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493B1 - 센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493B1
KR102514493B1 KR1020217008699A KR20217008699A KR102514493B1 KR 102514493 B1 KR102514493 B1 KR 102514493B1 KR 1020217008699 A KR1020217008699 A KR 1020217008699A KR 20217008699 A KR20217008699 A KR 20217008699A KR 102514493 B1 KR102514493 B1 KR 102514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resin
sensor
split mold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994A (ko
Inventor
유스케 나카야마
다이스케 이노우에
유키 우시로
다카아키 산다
히로토 가츠라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53Moulding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e.g. ribs, high pol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15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 B29C45/2612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for manufacturing tubular articles with an annular groo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Proximity switches using a magnetic detector
    • H03K17/9505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139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positioning inserts having a part extending into a positioning cavity outside the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81Housings or casings incorporating or embedd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2Measur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높은 실링성을 갖는 센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단에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전자 부품이 수용되는 통형상의 케이싱(10)과, 실링 링(25)이 장착되는 오목부(24)가 외주에 형성되어 개구부(11)에 일단이 삽입되는 통형상의 클램프(20)와, 오목부(24)에 장착되어 케이싱(10)과 클램프(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 링(25)을 구비하는 센서(1)의 제조 방법으로서, 통형상의 본체부(21a)와, 본체부(21a)의 일단측에 위치하여 오목부(24)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부분(21b)을 갖는 클램프(20)의 제1 부품(21)을, 제1 분할 금형(50)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제1 분할 금형(50)은, 분할면(51)이 본체부(21a)와 교차하고, 본체부(21a)의 축방향을 따라 이간되도록 분할된다.

Description

센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센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검출 영역 내에서의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근접 센서나 광전 센서 등의 각종 센서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는, 자계를 발생시키는 코일을 구비하며, 코일에 접근한 물체에 발생하는 유도 전류에 의한 코일의 임피던스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물체의 유무를 검출한다. 또한, 광전 센서는, 투광부로부터 검출 영역 내에 광을 출사하며, 물체를 투과 또는 반사한 광을 수광부에 의해 분석함으로써 물체의 유무를 검출한다.
센서는, 케이싱에 마련된 개구부로부터 코일 등의 내부 부품이 케이싱 내부에 삽입된 후, 내부 부품을 보호하는 클램프부가 케이싱의 개구부를 막도록 접속됨으로써 제조된다. 케이싱과 클램프의 접속은, 클램프의 일부가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케이싱과 클램프의 간극을 메워 실링(sealing)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케이싱의 내표면과 클램프의 외표면의 사이에는, O링이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하우징과 보디의 사이에 O링이 배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0-027515호 공보
그러나, 클램프의 제조에는 금형이 이용되기 때문에, 클램프의 외표면에는, 분할선(parting line)이나 버(burr)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분리선이나 버가, 클램프 외표면 중 O링과 접촉하는 영역에 형성되면, O링과 클램프가 적절히 밀착되지 않아, 센서의 실링성이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높은 실링성을 갖는 센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센서의 제조 방법은,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전자 부품이 수용되는 통형상의 케이싱과, 실링(sealing) 링이 장착되는 오목부가 외주에 형성되며 개구부에 일단이 삽입되는 통형상의 클램프와, 오목부에 장착되어 케이싱과 클램프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 링을 구비하는 센서의 제조 방법으로서, 통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일단측에 위치하여 오목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부분을 갖는 클램프의 제1 부품을, 제1 분할 금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제1 분할 금형은, 분할면이 본체부와 교차하고, 본체부의 축방향을 따라 이간되도록 분할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1 분할 금형의 분할면은, 본체부의 외표면과 교차하도록 위치하고, 오목부 표면과 교차하지 않는다. 