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213B1 -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213B1
KR102516213B1 KR1020210075332A KR20210075332A KR102516213B1 KR 102516213 B1 KR102516213 B1 KR 102516213B1 KR 1020210075332 A KR1020210075332 A KR 1020210075332A KR 20210075332 A KR20210075332 A KR 20210075332A KR 102516213 B1 KR102516213 B1 KR 102516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aint
unit
caster
pa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504A (ko
Inventor
안송웅
안예진
안하일
Original Assignee
가나안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안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나안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5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213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3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marking-out the location of the markings; Guiding or steering devices for marking apparatus, e.g. s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6Means for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on to freshly applied markings or into the marking material after discharge thereof, e.g. reflective beads, grip-improving p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로서, 도색 몸체가 구비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동 및 이동을 제어하는 조절부와, 상기 도색 몸체를 구동하도록, 상기 도색 몸체의 하부면에 고정형 캐스터 및 회전형 캐스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형 캐스터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가 구비되는 구동부와, 도료를 저장하여 용해시키는 도료 용해 탱크가 구비되고, 도료를 분사하여 도로를 도색하는 도료 살포부재가 형성되며, 도색된 위치에 반사체를 분사하는 반사체 분사부재가 형성되는 도색부와, 상기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부, 상기 구동부, 상기 도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부는, 상기 회전형 캐스터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형 캐스터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을 조정하는 조향 핸들과, 상기 본체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모터 출력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조향 핸들이 회동하는 경우, 상기 모터 출력 레버와 상기 조향 핸들이 일체로 회동되도록 상기 조향 핸들과 상기 모터 출력 레버가 결합됨으로써, 차선 도색 작업을 용이하고 편의성있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MOTORIZED FUSION TYPE LANE PAINGT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STEERING HANDLE}
본 개시는 도로의 차선을 도색하는 작업에 있어, 사용자의 육체적 부담을 줄이고, 다양한 형태의 차선을 도색하기 위해, 도색 몸체에 고정형 캐스터 및 회전형 캐스터가 결합되고, 회전형 캐스터에 배터리가 연결된 모터를 결합시킴으로써, 모터에 의해 도색 몸체가 구동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도로의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도색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수동형 융착식 도색기는 사용자의 힘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사용자는 도색기의 무거운 중량(약 120kg)에 재료를 담아서(최대 120kg) 사용하는 작업 특성상 약 240kg의 도색기를 감당해야 한다. 이러한 도색기와 도료의 무게로 인해 평지에서의 작업은 사용자로 하여금 금방 지치게 하고, 경사로에선 사용자 한 명이 작업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보조로 2명 이상의 인원이 필요하여, 다수의 인력이 요구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색 장치는 일반적으로 가솔린 또는 디젤 등을 연료로 하는 엔진이 구비되고, 엔진에 도색 장치 앞의 두 바퀴를 연결하여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만들어졌다. 이 방식은 동력이 없는 기존 장비의 사용법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장비가 직선 주행이 아닌 커브 또는 원형 주행을 하기 위해 캐스터 2개 사이에 차동 기어를 적용해야 하며 가솔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체인 또는 벨트를 사용해야만 한다. 또한 가솔린 엔진으로 인한 시끄러운 소음과 열기 그리고 배기가스가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형태의 도색 장치와는 달리, 기존 장비 뒤에 트레일러 형태로 동력원을 장착한 형태의 도색 장치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색 장치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의자를 설치하고 의자 뒤에 가솔린 엔진을 설치하여 장비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도색 장치의 장점은 사용자가 서서 걷지 않고 앉은 상태로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있지만, 트레일러 형식을 사용하면서 의자와 그 몸체를 이루는 골격의 부피로 인해 원형 그리기와 같은 세밀한 작업은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497043-0000호(2015.03.02. 등록) 2. 한국등록특허 제10-1383163-0000호(2014.04.15. 등록)
본 개시는 차선 도색 장치에 장착되는 구동부재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도색 작업 시 발생되는 소음, 악취 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도색 몸체의 하부면에 고정형 캐스터 및 회전형 캐스터를 결합시키고, 회전형 캐스터에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는 모터가 결합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차선 도색 장치가 다양한 경사의 환경에서도 일정한 속도로 도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동부의 모터 출력 레버를 통해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여 차선 도색 장치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는 링 형태, 점 형태 등과 같이 급격한 회전 각도로 도색되어야 하는 차선을 도색하기 위해, 도색 몸체의 하부면에 수평면 상으로 360도 회전 가능한 회전형 캐스터를 포함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가 차선 도색 장치의 이동 방향, 도료의 분사 등을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해, 조향 핸들 또는 조향축에 결합되어 조향 핸들과 일체로 회동하는 모터 출력 레버가 구비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르면, 도색 몸체가 구비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동 및 이동을 제어하는 조절부와, 상기 도색 몸체를 구동하도록, 상기 도색 몸체의 하부면에 고정형 캐스터 및 회전형 캐스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형 캐스터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가 구비되는 구동부와, 도료를 저장하여 용해시키는 도료 용해 탱크가 구비되고, 도료를 분사하여 도로를 도색하는 도료 살포부재가 형성되며, 도색된 위치에 반사체를 분사하는 반사체 분사부재가 형성되는 도색부와, 