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877B1 -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877B1
KR102508877B1 KR1020217029656A KR20217029656A KR102508877B1 KR 102508877 B1 KR102508877 B1 KR 102508877B1 KR 1020217029656 A KR1020217029656 A KR 1020217029656A KR 20217029656 A KR20217029656 A KR 20217029656A KR 102508877 B1 KR102508877 B1 KR 102508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ction
flat tubes
suction member
sl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9121A (ko
Inventor
료슈케 코레자와
타카푸미 하타다
아유미 오노데라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2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은 제1 내지 제3 공정을 포함한다. 열교환기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며 제2 방향으로 길이가 긴 복수의 편평관과, 제2 방향으로 배열되며 제1 방향으로 길이가 긴 복수의 플레이트 핀을 구비하고, 각 플레이트 핀이 제1 방향에 따른 한 변으로 개구된 복수의 제1 슬릿을 가지며, 각 편평관이 각 플레이트 핀의 제1 슬릿에 통과되어 있다. 제1 공정에서는 복수의 편평관을 제1 방향으로 배열시킨다. 제2 공정에서는 플레이트 핀을 흡인 부재로 흡착한다. 제3 공정에서는 흡인 부재에 의해 흡착된 플레이트 핀과 각 편평관을 제3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해당 플레이트 핀의 각 제1 슬릿 내에 편평관을 위치시킨다.

Description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내부에 냉매의 유로(流路)를 가진 복수의 편평관과 복수의 편평관에 대응하는 형상의 슬릿을 가진 복수의 플레이트 핀을 구비하고, 각 편평관이 각 플레이트 핀의 슬릿에 통과된 열교환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열교환기를 제조함에 있어 먼저 복수의 플레이트 핀이 소정의 핏치로 배열되고, 편평관이 각 플레이트 핀의 슬릿에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또한, 각 편평관의 양단부에 헤더가 부착되고 노(爐) 내에의 경납 땜을 통하여 각 편평관과 각 플레이트 핀이 접합된다. 이와 같은 제조 방법의 경우, 복수의 플레이트 핀의 슬릿에 편평관을 삽입할 때 편평관과 각 플레이트 핀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플레이트 핀이 쓰러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편평관을 배열한 후에 플레이트 핀을 파지하여 1장씩 편평관에 부착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플레이트 핀을 파지하는 부재가 이미 편평관에 부착되어 있는 플레이트 핀과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 핀의 핏치가 제약을 받는다 .
일본 특허 특개 2016-48162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의 제조에 관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열교환기의 설계 자유도를 높이면서 효율적으로 열교환기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은 제1 공정과 제2 공정과 제3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길이가 긴 복수의 편평관과,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길이가 긴 복수의 플레이트 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핀의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한 변으로 개구된 복수의 제1 슬릿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편평관의 각각이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핀의 각각의 상기 제1 슬릿에 통과되어 있다.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복수의 편평관을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시킨다.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핀을 흡인 부재로 흡착한다. 상기 제3 공정에서는 상기 흡인 부재에 의해 흡착된 상기 플레이트 핀 및 상기 복수의 편평관을,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해당 플레이트 핀의 상기 복수의 제1 슬릿 내에 상기 편평관을 각각 위치 시킨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냉동 사이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열교환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III-III 선에 따른 열교환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제조 장치가 구비하는 흡인 부재와 플레이트 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흡인 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 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흡인 부재를 복수의 편평관을 향해 강하시키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흡인 부재를 최대한으로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선에 따른 제조 장치 등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복수의 플레이트 핀을 각 편평관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냉동 사이클 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냉동 사이클 장치(1)는 예를 들면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이며 압축기(2)와 사방 전환 밸브(3)와 실외 열교환기(4)와 팽창 밸브(5)와 실내 열교환기(6)와 이들 요소를 접속시키는 냉매 유로(7)를 구비하고 있다.
압축기(2)는 압축기 본체(2a)와 축압기(accumulator)(2b)를 구비하고 있다. 축압기(2b)는 냉매 유로(7)를 통하여 공급되는 냉매를 기액 분리하여 가스 냉매를 압축기 본체(2a)로 공급한다. 압축기 본체(2a)는 축압기(2b)로부터 공급되는 가스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냉동 사이클 장치(1)에서는 사방 전환 밸브(3)로 냉매의 흐름을 바꿈으로써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 등을 전환할 수 있다. 도 1 의 예시에서는 실선 화살표가 냉방 운전에서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고 점선 화살표가 난방 운전에서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냉방 운전에서는 압축기(2), 사방 전환 밸브(3), 실외 열교환기(4), 팽창 밸브(5) 및 실내 열교환기(6)의 순서로 냉매가 흐른다. 이 때, 실외 열교환기(4)가 응축기로서 기능을 하고, 실내 열교환기(6)가 증발기로서 기능을 함으로써 실내가 냉방된다.
