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626B1 -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626B1
KR102513626B1 KR1020170150202A KR20170150202A KR102513626B1 KR 102513626 B1 KR102513626 B1 KR 102513626B1 KR 1020170150202 A KR1020170150202 A KR 1020170150202A KR 20170150202 A KR20170150202 A KR 20170150202A KR 102513626 B1 KR102513626 B1 KR 102513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nut
module unit
storage battery
subma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205A (ko
Inventor
이정형
권순도
주지훈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0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6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25B21/004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of the ratch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25B21/002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07Connections or joints between too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B63B2702/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8Propul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잠수함 배터리룸 내부에 축전지간 직병렬 연결을 위한 부스바의 조립을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잠수함 배터리룸 내부의 축전지간 직병렬 연결을 위한 부스바의 조립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축전지에 구비되는 전극과 전극간을 연결하기 위해 부스바에 너트를 조이는 구동 모듈부; 상기 구동 모듈부에 토크를 전달하는 기어 모듈부; 상기 구동 모듈부 및 기어 모듈부를 연결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볼트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Submarine storage battery bus bar installation device}
본 발명은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잠수함 배터리룸 내부에 축전지간 직병렬 연결을 위한 부스바의 조립을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잠수함의 배터리룸에는 수백 개의 축전지가 설치되며, 추진기 등의 가동을 위한 필요 전력을 공급해주기 위해 축전지간 직렬 및 병렬연결 작업이 이루어 진다. 이때, 축전지 간 '+'극과 '-'극에 대한 직병렬 연결은 축전지 상부에 돌출된 pole을 다양한 형태의 부스바로 연결하고 볼트와 너트, 와셔 등으로 체결한다.
이와 같은 부스바 연결 작업은 부스바 가조립과 볼트류 체결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들이 부스바와 볼트, 너트, 와셔, 스프링 와셔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각 축전지 간 연결 형태에 맞게 가 체결 작업을 수행한다. 이 후, 다른 작업자들이 절연 테이프로 절연 처리된 스패너를 이용하여 pole 양단의 볼트와 너트를 교차하여 조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비좁은 작업 환경 특성 상 제대로 된 작업 자세를 취하기 어렵고 볼트가 풀리지 않도록 긴밀하게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힘이 많이 들어간다. 또한, 짧은 작업 공기로 인해 척당 약 2,000여개의 볼트류 체결에 대한 반복 작업을 빠르게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근골격계 질환 발생 빈도가 매우 높다. 더욱이, 축전지 전극 간의 간격이 좁고 축전지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 실수 혹은 절연 미비 스패너 등으로 인해 비 연결 전극간 접촉이 되면 감전사고 및 폭발 위험이 크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위와 같은 작업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잠수함 배터리룸 내부에 축전지간 직병렬 연결을 위한 부스바의 조립을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잠수함 배터리룸 내부의 축전지간 직병렬 연결을 위한 부스바의 조립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축전지에 구비되는 전극과 전극간을 연결하기 위해 부스바에 너트를 조이는 구동 모듈부; 상기 구동 모듈부에 토크를 전달하는 기어 모듈부; 상기 구동 모듈부 및 기어 모듈부를 연결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볼트 고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되, 감속기 축에 결합되는 감속기; 및 상기 구동모터가 에어 압에 의해 작동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에어 호스 연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어 모듈부는, 상기 구동 모듈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토크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 기어; 상기 메인 기어와 치결합되는 토크를 전달하는 토크 전달용 기어; 및 상기 토크 전달용 기어를 통헤 전달된 동력을 통해 너트를 회전시키는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 토크 전달용 기어 및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는, 각각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치결합되며, 그 외측에 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 토크 전달용 기어 및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베어링이 각각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 및 토크 전달용 기어에 구비되는 베어링은 전면 및 후면 양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가이드 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메인 기어 축에 연결되어 너트 체결을 위한 토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와 연결되어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가이딩용 헥사 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고정부는, 상기 헥사 볼트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볼트 고정 브라켓; 및 상기 볼트 고정 브라켓과 연결되며, 손잡이가 구비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고정부는, 상기 볼트 고정 브라켓의 높이 조절을 위한 가이드 부쉬; 