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537B1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537B1
KR100731537B1 KR1020050019987A KR20050019987A KR100731537B1 KR 100731537 B1 KR100731537 B1 KR 100731537B1 KR 1020050019987 A KR1020050019987 A KR 1020050019987A KR 20050019987 A KR20050019987 A KR 20050019987A KR 100731537 B1 KR100731537 B1 KR 100731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ending
heat exchanger
rows
mai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9016A (ko
Inventor
최진섭
Original Assignee
(주)프라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라임테크 filed Critical (주)프라임테크
Priority to KR1020050019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537B1/ko
Publication of KR20060099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2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 매체와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키면서 최대한 효율적으로 되는 카운터 플로우가 실현 되도록 함과 벤딩부의 개수를 최대한 줄여 벤딩시 발생되는 불량을 최소화하며, 제조 과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생산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외주면에 방열수단이 구비됨과 아울러 일정한 길이를 갖는 튜브를 적어도 2열 이상의 짝수열이 되도록 지그 재그 벤딩하여 판상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판상부를 상기 튜브의 벤딩 회수에 따른 층이 형성되도록 다수회 감아서 형성되며, 상기 복수층의 튜브의 층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유지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상기 복수의 튜브가 개별적으로 각각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철부와, 상기 철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들 사이에 삽입 지지되어 층간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철부와 간격유지부는 서로 교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외주면에 방열수단이 구비됨과 아울러 일정한 길이를 갖는 튜브를 적어도 3열 이상의 홀수열이 되도록 지그 재그 벤딩하여 판상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판상부를 상기 튜브의 벤딩 회수에 따른 층이 형성되도록 다수회 감아서 형성되며, 상기 복수층의 튜브의 층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유지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상기 복수의 튜브가 개별적으로 각각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철부와, 상기 철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들 사이에 삽입 지지되어 층간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철부와 간격유지부는 서로 교대로 배치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교환기, 튜브, 방열수단

Description

열교환기{A heat exchang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열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가장 기본적인 실시예를 1열짜리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중 적어도 2열 이상의 짝수열의 일례로 10열짜리에 해당되는 열교환기의 일측면도.
도 4는 도 3의 A방향에서 바라본 열교환기의 다른 측면도.
도 5는 도 4의 B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은 도 4의 C방향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짝수열의 열교환기가 감겨지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에서 간격유지부재와 튜브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상태에서 다수회 감겨진 상태에서 튜브와 간격유지부재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중 적어도 3열 이상의 홀수열의 일례로 3열짜리에 해당되는 열교환기가 감겨지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3열짜리 열교환기의 일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튜브
11a : 유입구
12a : 배출구
20 : 방열수단
30 : 간격유지수단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 매체와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키면서 최대한 효율적으로 되는 카운터 플로우가 실현 되도록 함과 벤딩부의 개수를 최대한 줄여 벤딩시 발생되는 불량을 최소화하며, 제조 과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생산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온도가 서로 다른 열교환 매체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촉시켜 열교한시키는 장치로서, 난방 또는 냉방을 목적으로 하는 자동차, 냉장고, 건축물, 공기조화기, 석유화학공업, 일반화학공업 및 파워 플랜트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열교환기(1)의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를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대략 10회정도 절곡하여 1열을 형성한 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방향에서 후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열이 되도록 형성한 것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열교환기(1)의 좌우측에는 좌,우 서포터 플레이트(3)(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부호 2a는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배출되는 열교환 매체가 유입되는 인렛 파이프로서 열교환기(1)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부호 2b는 열교환 매체가 배출되는 아웃렛 파이프로서 열교환기(1)의 전방측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1)의 전방측에는 화살표 방향으로 에어를 강제 송풍할 수 있도록 송풍수단(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1)의 인렛 파이프(2a)로 고온 고압의 열교환 매체를 강제 유입시키면, 열교환 매체는 파이프(2)를 따라 지그재그 방향으로 이송한 후, 최종적으로 아웃렛 파이프(2b)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열교환기(1)의 전방측에 설치된 송풍수단(미도시)을 작동시키면, 공기가 강제로 열교환기(1)의 전면을 통해 다수의 파이프(2) 사이를 통과한 후, 열교환기(1)의 후방측 방향으로 토출된다.
이때, 열교환 매체가 송풍수단과 직접 대응하지 않은 열교환기(1)의 후방측에서 최초 유입되기 때문에 이 열교환 매체는 열교환기(1)의 전방향측으로 갈수록 주변 공기와 열교환하면서 열교환기(1)의 전방측에 위치한 아웃렛 파이프(2a)를 통해 토출된다.
