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121B1 - 베일러용 네트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베일러 - Google Patents

베일러용 네트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베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121B1
KR102508121B1 KR1020200150929A KR20200150929A KR102508121B1 KR 102508121 B1 KR102508121 B1 KR 102508121B1 KR 1020200150929 A KR1020200150929 A KR 1020200150929A KR 20200150929 A KR20200150929 A KR 20200150929A KR 102508121 B1 KR102508121 B1 KR 102508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net
baler
cam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4636A (ko
Inventor
김용주
이남규
김완수
전현호
백승민
백승윤
문석표
아부 아윱 시디크 엠디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0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121B1/ko
Publication of KR20220064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0841Drives for ba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01F2015/0725Film dispensers for film rollers in a satellite type wrapper, e.g. holding and tensioning means for the film roller

Abstract

본 발명은 베일러에 의해 생성된 원형베일의 외곽을 감싸주는 네트의 장력을 조절하여 원형베일에 감기는 네트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원형베일이 원활하게 형성되고 네트의 내부에서 원형베일의 혐기성 발효가 일정하게 발생하도록 하는 베일러용 네트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베일러에 관한 것으로,
베일러용 장력조절장치는 베일러에 구비되어 베일을 감싸주는 네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베일러용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전기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장력해제용 캠이 구비된 캠구동기어; 네트가 감겨있는 네트롤을 정지시키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부재;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브레이크부재를 작동시키는 패드암; 캠구동기어의 장력해제용 캠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패드암의 일측 단부를 가압하는 장력해제용 링크부재; 및 캠구동기어에 의해 회전되며 캠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네트유입롤러에 벨트로 연결된 롤러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베일러용 네트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베일러{TENSION CONTROL APPARATUS FOR BALER NET AND BAILER WITH IT}
본 발명은 베일러용 네트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베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일러에 의해 생성된 원형베일의 외곽을 감싸주는 네트의 장력을 조절하여 원형베일에 감기는 네트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원형베일이 원활하게 형성되고 네트의 내부에서 원형베일의 혐기성 발효가 일정하게 발생하도록 하는 베일러용 네트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베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볏짚이나 건초, 목초 등의 조사료용 작물은 손쉽게 처리·운반 및 저장하기 위해서 압축하여 결속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작업을 하는 기계를 베일러(baler)라 하고, 압축되어 결속된 조사료용 작물을 베일이라고 한다. 이러한 베일러는 조사료용 작물을 압축하여 직육면체의 베일을 생성하는 플런저(plunger) 베일러와 원통형의 베일을 생성하는 라운드(round) 베일러로 구분되고 있다.
플런저 베일러는 건초를 사각 형태로 압축하여 베일을 생성하며, 베일이 일정 길이로 성형되면 결속장치에 의해 결속되도록 함과 아울러 결속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매듭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결속시에는 노끈이나 철사를 이용하고 있다.
라운드 베일러는 건초를 원통 형태로 압축하여 베일을 생성하며, 노끈 등을 이용하여 원형베일을 결속하기도 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고압력으로 형성된 원형베일의 형상을 보전하기 위하여 베일 외곽을 비닐로 감싸도록 하고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비닐을 네트라 한다.
