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603B1 -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 - Google Patents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603B1
KR102507603B1 KR1020207023852A KR20207023852A KR102507603B1 KR 102507603 B1 KR102507603 B1 KR 102507603B1 KR 1020207023852 A KR1020207023852 A KR 1020207023852A KR 20207023852 A KR20207023852 A KR 20207023852A KR 102507603 B1 KR102507603 B1 KR 102507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etylpolyamine
group
ring
neoplasms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0397A (ko
Inventor
도모히토 하마다
요스케 기시카와
마사미치 스케가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0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11/00Diaryl- or thriarylmethane dyes
    • C09B11/04Diaryl- or thriarylmethane dyes derived from triarylmethanes, i.e. central C-atom is substituted by amino, cyano, alkyl
    • C09B11/10Amino derivatives of triarylmethanes
    • C09B11/24Phthaleins containing amino groups ; Phthalanes; Fluoranes; Phthalides; Rhodamine dyes; Phthaleins having heterocyclic aryl rings; Lactone or lactame forms of triarylmethane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11/00Diaryl- or thriarylmethane dyes
    • C09B11/04Diaryl- or thriarylmethane dyes derived from triarylmethanes, i.e. central C-atom is substituted by amino, cyano, alkyl
    • C09B11/26Triarylmethane dye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aromatic nuclei is hetero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6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specific carrier or receptor proteins as ligand binding reagents where possible specific carrier or receptor proteins are classified with their target comp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8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03General methods of protein analysis not limited to specific proteins or families of proteins
    • G01N33/6806Determination of free amino acids
    • G01N33/6812Assays for specific amino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nc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목적은, 제조 및 사용이 간편한, 새로운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1개 이상의 폴리에테르환(당해 폴리에테르환은, 치환기로서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짐)을 갖는 화합물 (A)를 함유하는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
본 발명은,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에 관한 것이다.
아세틸폴리아민의 1종인, N1,N8-디아세틸스페르미딘 및 N1,N12-디아세틸스페르민의 양이 악성 종양 환자와 정상인의 판별에 유용한 것이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또한, 당해 N1,N12-디아세틸스페르민의, 민감하고 정확한 효소 면역 측정(ELISA)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비특허문헌 2).
그러나, 비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항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 제조 및 사용의 간편함에 있어서 불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제조 및 사용이 간편한, 새로운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Sugimoto,M.et al., J.Cancer Res. Clin. Oncol., 121, 317-319(1995)) Hiramatsu K, Miura H, Kamei S, Iwasaki K, and Kwakita M: Development of a sensitive and accurat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system that can replace HLPC analysis for the determination of N1,N12-diacetylspermine in human urine. J. Biochem., 124:231-236, 1998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항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 제조 및 사용의 간편함에 있어서 불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제조 및 사용이 간편한, 새로운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1개 이상의 폴리에테르환(당해 폴리에테르환은, 치환기로서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짐)을 갖는 화합물 (A)를 함유하는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
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 데 이르렀다.
본 발명은, 다음의 양태를 포함한다.
항 1.
1개 이상의 폴리에테르환(당해 폴리에테르환은, 치환기로서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짐)을 갖는 화합물 (A)를 함유하는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
항 2.
상기 화합물 (A)가, 식 (A1):
Figure 112020086851071-pct00001
[식 중,
L11은, 2가의 폴리에테르쇄이고,
L12는, 2가의 폴리에테르쇄이고,
L13은, 말단 또는 내부에서 해열 가능한 2가의 기이고,
n14는, 0 내지 4의 수이고,
R14는, 각 출현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치환기이거나, 또는 R14 중 2개는, 그것들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하나로 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환을 형성해도 된다.]
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항 1에 기재된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
항 3.
L11은,
(1) -CH2-(OCH2CH2)n111-OCH2-[당해 식 중, n111은, 1 내지 10의 수이다.], 또는
(2) -(Tz)n112-[식 중, Tz는 글루코오스 잔기이고, 그리고 n112는, 1 내지 10의 수이다.]인, 항 2에 기재된 검출제.
항 4.
L12는,
(1) -CH2-(OCH2CH2)n121-OCH2- [식 중, n121은, 1 내지 10의 수이다.], 또는
(2) -(Tz)n122-[식 중, Tz는 글루코오스 잔기이고, 그리고 n122는, 1 내지 10의 수이다.]인, 항 2 또는 3에 기재된 검출제.
항 5.
L13은, -CO2-, -SO3-, 또는 -CONH-인, 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검출제.
항 6.
R14는, 각 출현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F, -Cl, -Br, -CF3, -NMe2, 또는 -OMe인, 항 2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검출제.
항 7.
물 함유 시료 중의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용인, 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검출제.
항 8.
상기 물 함유 시료가 생체 시료인, 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검출제.
항 9.
이환자의 체액 중의 아세틸폴리아민 농도의 변화를 수반하는 질환의 진단용인, 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검출제.
항 10.
종양의 진단용인, 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검출제.
항 11.
아세틸폴리아민이, 디아세틸폴리아민인, 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검출제.
항 12.
아세틸폴리아민이, N1,N12-디아세틸스페르민인, 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검출제.
항 13.
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검출제를 함유하는, 검출 키트.
항 14.
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검출제를, 아세틸폴리아민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을 갖는 시료와 접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아세틸폴리아민의 검출 방법.
항 15.