즉, 분할 금형을 이용한 성형시에, 분할면과 교차하는 위치에 발생하는 분리선이나 버가, 실링 링이 배치되는 오목부 표면에 발생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실링 링을 오목부의 표면에 적절히 밀착시킬 수 있어, 높은 실링성을 갖는 센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오목부의 다른 부분을 구성하는 클램프의 제2 부품을, 제1 부품과 일체가 되도록 제2 분할 금형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오목부를 마련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2 부품이 제1 부품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되어, 제1 부품과 제2 부품을 하나의 부품으로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관리가 용이해진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제1 부분은, 단차(段差)를 가지며, 제2 부품을 접합하는 공정은, 단차를 이용하여 제2 분할 금형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공정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2 부품을 제1 부품에 접합할 때에, 제2 분할 금형의 일부를 제1 부분에 마련된 단차에 접촉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2 분할 금형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실링 링은, O링이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오목부의 외주의 형상이 원형상인 경우, 실링 링과 오목부의 표면이 보다 밀착되어, 센서의 실링성이 향상된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은, 수지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센서의 내충격성이나 내수성이 향상되어, 센서의 파손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케이싱의 일단측에 제1 수지를 충전하는 공정과, 케이싱의 타단측 및 클램프의 일부에 제2 수지를 충전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제1 수지와 제2 수지의 사이에는 공극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1 수지나 제2 수지가 충전됨으로써, 센서 내부에 액체나 분진이 진입하여, 센서가 고장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이나 클램프 내부에 수지가 충전됨으로써, 기판 등의 내부 부품이 고정되기 때문에,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수지 및 제2 수지의 사이에는 공극이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케이싱 및 클램프의 내부 전체에 수지를 충전한 경우에 비해, 수지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실링성을 갖는 센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근접 센서의 II-I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부품 및 제1 분할 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클램프 및 제2 분할 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근접 센서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내부에 수지가 충전된 근접 센서의 단면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것은, 동일 또는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근접 센서(1)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근접 센서(1)에 한정되지 않고, 광전 센서 등의 각종 센서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 1에는, 케이싱(10)이나 클램프(20)의 외주가 원형상인 원기둥형 근접 센서를 나타내고 있지만, 근접 센서(1)는, 케이싱(10)이나 클램프(20)의 외주가 다각형인 각기둥형 근접 센서이어도 된다. 근접 센서(1)는, 케이싱(10), 클램프(20), 실링 링(25), 기판(30), 케이블(34) 및 프로텍터(35)를 구비한다.
케이싱(1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기판(30) 등의 전자 부품을 수용한다. 케이싱(10)의 일단측에는 개구부(11)가 마련되어 있고, 개구부(11)로부터 전자 부품이 수용된 후, 클램프(20)의 일단이 개구부(11)에 접속된다. 케이싱(10)은, 금속이나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클램프(20)는, 케이싱(10)에 접속되고, 케이싱(10) 내부에 수용된 기판(30) 등의 전자 부품을 보호한다. 클램프(20)는, 제1 부품(21) 및 제2 부품(22)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램프(20)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제1 부품(21) 및 제2 부품(22)끼리 접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근접 센서(1)의 축방향을 따라, 클램프(20)로부터 케이싱(10)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케이싱(10)으로부터 클램프(20)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하면, 제1 부품(21)은 제2 부품(22)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클램프(20)는, 제1 부품(21)과 제2 부품(22)의 사이에 오목부(24)를 가지고 있고, 실링 링(25)이 그 오목부에 장착된다. 제1 부품(21) 및 제2 부품(22)은, 수지나 금속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부품(21) 및 제2 부품(22)이 수지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제1 부품(21) 및 제2 부품(22)은,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고, 근접 센서(1)의 내부에 위치하여 근접 센서(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32)이 외부로부터 시인(視認) 가능한 것으로 해도 된다.
실링 링(25)은, 근접 센서(1)에 수용된 전자 부품을 실링하는 부재이다. 실링 링(25)은, 클램프(20)의 오목부(24)에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20)가 케이싱(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실링 링(25)은, 클램프(20)의 외표면과 케이싱(10)의 내표면의 사이에 위치하고, 클램프(20)와 케이싱(10)의 사이로부터 액체나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실링 링(25)은, 오목부(24)의 외주의 형상에 맞춘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오목부(24)의 외주의 형상이 원형상인 경우, 실링 링(25)은 O링이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실링 링(25)과 오목부(24)의 표면이 보다 밀착되어, 근접 센서(1)의 실링성이 향상된다.