그리고, 원형베일의 형상을 보전하기 위한 네트는 적정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베일에 공급되어야만 하는데, 이를 위한 종래의 네트 공급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네트 공급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6)가 권취된 네트롤(1)과, 서로 맞물리게 배치되어 둘 사이로 유입된 네트(6)를 베일(5)에 공급하는 네트유입롤러(4)(7)와, 네트롤(1)에서 풀려나온 네트(6)가 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한 쌍의 네트유입롤러(4)(7) 사이로 유입되도록 네트롤(1)과 네트유입롤러(4)(7) 사이에 배치되는 부하롤러(3)와, 네트롤(1)에 구비된 브레이크드럼(2a) 및 이에 밀착되는 브레이크패드(2b)로 이루어진 브레이크부재(2)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네트롤(1)에서 풀려난 네트가 부하롤러(3)를 거치면서 적정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네트유입롤러(4)(7) 사이로 유입된 후 베일(5)에 공급되어 베일(5)을 감싸주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부재(2)는 브레이크드럼(2a)과 브레이크패드(2b)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네트롤(1)을 정지시키거나 네트롤(1)이 회전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네트가 풀리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네트 공급부는 부하롤러(3)에 의해 인가된 장력으로만 네트(6)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을 뿐 베일(5)의 직경에 따라 네트(6)의 장력을 조절할 수 없고, 이로 인해 베일(5)에 감기는 네트(6)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베일(5)에 네트(6)를 감을 때 네트(6)의 장력이 일정하지 않으면 베일 형성에 문제가 생길 뿐만 아니라 네트(6)의 장력에 따라 혐기성 발효가 일정치 않게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공개특허 제10-2008-0001670호에는, 롤 베일의 외주면에 필름을 피복해서 곤포하기 위한 롤 베일 성형 장치의 앞쪽에 배치되어서, 상기 필름을 송출하기 위한 롤 베일러에 있어서의 필름 송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 베일에 대하여 필름을 피복하고 있는 도중에 있어서, 원반 필름 롤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필름의 폭을 좁히기 위해서, 상기 필름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1쌍의 폭 좁힘 롤러가 센터링하면서 서로 접근ㆍ이격하는 구성의 폭 좁힘 장치가, 상기 원반 필름 롤 장치와 구동 롤러 장치 사이에 배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롤 베일러의 필름 송출 장치 및 롤 베일러의 필름 감기방법을 제안 및 개시되어 있고,
공개특허 제10-2011-0108948호에는, 베일링부의 사일리지를 비닐랩부의 비닐랩으로 포장하는 베일러 복합기의 작물사일리지 래핑기구에 있어서: 상기 비닐랩을 공급하는 비닐랩부를 탑재한 상태로 베일링부의 후방으로 연결되는 고정테이블; 상기 고정테이블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일리지의 수직축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회전테이블; 상기 회전테이블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일리지의 수평축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포장 완료된 비닐랩의 절단을 수행하는 절단수단;을 포함하며, 장비 효율을 높이면서 탈락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하고, 래핑을 수행하는 부분의 동선을 축소하여 컴팩트한 구조를 이룰 수 있는 베일러 복합기의 작물 사일리지 ㄹ래핑기구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제10-2136345호에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캠구동부; 상기 캠플레이트의 캠면과 접촉하는 캠롤러가 일측에 구비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 및 제3링크와, 상기 제3링크에 힌지 결합되는 제4링크로 이루어지는 링크연결부; 고무롤러와 금속롤러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롤러의 중심부에 구비되되 단부에 소정 길이만큼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롤러연장축을 포함하는 네트공급부; 상기 롤러연장축과의 상호작용으로 네트의 감김량을 설정할 수 있는 조절부와 상기 제2링크에 연동되되 상기 조절부와, 일체화되어 움직이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감김량조절부; 및 상기 네트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네트가 상기 감김량조절부에 의해 설정된 감김량만큼 베일에 감긴 후 네트를 절단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며, 작업자가 간단한 조작만으로 베일에 대한 네트의 감김량을 조절할 수 있고 그러한 감김량 조절장치를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는 네트 감김량 조절장치를 구비한 베일러를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1670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8948호 등록특허공보 제10-213634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베일러에 의해 생성된 원형베일의 외곽을 감싸주는 네트의 장력을 조절하여 원형베일에 감기는 네트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원형베일이 원활하게 형성되고 네트의 내부에서 원형베일의 혐기성 발효가 일정하게 발생하도록 하는 베일러용 네트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베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베일러용 장력조절장치는, 베일러에 구비되어 베일을 감싸주는 네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베일러용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전기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장력해제용 캠이 구비된 캠구동기어; 네트가 감겨있는 네트롤을 