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972B1 -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972B1
KR102507972B1 KR1020220068087A KR20220068087A KR102507972B1 KR 102507972 B1 KR102507972 B1 KR 102507972B1 KR 1020220068087 A KR1020220068087 A KR 1020220068087A KR 20220068087 A KR20220068087 A KR 20220068087A KR 102507972 B1 KR102507972 B1 KR 102507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weight
protei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희형
안미경
이경식
이운경
박민식
Original Assignee
(주)유알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알지 filed Critical (주)유알지
Priority to KR1020220068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972B1/ko
Priority to KR1020220167626A priority patent/KR20230168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모낭속에 생성된 단백질과 약 산성으로 산도 조절된 유화제로 코팅된 캡슐층이 반응하여 젤형화되면서 모낭속을 중화된 단백질로 채워 모근을 잡아주게 됨으로 모발이 모낭에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력을 보강하여 탈모를 방지하도록 하고 또한 캡슐층 내부에 구비된 각종 영양소는 모낭속 피부로 흡수되어 모낭속 피부의 탄력성과 근력이 향상되고 따라서 모근이 튼튼해지며 모발에 영양소를 공급하여 모발이 굵고 강해져 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using protein inside of hair follicle and preparation method of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using protein inside of hair follicle}
본 발명은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모낭속에 생성된 단백질과 약 산성으로 산도 조절된 유화제로 코팅된 캡슐층이 반응하여 젤형화되면서 모낭속을 중화된 단백질로 채워 모근을 잡아주게 됨으로 모발이 모낭에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력을 보강하여 탈모를 방지하도록 하고 또한 캡슐층 내부에 구비된 각종 영양소는 모낭속 피부로 흡수되어 모낭속 피부의 탄력성과 근력이 향상되고 따라서 모근이 튼튼해지며 모발에 영양소를 공급하여 모발이 굵고 강해져 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탈모증은 다양한 요인, 즉 유전적 요인, 호르몬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에 의해, 다이어트에 의해, 그리고 신체활동에 의해 좌우된다. 모발은 필수적인 심미적 정체성 역할을 갖는다. 따라서 여성 또는 남성에서의 탈모증은 상당한 정신적 고통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일생을 통하여 건강하고 힘 있는 모발 및 숱이 많은 두발은 대부분의 여성 및 남성의 염원이다. 세포 요법, 레이저 요법 또는 그렇지 않으면 수술 없는 이식체와 같이 탈모증 치료를 위한 많은 기법이 알려져 있다. 이식체를 얻기 위하여, 인간 모낭은 모구에 존재하는 다양한 세포 유형을 배양함으로써 얻어진다.
모낭이란 모근을 싸고 있는 주머니 모양의 상피성 조직을 말하며, 모근이란 모발이 피부에 박힌 부분을 말한다. 모발은 모낭 근처에서 세포 분열이 활발히 일어나 생장하게 된다. 만약 이 세포 분열 능력이 저하되면 모낭은 위축하게 되고 피부의 얕은 부위로 이동한다. 정상적으로는 세포 분열 능력을 다시 획득하게 되어 생성된 신생 세포군이 피부의 깊은 곳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모낭이 형성되고 모발이 자라나 묵은 모발을 밀어내는데, 이와 같은 '모발의 교환'이 일어나지 않으면 탈모증이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개발된 탈모의 최적 치료방법은 모발이식이지만, 탈모 초기에는 FDA 승인을 받아 시중에 판매되는 외용제 미녹시딜 (Minoxidil)이나 경구투여제인 피나스테라이드 (finasteride)를 주성분으로 하는 프로페시아(Propecia) 등으로도 탈모 진행을 둔화시킬 수 있다.
