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327B1 -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및 이로부터 회수된 유가금속 - Google Patents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및 이로부터 회수된 유가금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327B1
KR102515327B1 KR1020210174753A KR20210174753A KR102515327B1 KR 102515327 B1 KR102515327 B1 KR 102515327B1 KR 1020210174753 A KR1020210174753 A KR 1020210174753A KR 20210174753 A KR20210174753 A KR 20210174753A KR 102515327 B1 KR102515327 B1 KR 102515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ching
copper
graphite
valuable metals
copper a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천
김수경
쿨니아완
배무기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74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4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 C22B3/06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in inorganic acid solutions, e.g. with acids generated in situ; in inorganic salt solutions other than ammonium salt solutions
    • C22B3/08Sulfuric acid, other sulfurated 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22B11/04Obtaining noble metals by wet processes
    • C22B11/042Recovery of noble metals from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5/00Obtaining copper
    • C22B15/0002Preliminary treatment
    • C22B15/0004Preliminary treatment without modification of the copper constituent
    • C22B15/0008Preliminary treatment without modification of the copper constituent by we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5/00Obtaining copper
    • C22B15/0063Hydrometallurgy
    • C22B15/0065Leaching or slurrying
    • C22B15/0067Leaching or slurrying with 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3/00Obtaining nickel or cobalt
    • C22B23/04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wet processes
    • C22B23/0407Leaching processes
    • C22B23/0415Leaching processes with acids or salt solutions except ammonium salts solu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킨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및 이로부터 회수된 유가금속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및 이로부터 회수된 유가금속{METHOD FOR EFFICIENT LEACHING OF VALUABLE METAL FROM COPPER ANODE SLIME BY ADDITION OF GRAPHITE AND VALUABLE METAL RECOVERED THEREFROM}
본 발명은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킨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및 이로부터 회수된 유가금속에 관한 것이다.
구리를 생산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주요 광물은 황동광(Chalcopyrite, CuFeS2)이다. 현재 황동광으로부터 구리를 생산하는 공정은 ① 광석으로부터 구리를 추출하여 순도가 약 99.5 %인 구리를 제조하는 건식제련공정과 ② 순도가 약 99.5 %인 구리를 99.9 % 이상의 순도를 갖는 구리로 정제하는 전해정련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해정련공정에서는 순도 99.5 %인 구리를 전해조의 양극에 장착한 다음 전기분해를 행함으로서 순도 99.5 %인 구리가 용해되어 음극으로 이동, 전착된다. 음극에 전착된 구리를 음극구리(음극동)라고 칭하며 순도가 99.9 % 이상으로서 산업소재원료로 사용된다.
한편, 전해정련 반응조의 양극에서 전기분해에 의하여 순도 99.5 %인 구리는 용해되는 반면에 금(Au), 은(Ag), 백금(Pt), 팔라듐(Pd) 등과 같은 귀금속을 비롯한 일부 유가금속들이 용해되지 않고 고체입자로서 전해조 양극의 바닥에 집적되는데 이를 양극니 또는 애노드 슬라임(anode slime)이라 칭한다.
구리 양극니에는 금, 은, 백금, 팔라듐과 같은 귀금속뿐만 아니라 구리, 니켈, 셀레늄, 텔루륨 등과 같이 첨단산업의 소재원료로 사용되는 유가금속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산업국가로서 금속소재원료의 확보가 절실한 우리나라로서는 매우 귀중한 자원이라 아니할 수 없다. 따라서 국내 구리 제련소에서 발생하는 양극니로부터 귀금속을 비롯한 유가금속들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재활용하는 기술의 확보가 매우 시급하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각고의 노력으로 여러 연구를 통하여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킨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을 획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41408호(특허등록일: 2018년03월16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킨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에 의해 회수된 유가금속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구리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을 침출시키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으로,
(a-1) 유가금속 침출용 황산용액을 제조하는 침출용액 준비단계;
(a-2) 황산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
(a-3) 구리양극니, 이산화망간, 및 흑연을 가열된 반응조에 투입하여 형성한 광물액을 교반하면서 유가금속의 침출을 진행하는 침출단계;
(a-4) 상기 광물액의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을 침출한 후 구리양극니 잔사와 침출액을 분리하는 고액분리단계; 및
(a-5) 상기 침출액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유가금속 회수단계;를 포함하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는 0.1 M(mole/L) ~ 8.0 M(mole/L)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황산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에서 가열온도는 5 ∼ 99 ℃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3) 침출단계에서 구리양극니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0~2이고, 구리양극니와 흑연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0~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침출단계의 교반속도는 50 ~ 2000 rpm 이고, 교반시간은 5 ~ 600 분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침출액의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의 침출효율은
구리(Cu)는 99.0 ~ 99.95 %,
니켈(Ni)은 99.0 ~ 99.95 %,
텔루륨(Te)은 85.0 ~ 95.0 %,
셀리늄(Se)은 70.0 ~ 85.0 %,
은(Ag)은 70.0 ~ 85.0 %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구리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을 침출시키는 유가금속 침출반응의 종료 후 구리양극니 잔사로부터 흑연을 분리회수하여 침출공정에 재사용함으로서 흑연의 소모를 절약하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으로,
(b-1) 유가금속 침출용 황산용액을 제조하는 침출용액 준비단계;
(b-2) 황산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
