재기기(1)에 대해서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한다. 관리자는, 서버(3)로부터 도난 발생의 알림이 있었을 경우에는, 유저에게 연락을 취해 도난의 발생 상황을 확인한 다음, 필요에 따라서 경찰에게 차량의 도난을 통보한다.
또한, 차재기기(1)에는, 차재기기(1)를 차량(2)으로부터 탈거 또는 차재기기(1)에 접속되어 있는 배선의 단절 혹은 빠짐의 이상을 검출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이들 이상을 검출하면 차재기기(1)는 서버(3)에 이들 이상의 발생을 알린다. 이 알림을 받으면 서버(3)는 신속하게 관리자에게 통지를 행한다. 관리자는, 서버(3)로부터 이 이상의 통지가 있었을 경우에는, 유저에게 연락을 취해 도난의 발생 상황을 확인한 다음, 필요에 따라서 경찰에게 차량의 도난을 통보한다.
차재기기(1)를 차량(2)으로부터 탈거하는 경우로서, 예를 들면, (1) 절도범에 의한 도난인 경우, (2) 유저에 의한 차량의 악용인 경우, 및 (3) 미지불 유저에 의한 어쩔 수 없는 긴급시의 차량 이용인 경우가 상정된다. 차재기기(1)의 차량(2)으로부터 탈거로서, 항상 (1) 및 (2)와 같은 도난이나 악용인 경우를 상정하는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재기기(1)의 차량(2)으로부터 탈거로서, (3)과 같은 긴급시인 경우, 예를 들면 긴급환자의 이송을 상정하는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그 접속을 전환함으로써, 배선의 단절 혹은 빠짐시에, 기동 불능 상태로 하는 모드로 할지, 그렇지 않으면,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모드로 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래서, 차재기기(1)가 상기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 및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배선의 단절 혹은 빠짐시에, 관리자가 (1) 및 (2)와 같은 도난이나 악용인 경우를 상정하는 경우에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로 되도록 미리 설정하고, 관리자가 (3)과 같은 긴급시인 경우를 상정하는 경우에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가능 상태로 되도록 미리 설정해 두면 된다.
카 리스의 경우의 서버(3)에 있어서의 지불의 감시, 및 기동 가능 상태와 가동 불가 상태의 전환 제어 흐름의 예에 대해서,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A1에서 흐름이 시작한다. A2에서는, 차량의 납차(納車)시(출하시)에는, 차량의 기동이 가능하게 되도록, 차량의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기동 가능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A3에서는, 지불 상황 감시부(30)는 금융 시스템(36)의 API(39)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하고, A4에서는, 각 차량의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체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의 기간 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없을 때(A4에서 Yes인 경우)에는 A5로 진행한다. A5에서는, 유저에 대해서 요금 미납이기 때문에, 소정의 기간에 요금을 지불하지 않으면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한다는 취지를 경고하고, A6으로 진행한다. A4에서 No인 경우에는, A3으로 돌아간다.
A6에서는, 지불 상황 감시부(30)는 금융 시스템(36)의 API(39)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하고, A7에서는, 각 차량의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A7의 판단이 No인 경우에는, A8로 진행한다. A8에서는, 차량의 운행 상황을 확인한 다음,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차량(2)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하기 위해서, 서버(3)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차재기기(1)로 송신하고, A9로 진행한다. 차재기기(1)는,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취하면,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기 때문에, 대응하는 차량(2)은 기동 불가 상태, 즉,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에는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A4에서 Yes인 경우(체납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A5에서 일단 유저에게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한다는 취지의 경고를 행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A4에서 Yes인 경우에, 직접 A8로 진행하여,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체납의 검출시에 직접 A8로 진행하여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할지, 혹은, 일단 경고를 행하여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기 전에 소정의 유예기간을 줄지 여부는, 그 지역의 법령이나 상관행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한편, A7의 판단이 Yes인 경우에는, A3으로 되돌아가고, 지불 상황 감시부(30)는, 금융 시스템(36)의 API(39)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를 행한다. 서버(3)로부터 차재기기(1)에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없는 상태에서는, 통상,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기동 가능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의 기간 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있었을 경우(A7에서 Yes인 경우)에는, 서버(3)로부터 차재기기(1)로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기동 가능 상태의 설정 그대로이며, 대응하는 차량(2)은 기동 가능 상태, 즉, 내연기관 차량인 경우에는 엔진의 시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A9에서는, 유저에 대해서 요금 미납이기 때문에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인 것을 알리는 것과 함께, 소정의 기간을 지정하여 소정의 요금을 지불하도록 촉구하고, A10으로 진행한다. A10에서는, 지불 상황 감시부(30)는, 금융 시스템(36)의 API(39)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하고, A11에서는, 해당 차량의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A11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지불 있음의 경우)에는, 서버(3)는 대응하는 차량을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해서,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차재기기(1)로 송신한다. 차재기기(1)가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면,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되어, 대응하는 차량은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된다.
이용 요금이 월액 요금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전월의 25일까지 소정의 금액이 지불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A4에 대응). 소정의 지불이 행해져 있지 않을 때에는, 유저에 대해서 체납인 것 및 1주간 이내에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불능 상태로 한다는 메시지를 송신한다(A5에 대응). 이 메시지의 송신으로부터 1주간 이내에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의 운행 상황을 확인한 다음,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서버(3)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차재기기(1)에 송신한다(A8에 대응). 차량을 기동 불가능 상태로 한 후, 소정의 기간 예를 들면 1개월이 경과해도 유저로부터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A11의 판단에서 No인 경우)에는, 관리자는 차량 정보 수집부(32)로 수집된 특정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당해 차량을 회수하는 절차를 행한다(A14에 대응, 그 후에는 A15에서 종료하게 되어, 처리를 종료함).
한편,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차재기기(1)에 송신한 후에, 소정의 기간 내에 유저에 의한 소정의 금액의 입금이 확인되었을 때(A11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에는, 서버(3)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차재기기(1)에 송신하여, 다시,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한다(A12에 대응). 또한, 서버(3)로부터 차재기기(1)에 기동 불가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없는 상태에서는, 통상,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기동 가능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대응하는 차량은 기동 가능 상태로 된다. 따라서, 매월 25일까지 소정의 요금의 지불을 완료하고 있으면, 유저는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A8에서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고, A9에서 유저에게 소정의 지불을 촉구한 후, 유저는 곧바로 차량을 사용하고 싶다면, 신속하게 소정의 지불을 행하게 된다. 이 경우, 유저는 곧바로 차량을 사용하고 싶은 상황이기 때문에, 소정의 지불이 행해지고 나서 실제로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될때까지 타임 래그가 있으면, 곧바로 차량을 사용하고 싶은 유저에게 있어서는 불이익이어서, 문제가 있다. 그래서, A10에 있어서 금융 시스템(36)의 API(39)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하고 있기 때문에, A11에 있어서는 유저로부터 소정의 지불이 있었던 것을 리얼 라임으로 파악할 수 있고, A12에 있어서, 소정의 지불이 있고 나서 곧바로 서버(3)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차재기기(1)로 송신하여, 다시,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여, A13에서 리턴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카 리스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카셰어링 또는 카 렌털의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도어록 키의 시정 및 해정의 제어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에 의한 차량의 기동 가능 상태와 기동 불가능 상태의 전환 제어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면 카셰어링 또는 카 렌털의 경우에는, 유저가 유저 단말(37)로부터 서버(3)의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대해서 특정 차량의 예약을 행할 때에, 인터넷 뱅킹이나 카드 결제 등의 사용 요금 지불의 결제 절차가 완료된 후에,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에 대해서, 도어록 키 정보를 송신한다. 유저는 이 도어록 키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3)를 통해서 차량의 도어록의 해정 및 시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3)는, 유저의 지불 상황, 및 차량의 상황 등에 따라서, 차량(2)의 기동 가능 상태 및 기동 불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금융 시스템(36)의 API(39)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함으로써, 유저로부터 소정의 지불이 있었던 것을 리얼 라임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유저가 이용료를 지불하고 나서, 차량의 기동 제한이 해제되기(예를 들면, 도어록이 해정되거나, 혹은, 차량(2)이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되기)까지의 타임 래그를 짧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작하여 차재기기(1)의 구성과 차량(2)으로의 접속을 설명한다. 도 3은 차재기기의 블록도로서, 내연기관 차량에 접속하는 경우의 예이다. 또한, 도 1~도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11은 연산 처리를 행하는 CPU, 1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3)의 송수신부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 13은 엔진 기동 릴레이의 상태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이며,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구성되어 있고, 14는 차재기기의 각종 설정을 행하는 콘솔의 입출력부인 콘솔 입출력, 15는 차량(2)의 외부 배터리(21)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차재기기 내부의 배터리인 내부 배터리, 16은 차량(2)의 외부 배터리(21)로부터의 전원 입력을 검지하는 전원 입력 검지부, 17은 차량(2)의 주행 상태 식별선(ACC선, IG선)(22)에 접속되어 엔진의 온·오프 상태를 검지하는 IGN 입력 검지부, 18은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에 접속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 19는 차량(2)의 GPS(24)에 접속되어 차량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GPS 입출력부(도 3에서는, GPS I/O로 기재), 25는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에 접속되어, 외부 릴레이(28)를 통해서 도어록 액츄에이터(29)를 제어하는 내부 릴레이이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차재기기(1)는 도어록의 상황을 검출하는 도어록 검출 회로나,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차재기기(1)는 차속 펄스나 연료 센서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해 두어도 된다. 여기서, 외부 배터리(21)란, 차재기기(1) 내부의 내부 배터리(15)와 구별시킨 용어로서, 차재 배터리인 것을 의미한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차량(2)의 엔진 기동 제어선(ST선)에 접속되어 있고, 도 3에서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차량(2)과 차재기기(1) 사이에 나타내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차량(2)의 엔진룸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고, 외부에서 눈으로 볼 수 없는 장소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절도자 혹은 유저가 고의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떼어내는 것은 가능하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다.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은,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가 기동 불가 상태에 있는지 기동 가능 상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과 함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 또는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전원 입력 검지부(16)와 외부 배터리(21), IGN 입력 검지부(17)와 주행 상태 식별선(22),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과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 GPS 입출력부(19)와 GPS(24), 내부 릴레이(25)와 도어록 액츄에이터 회로(26)는, 각각 CAN 등의 차량 LAN을 통하는 일 없이, 각각 직접 개별의 배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CAN 등의 차량 LAN을 이용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CAN 등의 차량 LAN에 의한 시큐리티에 대해서는 취약하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일은 없다.