한편 난방 운전에서는 사방 전환 밸브(3)의 유로가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되어, 압축기(2) 사방 전환 밸브(3), 실내 열교환기(6), 팽창 밸브(5) 및 실외 열교환기(4)의 순서로 냉매가 흐른다. 이 때, 실내 열교환기(6)가 응축기로서 기능을 하며 실외 열교환기(4)가 증발기로서 기능함으로써 실내가 난방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열교환기(10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 열교환기(100)는 도 1에 도시된 실외 열교환기(4) 및 실내 열교환기(6)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100)는 다른 종류의 냉동 사이클 장치나 냉동 사이클 장치 이외의 장치에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D1),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을 정의한다. 이들 방향(D1~D3)은 예를 들면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단 이들 방향(D1~D3)이 90도 이외의 각도로 교차되어도 무방하다.
열교환기(100)는 제1 헤더(10)와 제2 헤더(20)를 구비하고 있다. 각 헤더(10, 20)는 모두 제1 방향(D1)으로 길이가 긴 관이며 제2 방향(D2)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헤더(10)의 제1 방향(D1) 에 따른 양단부는 엔드 캡(11, 12)에 의해 닫혀 있다. 또한 제1 헤더(10)는 냉매 유로(7)와 접속하기 위한 제1 이음부(13)를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헤더(20)의 제1 방향(D1)에서의 양단부는 엔드 캡(21, 22)에 의해 닫혀 있다. 또한 제2 헤더(20)는 냉매 유로(7)와 접속하기 위한 제2 이음부(23)를 가지고 있다.
열교환기(100)는 복수의 편평관(30)과 복수의 플레이트 핀(40)을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편평관(30)은 제2 방향(D2)으로 길이가 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제1 방향(D1)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플레이트 핀(40)은 제1 방향(D1)으로 길이가 긴 형상을 가지면서 제2 방향(D2)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 되어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플레이트 핀(40)의 배열 핏치가 편평관(30)의 배열 핏치 보다 크다. 일례로서 서로 이웃하는 플레이트 핀(40)의 간격(배열 핏치)은 1.5mm 정도이다.
각 편평관(30)의 제2 방향(D2)에 따른 일단은 제1 헤더(1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편평관(30)의 제2 방향(D2) 에 따른 타단은 제2 헤더(20)에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음부(13)를 통하여 열교환기(100)에 냉매가 공급되었을 때, 해당 냉매는 제1 헤더(10)에서 각 편평관(30)으로 분류(分流)되고, 제2 헤더(20)에서 합류하여 제2 이음부(23)를 통하여 열교환기(100)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제2 이음부(23)를 통하여 열교환기(100)에 냉매가 공급 되었을 때, 해당 냉매는 제2 헤더(20)로부터 각 편평관(30)으로 분류되고, 제1 헤더(10)에서 합류하여 제1 이음부(13)를 통하여 열교환기(100)로부터 배출된다.
열교환기(100)는 예를 들면 제1 방향(D1)이 중력 방향에 따르도록 배치된다. 서로 유로가 접속된 복수의 열교환기(100)에 의해 상술한 실외 열교환기(4) 등을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1 이음부(13) 및 제2 이음부(23) 중 어느 한 쪽을 열교환기(100)끼리의 유로의 접속에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3은 도 2에서의 III-III 선에 따른 열교환기(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플레이트 핀(40)은 제1 변(41)과, 제1 변(41)의 반대측의 제2 변(42)과, 제1 면(43)과, 제1 면(43)의 반대측인 제2 면 (44)을 가지고 있다. 제1 변(41) 및 제2 변(42)은 모두 제1 방향(D1)과 평향한다. 제1 면(43)은 도 3에 도시된 플레이트 핀(40)의 정면이며 제2 면(F2)은 플레이트 핀(40)의 뒷면이다.
플레이트 핀(40)은 복수의 제1 슬릿(50)을 가지고 있다. 이들 제1 슬릿(50)은 모두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제1 슬릿(50)은 제1 변(41)으로 개구되어 있다.
도 3의 예에서 각 제1 슬릿(50)은 제1 부분(51)과, 제2 부분(52)과, 제1 부분(51) 및 제2 부분(52)의 사이의 테이퍼 부분(53)을 가지고 있다. 제2 부분(52)은 제1 변(41)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제1 부분(51) 보다 제1 방향(D1)에서의 폭이 크다. 테이퍼 부분(53)에서는 제2 부분(52)에서 제1 부분(51)을 향해서 폭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제1 슬릿(50)의 양변이 제1 방향(D1) 및 제3 방향(D3)의 각각에 대해서 경사를 이루고 있다.
