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277B1 -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277B1
KR102513277B1 KR1020200156119A KR20200156119A KR102513277B1 KR 102513277 B1 KR102513277 B1 KR 102513277B1 KR 1020200156119 A KR1020200156119 A KR 1020200156119A KR 20200156119 A KR20200156119 A KR 20200156119A KR 102513277 B1 KR102513277 B1 KR 102513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material
safety device
buckle cover
emergency safety
conn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9216A (ko
Inventor
샨 릴리
Original Assignee
산동 홍구안 러버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동 홍구안 러버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산동 홍구안 러버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00156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2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69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6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6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resilient
    • B60C2017/063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resilient comprising circumferentially extending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일종의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를 개시한다. 대향 배열되어 설치된 고무재1과 고무재2를 포함하여 상기 고무재1의 일단은 제1 연결부재를 통해 고무재2의 일단과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2 연결부재를 통해 고무재2의 다른 일단과 연결되어 고무재1과 고무재2가 둘레를 연결하여 링 구조를 이루게 한다. 본 발명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는 대향 배열되어 설치된 고무재1과 고무재2를 통해 설치공간을 절약하고 고정조건을 간소화하며, 또한 본 장치가 단순하고 설치도 간편하며 고무 에어 스프링과 댐퍼의 기능과 장점을 가지고 있어 하중을 견디고 완충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진동 감소 역할도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PUNCTURE EMERGENCY SAFETY DEVICE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상적인 주행 중에 차량이 갑자기 펑크가 나서 타이어가 지지력을 잃고 휠허브에서 분리되어 지면과의 마찰을 잃어 바퀴가 제어를 받지 못하게 된다.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가 설치된 후 타이어가 휠 허브에서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압력을 잃은 타이어와 바퀴를 계속 지지하여 좋은 접지력을 얻고 차량의 안전을 보장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는 주로 판금+나일론 지지프레임을 사용하며, 이런 구조는 무게가 무겁고 녹슬기 쉬우며 유지보수요구가 높고 고장률이 높으며 적재량이 큰 차종에 부적합 등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27568호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업계에 어려움을 겪어온 여러 해 동안의 조립 유지보수요구가 높고 고장률이 높으며 적재량이 큰 차량에 부적합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다. 일종의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이다.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고무재1과 고무재2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재1의 일단부는 제1 연결부재를 통해 고무재2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부는 제2 연결부재를 통해 고무재의 다른 일단부와 연결되어 고무재1과 고무재2가 둘레를 연결하여 링 구조를 이루게 하며 상기 고무재1과 고무재2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최내층에 배치된 망간강철벨트, 망간강철벨트 외부에 감겨진 나일론층, 및 나일론층 외부에 감겨진 고무층을 포함하며, 상기 고무재1과 고무재2가 대향하여 배치 설치된 한 면에 다수 개의 슬롯이 있다.
개선점으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고무재1과 고무재2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판1 및 연결판2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1과 연결판2 사이에 U자형피스1 및 U자형피스2가 각각 힌지연결되며, 상기 U자형피스1 및 U자형피스2 중간에 나사구멍이 제공되며, 상기 나사구멍에는 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볼트는 U자형피스1 및 U자형피스2를 차례로 통과하여 너트 연결부재와 연결하고 조인다.
개선점으로, 상기 볼트 및 너트 연결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조임토크가 최소 10Nm이다.
개선점으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고무재1과 고무재2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판3과 연결판4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3 및 연결판4는 각각 리벳으로 버클커버의 양단에 힌지 연결된다.
개선점으로, 상기 버클커버는 버클커버 바닥판과 버클커버 바닥판 양측에 배치된 버클커버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버클커버 측판은 연결판3과 연결판4의 외부에 배치된다.
개선점으로, 상기 버클커버는 호형 버클커버이며, 버클커버의 바닥판에는 다수 개의 관통구멍이 제공된다.
개선점으로, 상기 관통구멍은 긴 관통형 구멍 및 원형 관통구멍을 포함한다.
개선점으로, 상기 리벳 및 버클커버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조된다.