기판(30)은, 검출부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도시생략)를 탑재하는 기판으로서, 케이싱(10)에 일부가 수용된다. 기판(30)은, 도시하지 않은 회로나 프린트 배선을 탑재하는 프린트 회로판이어도 된다. 기판(30)의 전방측의 일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36)가 장착되어 있다. 기판(30)에 탑재된 제어 회로는, 검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검출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기판(30)의 타단에는, 랜드(31)가 마련되어 있고, 케이블(34)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케이블(34)은, 기판(30)의 랜드(3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케이블(34)은,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류를 기판(30)에 탑재된 회로로 공급해도 된다. 또한, 기판(30)에 탑재된 회로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달해도 된다. 케이블(34)의 주위에는, 케이블(34)을 보호하는 프로텍터(35)가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근접 센서(1)의 II-I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30)과 직교하는 면에서 근접 센서(1)를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이용하여 근접 센서(1)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기판(30)의 일단에는, 검출부(36)가 장착되어 있다. 검출부(36)는, 기판(30)에 탑재된 제어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검출부(36)는, 검출 영역 내에서의 물체의 유무를 검출한다. 검출부(36)는, 코일(38)이 수용되는 코어(37)와, 환상으로 감긴 코일(38)을 구비한다. 코일(38)에 자계를 발생시킨 상태에서, 금속 등의 검출 대상인 물체가 코일(38)에 접근하면, 물체 내부에 유도 전류가 흐른다. 검출부(36)는, 이 유도 전류에 의한 코일(38)의 임피던스의 변화를 측정하여, 물체의 유무를 검출한다.
또, 검출부(36)에 의한 물체 검출의 방법은,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검출부(36)는, 광을 출사하는 투광부와, 광을 수취하는 수광부를 구비하고, 투광부로부터 검출 영역 내에 광을 출사하며, 물체를 투과 또는 반사한 광을 수광부에 의해 수취하여 분석함으로써 물체의 유무를 검출해도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20)는, 통형상의 제1 부품(21) 및 제2 부품(22)을 포함한다. 제1 부품(21)은, 내부에 기판(30), 케이블(34), 프로텍터(35)의 일부를 수용한다. 제1 부품(21)은, 본체부(21a)와 제1 부분(21b)을 포함한다. 근접 센서(1)의 축방향을 따라, 클램프(20)로부터 케이싱(10)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케이싱(10)으로부터 클램프(20)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한다. 이 때, 제1 부분(21b)은, 본체부(21a)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본체부(21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부분(21b)은, 본체부(21a)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고, 일부가 제2 부품(22)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제1 부분(21b) 중, 후방측의 일부분(본체부(21a)와 제2 부품(22)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제2 부품(22)으로 덮이지 않고, 제2 부품(22)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품(21)과 제2 부품(22)의 사이에는, 오목부(24)가 형성된다. 오목부(24)에는, 실링 링(25)이 장착된다.
도 3은, 제1 부품(21) 및 제1 분할 금형(50)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 부품(21)을 형성할 때에 이용하는 제1 분할 금형(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제1 분할 금형(50)에 수지를 충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분할 금형(50)은, 상부 금형(52)과 하부 금형(54)으로 구성된다. 도 3에 있어서, 제1 부품(21)의 축방향을 따라 본체부(21a)로부터 제1 부분(21b)을 향하는 방향을 상방향, 제1 부분(21b)으로부터 본체부(21a)를 향하는 방향을 하방향이라고 한다.
상부 금형(52)은, 제1 부품(21)의 내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축부(52a)와, 축부(52a)를 둘러싸도록 위치하여 제1 부분(21b)의 외표면 및 본체부(21a)의 외표면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외주부(52b)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축부(52a)와 외주부(52b)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금형(54)은, 상부 금형(52)의 축부(52a)와 면 접촉하는 바닥부(54a)와, 바닥부(54a)의 외주로부터 세워진 벽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21a)의 외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외주부(54b)를 포함한다. 바닥부(54a)와 외주부(54b)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금형(52)과 하부 금형(54)의 분할면(5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1a)와 교차하고 있다. 제1 분할 금형(50)에의 수지의 충전이 완료된 후, 제1 분할 금형(50)은, 본체부(21a)의 축방향을 따라 이간되도록 분할된다. 구체적으로는, 분할면(51)을 중심으로, 상부 금형(52)이 상방향, 하부 금형(54)이 하방향을 향하여 분할된다.