차재기기(1)는 내부 배터리(15)의 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내부 배터리는 항상 차량(2)의 외부 배터리(21)의 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있고, 차재기기(1)가 탈거되었을 경우, 충전 라인이 단절 또는 빠졌을 경우 등의 이상시여도, 소정의 시간, 차재기기를 계속 구동시킬 수 있고, 이 때문에, 이러한 이상의 발생을 현재지 정보와 함께 서버(3)에 알릴 수 있다. 또한, 최근의 현재지 정보 그 외의 정보는 메모리(13)에 격납되어 있다.
CPU(11)는 무선 통신 모듈(12), 메모리(13), 콘솔 입출력(14), 내부 배터리(15), 전원 입력 검지부(16), IGN 입력 검지부(17),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 GPS 입출력부(19), 내부 릴레이(25), 도시되지 않은 도어록 검출 회로 및 도시되지 않은 가속도 센서에 접속되어 있다. 차량 정보 검출 수단으로서는, 전원 입력 검지부(16), IGN 입력 검지부(17), GPS 입출력부(19), 도어록 검출 회로 및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은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를 검출하는 것과 함께,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나 기동 가능 상태 중 어느 한쪽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도 차량 정보로서 사용 가능하다.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는 도어키 스위치(27), 외부 릴레이(28) 및 도어록 액츄에이터(29)를 포함하는 회로이다. 도어키 스위치(27)는 메카니컬 키, 스마트키 등에 의해 조작되어, 도어록 액츄에이터(29)를 제어함으로써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에는, 도어키 스위치(27)의 조작과는 별개로, 내부 릴레이(25)의 조작에 의해 외부 릴레이(28) 및 도어록 액츄에이터(29)를 제어함으로써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을 행할 수 있는 회로가 구비되어 있다.
<내부 릴레이 및 외부 릴레이에 의한 도어록 시정 및 시정의 동작>
도 4를 참조하여, 내부 릴레이 및 외부 릴레이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의 배선도이다. 이 회로에서는, 시정선(63) 또는 해정선(64)을 어스에 접속함으로써 도어록을 시정 또는 해정한다. 도어키 시정 스위치(85) 및 도어키 해정 스위치(86)와, 도어록 액츄에이터(29) 사이에 제1 내부 릴레이(61) 및 제2 내부 릴레이(62)를 구비하는 차재기기(1)를 접속하고 있다. 차재기기(1)의 제1 내부 릴레이(61) 및 제2 내부 릴레이(62)를 조작함으로써, 제1 외부 릴레이(65) 및 제2 외부 릴레이(75)를 통해서 도어록 액츄에이터(29)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록 액츄에이터(29)는 예를 들면 정역(正逆) 회전 가능한 직류 모터로서, 이 직류 모터의 양단에는 각각, 상시는 12V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시정선(63) 및 해정선(64)이 접속되어 있다. 시정선(63)은 제1 외부 릴레이의 단자(70)에 접속되어 있다. 해정선(64)은 제2 외부 릴레이(75)의 단자(80)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외부 릴레이의 단자(70)에 접속되어 있는 전환 접점(67)은, 상시는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1)측에 기계적으로 가압되고 있다. 코일(66)에 통전되면, 접점(67)은, 어스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2)로 전환된다. 코일(66)의 일단의 단자(68)는, 단자(71)와 같이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66)의 타단의 단자(69)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도어키 시정 스위치(85)의 일단에 접속되고, 도어키 시정 스위치(85)의 타단은 어스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키 시정 스위치(85)의 일단은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고, 제1 내부 릴레이(61)의 타단은 어스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외부 릴레이의 단자(80)에 접속되어 있는 전환 접점(77)은, 상시는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1)측에 기계적으로 가압되고 있다. 코일(76)에 통전되면, 접점(77)은, 어스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2)로 전환된다. 코일(76)의 일단의 단자(78)는, 단자(81)와 같이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76)의 타단의 단자(79)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도어키 해정 스위치(86)의 일단에 접속되고, 도어키 해정 스위치(86)의 타단은 어스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키 해정 스위치(86)의 일단은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고, 제2 내부 릴레이(62)의 타단은 어스에 접속되어 있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해정 지령이 송신되고,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로부터의 해정 지령이 유효라고 판단하면,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해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해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해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2 내부 릴레이(62)가 도통되면, 제2 외부 릴레이(75)의 코일(76)이 여자되고, 이것에 의해 상시는 12V 전원으로 가압되고 있는 제2 외부 릴레이(75)의 전환 접점(77)이 어스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2)측으로 전환된다. 그러면, 해정선(64)은 단자(80), 전환 접점(77), 단자(82)를 통해서 어스에 접속됨으로써,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의 일단은 어스 전위가 되고, 직류 모터의 타단에는 12V가 인가되고 있으므로,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해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어록을 해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2 내부 릴레이(62)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2 외부 릴레이(75)의 전환 접점(77)은 12V 전원에 접속된 단자(81)로 가압되어,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의 양단에 12V 전원이 인가되게 되기 때문에, 직류 모터는 동작을 정지한다.
한편,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시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시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시정 명령을 수신하면,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시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1 내부 릴레이(61)가 도통되면, 제1 외부 릴레이(65)의 코일(66)이 여자되고, 이것에 의해 상시는 12V 전원으로 가압되고 있는 제1 외부 릴레이(65)의 전환 접점(67)이 어스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2)측으로 전환된다. 그러면, 시정선(63)은 단자(70), 전환 접점(67), 단자(72)를 통해서 어스에 접속됨으로써,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의 타단은 어스 전위가 되고, 직류 모터의 일단에는 12V가 인가되고 있으므로,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전술한 해정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시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어록을 시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1 내부 릴레이(61)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1 외부 릴레이(65)의 전환 접점(67)은 12V 전원에 접속된 단자(71)로 가압되어,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의 양단에 12V 전원이 인가되게 되기 때문에, 직류 모터는 동작을 정지한다.
<차량 정보의 수집에 대해>
차재기기(1)는 소정의 주기, 예를 들면 30초 간격으로, 또는 차량 동력의 온 등의 특정 이벤트 발생시에, 혹은, 그 양방으로 차량 정보의 수집을 행하여, 서버(3)에 그 차량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의 차량 정보로서는, 전원 입력 검지부(16)로 검출되는 외부 배터리(21)로부터의 전원 입력의 정보, IGN 입력 검지부(17)로 검출되는 주행 상태 식별선(ACC선, IG선)의 정보, 예를 들면 엔진의 온, 오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으로 검출되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 GPS 입출력부(19)로 검출되는 GPS로부터의 위치 정보, 도시하지 않은 가속도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가속도의 정보, 차속 펄스의 정보, 연료 센서의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취득한 시각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GPS의 위치 정보로부터 속도를 연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3)에서는, 이들 차량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파악한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의 제어에 대해>
차재기기(1)가 서버(3)로부터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면, 그 제어값을 메모리(13)에 기억시키고, 그 값에 대응하는 상태로 되도록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제어한다.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은, CPU(11), 메모리(13), IGN 입력 검지부(17) 및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을 포함하고,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전환할 때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동력의 온, 오프 전환 타이밍을 고려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채용하는 경우와, 채용하지 않는 경우(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무시하는 경우)를 판별한다.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에는 동력의 온, 오프는, 예를 들면 IGN 입력 검지부(17)로 검출되는 주행 상태 식별선(ACC선, IG선)의 정보, 예를 들면 엔진의 온, 오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검출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내연기관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 기동 제어선(ST선)을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로 커트하는 경우(도 3의 경우)의 릴레이의 제어값(ST선 릴레이의 제어값)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A)는 엔진 기동 제어선이 1개인 차종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엔진 기동 제어선이 2개인 차종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처음에 도 5의 (A)의 엔진 기동 제어선이 1개인 차종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릴레이 A의 릴레이값은 열림(open)일 때 "0"이며, 닫힘(close)일 때 "1"이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은, "00" 및 "01"의 2종류로 된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00" 일 때에는, 스테이터스는 기동 가능 상태(통상), 차량 상태는 기동 가능으로 된다. 한편,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01" 일 때에는, 스테이터스는 기동 불가 상태, 차량 상태는 기동 불가로 된다.
다음으로 도 5의 (B)의 엔진 기동 제어선이 2개인 차종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릴레이 A, 릴레이 B 모두, 릴레이값은 열림일 때 "0"이며, 닫힘일 때 "1"이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은, "00", "01", "10" 및 "11"의 4종류가 된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00" 일 때에는, 스테이터스는 기동 가능 상태(통상), 차량 상태는 기동 가능으로 된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01" 일 때에는, 스테이터스는 의도하지 않은 값, 차량 상태는 기동 가능으로 된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10" 일 때에는, 스테이터스는 의도하지 않은 값, 차량 상태는 기동 가능으로 된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11" 일 때에는, 스테이터스는 기동 불가 상태, 차량 상태는 기동 불가로 된다.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는, CPU(11)와 메모리(13)와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을 포함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펌웨어의 결함에 의해,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본래 기동 가능 상태일 때에 릴레이 상태를 감시하고, 당해 감시에 의해 릴레이 상태가 기동 가능 상태 이외로 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릴레이 상태를 기동 가능 상태, 즉,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을 "00"으로 하고,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가능 상태로 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배선에 대해 설명한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접속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상시 열림(normal open)과 상시 닫힘(normal close)을 선택할 수 있다. 41은 전자석의 코일, 42는 스위치, 43과 44는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측의 단자, 45는 엔진 기동 제어선(ST선)측의 한쪽 단자, 46은 상시 닫힘 단자, 47은 상시 열림 단자이다. 스위치(42)는 상시 닫힘 단자(46)측에 스프링으로 가압되고 있으므로, 코일(41)에 통전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스위치(42)는 상시 닫힘 단자(46)측에 접촉하고 있다. 코일(41)에 통전되었을 때에는, 스위치(42)는 전자석으로 끌어당겨져, 상시 열림 단자(47)에 접촉한다. 따라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상시 닫힘형으로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ST선의 다른 쪽 단자를 상시 닫힘 단자(46)에 접속하고, 반대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상시 열림형으로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ST선의 다른 쪽 단자를 상시 열림 단자(47)에 접속한다.