정지시키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부재;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브레이크부재를 작동시키는 패드암; 캠구동기어의 장력해제용 캠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패드암의 일측 단부를 가압하는 장력해제용 링크부재; 및 캠구동기어에 의해 회전되며 캠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네트유입롤러에 벨트로 연결된 롤러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브레이크부재는 롤축에 설치되는 브레이크드럼과, 패드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드홀더에 구비되어 브레이크드럼에 밀착되는 브레이크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브레이크부재는 브레이크패드가 브레이크드럼에 밀착되어 네트에 장력을 인가하고, 브레이크패드가 브레이크드럼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네트의 장력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패드암은 상단부에 장력해제용 링크부재가 접촉되는 롤러가 구비됨과 아울러 하단부에 힌지가 설치되고 힌지의 상측에 상기 브레이크부재의 패드홀더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패드암은 상단부에 롤러가 설치되고 하단부에 패드홀더와 가힌지가 설치되는 메인암과, 브레이크부재가 작동하지 않도록 메인암의 하단부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보조암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장력해제용 링크부재는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수평부 끝부분에 장력해제용 캠에 의해 승강 및 회전하는 캠롤러가 설치되고 수평부 중앙부분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메인링크와, 패드암의 선단부분을 가압하도록 메인링크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가압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장력해제용 링크부재는 메인링크의 수직부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헝성되며 가입편이 설치되는 제1보조링크와, 메인링크의 끝단부에서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균형유지용의 제2보조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일러용 네트 장력조절장치는 장력해제용 캠에 의해 회동된 장력해제용 링크부재에 의해 패드암이 회전하면서 브레이크드럼으로부터 브레이크패드가 이탈되어 네트롤로부터 네트가 풀려나도록 함과 아울러 구동링크에 의해 롤러구동풀리가 회전하면서 벨트유입롤러를 회전시켜 네트롤에서 풀려난 네트가 베일로 공급되도록 하고 공급된 네트가 베일의 회전력에 베일에 의해 감겨지도록 하므로, 네트의 장력이 자동으로 조절됨은 물론 고밀도의 베일을 항상 일정하게 생성할 수 있고 베일의 혐기성 발효 역시 일정하게 발생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레이크패드가 패드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패드홀더에 구비됨에 따라 브레이크패드와 브레이크드럼 사이의 접촉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됨은 물론 브레이크패드와 브레이크드럼의 접촉면적이 제동력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암을 구성하는 메인암과 보조암의 크기 차를 이용하여 브레이크패드를 브레이크드럼에 밀착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보조암이 브레이크부재의 브레이크패드가 연결된 부분의 반대쪽에 구비됨에 따라 더 적은 힘으로도 브레이크부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력해제용 링크부재가 캠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캠 롤러에 의해 회전되어 가압편이 패드암의 상단을 밀어줌에 따라 패드암이 회전하면서 브레이크패드가 브레이크드럼으로부터 분리되어 네트롤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게 되므로, 네트롤로부터 풀려나는 네트에 장력을 부여하거나 네트의 장력을 해제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력해제용 링크부재에 설치되는 가압편의 설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브레이크패드의 마모에 대응하여 패드암의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베일러의 네트 공급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일러용 네트 장력조절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일러용 네트 장력조절장치에서 네트에 장력을 발생시킨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일러용 네트 장력조절장치에서 네트의 장력을 해제시킨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일러용 네트 장력조절장치의 브레이크부재를 나타낸 실물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일러용 네트 장력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는 베일러에 구비되어 베일을 감싸주는 네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모터(11)에 의해 회전되며 장력해제용 캠(15)이 구비된 캠구동기어(10)와, 네트(100)가 감겨있는 네트롤(50)을 정지시키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부재(40)와, 힌지(3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브레이크부재(40)를 작동시키는 패드암(30)과, 캠구동기어(10)의 장력해제용 캠(15)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힌지(21)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패드암(30)의 일측 단부를 가압하는 장력해제용 링크부재(20) 및 캠구동기어(10)에 의해 회전되며 캠구동기어(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네트유입롤러풀리(54')에 벨트(57)로 연결된 롤러구동풀리(55)를 회전시키는 구동링크(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58은 벨트(57)의 장력조절을 위한 텐션롤러이고, 58'은 텐션롤러가 설치되는 텐션롤러 브래킷이다.