또한, 제1 분할 금형(50)에 의해 형성된 제1 부분(21b)은, 외주에 단차(27)를 가진다. 단차(2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품(22)을 제1 부품(21)에 접합할 때에 사용하는 제2 분할 금형(60)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해 이용된다. 상세에 대해서는, 도 4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또, 제1 부품(21)의 외표면 중 실링 링(25)이 접촉하는 영역에 분할면이 교차하지 않으면, 상부 금형(52) 및 하부 금형(54)은, 임의의 위치에서 분할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21a) 하단의 내부에 분할면을 가지며, 상부 금형(52)과 하부 금형(54)이 상하 방향으로 분할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부 금형(54)의 바닥부(54a)는, 본체부(21a)의 축방향을 따라 분할면을 가지며, 이러한 하부 금형(54)이 도 3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분할되어도 된다.
도 4는, 클램프(20) 및 제2 분할 금형(60)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 부품(21)에 제2 부품(22)을 접합할 때에 이용하는 제2 분할 금형(6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제2 분할 금형(60)에 수지를 충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2 분할 금형(60)은, 축부(60a), 좌측부(60b) 및 우측부(60c)로 구성된다. 축부(60a)는, 통형상의 클램프(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원기둥형의 금형이며, 제2 부품(22)의 내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좌측부(60b) 및 우측부(60c)는, 축부(60a)를 둘러싸도록 위치하고, 제2 부품(22)의 외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2 부품(22)은, 이미 형성되어 있는 제1 부품(21)의 상단측에, 제2 분할 금형(60)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품(21)의 상단(제1 부분(21b)의 일부)을 제2 분할 금형(60)에 삽입한 후, 제2 분할 금형(60)에 수지를 충전함으로써, 제2 분할 금형(60)에 삽입된 제1 부품(21)의 일부를 덮도록 제2 부품(22)이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부품(21)의 외표면에는, 단차(27)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분할 금형(60)의 좌측부(60b) 및 우측부(60c)의 하단이 단차(27)와 접촉하도록, 제2 분할 금형(60)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제2 분할 금형(60)은, 수지의 충전이 완료된 후 분할된다. 구체적으로는, 축부(60a)와 좌측부(60b)의 분할면(61), 및 축부(60a)와 우측부(60c)의 분할면(61)은, 클램프(20)의 축방향을 따르며, 제2 부품(22)의 상측 단면과 직교하고 있다. 그 때문에, 좌측부(60b) 및 우측부(60c)가, 축부(60a)로부터 떨어지도록 각각 좌우 방향으로 분할된다. 또한, 축부(60a)가 상방향으로 인발된다.
도 5는, 근접 센서(1)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근접 센서(1)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1 분할 금형(50)에 수지를 충전하여, 제1 부품(21)을 형성한다(단계 S10). 여기서, 제1 분할 금형(50)은, 분할면(51)이 본체부(21a)와 교차하는 금형이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분할 금형(50)이어도 된다.
그 후, 제1 분할 금형(50)을, 본체부(21a)의 축방향을 따라 이간되도록 분할한다(단계 S11).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제1 분할 금형(50)에 있어서, 상부 금형(52)을 상방향으로 인발하고, 하부 금형(54)을 하방향으로 인발하도록 하여 분할해도 된다.
다음으로, 제2 분할 금형(60)에 제1 부품(21)을 배치한다(단계 S12).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품(21) 중 제2 부품(22)과 접합하는 부분(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부품(21)의 상단)을 제2 분할 금형(60)에 삽입한다. 이 때, 제1 부품(21)에 형성된 단차(27)에 제2 분할 금형(60)의 좌측부(60b) 및 우측부(60c)의 하단을 접촉시킴으로써, 제2 분할 금형(60)의 위치 결정이 행해져도 된다.
제2 분할 금형(60)에 수지를 충전하여, 제2 부품(22)을 형성한다(단계 S13). 제2 분할 금형(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면(61)이 제2 부품(22)의 상측 단면과 직교하는 금형이어도 된다.
그 후, 제2 분할 금형(60)을 분할한다(단계 S14).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제2 분할 금형(60)을, 좌측부(60b) 및 우측부(60c)가 축부(60a)로부터 각각 좌우 방향으로 이간되도록 분할해도 된다. 이상으로, 클램프(20)의 제조가 완료된다.
다음으로, 클램프(20)의 외주에 마련된 오목부(24)에, 실링 링(25)을 장착한다(단계 S15).