식 (A1):
Figure 112020086851071-pct00002
[식 중,
L11은, 2가의 폴리에테르쇄이고,
L12는, 2가의 폴리에테르쇄이고,
L13은, 말단 또는 내부에서 해열 가능한 2가의 기이고,
n14는, 0 내지 4의 수이고,
R14는, 각 출현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치환기이거나, 또는 R14 중 2개는, 그것들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하나로 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환을 형성해도 된다.]
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개환체; 및
아세틸폴리아민
을 함유하는 조성물.
항 16.
식 (A1):
Figure 112020086851071-pct00003
[식 중,
L11은, 2가의 폴리에테르쇄이고,
L12는, 2가의 폴리에테르쇄이고,
L13은, 말단 또는 내부에서 해열 가능한 2가의 기이고,
n14는, 0 내지 4의 수이고,
R14는, 각 출현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치환기이거나, 또는 R14 중 2개는, 그것들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하나로 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환을 형성해도 된다.]
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개환체; 및
아세틸폴리아민
을 함유하고, 그리고
상기 식 (A1)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개환체의, L11을 함유하는 환 및 L12를 갖는 환의 적어도 한쪽에, 아세틸폴리아민이 보유되어 있는 복합체.
본 개시에 의하면, 제조 및 사용이 간편한 신규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 등이 제공된다.
1. 용어
본 명세서 중의 기호 및 약호는, 특별히 한정이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문맥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중, 어구 「함유한다」는, 어구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다」 및 어구 「이루어진다」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여 사용된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되어 있는 공정, 처리, 또는 조작은 실온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중, 실온은 10 내지 40℃의 범위 내의 온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중, 표기 「Cn-Cm」(여기서, n 및 m은, 수이다.)은, 당업자가 통상 이해하는 바와 같이, 탄소수가 n 이상, 또한 m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중, 어구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는, 치환 또는 비치환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중, 「할로겐 원자」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 원자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폴리에테르환」은, 1개 이상의 치환기(예: -OH)를 갖고 있어도 되는, 2개 이상의 산소 원자가 삽입되어 있는 비방향족 탄화수소환을 의미한다.
치환 폴리에테르환에 있어서의, 1조 이상의 2개의 치환기는, 연결되어, 1개 이상의 치환기(예: -OH)를 갖고 있어도 되는 알칸디일(예: C2-C4알칸디일)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 중, 「비방향족 탄화수소환」의 예는, C3-C8비방향족 탄화수소환(예: 에탄디일, 프로판디일, 부탄디일)을 포함하고, 그의 구체예는,
(1) C3-C8시클로알칸(예: 시클로프로판, 시클로부탄,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시클로헵탄, 시클로옥탄);
(2) C5-C8시클로알켄(예: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시클로헵텐, 시클로옥텐); 및
(3) C5-C8시클로알카디엔(예: 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사디엔, 시클로헵타디엔, 시클로옥타디엔)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중, 「5 또는 6원 방향환」의 예는,
(1) 6원 방향족 탄화수소환인 벤젠환; 그리고
(2) 푸란환, 티오펜환, 피롤환, 옥사졸환, 이소옥사졸환, 티아졸환, 이소티아졸환, 이미다졸환, 피라졸환, 1,2,3-옥사디아졸환, 1,2,4-옥사디아졸환, 1,3,4-옥사디아졸환, 푸라잔환, 1,2,3-티아디아졸환, 1,2,4-티아디아졸환, 1,3,4-티아디아졸환, 1,2,3-트리아졸환, 1,2,4-트리아졸환, 테트라졸환, 피리딘환, 피리다진환, 피리미딘환, 피라진환, 트리아진환 등의, 환 구성 원자로서, 탄소 원자 이외에 산소 원자, 황 원자 및 질소 원자에서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를 1 내지 3개 함유하는 5 또는 6원의 단환식 방향족 복소환
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특별히 한정이 없는 한, 「알킬기」의 예는,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C1-C10 알킬기를 포함하고, 그리고
그의 구체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예: n-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예: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예: n-펜틸, tert-펜틸, 네오펜틸, 이소펜틸, sec-펜틸, 3-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및 데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특별히 한정이 없는 한, 「알콕시기」는, RO-[당해 식 중, R은 알킬기(바람직하게는 C1-C3알킬기)이다.]로 표현되는 기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중, 특별히 한정이 없는 한, 「알킬카르보닐옥시기」는, RCO-O-[당해 식 중, R은 알킬기(바람직하게는 C1-C3 알킬기)이다.]로 표현되는 기일 수 있다.
그의 구체예는, 아세톡시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특별히 한정이 없는 한, 「알카노일기」의 예는, RCO-[당해 식 중, R은 알킬기(바람직하게는 C1-C3 알킬기)이다.]로 표현되는 기이다.
그의 구체예는, 아세틸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검출」은, 측정 및 정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
2.1. 검출의 수단 및 기구
본 발명의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는,
1개 이상의 폴리에테르환(당해 폴리에테르환은, 치환기로서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짐)을 갖는 화합물 (A)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당해 화합물 (A)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당해 화합물 (A)는,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의 수단일 수 있다.