상기 전극 및 부스바 두께 사양 변화로 인한 볼트 고정 브라켓의 간격 조절을 위한 간격 조절 링크; 및 상기 너트 체결 시 볼트 회전 방지 및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 고정 모듈부를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에 의하면, 작업자가 좁은 공간에서 스패너를 이용하여 볼트 및 너트를 조이는 힘들고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간편하고 빠르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부스바 설치 작업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골격계 질환 발생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환경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잠수함 배터리룸 내부의 축전지간을 부스바에 의해 직병렬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를 통해 전극에 부스바를 직렬로 결속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가 너트와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서 볼트 고정 브라켓이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되기 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과정을 통해 볼트 고정 브라켓이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를 통해 전극에 부스바를 병렬로 결속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잠수함 배터리룸 내부의 축전지간을 부스바에 의해 직병렬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는, 비좁은 환경에서도 스패너나 렌치 등과 같은 공구 없이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간단하고 빠르게 볼트 및 너트를 조임으로써 부스바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너트(164)를 자동으로 조일 수 있도록 해주는 구동 모듈부(110)와, 구동 모듈부(110)의 토크를 전달해 주기 위한 기어 모듈부(120), 구동 모듈부(110) 및 기어 모듈부(120)를 연결하고 부스바(162)와 축전지 전극(161)의 체결 형상에 맞게 장치를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 프레임(140) 및 체결 시 헥사 볼트(163)의 회전을 방지해 주는 볼트 고정부(15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 모듈부(110)는, 구동모터(111)와, 상기 구동모터(111)의 동력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되, 감속기 축(113)에 결합되는 감속기(112) 및 상기 구동모터(111)가 에어 압에 의해 작동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에어 호스 연결부(116)로 구성된다. 또한 구동 모듈부(110)는 장치의 경량 및 소형화 목적뿐만 아니라, 너트(164) 체결 속도를 감속시켜 체결완료 시의 반력에 의한 충격을 감쇄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해 구동 모터(111)에 감속기(112)가 구비된다. 상기 감속기(112)는 가이드 프레임(140)에 체결되어 후술할 메인 기어(123) 축에 연결되어 너트(164)의 체결을 위한 토크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헥사 볼트(163) 및 너트(164)의 체결 토크는 구동 모터(111)로 유입되는 에어압의 조정으로 가능하다. 여기서 에어압은 상기한 에어 호스 연결부(116)에 공압을 공급할 수 있는 에어 호스(미도시)를 연결하여 구동모터(111)에 에어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에어 호스 연결부(116)는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115)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기어 모듈부(120)는, 구동 모듈부(110)를 통하여 전달되는 토크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 기어(123)와, 상기 메인 기어(123)와 치결합되는 토크를 전달하는 토크 전달용 기어(125) 및 상기 토크 전달용 기어(125)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통해 너트(164)를 회전시키는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128)로 구성된다. 또한, 메인기어(123), 토크 전달용 기어(125) 및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12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각각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치결합되며, 그 외측에 하우징(121)이 결합된다. 게다가 메인기어(123), 토크 전달용 기어(125) 및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128)와 상기 하우징(121) 사이에는 베어링이 각각 개재되며, 여기서 메인기어(123) 및 토크 전달용 기어(125)에 구비되는 베어링은 전면 및 후면 양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21)의 외측에는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128)와 연결되어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128)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가이딩용 헥사 브라켓(1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한 기어 모듈부(120)는 구동 모듈부(110)의 토크를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28)까지 전달하여 너트(164)를 빠른 속도로 체결하여 부스바(162)를 축전지 전극(161)에 빠르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듈로서, 구동 모듈부(110)의 토크를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128)까지 전달하기 위해 3개의 기어(123, 125a, 125b)가 베어링 하우징(121a, 121b)에 배치된 베어링(122, 124a, 124b, 126a, 126b)에 연결되고, 메인 기어(123) 축이 구동 모듈부(110)의 감속기 축(113)에 연결되어 기어 간 맞물림에 의해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128)로 토크를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딩용 헥사 브라켓(130)은 너트가 체결되는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128)의 반대측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고정되어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128) 회전 시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부호 122는 메인 기어 고정용 베어링, 124는 기어 고정용 베어링, 126은 토크 전달용 기어 고정용 베어링, 127은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 고정용 베어링을 나타낸다.