상기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부, 상기 구동부, 상기 도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부는, 상기 회전형 캐스터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형 캐스터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을 조정하는 조향 핸들과, 상기 본체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모터 출력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조향 핸들이 회동하는 경우, 상기 모터 출력 레버와 상기 조향 핸들이 일체로 회동되도록 상기 조향 핸들과 상기 모터 출력 레버가 결합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형 캐스터는, 상기 모터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진행 방향이 전환되는 경우, 상기 모터와 일체로 진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부는, 조절 박스와, 상기 도색 몸체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고정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 출력 레버는, 사용자가 상기 조향 핸들과 상기 모터 출력 레버를 한 손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상기 조향 핸들이 형성되는 방향에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형 캐스터 및 상기 고정형 캐스터의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도색 몸체의 이동 속도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속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속도로 상기 본체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진 구동 및 후진 구동을 결정하는 방향 전환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가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모터 출력 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진 구동 또는 후진 구동을 결정하여 상기 본체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모터 출력 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도색 몸체의 이동 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가 일시에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비상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도색 몸체의 하부면에 고정형 캐스터 및 회전형 캐스터를 결합시키고, 회전형 캐스터에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는 모터가 결합됨으로써, 차선 도색 장치의 본체 자체의 무게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고, 도색 작업 시에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소음, 악취 등을 현격하게 감소시킴으로써 도색 작업의 편의성, 효율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구동부의 모터 출력 레버로 모터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오르막 도로 또는 내리막 도로와 같이, 다양한 경사가 있는 도로에서도 기 설정된 일정한 속도로 차선 도색 장치가 이동하면서 도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조절부, 특히 조향 핸들이 회전형 캐스터에 직접 연결되고, 회전형 캐스터가 도색 몸체의 하부면에 수평면 상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완만한 곡선의 차선뿐만 아니라, 링 형태, 점 형태 등과 같이 급격한 회전 각도로 회전하며 도색되어야 하는 차선에 대해서, 차선 도색 장치를 용이하게 방향 전환할 수 있어, 정확한 형태로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조향 핸들이나 조향축에 결합되어 조향 핸들과 일체로 회동하는 모터 출력 레버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한 손으로 차선 도색 장치의 이동 방향, 모터의 출력 등을 제어하면서, 다른 한 손으로 도료의 분사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핸들과 회전형 캐스터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향 핸들과 회전형 캐스터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의 제1 조절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의 제2 조절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의 조절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체에 트레일러가 결합된 종래의 차선 도색 장치의 도색 경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가 다양한 형태의 도색 경로를 따라 도색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의 조절부, 구동부 및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속도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핸들과 회전형 캐스터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향 핸들과 회전형 캐스터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의 제1 조절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의 제2 조절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의 조절부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6a는 본체에 트레일러가 결합된 종래의 차선 도색 장치의 도색 경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가 다양한 형태의 도색 경로를 따라 도색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의 조절부, 구동부 및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8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속도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100)는 본체부(110), 조절부(120), 구동부(130), 도색부(140), 제어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차선 도색 장치(100)의 본체로서, 도색 몸체(111), 배터리(1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색 몸체(111)는 본체부(110)의 몸체로서, 조절부(120), 구동부(130), 도색부(140), 제어부(150) 등을 지지할 수 있고, 하부면에 고정형 캐스터(131), 회전형 캐스터(132)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색 몸체(111)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차선 도색 장치에 약 120kg의 도료가 적재될 수 있는 바, 적재되는 도료와 다른 구성부들을 포함하는 무게를 충분하게 지탱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112)는 모터(133)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솔린, 디젤 등을 연료로 구동되는 엔진이 구비되는 종래의 차선 도색 장치는 별도의 연료 저장통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이로 인해 차선 도색 장치 전체의 무게가 증가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112)는 전기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구성으로, 가솔린, 디젤 등의 연료를 포함하는 연료 저장통에 비해, 배터리의 자체의 부피가 가솔린, 디젤 등의 연료 저장통에 비해 작게 구비될 수 있어, 차선 도색 장치 전체의 크기나 무게가 종래의 차선 도색 장치보다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별도의 충전소를 찾아 갈 필요없이 가정이나 외부에서도 손쉽게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차선 도색 장치에 비해 간편하게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어 그 편의성이 뛰어나다.