(b-3) 구리양극니, 이산화망간, 및 흑연을 가열된 반응조에 투입하여 형성한 광물액을 교반하면서 유가금속의 침출을 진행하는 침출단계;
(b-4) 상기 광물액의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을 침출한 후 구리양극니 잔사와 침출액을 분리하는 고액분리단계;
(b-5) 상기 구리양극니 잔사를 체질하여 흑연을 분리하고 구리 양극니 최종 잔사를 회수하는 체질단계;
(b-6) 상기 분리된 흑연을 상기 (b-3) 침출단계에 재사용하는 단계; 및
(b-7) 상기 침출액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유가금속 회수단계;를 포함하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는 0.1 M(mole/L) ~ 8.0 M(mole/L)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황산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에서 가열온도는 5 ∼ 99 ℃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3) 침출단계에서 구리양극니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0~2이고, 구리양극니와 흑연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0~2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침출단계의 교반속도는 50 ~ 2000 rpm 이고, 교반시간은 5 ~ 600 분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침출액의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의 침출효율은
구리(Cu)는 99.0 ~ 99.95 %,
니켈(Ni)은 99.0 ~ 99.95 %,
텔루륨(Te)은 85.0 ~ 95.0 %,
셀리늄(Se)은 70.0 ~ 85.0 %,
은(Ag)은 70.0 ~ 85.0 %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구리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을 침출시키는 유가금속 침출반응의 종료 후 구리양극니 잔사와 침출액의 여과, 분리 후 상기 구리양극니 잔사를 다시 침출공정에 투입함으로서 유가금속을 완전히 침출하는 2단 침출방법인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으로,
(c-1) 유가금속 침출용 황산용액을 제조하는 침출용액 준비단계;
(c-2) 황산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
(c-3) 구리양극니, 이산화망간, 및 흑연을 가열된 반응조에 투입하여 형성한 광물액을 교반하면서 유가금속의 침출을 진행하는 1차 침출단계;
(c-4) 상기 광물액의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을 1차 침출한 후 1차 구리양극니 잔사와 1차 침출액을 분리하는 1차 고액분리단계;
(c-5) 제1단계의 황산용액을 새로운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
(c-6) 상기 1차 구리양극니 잔사와 새로 준비한 이산화망간을 상기 반응조에 투입하여 형성한 새로운 광물액을 교반하면서 유가금속의 침출을 진행하는 2차 침출단계;
(c-7) 2차 침출반응이 종료된 후 상기 광물액의 교반을 멈추고 2차 구리양극니 잔사와 2차 침출액을 분리하는 2차 고액분리단계;
(c-8) 상기 2차 구리양극니 잔사를 체질하여 흑연을 분리하고 구리 양극니 최종 잔사를 회수하는 체질단계; 및
(c-9) 상기 1차 침출액 및 2차 침출액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유가금속 회수단계;를 포함하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는 0.1 M(mole/L) ~ 8.0 M(mole/L)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황산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에서 가열온도는 5 ∼ 99 ℃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3) 1차 침출단계에서 구리양극니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0~2이고, 구리양극니와 흑연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0~2이고,
상기 (c-6) 2차 침출단계에서 1차 구리양극니 잔사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0~2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차 침출단계 또는 2차 침출단계의 교반속도는 50 ~ 2000 rpm 이고, 교반시간은 5 ~ 600 분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차 침출액의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의 침출효율은
구리(Cu)는 99.0 ~ 99.95 %,
니켈(Ni)은 99.0 ~ 99.95 %,
텔루륨(Te)은 85.0 ~ 95.0 %,
셀리늄(Se)은 70.0 ~ 85.0 %,
은(Ag)은 70.0 ~ 85.0 %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차 침출액의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의 침출효율은
구리(Cu)는 99.0 ~ 99.95 %,
니켈(Ni)은 99.0 ~ 99.95 %,
텔루륨(Te)은 99.0 ~ 99.95 %,
셀리늄(Se)은 99.0 ~ 99.95 %,
은(Ag)은 95.0 ~ 99.95 %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에 의해 회수된 유가금속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가금속은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킨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을 제공하므로, 공정 안정성이 우수하고, 침출 효율이 월등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에 의해 회수된 유가금속을 제공하므로,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 침출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 침출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 침출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리양극니의 황산 침출시 이산화망간과 흑연에 의한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리양극니의 황산 침출시 황산 농도에 의한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리양극니의 황산 침출시 이산화망간/구리양극니의 무게비에 의한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리양극니의 황산 침출시 흑연/구리양극니의 무게비에 의한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리양극니의 황산 침출시 침출온도에 따른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리양극니의 황산 침출시 흑연 순환 회수에 따른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A)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본 발명은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킨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은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구리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을 침출시키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으로,
(a-1) 유가금속 침출용 황산용액을 제조하는 침출용액 준비단계;
(a-2) 황산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
(a-3) 구리양극니, 이산화망간, 및 흑연을 가열된 반응조에 투입하여 형성한 광물액을 교반하면서 유가금속의 침출을 진행하는 침출단계;
(a-4) 상기 광물액의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을 침출한 후 구리양극니 잔사와 침출액을 분리하는 고액분리단계; 및
(a-5) 상기 침출액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유가금속 회수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킨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을 제공하므로, 공정 안정성이 우수하고, 침출 효율이 월등하다.
구리를 생산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주요 광물은 황동광(Chalcopyrite, CuFeS2)이다. 현재 황동광으로부터 구리를 생산하는 공정은 ① 광석으로부터 구리를 추출하여 순도가 약 99.5 %인 구리를 제조하는 건식제련공정과 ② 순도가 약 99.5 %인 구리를 99.9 % 이상의 순도를 갖는 구리로 정제하는 전해정련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해정련공정에서는 순도 99.5 %인 구리를 전해조의 양극에 장착한 다음 전기분해를 행함으로서 순도 99.5 %인 구리가 용해되어 음극으로 이동, 전착된다. 음극에 전착된 구리를 음극구리(음극동)라고 칭하며 순도가 99.9 % 이상으로서 산업소재원료로 사용된다.
