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825B1 -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 - Google Patents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825B1
KR102512825B1 KR1020177033764A KR20177033764A KR102512825B1 KR 102512825 B1 KR102512825 B1 KR 102512825B1 KR 1020177033764 A KR1020177033764 A KR 1020177033764A KR 20177033764 A KR20177033764 A KR 20177033764A KR 102512825 B1 KR102512825 B1 KR 102512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sanitizing
concentration
bacillus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310A (ko
Inventor
알베르토 로돌피
엘리자베타 카셀리
Original Assignee
콥마 에스.씨.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콥마 에스.씨.에이.알.엘. filed Critical 콥마 에스.씨.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17014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1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2Bacill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40Viruses, e.g. bacterioph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95/00Bacteriophages
    • C12N2795/00011Details
    • C12N2795/14011Details ssDNA Bacteriophages
    • C12N2795/14111Inovirid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95/00Bacteriophages
    • C12N2795/00011Details
    • C12N2795/14011Details ssDNA Bacteriophages
    • C12N2795/14211Microvirid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95/00Bacteriophages
    • C12N2795/00011Details
    • C12N2795/18011Details ssRNA Bacteriophages positive-sense
    • C12N2795/18111Levivirid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1Bacillus megate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25Bacillus subtilis ; Hay bacillus; Grass bacill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으로서,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및 박테리오파지 요소들이 혼합된 살균 및/또는 위생 작용을 갖는 염기성 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는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및 바실러스 푸밀리스(Bacillus pumilis) 종이며, 상기 박테리오파지 요소들은,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카우도비랄레스(Caudovirales), 마이크로비리대(Microviridae), 레비비리대(Leviviridae), 이노비리대(Inoviridae), 텍티비리대(Tectiviridae), 코르티코비리대(Corticoviridae) 과의 박테리오파지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
본 발명은 특히 주변 환경 및 표면의 세정, 살균 및 위생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람들의 건강에 유해할 수 있는 화학 및/또는 미생물 오염의 통제 및 제거 가능성은 항상 더 중요시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통적인 세정 및 살균용 제품 및 방법은 다-내성 미생물 종(소위 "슈퍼버그")의 발생과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는 화학 항균제 살균 물질의 사용을 회피하는데 더 이상 만족스럽지가 않다.
이것은 전통적인(화학적으로 배합된) 세제와 처리 표면의 재오염에 대처하는 위생 수단의 기술 부족과 관련이 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재오염은 오염된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오염 미생물(박테리아 및 진균)과 관련된 감염의 주된 원인이 된다.
전통적인 세제/위생 수단의 또 다른 단점은 항생제 다-내성 박테리아 종의 발생을 통제할 능력이 없다는 점과 관련이 있다. 반대로, 결정된 물질(및 오염 미생물에 가해지는 선택압)의 사용은 경우에 따라 내성 미생물 종의 선택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약리학적 치료로는 박멸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사람들의 건강에 더욱 유해한 감염의 발병과 잠재적으로 관련이 있으므로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다.
병원 분야에서는, 경계 및 가구 표면들이 미생물의 저장소 역할을 하여 환자와의 직접 및/또는 간접 접촉으로 인한 오염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감염이 병원 입원 기간의 빈번한 합병증(입원 환자의 5% - 15%) 중 하나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세제, 살균 및 위생 작용의 혼합체에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포자, 특히 바실러스 속(Bacillus genus)이 도입된 "프로바이오틱 세정 위생 시스템(Probiotic Cleaning Hygien System)"(PCHS)이라는 상표명으로 공지된 시스템의 사용에서 본 출원인이 사용하는 표면의 세정 및 살균을 위한 공지의 제품들이 있다.
이러한 제품은 프로바이오틱(비병원성) 미생물이 세정 및 위생을 위해 표면을 콜로나이즈하여 사람들의 건강에 잠재적으로 위해한 다른 종의 번식과 경쟁한다는 사실에 기반한 "생물학적 조절(bio-control)"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바실러스 속 박테리아는 자연계에서 아주 흔하며 인간의 장에서도 존재하는 포자성 그램 양성균의 거대 집단이다.
바실러스 박테리아에 의해 형성된 포자는 건조, 가열 및 다수의 화학 물질에 대한 내성으로 인해 매우 오랜 기간 동안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살균 분야에서의 프로바이오틱 응용에 이상적이다.
