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671B1 - 철망을 이용한 오브제 조형물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오브제 조형물 - Google Patents

철망을 이용한 오브제 조형물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오브제 조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671B1
KR102508671B1 KR1020220116968A KR20220116968A KR102508671B1 KR 102508671 B1 KR102508671 B1 KR 102508671B1 KR 1020220116968 A KR1020220116968 A KR 1020220116968A KR 20220116968 A KR20220116968 A KR 20220116968A KR 102508671 B1 KR102508671 B1 KR 102508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dough material
sculpture
pedes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옥
Original Assignee
정기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옥 filed Critical 정기옥
Priority to KR1020220116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망을 이용한 오브제 조형물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철망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볼륨감 및 인위적이지 않은 외관 표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기존 방식에 비해 보다 차별화된 작품 표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서 일정 높이를 이루는 다수의 개별 받침대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받침대 배치단계와; 테두리 부위를 따라 철망틀에 결합된 형상의 철망을 상기 받침대 상부에 수평으로 안착시키는 철망 안착단계와; 상기 철망의 상면에 점토를 주재료로 하는 반죽재료를 일정 두께로 투입하여 형성시키는 반죽재료 투입단계와; 상기 반죽재료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일부 반죽재료가 철망을 통과하도록 하는 가압단계와; 상기 반죽재료의 상면을 평탄하게 성형하는 평탄화 단계와; 상기 반죽재료의 상부에 캔버스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캔버스 부착단계와; 상기 철망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있던 철망틀을 분리시키는 철망틀 분리단계와; 상기 철망틀 분리 후 반죽재료의 테두리 부위에 노출된 철망을 절단하는 철망 마감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망을 이용한 오브제 조형물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오브제 조형물{Method for producing objet sculpture using wire mesh and objet sculpture produc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조형물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술작품 등과 같은 조형물의 제작시 철망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볼륨감 및 입체감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오브제 조형물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오브제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술작품 또는 실내 장식용 조형물의 경우 점토 등과 같은 반죽 재료를 일정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하거나, 표면에 음각 형태로 모양을 표현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의 조형물 제작방법은 예술가가 의도하는 특정 형상 및 모양을 단순히 반죽 재료를 이용하여 입체 형태적으로 구현하는 등의 획일화된 방식을 사용함으로 인해 작품의 차별성 및 입체감 표현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89721호(2012.10.04.등록)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0-0073419호(2000.12.05.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 구현이 가능한 반죽재료 및 철망을 이용하여 기존 방식과 차별화될 수 있는 창의적이면서 볼륨감이 향상된 조형물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조형물 제작방법은, 지면에서 일정 높이를 이루는 다수의 개별 받침대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받침대 배치단계와; 테두리 부위를 따라 철망틀에 결합된 형상의 철망을 상기 받침대 상부에 수평으로 안착시키는 철망 안착단계와; 상기 철망의 상면에 점토를 주재료로 하는 반죽재료를 일정 두께로 투입하여 형성시키는 반죽재료 투입단계와; 상기 반죽재료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일부 반죽재료가 철망을 통과하도록 하는 가압단계와; 상기 반죽재료의 상면을 평탄하게 성형하는 평탄화 단계와; 상기 반죽재료의 상부에 캔버스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캔버스 부착단계와; 상기 철망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있던 철망틀을 분리시키는 철망틀 분리단계와; 상기 철망틀 분리 후 반죽재료의 테두리 부위에 노출된 철망을 절단하는 철망 마감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 배치단계에서는 받침대가 철망틀을 받쳐주기 위해 주변을 따라 모서리 부위에 배치가 이루어지며, 중앙 부위에는 철망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철망 받침대가 추가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형물 제작방법은, 철망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볼륨감 및 인위적이지 않은 외관 표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기존 방식에 비해 보다 차별화된 작품 표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조형물 내부에 철망이 구비됨으로써 작품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조형물의 변형 내지는 파손 발생이 방지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받침대에 철망 안착 전 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받침대에 철망이 안착된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철망 상부에 반죽재료가 투입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반죽재료 가압에 따른 변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반죽재료에 캔버스가 결합되기 전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반죽재료에 캔버스가 접착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조형물 완성 상태 단면 구조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조형물 작품 실물 사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형물 제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받침대 배치단계>
