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422B1 - 단열 밀봉 탱크 - Google Patents

단열 밀봉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422B1
KR102512422B1 KR1020207019246A KR20207019246A KR102512422B1 KR 102512422 B1 KR102512422 B1 KR 102512422B1 KR 1020207019246 A KR1020207019246 A KR 1020207019246A KR 20207019246 A KR20207019246 A KR 20207019246A KR 102512422 B1 KR102512422 B1 KR 102512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anels
plate
supporting structure
insulation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6273A (ko
Inventor
앙투안 필립
세바스티안 들라노에
Original Assignee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filed Critical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ublication of KR20200096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57Polyg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8Supporting fe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 벽체(1)를 포함하는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에 관한 것으로, 탱크 벽체(1)는:
- 지지 구조물(3) 상에 병치되고 각각 밀봉 멤브레인(4)을 위한 지지 표면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10)를 구비한 평행육면체 형상을 가진 단열 패널들(7); 및
- 지지 구조물(3)에 부착되고:
- 적어도 2개의 인접한 단열 패널들(7)의 적어도 2개의 코너 영역들 사이에서 지지 구조물(3)에 부착되는 로드(15);
- 로드(15) 상에 장착되고 상기 인접한 단열 패널들(7) 각각의 지지 영역(16)에 대해 지지 구조물(3)을 향해 접하여 지지되어서 그것들을 지지 구조물(3)을 향해 유지하는 지지 고정물(17); 및
- 지지 고정물(17)에 부착되고 상기 인접한 단열 패널들(7) 각각의 코너 영역에서 상기 단열 패널(7)의 커버 플레이트(10)와 밀봉 멤브레인(4) 사이에 배치되는 힘 분산 플레이트(19)
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열 밀봉 탱크
본 발명은 액화 가스와 같은 유체를 저장 및/또는 운반하기 위한, 멤브레인을 구비한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멤브레인들을 구비한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들은 특히 액화 천연 가스(LNG)를 저장하는 데에 이용되는데, 이것은 대기압 약 -163℃에서 저장된다. 이런 탱크들은 육상에 설치되거나 부유식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부유식 구조물의 경우, 탱크는 액화 천연 가스를 운반하기 위해 의도되거나 부유식 구조물을 추진하기 위한 연료로서 사용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의도될 수 있다.
문헌 WO 2014/096600은 지지 구조물에 배치되고 멀티 레이어 구조를 가진 벽체들, 즉 탱크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지지 구조물에 대해 고정된 2차 단열 배리어, 2차 단열 배리어에 의해 지지되는 2차 밀봉 멤브레인, 2차 밀봉 멤브레인에 의해 지지되는 1차 단열 배리어, 및 1차 단열 배리어에 의해 지지되고 탱크 내에 저장된 액화 천연 가스와 접촉하도록 된 1차 밀봉 멤브레인을 구비하는 액화 천연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를 개시하고 있다.
1차 및 2차 단열 배리어 각각은 한 세트의 단열 패널들, 각각 1차 및 2차 단열 패널들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병치되어 있고 따라서 각각의 밀봉 멤브레인을 위한 지지면을 형성하는 전반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단열 패널들은 고정 장치들에 의해 지지 구조물 상에 고정되어 있는데, 이 고정 장치들은 지지 구조물에 부착되어 있으며 1차 및 2차 단열 패널들의 코너들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고정 장치는 지지 구조물에 대해 그것들을 유지하기 위해 4개의 인접한 2차 단열 패널들의 코너들 및 4개의 인접한 1차 단열 패널들의 코너들과 맞물린다.
2차 단열 패널들은 변형되기 쉽다. 사실, 2차 단열 패널들은 열 구배(thermal gradient)를 받게 되는데, 이것은 차등 수축 현상으로 인해 그것들을 구부러지게 만들기 쉽다. 또한, 지지 구조물의 변형은 2차 단열 패널들의 변형으로 이어진다. 이것은 지지 구조물이 내측 선체에 의해 형성되고 이것이 밸러스트 구획들을 한정할 때 특히 그러하다. 사실, 이런 상황에서, 밸러스트 구획들 내의 밸러스트 액체의 움직임은 지지 구조물에서 상당한 변형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2차 단열 패널들의 이런 변형들의 효과는 2차 단열 패널들의 인접한 코너들 사이에서 단차들을 형성하는데, 이 단차들은 2차 단열 패널들이 그 코너들에서 특정한 구조물을 가질 때, 예컨대 그 코너들에 필러(pillar)가 장비되어 있을 때 더욱 크다.
그러나 액화 가스가 유체 정역학적, 동역학적 압력들을 탱크의 벽체들 상에 가할 때, 이런 단차들은 2차 단열 패널들의 코너들과 정렬된 1차 단열 패널들 및 2차 밀봉 멤브레인에서 집중되는 압박으로 귀결된다. 또한, 이런 영역들에서 상기 압박의 수준은 앞서 언급한 요소들에서 예컨대 1차 단열 패널들의 찌그러짐 및/또는 천공과 같은 성능 저하를 초래하기 쉽다.
