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329B1 - 플렉서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329B1
KR102508329B1 KR1020160112240A KR20160112240A KR102508329B1 KR 102508329 B1 KR102508329 B1 KR 102508329B1 KR 1020160112240 A KR1020160112240 A KR 1020160112240A KR 20160112240 A KR20160112240 A KR 20160112240A KR 102508329 B1 KR102508329 B1 KR 102508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my
layer
flexible film
transparent electrod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5052A (ko
Inventor
정해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2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329B1/ko
Priority to US15/690,516 priority patent/US10454048B2/en
Priority to TW106129476A priority patent/TWI640966B/zh
Priority to CN201710764211.6A priority patent/CN107797697B/zh
Priority to EP17188739.1A priority patent/EP3291073B1/en
Publication of KR20180025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using temporary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장치의 슬림화를 위해 구비되는 플렉서블 필름을 선 패터닝하고 이후 글래스 제거시 플렉서블 필름 주변의 구조가 물리적 외력으로 함께 제거되는 구조에서 이용되는 것으로, 플렉서블 필름 가장 자리 구조를 변경하여, 플렉서블 필름의 절단되는 면에서 파티클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플렉서블 필름 주변의 손상을 방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 장치 {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를 변경하여, 글래스 기판이 플렉서블 필름으로부터 제거되는 구조에서, 글래스 기판과 함께 제거되는 플렉서블 필름의 더미부와의 경계에 보조 패턴을 구비하여, 데미지를 방지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 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지 않으며 장치의 컴팩트화 및 선명한 컬러 표시를 위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경쟁력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고려되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라는 자발광 소자를 서브 화소에 포함하여, 각 서브 화소별로 유기 발광 소자의 동작에 의해 표시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는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자발광 소자로 조명 장치에서도 이용될 수 있어, 최근 조명 업계에서도 유기 발광 소자의 개발이 주목되고 있다. 또한, 유기 발광 소자는 별도의 광원 유닛이 요구되지 않아, 플렉서블 표시 장치나 투명 표시 장치에도 이용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두께가 점차로 얇아지며 접을 수 있는 형태로도 발전되고 있다. 또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에 부응하여 화면을 표시하도록 터치 스크린을 부가한 형태로 이용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터치 스크린을 부가한 형태로 플렉서블한 표시 장치를 구현시, 슬림화 및 연성화를 위해 어레이 공정을 글래스 기판 상에 진행한 후, 두꺼운 글래스 기판을 제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글래스 기판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스크라이빙 라인 부위에서 파티클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손상이 관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조를 변경하여, 글래스 기판이 플렉서블 필름으로부터 제거되는 구조에서, 글래스 기판과 함께 제거되는 플렉서블 필름의 더미부와의 경계에 보조 패턴을 구비하여, 데미지를 방지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장치의 슬림화를 위해 구비되는 플렉서블 필름을 선 패터닝하고 이후 글래스 제거시 플렉서블 필름 주변의 구조가 물리적 외력으로 함께 제거되는 구조에서 이용되는 것으로, 플렉서블 필름 가장 자리 구조를 변경하여, 플렉서블 필름의 절단되는 면에서 파티클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플렉서블 필름 주변의 손상을 방지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 주변의 데드 영역으로 구분되는 플렉서블 필름과,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상기 액티브 영역에 구비된 전극 어레이와,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데드 영역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패드 전극을 갖는 패드부와, 상기 전극 어레이와 상기 복수개의 패드 전극을 연결하는 라우팅 배선과, 상기 복수개의 패드 전극으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가장자리까지 구비된 더미 투명 전극 배선 및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과 접하여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보다 큰 폭으로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가장자리에 닿는 더미 금속 패턴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더미 금속 패턴은 상기 패드 전극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필름과 상기 더미 금속 패턴의 층간에 무기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더미 금속 패턴은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어레이는 금속 메쉬와 상기 금속 메쉬를 덮는 투명 전극의 이중층으로 이루어진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금속 메쉬는 상기 더미 금속 패턴과 동일층이며,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과 동일층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우팅 배선은 상기 더미 금속 패턴과 동일층의 제 1 층과,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과 