도 3을 참작하여,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상시 닫힘형으로서 사용했을 경우와,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상시 열림형으로서 사용했을 경우의 차이를 설명한다. 전원 입력 검지부(16), IGN 입력 검지부(17),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 및 GPS 입출력부(19) 중 어느 적어도 하나에는, 배선의 단절 또는 빠짐을 검출하는 수단(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배선의 단절 또는 빠짐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배선의 단절 또는 빠짐에 수반하는 배선의 전압 변화를 이용한다고 하는 공지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입력 검지부(16)가 외부 배터리(21)로부터의 전원 입력을 검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 입력 검지부(16)와 외부 배터리(21) 사이의 배선에 단절 또는 빠짐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차재기기의 탈거에 대해서도, 이들 배선의 단절 또는 빠짐에 기초하여 검출할 수 있다. 배선의 단절 또는 빠짐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열림)로 할지, 혹은, 기동 가능 상태(닫힘)로 할지 중 어느 쪽으로 제어하도록 정해 둔다.
또한, 배선의 단절 또는 빠짐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제어하는 것과 함께, 무선 통신 모듈(12)을 통해서 서버(3)에 그 이상을 알린다. 서버(3)가 그 이상의 알림을 수신하면, 서버(3)는 신속하게 관리자에게 알림을 행한다. 관리자는, 서버(3)로부터 이 이상의 알림이 있었을 경우에는, 유저에게 연락을 취해 도난의 발생 상황을 확인한 다음, 필요에 따라서 경찰에게 차량의 도난을 통보한다. 한편, 차재기기(1)는, 상기 이상을 알리는 것과 함께, 차재기기(1)에 탑재된 경보기(도시 생략)에 의해 경보음을 울린다. 또한, 차재기기(1)에 경보기를 탑재하는 대신에, 차량의 경적, 헤드 램프, 방향 지시등, 해저드 램프 등을 이용하여 경보를 행할 수 있도록, 이들 제어 회로의 입력 단자에 차재기기(1)의 경보 출력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도록 배선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이상의 알림으로서, 배선의 단절 또는 빠짐을 검출했을 경우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차재기기(1)에 추가로 고장 검출 수단을 마련하고, 당해 고장 검출 수단이 차재기기(1)의 고장을 검출했을 경우에, 무선 통신 모듈(12)을 통해서 서버에 대해서 차재기기(1)의 고장을 알리도록 해도 된다. 서버(3)가 차재기기(1)의 고장의 알림을 수신하면, 서버는 이러한 고장의 발생을 관리자에게 통보하고, 이러한 통보를 받은 관리자는 해당하는 차량의 유저에게 연락을 취하고, 차재기기(1)를 수리 또는 교환하도록 준비한다.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과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 사이의 배선의 단절 또는 빠짐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코일(41)에의 전류 공급이 정지되기 때문에, 상시 닫힘형의 경우에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닫힘으로 되어, ST선이 접속된 상태로 되고, 상시 열림형의 경우에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열림으로 되어, ST선은 차단(커트)된 상태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차재기기(1)를 차량(2)으로부터 탈거하는 경우로서는, (1) 절도범에 의한 도난인 경우, (2) 유저에 의한 차량의 악용인 경우, 및 (3) 미지불 유저에 의한 어쩔 수 없는 긴급시의 차량 이용인 경우가 상정되는 바, 차재기기(1)의 차량(2)으로부터 탈거로서, 항상 (1) 및 (2)와 같은 도난이나 악용인 경우를 상정하는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로서 상시 열림형을 채용하고, 배선의 단절 또는 빠짐을 검출했을 경우에도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열림)로 제어하도록 미리 결정해 두면 된다. 한편, 차재기기(1)의 차량(2)으로부터 탈거로서, (3)과 같은 긴급시인 경우, 예를 들면 긴급환자의 이송을 상정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경우에 차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로서 상시 닫힘형을 채용하고, 배선의 단절 또는 빠짐을 검출했을 경우에도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가능 상태(닫힘)로 제어하도록 미리 결정해 두면 된다.
또한, 차재기기(1)는 전파 상황이 나쁜 경우로서, 서버(3)로부터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없더라도, 스탠드얼론으로 페일 세이프로 동작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파 상황이 나쁜 장소에서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되어, 기동 가능 정보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취할 수 없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차재기기는 전파 상황이 나쁠 때에는 통신의 리트라이를 반복하여, 통신을 확립하려고 한다. 소정 횟수, 예를 들면 20회 이상, 연속해서 리트라이 해도 통신을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신 불능이라고 판단하고,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가 기동 불가 상태일 때에는,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전파 상황이 나쁠 때에, 서버(3)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이 기동 불능 상태인 채 방치되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이 통신 불능일 때에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처리를 채용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차량의 출하시 등에 전환할 수 있다.
<전력 절약 모드에 대해>
내연기관 차량의 엔진이 오프일 때에는, 엔진이 오프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10분이 경과된 후에는, 외부 배터리(21)의 전력의 소모를 막기 위해서, 차재기기는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하여, 전원 관리와 같은 최저한의 기능 이외를 정지한다. 전력 절약 모드에서는, 전원 입력 검지부(16)와 IGN 입력 검지부(17)와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과 계시(計時) 회로(도시 생략)는 항상 기동하고 있지만, 그 외의 회로는 정지 상태로 되어 있다. 전력 절약 모드일 때에는, 차재기기(1)는 서버(3)와는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다. 전력 절약 모드일 때에, 전원 입력 검지부(16)가 전원 입력의 상실을 검출했을 경우, IGN 입력 검지부(17)가 엔진의 온 상태(ACC 온이나 IG 온)를 검출했을 경우, 및 계시 회로가 소정의 시간을 계시했을 경우(예를 들면, 1시간 간격으로)에는, 전력 절약 모드일 때에도 항상 기동하고 있는 대응하는 회로가 CPU에 인터럽트를 걸어 차재기기(1)를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전력 절약 모드일 때에도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에는 항상 전력이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해>
전술하는 바와 같이 차재기기(1)는 통상 모드에 있어서는 소정의 주기, 예를 들면 30초 간격으로, 또는 차량 동력의 온 등의 특정 이벤트 발생시에, 혹은 그 양쪽으로 차량 정보의 수집을 행하고, 서버(3)에 그 차량 정보를 송신한다. 항상 기동하고 있는 대응하는 회로가 CPU에 인터럽트를 걸어 차재기기(1)를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전환할 때에는, 차재기기(1)를 기점으로 하여 서버(3)와 통신을 행하고,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의 수신이나 차량 정보의 송신을 행한다. 통상 모드에 있어서는, 차재기기(1) 기점의 통신에 더하여 서버(3) 기점의 통신이 가능하고, 차재기기(1)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 등의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 전파 상황이 나쁠 때에는, 통신을 확립하기까지, 복수 회, 예를 들면 5회 정도의 통신을 반복하는 경우가 있다. 전파 상황이 나빠 통신을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도, 차재기기(1)는, 최근의 통신에 의해 서버(3)로부터 수신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으므로, 차재기기(1)는 스탠드얼론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차재기기(1)는 수집한 차량 정보를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으므로, 통신회선이 회복되었을 때에 그것들을 통합해서 서버(3)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전파 상황이 나쁜 경우에는,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게 해 두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전파 상황이 나쁘기 때문에, 기동 불가 상태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로의 변경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작하여, 메모리(13) 내의 구성을 설명한다. 메모리(13)는 통신부(50),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51),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55) 및 엔진 연동 제어부(57)로 이루어진 4개의 처리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51)는 엔진 기동 릴레이 설정값(52), 차종별 기동 불가 릴레이값(53) 및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을 포함하고,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55)는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56)를 포함하고, 엔진 연동 제어부(57)는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58), 엔진 정지 시각(59) 및 엔진 상태 재평가 기간을 포함하고 있다.
통신부(50)는 서버(3)와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 영역이다. 무선 통신 모듈(12)을 통해서, 차량 정보의 서버(3)로의 송신, 서버(3)로부터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의 수신을 행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는, 서버(3)로부터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에 의해 주어진 릴레이값에 대응하는 상태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이다.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5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설정된 기동 불가 상태·기동 가능 상태의 릴레이 상태값에 기초하여, 릴레이 상태가 기동 가능 상태가 아니면 안되는 상황, 즉, 초기 상태 또는 서버(3)로부터의 마지막 릴레이 변경 요구가 기동 가능 상태로의 변경인 경우에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감시하고, 이 감시의 결과,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가 기동 가능 상태 이외의 릴레이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동 가능 상태로 변경한다. 엔진 연동 제어부(57)는, 서버(3)로부터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했을 때, 과거 X분(예를 들면 2분) 동안에 엔진이 온으로 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무시하고, 기동 불가 상태로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실행하고 나서 Y초(예를 들면 5초) 동안에 엔진의 온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엔진 기동 릴레이를 기동 가능 상태로 변경한다.