본 발명의 기저에 놓인 한 아이디어는 2차 단열 패널들의 코너들과 정렬된 탱크 벽체의 구성품들에서 생성되기 쉬운 압박의 수준을 제한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배후에 놓인 한 아이디어는, 탱크 벽체의 두께 방향으로 탱크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 단열 배리어 및 단열 배리어에 대해 놓인 밀봉 멤브레인을 연속적으로 구비하는 탱크 벽체를 포함하는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로서,
단열 배리어는, 지지 구조물 상에 병치되고 밀봉 멤브레인을 위한 지지 표면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각각 구비하는 평행육면체 형상을 가진 단열 패널들을 포함하고,
고정 장치들은 단열 패널들을 지지 구조물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단열 패널들과 맞물리고 단열 패널들 사이에서 지지 구조물에 부착되며,
고정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는:
- 적어도 2개의 인접한 단열 패널들의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코너 영역들 사이에서 지지 구조물에 부착된 로드;
- 로드 상에 장착되고 인접한 단열 패널들 각각의 지지 영역에 대해 지지 구조물을 향해 접하여 지지되어서 그것들을 지지 구조물에 대해 유지하는 지지 고정물; 및
- 지지 고정물에 부착되고 인접한 단열 패널들 각각의 코너 영역에서 상기 단열 패널의 커버 플레이트와 밀봉 멤브레인 사이에 배치되는 힘 분산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탱크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런 힘 분산 플레이트는 인접한 단열 패널들 사이의 단차의 현상이 약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힘 분산 플레이트의 효과는, 단열 패널들의 코너 영역들과 정렬된 예컨대 합판 또는 단열 폴리머 폼과 같은 밀봉 멤브레인 또는 탱크 벽체의 다른 구성들에 가해지기 쉬운 압박을 분산시키는 것인데, 이는 상기 압박의 수준이 제한되도록 하며 따라서 탱크의 구성들에 대한 손상이 회피되도록 해준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런 탱크는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힘 분산 플레이트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 고정물에 부착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힘 분산 플레이트는 단열 패널들 중 적어도 2개의 코너 영역에 배치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드는 4개의 인접한 단열 패널들의 적어도 4개의 인접한 코너 영역들 사이에서 지지 구조물에 부착되고, 힘 분산 플레이트는 4개의 인접한 단열 패널들 각각의 코너 영역에 배치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힘 분산 플레이트는 4개의 인접한 단열 패널들 각각의 커버 플레이트에 대해 놓인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패널들은 카운터 싱크를 포함하며, 힘 분산 플레이트는 인접한 단열 패널들 각각의 카운터 싱크들 중 하나에 수용된다. 이것은 밀봉 멤브레인의 지지 표면이 평탄한 것을 보장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힘 분산 플레이트는 커버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 표면의 높이와 같은 높이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운터 싱크는 코너 영역에 만들어진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힘 분산 플레이트는 직사각형 형상,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힘 분산 플레이트는 두께 1mm와7mm 사이, 바람직하게는 두께 2mm와 4mm 사이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힘 분산 플레이트는 스테인레스 스틸, 그 팽창계수가 1.2×10-6와 2×10-6 K-1 사이인 철 및 니켈 합금, 그 팽창계수가 2×10-5 K-1보다 작은 철 및 망간 합금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만들어진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장치는 로드의 나사산 단부와 맞물리는 너트, 너트와 지지 고정물 사이에서 로드 상에 나사결합되어서 4개의 인접한 단열 패널들 각각의 지지 영역에 대하여 상기 지지 고정물을 압박하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탄성 워셔들을 포함한다. 이것은 지지 구조물 상에서 단열 패널들에 대해 탄성적인 고정이 제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워셔들은 벨빌 워셔들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패널들은 그 코너 영역들에서 지지 영역과 정렬되어 제공된 리세스를 포함하고, 각 지지 고정물은 인접한 단열 패널들 각각의 리세스에 수용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구조물에 대해 놓인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중간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와 중간 플레이트 사이에 샌드위치된 제1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 및 중간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샌드위치된 제2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를 포함한다. 이런 구조는, 단열 패널의 소재들의 차등 수축에 의해 생성되는 굽힘력이 제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플레이트가 제2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에 대해 돌출되고 따라서 지지 영역들 중 하나를 제공하도록 리세스들이 제2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에 제공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는 단열 패널의 코너 영역들 각각에서 필러를 수용하는 컷아웃을 구비하는데, 이것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중간 플레이트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것은 폼의 찌그러짐 및 뒤틀림이 제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단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 플레이트, 커버 플레이트 및 탱크 벽체의 두께 방향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서 연장되며 펄라이트(perlite)와 같은 단열 라이닝으로 충전된 복수의 칸들을 한정하는 지지 웹들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배리어는 2차 단열 배리어이고, 단열 패널들은 2차 단열 패널들이며, 밀봉 멤브레인은 2차 밀봉 멤브레인이고, 지지 고정물은 2차 지지 고정물이며, 탱크 벽체는 2차 밀봉 멤브레인에 대해 놓인 1차 단열 배리어, 1차 단열 배리어에 대해 놓이며 탱크에 수용된 유체와 접촉하도록 된 1차 밀봉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며, 1차 단열 배리어는 2차 단열 패널들 중 하나의 위에 각각 적층되는 1차 단열 패널들을 포함하고, 고정 장치는:
- 2차 지지 고정물에 고정되고 2차 밀봉 멤브레인을 밀봉 가능하게 가로지르는 핀; 및
- 핀 상에 장착되고 4개의 인접한 단열 패널들 각각의 지지 영역에 대해 지지 구조물을 향해 접하여 지지되어 그것들을 지지 구조물을 향해 유지하는 1차 지지 고정물
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장치는 2차 지지 고정물에 부착되고 2차 지지 고정물과 힘 분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상측 고정물을 포함하며, 핀은 상측 고정물에 부착되고 힘 분산 플레이트에 제공된 보어를 가로지른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힘 분산 플레이트는 상측 고정물을 완전히 덮는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 고정물은 탱크 벽체의 두께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면들에 의해 함께 연결된 탱크 벽체의 두께 방향에 수직한 2개의 면들을 포함하고, 탱크 벽체의 두께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상기 면들은 필릿들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이것은 1차 단열 패널들의 천공 현상을 더욱 제한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이것은 또한 힘 분산 플레이트 상에 가해지는 힘들이 제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장치는 2차 지지 고정물에 부착되고 2차 지지 고정물과 상측 고정물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이 스페이서는 유리하게는 합판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데, 이것은 고정 장치 상에서 지지 구조물을 향한 열교가 제한되도록 해준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는 U자 형상의 2개의 가지들 사이에 중앙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뒤집어진 U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중앙 하우징은 로드의 상측 단부, 너트 및 옵션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탄성 워셔들을 수용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 고정물은 스페이서를 완전히 덮는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는 챔퍼들을 가지고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장치는 지지 구조물에 용접된 부시와, 부시에 수용된 너트를 포함하며, 고정 로드는 너트와 맞물리는 나사산 하측 단부를 구비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는 액화 천연 가스와 같은 액화 가스이다.