당해 검출은, 상기 화합물 (A) 중의 상기 폴리에테르환 중으로의 아세틸폴리아민의 포착에 기초하는 것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중, 아세틸폴리아민의 검출은, 아세틸폴리아민을 상기 폴리에테르환 내에 포착한 화합물 (A)의 검출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당해 검출을 위해, 당해 화합물 (A)는, 바람직하게는 정색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환이 갖는 1개 이상의 수산기 중 적어도 1개가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경우, 당해 정색부는, 당해 페놀성 수산기와, 상기 폴리에테르환 내에 포착된 아세틸폴리아민의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정색하는 정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색부를 갖는 화합물의 적합한 예는,
식 (A0);
Figure 112020086851071-pct00004
[식 중,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5 또는 6원 방향환이고,
n1은, 0 또는 1이고,
Ar4는, 5 또는 6원 방향환이고,
n4는, 0 또는 1이고,
R2는, 수소, 또는
식 (Ab2):
Figure 112020086851071-pct00005
로 표현되는 기이고,
(당해 식 중,
A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5 또는 6원 방향환이고,
n2는, 0 또는 1이고,
L12는, 2가의 폴리에테르쇄이다.)
L13은, 말단 또는 내부에서 해열 가능한 2가의 기이고,
n14는, 0 내지 4의 수이고, 그리고
R14는, 각 출현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치환기이거나, 또는 R14 중 2개는, 그것들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하나로 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환을 형성해도 된다.]
로 표현되는 화합물(본 명세서 중, 이것을 화합물 (A0)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당해 화합물 (A0)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Ar1에 대하여, 「치환 또는 비치환된 5 또는 6원 방향환」에 있어서의 치환기의 예는,
히드록시기, 알콕시기(바람직하게는, 메톡시기), 알킬카르보닐옥시(바람직하게는, 아세톡시기), 알카노일기(바람직하게는, 아세틸기), 알킬기(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아미노기, 디알킬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디메틸아미노기), 할로기(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기, 클로로기, 브로모기, 또는 요오도기)를 포함한다.
Ar2에 대하여, 「치환 또는 비치환된 5 또는 6원 방향환」에 있어서의 치환기의 예는,
히드록시기, 알콕시기(바람직하게는, 메톡시기), 알킬카르보닐옥시(바람직하게는, 아세톡시기), 알카노일기(바람직하게는, 아세틸기), 알킬기(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메틸아미노기), 디알킬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디메틸아미노기), 할로기(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기, 클로로기, 브로모기, 또는 요오도기)를 포함한다.
Ar1은, 바람직하게는 벤젠환이다.
삭제
R2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Ab2)로 표현되는 기이다.
Ar2는, 바람직하게는 벤젠환이다.
상기 화합물 (A)는, 적합하게, 식 (A1):
Figure 112020086851071-pct00006
[식 중,
L11은, 2가의 폴리에테르쇄이고,
L12는, 2가의 폴리에테르쇄이고,
L13은, 말단 또는 내부에서 해열 가능한 2가의 기이고,
n14는, 0 내지 4의 수이고,
R14는, 각 출현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치환기이거나, 또는 R14 중 2개는, 그것들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하나로 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환을 형성해도 된다.]
로 표현되는 화합물(본 명세서 중, 이것을 화합물 (A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당해 화합물 (A1)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당해 식 (A1)에 있어서의 각 기호는, 당해 식 (A0)에 있어서의 동일한 기호에 대응한다.
상기 식 (A0)으로 표현되는 화합물[및 이것에 포함되는 화합물 (A1)]은,
(a) 상기 식 (Ab2) 중에 나타나 있는 페놀성 수산기 및
(b) 상기 폴리에테르환 내에 포착된, 아세틸폴리아민
사이의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L13이 해열하여, 유색의 착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의 구체적인 예는,
(a1) 상기 식 (Ab2) 중에 나타나 있는 페놀성 수산기 및
(b1) 아세틸폴리아민의 이미노부
의 산염기 반응을 포함한다.
L11은, 적합하게 6 내지 30, 보다 적합하게 9 내지 27, 보다 적합하게 12 내지 24원자의 쇄길이를 가질 수 있다.
L11은, 적합하게 2 내지 10, 보다 적합하게 3 내지 9, 보다 적합하게 4 내지 8개의 원자의 산소 원자를 주쇄 중에 가질 수 있다.
L11이 환상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가장 구성 산소 원자의 수가 커지는 쇄 중, 가장 구성 원자의 수가 작아지는 1개의 경로를 주쇄라고 간주한다.
L11은, 적합하게,
(1) -CH2-(OCH2CH2)n111-OCH2-[당해 식 중, n111은, 1 내지 10, 2 내지 10, 보다 적합하게 3 내지 9, 보다 적합하게 4 내지 8의 수이다.], 또는
(2) -(Tz)n112-[식 중, Tz는 글루코오스 잔기이고, 그리고 n112는, 1 내지 10, 2 내지 10, 보다 적합하게 3 내지 9, 보다 적합하게 4 내지 8의 수이다.]일 수 있다.
L11은, 적합하게 6 내지 30, 보다 적합하게 9 내지 27, 보다 적합하게 12 내지 24원자의 쇄길이를 가질 수 있다.
L11은, 적합하게 2 내지 10, 보다 적합하게 3 내지 9, 보다 적합하게 4 내지 8개의 산소 원자를 주쇄 중에 가질 수 있다.
L11이 환상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가장 구성 산소 원자의 수가 커지는 쇄 중, 가장 구성 원자의 수가 작아지는 1개의 경로를 주쇄라고 간주한다.
L12는, 적합하게,
(1) -CH2-(OCH2CH2)n121-OCH2-[식 중, n121은, 1 내지 10의 수이다.], 또는
(2) -(Tz)n122-[식 중, Tz는 글루코오스 잔기이고, 그리고 n122는, 1 내지 10의 수이다.]일 수 있다.