아울러, 송풍수단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가 열교환기(1)의 전방향측에 서 최소 송풍된 후 후방측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열교환 매체가 파이프(2)의 주변 공기와 최대한 효율적으로 열교환될 수 있는 이른바 카운터 플로우가 실현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열교환장치는 파이프(2)를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대략 10회정도 절곡하여 1열을 형성한 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방향에서 후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열이 되도록 형성한 것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하는 제조 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은 열교환기(1) 좌우측의 파이프가 벤딩된 밴딩부(2c)가 삽입 가능하도록 좌,우 서포터 플레이트(3)(4)에 밴딩부(2c)가 삽입되는 삽입공(3a)(4a)을 수십개 형성하여야 하는 복잡한 제조 과정의 문제점과, 좌우 서포터 플레이트(3)(4)의 수십개 삽입공(3a)(4a)에 밴딩부(2c)를 삽입 조립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열교환 매체와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키면서 최대한 효율적으로 되는 카운터 플로우가 실현 되도록 함과 벤딩부의 개수를 최대한 줄여 벤딩시 발생되는 불량을 최소화하며, 제조 과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생산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외주면에 방열수단이 구비됨과 아울러 일정한 길이를 갖는 튜브를 적어도 2열 이상의 짝수열이 되도록 지그 재그 벤딩하여 판상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판상부를 상기 튜브의 벤딩 회수에 따른 층이 형성되도록 다수회 감아서 형성되며, 상기 복수층의 튜브의 층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유지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상기 복수의 튜브가 개별적으로 각각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철부와, 상기 철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들 사이에 삽입 지지되어 층간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철부와 간격유지부는 서로 교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외주면에 방열수단이 구비됨과 아울러 일정한 길이를 갖는 튜브를 적어도 3열 이상의 홀수열이 되도록 지그 재그 벤딩하여 판상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판상부를 상기 튜브의 벤딩 회수에 따른 층이 형성되도록 다수회 감아서 형성되며, 상기 복수층의 튜브의 층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유지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상기 복수의 튜브가 개별적으로 각각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철부와, 상기 철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들 사이에 삽입 지지되어 층간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철부와 간격유지부는 서로 교대로 배치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가장 기본적인 실시예를 1열짜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중 적어도 2열 이상의 짝수열의 일례로 10열짜리에 해당되는 열교환기의 일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방향에서 바라본 열교환기의 다른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C방향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짝수열의 열교환기가 감겨지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간격유지부재와 튜브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상태에서 다수회 감겨진 상태에서 튜브와 간격유지부재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중 적어도 3열 이상의 홀수열의 일례로 3열짜리에 해당되는 열교환기가 감겨지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3열짜리 열교환기의 일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기본적인 실시예로 1열짜리에서와 같이,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회 감아 평탄하게 형성함과 아울러 외주면에 소정 구간에 걸쳐 방열수단(20)이 일체로 형성하며, 양단이 관통된 튜브(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방열수단(20)이 구비된 소정 길이의 튜브(10)를 준비한 다음, 감는 기계를 이용하여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회 감아 평탄하게 판상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10a,10b는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열교환매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로서, 유입구와 배출구의 위치는 특정되지 않는다.
즉, 10a를 유입구로 하면 10b는 배출구가 되고, 10a를 배출구로 하면 10b는 유입구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1열짜리 이외에도 2열 이상의 짝수열이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외주면에 방열수단이 구비됨과 아울러 일정한 길이를 갖는 튜브를 적어도 2열 이상의 짝수열이 되도록 지그 재그 벤딩하여 판상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판상부를 상기 튜브의 벤딩 회수에 따른 층이 형성되도록 다수회 감아서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10)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적어도 2열 이상의 짝수열이 되게 배치되고, 최전방측열 튜브(10)의 외곽측에 위치한 외곽측 단부(11)와 최후방측열 튜브(10)의 외곽측에 위치한 외곽측 단부(12)에는 각각 열교환 매체가 유입/배출되도록 유입구(11a)와 배출구(12a)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1a)를 통해 유입된 열교환 매체가 배출구(12a)를 통해 배출되도록 단일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11a)와 배출구(12a)를 제외한 나머지 튜브(10)의 단부들은 "U"자형 벤딩부(1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벤딩부(13)는 본 발명에서 별도 부재를 부착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제조 공정 과정에서 함께 형성되는 것이다.
즉, 일정한 길이의 튜브(10)를 다수열이 되도록 지그 재그 방향으로 벤딩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 후술하는 벤딩부(13) 역시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혀둔다.