이런 탱크는 예컨대 LNG를 저장하기 위한 육상 저장 시설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부유식, 연안 또는 심해 구조물, 특히 이들 중에서도 LNG 수송 선박, 부유식 저장 및 재가스화 유닛(FSRU), 연안 부유식 제조 및 저장 유닛(FPSO)에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극저온 유체를 운반하기 위한 선박은 이중 선체와 이중 선체에 배치된 위에서 언급된 탱크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선체는 탱크의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는 내측 선체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런 선박을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방법도 제공하는데, 여기서 유체는 단열된 파이프라인들을 통해 부유식 또는 육상 저장 시설로부터 선박의 탱크로, 또는 선박의 탱크로부터 부유식 또는 육상 저장 시설로 이동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유체를 위한 이송 시스템도 제공하는데, 이 시스템은 앞서 언급된 선박, 선박의 선체에 설치된 탱크를 부유식 또는 육상 저장 시설로 연결하도록 배치된 단열된 파이프라인들, 단열된 파이프라인들을 통해 부유식 도는 육상 저장 시설로부터 선박의 탱크로, 또는 선박의 탱크로부터 부유식 또는 육상 저장 시설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수의 특정한 실시예들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이어지는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며, 다른 목적, 상세, 특징 및 장점들이 더욱 명확해질 것인 바, 이 실시예들은 비한정적인 설명의 방식으로만 제공된 것이다.
도 1은 탱크 벽체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지지 구조물에 대해 유지하기 위해 1차 단열 패널들 및 2차 단열 패널들과 맞물리는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고정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고정 장치의 전개도이다.
도 5는 2차 단열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1차 단열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의 전개도이다.
도 8은 LNG 수송 선박의 탱크 및 이 탱크를 적재/하역하기 위한 터미널의 절개 개략도이다.
도 9는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의 요소의 단면도이다.
관례적으로, '외부' 및 '내부'라는 용어는 탱크의 내부 및 외부와 같이 한 요소의 다른 요소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규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1은 액화 천연 가스(LNG)와 같은 액화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의 벽체(1)의 멀티 레이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탱크의 벽체(1)는 탱크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두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지지 구조물(3)에 대해 지지된 2차 단열 배리어(2), 2차 단열 배리어(2)에 대해 놓인 2차 밀봉 멤브레인(4), 2차 밀봉 멤브레인(4)에 대해 놓인 1차 단열 배리어(5), 및 탱크에 수용된 액화 천연 가스와 접촉하도록 된 1차 밀봉 멤브레인(6)을 포함한다.
지지 구조물(3)은 특히 선박의 선체 또는 이중 선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3)은 탱크의 전반적인 형태, 흔히 다면체 형태를 형성하는 복수의 벽체들을 포함한다.
2차 단열 배리어(2)는 고정 장치들(8)에 의해 지지 구조물(3) 상에 고정된 복수의 2차 단열 패널들(7)을 포함하는데, 이것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2차 단열 패널들(7)은 전반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평행한 열들로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2차 단열 패널(7)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 예에서 2차 단열 패널(7)은 3개의 플레이트들, 즉 베이스 플레이트(8), 중간 플레이트(9) 및 커버 플레이트(1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8), 중간 플레이트(9) 및 커버 플레이트(10)는 예컨대 합판으로 만들어진다. 2차 단열 패널(7)은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8)와 중간 플레이트(9) 사이에 샌드위치된 제1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11)와, 중간 플레이트(9)와 커버 플레이트(10) 사이에 샌드위치된 제2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1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들(11, 12)은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8) 및 중간 플레이트(9) 상에, 그리고 중간 플레이트(9)와 커버 플레이트(10) 상에 부착된다. 단열 폴리머 폼은 특히 폴리우레탄 기반 폼일 수 있으며, 옵션으로서 섬유로 보강될 수 있다.
제1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11)는 코너 영역들에서 코너 필러(corner pillar)(13)들의 통로를 위한 컷아웃들을 구비한다. 코너 필러들(13)은 2차 단열 패널(7)의 4개의 코너 영역들에서 베이스 플레이트(8)와 중간 플레이트(9) 사이로 연장된다. 코너 필러들(13)은 예컨대 클립 또는 스크루 또는 접착제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8)와 중간 플레이트(9)에 부착된다. 코너 필러들(13)은 예컨대 합판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코너 필러들(13)은 사용 압축 하중의 일부가 흡수되도록 해주며 폼의 찌그러짐이나 뒤틀림이 제한되도록 해준다. 이런 코너 필러들(13)은 제1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11)와 다른 열 수축 계수를 가진다. 또한, 탱크가 냉각될 때, 2차 단열 패널(7)의 편향이 다른 영역들에 비해 코너 필러들(13)에서 더 적다. 이것은 2차 단열 패널들(7)의 코너 영역들에서 레벨에서의 차이 또는 단차의 효과를 더욱 증대시킨다.
또한, 2차 단열 패널(7)은 고정 장치들(8)을 수용하기 위해 그 코너 영역들에서 리세스들(14, 54)을 포함하는데, 이것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2차 단열 패널(7)은 베이스 플레이트(8)로부터 중간 플레이트(9)로, 고정 장치(8)의 로드(rod)(15)의 통로를 위해 의도된 제1 리세스(14)를 포함한다. 2차 단열 패널(7)은 중간 플레이트(9)의 위에서 제2 리세스(54)를 포함한다. 제2 리세스(54)는 제1 리세스(14)보다 커서 중간 플레이트(9)가 제2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12) 및 커버 플레이트(10)에 대해 돌출된다. 따라서 중간 플레이트(9)는 2차 단열 패널(7)의 코너 영역들에서 고정 장치(8)의 2차 지지 고정물(17)과 맞물리도록 된 지지 영역(16)을 형성한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0)는 그 4개의 코너 영역들에서 카운터 싱크(18)를 구비한다. 각각의 카운터 싱크(18)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고정 장치(8)의 힘 분산 플레이트(19)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카운터 싱크들(18)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힘 분산 플레이트(19)의 두께와 유사해서, 힘 분산 플레이트(19)가 커버 플레이트(10)의 상측 표면과 높이가 같다. 커버 플레이트(10)는 또한 용접 지지부들을 수용하기 위해 그루브들(20)도 포함한다.