여기서, X분을 예를 들면 2분으로 한 것의 근거를 설명한다. 엔진 정지후 10분 정도로 차재기기(1)는 전력 절약 모드로 전환되어, 전력의 소비를 억제한다. 전력 절약 모드의 상태에서 유저가 차량에 탑승하여 엔진을 시동하도록 키를 실린더에 꽂아, 이그니션 온 상태로 하면, IGN 입력 검지부(17)는 주행 상태 식별선(ACC선, IG선)(22)으로부터 엔진이 온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여, CPU(11)에 대해서 인터럽트를 걸어, 차재기기(1)를 통상 모드로 전환한다. 차재기기(1)가 통상 모드로 전환된 것을 서버(3)가 인식하기까지는, 전파 상황이 좋을 때에는 1분 정도, 전파 상황이 나빠 통신을 5회 정도 반복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1분 30초 정도 걸린다. 차량의 동력이 오프로 되고 나서 어느 정도의 기간은 기동 불가 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채용하지 않는(무시하는) 것에 의해, 차량의 동력을 오프로 한 후 곧바로 다시 차량의 동력을 온으로 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부주의하게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장에 있어서 트렁크나 좌석으로부터 짐을 싣고 내릴 때까지 동안, 차량을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조금 벗어난 위치에서 일단 정차시킨 상태로 차량의 동력을 오프로 하고, 짐의 싣고 내린 뒤, 다시 차량의 동력을 온으로 하여 차량을 주차 스페이스에 다시 넣는 것과 같은 경우에, 부주의하게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X분이 너무 긴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케이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과거 2분간 동안에 엔진이 온으로 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무시하는 것으로 했다. 따라서, X분은, 구체적인 서버(3)의 성능 등에 따라서,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Y초를 예를 들면 5초로 한 것의 근거를 설명한다. 차재기기(1)는, 차량의 동력이 온일 동안에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취했을 경우에는, 안전을 고려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접수하지 않는다(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무시함). 차량의 동력이 온인 동안은, 유저가 차량으로 이동중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전파 상황이 나쁘기 때문에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변경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의 수신이 지연되어 버렸을 경우 등, 부주의하게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차재기기(1)가 차량의 기동을 인식하기까지는, 실제로 차량이 기동을 하고 나서 3초 정도 걸린다. 차량을 기동한 직후에, 차재기기(1)가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 차재기기(1)는 차가 기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채용해 버려, 차량이 기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그니션 스위치가 푸시식인 경우,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방법으로서, 푸시 버튼을 무효로 하는 방법과, 이모빌라이저를 발동(인증용의 선을 커트)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중, 푸시 버튼을 무효로 하는 것인 경우, 상기 3초간 동안에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면 엔진을 끌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결함이 발생한다. 한편, 이모빌라이저를 발동하는 방법인 경우, 상기 3초간 동안에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면, 푸시 버튼은 효과가 있으므로, 엔진을 오프시키는 것은 가능한 상태이지만, 기어가 드라이브 D에는 들어가지 않게 된다고 하는 결함이 발생한다. 이상으로부터, Y초로서, 3초보다도 여유를 갖게 한 5초를 채용했다. 따라서, Y초는, 구체적인 차재기기(1)의 성능 등에 따라서,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내지고 있는 메모리(13)의 각 변수에 대해 설명한다. 엔진 기동 릴레이 설정값(52)은, 현재의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에 대응하는 릴레이값이다. 차종별 기동 불가 릴레이값(53)은,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차종별의 설정값이다.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은,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차종별의 설정값이다.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56)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감시를 실행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플래그로서, 초기 상태(차량의 출하시), 또는 서버(3)로부터의 마지막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기동 가능 상태로의 변경인 경우에 온으로 된다.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은, 엔진이 정지된 후,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변경을 금지하는 기간(X분, 예를 들면 2분)이다. 엔진 정지 시각은 전회 엔진 정지를 검출한 시각이다. 엔진 상태 재평가 기간은, 기동 불가 상태로의 제어를 행한 후, 엔진의 온을 재평가하는 기간(Y초, 예를 들면 5초)이다.
차종별 기동 불가 릴레이값(53) 및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은, 차량의 차종에 따라서 1개씩 기억해 두어도 되고, 혹은 복수 차종의 값을 기억해 두고, 차량의 차종에 따라서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차종별 기동 불가 릴레이값(53) 및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은, 콘솔 입출력(14)으로부터 설정하도록 해도 되고, 서버(3)로부터 설정하도록 해도 되지만, 노이즈에 의한 페일 세이프의 관점에서는 서버(3)로부터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메모리(13)의 각 처리부의 동작에 대해 도 8~도 10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5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S11에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 처리가 개시되면, 우선 S12에서 엔진 기동 릴레이 설정값(52)을 주어진 릴레이값으로 덮어쓰기하고, 다음으로 S13에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릴레이 상태를 엔진 기동 릴레이 설정값(52)의 상태로 변경한다. 이어서 S14에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의 릴레이값이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Yes인 경우는 S15로 진행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56)를 온으로 하고, S16으로 진행한다. S14의 판단에서 No인 경우는 S16으로 진행하여, 통신부를 호출하여, 서버(3)에 엔진 기동 릴레이 상태 변경 완료를 통지하고, 이어서, S17에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 처리를 종료한다.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51)는 후술하는 도 9의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55)의 S25, 및 후술하는 도 10의 엔진 연동 제어부(57)의 S36에 의해 호출되어 처리가 개시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S21에서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 처리가 개시되면, 우선 S22에서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56)가 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56)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감시를 실행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플래그로서, 초기 상태(차량의 출하시), 또는 서버(3)로부터의 마지막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기동 가능 상태로의 변경인 경우에 온으로 된다. S22의 판단이 Yes인 경우에는 S23으로 진행하여,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릴레이 상태를 취득한 후, S24로 진행한다. 한편, S22의 판단이 No인 경우에는 S26으로 진행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 처리를 종료한다. S24에서는, S23에서 취득한 릴레이값이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 이외의 값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Yes인 경우에는 S25로 진행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51)를 호출하고, 엔진 기동 릴레이 설정값(52)을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으로 덮어쓰기한 다음,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를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한 후, S26으로 진행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24의 판단에서 No인 경우에는, 그대로 S26으로 진행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 처리를 종료한다.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의 동작은, 정기적으로 행해지고, 예를 들면 통상 모드에서는 30초마다, 전력 절약 모드에서는 1시간마다 행해진다. 이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의 동작에 의해, 본래 기동 가능 상태일 때(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가 온일 때)에는, 차재기기의 펌웨어의 결함에 의해 메모리(13)가 본래 수치와 다른 수치로 갱신되어 버렸을 경우에도, 항상 차량이 기동 가능 상태로 되도록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제어함으로써, 의도치 않게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되어 버려, 정당한 차량의 이용을 방해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재기기의 펌웨어의 결함에 의해 메모리(13)의 엔진 기동 릴레이 설정값(52)의 값이 의도하지 않은 값으로 갱신되어 버린 것 같은 경우여도,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56)가 온일 때에는, 항상 차량이 기동 가능 상태로 되도록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을 참작하여 엔진 연동 제어부(57)의 동작을 설명한다. S31에서 엔진 연동 제어부 처리가 개시되면, S32로 진행하여, 통신부(50)를 통해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취하고, 다음으로 S33으로 진행하여, 현재의 엔진 상태가 오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33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는 S34로 진행하고, S34에서는 현재 시각과 엔진 정지 시각의 차분이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58)(X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33의 판단에서 No인 경우 및 S34의 판단에서 No인 경우에는, S35로 진행하여 통신부(50)를 호출하여 서버(3)에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 무시를 통지한 후, S41로 진행하여, 엔진 연동 제어부의 처리를 종료한다. S34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에는, S36로 진행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51)를 호출하고,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를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고, S37로 진행한다. S37에서는 엔진 상태 재평가 기간(60)(Y초)만큼 대기한 후, S38로 진행하고, S38에서는 실행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은 기동 불가 상태로의 변경이고, 또한, 현재의 엔진 상태는 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38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에는, S39로 진행하고, S39에서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51)를 호출하고,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를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한 후, S40으로 진행한다. S40에서는, 통신부(50)를 호출하고, 서버(3)에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 무시를 통지한 후, S41로 진행하여, 엔진 연동 제어부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38의 판단에서 No인 경우에는, 그대로 S41로 진행하여, 엔진 연동 제어부의 처리를 종료한다.
엔진 연동 제어부(57)의 동작은, 정기적으로 행해지고, 예를 들면 통상 모드에서는 30초마다, 전력 절약 모드에서는 1시간마다 행해진다. S35 및 S40에서는, 통신부(50)를 호출하여 서버(3)에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 무시를 통지하고 있는 바, 서버(3)는 이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무시된 것을 수신하면, 도 8의 S16에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 변경 완료가 통지될 때까지, 반복해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한다. 이 엔진 연동 제어부(57)의 동작에 의해, 서버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변경할 때, 차량의 안전을 고려하여, 차량이 위험한 장소 또는 타인에게 폐가 되는 장소에 놓여진 상태로 기동 불가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58)(X분, 예를 들면 2분)을 고려함으로써, 차량의 동력을 오프로 한 후 곧바로 다시 차량의 동력을 온으로 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부주의하게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 상태 재평가 기간(60)(Y초, 예를 들면 5초)을 고려함으로써, 차량의 동력이 온으로 된 직후(Y초 이내)에 차재기기(1)가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취했을 경우에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채용하지 않음(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무시함)으로써, 차량의 동력이 온시에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된다고 하는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1~도 10과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서버(3)로부터 차재기기(1)로의 통신에 의해, 차량 기동 지령(예를 들면,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나 도어록 키 정보)이 서버(3)로부터 차재기기(1)로 송신되고 있던 것에 대해, 실시 형태 2에서는, 유저 단말(37)을 통해서, 차량 기동 지령이 서버(3)로부터 차재기기(1)로 제공되는 점에서 실시 형태 1과 다르다.
도 2의 흐름도의 A12에 있어서의, 일단 기동 불가능 상태로 전환된 후에,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될 때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A9에서는, 유저에 대해서 요금 미납이기 때문에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인 것을 알리는 것과 함께, 소정의 기간을 지정하여 소정의 요금을 지불하도록 촉구하고, A10으로 진행한다. A10에서는, 지불 상황 감시부(30)는 금융 시스템(36)의 API(39)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하고, A11에서는, 해당 차량의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A11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지불 있음의 경우)에는, A12로 진행하여, 서버(3)로부터 차재기기(1)에 대해서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제공된다. 이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3)로부터 차재기기(1)에 대해서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유저 단말(37)을 통해서 제공된다. 즉, 지불 상황 감시부(30)가 금융 시스템(36)의 API(39)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하여,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있었던 것이 검지되면, 서버(3)의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대응하는 유저의 유저 단말(37)에 대해서, 차량을 기동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 정보가 송신된다.