케이싱(10) 및 클램프(20) 내부에 검출부(36)나 기판(30) 등의 전자 부품을 수용한 후, 케이싱(10)에 클램프(20)를 장착한다(단계 S16).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20)는, 일단이 케이싱(10)의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장착되어도 된다. 이상으로, 근접 센서(1)의 제조 공정이 종료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근접 센서(1)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분할 금형(50)의 분할면(51)은, 본체부(21a)의 외표면과 교차하도록 위치하고, 오목부(24)의 표면과 교차하지 않는다. 즉, 분할 금형을 이용한 성형시에 발생하는 분리선이나 버가, 실링 링(25)이 배치되는 오목부(24) 표면에 발생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실링 링(25)을 오목부(24)의 표면에 적절히 밀착시킬 수 있어, 높은 실링성을 갖는 근접 센서(1)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21b)은, 제2 분할 금형(60)의 위치 결정에 사용하는 단차(27)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품(22)을 제1 부품(21)에 접합할 때에, 제2 분할 금형(60)의 일부를 제1 부분(21b)에 마련된 단차(27)에 접촉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2 분할 금형(60)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도 6은, 내부에 수지가 충전된 근접 센서(1)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센서(1)의 케이싱(10) 및 클램프(20)의 내부에는, 제1 수지(70) 및 제2 수지(71)가 충전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수지(70)는, 케이싱(10)의 전방에 충전되어, 검출부(36)를 덮고 있다. 또한, 제1 수지(70)는, 기판(30)의 일부도 덮고 있다. 또, 제1 수지(70)는, 기판(30)의 전체를 덮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후방 및 클램프(20)의 일부에는, 제2 수지(71)가 충전되어 있다. 제2 수지(71)는, 기판(30)의 일부를 덮고 있다. 또, 제2 수지(71)는, 기판(30) 전체를 덮지 않아도 된다. 제1 수지(70) 및 제2 수지(71)가 충전됨으로써, 검출부(36)나 기판(30)이 고정되어,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 링(25)과 제2 수지(71)의 사이에는, 클램프(20)의 제2 부품(22)이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2 수지(71)를 충전할 때에, 제2 수지(71)의 실링 링(25)에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수지(70) 및 제2 수지(71)가 충전됨으로써, 근접 센서(1) 내부에 액체나 분진이 진입하여, 근접 센서(1)가 고장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수지(70) 및 제2 수지(71)의 사이에는 공극이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케이싱(10) 및 클램프(20)의 내부 전체에 수지를 충전한 경우에 비해, 수지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 및 그 배치, 재료, 조건, 형상 및 크기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구성끼리를 부분적으로 치환 또는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1…근접 센서, 10…케이싱, 11…개구부, 20…클램프, 21…제1 부품, 21a…본체부, 21b…제1 부분, 22…제2 부품, 24…오목부, 25…실링 링, 27…단차, 30…기판, 31…랜드, 32…표시등, 34…케이블, 35…프로텍터, 36…검출부, 37…코어, 38…코일, 50…제1 분할 금형, 51…분할면, 52…상부 금형, 52a…축부, 52b…외주부, 54…하부 금형, 54a…바닥부, 54b…외주부, 60…제2 분할 금형, 60a…축부, 60b…좌측부, 60c…우측부, 61…분할면, 70…제1 수지, 71…제2 수지

Claims (8)

  1.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전자 부품이 수용되는 통형상의 케이싱과, 실링(sealing) 링이 장착되는 오목부가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 일단이 삽입되는 통형상의 클램프와, 상기 오목부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싱과 상기 클램프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 링을 구비하는 센서의 제조 방법으로서,
    통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측에 위치하여 상기 오목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부분을 갖는 상기 클램프의 제1 부품을, 제1 분할 금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할 금형은, 분할면이 상기 본체부와 교차하고, 상기 본체부의 축방향을 따라 이간되도록 분할되며,
    상기 케이싱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일단측과는 반대측인 타단측에 제1 수지를 충전하는 공정과,
    상기 케이싱의 일단측 및 상기 클램프의 일부에 제2 수지를 충전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제2 수지의 사이에는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센서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다른 부분을 구성하는 상기 클램프의 제2 부품을, 상기 제1 부품과 일체가 되도록 제2 분할 금형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를 마련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센서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마련하는 공정은, 상기 제1 부분의 일부를 상기 제2 분할 금형에 삽입하고, 삽입된 상기 제1 부분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2 부품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센서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외주에 단차(段差)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를 마련하는 공정은, 상기 단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분할 금형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공정을 갖는, 센서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금형의 분할면은 상기 본체부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센서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링 링은 O링인, 센서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은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센서의 제조 방법.