2차 단열 패널(7)의 구조가 위에서 예시로서 설명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2차 단열 패널들(7)은 예컨대 문헌 WO 2012/127141에 설명된, 다른 전반적인 구조를 가지기 쉽다. 그러면 2차 단열 패널들(7)은 베이스 플레이트, 커버 플레이트 및 탱크 벽체(1)의 두께 방향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서 연장되고 펄라이트, 글래스 울 또는 록 울과 같은 단열 라이닝으로 충전된 복수의 칸들을 한정하는 지지 웹들을 포함하는 케이싱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2차 단열 배리어(2)는, 탱크 내에서 그 설치 영역의 상관 관계로서, 적어도 두 가지 타입의 서로 다른 구조들, 예컨대 앞서 언급된 두 가지 구조들을 구비한 2차 단열 패널들(7)을 포함한다. 따라서, 탱크 벽체(1)의 몇몇 영역들에서, 인접한 2차 단열 패널들(7)은 그것들이 열 구배를 받을 때 다르게 거동하기 쉬운데, 이것은 2차 단열 패널들(7)의 인접한 코너들 사이에서 단차 효과를 증폭시키기 쉽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2차 밀봉 멤브레인(4)이 융기된 에지들을 가진 금속 스트레이크들(21)의 연속적인 레이어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트레이크들(21)은 그것들의 융기된 에지들을 통해 평행한 용접 지지부들 상에 용접되는데, 이것들은 2차 단열 패널들(7)의 커버 플레이트들(10) 상에 제공된 그루브들에 부착되어 있다. 스트레이크들(21)은 예컨대 인바(Invar®), 즉 철과 니켈의 합금으로 만들어지는데, 그 팽창 계수는 전형적으로 1.2×10-6과 2×10-6 K-1 사이이다.
1차 단열 배리어(5)는 앞서 언급한 고정 장치들(8)에 의해 지지 구조물(3) 상에 고정된 복수의 1차 단열 패널들(22)을 포함한다. 1차 단열 패널들(22)은 전반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또한 그것들의 크기는, 서로 다르기 쉽고 특히 더 낮은 탱크 벽체(1)의 두께 방향으로의 그것들의 두께를 제외하고는 1차 단열 패널들(22)과 동일하다. 1차 단열 패널들(22) 각각은 탱크 벽체(1)의 두께 방향으로 정렬된 2차 단열 패널들(7) 중 하나와 정렬되어 위치된다.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1차 단열 패널(22)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1차 단열 패널(22)은 도 5의 2차 단열 패널(7)과 유사한 멀티 레이어 구조를 가진다. 또한, 1차 단열 패널(22)은 연속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3), 제1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24), 중간 플레이트(25), 제2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26), 및 커버 플레이트(27)를 포함한다. 단열 폴리머 폼은 특히 폴리우레탄 기반 폼일 수 있으며, 옵션으로서 섬유로 보강될 수 있다.
1차 단열 패널(22)은 그 코너 영역들에서 리세스들(28)을 포함하여서, 베이스 플레이트(23)가 제1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24)에 대해, 중간 플레이트(25)에 대해, 제2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26)에 대해,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27)에 대해 돌출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23)는 1차 단열 패널(22)의 코너 영역들에서 고정 장치(8)의 1차 지지 고정물(30)과 맞물리도록 된 지지 영역(29)을 형성한다. 도시하지 않은 심(shim)이 베이스 플레이트(23)에 추가될 수 있는데, 상기 심은 지지 영역(29)과 유사한 형상이고 고정 장치(8)의 1차 지지 고정물(30)과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3)는 2차 밀봉 멤브레인(4)의 스트레이크들(21)의 융기된 에지들을 수용하도록 된 그루브들(31)을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27)는 또한 용접 지지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그루브들(32)을 포함한다.
1차 단열 패널(22)의 구조가 일례로서 위에서 설명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1차 단열 패널들(22)은 예컨대 문헌 WO 2012/127141에 설명된 다른 전반적인 구조를 가지기 쉽다.
다른 실시예에서, 1차 단열 배리어(5)는, 탱크 내에서 그것들이 설치 영역의 상관 관계로서, 적어도 2가지 타입의 서로 다른 구조들, 예컨대 앞서 언급된 두 가지 구조를 가진 1차 단열 패널들(22)을 포함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1차 밀봉 멤브레인(6)은 융기된 에지들을 가진 금속 스트레이크들(33)의 연속적인 레이어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트레이크들(33)은 그것들의 융기된 에지들을 통해 평행한 용접 지지부들 상에 용접되는데, 이 용접 지지부들은 1차 단열 패널들(22)의 커버 플레이트들(27) 상에 제공된 그루브들에 부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장치들(8)은 1차 단열 패널(22) 및 2차 단열 패널(7)의 4개의 코너들에 위치되어 있다. 2차 단열 패널(7)의 적층체와 1차 단열 패널(22)의 적층체 각각은 4개의 고정 장치들(8)에 의해 지지 구조물(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고정 장치(8)는 4개의 인접한 2차 단열 패널들(7)의 코너들 및 4개의 인접한 1차 단열 패널들(22)의 코너들과 맞물린다.
도 2 내지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8)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고정 장치(8)는 부시(34)를 포함하는데, 그 베이스가 4개의 인접한 2차 단열 패널들(7)의 코너 영역들에서의 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지지 구조물(3)에 용접되어 있다. 부시(34)는 도 4에 나타낸 너트(35)를 수용하는데, 이 너트 안으로 로드(15)의 하측 단부가 나사결합된다. 로드(15)는 인접한 1차 단열 패널들(22) 사이를 지나간다.
로드(15)는 고정 장치(8)에서 2차 단열을 위한 연속성을 보장하도록 의도된 단열 플러그(36)에 제공된 보어(bore)를 통과하여 지나간다. 단열 플러그(36)는 탱크 벽체(1)의 두께 방향에 수직한 평면 내에서 4개의 가지들에 의해 형성되는 십자형 단면을 가진다. 4개의 가지들 각각은 4개의 인접한 2차 단열 패널들(7) 중 2개 사이에 제공된 공백으로 삽입된다.