한편, 전해정련 반응조의 양극에서 전기분해에 의하여 순도 99.5 %인 구리는 용해되는 반면에 금(Au), 은(Ag), 백금(Pt), 팔라듐(Pd) 등과 같은 귀금속을 비롯한 일부 유가금속들이 용해되지 않고 고체입자로서 전해조 양극의 바닥에 집적되는데 이를 양극니 또는 애노드 슬라임(anode slime)이라 칭한다.
구리 양극니에는 금, 은, 백금, 팔라듐과 같은 귀금속뿐만 아니라 구리, 니켈, 셀레늄, 텔루륨 등과 같이 첨단산업의 소재원료로 사용되는 유가금속들이 함유되어 있다.
구리의 제련공정에서 발생하는 양극니의 조성은 원료로 사용되는 황동광의 조성과 제련소의 조업방식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며 본 발명을 위하여 사용된 구리 양극니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원 소 Cu Ni Se Te Ag Ba Bi
함량(wt.%) 1.03 0.67 22.23 1.53 9.66 12.13 0.015
원 소 As Sb Pb Au Pt* Pd*
함량(wt.%) 0.004 0.008 0.63 0.046 2.94 37.93
* g/t
상기 표 1에서 보는바와 같이 구리 양극니에는 금, 은, 백금, 팔라듐과 같은 귀금속뿐만 아니라 구리, 니켈, 셀레늄, 텔루륨 등과 같이 첨단산업의 소재원료로 사용되는 유가금속들이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구리양극니로부터 귀금속을 비롯한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상용적인 방법은 대략 ① 셀레늄 회수 → 구리와 텔루륨 회수 → 귀금속 회수 또는 ② 구리와 텔루륨 회수 → 셀레늄 회수 → 귀금속 회수 등과 같은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리양극니에서 가장 경제성이 높은 금속성분은 금, 백금, 팔라듐, 은 등과 같은 귀금속이지만 다른 유가금속에 비하여 그 함량이 매우 낮다. 따라서 ①과 ②의 방법에서 보는바와 같이 먼저 셀레늄, 텔루륨, 구리 등과 같이 함량이 높은 유가금속을 추출하여 회수한 다음 귀금속을 농축시켜 회수한다.
셀레늄은 주로 산화배소, 황산화배소, 소다배소, 또는 알칼리 고압 침출에 의하여 회수되고 있으며 구리와 텔루륨은 산 침출 방법에 의하여 회수되고 있다. 여기에서 셀레늄의 회수에 사용되는 배소방법은 고온에서 진행되므로 에너지 소모가 많고 셀레늄의 휘발 손실과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구리와 텔루륨을 침출하는 과정에서 셀레늄을 단일공정에서 동시에 침출하여 회수하는 저에너지/친환경 공정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구리, 텔루륨, 셀레늄을 동시에 침출하기 위한 침출제로서는 황산(H2SO4)이 적합하며 이때 산화제로는 질산(HNO3), 과산화수소수(H2O2), 이산화망간(MnO2) 등이 사용되는데, 환경성, 효율성, 시약 재사용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이산화망간이 가장 적합한 산화제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황산 + 이산화망간계는 셀레늄과 텔루륨의 함량이 높은 양극니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침출효율이 낮아서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은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키고, 공정 안정성이 우수하고, 침출 효율이 월등하여, 상기 황산 + 이산화망간계에서 셀레늄과 텔루륨의 함량이 높은 양극니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침출효율이 낮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즉, 본 발명의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은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구리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을 침출시키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으로, 침출 효율이 월등하여, 상기 황산 + 이산화망간계에서 셀레늄과 텔루륨의 함량이 높은 양극니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침출효율이 낮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리고,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는 0.1 M(mole/L) ~ 8.0 M(mole/L)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가 0.1 M 미만인 경우,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가 8.0 초과인 경우, 구리양극니의 부식이 유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2 M 내지 5 M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M 내지 3 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황산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에서 가열온도는 5 ~ 99 ℃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온도가 5 ℃ 미만인 경우, 반응속도가 너무 느려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가열온도가 99 ℃ 초과인 경우 비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 ~ 97 ℃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95 ℃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3) 침출단계에서 구리양극니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0~2 이고, 구리양극니와 흑연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0~2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리양극니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고, 경제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리양극니와 흑연의 반응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고, 경제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때, 상기 (a-3) 침출단계에서 구리양극니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1: 0~1.8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1: 0~1.5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3) 침출단계에서 구리양극니와 흑연의 반응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1: 0~1.8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1: 0~1.5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출단계의 교반속도는 50 ~ 2000 rpm 이고, 교반시간은 5 ~ 600 분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반속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침출단계의 교반속도는 바람직하게는 80 ~ 1500 rpm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1000 rp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출단계의 교반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 ~ 540 분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480 분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침출액의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의 침출효율은
구리(Cu)는 99.0 ~ 99.95 %,
니켈(Ni)은 99.0 ~ 99.95 %,
텔루륨(Te)은 85.0 ~ 95.0 %,
셀리늄(Se)은 70.0 ~ 85.0 %,
은(Ag)은 70.0 ~ 85.0 % 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 침출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황산과 물로 유가금속 침출용 황산 침출용액을 제조(S110)한 후, 상기 황산 침출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하여 가열(S120)한 다음, 구리양극니, 이산화망간, 및 흑연을 가열된 반응조에 투입하여 형성한 광물액을 교반하면서 유가금속을 침출(S130)한다.