각 편평관(30)은 제1 슬릿(50)의 제1 부분(51)에 삽입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경납 땜에 의해 플레이트 핀(40)과 접합되어 있다. 도 3의 예에 있어서는 각 편평관(30)의 제3 방향(D3)에 따른 단부가 테이퍼 부분(53)에 위치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각 편평관(30)의 해당 단부는 제1 부분(51)에 위치해도 무방하며 제2 부분(52)에 위치해도 무방하다. 각 편평관(30)은 제3 방향(D3)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유로(31)를 내부에 가지고 있다. 이들 유로(31)는 도 2에 도시된 제1 헤더(10) 내부의 유로 및 제2 헤더(20) 내부의 유로와 연통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제1 슬릿(50)의 사이에는 편평관(30)에 대해 도면의 하방으로 돌출된 확장 부분(45)이 형성된다. 이 확장 부분(45)에 의하여 플레이트 핀(40)과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 열교환기(100)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다.
도 3의 예에서 플레이트 핀(40)은 제2 변(42)에 따라서 연장되는 경사 부분(46)과, 이 경사 부분(46)과 제2 변(42) 사이에 위치하는 단차 부분(47)과, 서로 이웃하는 제1 슬릿(50)의 사이에 마련된 절개하여 접어 올린 부분(48)을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다.
경사 부분(46)에서는 플레이트 핀(40)이 제2 면(44) 측으로 돌출되로록 구부러져 있다 (후술 할 도 6 참조). 따라서 단차 부분(47)에서의 제1 면(43)은 제1 슬릿(50)이 마련된 영역에 대해서 움푹 들어가 있다. 경사 부분(46)을 구비함으로써 얇은 플레이트 핀(40)이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개하여 접어 올린 부분(48)은 플레이트 핀(40)에 대해서 제1 방향(D1)에 따라 한 쌍의 절개부를 형성하고 이 두 절개부들 사이 부분을 프레스 가공으로 제1 면(43) 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절개하여 접어 올린 부분(48)에서는 제1 면(43)측의 공간과 제2 면(44)측의 공간이 연통된다. 이와 같은 절개하여 접어 올린 부분(48)으로 인하여 플레이트 핀(40)과 그 주위의 공기와의 접촉면이 늘어나며 해당 공기가 제1 면(43) 측에서 제 2면(44) 측으로 혹은 그 반대로 흐를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 핀(40)은 확장 부분(45) 및 절개하여 접어 올린 부분(48)이 없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1 슬릿(50)은 제2 부분(52) 및 테이퍼 부분(53)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어서 열교환기(10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열교환기(100)의 제조 장치(2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 제조 장치(200)는 열교환기(100)의 제조 공정 중 복수의 편평관(30)과 복수의 플레이트 핀(40)을 조립하는 공정을 담당한다.
제조 장치(200)는 테이블(201)과 홀더(202)와 흡인 장치(210)와 운반 장치(2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4 에서는 조립되는 열교환기(100)에 관한 제1 방향(D1),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 을 제조 장치(200)에 병기하였다.
홀더(202)는 테이블(201)의 제2 방향(D2)에 따른 일단에 배치되어 있다. 도 4 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테이블(201)의 제2 방향(D)에 따른 타단에도 홀더(202)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홀더(202)는 복수의 편평관(30)의 양단을 홀드한다.
이들 홀더(202)의 구성은, 특정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이들 홀더(202)에 마련된 슬릿에 편평관(30)의 단부를 각각 끼워 넣음으로써 편평관(30)을 홀드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도 4의 예에서는 편평관(30)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203)가 테이블(201)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203)는 한 쌍의 홀더(202) 사이의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지지 부재(203)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흡인 장치(210)는 흡인 부재(211)와 복수의 튜브(212)를 구비하고 있다. 흡인 부재(211)는 제3 방향(D3)에 따라 복수의 편평관(30)과 대향하며, 플레이트 핀(40)을 흡착함으로써 홀드한다. 복수의 튜브(212)는 일단이 흡인 부재(211)에 접속되고 타단은 펌프 등의 흡인원에 접속되어 있다.
운반 장치(220)는 한 쌍의 레일(221A, 221B)과 한 쌍의 지주(222A, 222B)를 구비하고 있다. 레일(221A, 221B)은 테이블 (201) 위에 배치되어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있다. 복수의 편평관(30)은 이들 레일 (221A, 221B) 사이에서 홀더(202)에 의해 홀드 되어 있다.
지주 (221A, 222B)는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주 (222A)의 하단과 레일(221A)은 화살표(AR1)로 표시한 바와 같이 지주(222A)가 레일(221A)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 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지주 (222B)의 하단과 레일(221B)은 화살표(AR1)로 표시한 바와 같이 지주(222B)가 레일(221B)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 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화살표(AR1)로 표시한 방향은 제2 방향(D2)과 평행하다.
흡인 부재 (221)의 일단과 지주(222A)는 화살표(AR2)로 표시한 바와 같이 흡인 부재(211)가 지주(222A)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 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흡인 부재 (221)의 일단과 지주(222B)는 화살표(AR2)로 표시한 바와 같이 흡인 부재(211)가 지주(222B)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 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화살표(AR2)로 표시한 방향은 제3 방향(D3)과 평행하다.