먼저, 받침대 배치단계에서는 지면에서 일정 높이를 이루는 다수의 개별 받침대(10)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받침대(10)가 이후 단계에서 안착이 이루어지는 철망틀(30)을 받쳐주기 위해 주변을 따라 모서리 부위에 각각 배치가 이루어지며, 중앙 부위에는 철망(2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철망 받침대(11)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철망 받침대(11)는 철망(20)과 직접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철망 받침대 (11) 상단부에는 도 3에서와같이 이격부재(12)가 구성되어 철망을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이격부재(12)는 철망(20)의 매쉬간격 보다 큰 머리부를 갖는 못이 일정 높이로 돌출 구비됨으로써, 철망(20)의 매쉬가 통과되지 못하고 접촉을 최소화하는 가운데 철망(20)의 수평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철망 안착단계>
상기 받침대(10,11)의 배치가 완료되면 철망(20)을 수평 상태로 안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철망(20)의 테두리 부위를 따라 철망틀(30)이 결합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는 철망틀(30)은 나사 등과 같은 부재에 의해 착탈이 가능한 조립형 구조를 이룸으로써, 추후 철망(20)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반죽재료 투입단계>
이후, 상기 철망(20)의 상면에 일정 점성을 갖는 반죽재료(40)를 도 5에서와같이 일정 두께로 투입하여 형성시키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투입되는 반죽재료(40)는 석회석 가루와 물의 혼합물인 핸디코트를 사용하게 되는데, 핸디코트에 접착제를 소정 비율로 혼합 반죽한 후 일정 두께의 사각 형태로 성형하여 숙성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성형된 반죽재료(40)를 철망(20) 상면에 빈틈없이 깔아주게 된다.
<가압단계>
상기 반죽재료(40)가 일정 두께로 성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도 6에서와같이 반죽재료(40)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일부 반죽재료가 철망을 통과하도록 하는 가압단계를 실시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판 형상의 도구를 사용하여 원하는 가압력으로 반죽재료(40)를 가압하게 되면, 하부에서 반죽재료(40)의 일부가 철망(20)을 통과하면서 조밀한 격자형상의 볼륨이 형성되는데, 가압력은 반죽재료(40) 상면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해지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상이한 가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가압 과정에서 철망(20)의 중심부에서 하중 및 가압력에 의한 처짐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철망 받침대 (11)상단부에 돌출 구비된 이격부재(12)가 철망(20)을 받쳐주고 있기 때문에 처짐 현상 발생이 방지되는 가운데 안정적인 수평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평탄화 단계>
이와 같은 가압단계가 완료되면 철망(20)이 반죽재료(40) 내부에 매립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후 상기 반죽재료(40)의 상면을 평탄하게 성형하는 평탄화 단계가 실시된다.
<캔버스 부착단계>
이후, 평탄면을 이루는 상기 반죽재료(40)의 상부에 캔버스(50)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키게 되는데, 이때에는 캔버스(50)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반죽재료(40)와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호 간에 접착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철망틀 분리단계>
상기 캔버스(50) 접착이 완료되면, 철망(20)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있던 철망틀(30)을 분리시키는 철망틀 분리단계가 실시되는데, 이때에는 사각 형상을 이루는 철망틀(30)의 각 모서리 부위에 체결되어 있던 체결나사를 분리시킴으로써 철망틀(30)이 4개로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철망 마감절단 단계>
그리고, 상기 철망틀(30) 분리 후 반죽재료(40)의 테두리 부위에 노출된 철망(20)의 단부를 절단하는 철망 마감절단 단계가 실시되며, 이후 반죽재료(40)가 건조되기 전에 전면의 볼륨 형성 부위를 추가적으로 미세하게 손질하는 미세작업 및 건조 후 안료를 칠하거나 스프레이 하여 색상을 부여하는 마무리 작업을 통해 조형물 작품이 완성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작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형물은 후면을 캔버스(50)가 지지하는 가운데, 전면에는 철망의 격자 모양에 대응되는 격자홈(42)이 형성되면서 미세한 돌기 형상이 나타내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형물 제작방법은, 철망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볼륨감 및 인위적이지 않은 외관 표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기존 방식에 비해 보다 차별화된 작품 표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조형물 내부에 철망이 구비됨으로써 작품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조형물의 변형 내지는 파손 발생이 방지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조형물 제작과정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철망이 사각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철망의 형상은 경우에 따라 원형 또는 다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반죽재료 또한 핸디코트 외에도 점토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가 단독 내지는 혼합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받침대 11 : 철망 받침대
12 : 이격부재 20 : 철망
30 : 철망틀 40 : 반죽재료
42 : 격자홈 50 : 캔버스