조절부(120)는 본체부(110)의 구동 및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조절 박스(121), 고정 핸들(122), 조향 핸들(123), 모터 출력 레버(1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 박스(121)는,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스위치(121a), 비상 스위치(121b), 전압계(121c), 퓨즈(121d), 방향 전환 스위치(121e) 등을 구비하는 몸체로서, 조절 박스(121)에 구비된 구성들을 조정함으로써, 본체부(110), 조절부(120), 구동부(130), 도색부(140), 제어부(150) 등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각 구성부들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전원 스위치(121a)는 본체부(110), 조절부(120), 구동부(130), 도색부(140), 제어부(150) 등에 대해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구성으로, 전원 스위치(121a)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차선 도색 장치(100)는 지면과의 마찰 등에 의해 감속되면서 정지할 수 있다. 또한, 도색 작업 중에 발생될 수 있는 돌발 상황에서, 차선 도색 장치(100)를 일시에 정지시킬 수 있도록 비상 스위치(121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상 스위치(121b)가 작동되는 경우, 모터 드라이버(151)에 의해 모터(133)의 출력이 일시에 0%가 되도록 모터(133) 등이 제어되거나, 감속기(133b)에 의해 모터(133)의 회전축(133a)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차선 도색 장치(100)가 일시에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전압계(121c)는 배터리(112)의 현재 전압을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표시된 전압을 기준으로 배터리의 충전 여부, 교체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퓨즈(121d)는 구동부(130) 등에 규정된 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구동부(130)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의 제1 조절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의 제2 조절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의 조절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도 4b, 도 5를 참조하면, 방향 전환 스위치(121e)는 차선 도색 장치(100)의 이동 방향(즉, 전진 또는 후진)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특히, 모터 출력 레버(124)가 모터(133)의 출력만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경우(제2 조절 방식), 방향 전환 스위치(121e)가 모터 출력 레버(124)와 함께 작동될 수 있다. 반면에, 모터 출력 레버(124)가 제1 조절 방식으로 작동되는 경우, 모터 출력 레버(124)에 의해 차선 도색 장치(100)의 이동 방향(즉, 전진 또는 후진)과 모터(133)의 출력이 조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 전환 스위치(121e)는 생략될 수 있다.
고정 핸들(122)은 도색 몸체(111)를 직진 또는 후진시키거나, 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색 몸체(111)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100)는 모터(133)에 의해 구동되어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사용자의 힘에 의해, 즉, 수동으로 구동되어 이동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색 몸체(111)가 수동으로 구동될 경우, 사용자는 도색 몸체(111)에 구비된 고정 핸들(122)을 밀어서 도색 몸체(111)를 전진시킬 수 있고, 고정 핸들(122)을 당김으로써 도색 몸체(111)를 후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고정 핸들(122)을 좌, 우 방향으로 밀거나 당김으로써, 도색 몸체(111)의 진행 방향을 좌, 우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특히, 고정 핸들(122)은 도색 몸체(111)의 일측 모서리에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도색 몸체(111)의 진행 방향을 좌, 우로 전환되는 경우, 사용자가 도색 몸체(111)에 가하는 힘이 고정 핸들(122)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 도색 몸체(111)가 좌, 우 방향으로 용이하게 방향 전환될 수 있다.
조향 핸들(123)은 회전형 캐스터(132)에 연결되며, 회전형 캐스터(132)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본체부(110)의 이동 방향이 좌, 우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이동 방향을 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핸들(123)은 바 형상으로 구비되며, 타단부가 조향축(123a)에 결합되어 조향 핸들(123)이 조향축(123a)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회전형 캐스터(132)도 좌, 우 방향 등으로 회전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도 3a를 참조하면, 조향축(123a)은 하방으로 연장되며, 조향축(123a)의 하단부는 역 'T'자 형으로 형성되어 캐스터 지지대(122a)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캐스터 지지대(132a)에 회전형 캐스터(132)의 회전축(133a)이 결합됨에 따라, 조향 핸들(123)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회전형 캐스터(132)의 회전축(133a)의 법선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전환될 수 있다(즉, 회전형 캐스터(132)의 회전 방향도 전환될 수 있다). 아울러, 캐스터 지지대(132a)와 본체부(110)의 하부면 사이에 베어링(132b)이 구비됨으로써, 캐스터 지지대(132a)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로, 도 3b를 참조하면, 조향축(123a)은 하방으로 연장되며, 조향축(123a)의 하단부와 캐스터 지지대(132a)의 상단부에 각각 기어(도면번호 생략)가 구비되고, 각 기어들이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조향 핸들(123)의 회동이 캐스터 지지대(132a)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형 캐스터(132)의 회전축(133a)의 회전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전환될 수 있다(즉, 회전형 캐스터(132)의 회전 방향도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100)를 이용하여 차선을 도색하는 작업에 있어, 사용자가 본체부(110)의 이동 방향을 조정하면서, 모터(133)의 출력을 제어하고, 도료의 살포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작업을 사용자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조향 핸들(123)에 모터 출력 레버(124)가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차선 도색 장치(100)의 후방에 사용자가 위치하고, 사용자의 좌측 방향으로 조향 핸들(123)이 형성될 경우, 모터 출력 레버(124)도 사용자의 좌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모터 출력 레버(124)가 조향 핸들(123)의 일측부 또는 조향축(123a)에 결합됨으로써, 모터 출력 레버(124)가 조향 핸들(123)과 일체로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한 손으로 본체부(110)의 이동 방향 조정(즉, 조향 핸들(123)의 조정)과 모터(133)의 출력 조절(즉, 모터 출력 레버(124)를 조절)을 할 수 있고, 다른 한 손으로 도료를 살포(즉, 도료 살포부재(142)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모터 