지주(222A, 222B)를 레일(221A, 221B)에 따라서 동작시키는 수평 구동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모터 등의 동력 공급원과 이 동력 공급원에서 나오는 동력을 지주(222A, 222B)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하는 각종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흡인 부재(211)를 지주 (222A, 222B)에 따라서 동작시키는 수직 구동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모터 등의 동력 공급원과 이 동력 공급원에서 나오는 동력을 흡인 부재(211)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구비하는 각종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흡인 부재(211) 및 플레이트 핀(4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흡인 부재(211) 및 플레이트 핀(4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흡인 부재(211)가 플레이트 핀(40)에 흡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 부재(211)는, 플레이트 핀(40)을 흡착하는 흡착면(213)과, 제3 방향(D3)에 따른 제1 단부(214)와, 제1 단부(214)의 반대측인 제2 단부(215)와, 흡착면(213)과 제2 단부(215)의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 부분(216)을 가지고 있다. 제1 단부(214)는 도 4에 도시된 복수의 편평관(30)과 대향하는 단부이다. 돌출 부분(216)은 흡착면(213) 보다 더 돌출되어 있으며 제1 방향(D1)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 부재(211)는 복수의 제2 슬릿(217)을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다. 복수의 제2 슬릿(217)은 모두 제3 방향(D3)을 향해 연장되며 플레이트 핀(40)의 각 제1 슬릿(50)과 동일한 핏치로 제1 방향(D1)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제2 슬릿(217)은 제1 단부(214)로 개구되어 있다.
도 5의 예에서 흡착면(213)은 각 제2 슬릿(217)과 돌출 부분 (216)의 사이에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경사 부분(218)과 이 경사 부분(218)과 돌출 부분(216)의 사이에 위치하는 단차 부분(219)을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부분(218) 및 단차 부분(219)의 형상은 플레이트 핀(40)의 경사 부분(46) 및 단차 부분(47)에 대응하는 형상이다. 즉, 단차 부분(47)(제1 단차 부분)은 제2 방향(D2)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단차 부분(219)(제2 단차 부분)은 제2 방향(D2)으로 움푹 들어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 부재(211)는 복수의 배기공(230)과 복수의 제1 흡기공(231)과 복수의 제2 흡기공(232)을 가지고 있다. 복수의 배기공(230)은 흡인 부재(211)의 상면(제2 단부(215)의 면)에 구비되어 제1 방향(D1)으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제1 흡기공(231)은 흡착면(213)에 마련되어 제1 방향(D1)으로 배열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2 흡기공(232)은 흡착면(213)에 마련되어 제1 방향(D1)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제2 슬릿(217)의 사이에 제1 흡기공(231)과 제2 흡기공(232)이 하나씩 구비되어 있다. 이들 제1 흡기공(231) 및 제2 흡기공(232)은 제3 방향(D3)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 부재(211)는 서로 이웃하는 제2 슬릿(217)의 사이에 유로(233)를 가지고 있다. 유로(233)는 하나의 배기공(230), 하나의 제1 흡기공(231) 및 하나의 제2 흡기공(232)과 연통되어 있다. 즉 흡인 부재(211)는 배기공(230)과 동일한 개수의 복수의 유로(233)를 내부에 가지고 있다. 다른 예로서 흡인 부재(211)는 복수의 배기공(230), 복수의 제1 흡기공(231) 및 복수의 제2 흡기공(232)으로 연통되는 유로를 내부에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배기공(230)에는 튜브(212)가 접속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일부 배기공(230)에 대응하는 튜브(212)만 도시하고 나머지 튜브(212)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흡착면(213)이 플레이트 핀(40)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흡기공(231) 및 제2 흡기공(232)로부터 유로(233) 내부로 공기가 흡인되며 이 공기가 배기공(230) 및 튜브 (212)를 통하여 배출된다. 흡착면(213)이 플레이트 핀(40)으로 덮여 있으면 제1 흡기공(231) 및 제2 흡기공(232)이 막혀서 유로(233) 내부가 감압된다. 이로 인하여 플레이트 핀(40)이 흡착면 (213)에 흡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핀(40)이 흡착면(213)에 흡착된 상태에서는 플레이트 핀(40)의 제2 면(44)이 흡착면(213)에 접촉된다. 이 때 플레이트 핀(40)의 경사 부분(46) 및 단차 부분(47)은 흡착면(213)의 경사 부분(218) 및 단차 부분(219)에 각각 접촉된다.
또한 플레이트 핀(40)이 흡착면(213)에 흡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제1 슬릿(50)과 복수의 제2 슬릿(217)이 겹쳐진다.
도 7은 제조 장치(2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흡인 부재(211)를 복수의 편평관(30)을 향해 하강 시키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는 흡인 부재(211)가 첫 번째 플레이트 핀(40)을 배치해야 할 개시 위치(P)에 위치를 잡고 있다. 흡인 부재(211)를 하강 시키면 도 5에 도시된 제1 슬릿(50) 및 제2 슬릿(217)에 편평관(30)이 삽입 된다.