고정 장치(8)는 4개의 인접한 2차 단열 패널들(7) 각각에 제공된 지지 영역(16)에 대해 지지 구조물(3)을 향해 밀착되어 있는 2차 지지 고정물(17)을 더 포함하는데, 이것은 그것들을 지지 구조물(3)에 대해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2차 지지 고정물(17)은 2차 단열 패널들(7) 각각의 제2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12)에 제공된 제2 리세스(54)에 수용되고, 지지 영역을 형성하는 중간 플레이트(9)의 영역에 대해 접하고 있다.
너트(37)는 로드(15) 상에 2차 지지 고정물(17)을 유지하도록 로드(15)의 상측 단부에 제공된 나사산과 맞물린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8)는 벨빌(Belleville) 타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탄성 와셔들(38)을 더 포함한다. 탄성 와셔들(38)은 너트(37)와 2차 지지 고정물(17) 사이에서 로드(15) 상에 나사결합되는데, 이것은 지지 구조물(3) 상에서의 2차 단열 패널들(7)의 탄성적인 고정을 보장한다. 또한, 유리하게는, 잠금 요소(38)가 로드(15) 상에서 너트(37)를 제자리에 고정하도록 로드(15)의 상측 단부 상에 국부적으로 용접된다.
고정 장치(8)는 2차 지지 고정물(17)에 부착되는 힘 분산 플레이트(19), 상측 고정물(40) 및 스페이서(41)를 더 포함한다.
힘 분산 플레이트(19)는 4개의 인접한 2차 단열 패널들(7)의 커버 플레이트들(10)에 제공된 카운터 싱크들(18) 각각에 수용된다. 따라서 힘 분산 플레이트(19)는 4개의 2차 단열 패널들의 커버 플레이트들(10)과 2차 밀봉 멤브레인(4)사이에 위치된다. 힘 분산 플레이트(19)는 인접한 2차 단열 패널들(7)의 코너들 사이의 단차 현상을 완화시키도록 의도된 것이다. 또한, 힘 분산 플레이트(19)는 2차 단열 패널들(7)의 코너 영역들과 정렬된 1차 단열 패널들(22) 및 2차 밀봉 멤브레인 상에 가해지기 쉬운 압박의 분배를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힘 분산 플레이트(19)는 1차 단열 패널들(22)의 베이스 플레이트들(23)의 천공 현상 및 2차 단열 패널들(7)의 코너 영역들과 정렬된 1차 단열 패널들(22)의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들(24, 26)의 다짐 현상을 제한한다.
힘 분산 플레이트(19)는 유리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 그 팽창 계수가 전형적으로 1.2×10-6과 2×10-6 K-1 사이인 인바(Invar®)와 같은 철 및 니켈 합금, 그 팽창 계수가 2×10-5 K-1보다 작고, 전형적으로 7×10-6 K-1 수준인 철 및 망간 합금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만들어진다. 힘 분산 플레이트(19)는 1mm와 7mm 두께 사이, 바람직하게는 2mm와 4mm 사이, 예컨대 3mm 수준이다. 힘 분산 플레이트(19)는 유리하게는 정사각 형상으로서, 그 변들 중 하나가 100mm와 250mm 사이, 예컨대 150mm 수준이다.
상측 고정물(40)은 힘 분산 플레이트(19) 아래에 배치되고 힘 분산 플레이트(19)보다 작아서 힘 분산 플레이트(19)가 상측 고정물(40)을 완전히 덮는다. 상측 고정물(40)은 지지 영역들(16)과 정렬된 2차 단열 패널들(7)의 코너 영역들에 제공된 리세스들(54), 즉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2차 단열 패널들(7)의 제2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12)에 제공된 리세스(54)에 수용된다.
상측 고정물(40)은 나사산 보어(42)를 구비하는데, 1차 단열 패널들(22)을 고정하도록 의도된 핀(43)의 나사산 베이스가 이 안에 장착된다. 핀(42)이 상측 고정물(4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힘 분산 플레이트(19) 역시 상측 고정물(40)의 나사산 보어를 바라보도록 제공되며 따라서 핀(43)이 힘 분산 플레이트(19)를 가로지르도록 해주는 보어를 포함한다.
상측 고정물(40)은 벽체(1)의 지지 구조물(3)에 평행한 2개의 넓은 마주보는 면들 및 이 2개의 넓은 면들을 연결하며 탱크 벽체(1)의 두께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4개의 면들을 포함하는 전반적으로 직사각 평행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탱크 벽체(1)의 두께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4개의 면들은 필릿(fillet)(44)들에 의해 연결된다. 이것은 날카로운 에지들의 존재를 피할 수 있게 해주며, 압박력의 집중을 제한함으로써 1차 단열 패널들(22)의 베이스 플레이트들(23)의 천공 현상을 더욱 제한하는 것을 돕는다.
한 실시예에서, 상측 고정물(40)과 힘 분산 플레이트(19)는 단일한 일체의 부분으로 형성된다. 이런 요소가 도 9에서 단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스페이서(41)는 2차 지지 고정물(17)과 상측 고정물 사이에 배치되며, 따라서 2차 지지 고정물(17)과 상측 고정물(40) 사이의 간극을 유지하는 데에 이용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41)는 탱크 벽체(1)의 두께 방향에서 봤을 때 상측 고정물(40)의 전체적인 크기 내에 맞춰지도록 챔퍼(chamfer)(45)들을 구비한다. 바꾸어 말해, 상측 고정물(40)은 스페이서(41)를 완전히 덮는다.
스페이서(41)는 유리하게는 목재로 만들어지는데, 이것은 고정 장치(8)에서 지지 구조물(3)을 향한 열교(heat bridge)가 제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스페이서(41)는, U자 형상의 2개의 가지들 사이에서 중앙 하우징(46)을 형성하도록 뒤집어진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중앙 하우징(46)은 로드(15)의 상측 단부, 잠금 요소(39), 너트(37) 및 탄성 워셔들(38)을 수용한다. 스페이서(41)는 또한 지지 표면(16)과 정렬되어 제공된 리세스(14)에도 수용된다.