유저 단말(37) 및 차재기기(1)에는, 각각 특정 근거리 무선 통신의 송수신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서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등록상표), 지그비(등록상표), 적외선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er),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NFC를 이용했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a타입(염가 타입), b타입(유럽의 ETC에 채용되어 있는 타입), f타입(FeliCa(등록상표)) 등의 형식을 채용할 수 있다. 유저가 유저 단말(37)을 차재기기(1)측의 NFC 단말에 태그함으로써, 유저 단말(37)로부터 차재기기(1)에 대해서, 유저 단말(37)이 서버(3)로부터 받은 차량(2)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2)은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차량(2)의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도 마찬가지로 하여, 유저 단말(37)을 통해서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서버(3)로부터 유저 단말(37)에 대해서 도어록 키 정보가 송신되어 있고, 유저 단말(37)을 차재기기(1)측의 NFC 단말에 태그함으로써, 유저 단말(37)로부터 차재기기(1)에 대해서, 유저 단말(37)이 서버(3)로부터 받은 차량(2)의 도어록 키 정보를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 단말(37)에 의해서 차량(2)의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을 제어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지령부(31)로부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34)를 통해서 차재기기(1)에 대해서 통신에 의해 도어록 키 정보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 비해, 유저 단말(37)에 서버(3)로부터 수신한 도어록 키 정보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 정보를 기억해 두는 경우에는, 서버(3)와 유저 단말(37) 간의 통신이 확보되어 있으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34)의 통신 상황에 의존하는 일 없이, 통신 상황이 나쁜 상황이어도, 신속하게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이나 차량(2)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차량의 주차 위치 등에 의존하는 일 없이, 신속하고 확실하게 차량(2)을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차재기기(1)가 슬립 모드인 경우에는, 차량(2)을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데, 긴 경우에는 1시간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지만, 예를 들면 유저 단말(37)을 차재기기(1)의 NFC 단말에 태그함으로써, 차재기기(1)에 대해서 직접, 차량 기동 지령을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차재기기(1)가 슬립 모드인 경우여도 신속하게 차량(2)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예를 들면, 차량(2)을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나, 차량(2)의 도어록 키를 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차재기기(1)가 유저 단말(37)로부터 도어록 키 정보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도, 차재기기(1)가 서버(3)로부터 도어록 키 정보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 유저가 유저 단말(37)을 분실한 경우나 자택 등에 두고 온 경우여도, 서버(3)에 대해서 다른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유저의 인증 및 예약 내용의 확인이 취해지면, 서버(3)를 통해서, 차재기기(1)에 대해서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송신함으로써,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3]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1~도 11에서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유저 단말(37)을 통해서 차재기기(1)에 대해서 차량을 차량 기동 지령을 송신하고 있었지만, 실시 형태 3에서는, 카드 라이터(card writer)(91)에 의해 차량 기동 지령을 기입한 IC 카드(90)를 이용하여 차재기기(1)의 카드 리더(92)에 의해 차량 기동 지령을 판독하는 점에서 실시 형태 2와 다르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유저 단말(37)은 필수 구성은 아니다.
도 2의 흐름도의 A12에 있어서의, 일단 기동 불가능 상태로 전환된 후에,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될 때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A9에서는, 유저에 대해서 요금 미납이기 때문에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인 것을 알리는 것과 함께, 소정의 기간을 지정하여 소정의 요금을 지불하도록 촉구하고, A10으로 진행한다. A10에서는, 지불 상황 감시부(30)는 금융 시스템(36)의 API(39)를 이용하여 유저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하고, A11에서는, 해당 차량의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A11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지불 있음의 경우)에는, A12로 진행하여, 서버(3)로부터 차재기기(1)에 대해서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제공된다. 이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3)로부터 차재기기(1)에 대해서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IC 카드(90)를 통해서 제공된다.
지불 상황 감시부(30)가 금융 시스템(36)의 API(39)를 이용하여 유저(5)의 지불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감시함으로써, 유저(5)로부터 소정의 지불이 있었던 것을 리얼 라임으로 파악할 수 있어, 소정의 지불이 있고 나서 곧바로 유저 정보 관리부(38)가 카드 라이터(91)에 의해 IC 카드(90)에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 정보의 기입을 행할 수 있다. 차재기기(1)에는 카드 리더(92)가 마련되어 있어, 유저가 IC 카드(90)를 카드 리더(92)에 태그함으로써,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 정보가 IC 카드(90)로부터 차재기기(1) 측으로 송신되어, 차재기기(1)는 차량(2)을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한다.
IC 카드의 형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RFID나 NFC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종류의 IC 카드를 이용 가능하다. 카드 라이터(91) 및 카드 리더(92)에는, IC 카드(90)의 형식에 대응한 것이 이용된다. 또한, 예를 들면 NFC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각 타입(a타입, b타입, f타입 등)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지령부(31)로부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34)를 통해서 차재기기(1)에 대해서 통신에 의해 도어록 키 정보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 비해, IC 카드(90)에 도어록 키 정보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 정보를 기입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4)의 통신 상황에 의존하는 일 없이, 통신 상황이 나쁜 상황이어도, 신속하게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이나 차량(2)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차재기기(1)가 슬립 모드인 경우에는, 차량(2)을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데, 긴 경우에는 1시간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지만, IC 카드(90)를 카드 리더(92)에 태그함으로써, 차재기기(1)에 대해서 직접, 차량 기동 지령을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차재기기(1)가 슬립 모드인 경우여도 신속하게 차량(2)의 기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예를 들면, 차량(2)을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나, 차량(2)의 도어록 키를 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차재기기(1)가 IC 카드 리더(92)를 구비하고, IC 카드(90)에 의해 도어록 키 정보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입력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도, 유저 단말(37)로부터 근거리 무선 수단에 의해 차재기기(1)에 도어록 키 정보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통신하는 수단, 및 서버(3)의 원격 제어 지령부(31)를 통해서 도어록 키 정보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차재기기(1)에 통신하는 수단을 마련해 둘 수 있다. 이 경우, 유저가 IC 카드(90)를 분실했을 경우나 자택 등에 두고 온 경우여도, 유저 단말(37)을 이용하여 차재기기(1)와의 사이에서 통신함으로써 차량 기동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추가로, 서버(3)에 대해서 다른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유저의 인증 및 예약 내용의 확인이 취해지면, 서버(3)를 통해서, 차재기기(1)에 대해서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송신함으로써, 도어록의 시정, 해정, 차량 기동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통신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유저가 편리한 수단에 의해 도어록의 시정·해정, 차량 기동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유저에게 있어서 편의성이 높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내부 릴레이 및 외부 릴레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3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A)의 배선도이다.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의 형식에는, 12V 전원 및 어스의 결선에 따라서, 다음의 5종류가 존재한다.
(1) 마이너스 컨트롤(통상시, 시정선 및 해정선은 12V 전원.)
(2) 플러스 컨트롤 1(통상시, 시정선 및 해정선은 어스.)
(3) 플러스 컨트롤 2(통상시, 시정선 및 해정선은 열림.)
(4) 마이너스 플러스 컨트롤(시정시 어스, 해정시 12V 전원.)
(5) 플러스 마이너스 컨트롤(시정시 12V 전원, 해정시 어스.)
실시 형태 1은 (1) 마이너스 컨트롤에 상당하고, 실시 형태 4는 (2) 플러스 컨트롤 1에 상당한다. 후술하는 실시 형태 5~8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5는 (3) 플러스 컨트롤 2에 상당하고, 실시 형태 6은 (3) 플러스 컨트롤 2의 변형예이며, 실시 형태 7은 (4) 마이너스 플러스 컨트롤에 상당하고, 실시 형태 8은 (5) 플러스 마이너스 컨트롤에 상당한다.
실시 형태 4의 회로에서는, 시정선(63)을 12V 전원에 접속함으로써 도어록을 시정 또는 해정한다. 도어키 시정 스위치(85) 및 도어키 해정 스위치(86)와, 도어록 액츄에이터(29)의 사이에 제1 내부 릴레이(61) 및 제2 내부 릴레이(62)를 구비하는 차재기기(1)를 접속하고 있다. 차재기기(1)의 제1 내부 릴레이(61) 및 제2 내부 릴레이(62)를 조작함으로써, 제1 외부 릴레이(65) 및 제2 외부 릴레이(75)를 통해서 도어록 액츄에이터(29)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록 액츄에이터(29)는 예를 들면 정역 회전 가능한 직류 모터로서, 이 직류 모터의 양단에는 각각, 상시는 어스에 접속되어 있는 시정선(63) 및 해정선(64)이 접속되어 있다. 시정선(63)은 제1 외부 릴레이의 단자(70)에 접속되어 있다. 해정선(64)은 제2 외부 릴레이(75)의 단자(80)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외부 릴레이의 단자(70)에 접속되어 있는 전환 접점(67)은, 상시는 어스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1)측에 기계적으로 가압되고 있다. 코일(66)이 통전되면, 접점(67)은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2)로 전환된다. 코일(66)의 일단의 단자(68)는, 단자(71)와 같이 어스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66)의 타단의 단자(69)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도어키 시정 스위치(85)의 일단에 접속되고, 도어키 시정 스위치(85)의 타단은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키 시정 스위치(85)의 일단은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고, 제1 내부 릴레이(61)의 타단은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외부 릴레이의 단자(80)에 접속되어 있는 전환 접점(77)은, 상시는 어스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1)측에 기계적으로 가압되고 있다. 코일(76)이 통전되면, 전환 접점(77)은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2)로 전환된다. 코일(76)의 일단의 단자(78)는, 단자(81)와 같이 어스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76)의 타단의 단자(79)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도어키 해정 스위치(86)의 일단에 접속되고, 도어키 해정 스위치(86)의 타단은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키 해정 스위치(86)의 일단은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고, 제2 내부 릴레이(62)의 타단은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해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로부터의 해정 지령이 유효라고 판단하면,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해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해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해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2 내부 릴레이(62)가 도통되면, 제2 외부 릴레이(75)의 코일(76)이 여자되고, 이것에 의해 상시는 어스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1)로 가압되고 있는 제2 외부 릴레이(75)의 전환 접점(77)이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2)측으로 전환된다. 그러면, 해정선(64)은 단자(80), 전환 접점(77), 단자(82)를 통해서 12V 전원에 접속됨으로써,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의 일단에는 12V가 인가되고, 직류 모터의 타단은 어스 전위이므로,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해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어록을 해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2 내부 릴레이(62)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2 외부 릴레이(75)의 전환 접점(77)은 어스에 접속된 단자(81)로 가압되어,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의 양단이 어스 전위가 되기 때문에, 직류 모터는 동작을 정지한다.