그 후, 상기 광물액의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을 침출한 후 구리양극니 잔사와 침출액으로 고액분리(S140)한 다음, 상기 침출액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한다.
(B)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본 발명은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킨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은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구리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을 침출시키는 유가금속 침출반응의 종료 후 구리양극니 잔사로부터 흑연을 분리회수하여 침출공정에 재사용함으로서 흑연의 소모를 절약하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으로,
(b-1) 유가금속 침출용 황산용액을 제조하는 침출용액 준비단계;
(b-2) 황산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
(b-3) 구리양극니, 이산화망간, 및 흑연을 가열된 반응조에 투입하여 형성한 광물액을 교반하면서 유가금속의 침출을 진행하는 침출단계;
(b-4) 상기 광물액의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을 침출한 후 구리양극니 잔사와 침출액을 분리하는 고액분리단계;
(b-5) 상기 구리양극니 잔사를 체질하여 흑연을 분리하고 구리 양극니 최종 잔사를 회수하는 체질단계;
(b-6) 상기 분리된 흑연을 상기 (b-3) 침출단계에 재사용하는 단계; 및
(b-7) 상기 침출액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유가금속 회수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은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구리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을 침출시키는 유가금속 침출반응의 종료 후 구리양극니 잔사로부터 흑연을 분리회수하여 침출공정에 재사용함으로서 흑연의 소모를 절약하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으로, 침출 효율이 월등하여, 상기 황산 + 이산화망간계에서 셀레늄과 텔루륨의 함량이 높은 양극니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침출효율이 낮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리고,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는 0.1 M(mole/L) ~ 8.0 M(mole/L)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가 0.1 M 미만인 경우,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가 8.0 초과인 경우, 구리양극니의 부식이 유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2 M 내지 5 M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M 내지 3 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황산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에서 가열온도는 5 ~ 99 ℃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온도가 5 ℃ 미만인 경우, 반응속도가 너무 느려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가열온도가 99 ℃ 초과인 경우 비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 ~ 97 ℃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95 ℃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3) 침출단계에서 구리양극니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0~2 이고, 구리양극니와 흑연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0~2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리양극니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고, 경제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리양극니와 흑연의 반응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고, 경제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때, 상기 (b-3) 침출단계에서 구리양극니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1: 0~1.8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1: 0~1.5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3) 침출단계에서 구리양극니와 흑연의 반응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1: 0~1.8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1: 0~1.5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출단계의 교반속도는 50 ~ 2000 rpm 이고, 교반시간은 5 ~ 600 분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반속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침출단계의 교반속도는 바람직하게는 80 ~ 1500 rpm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1000 rp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출단계의 교반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 ~ 540 분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480 분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침출액의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의 침출효율은
구리(Cu)는 99.0 ~ 99.95 %,
니켈(Ni)은 99.0 ~ 99.95 %,
텔루륨(Te)은 85.0 ~ 95.0 %,
셀리늄(Se)은 70.0 ~ 85.0 %,
은(Ag)은 70.0 ~ 85.0 % 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 침출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황산과 물로 유가금속 침출용 황산 침출용액을 제조(S210)한 후, 상기 황산 침출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하여 가열(S220)한 다음, 구리양극니, 이산화망간, 및 흑연을 가열된 반응조에 투입하여 형성한 광물액을 교반하면서 유가금속을 침출(S230)한다.
그 후, 상기 광물액의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을 침출한 후 구리양극니 잔사와 침출액으로 고액분리(S240)한 다음, 상기 침출액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한다.
그리고, 상기 구리양극니 잔사를 체분리(S250)하여 흑연을 분리한 다음, 상기 흑연을 유가금속 침출하기 위한 반응조(S230의 반응조)에 투입하여 원료로 순환활용한다.
(C)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본 발명은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킨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은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구리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을 침출시키는 유가금속 침출반응의 종료 후 구리양극니 잔사와 침출액의 여과, 분리 후 상기 구리양극니 잔사를 다시 침출공정에 투입함으로서 유가금속을 완전히 침출하는 2단 침출방법인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으로,
(c-1) 유가금속 침출용 황산용액을 제조하는 침출용액 준비단계;
(c-2) 황산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
(c-3) 구리양극니, 이산화망간, 및 흑연을 가열된 반응조에 투입하여 형성한 광물액을 교반하면서 유가금속의 침출을 진행하는 1차 침출단계;
(c-4) 상기 광물액의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을 1차 침출한 후 1차 구리양극니 잔사와 1차 침출액을 분리하는 1차 고액분리단계;
(c-5) 제1단계의 황산용액을 새로운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
(c-6) 상기 1차 구리양극니 잔사와 새로 준비한 이산화망간을 상기 반응조에 투입하여 형성한 새로운 광물액을 교반하면서 유가금속의 침출을 진행하는 2차 침출단계;
(c-7) 2차 침출반응이 종료된 후 상기 광물액의 교반을 멈추고 2차 구리양극니 잔사와 2차 침출액을 분리하는 2차 고액분리단계;
(c-8) 상기 2차 구리양극니 잔사를 체질하여 흑연을 분리하고 구리 양극니 최종 잔사를 회수하는 체질단계; 및