좀더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열의 튜브(10)를 2열씩 한조로 하여 튜브(10)의 중심측 단부와 이웃한 다른 튜브(10)의 중심부에 위치한 중심측 단부를 서로 짝을 지워 연통 가능하게 상기 벤딩부(13)를 매개로 연결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과 후방측의 튜브(10) 사이에 해당되는 복수열의 튜브(10)를 2열씩 한조로 하여 튜브(10)의 외곽측 단부와 이웃한 다른 튜브(10)의 외곽측에 위치한 외곽측 단부를 서로 짝을 지어 연통 가능하게 벤딩부(13)를 매개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유입구(11a)를 통해 유입된 열교환 매체가 배출구(12a)를 통해 배출되도록 단일 통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짝수열을 갖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튜브(10)를 일정한 길이로 지그 재그 벤딩하여 10줄이 되게 제작한다.
여기서, 튜브(10)의 벤딩되는 부분은 전술한 벤딩부(13)가 되는 것으로, 이 벤딩부(13)는 본 발명에서 튜브(10)와 동일한 재질의 한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10줄이 되게 지그재그 벤딩한 상태에서 별도의 감는 기계를 이용하여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회 감아 평탄하게 형성한다.
이제까지는 본 발명의 짝수열의 구조를 갖는 열교환기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적어도 3열 이상의 홀수열을 갖는 열교환기로도 구현 가능한데, 이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방열수단(20)이 구비됨과 아울러 일정한 길이를 갖는 튜브(10)를 일정한 길이로 지그 재그 벤딩하여 적어도 3열 이상의 홀수열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회 감아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부언하면, 외주면에 방열수단(20)이 구비됨과 아울러 일정한 길이를 갖는 튜브(10)를 적어도 3열 이상의 홀수열이 되도록 지그 재그 벤딩하여 판상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판상부를 상기 튜브(10)의 벤딩 회수에 따른 층이 형성되도록 다수회 감아서 형성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튜브(10)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 도록 적어도 3열 이상의 홀수열이 되게 배치된다.
최전방측열 튜브(10)의 외곽측에 위치한 외곽측 단부와 최후방측열 튜브의 중심부에 위치한 중심측 단부에는 각각 열교환 매체가 유입/배출되도록 유입구(11a)와 배출구(1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11a)를 통해 유입된 열교환 매체가 배출구(12a)를 통해 배출되도록 단일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11a)와 배출구(12a)를 제외한 나머지 튜브(10)의 단부들은 서로 벤딩부(13)를 매개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도 11에 도시된 3열짜리의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튜브(10)를 제작한 후 별도의 감는 기계로 감아서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짝수열 및 홀수열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는 층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유지수단(30)이 구비된다.
상기 간격유지수단(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튜브(10)가 개별적으로 각각 삽입되는 삽입홈(31a)이 형성된 철부(31)와, 상기 철부(31)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10)들 사이에 삽입 지지되어 층간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철부(31)와 간격유지부(32)는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간격유지수단(30)을 구비함에 따라 외부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열교환기의 튜브와 이웃한 튜브가 서로 접촉되거나 층간 간격이 변형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간격유지수단(30)의 장착 시점은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지그재그 벤딩되어 판상부 상태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튜브(10)를 감기하기 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부(31)의 삽입홈(31a)에 튜브(0)가 삽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간격유지부(32)가 튜브(10)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여 다수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튜브(10)를 다수회 감기전에 미리 간격유지수단(30)을 장착하기 때문에 제작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열수단(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10)의 외면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핀부로 이루어지며, 이 핀부는 상기 튜브(1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별도의 커터를 이용하여 일정 깊이로 절개하되 튜브(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절개한 후, 이 절개된 부분을 소정 각도로 일으켜 세워서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60 : 열교환기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이며, 미설명부호 50은 서포터(60)이 장착되는 장착부재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를 냉장고, 김치 냉장고, 공기조화장치등에 적용하여 일례로 냉매등의 열교환매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2a)에 대응되는 전면에 송풍수단(미도시)이 설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압축기(미도시)를 작동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열교환 매체가 유입구(11a)를 통해 강제 유입된 후, 튜브를 따라 지그재그 방향으로 이송된 다음, 최종적으로 배출구(12a)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열교환기의 전면인 C방향에 설치된 송풍수단(미도시)을 작동시 키면, 공기가 강제로 열교환기의 전면을 통해 복수열의 튜브(10) 사이를 통과한 후, 열교환기(10)의 후면방향(B방향)으로 토출된다.
이때, 열교환 매체가 송풍수단과 직접 대응하지 않은 열교환기의 후면측(B방향)에서 최초 유입되기 때문에 이 열교환 매체는 열교환기의 전방향측(C방향)으로 갈수록 주변 공기와 열교환하면서 열교환기의 전방측(C방향)에 위치한 배출구(12a)를 통해 토출된다.
아울러, 송풍수단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가 열교환기의 전방향측에서 최소 송풍된 후 후방측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열교환 매체가 파이프의 주변 공기와 최대한 효율적으로 열교환될 수 있는 이른바 카운터 플로우가 실현되는 것이다.