한편, 볼트 고정부(150)는 가이드 프레임(140)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헥사 볼트(163)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볼트 고정 브라켓(151) 및 상기 볼트 고정 브라켓(151)과 연결되며, 손잡이(155)가 구비되는 고정 브라켓(153)으로 구성된다. 또한, 볼트 고정부(150)는 부가적으로 상기 볼트 고정 브라켓(151)의 높이 조절을 위한 가이드 부쉬(152)와, 상기 전극(161) 및 부스바(162) 두께 사양 변화로 인한 볼트 고정 브라켓(151)의 간격 조절을 위한 간격 조절 링크(154) 및 상기 너트(164) 체결 시 볼트 회전 방지 및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 고정 모듈부(150)를 가이드 프레임(140)에 결합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볼트 고정부(150)는 상기한 구동 모듈부(110) 및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128)에 의해 너트(164)를 조일 때 헥사 볼트(163)가 같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패너 형상의 볼트 고정 브라켓(151)과, 볼트 고정 브라켓의 높이 조절을 위한 가이드 부쉬(152)가 구비된다. 또한, 간격조절 링크(154)는 잠수함 종류에 따른 축전지 전극(161)과, 부스바(162)의 두께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볼트 고정 브라켓(51)으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고정 브라켓(153)은 너트(164) 체결 시 볼트(163) 회전 방지 및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 고정 모듈부(150)를 가이드 프레임(140)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정 브라켓(153)의 하부면에는 돌기(156)가, 가이드 프레임(140)에는 상기 돌기(156)가 삽입되어 이탈되거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삽입홀(141)이 형성된다. 또한, 손잡이(155)는 볼트 고정부(150)의 핸들링을 쉽게 하고 구동 모듈부(110) 동작 시 장치 본체(10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정 브라켓(153)에 구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를 통해 전극에 부스바를 직렬로 결속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가 너트와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5에서 볼트 고정 브라켓이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되기 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 및 도 7의 과정을 통해 볼트 고정 브라켓이 가이드 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는 작업자가 우선 전극(161)과 전극을 부스바(62)로 연결하게 되면, 헥사 볼트(163)와 너트(164)를 가결합하게 된다. 이후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100)를 통하여 헥사 볼트(163)와 너트(164)를 완전히 고정하게 되며, 최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부스바 설치 장치(100)의 가이딩용 헥사 브라켓(130) 형상에 맞게 가조립되어 있는 부스바의 너트(164)를 돌린 후 부스바 설치 장치(100)를 가조립되어 있는 너트(164)에 부스바(162)에 삽입한다. 이후 볼트 고정부(150)를 볼트(163) 헤드에 맞춰 가이드 프레임(140) 상부에 고정하게 된다. 이후 구동 모듈부(110)의 모터 동작 노브(114)를 회전하면 에어 호스 연결부(116)를 통해 에어가 구동 모터(111)로 공급되어 구동 모터(111)가 회전함으로서 볼트를 체결하여 간단하고 빠르게 부스바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가이딩용 헥사 브라켓(130)의 회전 상태를 보고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128)의 회전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가체결된 너트(164)를 가이딩용 헥사 브라켓(130)의 회전 상태에 맞게 돌리고,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128)를 너트(164) 방향으로 간단히 끼움으로써 부스바 설치 장치(100)를 부스바(162)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14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바 설치 장치(100)가 기울어지지 않고 부스바(162)에 설치되도록 부스바의 측면과 상부면에 맞닿도록 결속한다.
이후 작업자는 도 6 내지 도 8의 순서에 따라 볼트(163)의 회전 방향에 맞춰 볼트 고정 브라켓(151)을 끼우고, 가이드 프레임(140) 상부에 결합한 후, 구동 모듈부(110)를 동작시켜 볼트(163) 및 너트(164)를 체결하게 된다. 이때 볼트 고정 브라켓(151)은 볼트(163)가 회전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부스바(162)를 축전지 전극(161)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빠르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상태는 전극과 부스바가 직렬로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전극과 부스바가 직렬로 연결될 경우는 도 9의 실시예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를 통해 전극에 부스바를 병렬로 결속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한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잠수함 사양 별 축전지 사양 변경에 따라 볼트 및 너트의 체결 위치 및 폭이 달라지므로 볼트 고정부(50) 가변을 통해 신속하고 간단하게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9와 같이 부스바(162)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도 간섭 없이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장치 본체 110 : 구동 모듈부
111 : 구동 모터 112 : 감속기
113 : 감속기 축 114 : 모터 동작 노브
115 : 레귤레이터 116 : 에어 호스 연결부
120 : 기어 모듈부 121 : 하우징
122 : 메인 기어 고정용 베어링 123 : 메인 기어
124 : 기어 고정용 베어링 125 : 토크 전달용 기어
126 : 토크 전달용 기어 고정용 베어링
127 :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 고정용 베어링
128 :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 130 : 가이딩용 헥사 브라켓
140 : 가이드 프레임 150 : 볼트 고정부
151 : 볼트 고정 브라켓 152 : 가이드 부쉬
153 : 고정 브라켓 154 : 간격 조절 링크
155 : 손잡이 156 : 돌기
160 : 축전지 161 : 전극
162 : 부스바 163 : 헥사 볼트
164 : 너트

Claims (11)

  1. 잠수함 배터리룸 내부의 축전지(160)간 직병렬 연결을 위한 부스바(162)의 조립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축전지(160)에 구비되는 전극(161)과 전극(161)간을 연결하기 위해 부스바(162)에 너트(164)를 조이는 구동 모듈부(110);
    상기 구동 모듈부(110)에 토크를 전달하는 기어 모듈부(120);
    상기 구동 모듈부(110) 및 기어 모듈부(120)를 연결하는 가이드 프레임(140); 및