(c-9) 상기 1차 침출액 및 2차 침출액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유가금속 회수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귀금속이 농축된 양극니 최종 잔사는 귀금속 회수 공정으로 보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은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구리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을 침출시키는 유가금속 침출반응의 종료 후 구리양극니 잔사와 침출액의 여과, 분리 후 상기 구리양극니 잔사를 다시 침출공정에 투입함으로서 유가금속을 완전히 침출하는 2단 침출방법인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으로, 침출 효율이 월등하여, 상기 황산 + 이산화망간계에서 셀레늄과 텔루륨의 함량이 높은 양극니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침출효율이 낮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리고,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는 0.1 M(mole/L) ~ 8.0 M(mole/L)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가 0.1 M 미만인 경우,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가 8.0 초과인 경우, 구리양극니의 부식이 유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2 M 내지 5 M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M 내지 3 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황산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에서 가열온도는 5 ~ 99 ℃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온도가 5 ℃ 미만인 경우, 반응속도가 너무 느려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가열온도가 99 ℃ 초과인 경우 비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 ~ 97 ℃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95 ℃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3) 1차 침출단계에서 구리양극니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0~2 이고, 구리양극니와 흑연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0~2 이고,
상기 (c-6) 2차 침출단계에서 1차 구리양극니 잔사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0~2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리양극니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고, 경제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리양극니와 흑연의 반응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고, 경제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1차 구리양극니 잔사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고, 경제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때, 상기 (c-3) 1차 침출단계에서 구리양극니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1: 0~1.8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1: 0~1.5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3) 1차 침출단계에서 구리양극니와 흑연의 반응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1: 0~1.8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1: 0~1.5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6) 2차 침출단계에서 1차 구리양극니 잔사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1: 0~1.8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1: 0~1.5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출단계의 교반속도는 50 ~ 2000 rpm 이고, 교반시간은 5 ~ 600 분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반속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침출단계의 교반속도는 바람직하게는 80 ~ 1500 rpm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1000 rp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출단계의 교반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 ~ 540 분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480 분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차 침출액의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의 침출효율은
구리(Cu)는 99.0 ~ 99.95 %,
니켈(Ni)은 99.0 ~ 99.95 %,
텔루륨(Te)은 85.0 ~ 95.0 %,
셀리늄(Se)은 70.0 ~ 85.0 %,
은(Ag)은 70.0 ~ 85.0 %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침출액의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의 침출효율은
구리(Cu)는 99.0 ~ 99.95 %,
니켈(Ni)은 99.0 ~ 99.95 %,
텔루륨(Te)은 99.0 ~ 99.95 %,
셀리늄(Se)은 99.0 ~ 99.95 %,
은(Ag)은 95.0 ~ 99.95 % 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 침출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황산과 물로 유가금속 침출용 황산 침출용액을 제조(S305)한 후, 상기 황산 침출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하여 가열(S310)한 다음, 구리양극니, 이산화망간, 및 흑연을 가열된 반응조에 투입하여 형성한 광물액을 교반하면서 유가금속을 1차 침출(S315)한다.
그 후, 상기 광물액의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을 침출한 후 1차 구리양극니 잔사와 1차 침출액으로 1차 고액분리(S320)한 다음, 상기 1차 침출액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한다.
그리고, 황산과 물로 유가금속 침출용 황산 침출용액을 다시 제조(S330)한 후, 상기 황산 침출용액을 새로운 반응조에 투입하여 가열(S335)한 다음, 1차 구리양극니 잔사와 이산화망간을 가열된 반응조에 투입하여 형성한 광물액을 교반하면서 유가금속을 2차 침출(S340)한다.
그런 다음, 상기 광물액의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을 침출한 후 2차 구리양극니 잔사와 2차 침출액으로 2차 고액분리(S45)한 다음, 상기 2차 침출액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한다.
그리고, 상기 2차 구리양극니 잔사를 체분리(S350)하여 흑연을 분리한 다음, 상기 흑연을 유가금속 침출하기 위한 반응조(S315의 반응조)에 투입하여 원료로 순환활용한다.
마지막으로, 귀금속이 농축된 양극니 최종 잔사는 귀금속 회수 공정으로 보내진다.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에 의해 회수된 유가금속
본 발명은 상기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에 의해 회수된 유가금속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유가금속은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에 의해 회수된 유가금속을 제공하므로,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이산화망간과 흑연 첨가에 따른 유가금속 침출효율
상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구리양극니로부터 2.0 M 황산용액을 사용하여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을 수행하였다. 침출온도 70 ℃, 침출시간 360분, 구리양극니의 광액농도 5 g/L, 교반속도 300 rpm의 조건에서 침출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구리양극니의 황산 침출시 이산화망간과 흑연에 의한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산화제인 이산화망간의 첨가 없이 2.0 M 황산용액으로 구리 양극니를 침출하였을 때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의 침출율은 각각 98.7%, 60.5%, 27%, 0%, 0% 이었다.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이산화망간 : 구리양극니의 무게비 = 0.8 : 1.0)을 투입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구리 양극니의 침출을 행하였을 때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의 침출율은 각각 99.1%, 98.2%, 62.2%, 47.6%, 66.6%로서 산화제 이산화망간을 첨가함으로서 침출효율의 향상이 있었다.
동일한 침출 조건에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과 흑연(이산화망간 : 흑연 : 구리양극니의 무게비 = 0.8 : 0.8 : 1.0)을 첨가하고 구리 양극니의 침출을 행하였을 때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의 침출율은 각각 99.8%, 99.8%, 73.2%, 58.6%, 71.6%로서 흑연 첨가에 의한 침출 효과가 입증되었다.
<실시예 2> 황산 농도에 따른 유가금속 침출효율
상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구리 양극니로부터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 등의 유가금속의 황산 침출을 수행하였다. 황산농도 0.5 ~ 3.0 M, 침출온도 70 ℃, 침출시간 360분, 구리양극니의 광액농도 5 g/L, 교반속도 500 rpm의 조건에서 침출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이산화망간 : 흑연 : 구리양극니의 무게비 = 0.8 : 0.8 : 1.0이였다.