도 8은 흡인 부재(211)를 최대한으로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의 IX-IX선에 따른 제조 장치(200) 등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흡인 부재(211)를 최대한 하강 시키면 각 제1 슬릿(50)의 상단까지 편평관(30)이 삽입된다. 그 후에 예를 들면 튜브(212)를 통한 흡인을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흡인 부재(211)에 의한 플레이트 핀(40)의 홀드를 해제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 장치(200)의 지지 부재(203)는 복수의 편평관(30)의 각각에 대하여 마련되어 있다. 각 편평관(30)의 하단은 지지 부재(203)의 상면(203a)에 의하여 제3 방향(D3)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203)의 상면(203a)이 편평관(30)을 수용하기 용이하도록 움푹 들어가 있어도 무방하다. 흡인 부재(211)를 하강시켰을 때에는 지지 부재(203)의 일부가 제1 슬릿(50)의 제2 부분(52)에 삽입된다.
도 9의 좌측 방향에는 플레이트 핀(40)의 일부를 파단하여 플레이트 핀(40)의 후방에 위치하는 흡착면(213)을 도시하였다. 해당 파단한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슬릿(217)은 제1 방향(D1)에 따라 지지 부재(203) 보다 큰 폭을 가지고 있다. 흡인 부재(211)를 하강시켰을 때에는 지지 부재(203)의 일부가 제2 슬릿(217)에 삽입된다.
각 제1 슬릿(50)에 각 편평관(30)이 삽입될 때에는 각 제1 슬릿(50)의 선단부와 각 편평관(30) 사이의 마찰력이 저항이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인 부재(211)의 돌출 부분(216)이 플레이트 핀(40)을 누를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저항을 받아도 플레이트 핀(40)이 흡착면(213)에서 어긋나기 어렵다.
또한 각 편평관(30)은 상술한 홀더(202)에 의하여 양단이 홀드 될 뿐만 아니라 지지 부재(203)에 의하여 중간 부분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각 편평관(30)이 플레이트 핀(40)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려도 각 편평관(30)이 휘기 어렵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제조 장치(200)를 이용한 열교환기(100)의 일련의 제조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공정]
먼저 도 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편평관(30)을 홀더(202)에 부착시킴으로써 이들 편평관(30)을 제1 방향(D1)으로 배열시킨다.
[제2 공정]
제1 공정 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핀(40)을 흡인 부재(211)의 흡착면(213)으로 흡착한다.
플레이트 핀(40)은 예를 들면 제조 장치(200)와는 별도의 공급 장치에 의해 흡착면(213)에 공급된다.
이 공급 장치의 구성은, 특정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사전에 개별적으로 나뉘어서 준비된 복수의 플레이트 핀(40)을 흡착면(213)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다른 예를 들면, 공급 장치는 연속적인 판재에 대한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제1 슬릿(50) 등의 플레이트 핀(40)의 요소를 형성하는 프레스기와 판재에서 가공후의 영역을 절단하여 플레이트 핀(40)을 잘라내는 절단 장치를 구비하고, 잘려 나온 플레이트 핀(40)을 흡착면(213)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제3 공정]
제2 공정 후에 운반 장치(220)로 흡인 부재(211)를 제2 방향(D2)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개시 위치(P)까지 이동시킨다.
도 7에 도시된 개시 위치(P) 에서 흡인 부재(211)를 운반 장치(220)로 제3 방향(D3)에 따라 하강시킴으로써 플레이트 핀(40)의 복수의 제1 슬릿(50)에 편평관(30)을 각각 삽입한다. 삽입 후에 예를 들면 흡인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고 흡인 부재(211)를 플레이트 핀(4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플레이트 핀(40)과 흡인 부재(211)를 이격시킨 후에 흡인 부재(211)를 도 4에 도시한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또한 경사 부분(46)이나 단차 부분(47)을 가지지 않는 플레이트 핀의 경우에는 흡인 부재(211)를 플레이트 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그 후 제2 공정 및 제 3공정을 연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플레이트 핀(40)을 각 편평관(30)에 순차적으로 부착한다. 이 때, 2장째 이후의 플레이트 핀(40)을 흡착한 흡인 부재(211)는 운반 장치(220)에 의하여 제2 방향(D2)을 따라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된다. 이 소정의 거리는 제조되는 열교환기(100)에서의 플레이트 핀(40)의 배열 피치에 상당한다. 즉, 흡인 부재(211)는 흡착한 플레이트 핀(40)을 이미 편평관(30)이 삽입되어 있는 플레이트 핀(40)에 대하여 제2 방향(D2)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는 위치로 이동시켜 각 편평관을 부착한다.