출력 레버(124)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모터(133)의 출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형상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핸들(123)의 타측부는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조향 핸들(123)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조향 핸들(123)의 타측부가 사용자 측으로 절곡되면서 타단부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 측에 인접하여 위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작업 중에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부(110)를 우회전시키는 경우, 조향 핸들(123)의 일단부가 조향축(123a)을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재차 본체부(110)를 우회전 또는 좌회전시키려는 경우, 조향 핸들(123)의 조정이 불편하거나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핸들(123)에 절곡부(123b)가 형성되어 사용자와 조향 핸들(123) 간의 거리가 감소됨에 따라, 사용자는 조향 핸들(123)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조향 핸들(123)을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제어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향 핸들(123)의 절곡부(123b)를 밀고 당김으로써 용이하게 본체부(110)를 조향할 수 있다. 즉, 조향 핸들(123)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사용자는 조향 핸들(123)이 회동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조향 핸들(123)을 조정할 수밖에 없지만, 조향 핸들(123)에 절곡부(123b)가 형성될 경우, 조향 핸들(123)의 절곡된 부분 또는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직선 방향(즉, 본체부(110)의 전진, 후진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사용자는 조향 핸들(123)을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 핸들(122)을 이용하여 도색 몸체(111)를 좌, 우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일 경우, 작업장의 힘이 회전형 캐스터(132)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고정 핸들(122)에 힘을 가하여 도색 몸체(111)가 움직임으로써, 도색 몸체(111)의 하부면에 결합된 회전형 캐스터(132)의 바퀴가 회전하게 되어 도색 몸체(111)의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핸들(123)은 회전형 캐스터(132)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 조향 핸들(123)을 좌, 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회전형 캐스터(132)도 바로 화, 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어, 도색 몸체(111)의 이동 방향이 용이하고 즉각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특히, 도색하려는 차선의 모양이 다양한 형태의 곡선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예를 들면, 링 형태 등과 같이 곡률이 작은 곡선이 포함되어 있어, 도색 몸체(111)를 급격한 각도로 방황 전환시켜야 될 경우, 고정 핸들(122)을 이용하는 것보다도, 조향 핸들(123)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회전형 캐스터(132)를 좌, 우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차선을 도색할 수 있다.
모터 출력 레버(124)는 본체부(110)가 구동되도록 모터(133)의 출력을 조절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124)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본체부(110)가 전진하거나 후진하는 진행 방향 제어와, 모터(133)의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출력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이하, '제1 조절 방식'이라 함).
예를 들면, 도 4a를 참조하면, 레버가 중립의 위치에 있을 경우, 모터(133)가 정지되어 차선 도색 장치(100)가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터(133)에 의한 구동은 실행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수동으로 도색 몸체(1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 출력 레버(124)를 일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도색 몸체(111)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모터(133)의 출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타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도색 몸체(111)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모터(133)의 출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 출력 레버(124)는 모터(133)의 출력 제어와, 방향 전환 제어를 레버의 방향 전환을 통해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로, 도 4b를 참조하면, 모터 출력 레버(124)가 일측에 위치되어 모터(133)의 출력이 0%일 경우, 모터(133)가 정지 상태로서, 차선 도색 장치(100)도 정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모터 출력 레버(124)가 타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모터(133)의 출력이 증가함으로써 차선 도색 장치(100)가 이동될 수 있고, 모터 출력 레버(124)가 완전히 타측에 위치되어 모터(133)의 출력이 100%가 될 경우, 모터(133)가 최대 출력으로 구동될 수 있다(이하, '제2 조절 방식'이라 함).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모터 출력 레버(124)가 형성될 경우, 모터 출력 레버(124)의 위치 변화에 따라 모터(133)의 출력량만 제어될 수 있어, 차선 도색 장치(100)를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기 위해서, 모터(133)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 스위치(121e)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지 상태의 차선 도색 장치(100)에서, 방향 전환 스위치(121e)를 전진 위치로 설정하여 도색 몸체(111)의 이동 방향이 본체부(110)의 전방이 되도록 설정한 후, 모터 출력 레버(124)를 타측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타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해당하는 모터(133)의 출력에 따라 모터(133)가 구동되어, 차선 도색 장치(100)가 전진 이동될 수 있다.
차선 도색 장치(100)를 전진 구동 중, 후진시키기 위해서는, 모터(133)의 구동을 정지하고 회전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차선 도색 장치(100)를 후진시킬 수 있다. 즉, 모터 출력 레버(124)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모터(133)의 출력을 0%로 설정하여 도색 몸체(111)를 정지시키고, 모터(133)가 정지된 후, 방향 전환 스위치(121e)를 후진 위치로 설정하고, 모터 출력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모터(133)를 재구동시킴으로써, 차선 도색 장치(100)가 후진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제2 조절 방식")은 모터(133)의 출력 제어와, 방향 전환 제어를 각각 다른 구성들로 제어하는 방식이다.