여기서, 카운터 플로우는 공기측 온도와 열교환매체(냉매)측의 온도 차이가 최대한 커지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열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튜브를 제작한 후, 복수열이 되게 지그재그 벤딩한 상태에서 별도의 감는 기계를 이용하여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회 감아 평탄하게 형성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여 대량 생산을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생산 원가를 줄일 수 있는 있점이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에 따르면, 열교환 매체와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키면서 최대한 효율적으로 되는 카운터 플로우가 실현 되도록 함과 벤딩부의 개수를 최대한 줄여 벤딩시 발생되는 불량을 최소화하며, 제조 과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생산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외주면에 방열수단(20)이 구비됨과 아울러 일정한 길이를 갖는 튜브(10)를 적어도 2열 이상의 짝수열이 되도록 지그 재그 벤딩하여 판상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판상부를 상기 튜브(10)의 벤딩 회수에 따른 층이 형성되도록 다수회 감아서 형성되며, 상기 복수층의 튜브(10)의 층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유지수단(30)이 구비되되,
    상기 간격유지수단(30)은, 상기 복수의 튜브(10)가 개별적으로 각각 삽입되는 삽입홈(31a)이 형성된 철부(31)와, 상기 철부(31)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10)들 사이에 삽입 지지되어 층간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철부(31)와 간격유지부(32)는 서로 교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외주면에 방열수단(20)이 구비됨과 아울러 일정한 길이를 갖는 튜브(10)를 적어도 3열 이상의 홀수열이 되도록 지그 재그 벤딩하여 판상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판상부를 상기 튜브(10)의 벤딩 회수에 따른 층이 형성되도록 다수회 감아서 형성되며, 상기 복수층의 튜브(10)의 층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유지수단(30)이 구비되되,
    상기 간격유지수단(30)은, 상기 복수의 튜브(10)가 개별적으로 각각 삽입되는 삽입홈(31a)이 형성된 철부(31)와, 상기 철부(31)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10)들 사이에 삽입 지지되어 층간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철부(31)와 간격유지부(32)는 서로 교대로 배치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수단(20)은,
    상기 튜브(10)의 외면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핀부이며,
    상기 핀부는 상기 튜브(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050019987A 2005-03-10 2005-03-10 열교환기 KR100731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987A KR100731537B1 (ko) 2005-03-10 2005-03-10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987A KR100731537B1 (ko) 2005-03-10 2005-03-10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016A KR20060099016A (ko) 2006-09-19
KR100731537B1 true KR100731537B1 (ko) 2007-06-22

Family

ID=3763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987A KR100731537B1 (ko) 2005-03-10 2005-03-10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861B1 (ko) 2021-04-07 2021-11-22 우양에이치씨(주) 대형 구조물의 설치 및 유격변형에 대응할 수 있는 가이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453B1 (ko) * 2006-08-17 2007-10-30 주식회사 한국번디 턴핀 열교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5267A (ko) * 1974-02-25 1975-09-09
JPS50147245A (ko) * 1974-05-15 1975-11-26
JP2003028583A (ja) * 2001-07-16 2003-01-29 Daikin Ind Ltd 熱交換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5267A (ko) * 1974-02-25 1975-09-09
JPS50147245A (ko) * 1974-05-15 1975-11-26
JP2003028583A (ja) * 2001-07-16 2003-01-29 Daikin Ind Ltd 熱交換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861B1 (ko) 2021-04-07 2021-11-22 우양에이치씨(주) 대형 구조물의 설치 및 유격변형에 대응할 수 있는 가이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016A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7773B1 (en)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refrigeration cycle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heat exchanger
WO2014091782A1 (ja) 扁平管熱交換器、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213120197U (zh) 双排折弯式换热器
JP2007170718A (ja) 熱交換器
WO2013116177A2 (en) Method for fabricating flattened tube finned heat exchanger
US7013961B2 (en) End plate for heat exchangers,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31537B1 (ko) 열교환기
JP3952080B2 (ja) 室内機
WO2019203115A1 (ja) 扁平多穴管、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03097891A (ja) 熱交換器
US6883599B2 (en) Heat exchanger with corrugated plate
JP5531103B2 (ja) 熱交換器
KR20120051450A (ko) 냉장고용 응축기 및 그 제조방법
EP2135016B1 (en) A condenser
JP2008051352A (ja) 熱交換器、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0169347B1 (ko) 열교환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75908A (ko) 열교환장치
KR100442186B1 (ko) 응축기
KR100213132B1 (ko) 초음파용접기를 이용한 와이어핀형 응축기의 제조방법
EP2009382B1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ure thereof
KR20170042138A (ko) 다열 열교환기
KR100455921B1 (ko) 응축기 및 그 제작방법
KR100895806B1 (ko)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KR200228935Y1 (ko) 열교환기
KR0126750Y1 (ko)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