또한, 안전성 측면에서 볼 때, PCHS 응용에 사용된 제품에서 발생하는 바실러스 종의 병원성 위험은 낮음/0(비병원성)으로 간주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본 출원인은 PCHS 시스템의 응용에 사용되는 유형의 세정 및 살균용 제품이 한편으로는 그들의 작용이, EC 규정에 따른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농도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5 -15%),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5%), 양쪽성 계면 활성제(<5%)를 함유하는 염기성 혼합물 세제/살균/위생 수단 덕분이며, 즉각적인 세정 작용을 담당함을 확인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프로바이오틱스의 존재는 오염된 미생물에 의한 표면 콜로나이즈를 방지하여, 표면의 위생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시키며, 이에 따라 잠재적으로 병원의 표면들에 있는 병원성 미생물 종의 수와 양을 강력하게 감소시킨다 [Vandini 외 공저, 2014 - Hard surface biocontrol in hospitals using microbial-based cleaning products. PLoS One 9, e108598].
더욱이, PCHS 시스템은 항생제에 내성인 박테리아 종의 수를 강력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성 종을 선택하거나 유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aselli 외 공저, 2016 - Impact of a Probiotic-Based Cleaning Intervention on the Microbiota Ecosystem of the Hospital Surfaces: Focus on the Resistome Remodulation. PLoS One 11, e0148857].
이 시스템은 프로바이오틱 및 미생물 오염물질들 사이의 경쟁적인 길항 작용의 생물학적 메커니즘에 기반을 둔 시스템이기 때문에, 미생물 수의 안정적인 감소에 도달하기 위해, 예를 들어 최소 30일의 적용과 같은 연장된 처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장된 기간 이후에, 프로바이오틱 기반 세제는 전통적인 화학 제품으로 처리된 표면과 비교하여, 약 90%의 표면에서 병원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Vandini 외, 2014].
본 발명의 목적은 다-내성 유형의 미생물 종에 대하여 특히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극히 제한된 환경 영향을 갖는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면 및/또는 주변 환경을 처리하기 위한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라 구현되는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에 의해 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은 단일 또는 조합으로 고려되는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농도는 0.001-30%, 바람직하게는 5-15%이고;
-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농도는 0.001-15%, 바람직하게는 0.001-5%이고;
- 양쪽성 계면 활성제의 농도는 0.001-15%, 바람직하게는 0.001-5%이고;
-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포자의 농도는 102-109 포자/ml, 바람직하게는 106-107 포자/ml이고;
- 박테리오파지 요소들의 농도는 103-109 PFU/ml, 바람직하게는 106-107 PFU/ml이고;
-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는 바실러스 속(Bacillus genus)에 속하고;
-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및 바실러스 푸밀리스(Bacillus pumilis species) 종이고;
- 박테리오파지 요소들은 카우도비랄레스(Caudovirales) 과 및/또는 마이크로비리대(Microviridae) 과 및/또는 레비비리대(Leviviridae) 과 및/또는 이노비리대(Inoviridae) 과 및/또는 텍티비리대(Tectiviridae) 과 및/또는 코르티코비리대(Corticoviridae) 과의 박테리오파지를 포함하고;
-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은 표면 및/또는 주변 환경의 처리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몇몇 바람직한 그러나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 예에서 확인될 것이다.
본 발명인, 세정, 살균 및 위생용으로 제안된 제품은 다음을 포함한다:
-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 활성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살균 및/또는 위생 작용을 가진 염기성 용액;
- 이러한 염기성 용액에 혼합되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포자;
- 이러한 염기성 용액에 혼합되며 소정의 바람직하지 않은 박테리아 종에 대한 살균 작용을 하는 박테리오파지 요소로서,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포자와 협력하여 유해한 미생물에 대한 조합된 시너지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박테리오파지 요소.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염기성 용액에서 0.001-30%, 바람직하게는 5-15%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염기성 용액에서 0.001-15%, 바람직하게는 0.001-5%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는 염기성 용액에서 0.001-15%, 바람직하게는 0.001-5%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염기성 용액은 상기 비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 활성제 중 하나 이상을 지시된 농도로 함유할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포자는 염기성 용액에서 102-109 포자/ml, 바람직하게는 106-107 포자/ml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오염된 표면에 잔류하는 박테리아를 특이적으로 공격하는 박테리오파지 요소는 염기성 용액에서 103-109 PFU/ml, 바람직하게는 106-107 PFU/ml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와 관련하여, 이들은 바실러스 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들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및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종일 수 있다.