즉, 제2 조절 방식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124)는 레버의 위치가 조절될 수 범위 내에서 모터(133)의 출력만이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제1 조절 방식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124)는 레버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모터(133)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도색 몸체(111)의 전진 구동 또는 후진 구동, 즉, 이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1 조절 방식으로 출력을 조절하기 위해 일단의 변환 과정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조절 방식은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바꿔가면서 가변저항의 전압을 0V에서 5V로 바꾸고 이를 모터(133)의 출력량과 비례시키는 방식이다. 이와 다르게, 제1 조절 방식은 중립의 위치에 모터 출력 레버(124)가 위치될 경우, 제2 조절 방식에서 가변저항의 전압이 2.5V를 의미한다. 따라서 아래 표 1과 같은 전압의 변환이 필요할 수 있다.
기존 변경
2.5V ~ 5V 0V ~ 5V
0V ~ 2.5V 5V ~ 0V
중립 위치에서 전진 100% 위치까지 기존 가변저항은 2.5V에서 5V로 증가할 수 있고, 이를 전진 출력 0%에서 100%로 변경하기 위해 0V에서 5V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중립 위치에서 후진 100% 위치까지 기존 가변저항은 2.5V에서 0V로 감소할 수 있으며, 이를 후진 출력 0%에서 100%로 변환하기 위해 2.5V일 때 0V, 0V일 때 5V가 되도록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환이 구현되기 위해 제어부(150)에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간단한 변환 과정은 다음과 같다. 가변저항의 0V에서 5V 전압 값을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입력하면 표 1과 같이 변환하도록 프로그래밍함으로써, 2.5V에서 5V 전압 값에 대해서 0V부터 5V가 출력되도록 하고 0V에서 2.5V 전압 값에 대해서 5V부터 0V가 출력되며 방향은 역방향(후진)이라는 신호도 함께 출력한다.
또한, 모터 출력 레버(124)에 결합된 기어의 기어비를 제2 조절 방식과 상이하게 구비하고, 가변저항을 결합시킴으로써, 제1 조절 방식이 구현될 수 있다. 모터 출력 레버(124)의 변환에 따라, 설정된 크기의 모터 출력, 도색 몸체(111)의 진행 방향 등에 관한 신호가 제어부(150)의 모터 드라이버(151)에 전달됨으로써, 모터(133)의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124)는 사용자가 한쪽 손을 이용하여 모터(133)의 출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그 말단부가 반원통 형상, 고리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모터 출력 레버(124)의 말단부가 반원통 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모터 출력 레버(124)의 말단부에 한쪽 손의 손가락을 넣거나 끼우는 방식으로 모터 출력 레버(124)를 파지함으로써, 손가락으로 모터 출력 레버(124)를 전방을 밀거나 사용자 측으로 당겨서 모터(133)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모터 출력 레버(124)가 전술한 제1 조절 방식으로 형성될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모터 출력 레버(124)를 전방으로 밀어, 모터(133)의 출력 증가시키며 차선 도색 장치(100)를 전진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측으로 당기면서 차선 도색 장치(100)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모터(133)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 출력 레버(124)가 전술한 제2 조절 방식으로 형성될 경우, 사용자는 모터 출력 레버(124)를 전방으로 밀거나 사용자 측으로 당기면서, 모터(133)의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일부 손가락으로 모터 출력 레버(124)를 제어하고 다른 손가락으로 조향 핸들(123)을 파지하여 조향 핸들(123)을 조정함으로써, 차선 도색 장치(100)의 이동과 그 모터(133)의 출력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출력 레버(124)는 조향 핸들(123)에 결합되거나 조향축(123a)에 결합될 수 있어, 조향 핸들(123)이 회동할 경우, 모터 출력 레버(124)도 일체로서 회동됨에 따라, 조향 핸들(123)과 모터 출력 레버(124)의 거리가 유지될 수 있는 바, 조향 핸들(123)이 회동되더라도 사용자가 한쪽 손으로 조향 핸들(123)과 모터 출력 레버(124)를 동시에 제어하는데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등의 어려움이 발생되지 않는다.