초기 탈모 치료에 유용한 유효물질을 찾아내기 위해 쥐를 제모한 후 시료를 등에 도포한 후 발모현상을 관찰한 것, 쥐의 콧수염을 이용한 생체 외 기관배양을 통해 IGF (Insulin-like growth factor), EGF (Epidermal growth factor), HGF(Hepatocyte growth factor) 등의 성장인자의 영향을 확인하는 동물 실험을 진행해왔지만 일정한 주기로 털갈이를 하는 설치류와 달리 사람은 모낭마다 별개의 주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성장인자에 대한 경향이 모두 일치하지는 않았다. 반면, 원숭이 모델의 경우 사람과 경향은 유사하지만 시간과 실험비용의 부담이 너무 크다. 또한, 최근 동물 보호 차원에서 동물을 이용한 생체 실험이 사회적으로 비판을 받고 있으며 법적으로도 규제가 되고 있어서, 동물 시험을 대체할 생체 외독성 검사 모델의 개발이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생체 실험과 달리 생체 외 실험의 경우에는 세포 배양 시 혈관을 통한 영양이나 산소 공급이 차단된 상황이므로 장기간의 실험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효능성분의 효과를 확인하기 전에 인공조직의 급속한 세포사로 인해 실험이 종결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으므로 생체 외 실험의 경우 인공조직의 기능을 생체와 유사한 환경으로 조성하여 장기간 유지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모낭 기관 배양을 이용한 체외 모발 성장모델로는 액침 배양으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에 혈청을 10 중량% 첨가한 후 유리병 안에서 배양한 연구, 산소압을 증가시키고 31℃에서 RPMI 1640 배지로 배양하는 경우, 일반적인 배양 온도인 37℃에서 배양하는 것보다 길이 성장속도와 길이 증가량은 감소되지만 모구의 형태변화는 적게 나타난 것들이 있다.
한편 종래, 여러 종류의 탈모방지 및 발모제는 일반적으로 두피에 도포하는 배합약제로서 주로 두피의 혈행촉진, 모발 모세포의 활성화, 두피의 지질 분비 억제, 두발의 영양 보급 등을 목적으로 한 것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예외 없이 발모 효과가 거의 없는 것이 현재 실정이며, 또 양모제라고 불리는 것도 사용자가 그 효과를 인식할 수 없으면서도 만일의 기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부적당한 농도의 호르몬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피부에 염증을 일으키고 함께 배합된 알콜의 자극 때문에 발모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탈모가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7880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24499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첫째, 두피에 도포되면 두피의 표면에 생성된 단백질 및 각질 등과 약 산성으로 산도 조절된 유화제로 이루어진 캡슐층이 반응하여 두피로부터 각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두피를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고,
둘째, 모낭속에 생성된 단백질과 약 산성으로 산도 조절된 유화제로 코팅된 캡슐층이 반응하여 젤형화되면서 모낭을 채워 모근을 잡아주어 모발이 모낭에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력을 보강하여 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셋째, 두피와 모낭속 표피에 캡슐층 내부에 구비된 각종 영양소가 흡수되어 두피와 모낭속 피부의 탄력성과 근력이 향상되고 따라서 모낭이 튼튼해지며 모발에 영양소를 공급하여 모발이 굵고 강해져 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베이스로 사용되는 카페인추출물과, 모발촉진 성분을 갖는 제1천연식물군에서 추출한 모발촉진추출물과, 피부자극완화 성분을 갖는 제2천연식물군에서 추출한 피부자극완화추출물과, 피부재생 효과가 있는 제3천연식물군에서 추출한 피부재생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영양추출물을 준비하는 원료준비공정과; 상기 원료준비공정에 의해 획득된 혼합영양추출물을 발효시키는 발효공정과; 상기 발효공정에 의해 생성된 발효수에 혼합되어 있는 균주와 이물질을 흡착하여 분리 정제한 여과수를 원심분리하는 고농도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고농도발효추출물획득공정과; 상기 고농도 발효추출물의 피부 흡수가 용이하도록 나노 크기로 제조하는 나노화공정과; 상기 나노화공정이 완료된 기능성 영양소인 고농도 발효추출물과 약 산성으로 개질된 유화제를 혼합하여 캡슐화하는 혼합캡슐화공정과; 상기 캡슐화된 혼합물의 크기를 나노화 시키는 듀얼 리포좀공정과; 상기 캡슐화된 혼합물의 크기를 나노화 시키는 듀얼 리포좀공정; 순서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혼합영양추출물 100중량%에 대하여 카페인추출물 40~10중량%, 모발촉진추출물 35~45중량%, 피부자극완화추출물 10~17중량%, 피부재생추출물 15~23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pH 5.5~6.5 범위를 갖도록 산도 조절된 유화제는 레시틴(Lecithin), 