임의의 다른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가 공격 대상인 바람직하지 않은 박테리아 종에 따라 사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유리하게는, 박테리오파지 요소는 다음과 같은 과(families) 중의 공격 대상인 박테리아 종에 따라,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카우도비랄레스(Caudovirales), 마이크로비리대(Microviridae), 레비비리대(Leviviridae), 이노비리대(Inoviridae), 텍티비리대(Tectiviridae), 코르티코비리대(Corticoviridae).
카우도비랄레스 과의 박테리오파지 요소는 미오비리대(Myoviridae), 시포비리대(Siphoviridae), 포도비리대(Podoviridae) 과를 구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람직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세정, 살균 및 위생을 위해 제안된 제품은, 음식 사용을 위한 액체(예를 들어, 물)를 순환시키기 위한 파이프의 내부 표면의 처리를 포함하는 표면 및/또는 주변 환경의 처리를 위해 특별히 권고된다.
특정 유형의 용균 박테리오파지는 특정 유형의 박테리아를 죽임으로써, 바람직하지 않은 박테리아를 직접 공격하는 잠재적으로 매우 효율적이고 표적화된 작용을 수행하기 때문에, 박테리오파지의 작용은 특이적이다.
또한, 특정 박테리오파지의 사용이 어떻게 바실러스 프로바이오틱스의 손상의 위험을 회피하여 그들의 활동도를 온전하고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지 주목해야 한다.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에서의 박테리오파지의 사용은 특히 온도, pH 및 환경 염분의 여러 조건에서 매우 안정되므로, 활동도 손실 없이 희석된 세제에 첨가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권고된다.
단일의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또는 박테리오파지 요소의 사용에 비해,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및 박테리오파지 요소의 조합된 사용에서 도출되는 시너지 효과를 주목하는 실험실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실험 번호 1(단일의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사용)
프로바이오틱스를 함유한 PCHS 세제의 활동도는 일일 사용량을 약 1개월 연장함으로써, 전통적인 세제에 비해 미생물 수를 약 90% 더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현장에서 널리 평가되어 있다.
2개월 후 오염물질의 감소는 박테리아와 진균에 관한 것 모두에 대해 안정적으로 낮다 [Caselli 외, 2016].
다음의 도면들에서, 프로바이오틱스에만 기반한 세제의 항균 작용(박테리아 및 진균)을 주목해야 한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그램 양성균의 예), 엔테로박터 종(Enterobacteriaceae spp.)(그램 음성균의 예) 및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진균의 예)에 의한 오염의 전개는, 표시된 박테리아 및 진균 종에 특이적인 배양기의 로닥 플레이트(Rodac plates)를 적용하여 현장에서 측정되었다.
Figure 112017116218797-pct00001
Figure 112017116218797-pct00002
실험 번호 2(단일의 박테리오파지 사용)
다음 도면들에서, 특정 표적 박테리아에 의해 오염된 표면에서의 박테리오파지의 항균 작용에 주목해야한다.
황색포도상구균(그램 양성균의 예), 녹농균(그램 음성균의 예) 및 칸디다 알비칸스(진균의 예)에 의한 오염의 전개가, 비다공성 및 멸균 물질 표면의 실험 모델 (단일 소성 세라믹 24cm2)에 대하여, 시험관(in vitro) 측정되었다.
표면은, 배양된 표적 박테리아에 대하여 10:1, 100:1 및 1000:1의 비율의 특정 박테리오파지의 농도를 증가시키는(각각 103, 104, 105 PFU) 적용에 의해 처리된 곳에서, 알고 있는 양의 미생물(102 CFU/24 cm2)로 오염되었다.
진균의 경우 그램 양성균과 그램 음성균에 대해 사용된 박테리오파지의 조합이 사용되었다.
표시된 박테리아 및 진균 종에 특이적인 배양기의 로닥 플레이트를 적용하여 1, 3 및 6시간 후의 잔류 오염을 평가하였다.
결과 내용은 세 번의 독립적인 실험에서 두 개의 샘플의 평균값 ± S.D로 표현되었다.