잠금 요소(39)는 정사각 또는 직사각 형상이며, 그 대각선은 U자 형상의 2개의 가지들 사이의 중앙 하우징(46)의 크기보다 더 큰데, 이것은 로드(15)가 스페이서(39)에 대해 회전 방향으로 차단되도록 해주며 따라서 로드(15)가 너트(35)로부터 풀려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힘 분산 플레이트(19), 상측 고정물(40), 스페이서(41) 및 2차 지지 고정물(17)을 함께 부착하기 위해, 앞서 언급된 요소들에는 각각 2개의 보어들이 제공되며, 스크루(47, 48)가 이 보어들 각각을 가로지른다. 2차 지지 고정물(17)에 제공된 보어들 각각은 앞서 언급된 요소들을 함께 부착하도록 스크루(47, 48) 중 하나와 맞물리는 나사산을 구비한다.
또한, 핀(43)은 2차 밀봉 멤브레인의 스트레이크(21)를 관통하여 제공된 구멍을 가로지른다. 핀(43)은 칼라(49)를 구비하는데, 이것은 2차 밀봉 멤브레인(4)을 밀봉하기 위해 상기 구멍 둘레에서 그 주변이 용접된다. 2차 밀봉 멤브레인은 따라서 핀(43)의 칼라(49)와 힘 분산 플레이트(19)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고정 장치(8)는 또한 4개의 인접한 1차 단열 패널들(22) 각각에 제공된 지지 영역(29) 상에서 지지 구조물(3)을 향해 접하고 있는 1차 지지 고정물(30)도 포함하여서 그것들을 지지 구조물(3)에 대해 유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지지 영역(29)은 1차 단열 패널들(22) 중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23)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1차 지지 고정물(30)은 지지 영역들(29)과 정렬된 1차 단열 패널들(22)의 코너 영역들에 제공된 리세스들(28)에 수용된다.
너트(50)는 1차 지지 고정물(30)을 핀(43) 상에 부착하기 위해 핀(43)의 상측 단부에 제공된 나사산과 맞물린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8)는 벨빌 타입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탄성 워셔들(51)을 더 포함하는데, 이들은 너트(50)와 1차 지지 고정물(30) 사이에서 핀(43) 상으로 나사결합되고, 이것이 지지 구조물(3) 상으로의 1차 단열 패널들(22)의 탄성적인 고정을 보장한다.
또한, 고정 장치(8)에서 1차 단열 배리어(5)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 4에 나타낸 단열 플러그(52)가 4개의 인접한 1차 단열 패널들(22)의 코너 영역들에 제공된 리세스들(28)에, 고정 장치(8) 위에서 삽입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목재 폐쇄구 플레이트(53)가 1차 밀봉 멤브레인(6)의 지지 표면이 평탄한 것을 보장한다. 폐쇄구 플레이트(53)는 1차 단열 패널들(22)의 코너 영역들에 제공된 카운터 싱크들에 수용된다.
도 7은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8)를 나타내고 있다. 이 고정 장치(8)는, 상측 고정물(40)과 스페이서(41)가 탱크 벽체(1)의 두께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필릿이나 챔퍼가 없는 부분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되고 나타내어진 고정 장치(8)와 다른데, 이는 그 제조를 용이하게 만든다.
도 8을 참조하면, LNG 수송 선박(70)의 절개도가, 선박의 이중 선체(72)에 장착된 전반적으로 다면체 형상을 가진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71)를 보여주고 있다. 탱크(71)의 벽체는 탱크에 수용된 LNG와 접촉하도록 된 1차 밀봉 배리어, 1차 밀봉 배리어와 선박의 이중 선체(78) 사이에 배치된 2차 밀봉 배리어, 및 각각 1차 밀봉 배리어와 2차 밀봉 배리어 사이, 2차 밀봉 배리어와 이중 선체(72) 사이에 배치된 2개의 단열 배리어들을 포함한다.
그 자체로 잘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선박의 상측 데크 상에 배치된 적재/하역 파이프라인들(73)은 적절한 커넥터들에 의해 탱크(71)로부터 또는 탱크로 LNG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해상 또는 항만 터미널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적재 및 하역 스테이션(75), 수중 파이프(76) 및 육상 시설(77)을 포함하는 해상 터미널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적재 및 하역 스테이션(75)은 가동 암(74) 및 가동 암(74)을 지지하는 터릿(78)을 포함하는 고정식 연안 시설이다. 가동 암(74)은 적재/하역 파이프라인들(73)에 연결될 수 있는 한 다발의 단열된 유연성 호스들(79)을 지지한다. 방향전환 가능한 가동 암(74)은 모든 형태의 LNG 수송선들에 맞춰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은 연결 파이프가 터릿(78) 내부에 연장되어 있다. 적재 및 하역 스테이션(75)은 LNG 수송선(70)이, 가스 저장 탱크(80) 및 수중 파이프(76)에 의해 적재 또는 하역 스테이션(75)로 연결된 연결 파이프들(81)을 포함하는 육상 시설(77)로부터 또는 육상 시설(77)로 적재되고 하역되도록 해준다. 수중 파이프(76)는 액화 가스가 적재 또는 하역 스테이션(75)과 육상 시설(77) 사이에서 상당히 먼 거리, 예컨대 5km 에 걸쳐 이송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것은 적재 및 하역 잡업 과정에서 LNG 수송 선박(70)이 해안으로부터 상당히 먼 거리에 머무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액화 가스를 이송하는 데에 필요한 압력을 생성하기 위해 선박(70)에 탑재된 펌프들 및/또는 육상 시설(77)에 장비된 펌프들 및/또는 적재 및 하역 스테이션(75)에 설치된 펌프들이 이용된다.