도 10은 제조 장치(2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열교환기(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핀(40) 중의 일부를 각 편평관(30)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흡인 부재(211)를 제2 방향(D2)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흡인 부재(211)는 흡착면(213)이 이미 부착되어 있는 플레이트 핀(4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흡인 부재(211)는 이미 부착되어 있는 플레이트 핀(40)을 간섭하지 않는다. 도 10과 같이 각 편평관(30)에 부착된 복수의 플레이트 핀(40)은 예를 들면 서로 접촉하지 않고 각 편평관(3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흡인 부재(211)를 제2 방향(D2)에 따라 이동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그 이동 거리를 제2 방향(D2)에서의 위치에 따라 변화시켜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플레이트 핀(40)의 배열 핏치가 촘촘한 장소와 띄엄띄엄한 장소를 임의로 마련할 수 있다.
모든 플레이트 핀(40)의 부착이 완료되면 각 편평관(30)에 제1 헤더(10) 및 제2 헤더(20) 등 열교환기(100)의 기타 요소가 부착된다. 예를 들면 각 편평관(30)에는 사전에 납땜 재료가 코팅되어 있어 조립된 열교환기(100)를 노 내부에서 경랍 땜을 함으로써 각 편평관(30)과 각 플레이트 핀(40)이 고착된다. 이리하여 열교환기(100)가 완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와의 비교예로서 편평관이 아니라 직경 7mm 정도의 원형관을 이용한 열교환기를 상정한다. 기존에 이와 같은 열교환기에 있어서는 플레이트 핀에 원형관을 삽입하기 위한 원형의 슬릿을 구비하고, 해당 슬릿의 주위를 돌출시켜서, 이웃하는 플레이트 핀의 간격을 규정하기 위한 핀 칼라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핀 칼라를 이용하여 복수의 플레이트 핀을 소정의 배열 핏치로 적층한 후에 각 플레이트 핀의 슬릿에 원형관이 삽입된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 핀을 1.5mm의 간격으로 배열시키는 경우에는 핀 칼라의 돌출 높이가 1.5mm로 설정된다. 슬릿의 직경은 원형관과 마찬가지로 7mm 정도로 크기 때문에 이와 같은 돌출 높이의 핀 칼라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와 같이 편평관을 이용한 열교환기에 있어서 편평관의 두께가 예를 들어 2mm 이하인 경우를 상정하면 플레이트 핀의 슬릿의 주위에 1.5mm 정도의 핀 칼라를 형성하기가 어렵다.
그 밖에 복수의 플레이트 핀의 간격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플레이트 핀에 간격 조정용으로 절개하여 접어 올린 부분을 마련하여 이 절개하여 접어 올린 부분을 서로 이웃하는 플레이트 핀에 접촉시키는 구조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플레이트 핀에 걸친 절개하여 접어 올린 부분이 존재하게 되면 열교환기가 증발기로서 작용할 때에 발생하는 결로수의 배수를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외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절개하여 접어 올린 부분에 서리가 생겨 열 전달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는 복수의 편평관(30)을 배열시킨 후에 플레이트 핀(40)이 한 장씩 부착된다. 그로 인하여 간격 조정용 핀 칼라나 절개하여 접어 올린 부분을 구비하지 않아도 복수의 플레이트 핀(40)을 적절한 간격으로 배열시킬 수 있다.
또한 만약 복수의 플레이트 핀(40)을 먼저 배열하고 이들의 플레이트 핀(40)의 제1 슬릿(50)에 편평관(30)을 삽입하는 방식이라면 다수의 플레이트 핀(40)과 편평관(30)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플레이트 핀(40) 쓰러지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는 1장씩 플레이트 핀(40)을 삽입하기 때문에 플레이트 핀(40)을 삽입할 때의 마찰력이 작아 상기와 같은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삽입 시에는 플레이트 핀(40)이 흡인 부재(211)의 흡인력에 의하여 홀드 된다. 만약 플레이트 핀(40)을 임의의 부재로 파지하여 편평관(30)에 부착하는 방식이라면 해당 부재가 이미 부착된 플레이트 핀(40)을 간섭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서로 이웃하는 플레이트 핀(40)의 간격을 적절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플레이트 핀(40)의 배열 핏치에 제약이 발생한다. 이에 비하여 플레이트 핀(40)을 흡인 부재(211)로 흡착하는 경우에는 도 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핀(40)의 한쪽 면을 홀드 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흡인 부재(211)와 이미 부착된 플레이트 핀(40)간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 핀(40)의 배열 핏치의 조정 폭이 넓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흡인 부재(211)의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흡기공(231) 또는 복수의 제2 흡기공(232)이 제1 방향(D1) (플레이트 핀(4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제1 흡기공(231)과 제2 흡기공(232)은 제3 방향(D3)(플레이트 핀(40)의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로 인하여 플레이트 핀(40)의 각 위치가 분산적으로 흡인되기 때문에 플레이트 핀(40)이 흡착면(213)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흡착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1 흡기공(231) 및 복수의 제2 흡기공(232)의 일부의 크기를 바꾸는 등의 방법으로 플레이트 핀(40)에 대한 흡인력을 부분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조정을 적절하게 실시함으로써 복수의 편평관(30)에 대한 플레이트 핀(40)의 삽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흡인 부재(211)는 플레이트 핀(40)의 제1 슬릿(5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슬릿(217)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 핀(40)을 흡착한 흡인 부재(211)를 하강시켰을 때에는 제1 슬릿(50) 및 제2 슬릿(217)의 쌍방에 편평관(30)이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제1 슬릿(50)에 편평관(30)을 완전히 삽입하는 위치까지 흡인 부재(211)로 플레이트 핀(40)을 양호하게 홀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흡인 부재(211)는 흡착면(213)보다 더 돌출된 돌출 부분(216)을 가지고 있다. 