이미 1시간이 지나자, 가장 낮은 농도에서, 박테리오파지가 특이적으로 공격한 박테리아 세포의 90% 이상을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7116218797-pct00003
Figure 112017116218797-pct00004
박테리오파지만을 이용한 처리는 박테리오파지에 의해 특이적으로 인식되는 박테리아만을 공격하는 단점을 가지며, 따라서 박테리오파지가 특이적으로 공격하는 박테리아 종 이외의 박테리아에 의한 오염의 경우에는, 처리가 이루어진 표면의 재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박테리오파지가, 정의 상, 박테리아 종에 특이적이기 때문에 다른 박테리아 종을 공격할 수 없으며, 진균 종을 훨씬 덜 공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박테리오파지의 단점은 박테리아 또는 진균 종들의 발생과 관계없이, 더 느리지만 일반화된 작용을 대신에 갖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첨가함으로써 극복된다.
실험 번호 3(조합된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및 박테리오파지의 사용)
다음의 도면들에서는, 나타낸 특정 미생물에 의해 오염된 표면에서의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및 박테리오파지의 동시적 존재에 의해 얻어지는 조합된 시너지 항균 작용 효과에 주목해야 한다.
황색포도상구균(그램 양성균의 예), 녹농균(그램 음성균의 예) 및 칸디다 알비칸스(진균의 예)에 의한 오염의 전개가 비다공성 및 멸균 물질 표면의 실험 모델 (단일 소성 세라믹 24cm2)에 대하여, 시험관 측정되었다.
표면은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103 PFU/ml) 및 특정 박테리오파지(104 PFU/ml)를 함유한 용액 적용에 의해 처리된 곳에서, 알고 있는 양의 미생물(103 CFU/24 cm2)로 오염되었다.
진균의 경우, 그램 양성균과 그램 음성균에 대해 사용된 박테리오파지의 조합이 사용되었다.
표시된 박테리아 및 진균 종에 특이적인 배양기의 로닥 플레이트를 적용하여 1, 2, 3 및 4주 후의 잔류 오염을 평가했다. 결과 내용은 세 번의 독립적인 실험에서 두 개의 샘플의 평균값 ± S.D로 표현되었다.
Figure 112017116218797-pct00005
수행된 실험의 비교
다음 도면들에는, 비다공성 및 멸균 물질(단일의 소성 세라믹 24 cm2) 표면의 실험 모델에 대해 시험관 측정한,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오염에 대한 세 가지 처리의 항균 작용을 직접 비교한 것이 나타나 있다.
표면은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103 PFU/ml) 단독, 특정 박테리오파지(104 PFU/ml) 단독, 또는 표시된 농도의 프로바이오틱스와 박테리오파지의 조합을 함유하는 용액의 적용에 의해 처리된 곳에서, 알고 있는 양의 황색포도상구균(103 CFU/24 cm2)으로 오염되었다.
황색포도상구균에 특이적인 배양기의 로닥플레이트를 적용하여 1, 2, 3 및 7일 후의 잔류 오염을 평가하였다.
결과 내용은 세 번의 독립적인 실험에서 두 개의 샘플의 평균값 ± S.D로 표현되었다.
Figure 112017116218797-pct00006
수행된 실험으로부터, 바실러스 프로바이오틱스 및 항병원성 박테리오파지의 동시적 존재가, 각종 유해한 미생물에 대하여 수행되는 그것들의 시너지 작용 덕분에 어떻게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의 효능을 현저히 증가시키는지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박테리오파지는 오염물질의 수를 매우 신속하게 감소시키지만, 시간 제한적인 작용을 가지며 재오염을 피할 수 없다.
반면에, 프로바이오틱스는 경쟁 메커니즘 덕분에 오염물질의 수를 지속적으로 천천히 감소시킴으로써, 재오염을 방지한다.
동시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와 박테리오파지가 존재하면 신속한 항균 작용과 동시에 재오염의 억제가 보장되므로, 신속하고 시간 안정적인 병원균의 감소가 보장된다.
바실러스 프로바이오틱스 및 항병원성 박테리오파지를 동시에 함유하는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의 실현은 오염물질 박테리아 수에 대한 매우 신속하면서 즉각적인 감소를 보장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제품에 비해 확실히 유리하다.
이는 몇 시간 이내에 표적 박테리아를 죽일 수 있는 박테리오파지 요소와, 병원균의 자리를 신속하게 차지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처리되는 물체를 콜로나이즈할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에 의해 수행되는 조합된 시너지 작용 때문이다.