한편,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시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시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시정 명령을 수신하면,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시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1 내부 릴레이(61)가 도통되면, 제1 외부 릴레이(65)의 코일(66)이 여자되고, 이것에 의해 상시는 어스로 가압되고 있는 제1 외부 릴레이(65)의 전환 접점(67)이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2)측으로 전환된다. 그러면, 시정선(63)은 단자(70), 전환 접점(67), 단자(72)를 통해서 12V 전원에 접속됨으로써,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의 타단에는 12V가 인가되고, 직류 모터의 일단은 어스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전술한 해정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시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어록을 시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1 내부 릴레이(61)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1 외부 릴레이(65)의 전환 접점(67)은 어스에 접속된 단자(71)로 가압되어,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의 양단에 어스에 접속되게 되기 때문에, 직류 모터는 동작을 정지한다.
[실시 형태 5]
도 1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내부 릴레이 및 외부 릴레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4은 실시 형태 5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B)의 배선도이다.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의 형식은, 전술한 (3)의 플러스 컨트롤 2에 상당한다. 도어록 릴레이 유닛(73B)에 접속되어 있는 시정선(63B) 및 해정선(64B)에 대해서 12V 전원을 접속함으로써, 도어록 액츄에이터(29B)로서의 직류 모터를 구동시켜,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한다. 도어키 스위치와 도어록 액츄에이터(29)의 사이에, 제1 외부 릴레이(65B) 및 제2 외부 릴레이(75B)를 통해서, 제1 내부 릴레이(61) 및 제2 내부 릴레이(62)를 구비하는 차재기기(1)를 접속하고, 제1 내부 릴레이(61B) 및 제2 내부 릴레이(62B)에 의한 제어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B)로서의 직류 모터를 구동시켜,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해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로부터의 해정 지령이 유효라고 판단하면,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해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해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해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B)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2 외부 릴레이(75B)의 전환 접점(77B)은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내부 릴레이(62B)가 도통되면, 제2 외부 릴레이(75B)의 코일(76B)이 여자되고, 이것에 의해 상시는 열림 단자(82B)로 가압되고 있는 제2 외부 릴레이(75B)의 전환 접점(77B)이 해정선(64B)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1B)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해정선(64B)에는, 단자(81B) 및 전환 접점(77B)을 통해서 12V 전원에 의해 12V가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B)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해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어록을 해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B)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2 내부 릴레이(62B)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2 외부 릴레이(75B)의 전환 접점(77B)은 열림 단자(82B)로 가압되어,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동작을 정지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시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시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시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시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B)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1 외부 릴레이(65B)의 전환 접점(67B)은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내부 릴레이(61B)가 도통되면, 제1 외부 릴레이(65B)의 코일(66B)이 여자되고, 이것에 의해 상시는 열림 단자(72B)로 가압되고 있는 제1 외부 릴레이(65B)의 전환 접점(67B)이 시정선(63B)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1B)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시정선(63B)에는, 단자(71B) 및 전환 접점(67B)을 통해서 12V 전원에 의해 12V가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B)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전술한 해정 방향과는 역방향의 시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어록을 시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B)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1 내부 릴레이(61B)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1 외부 릴레이(65B)의 전환 접점(67B)은 열림 단자(72B)로 가압되어,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동작을 정지한다.
[실시 형태 6]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따른 내부 릴레이 및 외부 릴레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5는 실시 형태 6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C)의 배선도이다.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의 형식은, 전술한 (3) 플러스 컨트롤 2의 변형예이다. 도어록 릴레이 유닛(73C)에 접속되어 있는 시정선(63C) 및 해정선(64C)에 대해서 12V 전원을 접속함으로써, 도어록 액츄에이터(29C)로서의 직류 모터를 구동시켜,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한다. 시정선(63C)에 대해서 제1 외부 릴레이(65C)를 바이패스하도록 접속하고, 시정선(63C)의 바이패스된 부분의 원래의 배선을 단절시킨다. 마찬가지로, 해정선(64C)에 대해서 제2 외부 릴레이(75C)를 바이패스하도록 접속하고, 해정선(64C)의 바이패스된 부분의 원래의 배선을 단절시킨다. 도어키 스위치와 도어록 액츄에이터(29)의 사이에, 제1 외부 릴레이(65C) 및 제2 외부 릴레이(75C)를 통해서, 제1 내부 릴레이(61C) 및 제2 내부 릴레이(62C)를 구비하는 차재기기(1)를 접속하고, 제1 내부 릴레이(61C) 및 제2 내부 릴레이(62C)에 의한 제어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C)로서의 직류 모터를 구동시켜,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해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로부터의 해정 지령이 유효라고 판단하면,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해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해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해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C)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2 외부 릴레이(75C)의 단자(80C), 전환 접점(77C) 및 단자(82C)는, 상시는 해정선(64C)의 단절된 부분을 바이패스하고 있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C)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하면, 제2 외부 릴레이(75C)의 코일(76C)이 여자되어, 전환 접점(77C)이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1C)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해정선(64C)에는, 단자(80C), 전환 접점(77C) 및 단자(81C)를 통해서 12V 전원이 접속되어, 12V가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C)로서의 직류 모터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C)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해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어록을 해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C)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2 내부 릴레이(62C)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2 외부 릴레이(75C)의 전환 접점(77C)은 단자(82C)로 가압되어, 해정선(64C)의 단절부를 바이패스하게 되기 때문에,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동작을 정지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시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시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시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시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C)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1 외부 릴레이(65C)의 단자(70C), 전환 접점(67C) 및 단자(72C)는, 상시는 시정선(63C)의 단절된 부분을 바이패스하고 있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C)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하면, 제1 외부 릴레이(65C)의 코일(66C)이 여자되어, 전환 접점(67C)이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1C)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시정선(63C)에는, 단자(70C), 전환 접점(67C) 및 단자(71C)를 통해서 12V 전원이 접속되어, 12V가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C)로서의 직류 모터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C)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전술한 해정 방향과는 역방향의 시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어록을 시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C)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1 내부 릴레이(61C)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1 외부 릴레이(65C)의 전환 접점(67C)은 단자(72C)로 가압되어, 시정선(63C)의 단절부를 바이패스하게 되기 때문에,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동작을 정지한다.
[실시 형태 7]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따른 내부 릴레이 및 외부 릴레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6은 실시 형태 7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D)의 배선도이다.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의 형식은, 전술한 (4) 마이너스 플러스 컨트롤에 상당한다. 도어록 릴레이 유닛(73D)에 접속되어 있는 시해정선(74D)은 도어록 액츄에이터(29D)인 진공 펌프 유닛에 접속되어 있고, 시해정선(74D)은 시정시에는 어스 전위로 되고, 해정시에는 12V 전원으로 된다. 제1 외부 릴레이(65D) 및 제2 외부 릴레이(75D)의 직렬 회로를, 시해정선(74D)을 바이패스하도록 접속하고, 시해정선(74D)의 바이패스된 부분의 원래의 배선을 단절시킨다. 도어키 스위치와 도어록 액츄에이터(29D)의 사이에, 제1 외부 릴레이(65D) 및 제2 외부 릴레이(75D)를 통해서, 제1 내부 릴레이(61D) 및 제2 내부 릴레이(62D)를 구비하는 차재기기(1)를 접속한다. 제1 내부 릴레이(61D) 및 제2 내부 릴레이(62D)에 의한 제어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D)로서의 진공 펌프 유닛을 구동시켜,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해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로부터의 해정 지령이 유효라고 판단하면,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해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해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해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D)를 소정 시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1 외부 릴레이(65D)의 전환 접점(67D)은 상시는, 시해정선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2D)로 가압되고 있다. 제2 외부 릴레이(75D)의 전환 접점(77D)은, 제1 외부 릴레이(65D)의 단자(70D)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2D)로 가압되고 있다. 따라서, 상시는, 단자(72D), 전환 접점(67D), 단자(70D), 단자(82D), 전환 접점(77D) 및 단자(80D)를 통해서, 시해정선(74D)의 단절된 부분은 바이패스되고 있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D)를 소정 시간만큼 도통 제어하면, 제2 외부 릴레이(75D)의 코일(76D)이 여자되어, 전환 접점(77D)이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1D)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시해정선(74D)에는, 단자(80D), 전환 접점(77D) 및 단자(81D)를 통해서 12V 전원이 접속되어, 12V가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D)로서의 진공 펌프 유닛은,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D)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만큼 해정 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도어록을 해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D)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2 내부 릴레이(62D)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2 외부 릴레이(75D)의 전환 접점(77D)은 단자(82D)로 가압되어, 시해정선(74D)의 단절부가, 제1 외부 릴레이(65D) 및 제2 외부 릴레이(75D)의 직렬 회로에 의해 바이패스되기 때문에, 도어록 액츄에이터(29D)로서의 진공 펌프 유닛의 동작은 정지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시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시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시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시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D)를 소정 시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1 외부 릴레이(65D)의 전환 접점(67D)은 상시는, 시해정선(74D)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2D)로 가압되고 있다. 제2 외부 릴레이(75D)의 전환 접점(77D)은, 제1 외부 릴레이(65D)의 단자(70D)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2D)로 가압되고 있다. 따라서, 상시는, 단자(72D), 전환 접점(67D), 단자(70D), 단자(82D), 전환 접점(77D) 및 단자(80D)를 통해서, 시해정선(74D)의 단절된 부분은 바이패스되고 있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D)를 소정 시간만큼 도통 제어하면, 제1 외부 릴레이(65D)의 코일(66D)이 여자되어, 전환 접점(67D)이 어스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1D)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시해정선(74D)은 단자(80D), 전환 접점(77D), 단자(82D), 단자(70D), 전환 접점(67D) 및 단자(71D)를 통해서, 어스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D)로서의 진공 펌프 유닛은,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D)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만큼 전술한 해정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시정 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도어록을 시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D)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1 내부 릴레이(61D)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1 외부 릴레이(65D)의 전환 접점(67D)은 단자(72D)로 가압되어, 시해정선(74D)의 단절부가, 제1 외부 릴레이(65D) 및 제2 외부 릴레이(75D)의 직렬 회로에 의해 바이패스되기 때문에, 도어록 액츄에이터(29D)로서의 진공 펌프 유닛의 동작은 정지한다.