솔비탄(Sorbitan),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포스포리피드(Phospolipi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원심분리 할 때 용기에 여과수를 넣고 진공을 형성시켜 50~6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인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구현은 탈모방지 조성물에 있어서, 베이스로 사용되는 카페인추출물과, 모발촉진 성분을 갖는 제1천연식물군에서 추출한 모발촉진추출물과, 피부자극완화 성분을 갖는 제2천연식물군에서 추출한 피부자극완화추출물과, 피부재생 효과가 있는 제3천연식물군에서 추출한 피부재생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영양추출물을 나노 크기로 리포좀화한 후 유화제를 나노 크기의 혼합영양추출물에 혼합하고 다시 나노 크기로 리포좀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혼합영양추출물 100중량%에 대하여 카페인추출물 카페인추출물 40~10중량%, 모발촉진추출물 35~45중량%, 피부자극완화추출물 10~17중량%, 피부재생추출물 15~23중량%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pH 5.5~6.5 범위를 갖도록 산도 조절된 유화제는 레시틴(Lecithin), 솔비탄(Sorbitan),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포스포리피드(Phospolipi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pH 5.5~6.5 범위를 갖도록 산도 조절된 유화제는 2.0~5.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조성물의 나노캡슐 크기의 평균이 50~120n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두피에 도포되면 두피의 표면에 생성된 단백질 및 각질 등과 유화제로 이루어진 캡슐층이 반응하여 두피로부터 각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두피를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고,
둘째, 모낭속에 생성된 단백질과 유화제로 코팅된 캡슐층이 반응하여 젤형화되면서 모낭을 채워 모근을 잡아주어 모발이 모낭에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력을 보강하여 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셋째, 두피와 모낭속 표피에 캡슐층 내부에 구비된 각종 영양소가 흡수되어 두피와 모낭속 피부의 탄력성과 근력이 향상되고 따라서 모낭이 튼튼해지며 모발에 영양소를 공급하여 모발이 굵고 강해져 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제조공정도.
도 2는 나노화공정을 실시하지 않은 혼합영양추출물과 나노화공정을 수행한 혼합영양추출물의 피부 흡수력의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 중 혼합캡슐화공정을 수행한 조성물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사진.
도 4는 본 발명 중 듀얼 리포좀공정을 수행한 조성물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인 모낭속 단백질과 탈모방지 조성물이 반응하여 모낭 속에 젤형화되어 중화된 단백질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제조공정도로써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천연식물에서 피부암 예방, 모발성장 촉진, 보습 효과 등이 있는 카페인을 추출하여 베이스로 사용되는 카페인추출물과, 모발촉진 성분을 갖는 제1천연식물군에서 추출한 모발촉진추출물과, 피부자극완화 성분을 갖는 제2천연식물군에서 추출한 피부자극완화추출물과, 피부재생 효과가 있는 제3천연식물군에서 추출한 피부재생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영양추출물을 준비하는 원료준비공정(S100)을 수행한다.
상기 원료준비공정(S100)은 카페인을 추출할 수 있는 천연식물과, 구기자, 감초, 진피, 대추, 자소엽, 인삼, 검은콩, 백하수오, 어성초, 녹차로 이루어진 제1천연식물군과, 녹차, 은행잎, 감잎, 산수유열매, 민들레, 자소엽, 더덕, 오가피, 뽕나무열매, 도라지, 감초 등으로 이루어진 제2천연식물군과, 엉겅퀴, 오미자, 진피, 대추, 현미, 둥굴레 뿌리, 다시마 등으로 이루어진 제3천연식물군을 깨끗하게 세정하고 60℃에서 24~48시간 건조시킨 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건조시킨 후 깨끗한 삼베 주머니에 각각의 천연식물 및 천연식물군을 담아 약 24시간 동안 재건조를 실시하고 증류수 또는 물이 준비된 용기에 삼베 주머니를 넣고 가열한다. 이때 발생된 수증기를 포집함으로 추출물을 포집한다.
이때 상기 혼합영양추출물 100중량%에 대하여 카페인추출물 40~10중량%, 모발촉진추출물 35~45중량%, 피부자극완화추출물 10~17중량%, 피부재생추출물 15~23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원료준비공정(S100)에서 사용되는 추출방법을 증기 추출법으로 한정하는 이유는 잔류 용매가 발생하지 않고 용매 선정의 어려움이 없으며 추출법이 간편 간단하고 저비용 고효율적이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원료준비공정(S100)에 의해 수득된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준비된 혼합영양추출물에 바실러스 발효 균주를 첨가하여 혼합영양추출물을 발효시키는 발효공정(S200)을 실시한다.