    상기 너트(164)에 결합되는 볼트 고정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모듈부(110)는 구동모터(111), 상기 구동모터(111)의 동력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되, 감속기 축(113)에 결합되는 감속기(112) 및 상기 구동모터(111)가 에어 압에 의해 작동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에어 호스 연결부(116)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모듈부(120)는 상기 구동 모듈부(110)를 통하여 전달되는 토크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 기어(123), 상기 메인 기어(123)와 치결합되는 토크를 전달하는 토크 전달용 기어(125) 및 상기 토크 전달용 기어(125)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통해 너트(164)를 회전시키는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128)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호스 연결부(116)는 공압을 공급하는 에어 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11)에 에어를 공급하고, 또한 상기 에어 호스 연결부(116)는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1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123), 토크 전달용 기어(125) 및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128)는,
    각각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치결합되며, 그 외측에 하우징(121)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123), 토크 전달용 기어(125) 및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128)와 상기 하우징(121) 사이에는 베어링이 각각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123) 및 토크 전달용 기어(125)에 구비되는 베어링은 전면 및 후면 양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112)는 가이드 프레임(140)에 체결되고, 상기 메인 기어(123) 축에 연결되어 너트(164) 체결을 위한 토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1)의 외측에는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128)와 연결되어 너트 체결용 헥사 기어(128)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가이딩용 헥사 브라켓(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고정부(150)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140)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10. 제1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고정부(150)는,
    헥사 볼트(163)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볼트 고정 브라켓(151); 및
    상기 볼트 고정 브라켓(151)과 연결되며, 손잡이(155)가 구비되는 고정 브라켓(1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고정부(150)는,
    상기 볼트 고정 브라켓(151)의 높이 조절을 위한 가이드 부쉬(152); 및
    상기 전극(161) 및 부스바(162) 두께 사양 변화로 인한 볼트 고정 브라켓(151)의 간격 조절을 위한 간격 조절 링크(154);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153)은 상기 너트(164) 체결 시 볼트 회전 방지 및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 고정 모듈부(150)를 가이드 프레임(140)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KR1020170150202A 2017-11-12 2017-11-12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KR102513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202A KR102513626B1 (ko) 2017-11-12 2017-11-12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202A KR102513626B1 (ko) 2017-11-12 2017-11-12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205A KR20190054205A (ko) 2019-05-22
KR102513626B1 true KR102513626B1 (ko) 2023-03-22

Family

ID=6667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202A KR102513626B1 (ko) 2017-11-12 2017-11-12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6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161A (ja) * 2000-10-13 2002-04-23 Atlas Copco Kk ナットランナー用回り止め装置及び回り止め装置を備えたナットランナー
KR100579286B1 (ko) * 2004-07-06 200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자동 볼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961U (ko) * 2008-12-03 2010-06-1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고속 회전 너트 런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161A (ja) * 2000-10-13 2002-04-23 Atlas Copco Kk ナットランナー用回り止め装置及び回り止め装置を備えたナットランナー
KR100579286B1 (ko) * 2004-07-06 200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자동 볼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205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8908B1 (en) Apparatus for tightening threaded fasteners
CN203765538U (zh) 双向螺栓扳手
EP3234708B1 (en) Convertible intelligent power tool
CN204437591U (zh) 平移轴组件及其使用的云台
KR102513626B1 (ko)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KR20190073222A (ko) 잠수함 축전지 부스바 설치장치
CN205184236U (zh) 一种可旋转的拧紧装置
DE102010044823A1 (de) Schraubspindel
CN203918409U (zh) 一种锥齿轮式螺栓紧固装置
CN113839349A (zh) 电缆开剥装置
JP3184850U (ja) ボルト・ナット締め補助工具
CN207431703U (zh) 平衡吊具钢索固定锁扣的螺母紧固工装
JP2016010831A (ja) ナット締め付け機
US20190381638A1 (en) Drill, drill bit and staples for use therefor
CN2897527Y (zh) 五轴变四轴智能拧紧机
CN111203824B (zh) 扭矩扳手及运用该扭矩扳手的钢箱梁高强度螺栓施拧工艺
ITBZ20090016A1 (it) Attrezzo per il fissaggio di connettori a vite su cavi elettrici
CN210091807U (zh) 一种线束工装板
CN204387612U (zh) 横滚轴组件及其使用的云台
KR20120007307U (ko) 볼트 회전방지와셔
CN203918408U (zh) 一种齿轮组式螺纹紧固装置
CN214429094U (zh) 加长绝缘电动紧固工具
CN115674072A (zh) 电动式开口扳手头
CN218556968U (zh) 装拆紧固件的装置
CN109079694A (zh) 一种新型的适合于狭小空间的多用途电动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