상기 장력해제용 링크부재(2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수평부 끝부분에 장력해제용 캠(15)에 의해 승강 및 회전하는 캠 롤러(22)가 설치되어 장력해제용 캠(15)의 회전에 따라 수평부 중앙부분에 설치된 힌지(21)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메인링크(20a)와, 패드암(30)의 선단부분을 가압하도록 메인링크(20a)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가압편(23)과, 메인링크(20a)의 수직부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헝성되며 가압편(23)이 설치되는 제1보조링크(20b) 및 메인링크(20a)의 끝단부에서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균형유지용의 제2보조링크(2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장력해제용 캠(15)의 회전에 연동하여 장력해제용 링크부재(20)가 회전하면서 제1보조링크(20b)에 설치된 가압편(23)을 전진시켜 패드암(30)을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패드암(30)은 회전을 통해 브레이크부재(40)의 작동을 중지시킴으로써 네트롤(10)이 회전되어 네트(100)가 풀려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캠 롤러(22)는 장력해제용 캠(15)에 맞물려 회전하는 것으로, 장력해제용 캠(15)의 회전에 따라 회전과 동시에 승강되어 메인링크(20a)가 힌지(21)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캠 롤러(22)는 장력해제용 캠(15)에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장력해제용 캠(15)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1보조링크(20b)에 가압편(23)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편(23)에는 설치공(23')이 형성된다.
이때, 설치공(23')은 상하로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압편(23)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가압편(23)에 복수개의 설치공(23')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압편(23)의 설치 위치 변경을 통해 패드암(30)의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브레이크패드(41)가 마모될 경우 패드암(30)이 더 많이 회전되도록 하여 제동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패드암(3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며 하단부에 힌지(31)가 설치되고 힌지(31)의 상측에 상기 브레이크부재(40)의 패드홀더(4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암(30a)과, 브레이크부재(40)가 작동하지 않도록 메인암(30a)의 하단부에서 메인암(30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보조암(30b)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메인암(30a)과 보조암(30b)의 길이 차이로 인해 패드암(30)이 네트롤(10) 방향으로 기울어져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브레이크부재(40)에 의해 네트롤(10)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장력해제용 링크부재(20)에 의해 패드암(30)이 회전하는 경우 보조암(30b)에 의해 회전력이 증가하여 더 작은 힘으로도 패드암(30)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메인암(30a)의 상단부에는 장력해제용 링크부재(20)의 가압편(23)이 접촉되는 롤러(3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가압편(23)과 메인암(30a)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브레이크부재(40)는 네트롤(50)에서 풀려나는 네트(10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축(51)에 설치되는 브레이크드럼(45)과, 패드암(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드홀더(42)에 구비되어 브레이크드럼(45)에 밀착되는 브레이크패드(4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부재(40)는 브레이크패드(41)가 브레이크드럼(45)에 밀착되어 네트롤(10)을 정지시킴으로써 네트(100)에 장력을 인가하고, 상기 패드암(30)의 회전에 의해 브레이크패드(41)가 브레이크드럼(45)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네트롤(1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네트(100)의 장력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패드(41)가 구비된 패드홀더(42)가 패드암(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패드암(30)이 회동할 때 패드홀더(42)가 회동됨으로써 브레이크패드(41)의 전면적이 브레이크드럼(45)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브레이크부재(40)에 의한 제동력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베일러용 장력조절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기모터(11)가 작동되면 캠구동기어(10) 및 장력해제용 캠(15)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장력해제용 링크부재(20)의 캠 롤러(22)가 회전하면서 상승 이동하게 되고, 캠 롤러(22)의 상승 이동에 따라 장력해제용 링크부재(20)가 힌지(2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어, 장력해제용 링크부재에(20) 설치된 작동편(23)이 전진 이동하면서 패드암(30)의 상단을 밀어주게 되고, 패드암(30)은 하단의 힌지(3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패드암(30)에 설치된 패드홀더(42)에 구비된 브레이크패드(41)가 브레이크드럼(45)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네트(100)가 감겨진 네트롤(50)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캠구동기어(10)에 연결된 구동링크(56)에 의해 롤러구동풀리(55)가 회전하면서 롤러구동풀리(55)에 벨트(57)로 연결된 롤러구동풀리(54')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네트유입롤러(53)(54)가 회전하여 네트(100)를 베일(도시 생략)에 공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베일의 회전에 따라 네트(100)가 베일의 외측에 감기게 되는데, 베일은 네트(100)를 당기면서 설정된 수만큼 네트(100)가 베일에 감기도록 하며, 네트(100)가 모두 감긴 후에는 네트 절낱칼(도시 생략)에 의해 네트(100)가 커팅되고 네트 유입은 정지된다.