L12는, 적합하게 6 내지 30, 보다 적합하게 9 내지 27, 보다 적합하게 12 내지 24원자의 쇄길이를 가질 수 있다.
L12는, 적합하게 2 내지 10, 보다 적합하게 3 내지 9, 보다 적합하게 4 내지 8개의 산소 원자를 주쇄 중에 가질 수 있다.
L12가 환상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가장 구성 산소 원자의 수가 커지는 쇄 중, 가장 구성 원자의 수가 작아지는 1개의 경로를 주쇄라고 간주한다.
L13은, 적합하게, -CO2-, -SO3-, 또는 -CONH-일 수 있다.
L13은, 보다 적합하게는, -CO2-, -SO3-일 수 있다.
이들의 적합한 2가의 기는, 바람직하게는 -CO-부, 또는 -SO2-부가 식 (A1) 중에 표현되는 벤젠환에 인접하는 방향에서 배치된다.
R14는, 적합하게, 각 출현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
알킬기
아릴기(당해 기는,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헤테로아릴기(당해 기는,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이거나, 혹은
그 중 2개가 연결되어, 방향환(당해 환은, 치환기군 A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치환기군 A는,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CO2R,
-CONH2,
-CONHR,
-CONR2
-SO3H,
-SO3R,
-SO2NH2,
-SO2NHR,
-SO2NR2,
-NH2,
-NHR,
-NR2,
-N+R3
-OR,
-OH
-SR,
-SH 및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각각 치환된,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바람직하게는,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로 이루어지는 군이다.
이들 식 중, R은, 각 출현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이다.
R14는, 각 출현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적합하게, 할로겐 원자, 1개 이상의 불소 원자로 치환된 알킬기, NR2, -OR,
보다 적합하게, -F, -Cl, -Br, -CF3, -NMe2, 또는 -OMe 및
더욱 적합하게, -NMe2, 또는 -OMe
일 수 있다.
R14는, 적합하게, 전자 구인성기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식 (A1)에 있어서,
L11이, 12 내지 24원자의 2가의 폴리에테르쇄(당해 쇄는 4 내지 8개의 산소 원자를 함유한다.)이고;
L12가, 12 내지 24원자의 2가의 폴리에테르쇄(당해 쇄는 4 내지 8개의 산소 원자를 함유한다.)이고;
L13이, CO2, 또는 SO3이고; 그리고
R14가, -NMe2, 또는 -OMe이다.
2.2. 화합물 (A0)의 제조 방법
화합물 (A0)은, 상업적으로 입수하거나, 이하에 기재하는 화합물 (A1)의 제조 방법, 및 이것에 유사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2.2.1. 화합물 (A1)의 제조 방법
화합물 (A1)은, 상업적으로 입수하거나, 또는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 및 이것에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A1)은, 다음의 스킴에 기재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당해 스킴 중, Y는 -OH기의 보호기(예: 알릴기)를 나타낸다.
당해 방법은,
공정 (a): 식 (1)의 화합물을, 리튬화제(예: t-BuLi)로 리튬화한 식 (2)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식 (2)의 화합물(본 명세서 중, 이것을 화합물 (2)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을 얻는 것, 및
공정 (b): 화합물 (2)를 탈보호하여, 화합물 (A1)을 얻는 것
을 포함한다.
각 공정의 반응 조건은, 이들 방법에 대한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Figure 112020086851071-pct00007
2.3. 검출의 대상 및 목적
상기 검출제는, 적합하게, 물 함유 시료 중의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용일 수 있다.
상기 물 함유 시료는, 적합하게, 생체 시료일 수 있다.
상기 생체 시료의 예는,
인간, 원숭이, 염소, 양, 토끼, 마우스, 래트, 모르모트, 또는 기타의 포유류 유래의 생체 시료를 포함하고, 그리고
그의 적합한 예는, 인간 유래의 생체 시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시료의 예는,
체액[예: 혈액(예: 혈청 및 혈장), 땀 및 소변], 조직 추출액, 또는 조직 유래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세틸폴리아민은 요중에 포함되고, 그리고 소변의 채취는, 이것이 부여하는 검사 대상에 대한 부담이 작은 점에서, 생체 시료로서는, 소변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체 시료는, 적절히, 여과, 또는 희석, 혹은 이들 조합의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즉, 생체 시료는, 상기 체액에서 유래하는 시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검출제는, 이환자의 체액 중의 아세틸폴리아민 농도의 변화를 수반하는 질환의 진단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검출제는, 이환자의 체액 중의 아세틸폴리아민 농도의 변화를 수반하는 질환의 진단용으로, 인비트로에서 아세틸폴리아민 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제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중, 「질환의 진단」은,
질환, 장애, 또는 증상의 유무 또는 그 정도의 판정, 혹은 그 발현의 리스크 판정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하여, 질환의 진단은, 예를 들어 피험자로부터 얻은 시료를 사용하여 얻어진 체액 중의 아세틸폴리아민 농도(T)를, 정상인 아세틸폴리아민 농도(H)와 비교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소변을 시료로 하는 경우, 아세틸폴리아민 농도는, 필요에 따라, 요중의 크레아티닌 농도에 의해 보정할 수 있다.
정상인 아세틸폴리아민 농도(H)는, 통계적으로 적당한 수의 건강체로부터 얻은 시료를 사용하여 얻어진 체액 중의 아세틸폴리아민 농도의 평균값일 수 있다.