상기 혼합영양추출물을 발효시키는 발효공정(S200)은 상기 추출물 100중량%에 대하여 발효균을 10~20 중량%로 혼합하여 35~40℃ 온도에서 24~72 시간 동안 발효시킨다.
상기에서와 같이 혼합영양추출물을 발효시키는 이유는 고분자 기질을 갖는 혼합영양추출물을 저분자 기질로 변화시켜 두피(피부) 흡수에 용이 및 항균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며 상기 두피(피부) 흡착성, 두피(피)부자극도 및 모발 탄력성과 두피개선도에 대하여 아래 표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실험 1]
<실험예>
카페인추출물 25.0중량%, 모발촉진추출물 40.0중량%, 피부자극완화추출물 15.0중량%, 피부재생추출물 20.0중량%를 혼합한 혼합영양추출물 100ml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미 발효한 상기 혼합영양추출물을 남자 15명과 여자 15명, 총 30명으로 하여금 두피(피부) 흡수성, 두피(피)부자극도 및 모발 탄력성에 대한 검사(5점 측정법)를 실시하였다. 두피개선도에 대해서는 휴대용 두피측정기로 30일 동안 5일 간격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실시예 1>
상기 혼합영양추출물을 발효시킨 혼합영양추출물 100ml를 제조하여 남자 15명과 여자 15명, 총 30명으로 하여금 관능 두피(피부) 흡수력, 두피(피부)자극도 및 모발 탄력성 등에 대한 관능평가를 설문을 실시하여 아래 표1과 같이 나타내었다. 두피개선도에 대해서는 휴대용 두피측정기로 30일 동안 5일 간격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두피 흡수력 두피 자극도 모발 탄성력 두피개선도
비교예 1
미 발효 혼합영양추출물(종래)
매우적음 자극이 조금 있음 보통 4.13
실시예 1
발효된 혼합영양추출물(본 발명)
빠름 자극이 없음 좋음 4.82
Figure 112022058507575-pat00001
실험방법 : Disk Diffusion method
상기 원료준비공정(S100)에 의해 획득된 혼합영양추출물을 발효시키는 상기 발효공정(S200)에 의해 발효액에 혼합되어 있는 균체와 이물질을 흡착하여 분리 정제한 여과수를 원심분리하는 고농도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고농도발효추출물획득공정(S300)을 수행한다.
상기 고농도발효추출물획득공정(S300)은 발효공정(S200)이 완료된 발효액을 약산성을 갖는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며 또한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한 발효액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원심분리시키면 이전 과정에서 제거되지 못한 미립자 이물질 및 균체는 하부에, 유효성분이 포함된 용액은 상부로 상 분리가 일어나게 되고 상분리가 발생된 원심분리기에서 상등액을 분리하여 용기에 1~2일 동안 저장 및 숙성함으로 고농축의 혼합영양추출물을 획득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획득된 고농도의 혼합영양추출물 유효성분을 피부 진피층까지 안전하고 안정하게 전달하여 피부 흡수가 용이하도록 10~50nm크기로 제조하는 나노화공정(S400)을 수행한다.
상기 나노화공정(S400)은 혼합영양추출물을 40~50℃ 온도가 되도록 한 후 상기 온도를 갖는 혼합영양추출물을 패드 믹서에 넣고 60~100rpm으로 서서히 교반하고 이를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2,500~3,500rpm으로 약 2~4분 정도 교반하고 상기 교반작업이 완료되면 마이크로플로다이저에서 700~1,000bar 압력으로 3회 반복 처리한다.