동일층의 제 2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층이 제 1 층보다 폭이 넓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더미 금속 패턴은 Cu층 및 MoTi의 적층이며,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은 ITO, IZO, ITZO, IGZO 중 어느 하나의 단일층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 주변의 데드 영역으로 구분되는 제 1 플렉서블 필름과,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의 상기 액티브 영역에 구비된 터치 전극 어레이와,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의 데드 영역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터치 패드 전극을 갖는 터치 패드부와,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와 상기 복수개의 터치 패드 전극을 연결하는 라우팅 배선과, 상기 복수개의 터치 패드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의 가장자리까지 구비된 더미 투명 전극 배선과, 상기 더미 라우팅 배선과 접하여 상기 더미 라우팅 배선보다 큰 폭으로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가장자리에 닿는 더미 금속 패턴과,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와 대향되어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갖는 제 2 플렉서블 필름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와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 사이에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패드부에 대응되어 상기 제 2 플렉서블 필름 상에 더미 패드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드부와 더미 패드부는 이방성 도전성 필름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플렉서블 필름을 이용한다. 그리고, 플렉서블 필름은 글래스 기판 상에 플렉서블 필름을 도포한 후, 어레이 공정 전에 패터닝되어 그 형상이 정해진다. 따라서, 어레이 공정은 패터닝된 플렉서블 필름에 적용된다. 이러한 어레이 공정 중 플렉서블 필름의 가장 자리(에지)에 대응하여 큰 폭의 금속 더미 패턴을 형성하여, 글래스 기판을 레이저 조사하여 제거시 함께 제거되는 플렉서블 기판 하측의 구성과 주변 의 구성이 입자로 분산됨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플렉서블 기판의 가장자리를 지나는 ITO 배선 하측에 금속 더미 패턴을 구비하여, 직접적으로 ITO가 레이저에 반응되어 파티클로 분산됨을 방지한다.
둘째, 금속 더미 패턴은 터치 전극 어레이를 이루는 전극의 하부 구성인 금속 메쉬와 동일층에서 형성하여, 추가의 재료나 마스크 추가를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중 상부 글래스 기판과 제 1 플렉서블 필름을 나타낸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나타내는 제 1, 제 2 플렉서블 필름과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필름의 합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
도 5는 비교예에서 제 1 플렉서블 필름의 절단면에서 발생되는 투명 전극 뜯김 현상을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따른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I~I' 선상, Ⅱ~Ⅱ'선상, Ⅲ~Ⅲ'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터치 전극 어레이 및 라우팅 배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상부 글래스 기판 제거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은 Ⅳ~Ⅳ' 선상 및 V~V' 선상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중 상부 글래스 기판과 제 1 플렉서블 필름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나타내는 제 1, 제 2 플렉서블 필름과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필름의 합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조 공정은 다음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하부 글래스 기판(미도시)을 마련한 후, 하부 글래스 기판 상에 제 2 플렉서블 필름을 도포하고, 그 위에 도 3a와 같이, 각 TFT 기재 단위 셀(40)별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형성한다(10S). 각 TFT 기재 단위 셀(40)은 중앙에 액티브 영역(AA)과 액티브 영역의 주변의 외곽 영역을 갖고, 외곽 영역 중 일변이 상대적으로 면적을 더 크게 하여, TFT 패드부(45)를 갖는다. 그리고, 양측 외곽에 더미 패드부(47)가 마련되어, 이후의 상부에 합착될 터치 기재 단위 셀의 터치 패드부(도 3b의 130 참조)와 대응 접속된다. 상기 TFT 기재 단위 셀(4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형성 공정 중에는 개별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영역만이 구분되어 형성된다. 즉,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형성 공정 중 복수개의 TFT 기재 단위 셀(40)을 갖는 모기판인 하부 글래스 기판 상에 제 2 플렉서블 필름은 패터닝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형성이 TFT 기재 단위 셀(40)별로 분리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상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형성한다. 이 경우, 액티브 영역은 복수개의 서브 화소로 구분되며, 상기 TFT 기재 단위 셀(40)에서 각 서브 화소별로 박막 트랜지스터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접속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상부 글래스 기판(10)을 마련한 후, 상부 글래스 기판(10) 상에, 희생층(미도시, 도 7a 내지 도 7c의 50 참조) 형성 후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을 도포한 후, 포토 공정을 통해 터치 기재 단위 셀별로 패터닝한다. 이어, 도 3b와 같이, 상기 터치 기재 단위 셀별로 액티브 영역(AA)에 터치 전극 어레이(도 11의 200 참조)를 형성하고, 액티브 영역 외부의 외곽 영역 일부에 터치 패드부(130)를 형성한다(20S). 즉, 터치 전극 어레이(도 11의 200 참조) 및 터치 패드부(130) 형성시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은 상부 글래스 기판(10)에 남아 있다.