본 발명이 복수의 특정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면 설명된 수단의 모든 기술적인 동등물들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그 조합들도 포함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동사 '포함하다' 또는 '이루다' 및 그 활용형들은 청구항에 언급된 것들 이외의 다른 요소나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항에서, 괄호 안의 참조 기호는 청구항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Claims (15)

  1. 탱크 벽체(1)의 두께 방향으로 탱크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속적으로 지지 구조물(3)에 고정된 2차 단열 배리어(2), 2차 단열 배리어(2)에 대해 놓인 2차 밀봉 멤브레인(4), 2차 밀봉 멤브레인(4)에 대해 놓인 1차 단열 배리어(5), 및 1차 단열 배리어(5)에 대해 놓이고 탱크에 수용된 유체와 접촉하도록 된 1차 밀봉 멤브레인(6)을 구비한 탱크 벽체(1)를 포함하는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에 있어서,
    2차 단열 배리어(2)는 지지 구조물(3) 상에 병치되고 각각 2차 밀봉 멤브레인(4)을 위한 지지 표면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10)를 구비하는 평행육면체 형상을 가진 2차 단열 패널들(7)을 포함하고, 1차 단열 배리어(5)는 2차 단열 패널들(7) 중 하나의 위에 각각 적층된 1차 단열 패널들(22)을 포함하며,
    고정 장치들(8)이 단열 패널들 사이에서 지지 구조물(3)에 부착되고, 상기 단열 패널들을 지지 구조물(4)에 대해 유지하기 위해 단열 패널들과 맞물리며,
    고정 장치들(8) 중 적어도 하나는:
    - 적어도 2개의 인접한 2차 단열 패널들(7)의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코너 영역들 사이에서 지지 구조물(3)에 부착된 로드(15);
    - 로드(15) 상에 장착되고 상기 인접한 2차 단열 패널들(7) 각각의 지지 영역(16)에 대해 지지 구조물(3)을 향해 접하여 지지되어서 그것들을 지지 구조물(3)을 향해 유지하는 2차 지지 고정물(17); 및
    - 2차 지지 고정물(17)에 부착된 상측 고정물(40);
    - 2차 지지 고정물(17)에 부착되고 2차 지지 고정물(17)과 상측 고정물(40)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41);
    - 2차 밀봉 멤브레인(4)을 밀봉 가능하게 가로지르고 상측 고정물(40)에 부착된 핀(43); 및
    - 핀(43) 상에 장착되고 인접한 1차 단열 패널들(22) 각각의 지지 영역(29)에 대해 지지 구조물(3)을 향해 접하도록 지지되어서 그것들을 지지 구조물(3)을 향해 유지하는 1차 지지 고정물(30);을 포함하고, 상기 탱크는 상기 고정 장치(8)가, 2차 지지 플레이트(17)에 부착되고 상기 인접한 2차 단열 패널들(7) 각각의 코너 영역에서 상기 2차 단열 패널(7)의 커버 플레이트(10)와 2차 밀봉 멤브레인(4) 사이에 배치된 힘 분산 플레이트(19)를 더 포함하며, 상측 고정물(40)은 스페이서(41)와 힘 분산 플레이트(19) 사이에 배치되고, 핀(43)은 힘 분산 플레이트(19)에 제공된 보어를 가로지르는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로드(15)는 4개의 인접한 2차 단열 패널들(7)의 4개의 인접한 코너 영역들 사이에서 지지 구조물(4)에 부착되고, 힘 분산 플레이트(19)는 4개의 인접한 2차 단열 패널들(7) 각각의 코너 영역에 배치된 탱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열 패널들(7)은 카운터 싱크(18)를 포함하고, 힘 분산 플레이트(19)는 인접한 2차 단열 패널들(7) 각각의 카운터 싱크들(18) 중 하나에 수용되어서, 커버 플레이트(10)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 표면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되는 탱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힘 분산 플레이트(19)는 스테인레스 스틸, 그 팽창계수가 1.2×10-6와 2×10-6 K-1 사이인 철 및 니켈 합금, 그 팽창 계수가 2×10-5 K-1보다 작은 철 및 망간 합금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만들어지는 탱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 장치(8)는 로드(15)의 나사산 단부와 맞물리는 너트(37), 너트(37)와 2차 지지 고정물(17) 사이에서 로드(15) 상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 고정물(17)을 4개의 인접한 2차 단열 패널들(7) 각각의 지지 영역(16)에 대해 압박하는 탄성력을 가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탄성 워셔들(38)을 포함하는 탱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차 단열 패널들(7)은 그 코너 영역들에서, 지지 영역(16)과 정렬되어 제공된 리세스(54)를 포함하고, 각각의 2차 지지 고정물(17)은 인접한 2차 단열 패널들(7) 각각의 리세스(54)에 수용되는 탱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차 단열 패널들(7)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구조물(3)에 대해 놓인 베이스 플레이트(8), 베이스 플레이트(8)와 커버 플레이트(10) 사이에 배치된 중간 플레이트(9), 베이스 플레이트(8)와 중간 플레이트(9) 사이에 샌드위치된 제1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11), 및 중간 플레이트(9)와 커버 플레이트(10) 사이에 샌드위치된 제2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12)를 포함하는 탱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차 단열 패널들(7)은 그 코너 영역들에서, 지지 영역(16)과 정렬되어 제공된 리세스(54)를 포함하고, 각각의 2차 지지 고정물(17)은 인접한 2차 단열 패널들(7) 각각의 리세스(54)에 수용되고
    2차 단열 패널들(7)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구조물(3)에 대해 놓인 베이스 플레이트(8), 베이스 플레이트(8)와 커버 플레이트(10) 사이에 배치된 중간 플레이트(9), 베이스 플레이트(8)와 중간 플레이트(9) 사이에 샌드위치된 제1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11), 및 중간 플레이트(9)와 커버 플레이트(10) 사이에 샌드위치된 제2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12)를 포함하며,
    리세스들(54)이 제2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12)에 제공되어서, 중간 플레이트(9)가 제2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12)에 대해 돌출되고 따라서 지지 영역들(16) 중 하나를 제공하는 탱크.
  9. 제7항에 있어서, 제1 단열 폴리머 폼 레이어(11)는 2차 단열 패널(7)의 코너 영역들 각각에서, 베이스 플레이트(8)와 중간 플레이트(9) 사이에서 연장된 필러(13)를 수용하는 컷아웃을 구비하는 탱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힘 분산 플레이트(19)와 상측 고정물(40)은 단일한 금속 부분을 형성하는 탱크.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측 고정물(40)은 탱크 벽체(1)의 두께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면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탱크 벽체(1)의 두께 방향에 수직한 2개의 면들을 포함하고, 탱크 벽체(1)의 두께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상기 면들은 필릿(44)들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탱크.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페이서들(41)은 챔퍼들(45)을 포함하는 탱크.