아세틸폴리아민의 검출 및 정량은, 적계 색, 또는 청계 색의 정색 정도의 시인에 의한 관찰, 또는 490 내지 550㎚의 범위, 560㎚ 내지 650㎚의 범위의 1 이상의 파장의 흡수의 측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아세틸폴리아민의 검출 및 정량은, NMR 및 IR 등의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폴리아민이 보유되어 있는 복합체를 검출 및 정량함으로써도, 실시할 수 있다.
당해 정량은, 예를 들어 아세틸폴리아민의 농도가 판명되어 있는 표준 또는 대조와의 비교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농도(T)/농도(H)가, 2.1배, 2.2배, 2.3배, 2.5배, 2.7배, 또는 3배 이상인 경우에, 당해 피험자가, 질환으로 이환되고 있는 것, 질환으로 이환될 가능성이 있는 것, 또는 질환의 증상을 발병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 또는 그 판단의 일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농도(T)≥농도(H)+(농도(H)의 표준 편차)×n인 경우에, 당해 피험자가, 질환으로 이환되고 있는 것, 질환으로 이환될 가능성이 있는 것, 또는 질환의 증상을 발병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 또는 그 판단의 일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때, n은, 예를 들어 1.5, 2, 또는 2.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크레아티닌 보정값으로서, 농도(T)≥0.25μmol/g-크레아티닌의 경우에, 피험자가, 어떤 질환(예: 암)으로 이환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 또는 그 판단의 일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질환의 예는, 암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종양, 암 및 악성 신생물은, 문맥에 따라,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질환의 예는,
암(예: 폐암, 위암, 대장암, 간장암, 췌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또는 종양(예: 악성 종양)
을 포함한다.
상기 질환의 예는, 별도의 관점에서는, 이하의 신생물(특히, 악성 신생물)을 포함한다.
(1) 입술, 구강 및 인두의 악성 신생물[예: 입술의 악성 신생물, 설근<기저>부의 악성 신생물, 혀의 기타 및 부위 불명의 악성 신생물, 잇몸의 악성 신생물, 구(강) 바닥의 악성 신생물, 구개의 악성 신생물, 기타 및 부위 불명의 구강의 악성 신생물, 이하선의 악성 신생물, 기타 및 부위 불명의 대타액선의 악성 신생물, 편도의 악성 신생물, 중인두의 악성 신생물, 비<상> 인두의 악성 신생물, 이상함요<동>의 악성 신생물, 하인두의 악성 신생물, 기타 및 부위 불명확의 입술, 구강 및 인두의 악성 신생물]
(2) 소화기의 악성 신생물[예: 식도의 악성 신생물, 위의 악성 신생물, 소장의 악성 신생물, 결장의 악성 신생물, 직장 S상 결장 이행부의 악성 신생물, 직장의 악성 신생물, 항문 및 항문관의 악성 신생물, 간 및 간 내 담관의 악성 신생물, 담낭<낭>의 악성 신생물, 기타 및 부위 불명의 담관의 악성 신생물, 췌장의 악성 신생물, 기타 및 부위 불명확의 소화기의 악성 신생물]
(3) 호흡기 및 흉강내 장기의 악성 신생물[예: 비강 및 중이의 악성 신생물, 부비강의 악성 신생물, 후두의 악성 신생물, 기관의 악성 신생물, 기관지 및 폐의 악성 신생물, 흉선의 악성 신생물, 심장, 종격 및 흉막의 악성 신생물, 기타 및 부위 불명확의 호흡기계 및 흉강내 장기의 악성 신생물]
(4) 뼈 및 관절 연골의 악성 신생물[예: (사)지의 뼈 및 관절 연골의 악성 신생물, 기타 및 부위 불명의 뼈 및 관절 연골의 악성 신생물]
(5) 피부의 흑색종 및 그 밖의 피부의 악성 신생물[예: 피부의 악성 흑색종, 피부의 기타의 악성 신생물]
(6) 중피 및 연부 조직의 악성 신생물[예: 중피종, 카포시 육종, 말초 신경 및 자율 신경계의 악성 신생물, 후복막 및 복막의 악성 신생물, 기타의 결합 조직 및 연부 조직의 악성 신생물]
(7) 유방의 악성 신생물[예: 유방의 악성 신생물]
(8) 여성 생식기의 악성 신생물[예: 외음(부)의 악성 신생물, 질의 악성 신생물, 자궁경부의 악성 신생물, 자궁체부의 악성 신생물, 자궁의 악성 신생물(부위 불명), 난소의 악성 신생물, 기타 및 부위 불명의 여성 생식기의 악성 신생물, 태반의 악성 신생물]