한편,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은 대략 0.5㎛ 내지 10㎛의 범위의 얇은 무색 포토 아크릴 또는 폴리 이미드 등의 유기물 필름이다. 이는 별도의 부착형 필름이 아니라 글래스 기판 상에 물질을 도포하여 성막한 얇은 막으로, 일반적인 낱개의 개별 플라스틱 필름 대비 매우 얇은 수준으로,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연성화에 더욱 도움이 된다.
이어, 도 3c와 같이,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도 11의 310 참조)가 대면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접착층(도 11의 400 참조)을 개재하여 합착한다(30S).
이어, 상부 글래스 기판(10)을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거한다(40S).
이어, 도 3a와 같은 형상으로, 상기 TFT 기재 단위 셀(40)별로 스크라이빙 하고(50S), 하부 글래스 기판측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하부 글래스 기판을 제거한다(60S). 이 과정에서 단위셀별로 합착된 패널이 형성된다.
최종적으로 상하부 글래스들이 제거된 후 합착된 패널의 형상은 도 3c와 같이,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이 상대적으로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의 TFT 기재 단위 셀(40)의 패드부에 대응된 부위에서 오픈된 형상으로 작게 형성된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비교예에서 제 1 플렉서블 필름의 절단면에서 발생되는 투명 전극 뜯김 현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상술한 제조 공정을 살펴보면, 터치 전극 어레이가 위치하는 제 1 플렉서블 필름(20)에 대해, 포토 공정을 통해 단위 셀별로 먼저 형상이 정해지도록 패터닝이 이루어지고, 이후의 어레이 공정이 진행되어, 도 4와 같이, 제조 공정 중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지하고자 형성되는 쇼팅바(55)는 패터닝된 제 1 플렉서블 필름(20)을 거쳐 상부 글래스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된다. 상기 쇼팅바(55)는 터치 패드 전극(31)과 연결 배선(33)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이후의 상부 글래스 기판 제거 과정에서, 터치 기재 단위 셀별로 제 1 플렉서블 필름(20)이 물리적으로 구분시 쇼팅바(55) 등과 제 1 플렉서블 필름(20)은 나뉜다.
상기 연결 배선(33)은 제 1 플렉서블 필름(20)이 형성된 부분 상에 위치하는 영역과 제 1 플렉서블 필름(20)이 아닌 상부 글래스 기판(10) 상에 직접 형성되는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부 글래스 기판(10)을 레이저로 제거하는 경우, 제 1 플렉서블 필름(20)이 상부 글래스 기판(10) 상에 직접 형성된 영역은 투명한 상부 글래스 기판(10)을 투과한 레이저에 의해 상기 연결 배선(33)이 반응하게 된다. 고 에너지에 반응된 입자가 파티클로 떨어져 나오게 되고, 이는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20) 상의 구성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배선(33)은 ITO와 같은 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투명 전극이 도 5와 같이, 제 1 플렉서블 필름(20)의 외측의 연결 배선(33)뿐만 아니라 하나로 연결된 연결 배선(33)의 특성상 제 1 플렉서블 필름(20) 상의 연결 배선(33)까지 뜯기는 현상도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뜯겨진 연결 배선(33)과 연결된 터치 패드 전극은 취약하며, 터치 구동시 오작동의 위험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플렉서블 필름의 절단면의 구성을 변경하여, 이러한 손상 및 연결 배선의 뜯김을 방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부 글래스 기판 제거 전 터치 전극 어레이 형성 후의 제 2 플렉서블 필름 상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따른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며,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I~I' 선상, Ⅱ~Ⅱ'선상, Ⅲ~Ⅲ'선상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도 6 내지 도 7a 내지 도 7c 과 도 8과 같이, 액티브 영역(AA)과 상기 액티브 영역 주변의 데드 영역으로 구분되는 제 1 플렉서블 필름(120)과,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의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구비된 전극 어레이(도 8의 200 참조)와,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의 데드 영역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패드 전극(131)을 갖는 터치 패드부(130)와, 상기 전극 어레이(200)와 상기 복수개의 패드 전극(131)을 연결하는 라우팅 배선(127)과, 상기 복수개의 패드 전극(131)으로부터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의 가장자리까지 구비된 더미 투명 전극 배선(133) 및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127)과 접하여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133)보다 큰 폭으로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의 가장자리에 닿는 더미 금속 패턴(135)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영역은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의 상측의 돌출부로, 터치 패드부(130)에 인접한 영역이다. 상부 글래스 기판(100) 상에는,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120)과 함께, 분리된 더미 기재(120a) 상에도 상기 복수개의 더미 금속 패턴(135)이 함께 놓여진다. 그리고, 상기 더미 기재(120a) 상으로 복수개의 더미 금속 패턴(135)과 함께 지나는 복수개의 더미 투명 전극 배선(133)이 연장되어 지나고,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133)은 쇼팅바(137)를 통해 복수개의 더미 투명 전극 배선(133)이 연결된다. 쇼팅바(137)는 더미 투명 전극 배선(133)과 동일층의 투명 전극과 더미 금속 패턴(135)이 섬상으로 적층된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더미 투명 전극 배선(133)은 쇼팅바(137)의 투명 전극과 일체형이다.