플레이트 핀(40)을 흡착한 흡인 부재(211)를 하강시켰을 때에는 이 돌출 부분(216)에 의하여 플레이트 핀(40)이 눌리기 때문에 플레이트 핀(40)과 편평관(30) 사이의 마찰력에 저항하여 양자를 적절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플레이트 핀(40)의 배열 핏치 등에 관한 설계 자유도를 높이면서 효율적으로 열교환기(100)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등에 도시된 제조 장치(200)는 열교환기(100)의 제조 방법을 실현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장치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제조 장치(200)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편평관(30)이 테이블(201) 위에 고정되어 있고 제3 공정에서 이들 편평관(30)에 대하여 흡인 부재(211) 및 플레이트 핀(40)을 하강 시키는 구성의 예시를 들었다. 그러나 제3 공정에서 복수의 편평관(30)을 흡인 부재(211) 및 플레이트 핀(40)을 향하여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즉, 제조 장치(200)가 흡인 부재(211)에 의하여 흡착 된 플레이트 핀(40)과 복수의 편평관(30)을 제3 방향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공정에서 흡인 부재(211)를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의 예시를 들었다. 그러나 제2 공정 또는 제3 공정에서 복수의 편평관(30)을 제2 방향(D2)에 따라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즉 제조 장치(200)가 흡인 부재(211) 및 복수의 편평관(30)을 제2 방향(D2)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형태는 예시에 불과하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한 실시형태는 기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생략, 치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 및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 및 요지에 포함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00…열교환기, 10…제1 헤더, 20…제2 헤더, 30…편평관, 40…플레이트 핀, 50…제1 슬릿, 200…제조 장치, 201…테이블, 202…홀더, 203…지지 부재, 210…흡인 장치, 211…흡인 부재, 212…튜브, 213…흡착면, 214…제1 단부, 215…제2 단부, 216…돌출 부분, 217…제2 슬릿, 220…운반 장치, 221A,221B…레일, 222A, 222B…지주, 230…배기공, 231…제1 흡기공, 232…제2 흡기공.

Claims (10)

  1. 제1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길이가 긴 복수의 편평관과,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길이가 긴 복수의 플레이트 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핀의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한 변으로 개구된 복수의 제1 슬릿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편평관의 각각이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핀의 각각의 상기 제1 슬릿에 통과된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편평관을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시키는 제1 공정;
    상기 플레이트 핀을 흡인 부재로 흡착하는 제2 공정; 및
    상기 흡인 부재에 의해 흡착된 상기 플레이트 핀 및 상기 복수의 편평관을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해당 플레이트 핀의 상기 복수의 제1 슬릿 내에 상기 편평관을 각각 위치시키는 제3 공정;
    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흡인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핀을 흡착하는 흡착면, 상기 복수의 편평관에 대향하는 제1 단부,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인 제2 단부, 및 상기 흡착면과 상기 제2 단부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흡착면 보다 더 돌출되는 돌출 부분을 가지는,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흡인구를 가지며, 이들 흡인구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 핀을 흡착하는,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부재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흡인구를 가지며, 이들 흡인구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 핀을 흡착하는,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 또는 상기 제3 공정에서 상기 흡인 부재에 흡착된 상기 플레이트 핀이 이미 상기 제1 슬릿 내부에 상기 편평관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플레이트 핀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를 두도록 상기 흡인 부재 및 상기 복수의 편평관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 공정 및 상기 제3 공정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는,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슬릿에 대응하는 핏치로 배열되면서 상기 제1 단부로 개구된 복수의 제2 슬릿을 가지며,
    상기 제3 공정에서 상기 흡인 부재에 의하여 흡착된 상기 플레이트 핀 및 상기 복수의 편평관을 상기 제3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복수의 제2 슬릿에 상기 편평관이 각각 삽입되는,
    제조 방법.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핀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단차 부분을 추가적으로 가지며,
    상기 흡착면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제2 단차 부분을 추가적으로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 핀이 상기 흡착면에 의하여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차 부분과 상기 제2 단차 부분이 접촉하는,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정에서 상기 플레이트 핀의 복수의 상기 제1 슬릿 내부에 상기 편평관을 각각 위치 시킨 후에 상기 흡인 부재에서의 흡착을 정지하고 상기 흡인 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핀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시키는,
    제조 방법.