구동부(130)는 도색 몸체(111)를 구동하는 것으로, 고정형 캐스터(131), 회전형 캐스터(132), 모터(1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형 캐스터(131)는 도색 몸체(111)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면을 기준으로 수평면 상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결합됨에 따라, 도색 몸체(111)가 전진하거나 후진하는 방향으로 고정형 캐스터(131)의 바퀴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색 몸체(11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고정형 캐스터(131)가 대칭적인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형 캐스터(132)는 도색 몸체(111)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색 몸체(111)가 좌, 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도색 몸체(111)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수평면 상에서 360도 회전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종래의 도색 장치로서, 도료가 수용되어 있는 본체에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트레일러가 결합되고, 본체와 트레일러의 연결축을 기준으로 좌, 우 방향으로 트레일러가 회전함에 따라, 도색 경로가 바뀌게 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종래의 도색 장치는, 본체와 트레일러가 따로 구성되어 연결된 형태로서, 본체가 좌, 우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도록 트레일러가 회전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체가 급격한 각도로 방향 전환을 하면서 도색해야 하는 문자의 형태 등은 종래의 도색 장치에 의해서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그러나, 도 6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캐스터(132)가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경로로 도로가 도색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100)는 360도 회전 가능한 회전형 캐스터(132)가 도색 몸체(111) 자체에 결합되어 있어, 회전형 캐스터(132)가 다른 구성에 의한 제한없이 회전 가능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경로로 도색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차선 도색 장치(100)가 회전 반경이 큰 완만한 곡선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도로를 도색할 수 있고, 링 형태의 원 문자뿐만 아니라 점 형태의 원 문자까지 도색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도색 장치(100)는 회전형 캐스터(132)와 모터(133)가 동일한 회전축(133a)에 결합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차선 도색 장치(100)가 곡선 경로를 따라 도색 작업을 수행할 경우, 회전축(133a)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상에 곡선 경로의 회전 중심이 위치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곡선 경로를 따라 도색 몸체(111)가 이동될 수 있다. 모터(133)는 동력을 발생시켜 회전형 캐스터(132)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모터(133)에 의해 도색 몸체(111)가 구동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133)는 회전형 캐스터(132)와 일체의 회전축(133a)에 결합됨으로써, 모터(133)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회전형 캐스터(132)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모터(133)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는 감속기(133b)가 모터(133)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133)는 BLDC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가솔린 엔진 등을 장착한 도색 장비의 경우, 가솔린 저장통, 차동기어, 동력 전달을 위한 벨트 등의 추가적인 구성이 요구되며, 작업 과정에서 가솔린 엔진으로부터 소음, 배기가스, 고온의 열기 등이 방출될 수 있어, 작업 과정에 어려움이 많은 단점이 있다.
그러나, BLDC 모터는 일반 모터에 비해서 모터 자체의 크기가 소형이며, 차선 도색 장치(100)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오랜 시간 사용되더라도 그 소음이 크게 커지지 않는 특성이 있다. 또한, 회전형 캐스터(132)가 회전할 경우, 회전형 캐스터(132)에 결합된 모터(133)로 인해 회전형 캐스터(132)의 방향 전환이 즉각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등의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지만, 모터(133)가 BLDC 모터로 구비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색 작업 특성 상, 도색 작업으로 인한 소음이 크게 발생될 수 있으나, 엔진을 이용하는 종래의 도색 장치에 비해, BLDC 모터를 이용한 차선 도색 장치(100)의 경우, 작업 시 발생되는 소음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색부(140)는 도로를 도색하기 위해 도료를 분사하는 것으로, 도료 용해 탱크(141), 도료 살포부재(142), 반사체 분사부재(1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용해 탱크(141)는 도로를 도색하기 위한 도료가 저장되는 것이다.
도료는 액상으로 살포되었다가 상온에서 응고되는 가열성 페인트가 주로 사용되며, 용해 상태로 유지되기 위해 도료는 약 180도 내지 200도 온도로 보존되어야 하는 바, 가스 공급부재(141a)로부터 열을 공급받음으로써, 도료 용해 탱크(141) 내에서 도료가 보존 적정 온도인 약 180도 내지 200도의 온도 상태를 유지하며 저장될 수 있다.
도료 살포부재(142)는 도료를 분사하여 도로를 도색하는 것으로, 흰색, 노란색 등의 도료가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살포부재(142)는 도색 몸체(111)의 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도로 상의 정확한 위치에 도료가 살포될 수 있도록 살포 가이드(142a)가 형성되고, 도료가 살포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살포 제어봉(142b)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하면, 차선 도색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위치에서 도료가 살포되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차선 도색 장치(100)가 이동하면서 도색하는 경로와 도색되는 차선의 위치가 일치되는 지를 확인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로 상에 도료가 살포될 위치나 그 경로를 안내하는 살포 가이드(142a)가 도료 살포부재(142)의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살포 가이드(142a)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도료가 도색될 차선의 위치에 정확하게 살포될 수 있다.
또한, 도료가 도료 살포부재(142)에서 유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살포 제어봉(142b)은 도료 살포부재(142)에 결합될 수 있다. 살포 제어봉(142b)은 도료 살포부재(142)로부터 사용자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도색 작업 중에 다른 손으로 용이하게 살포 제어봉(142b)을 조작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한 손으로 조향 핸들(123)과 모터 출력 레버(124)를 제어할 수 있다.