이 경우, 상기 쇼팅바(137)는 터치 전극 어레이를 형성하는 공정 중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터치 전극 어레이를 형성하는 공정 중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은 상부 글래스 기판(10) 상에 희생층(50)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여 있다.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은 상부 글래스 기판(10) 제거시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터치 전극 어레이가 형성되는 안쪽면은 복수 무기 버퍼층(125)이 구비된 후, 그 상부에 터치 전극 어레이(200)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은 터치 전극 어레이 형성 전 도 6의 도시된 형상으로 구분되어 패터닝되며, 터치 전극 어레이를 형성하는 공정 중 금속 메쉬 패턴과 동일층에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120)과 더미 기재부(120a)에 각각 걸치도록 더미 금속 패턴(135)을 형성한다. 더미 금속 패턴(135)은 차광성의 금속 재료로 예를 들어, Cu층 및 MoTi층의 적층체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레이저 조사시 레이저의 에너지에 반응성이 낮거나 반응하지 않는 금속 재료일 수 있다. 다른 예로 Mo/Al의 적층체, Ti/Al/Ti 등 그 밖의 레이저에 대한 반응성이 낮은 금속층 혹은 금속 적층체의 경우로 대체 가능하다.
상기 더미 금속 패턴(135)과 동일층에 터치 패드 전극(131) 및 더미 기재부(120a) 상의 쇼팅바(137)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더미 금속 패턴(135)의 상부를 지나며 상기 터치 패드 전극(131) 및 쇼팅바(137)에 각각 연결되도록 더미 투명 전극 배선(13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133)은 상기 더미 금속 배선(135)에 비해 작은 폭으로 형성하여, 차광성의 더미 금속 패턴(135)에 가려져 레이저 조사시 레이저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더미 금속 패턴(135)은 상기 터치 패드 전극(131)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하는 것으로, 터치 패드 전극(131)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예를 들어 일종의 섬상(island type)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더미 금속 패턴(135)은 레이저 공정에서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의 안쪽에 형성되는 더미 투명 전극 배선(133)의 손상이나 이로 인한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보강 패턴으로, 전기적 신호는 인가되지 않는다.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133) 상부에는 보호막 등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이방성 도전 필름이 프레스 공정시 패드부(130)를 넘어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133) 상부로 퍼질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드부(131)는 대향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가 형성되는 제 1 플렉서블 필름 측의 더미 패드부와 만나며, 이 부위에 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해 터치 패드 전극과 더미 패드부 내 더미 패드 전극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터치 전극 어레이 및 라우팅 배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여, 터치 전극 어레이(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복수 무기 버퍼층(125) 상에 금속 메쉬(141)가 격자 형상으로 각각 서로 교차하는 제 1 전극(210)과 제 1 전극(220)에 접속되어 구비된다. 상기 금속 메쉬(141)는 그리고, Cu층 및 MoTi층의 이중층으로 이루어지며, 상술한 더미 금속 패턴(135)과 동일 공정에서 형성된다. 다만 금속 메쉬(141)는 제 1, 제 2 전극(210, 220)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보조적으로 구비되는 수단으로 액티브 영역에서는 넓은 폭으로 구비시 시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액티브 영역(AA)에서는 금속 메쉬(141)는 제 1, 제2 전극(210, 220)보다는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전극(210, 220)은 상기 금속 메쉬(141) 상부에 올라오며, 동일한 마스크의 하프톤 또는 멀티톤 패턴을 이용하여 금속 메쉬(!41)와 제 1, 제 2 전극(210, 220)을 함께 패터닝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 2 전극(210, 220)은 ITO, IZO, IGZO, ITZO 등의 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133)과 동일 공정에서 형성된다.