위의 구조를 채택한 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는 대향하여 배치 설치된 고무재1과 고무재2를 통해 설치공간을 절약하고 고정조건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또한 본 장치가 간단하고 설치도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고무 에어 스프링과 완충기의 기능과 장점을 가지고 있고, 하중을 견디고 완충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진동감쇠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 중에 고무재1의 내부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 중에 제1 연결부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 중에 제2 연결부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는 대향하여 배치 설치된 고무재1(1)과 고무재2(2)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재1(1)의 일단부는 제1 연결부재(3)를 통해 고무재2(2)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부는 제2 연결부재(4)를 통해 고무재2(2)와 연결되어 고무재1(1)과 고무재2(2)가 둘레를 연결하여 링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고무재1(1)과 고무재2(2)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그것은 가장 안쪽 층에 배치된 망간강철벨트(1.1), 망간강철벨트(1.1) 외부에 감겨진 나일론층(1.2), 및 나일론층(1.2) 외부에 감겨진 고무층(1.3)을 포함하며, 즉 고무층(1.3), 나일론층(1.2), 망간강철벨트(1.1)가 외부에서 내부로 차례로 배치된다. 상기 고무재1(1)과 고무재2(2)가 대향하여 배치 설치된 한 면에는 다수개의 슬롯이 있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방안으로서, 상기 제1 연결부재(3)는 고무재1(1)과 고무재(2)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판1(3.1) 및 연결판2(3.2)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1(3.1)과 연결판2(3.2) 사이에 U자형피스1(3.3) 및 U자형피스2(3.4)가 각각 힌지결합되며, 상기 U자형피스1(3.3)과 U자형피스2(3.4) 중간에는 각각 나사구멍이 있으며 상기 나사구멍에는 볼트(3.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볼트(3.5)는 U자형피스1(3.3)과 U자형피스2(3.4)를 차례로 지나 너트연결부재(3.6)와 연결하고 조인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방안으로서, 상기 볼트(3.5)와 너트 연결부재(3.6)를 연결하기 위한 조임토크가 최소 10Nm이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방안으로서, 상기 제2 연결부재(4)는 고무재1(1)과 고무재2(2)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판3(4.1) 및 연결판4(4.2)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3(4.1)과 연결판4(4.2)는 각각 리벳(4.3)으로 버클커버(4.4)의 양단에 힌지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방안으로서, 상기 버클커버(4.4)는 버클커버 바닥판(4.4a)과 버클커버바닥판(4.4a) 양측에 배치된 버클커버측판(4.4b)을 포함하며, 상기 버클커버측판(4.4b)은 연결판3(4.1)과 연결판4(4.2)의 외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방안으로서, 상기 버클커버(4.4)는 호형 버클커버이며, 버클커버의 바닥판(4.4a)에는 다수개의 관통구멍(4.4c)이 있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방안으로서, 상기 관통구멍(4.4c)은 긴 관통형구멍 및 원형 관통구멍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방안으로서, 상기 리벳(4.3) 및 버클커버(4.4)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나일론층과 고무층을 망간강철벨트로 감겨진 하나의 완전한 고무재1과 고무재2를 형성하고, 고무재1과 고무재2는 제2 연결부재를 통해 완전한 자동차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를 형성한다. 그중 나일론층은 인장강도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며, 고무층은 고강도 경량화된 복합고무이며, 버클커버와 리벳은 프레스리벳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클커버와 리벳은 모두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녹슬지 않도록 하여 강도를 높인다. 사용시에는 연결된 고무재를 림의 홈에 넣고, 제1 연결부재에서는 볼트가 너트연결부재를 통해 U자형피스1과 U자형피스2를 차례로 관통하여 연결하고 조여서 고무재1과 고무재2가 둘레를 연결하여 링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본 발명은 외국의 판금+나일론 지지프레임을 버리고 전면 업그레이드된 경량화 복합고무 지지 시스템을 채택하며, 이 지지 시스템은 업계에 어려움을 겪어온 여러 해 동안의 조립 유지보수요구가 높고 고장률이 높으며 적재량이 큰 차량에 부적합 등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 제품은 경량화 스테인리스강 버클, 망간강판금속, 고강도 나일론 코드와 고무의 일체화제품, 복합고무 전체지지 구조는 "휠 허브 홈 밀봉기술"의 기술원리를 적용하였다. 기술원리는 휠 허브의 홈을 감싸고 지지하여 차량 타이어가 펑크가 터진 후에도 림이 지면을 접촉하여 공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통제 상실로 인한 전복사고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상은 본 발명 및 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고, 이런 설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 표시한 것도 본 발명의 실시방식의 하나일 뿐이고, 실제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체로, 본 분야의 당업자가 그 계시를 받아 본 발명의 창작 목적을 벗어나지 않은 상황에서 창의성을 거치지 않고 해당 기술방안과 비슷한 구조방식 및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여야 한다.