반사체 분사부재(143)는 도료가 분사된 위치, 즉, 도색된 위치에 반사체를 분사하는 것으로, 반사체 저장통(143a)에 저장된 반사체를 도로의 차선 상에 분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체 분사부재(143)는 도색된 차선 위에 글라스 비드(glass bead) 등으로 형성된 반사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선을 도색한 후, 도료가 건조되기 전에 반사체가 분사될 수 있으며, 반사체를 분사함으로써, 야간이나 우천 시, 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차선이 인식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교통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조절부(120), 구동부(130), 도색부(140)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 모터 드라이버(15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드라이버(151)는 모터(133)를 제어함으로써, 모터(133)가 발생시키는 출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도색 몸체(111)가 이동하는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력을 통해 종래의 도색 장치를 이용하여 차선 도색 작업을 하는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오르막 도로에서 힘을 가하거나, 내리막 도로에서 도색 장치를 잡아당김으로써, 도색 장치의 속도가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것을 제어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133)가 특정한 출력을 일정하게 발생시키더라도, 오르막 도로에서는 본체부(110), 도색부(140) 등의 무게로 인해 도색 몸체(111)의 이동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반대로 내리막 도로에서는 도색 몸체(111)의 이동 속도가 빨라질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작업 환경에서 작업할 경우, 모터 드라이버(151)는 모터 출력 레버(124)으로부터 모터(133)의 출력량 정보를 전달받아 모터(13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속도 설정부(도시 생략)는 도색 몸체(111)가 이동하는 속도를 설정하는 것으로, 모터 드라이버(151)를 통해 속도가 설정될 수 있으며, 별도로 구비되는 컴퓨터 등을 모터 드라이버(151)에 연결하여 작업 환경에 관계없이 도색 몸체(111)가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이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리막 도로에서 작업할 경우, 차선 도색 장치(100)의 속도가 빨라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터(133)가 제어될 수 있다.
즉, 내리막 도로에서 사용자가 모터 출력 레버(124)의 출력을 0%로 설정할 경우, 고정형 캐스터(131) 및 회전형 캐스터(132)의 바퀴의 속도도 0m/s 가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바퀴의 속도가 0m/s 가 아닐 경우, 바퀴의 속도가 0m/s 이 되도록, 모터 출력 레버(124)에서 설정된 모터(133)의 출력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드라이버(151)는 도색 몸체(111)가 이동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르막 도로나 내리막 도로에서, 도로의 경사에 의해 도색 몸체(111)의 속도가 느려 지거나 빨라질 수 있는데, 사용자의 보행 속도와 유사하게 차선 도색 장치(100)가 이동되도록 이동 속도가 약 3~5km/h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기 설정된 속도를 유지하면서 차선 도색 장치(100)가 작업할 수 있게 모터 드라이버(151)에 의한 속도 제어가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속적으로 도색 몸체(111)의 이동 속도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도색 몸체(111)의 이동 속도를 변경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도색 몸체(111)의 이동 속도가 설정된 이동 속도보다 느려 지거나 빨라지는 상황이 발생될 경우, 모터 드라이버(151)에 의해 모터(133)의 출력을 증가됨으로써 도색 몸체(111)의 이동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모터 드라이버(151)에 의해 모터(133)의 출력이 감소되거나 감속기(133b)를 제어하여 회전 속도 자체를 감속시킴으로써, 현재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이동 속도로 복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드라이버(151)는 도색을 하기 위해 도로 상에 표시되어 있는 가이드선을 센서로 인식함으로써, 도색 몸체(111)가 가이드선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색 몸체(111)를 제어하지 않더라도, 도색 몸체(111)가 가이드선을 따라 자율 주행하면서 자동으로 차선을 도색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드라이버(151)는 도색 몸체(111)의 전방부에 구비된 장애물 감지 센서(도시 생략)을 통해 도색 작업 중 인지되는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다.
즉, 도색 작업 중, 사용자가 장애물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인지하더라도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한 판단을 하지 못하더라도, 장애물 감지 센서로부터 장애물이 인지되면 즉각적으로 모터 드라이버(151)가 모터(133)의 출력을 0%로 제어하여 도색 몸체(111)의 속도값을 0으로 조절함으로써, 도색 몸체(111)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차선 도색 장치 110 : 본체부
111 : 도색 몸체 112 : 배터리
120 : 조절부 121 : 조절 박스
122 : 고정 핸들 123 : 조향 핸들
124 : 모터 출력 레버 130 : 구동부
131 : 고정형 캐스터 132 : 회전형 캐스터
133 : 모터 140 : 도색부
141 : 도료 용해 탱크 142 : 도료 살포부재
143 : 반사체 분사부재 150 : 제어부
151 : 모터 드라이버

Claims (9)

  1. 도색 몸체가 구비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동 및 이동을 제어하는 조절부와,
    상기 도색 몸체를 구동하도록, 상기 도색 몸체의 하부면에 고정형 캐스터 및 회전형 캐스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형 캐스터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가 구비되는 구동부와,
    도료를 저장하여 용해시키는 도료 용해 탱크가 구비되고, 도료를 분사하여 도로를 도색하는 도료 살포부재가 형성되며, 도색된 위치에 반사체를 분사하는 반사체 분사부재가 형성되는 도색부와,
    상기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부, 상기 구동부, 상기 도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부는, 조절 박스와, 상기 도색 몸체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고정 핸들과, 상기 회전형 캐스터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형 캐스터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본체부의 이동 방향을 조정하는 조향 핸들과, 상기 배터리의 현재 전압을 표시하는 전압계와, 상기 본체부의 전진 구동 또는 후진 구동을 결정하여, 상기 본체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모터 출력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조향 핸들이 회동하는 경우, 상기 모터 출력 레버와 상기 조향 핸들이 일체로 회동되도록 상기 조향 핸들과 상기 모터 출력 레버가 결합되며,