상기 금속 메쉬(141) 및 제 1, 제 2 전극(210, 220)을 덮으며, 무기막 성분의 제 1 층간 절연막(128) 및 유기막 성분의 제 2 층간 절연막(129)이 구비되고, 서로 이격된 상기 제 2 전극(220)들은 제 2 층간 절연막(129) 및 제 1 층간 절연막(128)은 콘택홀을 구비하여 이를 통해 접속되는 브리지 전극(129)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라우팅 배선(127)은 금속 메쉬 성분의 제 1 층(127a)과 투명 전극 성분의 제 2 층(127b)의 적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층(127b)은 상기 제 1 층(127a)을 덮는 형상으로 더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의 제 1층(127a)의 금속 성분을 보호하기 그 부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라우팅 배선(127)은 그 제 1 층(127a)과 제 2 층(127b)이 각각 더미 금속 패턴(135)과 더미 투명 전극 배선(133)과 동일 공정에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장치의 슬림화와 연성화를 위해 상기 상부 글래스 기판(10)이 제거된다.
제거 방식은 상부 글래스 기판(10)의 하측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희생층(50)을 태워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으로부터 상부 글래스 기판(10)을 분리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은 더미 기재(120a)와 구분되어 패터닝된 것으로, 상기 상부 글래스 기판(10) 제거시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의 주변 구성도 상기 상부 글래스 기판(10)과 함께 제거된다.
이 경우, 더미 금속 패턴(135)이 레이저가 조사되는 하측에 가깝게 있어, 상측의 더미 투명 전극 배선(133)에 레이저 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투명 전극 입자 발생을 막아 공정을 안정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상부 글래스 기판 제거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도 9는 Ⅳ~Ⅳ' 선상 및 V~V' 선상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b와 같이, 상부 글래스 기판(10)을 레이저 조사로 제거 후에는 이미 패터닝된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의 경계로 측상 분리가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더미 금속 패턴(135)이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뉜다.
즉, 상기 더미 라우팅 배선과 접하여 상기 더미 라우팅 배선보다 큰 폭으로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의 가장자리에 닿도록 더미 금속 패턴(135)이 남게 되며, 상기 더미 금속 패턴(135) 상부에 더미 투명 전극 배선(133)이 남아 있다.
즉, 유기막의 성막면이나 부착면이 없는 복수 무기층(125) 이상의 층들은 상부 글래스 기판과 함께 제거되어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의 가장 자리에서 측상 분리된다.
한편, 상술한 예는 터치 전극 어레이(터치 스크린)을 포함한 플렉서블 기재의 가장자리의 더미 패턴에 대해 살펴보았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글래스 기판 제거 전 먼저 형상이 정의되는 플렉서블 필름의 가장자리라면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과 같이,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액티브 영역(AA)과 상기 액티브 영역 주변의 데드 영역으로 구분되는 제 1 플렉서블 필름(120)과,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의 상기 액티브 영역에 구비된 서로 교차하는 제 1, 제 2 전극(210, 220)을 포함하는 터치 전극 어레이(200)와,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의 데드 영역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터치 패드 전극(131)을 갖는 터치 패드부(130)와,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200)와 상기 복수개의 터치 패드 전극(131)을 연결하는 라우팅 배선(133)과, 상기 복수개의 터치 패드 전극(131)으로부터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120)의 가장자리까지 구비된 더미 투명 전극 배선(133)과,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200)와 대향되어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310)를 갖는 제 2 플렉서블 필름(40)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310)와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200) 사이에 접착층(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2 플렉서블 필름(40)은 유색성의 플렉서블 필름으로 폴리 이미드, 포토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 글래스 기판에서 그 형상의 분리는 하부 글래스 기판의 제거 공정 직전 스크라이빙 공정을 적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장치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플렉서블 필름을 이용한다. 그리고, 어레이 공정 중의 내열성이 약한 플렉서블 필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상하 글래스 기판 상에 플렉서블 필름을 도포하여 어레이 공정이 진행된다. 상하 글래스 기판 중 상부 글래스 기판 상의 플렉서블 필름은 그 두께가 얇고 상부 글래스 기판 상에 코팅 공정으로 성막되므로, 어레이 공정 전에 패터닝되어 그 형상이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어레이 공정은 패터닝된 플렉서블 필름에 적용된다. 이러한 어레이 공정 중 플렉서블 필름의 가장 자리(에지)에 대응하여 큰 폭의 금속 더미 패턴을 형성하여, 글래스 기판을 레이저 조사하여 제거시 함께 제거되는 플렉서블 기판 하측의 구성과 주변의 구성이 입자로 분산됨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플렉서블 기판의 가장자리를 지나는 ITO 배선 하측에 금속 더미 패턴을 구비하여, 직접적으로 ITO가 레이저에 반응되어 파티클로 분산됨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 더미 패턴은 터치 전극 어레이를 이루는 전극의 하부 구성인 금속 메쉬와 동일층에서 형성하여, 추가의 재료나 마스크 추가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20: 제 1 플렉서블 필름 125: 복수 무기 버퍼층
130: 터치 패드부 131: 터치 패드 전극
133: 더미 투명 전극 배선 135: 더미 금속 패턴
137: 쇼팅바 141: 금속 메쉬
210: 제 1 전극 220: 제 2 전극
310: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400: 접착층

Claims (18)

  1.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 주변의 데드 영역으로 구분되는 플렉서블 필름;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상기 액티브 영역에 구비된 전극 어레이;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데드 영역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패드 전극을 갖는 패드부;
    상기 전극 어레이와 상기 복수개의 패드 전극을 연결하는 라우팅 배선;