  13.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선박(70)으로서, 이중 선체(72) 및 이중 선체(72)에 배치된 제1항 또는 제2항의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14. 유체를 위한 이송 시스템으로서, 제13항의 선박(70), 선박의 선체에 설치된 탱크(71)를 부유식 또는 육상 저장 시설(77)로 연결하도록 배치된 단열된 파이프라인들(73, 79, 76, 81), 및 단열된 파이프라인들을 통해 유체를 부유식 또는 육상 저장 시설로부터 선박의 탱크로, 또는 선박의 탱크로부터 부유식 또는 육상 저장 시설로 전달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13항의 선박(70)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유체가 단열된 파이프라인들(73, 79, 76, 81)을 통해 부유식 또는 육상 저장 시설(77)로부터 선박(71)의 탱크로, 또는 선박(71)의 탱크로부터 부유식 또는 육상 저장 시설(77)로 이동되는 방법.
KR1020207019246A 2017-12-04 2018-11-30 단열 밀봉 탱크 KR102512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61614A FR3074560B1 (fr) 2017-12-04 2017-12-04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FR1761614 2017-12-04
PCT/FR2018/053064 WO2019110894A1 (fr) 2017-12-04 2018-11-30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273A KR20200096273A (ko) 2020-08-11
KR102512422B1 true KR102512422B1 (ko) 2023-03-22

Family

ID=6118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246A KR102512422B1 (ko) 2017-12-04 2018-11-30 단열 밀봉 탱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512422B1 (ko)
CN (1) CN111433509B (ko)
FR (1) FR3074560B1 (ko)
WO (1) WO20191108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0951B1 (fr) 2020-05-26 2022-05-06 Gaztransport Et Technigaz Dispositif d’ancrage destine a retenir des blocs isolants
FR3116100B1 (fr) * 2020-11-10 2022-11-04 Gaztransport Et Technigaz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barrière thermiquement isolante pour une cuve
FR3121730B1 (fr) 2021-04-09 2023-12-01 Gaztransport Et Technigaz Dispositif d’ancrage destiné à retenir des blocs isolants
FR3128003B1 (fr) 2021-10-08 2023-09-22 Gaztransport Et Technigaz Dispositif d’ancrage destiné à retenir des blocs isolants
CN117028827A (zh) * 2023-10-09 2023-11-10 中太海碳(上海)环保科技有限公司 低温薄膜储存容器的固定模块及低温薄膜储存容器
CN117048799B (zh) * 2023-10-13 2024-02-09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薄膜型围护系统的建造方法
CN117048777B (zh) * 2023-10-13 2024-02-09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薄膜型围护系统结构
CN117662969B (zh) * 2024-01-31 2024-04-02 中太(苏州)氢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保护系统及其安装方法和储罐
CN117818844A (zh) * 2024-03-06 2024-04-05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低温液货存储运输用薄膜型围护系统的安装方法
CN117818821A (zh) * 2024-03-06 2024-04-05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低温液货存储运输用薄膜型围护系统
CN117847404B (zh) * 2024-03-07 2024-05-03 中太(苏州)氢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绝缘模块连接结构和具有该连接结构的储存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4944A1 (fr) 2011-07-06 2013-01-10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13260A1 (fr) * 1977-12-29 1979-07-27 Gaz Transport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integree a la structure porteuse d'un navire
FR2504882B1 (fr) * 1981-04-30 1985-11-08 Gaz Transport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integree a la structure porteuse d'un navire
FR2798902B1 (fr) * 1999-09-29 2001-11-23 Gaz Transport &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de navir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aissons isolants destines a etre utilises dans cette cuve
FR2867831B1 (fr) * 2004-03-17 2006-05-19 Gaz Transport & Technigaz Caisse autoporteuse en bois convenant pour le soutien et l'isolation thermique d'une membrane de cuve etanche
FR2973097B1 (fr) 2011-03-23 2013-04-12 Gaztransp Et Technigaz Element calorifuge pour paroi de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FR2977562B1 (fr) * 2011-07-06 2016-12-23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KR101408356B1 (ko) * 2011-10-26 2014-06-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의 단열박스 고정장치
FR3000042B1 (fr) 2012-12-21 2015-01-23 Gaztransp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FR3004512B1 (fr) * 2013-04-15 2016-09-30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KR20150034352A (ko) * 2013-09-26 2015-04-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화물창의 슬로싱 충격 분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4944A1 (fr) 2011-07-06 2013-01-10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273A (ko) 2020-08-11
FR3074560B1 (fr) 2021-06-04
CN111433509A (zh) 2020-07-17
WO2019110894A1 (fr) 2019-06-13
FR3074560A1 (fr) 2019-06-07
CN111433509B (zh)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2422B1 (ko) 단열 밀봉 탱크
CN107820554B (zh) 配备有波纹金属板的拐角布置的次密封膜的密封隔热罐
KR102624276B1 (ko) 밀봉 탱크 내 단열 벽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단열 블록
JP7241777B2 (ja) 断熱封止タンク
JP3175526U (ja) 熱的に絶縁された液密のタンク
US10364940B2 (en) Sealed and thermally insulated tank fitted with a through-element
KR102580155B1 (ko) 선박의 벽체를 위한 단열 배리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 배리어
KR102501626B1 (ko)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
KR102475415B1 (ko) 밀봉 및 단열 탱크
KR20210146246A (ko) 단열 블록을 유지하기 위한 앵커 장치
KR102569951B1 (ko) 1차 절연 패널을 2차 절연 패널에 앵커링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밀봉된 단열 탱크
KR20200079192A (ko)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를 위한 앵커링 시스템
KR20230079225A (ko) 밀봉 및 단열 탱크
KR102648632B1 (ko)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
KR20220141243A (ko) 단열 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KR20220049011A (ko) 밀폐 단열 탱크
KR20230019471A (ko) 내하중 구조물로 내장된 열적 절연 밀봉된 탱크
RU2805353C2 (ru) Герметичный 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резервуар
KR102622457B1 (ko) 액화가스 저장 설비
RU2812099C2 (ru)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барьер для стенки резервуара
KR102614986B1 (ko)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
KR20230066072A (ko) 밀봉 및 단열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