한편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화공정(S400)을 실시하지 않은 혼합영양추출물과 나노화공정(S400)을 수행한 혼합영양추출물의 피부 흡수력의 차이를 살펴보면 본 발명과 같이 나노화공정(S400)을 실시한 혼합영양추출물의 피부 흡수력이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나노화공정(S400)이 완료된 고농도의 혼합영양추출물과, 약 산성인 유화제를 혼합하여 캡슐화하는 혼합캡슐화공정(S500)을 수행한다. 상기 유화제를 혼합 시 유화제가 pH 5.5~6.5 범위를 나타내지 않을 때에는 유화제에 산도를 조절하는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약 산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pH 5.5 이하일 경우 모발과 피부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pH 6.5 이상일 경우 단백질에 반응이 이루어질 수 없어 젤 형태로 상태변화가 일어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낭 속 단백질과 유화제로 코팅된 캡슐층이 반응하여 젤형화되면서 모낭 속이 중화된 단백질로 채워진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이 때 중화된 단백질이 모근을 잡아주면서 캡슐층 내부의 각종 영양소가 모낭 속 피부로 흡수되어 모낭 속 피부의 탄력성과 근력이 향상되고 따라서 모근이 튼튼해지며, 모발에 영양소를 공급하여 모발이 굵고 강해짐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혼합캡슐화공정(S500)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콩, 달걀 등에서 추출한 레시틴(Lecithin)을 사용하며 레시틴(Lecithin) 대용으로 솔비탄(Sorbitan),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포스포리피드(Phospolipid)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캡슐화공정(S500)시 고농도의 발효추출물 100중량%에 대하여 유화제를 2.0~5.0중량%를 첨가하면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유화제가 코팅층 즉, 캡슐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유화제로 이루어진 캡슐의 내측으로는 고농도의 혼합영양추출물이 담기게 된다.
상기 유화제를 2.0중량% 이하로 사용되면 모낭 속 단백질과 유화제로 코팅된 캡슐층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젤이 충분한 점도를 형성하지 못하고, 불안전한 상태이므로 유화제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분리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며, 상기 유화제를 5.0중량% 이상 사용하면 모낭 속 단백질과 유화제로 코팅된 캡슐층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젤의 점도가 적정 범위를 초과한 고점도가 되고, 유화제끼리 뭉치면서 불균일한 결정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혼합캡슐화공정(S500)시 고농도의 혼합영양추출물에 대하여 유화제를 2~5.0중량%를 첨가하면 표면에 유화제가 코팅층 즉, 캡슐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유화제로 이루어진 캡슐의 내측으로는 고농도의 혼합영양추출물이 담기게 된다.
상기 캡슐화된 혼합물의 크기를 다시 나노화 시키는 듀얼 리포좀공정(S600)을 실시한다. 상기 듀얼 리포좀공정(S600)은 나노화공정(S400)과 같은 공정을 한번 더 수행하는 것으로 공정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조성물의 나노캡슐 크기의 평균이 50~120nm 범위인로 제조되는데 이때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친화성이 좋은 천연성분의 추출물을 이중막으로 코팅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에서와 같이 고농도의 발효추출물을 캡슐화 한 이유는 고농도의 발효추출물을 두피에 도포 또는 분무하였을 때 고농도의 발효추출물이 모낭 속으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모낭 속으로 본 발명의 탈모방지 조성물이 들어갔을 때 모낭 속의 변화를 알 수 있는 실험을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으며, 유화제의 산도에 따른 단백질의 반응속도를 표 4를 통해 살펴보았다.
<비교예 2>
미 발효한 상기 혼합영양추출물(비교예 1)을 나노화공정을 실시한 혼합영양추출물 100ml를 준비하고 상기 나노화된 미 발효 혼합영양추출물에 단백질 펩타이드 2ml를 혼합한 후 시간대별 반응을 살펴보았다.
<실시예 2>
나노화공정을 실시한 고농도의 발효추출물 100ml에 pH 5.5의 유화제를 2ml를 혼합 하여 단백질 펩타이드를 2ml를 혼합한 후 시간대별 반응을 살펴보았다.
<실시예 3>
나노화공정을 실시한 고농도의 발효추출물 100ml에 pH 6.0의 유화제를 2ml을 혼합하고 듀얼 리포좀공정을 실시한 후 단백질 펩타이드 2ml를 혼합한 후 시간대별 점도를 살펴보았다.