Claims (5)

  1. 지면에서 일정 높이를 이루는 다수의 개별 받침대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받침대 배치단계와;
    테두리 부위를 따라 철망틀에 결합된 형상의 철망을 상기 받침대 상부에 수평으로 안착시키는 철망 안착단계와;
    상기 철망의 상면에 점토를 주재료로 하는 반죽재료를 일정 두께로 투입하여 형성시키는 반죽재료 투입단계와;
    상기 반죽재료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일부 반죽재료가 철망을 통과하도록 하는 가압단계와;
    상기 반죽재료의 상면을 평탄하게 성형하는 평탄화 단계와;
    상기 반죽재료의 상부에 캔버스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캔버스 부착단계와;
    상기 철망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있던 철망틀을 분리시키는 철망틀 분리단계와;
    상기 철망틀 분리 후 반죽재료의 테두리 부위에 노출된 철망을 절단하는 철망 마감절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 배치단계에서는 받침대가 철망틀을 받쳐주기 위해 주변을 따라 모서리 부위에 배치가 이루어지며, 중앙 부위에는 철망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철망 받침대가 추가로 배치되고,
    상기 철망 받침대가 철망과 직접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철망 받침대 상단부에는 이격부재가 구성되어 철망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이격부재는 철망의 매쉬간격 보다 큰 머리부를 갖는 못이 일정 높이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철망 안착단계에서는 철망틀은 받침대에 안착이 이루어짐과 함께 철망은 이격부재에 구비된 머리부에 의해 지지되어 반죽재료의 무게로 인한 처짐 발생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을 이용한 오브제 조형물 제작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의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되어 전면에 입체적인 매쉬 문양이 표현되고, 내부에는 철망이 매립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을 이용한 오브제 조형물.
KR1020220116968A 2022-09-16 2022-09-16 철망을 이용한 오브제 조형물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오브제 조형물 KR102508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968A KR102508671B1 (ko) 2022-09-16 2022-09-16 철망을 이용한 오브제 조형물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오브제 조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968A KR102508671B1 (ko) 2022-09-16 2022-09-16 철망을 이용한 오브제 조형물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오브제 조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671B1 true KR102508671B1 (ko) 2023-03-10

Family

ID=8557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968A KR102508671B1 (ko) 2022-09-16 2022-09-16 철망을 이용한 오브제 조형물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오브제 조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6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419A (ko) 1999-05-10 2000-12-05 황치하 점토를 이용한 장식용 조형물의 제작방법
KR100761070B1 (ko) * 2006-08-04 2007-09-21 이종부 다목적 건축내장재 제조방법
KR100798888B1 (ko) * 2007-07-27 2008-01-29 주광 황토 흙을 이용한 실내장식품 및 그 이용방법
KR20120062206A (ko) * 2010-12-06 2012-06-14 주식회사 수리산업 고강도 테라조 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89721B1 (ko) 2009-07-14 2012-10-10 주식회사공간세라믹 점토벽돌 소지를 이용한 친환경 점토조형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점토조형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419A (ko) 1999-05-10 2000-12-05 황치하 점토를 이용한 장식용 조형물의 제작방법
KR100761070B1 (ko) * 2006-08-04 2007-09-21 이종부 다목적 건축내장재 제조방법
KR100798888B1 (ko) * 2007-07-27 2008-01-29 주광 황토 흙을 이용한 실내장식품 및 그 이용방법
KR101189721B1 (ko) 2009-07-14 2012-10-10 주식회사공간세라믹 점토벽돌 소지를 이용한 친환경 점토조형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점토조형물
KR20120062206A (ko) * 2010-12-06 2012-06-14 주식회사 수리산업 고강도 테라조 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52932A (en) Tile and grouting assembly
KR102508671B1 (ko) 철망을 이용한 오브제 조형물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오브제 조형물
US20130129961A1 (en) Method for producing crystal decoration elements
CN102581927A (zh) 人造石英石加工工艺
CN205777258U (zh) 一种新型大理石复合板
CN109483683A (zh) 一种家具台面的制造方法
KR101049181B1 (ko) 광투과성 수지계 강화 천연석의 제조방법
US537703A (en) Process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osaics
KR102239432B1 (ko) 도판형 도자기 장식물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판형 도자기 장식물
CN101294357B (zh) 连续型树脂织物
CN104790605B (zh) 建筑墙面涂敷装饰工艺
JPH01165864A (ja) 石板パネル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CN210798114U (zh) 一种可回收利用的3d马赛克
CN210767496U (zh) 一种仿水晶碎石的玻璃空心板
CN203142256U (zh) 马赛克制作模具
KR20100011058A (ko) 목재화병 제작방법
CN204102531U (zh) 蛋糕模型
JP3196307U (ja) 模様付き軟質材及び照明・模様付き軟質材
CN214575386U (zh) 一种用于顶面或背景墙装饰的方格造型结构
JP7253726B2 (ja) 水廻り部材及び水廻り部材の製造方法
CN107599138A (zh) 一种三维通体纹理瓷砖的制造方法
CN211380630U (zh) 型材相框
JPS6273906A (ja) コルク基材の製造方法
CN201587274U (zh) 弧形悬面工艺画
CN104590657A (zh) 拼接型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