  8. 삭제
KR1020217008699A 2018-11-12 2019-11-06 센서의 제조 방법 KR102514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12390A JP7008285B2 (ja) 2018-11-12 2018-11-12 センサの製造方法
JPJP-P-2018-212390 2018-11-12
PCT/JP2019/043416 WO2020100676A1 (ja) 2018-11-12 2019-11-06 センサ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994A KR20210036994A (ko) 2021-04-05
KR102514493B1 true KR102514493B1 (ko) 2023-03-27

Family

ID=7073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699A KR102514493B1 (ko) 2018-11-12 2019-11-06 센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69919B2 (ko)
EP (1) EP3882939B1 (ko)
JP (1) JP7008285B2 (ko)
KR (1) KR102514493B1 (ko)
CN (1) CN112703570A (ko)
WO (1) WO20201006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712B1 (ko) * 2015-02-16 2022-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DE102022128604B3 (de) 2022-10-28 2024-03-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Werkzeug, insbesondere Spritzwerkzeug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en Mas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04608A1 (de) * 1995-02-11 1996-08-14 Balluff Gebhard Feinmech Positionssens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JP2006007764A (ja) 2004-05-28 2006-01-12 Sunx Ltd インサート成形方法、インサート成形装置及び近接センサ
JP2012098173A (ja) * 2010-11-02 2012-05-24 Denso Corp センサの製造方法及び当該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るセンサ
JP2014199740A (ja) 2013-03-29 2014-10-23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0040U (ko) * 1980-11-04 1982-05-18
JPH0494233U (ko) * 1991-01-14 1992-08-17
JPH0498234U (ko) * 1991-01-22 1992-08-25
JPH0628958A (ja) * 1992-07-10 1994-02-04 Fuji Electric Co Ltd 近接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75767A (ja) * 1994-09-06 1996-03-22 Sumitomo Electric Ind Ltd 回転センサ
DE19922936B4 (de) 1999-05-19 2004-04-29 Infineon Technologies Ag Anlage zur Bearbeitung von Wafern
US7383432B1 (en) 2001-07-09 2008-06-03 Advanced Micro Devices, Inc. Software modem with hidden authentication commands
JP4702413B2 (ja) 2008-07-23 2011-06-1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近接センサ
JP5263193B2 (ja) * 2010-02-04 2013-08-14 オムロン株式会社 近接セ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04608A1 (de) * 1995-02-11 1996-08-14 Balluff Gebhard Feinmech Positionssens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JP2006007764A (ja) 2004-05-28 2006-01-12 Sunx Ltd インサート成形方法、インサート成形装置及び近接センサ
JP2012098173A (ja) * 2010-11-02 2012-05-24 Denso Corp センサの製造方法及び当該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るセンサ
JP2014199740A (ja) 2013-03-29 2014-10-23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69919B2 (en) 2024-04-30
JP2020080228A (ja) 2020-05-28
EP3882939B1 (en) 2024-03-06
JP7008285B2 (ja) 2022-01-25
KR20210036994A (ko) 2021-04-05
WO2020100676A1 (ja) 2020-05-22
CN112703570A (zh) 2021-04-23
US20210394402A1 (en) 2021-12-23
EP3882939A4 (en) 2022-08-10
EP3882939A1 (en) 202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4585B2 (en) Proximity sensor
KR102514493B1 (ko) 센서의 제조 방법
JP6947236B2 (ja) 検出装置
EP3214463A1 (en) Optical electronic device
KR102573360B1 (ko)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169325A1 (en) Rotation angle detecting device
US20150260564A1 (en) Sensor
US11579211B2 (en) Detection device
US20220094359A1 (en) Proximity sensor
JP2013036886A (ja) 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70963A (ja) 回転検出センサ
JP2018025537A (ja) センサ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47656A (ja) 磁気センサとその製造方法
WO2020100499A1 (ja) 近接センサの製造方法
JP6227089B1 (ja) 回転センサ
EP2919568A1 (en) Electronic device
JP2006317320A (ja) 電子装置
JP2011053011A (ja) 回転検出装置
JP2020034357A (ja) 移動体検出装置
JP2017083231A (ja) 回転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