1분 경과 2분 경과 3분 경과 5분 경과
비교예 2 1,200 cps 1,250 cps 1,500 cps 1,900 cps
실시예 2 1,300 cps 1,500 cps 1,900 cps 2,600 cps
실시예 3 1,600 cps 2,200 cps 3,000 cps 4,200 cps
실험 : Brookfield DV2TL VTJO Spindle : 62, Speed : 30rpm, Temperature : 25℃, Time : 30sec
유화제의 산도 반응 후 모발을 잡아당겼을 때의 인장력
pH 5.5 pH 5.8 pH 6.0 pH 6.5
비교예 2 1,750 cps 1,900 cps 1,900 cps 2,200 cps 보통
실시예 2 2,200 cps 2,500 cps 2,600 cps 2,900 cps 강함
실시예 3 3,500 cps 4,100 cps 4,200 cps 4,400 cps 아주 강함
실험 : 항온조 25℃에서 72시간 숙성 후 측정
Brookfield DV2TL VTJO Spindle : 62, Speed : 30rpm, Temperature : 25℃,
Time : 30sec
상기 유화제와 단백질이 반응하였을 때 젤형화된 반응물의 점도가 1,200~4,400cps 범위가 바람직하며 점도가 1,200cps 이하일 경우 모낭 속 단백질과 유화제로 코팅된 캡슐층이 반응하여 형성된 젤의 점도가 너무 낮기 때문에 젤의 형성이 낮아져 모근을 잡아주는 힘이 부족하여 탈모방지가 안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점도가 4,400cps 이상일 경우 모낭 속 단백질과 유화제로 코팅된 캡슐층이 반응하여 형성된 젤의 점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모낭에 채워진 젤이 모낭을 막아버려 두피 트러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캡슐 내부에 함유된 각종 영양소가 두피와 모발에 충분히 흡수되지 않아서 탈모방지 효능의 기능을 못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두피에 도포되면 두피의 표면에 생성된 단백질 및 각질 등과 유화제로 이루어진 캡슐층이 반응하여 두피로부터 각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두피를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고, 모낭속에 생성된 단백질과 유화제로 코팅된 캡슐층이 반응하여 젤형화되면서 모낭을 채워 모근을 잡아주어 모발이 모낭에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력을 보강하여 탈모를 방지할 수 있고, 두피와 모낭속 표피의 캡슐층 내부에 구비된 각종 영양소가 흡수되어 두피와 모낭속 피부의 탄력성과 근력이 향상되고 따라서 모낭이 튼튼해지며 모발에 영양소를 공급하여 모발이 굵고 강해져 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0)

  1.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천연식물에서 추출하여 베이스로 사용되는 카페인추출물 40~10중량%, 모발촉진 성분을 갖는 감초, 진피, 대추, 자소엽, 인삼, 검은콩, 백하수오, 어성초, 녹차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제1천연식물군에서 추출한 모발촉진추출물 35~45중량%, 피부자극완화 성분을 갖는 녹차, 은행잎, 감잎, 산수유열매, 민들레, 자소엽, 더덕, 오가피, 뽕나무열매, 도라지, 감초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제2천연식물군에서 추출한 피부자극완화추출물 10~17중량%, 피부재생 효과가 있는 엉겅퀴, 오미자, 진피, 대추, 현미, 둥굴레 뿌리, 다시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제3천연식물군에서 추출한 피부재생추출물15~23중량%을 혼합하여 혼합영양추출물을 준비하는 원료준비공정과;
    상기 원료준비공정에 의해 획득된 혼합영양추출물을 발효시키는 발효공정과;
    상기 발효공정에 의해 생성된 발효수에 혼합되어 있는 균주와 이물질을 흡착하여 분리 정제한 여과수를 원심분리하며, 상기 원심분리 할 때 용기에 여과수를 넣고 진공을 형성시켜 50~6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고농도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고농도 발효추출물획득공정과;
    상기 고농도 발효추출물의 피부 흡수가 용이하도록 나노 크기로 제조하는 나노화공정과;
    상기 나노화공정이 완료된 기능성 영양소인 고농도 발효추출물과 pH 5.5~6.5 범위를 갖도록 산도 조절된 유화제를 혼합하되 유화제를 발효추출물 100중량%에 대하여 2.0~5.0중량% 범위로 사용하여 캡슐화하는 혼합캡슐화공정과;
    상기 캡슐화된 혼합물의 나노캡슐 크기의 평균이 50~120nm 범위를 갖도록 나노화 시키는 듀얼 리포좀공정; 순서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탈모방지 조성물에 있어서,
    천연식물에서 추출하여 베이스로 사용되는 카페인추출물 40~10중량%, 모발촉진 성분을 갖는 감초, 진피, 대추, 자소엽, 인삼, 검은콩, 백하수오, 어성초, 녹차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제1천연식물군에서 추출한 모발촉진추출물 35~45중량%, 피부자극완화 성분을 갖는 녹차, 은행잎, 감잎, 산수유열매, 민들레, 자소엽, 더덕, 오가피, 뽕나무열매, 도라지, 감초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제2천연식물군에서 추출한 피부자극완화추출물 10~17중량%, 피부재생 효과가 있는 엉겅퀴, 오미자, 진피, 대추, 현미, 둥굴레 뿌리, 다시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제3천연식물군에서 추출한 피부재생추출물15~23중량%을 혼합하여 혼합영양추출물을 발효시켜 생성된 발효수를 가열하여 고농도 발효추출물을 제조한 후 상기 고농도 발효추출물을 피부 흡수가 용이하도록 나노화시킨 고농도 발효추출물과 pH 5.5~6.5 범위를 갖도록 산도 조절된 유화제를 혼합하되 유화제를 발효추출물 100중량%에 대하여 2.0~5.0중량% 범위로 사용하여 캡슐화하고 상기 캡슐화된 혼합물의 나노캡슐 크기의 평균이 50~120nm 범위를 갖도록 나노화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068087A 2022-06-03 2022-06-03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07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087A KR102507972B1 (ko) 2022-06-03 2022-06-03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20167626A KR20230168111A (ko) 2022-06-03 2022-12-05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087A KR102507972B1 (ko) 2022-06-03 2022-06-03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626A Division KR20230168111A (ko) 2022-06-03 2022-12-05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972B1 true KR102507972B1 (ko) 2023-03-09