    상기 복수개의 패드 전극으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가장자리까지 구비된 더미 투명 전극 배선; 및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과 접하여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보다 큰 폭으로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가장자리에 닿는 더미 금속 패턴을 포함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금속 패턴은 상기 패드 전극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필름과 상기 더미 금속 패턴의 층간에 무기 버퍼층을 더 포함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금속 패턴은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 하측에 위치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어레이는 금속 메쉬와 상기 금속 메쉬를 덮는 투명 전극의 이중층으로 이루어진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메쉬는 상기 더미 금속 패턴과 동일층이며,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과 동일층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배선은 상기 더미 금속 패턴과 동일층의 제 1 층과,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과 동일층의 제 2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층이 제 1 층보다 폭이 넓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금속 패턴은 Cu층 및 MoTi의 적층이며, 상기 더미 투명 전극 패턴은 ITO, IZO, ITZO, IGZO 중 어느 하나의 단일층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9.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 주변의 데드 영역으로 구분되는 제 1 플렉서블 필름;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의 상기 액티브 영역에 구비된 터치 전극 어레이;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의 데드 영역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터치 패드 전극을 갖는 터치 패드부;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와 상기 복수개의 터치 패드 전극을 연결하는 라우팅 배선;
    상기 복수개의 터치 패드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 플렉서블 필름의 가장자리까지 구비된 더미 투명 전극 배선;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과 접하여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보다 큰 폭으로 상기 플렉서블 필름의 가장자리에 닿는 더미 금속 패턴;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와 대향되어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갖는 제 2 플렉서블 필름;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와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 사이에 접착층을 포함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부에 대응되어 상기 제 2 플렉서블 필름 상에 더미 패드부를 갖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부와 더미 패드부는 이방성 도전성 필름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금속 패턴은 상기 터치 패드 전극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필름과 상기 더미 금속 패턴의 층간에 무기 버퍼층을 더 포함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금속 패턴은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 하측에 위치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는 금속 메쉬와 상기 금속 메쉬를 덮는 투명 전극의 이중층으로 이루어진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메쉬는 상기 더미 금속 패턴과 동일층이며,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과 동일층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배선은 상기 더미 금속 패턴과 동일층의 제 1 층과, 상기 더미 투명 전극 배선과 동일층의 제 2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층이 제 1 층보다 폭이 넓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
  18.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금속 패턴은 Cu층 및 MoTi의 적층이며, 상기 더미 투명 전극 패턴은 ITO, IZO, ITZO, IGZO 중 어느 하나의 단일층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0160112240A 2016-08-31 2016-08-31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08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240A KR102508329B1 (ko) 2016-08-31 2016-08-31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5/690,516 US10454048B2 (en) 2016-08-31 2017-08-30 Flexible display device
TW106129476A TWI640966B (zh) 2016-08-31 2017-08-30 可撓式顯示裝置
CN201710764211.6A CN107797697B (zh) 2016-08-31 2017-08-30 柔性显示装置
EP17188739.1A EP3291073B1 (en) 2016-08-31 2017-08-31 Flexi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240A KR102508329B1 (ko) 2016-08-31 2016-08-31 플렉서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052A KR20180025052A (ko) 2018-03-08
KR102508329B1 true KR102508329B1 (ko) 2023-03-09

Family

ID=5977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240A KR102508329B1 (ko) 2016-08-31 2016-08-31 플렉서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54048B2 (ko)
EP (1) EP3291073B1 (ko)
KR (1) KR102508329B1 (ko)
CN (1) CN107797697B (ko)
TW (1) TWI6409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415B1 (ko) * 2016-11-30 2024-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61547B1 (ko) * 2018-10-30 2023-07-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200116577A (ko) * 2019-04-01 2020-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251148B2 (en) * 2020-01-28 2022-02-15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array power pads, and associated semiconductor device packages and systems