도 5는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구리양극니의 황산 침출시 황산 농도에 의한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황산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구리와 니켈의 침출율이 조금씩 증가하여 3.0 M 황산용액으로 구리양극니를 침출하였을 때, 구리와 니켈의 침출율은 각각 99.9%와 99.5% 이였다.
황산농도가 0.5 M에서 1 M과 2.0 M로 증가함에 따라 텔루륨의 침출효율은 49%에서 70%, 81%로 향상되었으며, 셀레늄의 침출효율도 32%에서 45%와 69%로 상당히 증가하였다.
황산농도가 2.0 M 이상으로 증가하였을 때 침출효율의 증가는 크지 않았다.
은의 경우에는 황산농도가 0.5 M에서 1 M과 2.0 M로 증가함에 따라 침출효율이 28%에서 45%, 76%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니 2.0 M 이상의 황산농도에서는 침출율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실시예 3> 이산화망간/구리양극니 무게비에 따른 유가금속 침출효율
상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구리 양극니로부터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 등의 유가금속의 황산 침출을 수행하였다. 황산농도 2.0 M, 침출온도 70 ℃, 침출시간 360 분, 구리양극니의 광액농도 5 g/L, 교반속도 500 rpm, 흑연 : 구리양극니의 무게비 = 0.8 : 1.0의 조건에서 이산화망간 : 구리양극니의 무게비를 0.2 : 1.0 ~ 1.2 : 1.0으로 변화시키면서 침출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구리양극니의 황산 침출시 이산화망간/구리양극니의 무게비에 의한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리의 침출효율은 이산화망간의 첨가량에 따라 미세한 증가가 있었다.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의 침출효율은 이산화망간과 구리양극니의 무게비가 0.2 : 1.0에서 0.8 : 1.0으로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산화망간과 구리양극니의 무게비가 0.2 : 1.0 일 때,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의 침출효율이 각각 81%, 36%, 21%, 28% 이였다.
그리고, 이산화망간과 구리양극니의 무게비가 0.4 : 1.0일 때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의 침출효율이 각각 94%, 43%, 36%, 48%로 증가하였으며, 이산화망간과 구리양극니의 무게비가 0.8 : 1.0 일 때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의 침출효율이 각각 99.6%, 82%, 70%, 75%로 증가함으로서, 구리양극니의 황산침출에 있어서 이산화망간의 첨가가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의 침출효율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흑연/구리양극니 무게비에 따른 유가금속 침출효율
상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구리 양극니로부터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 등의 유가금속의 황산 침출을 수행하였다. 황산농도 2.0 M, 침출온도 70 ℃, 침출시간 360 분, 구리양극니의 광액농도 5 g/L, 교반속도 500 rpm, 이산화망간 : 구리양극니의 무게비 = 0.8 : 1.0의 조건에서 흑연 : 구리양극니의 무게비를 0.2 : 1.0 ~ 1.0 : 1.0으로 변화시키면서 침출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은 상기 실시예 4에 따른 구리양극니의 황산 침출시 흑연/구리양극니의 무게비에 의한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흑연 첨가량의 증가에 따른 구리양극니로부터 구리와 니켈의 침출효율의 향상 정도는 미미하였다. 반면 텔루륨, 셀레늄, 은의 침출효율은 흑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였다.
흑연 : 구리양극니의 무게비가 0.2 : 1.0에서 0.4 : 1.0과 0.8 : 1.0으로 증가함에 따라 텔루륨의 침출효율은 70%에서 75%와 83%로 증가하였으며 셀레늄의 경우에는 52%에서 각각 57%와 70%로 증가하였다.
또한 은의 경우 67%에서 각각 70%와 79%로 침출효율이 증가하였다. 양극니에 대한 흑연의 무게비를 0.8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른 침출효율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따라서 흑연 : 구리양극니의 무게비가 0.2 : 1.0 ~ 0.8 : 1.0인 범위에서 구리, 니켈, 텔루륨, 세레늄, 은의 침출효율에 대한 흑연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침출온도에 따른 유가금속 침출효율
상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구리 양극니로부터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 등의 유가금속의 황산 침출을 수행하였다. 황산농도 2.0 M, 침출시간 360 분, 구리양극니의 광액농도 5 g/L, 교반속도 500 rpm, 이산화망간 : 흑연 : 구리양극니의 무게비 = 0.8 : 0.8 : 1.0의 조건에서 침출온도를 25 ~ 90 ℃으로 변화시키면서 침출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은 상기 실시예 5에 따른 구리양극니의 황산 침출시 침출온도에 따른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침출온도가 25 ℃에서 90 ℃로 증가함에 따라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의 침출효율은 증가하였다.
침출온도가 25 ℃에서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의 침출효율이 각각 88%, 65%, 25%, 18%, 40%이었으며, 침출온도가 50 ℃로 증가함에 따라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의 침출효율이 각각 91%, 83%, 45%, 35%, 57%로 증가하였다.
침출온도를 50 ℃에서 60 ℃로 증가함에 따라 침출효율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구리와 니켈의 침출효율은 각각 99%, 98%이었다.
90 ℃의 침출온도에서 구리 양극니를 침출하였을 때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의 침출효율은 각각, 99.8%, 99.7%, 92%, 75%, 82%로서 침출효율 향상에 대한 침출온도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흑연 순환 회수에 따른 유가금속 침출효율
상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구리 양극니로부터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 등의 유가금속의 황산 침출에 있어서 흑연의 순환활용을 실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황산농도 2.0 M, 침출온도 90 ℃, 침출시간 360 분, 구리양극니의 광액농도 5 g/L, 교반속도 500 rpm, 이산화망간 : 흑연 : 구리양극니의 무게비 = 0.8 : 0.8 : 1.0의 조건에서 침출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황산침출이 종료된 후 구리양극니 잔사로부터 큰 입자의 흑연을 분리하고 다시 황산침출에 사용하였다.