[실시 형태 8]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따른 내부 릴레이 및 외부 릴레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7은 실시 형태 8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E)의 배선도이다.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의 형식은, 전술한 (5) 플러스 마이너스 컨트롤에 상당한다. 도어록 스위치(83E)에 접속되어 있는 시해정선(74E)은 도어록 액츄에이터(29E)인 집중 도어록 모듈에 접속되어 있고, 시해정선(74E)은 시정시에는 전원 전압의 12V로 되고, 해정시에는 어스 전위로 된다. 시해정선(74E)을 바이패스하도록 제1 외부 릴레이(65E)를 접속하고, 시해정선(74E)의 바이패스되고 있는 부분에서 원래의 배선을 단절시킨다. 도어록 스위치(83E)와 도어록 액츄에이터(29E)의 사이에, 차재기기(1)의 제2 내부 릴레이(62E)를 접속하고, 제1 외부 릴레이(65E)를 통해서 차재기기(1)의 제1 내부 릴레이(61E)를 접속하고 있다. 제1 내부 릴레이(61E) 및 제2 내부 릴레이(62E)에 의한 제어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E)로서의 집중 도어록 모듈을 구동시켜,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해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로부터의 해정 지령이 유효라고 판단하면,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해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해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해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E)를 소정 시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2 내부 릴레이(62E)의 일단은 어스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은 시해정선(74E)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E)를 소정 시간만큼 도통 제어하면, 시해정선(74E)은 어스 전위로 되기 때문에, 집중 도어록 모듈은 해정 방향으로 구동되어, 도어록은 해정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시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시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시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시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E)를 소정 시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1 외부 릴레이(65E)의 전환 접점(67E)은 상시는, 단자(72E)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상시는 시해정선(74E)의 단절되어 있는 부분은, 단자(70E), 전환 접점(67E) 및 단자(72E)를 통해서, 바이패스되고 있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E)를 소정 시간만큼 도통 제어하면, 제1 외부 릴레이(65E)의 코일(66E)이 여자되어, 전환 접점(67E)은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1E)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시해정선(74E)에는, 단자(70E), 전환 접점(67E) 및 단자(71E)를 통해서 12V 전원이 접속되어, 12V가 인가됨으로써, 도어록 액츄에이터(29E)로서의 집중 도어록 모듈은,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E)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만큼 전술한 해정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시정 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도어록을 시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E)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1 내부 릴레이(61E)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1 외부 릴레이(65E)의 전환 접점(67E)은 단자(72E)로 가압되어, 시해정선(74E)의 단절부가 제1 외부 릴레이(65E)에 의해 바이패스되기 때문에, 도어록 액츄에이터(29E)로서의 집중 도어록 모듈의 동작은 정지한다.
[실시 형태 9]
실시 형태 1에서는, 내연기관 차량에 적용하여,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에 의해 내연기관의 엔진 기동 제어선(ST선)을 단절시킴으로써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양태를 설명했지만, 이하에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내연기관 차량 이외의 동력을 이용한 차량,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이하 「EV 차량」이라고 함.)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이하 「HEV 차량」이라고 함.)를 포함하는 차량에 적용하여,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ST선 제어 이외의 제어를 포함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양태를 설명한다.
도 18은 기동 불가 상태의 제어 방식을 설명한 것이다. 도 18은, 차량의 종류로서, 내연기관 차량, EV 차량, 패럴렐 방식 HEV 차량, 시리즈 방식 HEV 차량 및 시리즈·패럴렐 방식 HEV 차량으로 분류하는 것과 함께, 이모빌라이저를 탑재하고 있는지 여부로 구분한 다음, 추가로, 기동 방식을 키식과 푸시식으로 구분하고, 기동 불가 상태의 제어 방식으로서 A방식, B방식 및 C방식 3개의 방식 중에서 어느 방식이 채용 가능한지를 정리한 것이다. 3개의 제어 방식으로서는, A방식은 ST선을 커트하는 것, B방식은 키 인증을 불가로 하는 것, C방식은 푸시 버튼을 무효화하는 것이다.
키식 및 푸시식은, 동력을 시동하기 위한 조작 방법으로 구분한 것이다. 키식이란, 동력을 시동하기 위해서 키 실린더에 키를 꽂아, OFF, ACC, IGN 및 START를 전환하는 방식의 것이다. 푸시식이란, 스마트키식인 경우의 방식으로, 동력 시동용 푸시 버튼을 누름으로써, 동력을 온으로 하는 방식의 것이다.
또한, HEV 차량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패럴렐 방식은, 모터와 엔진으로 차바퀴를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모터를 사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시리즈 방식은 엔진으로 발전기를 구동시켜 충전하고, 모터로 차바퀴를 구동시키는 방식이다. 시리즈·패럴렐 방식은 모터와 엔진으로 차바퀴를 구동시키는 것과 함께, 엔진으로 발전기를 구동시켜 충전하여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방식이다.
여기서, 차재기기(1)의 구성은, EV 차량 및 HEV 차량에 대해서도 도 3에서 나타낸 내연기관 차량용의 것과 공통된 부분이 많지만, EV 차량에는 내연기관이 없는 점, 및 HEV 차량에서는 모터만으로 주행 가능한 모드가 존재하는 점에서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와 상위하다. EV 차량의 경우에는, IGN 입력 검지부(17) 대신에, 푸시 버튼이 눌려서 동력이 온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적인 수단으로 치환해도 상관없다. HEV 차량의 경우에는, IGN 입력 검지부(17) 대신에, 동력이 온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적인 수단으로 치환해도 상관없다.
이하, A방식, B방식 및 C방식 3개의 제어 방식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방식에 따라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삽입하는 배선이 다르지만, 어느 방식의 경우에도, 기동 불가 상태일 때에는 동력을 시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기동 가능 상태일 때에는 동력을 시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A방식은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에 의해서 내연기관의 엔진 기동 제어선(ST선)을 단절시킴으로써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이며, 내연기관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A방식에서는 ST선에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가 삽입되어 있어, 기동 불가 상태일 때에,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열림으로 함으로써, 셀 모터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때문에, 엔진의 시동을 저지할 수 있다.
B방식은 이모빌라이저를 탑재한 차량에서 채용하는 방식이다. 이모빌라이저란, 키에 내장된 트랜스폰더로 불리는 IC 칩에 고유한 ID 코드를 기록시켜 두고, 트랜스폰더의 ID 코드를 차량 본체의 전자 제어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ID 코드에 의해 인증하여, 인증이 성립되었을 경우에만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B방식에서는,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이 트랜스폰더로부터 받은 트랜스폰더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또는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측의 ID 코드의 신호선에 대해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삽입하고, 기동 불가 상태에서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열림으로 함으로써, ID 코드의 인증이 불성립으로 되기 때문에, 기동 불가 상태에서는 엔진을 시동할 수 없다. 여기에서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이용하여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기동 불가 상태일 때에, ID 코드의 인증을 불성립되게 하면, 어떠한 수단을 이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전자적인 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전자적인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도 3을 참조.)으로, 기동 불가 상태인지 기동 가능 상태인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C방식은 스마트키식인 경우의 동력 시동용 푸시 버튼을 구비한 차량에 채용하는 방식이다. 스마트키식의 차량에서는, 동력 시동용의 키 실린더는 없고, 푸시 버튼이 눌린 것을 전자 제어 장치에 전달함으로써 동력을 시동한다. 예를 들면, EV 차량에는 키식의 것은 존재하지 않고, 모두 푸시식이다. C방식은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푸시 버튼의 배선에 삽입하고, 기동 불가 상태에서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열림으로 함으로써, 기동 불가 상태에서는 푸시 버튼을 조작해도 동력이 온으로 되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이용하여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기동 불가 상태일 때에, 푸시 버튼이 눌린 것을 전자 제어 장치에 전달되지 않게 하면, 어떠한 수단을 이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전자적인 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전자적인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도 3을 참조.)으로, 기동 불가 상태인지 기동 가능 상태인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모빌라이저가 있고, 키식인 경우, 내연기관 차량에서는 A방식 또는 B방식, EV 차량은 존재하지 않고, 패럴렐 방식 HEV 차량, 시리즈 방식 HEV 차량 및 시리즈·패럴렐 방식 HEV 차량에서는 모두 B방식이다.
이모빌라이저가 있고, 푸시식인 경우, 내연기관 차량에서는 A방식, B방식 또는 C방식, EV 차량에서는 B방식 또는 C방식, 패럴렐 방식 HEV 차량, 시리즈 방식 HEV 차량 및 시리즈·패럴렐 방식 HEV 차량에서는 모두 B방식 또는 C방식이다.
이모빌라이저가 없고, 키식인 경우, 내연기관 차량에서는 A방식, EV 차량은 존재하지 않고, 패럴렐 방식 HEV 차량, 시리즈 방식 HEV 차량 및 시리즈·패럴렐 방식 HEV 차량에서는 어느 방식도 대응 불가이다.
이모빌라이저가 없고, 푸시식인 경우, 내연기관 차량에서는 A방식 또는 C방식, EV 차량에서는 C방식, 패럴렐 방식 HEV 차량, 시리즈 방식 HEV 차량 및 시리즈·패럴렐 방식 HEV 차량에서는 모두 C방식이다.