네트(100)의 커팅이 이루어지면 전기모터(11)의 작동이 중지되므로, 캠구동기어(10) 및 장력해제용 캠(15)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때, 장력해제용 캠의(15) 형상 특성에 따라 캠 롤러(22)가 하강해 있으므로, 장력해제용 링크부재(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작동편(23)이 패드암(3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등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장력해제용 링크부재(20)가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패드암(30)의 상단에 작용하는 압력이 해제되면, 패드암(30)은 메인암(30a)과 보조암(30b)의 길이차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브레이크패드(41)가 도 3과 같이 브레이크드럼(45)에 밀착되고, 브레이크패드(41)와 브레이크드럼(45)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브레이크드럼(45)이 설치된 롤축(51) 및 네트롤(50)이 회전하지 않고 정지된다. 네트롤(50)이 정지되면 네트(100)에 장력이 부가되고, 캠구동기어(10)에 연결된 구동링크(56) 역시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네트유입롤러(53)(54)를 정지시킴으로써 네트(100)가 더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의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베일러에 의해 생성된 베일에 네트(100)가 감겨지게 되어, 혐기성 발효가 이루어지는 원형베일이 완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캠구동기어 11 : 전기모터
15 : 장력해제용 캠 20 : 장력해제용 링크부재
20a : 메인링크 20b : 제1보조링크
20c : 제2보조링크 21 : 힌지
22 : 캠 롤러 23 : 가압편
23' : 설치공 30 : 패드암
30a : 메인암 30b : 보조암
31 : 힌지 32 : 롤러
40 : 브레이크부재 41 : 브레이크패트
42 : 패드홀더 45 : 브레이크드럼
50 : 네트롤 51 : 롤축
52 : 부하롤 53 : 네트유입롤
54 : 네트유입롤 54' : 네트유입롤러풀리
55 : 롤러구동풀리 56 : 구동링크
57 : 체인 58 : 텐션롤러
58' : 텐션롤러 브래킷

Claims (10)

  1. 베일러에 구비되어 베일을 감싸주는 네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베일러용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전기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장력해제용 캠이 구비된 캠구동기어;
    네트가 감겨있는 네트롤을 정지시키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부재;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브레이크부재를 작동시키는 패드암;
    캠구동기어의 장력해제용 캠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패드암의 일측 단부를 가압하는 장력해제용 링크부재; 및
    캠구동기어에 의해 회전되며 캠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네트유입롤러에 벨트로 연결된 롤러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장력해제용 링크부재는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수평부 끝부분에 장력해제용 캠에 의해 승강 및 회전하는 캠 롤러가 설치되어 장력해제용 캠의 회전에 따라 수평부 중앙부분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메인링크와, 패드암의 선단부분을 가압하도록 메인링크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가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용 장력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재는 롤축에 설치되는 브레이크드럼과, 패드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드홀더에 구비되어 브레이크드럼에 밀착되는 브레이크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용 장력조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재는 브레이크패드가 브레이크드럼에 밀착되어 네트에 장력을 인가하고, 상기 패드암의 회전에 의해 브레이크패드가 브레이크드럼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네트의 장력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용 장력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암은 상단부에 장력해제용 링크부재가 접촉되는 롤러가 구비됨과 아울러 하단부에 힌지가 설치되고 힌지의 상측에 상기 브레이크부재의 패드홀더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용 장력조절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패드암은 상단부에 롤러가 설치되고 하단부에 패드홀더와 힌지가 설치되는 직선 형태의 메인암과, 브레이크부재가 작동하지 않도록 메인암의 하단부에서 메인암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보조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용 장력조절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해제용 링크부재는 메인링크의 수직부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헝성되며 가압편이 설치되는 제1보조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용 장력조절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가압편에 복수개의 설치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용 장력조절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해제용 링크부재는 메인링크의 끝단부에서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균형유지용의 제2보조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용 장력조절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베일러용 장력조절장치가 구비된 베일러.