  9. 제1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길이가 긴 복수의 편평관과,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길이가 긴 복수의 플레이트 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핀의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한 변으로 개구된 복수의 제1 슬릿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편평관의 각각이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핀의 각각의 상기 제1 슬릿에 통과된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편평관을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시키는 제1 공정;
    상기 플레이트 핀을 흡인 부재로 흡착하는 제2 공정; 및
    상기 흡인 부재에 의해 흡착된 상기 플레이트 핀 및 상기 복수의 편평관을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해당 플레이트 핀의 상기 복수의 제1 슬릿 내에 상기 편평관을 각각 위치시키는 제3 공정;
    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흡인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핀을 흡착하는 흡착면과 상기 복수의 편평관에 대향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의 반대측인 제2 단부와 상기 복수의 제1 슬릿에 대응하는 핏치로 배열되면서 상기 제1 단부로 개구된 복수의 제2 슬릿을 가지고,
    상기 제1 공정 내지 상기 제3 공정에서 상기 편평관의 상기 제3 방향에서의 일방의 단부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3 공정에서 상기 흡인 부재에 의하여 흡착된 상기 플레이트 핀 및 상기 복수의 편평관을 상기 제3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지지 부재의 일부 및 상기 편평관은 상기 제2 슬릿에 삽입되는,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은 제1 부분과,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한 변으로 개구되면서 상기 제1 부분 보다도 큰 폭을 가지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공정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일부가 상기 제2 부분에 삽입되는,
    제조 방법.
KR1020217029656A 2019-03-19 2020-01-21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KR102508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51346 2019-03-19
JP2019051346 2019-03-19
PCT/JP2020/001845 WO2020188989A1 (ja) 2019-03-19 2020-01-21 熱交換器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121A KR20210129121A (ko) 2021-10-27
KR102508877B1 true KR102508877B1 (ko) 2023-03-09

Family

ID=72520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656A KR102508877B1 (ko) 2019-03-19 2020-01-21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71889B2 (ko)
KR (1) KR102508877B1 (ko)
CN (1) CN113597349B (ko)
WO (1) WO20201889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35433A (zh) * 2021-11-17 2023-05-19 杭州三花微通道换热器有限公司 换热器加工方法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9847A (ja) * 2011-09-15 2013-04-04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WO2014002147A1 (ja) * 2012-06-29 2014-01-03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の製造方法、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9835B2 (ja) * 1990-11-27 1999-06-02 昭和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熱交換器の製造方法
CN1131412C (zh) * 1995-05-02 2003-12-17 戴维·B·皮尔斯 安装冷却管散热片的机器和方法以及产品
EP3767219A1 (en) * 2011-10-19 2021-01-20 Carrier Corporation Flattened tube finned heat exchanger and fabrication method
JP2015045473A (ja) * 2013-08-29 2015-03-12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並びに冷凍サイクル装置
JP6234321B2 (ja) * 2014-05-16 2017-11-22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の製造装置
JP2016048162A (ja) 2015-12-14 2016-04-07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の製造方法及び空気調和機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9847A (ja) * 2011-09-15 2013-04-04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WO2014002147A1 (ja) * 2012-06-29 2014-01-03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の製造方法、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97349B (zh) 2023-06-06
KR20210129121A (ko) 2021-10-27
WO2020188989A1 (ja) 2020-09-24
JPWO2020188989A1 (ja) 2021-11-11
CN113597349A (zh) 2021-11-02
JP7171889B2 (ja)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34996B (zh) 换热器的制造方法、换热器及空气调节机
US20140196874A1 (en) Outdoor unit,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utdoor units
US10378833B2 (en) Stacking-type header, heat exchanger,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EP3124905B1 (en) Heat exchanger
KR102508877B1 (ko)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US20190017755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22047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ir conditioning condenser
JP2014228236A (ja) 扁平管熱交換器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扁平管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6136124B2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および熱交換器
JP2016121838A (ja) 熱交換器
KR102097061B1 (ko)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4804B1 (ko) 열교환기
WO2020095616A1 (ja) 熱交換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EP2135016B1 (en) A condenser
JP7057527B2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11144998A (ja) 熱交換器、及びこの熱交換器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100731537B1 (ko) 열교환기
US20230175747A1 (e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JP7364952B1 (ja) 熱交換器の製造装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に用いられる搬送台車
JP7459402B1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装置
CN109964094A (zh) 热交换器、制冷循环装置以及热交换器的制造方法
JP2015045473A (ja)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並びに冷凍サイクル装置
US20220196345A1 (en) Heat exchang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US20220316812A1 (en) Heat exchanger, heat exchange unit,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exchange member
JP2019196847A (ja) 熱交換器及び冷熱サイ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