1 : 차재기기 2 : 차량
3 : 서버 4 : 도어록
11 : CPU 12 : 무선 통신 모듈
13 : 메모리 14 : 콘솔 입출력
15 : 내부 배터리 16 : 전원 입력 검지부
17 : IGN 입력 검지부 18 :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
19 : GPS 입출력부 20 :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21 : 외부 배터리 22 : 주행 상태 식별선
25 : 내부 릴레이 26 :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
27 : 도어키 스위치 28 : 외부 릴레이
29 : 도어록 액츄에이터 30 : 지불 상황 감시부
31 : 원격 제어 지시부 32 : 차량 정보 수집부
33 : 송수신부 34 : 무선 통신 네트워크
35 : 관리자 단말 36 : 금융 시스템
37 : 유저 단말 38 : 유저 정보 관리부
39 : API 41 : 코일
42 : 스위치 46 : 상시 닫힘 단자
47 : 상시 열림 단자 50 : 통신부
51 :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 52 : 엔진 기동 릴레이 설정값
53 : 차종별 기동 불가 릴레이값 54 :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
55 :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
56 :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
57 : 엔진 연동 제어부 58 :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
59 : 엔진 정지 시각 60 : 엔진 상태 재평가 기간
61 : 제1 내부 릴레이 62 : 제2 내부 릴레이
63 : 시정선 64 : 해정선
65 : 외부 릴레이 66 : 코일
67 : 전환 접점 68 : 단자
69 : 단자 70 : 단자
71 : 단자 72 : 단자
73 : 도어록 릴레이 유닛 74 : 시해정선
75 : 외부 릴레이 76 : 코일
77 : 접점 80 : 단자
81 : 단자 82 : 단자
83 : 도어록 스위치 85 : 도어키 시정 스위치
86 : 도어키 해정 스위치 90 : IC 카드
91 : 카드 라이터 92 : 카드 리더

Claims (15)

  1. 서버와,
    상기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카드 라이터와,
    IC 카드와,
    차량에 설치되는 차재기기와,
    상기 차재기기에 접속되어 있는 카드 리더를 구비하는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금융 시스템에 액세스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차량에 관한 상기 금융 시스템을 통한 소정의 요금의 지불 상태를 감시 가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소정의 요금이 지불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상기 카드 라이터에 의해서, 상기 IC 카드에 대해서,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기동 불가 상태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지령을 기입하고,
    상기 IC 카드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서, 상기 카드 리더에 대해서 상기 제어 지령을 송신하고,
    상기 차재기기는, 상기 카드 리더를 통해서 취득한 상기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를 기동 불가 상태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금융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지령에는, 상기 차재기기에 이용되는 인증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동 상태는, 상기 차량의 도어록의 상태, 상기 차량의 엔진 기동 상태, 상기 차량의 이모빌라이저의 상태, 및 상기 차량의 시동용 푸시 버튼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07029957A 2018-03-20 2018-03-20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KR102516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44540A KR20230004938A (ko) 2018-03-20 2018-03-20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1227 WO2019180855A1 (ja) 2018-03-20 2018-03-20 車両起動制御システム、車載器、車両、サーバ、車両起動方法、車両起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540A Division KR20230004938A (ko) 2018-03-20 2018-03-20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516A KR20200142516A (ko) 2020-12-22
KR102516805B1 true KR102516805B1 (ko) 2023-04-03

Family

ID=656390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957A KR102516805B1 (ko) 2018-03-20 2018-03-20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KR1020227044540A KR20230004938A (ko) 2018-03-20 2018-03-20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540A KR20230004938A (ko) 2018-03-20 2018-03-20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648912B2 (ko)
EP (1) EP3770843A4 (ko)
JP (1) JP6476407B1 (ko)
KR (2) KR102516805B1 (ko)
CN (1) CN111868774B (ko)
BR (1) BR112020019150B1 (ko)
MX (1) MX2020009698A (ko)
MY (1) MY186976A (ko)
PH (1) PH12020551514A1 (ko)
WO (1) WO20191808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86976A (en) * 2018-03-20 2021-08-26 Global Mobility Service Inc Vehicle starting control system, vehicle-mounted device, vehicle, server, vehicle starting method, vehicle start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11526937B2 (en) 2018-04-03 2022-12-13 Global Mobility Service Inc. Credit screening support system, vehicle-mounted device, vehicle, server, credit screening support method, credit screening support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WO2020188832A1 (ja) * 2019-03-20 2021-04-01 Global Mobility Service株式会社 電気装置遠隔制御システム、端末装置、サーバ、電気装置遠隔制御方法、電気装置遠隔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220134999A1 (en) * 2019-04-12 2022-05-05 Global Mobility Service Inc.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vehicle-mounted device or communication module, vehicle, server, vehicle remote control method, vehicle remote control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20200124115A (ko) * 2019-04-23 2020-1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식별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플릿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111628A1 (ja) * 2019-12-06 2021-06-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走行体、課金管理システム及び車両
US20230154245A1 (en) * 2020-03-06 2023-05-18 Sonatu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ehicle automation
JP7095008B2 (ja) * 2020-03-18 2022-07-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用プログラム
JP6841538B1 (ja) * 2020-05-31 2021-03-10 Global Mobility Service株式会社 車両用システム、車両用システム制御方法、車両用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924875B1 (ja) * 2020-06-02 2021-08-25 Global Mobility Service株式会社 電気装置遠隔制御システム、端末装置、サーバ、電気装置遠隔制御方法、電気装置遠隔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13147667A (zh) * 2021-03-16 2021-07-23 深圳市卡美特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Dialog模式的汽车防盗方法及系统
US20230055958A1 (en) * 2021-08-20 2023-02-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to Repossess a Vehicle
JP7440476B2 (ja) * 2021-11-05 2024-02-28 昭和リース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2502069B1 (ko) * 2022-02-22 2023-02-21 지에스비솔루션 주식회사 무인자동차 공유서비스 운용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1495A (ja) * 2006-03-29 2007-10-11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盗難防止装置および車両盗難防止方法
JP2014146120A (ja) * 2013-01-28 2014-08-14 Itako Auto Service Co Ltd オートローン又はオートリース用の管理システム
JP6238038B1 (ja) * 2016-12-22 2017-11-29 Global Mobility Service株式会社 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50354A (en) * 1950-11-17 1953-08-25 Jr John Maxwell Joiner Auto burglar alarm
JPS5916582A (ja) 1982-07-17 1984-01-27 株式会社モルテン 管内洗浄具
JPS59192176A (ja) * 1983-04-14 1984-10-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JP2500067B2 (ja) 1991-09-30 1996-05-29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ドアの遠隔制御装置
JP3428634B2 (ja) * 2000-04-21 2003-07-22 日本電気株式会社 運送システム、運送方法、運送車両の受任端末、発注端末及び受注サーバ
JP5299688B2 (ja) * 2009-06-03 2013-09-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周辺監視方法及び車両周辺監視装置
JP5254905B2 (ja) * 2009-08-24 2013-08-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US11042816B2 (en) 2009-10-30 2021-06-22 Getaround, Inc. Vehicle access control services and platform
KR101385618B1 (ko) * 2011-11-22 2014-04-16 주식회사 케이티 자동차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는 자동차 원격 제어 단말, 서버 및 방법
DE102012101836B4 (de) * 2012-03-05 2014-07-17 Oliver Lünstedt Mobilfunk-basierte zusätzliche elektronische Wegfahrsperre mit Türöffner mit Diebstahlalarm
US8768565B2 (en) * 2012-05-23 2014-07-01 Enterprise Holdings, Inc. Rental/car-share vehicle acces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14085758A (ja) 2012-10-22 2014-05-12 Itako Auto Service Co Ltd エンジン始動更新制御装置付きリースシステム及びリース方法
FR3003216B1 (fr) 2013-03-13 2016-07-01 Renault Sa Procede de mise a disposition d'un vehicule et systeme de mise a disposition correspondant
CN203237208U (zh) * 2013-05-15 2013-10-16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辆远程控制系统以及能实现远程控制的车辆
JP6539092B2 (ja) * 2015-04-15 2019-07-03 パーク二四株式会社 レコメンド情報管理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WO2016167350A1 (ja) 2015-04-17 2018-05-24 Global Mobility Service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308362A4 (en) 2015-06-12 2018-10-31 Phrame, Inc. System and methods for vehicle sharing
CN106611368A (zh) * 2015-10-21 2017-05-03 熊炳飞 Gps车载终端及带有该终端的汽车租赁系统
KR20150142656A (ko) 2015-12-01 2015-12-22 안범주 무인 차량 렌탈 시스템
EP3443668A4 (en) * 2016-04-15 2019-09-18 Voyomotive, LLC INTELLIGENT POWER LINE COMMUNICATION RELAY
MY186976A (en) * 2018-03-20 2021-08-26 Global Mobility Service Inc Vehicle starting control system, vehicle-mounted device, vehicle, server, vehicle starting method, vehicle start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1495A (ja) * 2006-03-29 2007-10-11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盗難防止装置および車両盗難防止方法
JP2014146120A (ja) * 2013-01-28 2014-08-14 Itako Auto Service Co Ltd オートローン又はオートリース用の管理システム
JP6238038B1 (ja) * 2016-12-22 2017-11-29 Global Mobility Service株式会社 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180855A1 (ja) 2020-04-23
US11648912B2 (en) 2023-05-16
PH12020551514A1 (en) 2021-08-23
BR112020019150B1 (pt) 2021-09-21
KR20200142516A (ko) 2020-12-22
EP3770843A1 (en) 2021-01-27
CN111868774B (zh) 2022-04-19
JP6476407B1 (ja) 2019-03-06
EP3770843A4 (en) 2021-10-20
KR20230004938A (ko) 2023-01-06
CN111868774A (zh) 2020-10-30
US20210024035A1 (en) 2021-01-28
BR112020019150A2 (pt) 2021-01-05
MY186976A (en) 2021-08-26
MX2020009698A (es) 2020-10-07
WO2019180855A1 (ja)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6805B1 (ko) 차량 기동 제어 시스템, 차재기기, 차량, 서버, 차량 기동 방법, 차량 기동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JP6320647B1 (ja) 車両ドアロック施錠及び解錠用車載器、この車載器を備えた車両、この車載器を備えた車両ドアロック施錠及び解錠用システム
KR102564648B1 (ko)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KR102145139B1 (ko)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JP6647509B1 (ja) 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車載器ないし通信モジュール、車両、サーバ、車両遠隔制御方法、車両遠隔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476408B1 (ja) 与信審査支援システム、車載器、車両、サーバ、与信審査支援方法、与信審査支援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WO2021245960A1 (ja) システム、システム制御方法、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