1: 고무재1 1.1: 망간강철벨트
1.2: 나일론층 1.3:. 고무층
2: 고무재2 3: 제1 연결부재
3.1: 연결판1 3.2. 연결판2
3.3: U자형피스1 3.4: U자형피스2
3.5:볼트 3.6: 너트연결부재
4: 제2 연결부재 4.1: 연결판3
4.2: 연결판4 4.3: 리벳
4.4: 버클커버 4.4a: 버클커버 바닥판
4.4b: 버클커버 측판 4.4c: 관통구멍

Claims (8)

  1. 일종의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이고,
    대향 배치되어 설치된 고무재1과 고무재2를 포함하여 상기 고무재1의 일단부는 제1 연결부재를 통해 고무재2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제2 연결부재를 통해 고무재2의 다른 단부와 연결되어 고무재1과 고무재2가 둘레를 연결하여 링구조를 이루게 하며, 상기 고무재1과 고무재2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최내층에 배치된 망간강철벨트, 망간강철벨트 외부에 감겨진 나일론층, 및 나일론층 외부에 감겨진 고무층을 포함하며, 상기 고무재1과 고무재2가 대향 배치되어 설치된 한면에 다수 개의 슬롯이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고무재1과 고무재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판1, 연결판2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판1과 연결판2 사이에는 U자형피스1과 U자형피스2가 각각 힌지 연결되며, 상기 U자형피스1과 U자형피스2 중간 부분에는 나사구멍이 제공되며, 상기 나사구멍에는 볼트가 끼워지고, 상기 볼트는 U자형피스1 및 U자형피스2를 차례로 통과하여 너트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및 너트연결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조임 토크가 최소 1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고무재1과 고무재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판3 및 연결판4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3 및 연결판4는 각각 리벳으로 버클커버의 양단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커버는 버클커버 바닥판과 버클커버 바닥판 양측에 배치된 버클커버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버클커버 측판은 연결판3 및 연결판4의 외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커버는 호형 버클커버이며, 상기 버클커버의 바닥판에는 다수 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 긴 관통형 구멍 및 원형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 및 버클커버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
KR1020200156119A 2020-11-20 2020-11-20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 KR102513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119A KR102513277B1 (ko) 2020-11-20 2020-11-20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119A KR102513277B1 (ko) 2020-11-20 2020-11-20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216A KR20220069216A (ko) 2022-05-27
KR102513277B1 true KR102513277B1 (ko) 2023-03-22

Family

ID=81796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119A KR102513277B1 (ko) 2020-11-20 2020-11-20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2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3690A (ja) * 2004-04-27 2005-11-10 Toyo Tire & Rubber Co Ltd ランフラットタイヤ支持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ランフラット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3911A (en) * 1982-07-26 1983-07-19 Astronics Corporation Safety liner for tires
KR20050027568A (ko) 2003-09-15 2005-03-21 김일성 운행중 펑크가 나도 안전하게 주행하는 타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3690A (ja) * 2004-04-27 2005-11-10 Toyo Tire & Rubber Co Ltd ランフラットタイヤ支持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ランフラット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216A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0815B1 (ja) フランジ付きタイヤ及びホイール組立体
KR101053915B1 (ko) 비공기식 자동차용 타이어
US20110005854A1 (en) Roll restrictor system for an automotive powertrain
US4630662A (en) Vehicle wheel with tire bead clamping ring
US5593520A (en) Ring device for running on a flat tire
KR102513277B1 (ko)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비상안전장치
CN210706744U (zh) 一种柔性带式爆胎应急安全装置
CN212827710U (zh) 一种安装简便的汽车爆胎应急安全装置
US20220161610A1 (en) Puncture emergency safety device for automobiles
CN212289363U (zh) 一种车轮及车辆
US5141039A (en) Core assembly for pneumatic tire and pneumatic tire assembly
US20090151876A1 (en) Apparatus for Securing a Tire to a Wheel
CN111823786A (zh) 一种汽车爆胎应急支撑装置
JP7225184B2 (ja) 自動車パンク応急用安全装置
RU2750478C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т аварии из-за прокола шины автомобиля
CN210652554U (zh) 一种柔性带式爆胎应急安全装置
US10668769B2 (en) Anti-roll off assembly and system including same
EP4000964A1 (en) Puncture emergency safety device for automobiles
CN213649259U (zh) 一种应用于爆胎应急安全装置上的紧固结构
CN201002488Y (zh) 汽车轮胎气门嘴组件
CN111976390A (zh) 一种应用于爆胎应急安全装置上的紧固结构
CN217495745U (zh) 一种汽车用爆胎应急安全装置
CN217944791U (zh) 轮毂
CN210101315U (zh) 气瓶防窜动装置、气瓶组件及车辆
WO2019133000A1 (en) Non-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