KR20210115113A (ko) * 2020-03-11 2021-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10117380A (ko) 2020-03-18 2021-09-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EP4053686A4 (en) 2020-06-30 2023-01-18 BOE Technology Group Co., Ltd. TOUCH STRUCTURE AND TOUCH DISPLAY PANEL
KR20220021966A (ko) 2020-08-13 2022-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이의 제조 방법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3332A1 (en) 2000-09-19 2002-05-30 Yoshihide Yamaguchi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device-mounted structure
US20060107143A1 (en) 2004-10-13 2006-05-18 Kim Yang W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76122B (en) 2000-12-29 2002-02-11 Ind Tech Res Inst Assembling method of non-transparent flat display panel
US7649525B2 (en) 2005-01-04 2010-01-19 Tpo Displays Corp. Display systems with multifunctional digitizer module board
JP5260912B2 (ja) * 2007-07-31 2013-08-14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271521B1 (ko) * 2009-11-23 2013-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702074B1 (ko) 2010-11-09 2017-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패널의 제조방법
CN103176643A (zh) 2011-12-26 2013-06-26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触控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469485B1 (ko) * 2012-08-13 2014-12-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40062916A1 (en) 2012-08-28 2014-03-06 Lg Display Co., Ltd.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341030B1 (ko) * 2012-08-29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40104185A1 (en) * 2012-10-15 2014-04-17 Htc Corporation Touch display device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6113563B2 (ja) 2013-04-15 2017-04-12 株式会社片岡製作所 部材の製造方法
DE102014100246A1 (de) 2014-01-10 2015-07-16 Polyic Gmbh & Co. Kg Kapazitives Sensorelement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azu
KR102229018B1 (ko) 2014-06-02 2021-03-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정전기 방지를 위한 정전기 방지 전극이 배선된 터치 패널
KR102271659B1 (ko) * 2014-08-29 2021-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95584B1 (ko) 2014-10-31 2021-08-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287329B1 (en) * 2014-12-30 2016-03-15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chamfered polarization layer
CN104656990B (zh) 2015-02-10 2018-01-09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触控模组及其制造方法
CN105988627B (zh) 2015-02-25 2020-06-30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3332A1 (en) 2000-09-19 2002-05-30 Yoshihide Yamaguchi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device-mounted structure
US20060107143A1 (en) 2004-10-13 2006-05-18 Kim Yang W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40966B (zh) 2018-11-11
US20180062092A1 (en) 2018-03-01
US10454048B2 (en) 2019-10-22
EP3291073A1 (en) 2018-03-07
CN107797697B (zh) 2020-12-01
TW201812721A (zh) 2018-04-01
KR20180025052A (ko) 2018-03-08
EP3291073B1 (en) 2020-02-19
CN107797697A (zh) 201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8329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7919380B (zh) 一种柔性触控显示屏的制作方法
TWI624052B (zh) 有機發光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JP6487300B2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179047A1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8158953A1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012271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84022B1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2868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8807470B (zh) 触控显示屏的制作方法
CN108091675B (zh)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
WO2018176896A1 (zh) 静电放电单元、阵列基板和显示面板
KR20070063314A (ko)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264925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064751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95611B1 (ko)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JP2013025125A (ja) 表示装置
KR102511040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80954A (ko)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3549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TWI600958B (zh) 電泳顯示面板及其製作方法
KR102089309B1 (ko)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1193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06461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90052842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