(9) 남성 생식기의 악성 신생물[예: 음경의 악성 신생물, 전립선의 악성 신생물, 정소<고환>의 악성 신생물, 기타 및 부위 불명의 남성 생식기의 악성 신생물]
(10) 신장 요로의 악성 신생물[예: 신우를 제외한 신장의 악성 신생물, 신우의 악성 신생물, 요관의 악성 신생물, 방광의 악성 신생물, 기타 및 부위 불명의 요로의 악성 신생물]
(11) 눈, 뇌 및 기타의 중추신경계 부위의 악성 신생물[예: 눈 및 부속기의 악성 신생물, 수막의 악성 신생물, 뇌의 악성 신생물, 척수, 뇌신경 및 기타의 중추신경계 부위의 악성 신생물]
(12) 갑상선 및 그 밖의 내분비선의 악성 신생물[예: 갑상선의 악성 신생물, 부신의 악성 신생물, 기타의 내분비선 및 관련 조직의 악성 신생물]
(13) 부위 불명확, 연발 부위 및 부위 불명의 악성 신생물[예: 기타 및 부위 불명확의 악성 신생물, 림프절의 속발성 및 부위 불명의 악성 신생물, 호흡기 및 소화기의 속발성 악성 신생물, 기타 부위의 속발성 악성 신생물, 부위가 명시되지 않은 악성 신생물]
(14) 림프 조직, 조혈 조직 및 관련 조직의 악성 신생물[예: 호지킨병, 여포성[결절성] 비호지킨 림프종, 비만성 비호지킨 림프종, 말초성 및 피부 T세포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의 기타 및 상세 불명의 형, 악성 면역 증식성 질환, 다발성 골수종 및 악성 형질 세포성 신생물, 림프성 백혈병, 골수성 백혈병, 단구성 백혈병, 세포형이 명시된 기타의 백혈병, 세포형 불명의 백혈병, 림프 조직, 조혈 조직 및 관련 조직의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악성 신생물]
(15) 독립된 원발성 다부위의 악성 신생물[예: 독립된 (원발성) 다부위의 악성 신생물]
(16) 상피 내 신생물[예: 구강, 식도 및 위의 상피내암, 기타 및 부위 불명의 소화기의 상피내암, 중이 및 호흡기계의 상피내암, 상피 내 흑색종, 피부의 상피내암, 유방의 상피내암, 자궁경(부)의 상피내암, 기타 및 부위 불명의 생식기의 상피내암, 기타 및 부위 불명의 상피내암]
(17) 양성 신생물[예: 구강 및 인두의 양성 신생물, 대타액선의 양성 신생물, 결장, 직장, 항문 및 항문관의 양성 신생물, 소화기계의 기타 및 부위 불명확의 양성 신생물, 중이 및 호흡기계의 양성 신생물, 기타 및 부위 불명의 흉강내 장기의 양성 신생물, 뼈 및 관절 연골의 양성 신생물, 양성 지방 세포성 신생물(지방종을 포함함), 혈관종 및 림프관종, 모든 부위, 중피 조직의 양성 신생물, 후복막 및 복막의 연부 조직의 양성 신생물, 결합 조직 및 그 밖의 연부 조직의 기타의 양성 신생물, 멜라닌 세포성 모반, 피부의 기타의 양성 신생물, 유방의 양성 신생물, 자궁 평활근종, 자궁의 기타의 양성 신생물, 난소의 양성 신생물, 기타 및 부위 불명의 여성 생식기의 양성 신생물, 남성 생식기의 양성 신생물, 신장 요로의 양성 신생물, 눈 및 부속기의 양성 신생물, 수막의 양성 신생물, 뇌 및 중추신경계의 기타의 부위의 양성 신생물, 갑상선의 양성 신생물, 기타 및 부위 불명의 내분비선의 양성 신생물, 기타 부위 및 부위 불명의 양성 신생물]
(18) 성상 미상 또는 불분명의 신생물[예: 구강 및 소화기의 성상 미상 또는 불분명의 신생물, 중이, 호흡기 및 흉강내 장기의 성상 미상 또는 불분명의 신생물, 여성 생식기의 성상 미상 또는 불분명의 신생물, 남성 생식기의 성상 미상 또는 불분명의 신생물, 신장 요로의 성상 미상 또는 불분명의 신생물, 수막의 성상 미상 또는 불분명의 신생물, 뇌 및 중추신경계의 성상 미상 또는 불분명의 신생물, 내분비선의 성상 미상 또는 불분명의 신생물, 진정 적혈구 증가증<다혈증>, 골수 이형성 증후군, 림프 조직, 조혈 조직 및 관련 조직의 성상 미상 또는 불분명의 기타의 신생물, 기타 및 부위 불명의 성상 미상 또는 불분명의 신생물]
상기 검출제는, 적합하게, 종양의 진단용일 수 있다.
상기 검출의 대상인 「아세틸폴리아민」의 예는, 모노아세틸폴리아민 및 디아세틸폴리아민을 포함한다.
아세틸폴리아민의 구체예는, N1-아세틸스페르미딘, N8-아세틸스페르미딘, N1,N8-디아세틸스페르미딘, 아세틸스페르민 및 N1,N12-디아세틸스페르민을 포함한다.
아세틸폴리아민의 적합한 예는, 디아세틸폴리아민을 포함한다.
아세틸폴리아민의 특히 적합한 예는, N1,N12-디아세틸스페르민을 포함한다.
3. 검출 키트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검출제를 함유하는 검출 키트도 제공한다.
당해 키트는, 화합물 (A1)에 더하여, 설명서, 용매(예: 물, 완충액) 및 디아세틸폴리아민(이것은, 대조용 또는 표준용일 수 있다.)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출 키트는, 본 발명의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에 대한 설명 외의 본 명세서의 기재 및 기술 상식으로부터 이해 가능하다.