따라서 박테리오파지의 존재는 병원체에 대한 바실러스 프로바이오틱스 기반의 전통적 제품의 항균 작용을 강화시킴으로써, 진균에 대한 활성을 유발하는 프로바이오틱스의 작용을 용이하게 하여 이것을 증가시킨다.
이는 세정, 살균 및 위생 처리의 초기 단계에서의 즉각적인 효과를 보장함으로써,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가 전통적인 제품보다 빠른 시간 내에, 처리가 이루어진 주변 환경 및 물체에서의 낮고, 안정적이며 오래 지속되는 잠재적 병원성 박테리아의 존재를 확정하게 한다.
프로바이오틱 바실러스 포자와 혼합된 염기성 용액에 특정 박테리오파지 요소를 첨가함으로써, 유리하게는 특정 요구 및/또는 특정 관심 상황(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특별하게 발생한 및/또는 유해한 특정 박테리아 종 감소)에 응답하여, 제품을 목표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정 박테리오파지 요소의 존재는 무엇보다 초기의 공격 단계에서, 유전자 교환에 의해 바실러스에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잠재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미생물이 제거되기 때문에, 바실러스 프로바이오틱스 박테리아의 사용에 관한 또 다른 안전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 제품의 더 많은 수의 박테리오파지 요소 과(카우도비랄레스, 마이크로비리대, 레비비리대, 이노비리대, 텍티비리대 및 코르티코비리대)의 존재로 인해, 보다 많은 군의 처리 가능한 박테리아 종에 살균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소정의 박테리오파지 요소의 과는 본 발명의 제품 물체에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존재할 수 있으므로, 특정 필요에 따라 다양화된 처리의 가능성이 고려된다.
위에서 언급한 내용으로부터 세정, 살균 및 위생을 위해 제안된 제품이 서문에 나와있는 전통적인 제품과 비교하여 어떻게 다-내성 유형의 미생물 종("슈퍼버그")에 대해 특별히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는 명확하다.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및 박테리오파지 요소들이 혼합된 살균 및/또는 위생 작용을 갖는 염기성 용액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세정, 살균 및 위생용으로 제안된 제품은 확실히 환경 영향을 극도로 감소시켰다.
이러한 제품은 음식 사용을 위한 액체(예를 들어, 물)를 순환시키기 위한 파이프의 내부 표면의 처리를 포함하는 표면 및/또는 주변 환경의 처리에 특히 적합하다.

Claims (9)

  1.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으로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 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제, 살균 및 위생 작용을 갖는 염기성 용액; 상기 염기성 용액에 혼합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및 바실러스 푸밀리스(Bacillus pumilis) 종인 바실러스 속(Bacillus genus)에 속하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포자를 포함하고,
    상기 염기성 용액에 혼합되며, 오염된 표면들 상에 발생하는 소정의 바람직하지 않은 박테리아 종에 대한 살균 작용을 갖는, 카우도비랄레스(Caudovirales) 과(family) 및/또는 마이크로비리대(Microviridae) 과 및/또는 레비비리대(Leviviridae) 과 및/또는 이노비리대(Inoviridae) 과 및/또는 텍티비리대(Tectiviridae) 과 및/또는 코르티코비리대(Corticoviridae) 과에 속하는 박테리오파지 요소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박테리오파지 요소들은 상기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포자와 협력하여 유해한 미생물에 대한 조합된 시너지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농도는 0.001-30%w/w이고, 상기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농도는 0.001-15%w/w이고, 상기 양쪽성 계면 활성제의 농도는 0.001-15%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용액에 혼합되는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포자의 농도는 102-109 포자/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용액에 혼합되는 박테리오파지 요소들의 농도는 103-109 PFU/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5. 표면들의 처리를 위한, 제 1 항에 따른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의 사용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가구 표면들의 처리를 위한,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의 사용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7033764A 2015-04-22 2016-04-20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 KR102512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5000012659 2015-04-22
ITUB2015A000028A ITUB20150028A1 (it) 2015-04-22 2015-04-22 Prodotto per la pulizia, la sanificazione e l'igienizzazione
PCT/IB2016/052230 WO2016170479A1 (en) 2015-04-22 2016-04-20 Product for cleaning, sanitizing and hygieniz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310A KR20170140310A (ko) 2017-12-20
KR102512825B1 true KR102512825B1 (ko) 2023-03-21

Family

ID=5349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764A KR102512825B1 (ko) 2015-04-22 2016-04-20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1) US10683470B2 (ko)