도 9는 상기 실시예 6에 따른 구리양극니의 황산 침출시 흑연 순환 회수에 따른 유가금속의 침출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흑연을 1, 5, 10회 재사용하였을 때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의 침출효율은 비슷함을 나타내었으며 이로부터 흑연의 순환활용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실시예 7> 유가금속의 2단 침출에 따른 유가금속 침출효율
상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구리 양극니로부터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 등의 유가금속의 2차 황산침출을 수행하였다. 황산농도 2.0 M, 침출온도 90 ℃, 침출시간 360 분, 구리양극니의 광액농도 5 g/L, 교반속도 500 rpm, 이산화망간 : 흑연 : 구리양극니의 무게비 = 0.8 : 0.8 : 1.0의 조건에서 1치 황산침출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침출실시 침출효율 (%)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1차 침출 99.8 99.8 90.8 81.9 80.7
2차 침출 99.9 99.9 99.7 99.8 99.1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1차 황산침출에서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의 침출효율은 각각, 99.8%, 99.7%, 92%, 75%, 82% 이였다. 구리양극니 잔사와 침출액의 고액분리 후 1차 침출조건과 동일한 침출조건에서 구리양극니의 2차 황산침출을 행하였으며 구리양극니로부터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의 누적침출효율은 99.9%, 99.9%, 99.7%, 99.8%, 99.1%로서 2단 침출에 의하여 구리양극니로부터 구리, 니켈, 텔루륨, 셀레늄, 은을 거의 완전히 침출하는 것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및 이로부터 회수된 유가금속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고,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구리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을 침출시키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으로,
    (a-1) 유가금속 침출용 황산용액을 제조하는 침출용액 준비단계;
    (a-2) 황산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
    (a-3) 구리양극니, 이산화망간, 및 흑연을 가열된 반응조에 투입하여 형성한 광물액을 교반하면서 유가금속의 침출을 진행하는 침출단계;
    (a-4) 상기 광물액의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을 침출한 후 구리양극니 잔사와 침출액을 분리하는 고액분리단계; 및
    (a-5) 상기 침출액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유가금속 회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는 0.5 M(mole/L) ~ 3.5 M(mole/L)이며,
    상기 (a-3) 침출단계에서 구리양극니와 흑연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 0.2 ~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2.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구리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을 침출시키는 유가금속 침출반응의 종료 후 구리양극니 잔사로부터 흑연을 분리회수하여 침출공정에 재사용함으로서 흑연의 소모를 절약하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으로,
    (b-1) 유가금속 침출용 황산용액을 제조하는 침출용액 준비단계;
    (b-2) 황산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
    (b-3) 구리양극니, 이산화망간, 및 흑연을 가열된 반응조에 투입하여 형성한광물액을 교반하면서 유가금속의 침출을 진행하는 침출단계;
    (b-4) 상기 광물액의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을 침출한 후 구리양극니 잔사와 침출액을 분리하는 고액분리단계;
    (b-5) 상기 구리양극니 잔사를 체질하여 흑연을 분리하고 구리 양극니 최종잔사를 회수하는 체질단계;
    (b-6) 상기 분리된 흑연을 상기 (b-3) 침출단계에 재사용하는 단계; 및
    (b-7) 상기 침출액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유가금속 회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는 0.5 M(mole/L) ~ 3.5 M(mole/L)이며,
    상기 (b-3) 침출단계에서 구리양극니와 흑연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 0.2 ~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3. 구리의 전해정련공정에서 발생하는 구리양극니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의 침출시 산화제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고 흑연을 침출향상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유가금속을 침출시키는 유가금속 침출반응의 종료 후 구리양극니 잔사와 침출액의 여과, 분리후 상기 구리양극니 잔사를 다시 침출공정에 투입함으로서 유가금속을 완전히 침출하는 2단 침출방법인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으로,
    (c-1) 유가금속 침출용 황산용액을 제조하는 침출용액 준비단계;
    (c-2) 황산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
    (c-3) 구리양극니, 이산화망간, 및 흑연을 가열된 반응조에 투입하여 형성한광물액을 교반하면서 유가금속의 침출을 진행하는 1차 침출단계;
    (c-4) 상기 광물액의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을 1차 침출한 후 1차 구리양극니 잔사와 1차 침출액을 분리하는 1차 고액분리단계;
    (c-5) 제1단계의 황산용액을 새로운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
    (c-6) 상기 1차 구리양극니 잔사와 새로 준비한 이산화망간을 상기 반응조에 투입하여 형성한 새로운 광물액을 교반하면서 유가금속의 침출을 진행하는 2차 침출단계;
    (c-7) 2차 침출반응이 종료된 후 상기 광물액의 교반을 멈추고 2차 구리양극니 잔사와 2차 침출액을 분리하는 2차 고액분리단계;
    (c-8) 상기 2차 구리양극니 잔사를 체질하여 흑연을 분리하고 구리 양극니 최종 잔사를 회수하는 체질단계; 및
    (c-9) 상기 1차 침출액 및 2차 침출액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유가금속 회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황산용액의 농도는 0.5 M(mole/L) ~ 3.5 M(mole/L)이며,