4. 검출 방법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검출제를, 아세틸폴리아민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을 갖는 시료와 접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아세틸폴리아민의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당해 접촉은, 예를 들어
(1) 아세틸폴리아민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을 갖는 시료에 본 발명의 검출제를 첨가하는 것,
(2) 본 발명의 검출제에, 아세틸폴리아민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을 갖는 시료에 첨가하는 것, 또는
(3) 아세틸폴리아민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을 갖는 시료 및 본 발명의 검출제를 혼합하는 것
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출 방법은, 본 발명의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에 대한 설명 외의 본 명세서의 기재 및 기술 상식으로부터 이해 가능하다.
5. 조성물
본 발명은, 또한 화합물 (A1) 또는 그의 개환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당해 조성물은, 화합물 (A1)에 더하여, 예를 들어 용매(예: 물, 완충액)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에 대한 설명 외의 본 명세서의 기재 및 기술 상식으로부터 이해 가능하다.
6. 복합체
본 발명은, 식 (A1):
Figure 112020086851071-pct00008
[식 중,
L11은, 2가의 폴리에테르쇄이고,
L12는, 2가의 폴리에테르쇄이고,
L13은, 말단 또는 내부에서 해열 가능한 2가의 기이고,
n14는, 0 내지 4의 수이고,
R14는, 각 출현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치환기이거나, 또는 R14 중 2개는, 그것들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탄소 원자와 하나로 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환을 형성해도 된다.]
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개환체; 및
아세틸폴리아민
을 함유하고, 그리고
상기 식 (A1)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개환체의, L11을 함유하는 환 및 L12를 갖는 환의 적어도 한쪽에, 아세틸폴리아민이 보유되어 있는 복합체
도 또한 제공한다.
당해 복합체는, 본 발명의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에 대한 설명 외의 본 명세서의 기재 및 기술 상식으로부터 이해 가능하다.
당해 복합체는, 아세틸폴리아민을 상기 식 (A1)로 표현되는 화합물과 접촉시켜, 상기 폴리에테르환 내에 화합물 (A)를 포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그 방법은, 본 발명의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에 대한 설명 외의 본 명세서의 기재 및 기술 상식으로부터 이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중의 기호 및 약호의 의미를 이하에 나타낸다.
검출 시약 1: 다음 식의 구조의 화합물
Figure 112020086851071-pct00009
실시예 1
Figure 112020086851071-pct00010
검출 시약 1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얻을 수 있다. 폴리에테르체 1을 600㎎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냉각 하에 tert-부틸리튬(n-펜탄 용액)을 첨가했다. 냉각 하에 교반하고, 디메틸아미노프탈산 2(130㎎)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수 시간 교반한 후에 1N 염산을 더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통상의 추출 조작,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를 행하여, 화합물 3을 200㎎을 얻었다. 그 후 메탄올에 재용해시켜, Pd(PPh3)4를 0.02당량, 수소화붕소나트륨을 1.5당량 더하여 교반하고, 그 후 1N 염산 수용액으로 반응을 정지시키고, 통상의 추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를 행하여, 150㎎의 화합물 4(검출 시약 1)를 얻었다.
검출 시약 1의, 검출 대상인 N1,N12-디아세틸스페르민에 의한 정색을 표 1에 기재된 다양한 농도로 조사했다. 결과를 당해 표 1에 나타낸다.
시약 1을 1㎎ 측량하여, 3.1mL에 용해시키고, 400μM에 희석하여 용액 A라고 했다. 당해 용액 A를 1000배로 희석하여 용액 B라고 했다.
N1,N12-디아세틸스페르민의 2염산염 2.5㎎을 5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그 용액 1mL를 2.4mL의 메탄올에 용해시켜 400μL의 용액을 조제한 후, 2등량의 NaOH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용액 C라고 했다. 용액 C를 1000배로 희석하여 용액 D라고 했다.
Run1에서는 용액 A와 용액 C를 1mL씩 혼합시켰다. Run2에서는 용액 B와 용액 D를 1mL씩 혼합시켰다. Run3에서는 용액 A와 용액 D를 1mL씩 혼합시켰다.
육안에 의한 시인에 의해, 이하의 기준에 의해, 적계 색의 정색을 확인했다.
++: 투명한 핑크색의 정색이 관찰된다.
+: 투명한 연한 핑크색의 정색이 관찰된다.
-: 정색이 관찰되지 않는다(무색 투명)
200μM의 검출 시약 1에서는, 저농도(200nM)의 검출 대상을 검출할 수 있었다(Run3). 이에 비해, 고농도(200μM)의 검출 대상의 시험에서는, 더 진한 색에서의 정색이 관찰되고(Run1), 따라서, 정색의 농도에 의해, 검출 대상의 농도를 검지할 수 있는 것도 또한 확인되었다.
Figure 112020086851071-pct00011

Claims (16)

  1.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로서,
    하기 식(1)로 표시되는 구조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Figure 112023003247016-pct00015
    (1)
    상기 아세틸폴리아민은, N1,N12-디아세틸스페르민인,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
  2. 제1항에 있어서, 물 함유 시료 중의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용인, 검출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 함유 시료가 생체 시료인, 검출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환자의 체액 중의 아세틸폴리아민 농도의 변화를 수반하는 질환의 진단용인, 검출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종양의 진단용인, 검출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검출제를 함유하는, 검출 키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검출제를, 아세틸폴리아민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을 갖는 시료와 접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아세틸폴리아민은, N1,N12-디아세틸스페르민인,
    아세틸폴리아민의 검출 방법.
  8. 하기 식(1)로 표시되는 구조의 화합물:
    Figure 112023003247016-pct00016
    (1);

    N1,N12-디아세틸스페르민을 함유하는,
    N1,N12-디아세틸스페르민 검출용 조성물.