    상기 모터 출력 레버는, 사용자가 상기 조향 핸들과 상기 모터 출력 레버를 한 손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상기 조향 핸들이 형성되는 방향에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회전형 캐스터는, 상기 모터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진행 방향이 전환되는 경우, 상기 모터와 일체로 진행 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 출력 레버가 일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도색 몸체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출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모터 출력 레버가 타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도색 몸체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출력이 증가시키고,
    비상 스위치가 작동되는 경우, 상기 모터 드라이버에 의해 상기 모터의 출력이 일시에 0%가 되거나, 감속기에 의해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본체부가 일시에 정지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형 캐스터 및 상기 고정형 캐스터의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도색 몸체의 이동 속도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속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속도로 상기 본체부가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진 구동 및 후진 구동을 결정하는 방향 전환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가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모터 출력 레버가 구비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도색 몸체의 이동 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9. 삭제
KR1020210075332A 2021-06-10 2021-06-10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KR102516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332A KR102516213B1 (ko) 2021-06-10 2021-06-10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332A KR102516213B1 (ko) 2021-06-10 2021-06-10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504A KR20220166504A (ko) 2022-12-19
KR102516213B1 true KR102516213B1 (ko) 2023-04-03

Family

ID=84535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332A KR102516213B1 (ko) 2021-06-10 2021-06-10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2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706B1 (ko) * 2013-08-20 2015-05-04 (유) 이성알엠에스 자동 온도제어부와 압력제어부를 구비한 융착식 도료 전동카트 도색장치
KR102071866B1 (ko) * 2018-07-30 2020-01-31 근우테크 주식회사 듀얼구동 제어 및 3축 제어를 이용한 자동 차선도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501A (ko) * 2009-10-27 2011-05-04 윤정근 전자 제어식 자동 차선도색장치
KR101383163B1 (ko) 2013-07-23 2014-04-15 (주)선화건설 도로 주행차선이 선명하게 부각되게 하는 분사구조를 갖는 도색차량의 차선도색장치 및 차선도색공법
KR101497043B1 (ko) 2014-03-24 2015-03-02 주식회사이화정공 비드 혼합 및 미끄럼방지를 위한 도로용 차선 도색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57113A (ko) * 2014-11-13 2016-05-23 주식회사 시명 차선 페인트 제거 장치
KR101965160B1 (ko) * 2017-07-13 2019-04-05 근우테크 주식회사 차선 자동 도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706B1 (ko) * 2013-08-20 2015-05-04 (유) 이성알엠에스 자동 온도제어부와 압력제어부를 구비한 융착식 도료 전동카트 도색장치
KR102071866B1 (ko) * 2018-07-30 2020-01-31 근우테크 주식회사 듀얼구동 제어 및 3축 제어를 이용한 자동 차선도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504A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8534A (en) Rear drive ride-on tractor unit for propelling steerable utility vehicles such as walk-behind paint stripers
US9839179B2 (en) Ride-on vehicle with operator access assist bar
US9623903B2 (en) Steering system and utility vehicle incorporating same
CN106672140A (zh) 滑板车与驱动控制系统
CN101780816A (zh) 一种非同轴左右轮式驱动车辆结构
KR102516213B1 (ko) 일체형 조향 핸들이 구비된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EP3660216B1 (en) Electric driver for wheeled ground surface modifying machine
CN204452708U (zh) 一种脚控休闲健身电动车
KR100407581B1 (ko) 자이로를 이용한 전동식 무인 자전거
KR102441438B1 (ko) 전동형 융착식 차선 도색 장치
KR101515086B1 (ko) 전동식 보행 보조 장치
JP2000051278A (ja) 電動車椅子
JP6793276B1 (ja) 自転車型ライン引き装置
CN205737040U (zh) 一种汽车前排座椅升降机构
ITMI951938A1 (it) Apparecchio di sollevamento e di manovra di un autoveicolo e autoveicolo dotato di tale apparecchio
JP3032407B2 (ja) 自動走行車両
CN216526887U (zh) 一种双把手差速驱动电动搬运车的控制系统及电动搬运车
JPH0810596Y2 (ja) ハンドガイドローラの安全装置
JP6892546B1 (ja) 自転車型ライン引き装置
CN108945233B (zh) 一种采用球形车轮且驱动前置的两轮摩托车及其控制方法
CN108583760B (zh) 多点受力平衡车
CN106828722A (zh) 一种可变形自行车
JP2023168647A (ja) 操縦者同乗式の駆動アシスト電動装置
JP2516493Y2 (ja) 自走式噴霧機の旋回機構
US20220232762A1 (en) Lawn Care Vehicle with Heads Up Mower Contr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