    상기 (c-3) 1차 침출단계에서 구리양극니와 흑연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 0.2 ~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용액을 반응조에 투입한 후 가열하는 가열단계에서 가열온도는 5 ∼ 99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3) 침출단계 또는 (b-3) 침출단계에서 구리양극니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0~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3) 1차 침출단계에서 구리양극니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0~1 이고, 상기 (c-6) 2차 침출단계에서 1차 구리양극니 잔사와 이산화망간의 반응비율은 중량비로 1: 0~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단계, 1차 침출단계 또는 2차 침출단계의 교반속도는 50 ~ 2000 rpm 이고, 교반시간은 5 ~ 600 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액의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의 침출효율은
    구리(Cu)는 99.0 ~ 99.95 %,
    니켈(Ni)은 99.0 ~ 99.95 %,
    텔루륨(Te)은 85.0 ~ 95.0 %,
    셀레늄(Se)은 70.0 ~ 85.0 %,
    은(Ag)은 70.0 ~ 85.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액의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의 침출효율은
    구리(Cu)는 99.0 ~ 99.95 %,
    니켈(Ni)은 99.0 ~ 99.95 %,
    텔루륨(Te)은 85.0 ~ 95.0 %,
    셀레늄(Se)은 70.0 ~ 85.0 %,
    은(Ag)은 70.0 ~ 85.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침출액의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의 침출효율은
    구리(Cu)는 99.0 ~ 99.95 %,
    니켈(Ni)은 99.0 ~ 99.95 %,
    텔루륨(Te)은 85.0 ~ 95.0 %,
    셀레늄(Se)은 70.0 ~ 85.0 %,
    은(Ag)은 70.0 ~ 85.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침출액의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의 침출효율은
    구리(Cu)는 99.0 ~ 99.95 %,
    니켈(Ni)은 99.0 ~ 99.95 %,
    텔루륨(Te)은 99.0 ~ 99.95 %,
    셀레늄(Se)은 99.0 ~ 99.95 %,
    은(Ag)은 95.0 ~ 99.9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에 의해 회수된 유가금속.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가금속은 구리(Cu), 니켈(Ni), 텔루륨(Te), 셀레늄(Se), 또는 은(A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금속.










KR1020210174753A 2021-12-08 2021-12-08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및 이로부터 회수된 유가금속 KR102515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753A KR102515327B1 (ko) 2021-12-08 2021-12-08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및 이로부터 회수된 유가금속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753A KR102515327B1 (ko) 2021-12-08 2021-12-08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및 이로부터 회수된 유가금속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327B1 true KR102515327B1 (ko) 2023-03-30

Family

ID=8598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753A KR102515327B1 (ko) 2021-12-08 2021-12-08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및 이로부터 회수된 유가금속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3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88079A (zh) * 2023-12-04 2024-02-02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基于氧化电位调控的铜阳极泥有价金属分离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9139A (ja) * 2000-03-02 2001-09-04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攪拌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脱銅浸出方法
JP2017014555A (ja) * 2015-06-29 2017-01-19 国立大学法人岩手大学 黄銅鉱からの銅の浸出方法
KR101841408B1 (ko) 2014-12-25 2018-03-22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탈동 슬라임에 함유되는 유가 금속의 침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9139A (ja) * 2000-03-02 2001-09-04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攪拌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脱銅浸出方法
KR101841408B1 (ko) 2014-12-25 2018-03-22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탈동 슬라임에 함유되는 유가 금속의 침출 방법
JP2017014555A (ja) * 2015-06-29 2017-01-19 国立大学法人岩手大学 黄銅鉱からの銅の浸出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88079A (zh) * 2023-12-04 2024-02-02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基于氧化电位调控的铜阳极泥有价金属分离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18157B (zh) 线路板焚烧烟灰预处理及溴的回收方法
CN101575715B (zh) 一种从电子废弃物中提取有价金属的方法
CN101338368A (zh) 阳极泥预处理及回收稀散金属的方法
CN106119554A (zh) 从银阳极泥中制备高纯金并富集银、铂和钯的方法
US4002544A (en) Hydrometallurgical process for the recovery of valuable components from the anode slime produced in the electrolytical refining of copper
JP2009235525A (ja) 金の浸出方法
CN102787240A (zh) 一种从锡阳极泥中综合回收有价金属的方法
CN109055762B (zh) 一种含铜硒废料的脱铜处理方法
CN105886768A (zh) 一种从电子废料中高效富集贵金属的方法
JP5160163B2 (ja) 錫の回収方法
KR102515327B1 (ko) 흑연 첨가에 의한 구리양극니로부터 유가금속의 효율적 침출방법 및 이로부터 회수된 유가금속
CN109971962B (zh) 一种铜冶炼铅滤饼中铜、汞、硒、铅和金银的处理工艺
JP5591749B2 (ja) テルルを含むアルカリ浸出残渣からのテルル回収方法
CN106884093B (zh) 一种粗金精炼方法
JP2019173107A (ja) テルルの回収方法
CN106868545A (zh) 无酸气低占压常温黄金精炼新工艺
CN110684902B (zh) 一种高铝石油催化剂银捕集提取贵金属的工艺
CN109022812B (zh) 一种从高铜铋渣回收精铋与精铜的方法
US5939042A (en) Tellurium extraction from copper electrorefining slimes
JP5591748B2 (ja) テルルの回収方法
JP5188768B2 (ja) 錫の回収方法
CN112575192A (zh) 一种铋银锌渣电解分离提取有价金属的方法
JP2012214307A (ja) テルルの回収方法
CN111268655A (zh) 一种粗碲粉自净化生产二氧化碲的方法
JP2014025121A (ja) 錫の電解採取方法及び錫の回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