EP (1) EP3286291B1 (ko)
JP (1) JP6779907B2 (ko)
KR (1) KR102512825B1 (ko)
CN (1) CN107580623B (ko)
AU (1) AU2016251951B2 (ko)
BR (1) BR112017022722B1 (ko)
CA (1) CA2983075A1 (ko)
CL (1) CL2017002688A1 (ko)
CY (1) CY1123612T1 (ko)
DK (1) DK3286291T3 (ko)
EA (1) EA037468B9 (ko)
ES (1) ES2806202T3 (ko)
HK (1) HK1249128A1 (ko)
HR (1) HRP20201327T1 (ko)
HU (1) HUE050299T2 (ko)
IL (1) IL255160B (ko)
IT (1) ITUB20150028A1 (ko)
LT (1) LT3286291T (ko)
ME (1) ME03823B (ko)
MX (1) MX2017013598A (ko)
NZ (1) NZ737501A (ko)
PL (1) PL3286291T3 (ko)
PT (1) PT3286291T (ko)
RS (1) RS60705B1 (ko)
SI (1) SI3286291T1 (ko)
WO (1) WO2016170479A1 (ko)
ZA (1) ZA2017077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095070A1 (it) 2016-09-22 2018-03-22 Copma S C A R L Prodotto detergente per uso cosmetico
IT201700005552A1 (it) * 2017-01-19 2018-07-19 Copma S C A R L Prodotto eutrofizzante per uso cosmetico
EP3415595A1 (en) 2017-06-16 2018-1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rface treatment composition comprising microbial consortium for suppressing non-gras microorganisms on a surface
BE1025316B1 (nl) 2017-06-16 2019-01-28 Avecom Nv Microbieel consortium voor het onderdrukken van niet-gras micro-organismen op een oppervlak
FI129473B (fi) * 2017-11-13 2022-03-15 Emp Innovations Oy Menetelmä puhdistusaineliuoksen valmistamiseksi ja menetelmä epäpuhtauksia sisältävien kohteiden puhdistamiseksi
CN111925995B (zh) * 2020-07-04 2022-05-17 菲吉乐科(南京)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噬菌体与益生菌耦合发酵的微生态制剂及制备方法
FR3118058A1 (fr) * 2020-12-22 2022-06-24 H T S Bio Souche de bacillus pumilus presentant un fort antagonisme vis-a-vis de pathogenes de surf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5407A1 (en) * 2002-09-09 2004-09-09 Reactive Surfaces, Ltd. Microorganism coating components, coatings, and coated surfaces
JP2013007049A (ja) * 2003-10-24 2013-01-10 Ecolab Inc 胞子、細菌、および/または真菌の安定な組成物
US20130184196A1 (en) * 2010-10-01 2013-07-18 Cleveland Biotech Limited Cleaning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18983D0 (en) * 1989-08-21 1989-10-04 Unilever Plc Composition for hygiene purposes
ITMI20070356A1 (it) * 2007-02-23 2008-08-24 Bolton Manitoba S P A Composizione per wc ad azione continuata
EP1967548B1 (en) 2007-03-07 2010-06-0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propylene Composition
KR101151532B1 (ko) * 2008-12-24 2012-05-30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US9205116B2 (en) * 2011-04-29 2015-12-08 Auburn University Bacillus bacteria for use in treating and preventing infection in aquatic animals
US9839657B2 (en) * 2012-10-30 2017-12-12 Deerland Enzymes, Inc. Prebiotic compositions comprising one or more types of bacterioph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5407A1 (en) * 2002-09-09 2004-09-09 Reactive Surfaces, Ltd. Microorganism coating components, coatings, and coated surfaces
JP2013007049A (ja) * 2003-10-24 2013-01-10 Ecolab Inc 胞子、細菌、および/または真菌の安定な組成物
US20130184196A1 (en) * 2010-10-01 2013-07-18 Cleveland Biotech Limited Cleaning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737501A (en) 2024-02-23
IL255160B (en) 2020-08-31
JP2018512976A (ja) 2018-05-24
ES2806202T3 (es) 2021-02-16
US10683470B2 (en) 2020-06-16
SI3286291T1 (sl) 2020-10-30
EA037468B1 (ru) 2021-03-31
HK1249128A1 (zh) 2018-10-26
ME03823B (me) 2021-04-20
AU2016251951B2 (en) 2020-04-09
HUE050299T2 (hu) 2020-11-30
PL3286291T3 (pl) 2021-04-06
DK3286291T3 (da) 2020-09-07
PT3286291T (pt) 2020-07-16
HRP20201327T1 (hr) 2020-12-11
BR112017022722A2 (pt) 2018-07-17
ZA201707746B (en) 2020-08-26
KR20170140310A (ko) 2017-12-20
AU2016251951A1 (en) 2017-12-07
EP3286291A1 (en) 2018-02-28
CL2017002688A1 (es) 2018-05-18