Family

ID=855115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087A KR102507972B1 (ko) 2022-06-03 2022-06-03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20167626A KR20230168111A (ko) 2022-06-03 2022-12-05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626A KR20230168111A (ko) 2022-06-03 2022-12-05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79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804A (ko) 1999-05-25 1999-11-05 조종원 탈모방지 및 발모제
KR20000024499A (ko) 2000-02-14 2000-05-06 조종원 탈모방지 및 발모육모제
KR100757237B1 (ko) * 2006-12-28 2007-09-10 김지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KR20190062919A (ko) * 2017-11-29 2019-06-07 우리들휴브레인 주식회사 카페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29397A (ko) * 2018-05-10 2019-11-20 (주)에스페라 대추를 사용한 두피 케어제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804A (ko) 1999-05-25 1999-11-05 조종원 탈모방지 및 발모제
KR20000024499A (ko) 2000-02-14 2000-05-06 조종원 탈모방지 및 발모육모제
KR100757237B1 (ko) * 2006-12-28 2007-09-10 김지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KR20190062919A (ko) * 2017-11-29 2019-06-07 우리들휴브레인 주식회사 카페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29397A (ko) * 2018-05-10 2019-11-20 (주)에스페라 대추를 사용한 두피 케어제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111A (ko)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792B1 (ko)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
KR101897401B1 (ko) 초고압처리를 이용한 스피큘 포접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9561B1 (ko) 커피추출물, 암라파우더 및 마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염색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9424B1 (ko) 주름 개선용 복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품
KR20180089373A (ko) 미용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미용 관리 방법
KR101606393B1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1162A (ko) 녹차잎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및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3615705B2 (ja) 皮膚及び/又は毛髪の色素形成を刺激するための少なくとも1つのシュンギク属の抽出物の使用
KR20100008763A (ko) 지방조직 유래 다분화능 줄기세포의 배양물 및 그 추출 단백질을 함유한 화장료용 조성물
KR102358611B1 (ko) 호장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7545A (ko) 천연 모발 염모제 조성물
KR102507972B1 (ko)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그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00096447A (ko) 돼지 태반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배양물 및 그 추출 단백질을 함유한 화장료용 조성물
KR102532432B1 (ko) 모낭속 단백질을 이용한 탈모방지방법
CN105853341B (zh) 一种含有表皮干细胞分泌素的抗衰老护肤品及其制备方法
CN105147575A (zh) 一种干细胞生发素及其制备方法
KR100903283B1 (ko) 녹용 성분을 함유한 발모촉진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025566A (zh) 基于干细胞培养上清液的化妆品及其应用
KR102114392B1 (ko) 모발 염모제 조성물
KR102151501B1 (ko) 모발 또는 두피 건강 개선용 조성물
CN108721202A (zh) 一种玫瑰茄干细胞冻干粉眼霜及其制备方法
KR101969684B1 (ko)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3833A (ko) 탈모방지, 발모촉진 및 모발강화 조성물
KR101098526B1 (ko) 육모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95702A (ko)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