KR1020200150929A 2020-11-12 2020-11-12 베일러용 네트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베일러 KR102508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929A KR102508121B1 (ko) 2020-11-12 2020-11-12 베일러용 네트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베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929A KR102508121B1 (ko) 2020-11-12 2020-11-12 베일러용 네트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베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636A KR20220064636A (ko) 2022-05-19
KR102508121B1 true KR102508121B1 (ko) 2023-03-09

Family

ID=8180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929A KR102508121B1 (ko) 2020-11-12 2020-11-12 베일러용 네트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베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1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67087A (zh) * 2022-07-08 2022-09-20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一种打捆机送网机构及工作方法
CN115399148B (zh) * 2022-09-27 2023-04-11 黑龙江德沃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圆捆打捆机送网切网机构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7917A (ja) * 2004-09-02 2006-03-16 Takakita Co Ltd ロールベーラにおけるネット・トワインの繰出し、および切断装置のコントロー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72648B1 (en) 2006-06-29 2009-04-22 Takakita Co. Ltd Film letting-off device for roll baler, and method for winding film on rolled bale
KR101170604B1 (ko) 2010-03-30 2012-08-01 주식회사 라이브맥 베일러 복합기의 작물 사일리지 래핑기구
GB2552214A (en) * 2016-07-14 2018-01-17 Kuhn-Geldrop Bv Bale wrapper and method of applying stretch film wrapping to an agricultural bale
KR102136345B1 (ko) 2019-11-13 2020-07-21 주식회사 라이브맥 네트 감김량 조절장치를 구비한 베일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7917A (ja) * 2004-09-02 2006-03-16 Takakita Co Ltd ロールベーラにおけるネット・トワインの繰出し、および切断装置のコントロ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636A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1900B2 (en) Netwrap feed and cut mechanism
KR102508121B1 (ko) 베일러용 네트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베일러
US8122685B2 (en) Method of using a meshwrap dispensing mechanism for round balers
US9980436B2 (en) Round baler with a brake system
US4729213A (en) Wrapping apparatus for round balers
US8516779B2 (en) Net wrap applicator for large round bales
EP3760032B1 (en) Variable chamber baler
GB2090560A (en) Agricultural baling machine
JP4749846B2 (ja) ロールベーラ
US11116139B2 (en) Material wrap system with automatic drive tension compensation
CN105460262A (zh) 圆捆捆扎装置
JPS61142118A (ja) 農産物茎類からなる俵の結束装置
CA2410080C (en) Round baler binding arrangement including twine tension control
KR20190121530A (ko) 베일러 픽업 구조
JP7169146B2 (ja) ロールベーラ
JP3706946B2 (ja) ストランドの送り出し引き込み速度調節装置
KR102063331B1 (ko) 베일러용 네트공급장치
US5054387A (en) Apparatus for wrapping bales with twine
EP4151075A1 (en) Baler
IT201900007605A1 (it) Imballatore connettibile ad un trattore per realizzare balle rotonde e metodo per realizzare balle rotonde
JP2607231B2 (ja) ロールベーラの結束方法
JP2607232B2 (ja) ロールベーラ
JP2528277B2 (ja) ロ−ルベ−ラの結束方法
JP2000295919A (ja) ロールベーラにおける結束装置
JPH0617446U (ja) ロ−ルベ−ラにおける結束時間短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