EA037468B9 (ru) 2021-05-27
EP3286291B1 (en) 2020-06-03
LT3286291T (lt) 2020-09-25
EA201792337A1 (ru) 2018-03-30
RS60705B1 (sr) 2020-09-30
WO2016170479A1 (en) 2016-10-27
CN107580623B (zh) 2020-08-25
JP6779907B2 (ja) 2020-11-04
IL255160A0 (en) 2017-12-31
MX2017013598A (es) 2018-11-09
CA2983075A1 (en) 2016-10-27
ITUB20150028A1 (it) 2016-10-22
CN107580623A (zh) 2018-01-12
CY1123612T1 (el) 2022-03-24
US20180134993A1 (en) 2018-05-17
BR112017022722B1 (pt)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2825B1 (ko) 세정, 살균 및 위생용 제품
Oule et al. Akwaton, polyhexamethylene-guanidine hydrochloride-based sporicidal disinfectant: a novel tool to fight bacterial spores and nosocomial infections
Iñiguez-Moreno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disinfectants commonly used in the food industry in Mexico
Amaral et al. Effect of carvacrol and thymol on Salmonella spp. biofilms on polypropylene
EP1937320A1 (en) Method for keeping a surface, object and/or installation free of pathogens
JP2018512976A5 (ko)
Lee et al. Effect of peracetic acid on biofilms formed by Listeria monocytogenes strains isolated from a Brazilian cheese processing plant
Abdelaty et al. Efficiency of some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against biofilms and planktonic cells buildup on cages (galvanized wire) and plastic material (PVC) in poultry farms.
WO2020144522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method of preparation, disinfectant, detergent and sanitizer containing the same and use thereof
Lee et al. Inhibitory effects of combinations of chemicals on Escherichia coli,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biofilms during the clean-in-place process at an experimental dairy plant
Šilha et al. Survival of selected bacteria of Arcobacter genus in disinfectants and possibility of acquired secondary resistance to disinfectants.
Čapla et al. Sanitation process optimalization in relation to the microbial biofilm of Pseudomonas fluorescens.
Karahmet et al. The evaluation of chlorine dioxide efficiency used in the dairy plants disinfection.
Zineb et al. Anti-Adhesion and Anti-Biofilm Effectiveness of Disinfectants Used In Hemodialysis against both Staphylococcus Warneri and Staphylococcus Sciuri Biofilms
Cabarkapa et al. Effect of Thymus vulgaris on initial cell attachment and preformed biofilm of Salmonella enteritidis
Mısırlı et al. Effectiveness of different disinfectants used in the food production facility on selected foodborne pathogens.
Ahmed et al. Efficacy of three disinfectant agents against contaminating pathogens isolated from public toilets
Damasceno et al. Effect of sanitizers combined with ultrasound on adhesion of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fish from the Amazon region
Petrova et 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anolyte for surface disinfection.
Park et al. Bactericidal Efficacy of a Powder Disinfectant Containing Phosphate Compounds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Kalayci Evaluation of the Effect of Some Biocides on Bacteriophage
Hati et al. Application of electrolyzed oxidized (EO) water in biodecontamination of packaging materials used in dairy and food industry
Cha et al. Bactericidal Efficacy of a disinfectant spray containing a grapefruit-seed extract, citric acid, malic acid and benzalkonium chloride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and Brucella ovis
Jose et al. Study on the antibacterial potential of commercially available liquid hand wash using four different bacteria.
de Lemos Efficacy of Chlorine-based, Enzymatic and Combined Chlorine-enzyme Treatments on Biofilm Remov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