  9. 하기 식(1)로 표시되는 구조의 화합물:

    Figure 112023003247016-pct00017
    (1)

    N1,N12-디아세틸스페르민을 함유하고,
    상기 구조의 화합물의 폴리에테르쇄의 환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N1,N12-디아세틸스페르민이 보유되어 있는 복합체.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207023852A 2018-01-31 2019-01-31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 KR102507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14792A JP7235943B2 (ja) 2018-01-31 2018-01-31 アセチルポリアミン検出剤
JPJP-P-2018-014792 2018-01-31
PCT/JP2019/003329 WO2019151381A1 (ja) 2018-01-31 2019-01-31 アセチルポリアミン検出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397A KR20200110397A (ko) 2020-09-23
KR102507603B1 true KR102507603B1 (ko) 2023-03-09

Family

ID=6747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852A KR102507603B1 (ko) 2018-01-31 2019-01-31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32472A1 (ko)
EP (1) EP3747955A4 (ko)
JP (1) JP7235943B2 (ko)
KR (1) KR102507603B1 (ko)
CN (1) CN111655797A (ko)
WO (1) WO201915138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6129A (ja) * 2006-03-24 2007-10-04 Transgenic Inc 非ヒト動物の腫瘍の診断方法
JP2008105993A (ja) * 2006-10-25 2008-05-08 Kyoto Univ フェノールフタレイン誘導体および生体内ポリアミン検出用検査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899A (ja) * 1986-07-17 1988-02-02 Mochida Pharmaceut Co Ltd ポリアミン測定試薬
US8927293B2 (en) 2007-03-23 2015-01-06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Methods and devices for analytical sensing of biogenic amines
WO2017056507A1 (ja) 2015-10-02 2017-04-06 株式会社テルミーソリューションズ 腫瘍の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6129A (ja) * 2006-03-24 2007-10-04 Transgenic Inc 非ヒト動物の腫瘍の診断方法
JP2008105993A (ja) * 2006-10-25 2008-05-08 Kyoto Univ フェノールフタレイン誘導体および生体内ポリアミン検出用検査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isuke Tanima 외, Organic and Biomolecular Chemistry, 2009, Vol.7, 4689-4694쪽
Kazunori Tsubaki 외, J. of Organic Chemistry, 2005, Vol.70, 4609-4616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32692A (ja) 2019-08-08
EP3747955A1 (en) 2020-12-09
JP7235943B2 (ja) 2023-03-09
EP3747955A4 (en) 2021-12-22
KR20200110397A (ko) 2020-09-23
WO2019151381A1 (ja) 2019-08-08
US20210032472A1 (en) 2021-02-04
CN111655797A (zh) 2020-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cero et al. Photoacoustic imaging of elevated glutathione in models of lung cancer for companion diagnostic applications
Sun et al. A turn-on optoacoustic probe for imaging metformin-induced upregulation of hepatic hydrogen sulfide and subsequent liver injury
Sha et al. A mitochondria/lysosome-targeting fluorescence probe based on azonia-cyanine dye and its application in nitroreductase detection
CN110041317A (zh) 一种萘酰亚胺荧光探针及其制备与应用
Wang et al. A review: Red/near‐infrared (NIR) fluorescent probes based on nucleophilic reactions of H2S since 2015
CN108129365A (zh) 一种近红外检测半胱氨酸的荧光探针、其制备方法及应用
Jin et al. A novel fluorescent probe for the detection of peroxynitrite and its application in acute liver injury model
CN114539183B (zh) 一种癌细胞组织诊断的脂滴靶向和生物硫醇敏感的荧光探针及制备和应用
CN107459483A (zh) 一种细胞膜靶向h2s荧光探针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07603B1 (ko) 아세틸폴리아민 검출제
Fang et al. A novel near infrared probe with large Stokes shift for detection of H2S in living cells
Zhang et al. A lipid droplet-targetable and biothiol-sensitive fluorescent probe for the diagnosis of cancer cells/tissues
Kim et al. Bioorthogonal small molecule imaging agents allow single-cell imaging of MET
KR101130536B1 (ko) 세포 내의 활성 산소 형광 검출용 티아졸리딘 유도체 화합물,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세포 내의 활성 산소 형광 검출센서 및 검출방법
JPWO2018174253A1 (ja) ニトロベンゼン誘導体またはその塩およびそれらの用途
US20130236922A1 (en) Copper(i)-ion selective fluorescent prob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method for diagnosing malignant disease and diagnosis kit using the probe
Huang et al. Near-infrared hemicyanine fluorophores with optically tunable groups: a ‘leap forward’for in vivo sensing and imaging
CN102706787A (zh) 菁染料的新用途
CN113045599B (zh) 一种高对比度区分癌细胞/组织的方法及荧光探针的制备
CN108444959A (zh) 一种用于鉴别与检测肝癌细胞的点亮型荧光探针
Zhao et al. Novel 3RAX-based fluorescent probe for hydrogen sulfide detection and photodynamic therapy
KR101962044B1 (ko) 효소 활성 검출용 가변색 이광자 형광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암질환 진단방법
WO2018159810A1 (ja) アルカリフォスファターゼ検出用蛍光プローブ及びその使用
JP7157438B2 (ja) アクロレインとの反応薬、その利用及び新規化合物
Chan Towards Personalized Medic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