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502B1 - 디스펜서 용기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502B1
KR102507502B1 KR1020197032869A KR20197032869A KR102507502B1 KR 102507502 B1 KR102507502 B1 KR 102507502B1 KR 1020197032869 A KR1020197032869 A KR 1020197032869A KR 20197032869 A KR20197032869 A KR 20197032869A KR 102507502 B1 KR102507502 B1 KR 102507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rea
protrusion
outlet
outle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5043A (ko
Inventor
조세프 글라이스너
Original Assignee
이노텍 쿤스트슈토프테히닉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텍 쿤스트슈토프테히닉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이노텍 쿤스트슈토프테히닉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190135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6Membrane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15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15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 B29C45/1618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using an auxiliary treatment station, e.g. for cooling or ej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15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 B29C45/1625Injecting parison-lik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84Injecting parison-lik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2045/160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the injected materials not being adhered or bond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2045/167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injecting the second layer through the first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3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1 step blow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3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3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 B29C2949/303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inj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86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 B29C2949/3094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preform having at least partially loose components, e.g. at least partially loos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15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 B29C45/1628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using a mould carrier rotatable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opening and closing axis of the mould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29K2105/258Tub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29L2009/001Layered products the layers being lo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외측 용기 및 내측 용기로 구성된 디스펜서 용기로서, 상기 외측 용기 및 상기 내측 용기는 블로우-성형 플라스틱(blow-moulded plastics)으로 형성되어 서로 일체 연결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내측 용기를 형성하는 제1 플라스틱은 상기 외측 용기를 형성하는 제2 플라스틱보다 높은 탄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내측 용기가 변형가능하고, 상기 외측 용기는, 상기 외측 용기와 상기 내측 용기 사이의 영역에서 압력 보상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압력 보상 개구를 갖고, 상기 내측 용기는 제1 출구 영역을 갖고, 상기 외측 용기는 제2 출구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출구 영역은 상기 제2 출구 영역에 대해 출구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디스펜서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펜서 용기
본 발명은,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외측 용기 및 내측 용기로 구성된 디스펜서 용기로서, 상기 외측 용기 및 상기 내측 용기는 블로우-성형 플라스틱(blow-moulded plastics)으로 형성되어 서로 일체 연결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내측 용기를 형성하는 제1 플라스틱은 상기 외측 용기를 형성하는 제2 플라스틱보다 높은 탄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내측 용기가 변형가능하고, 상기 외측 용기는, 상기 외측 용기와 상기 내측 용기 사이의 영역에서 압력 보상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압력 보상 개구를 갖는, 디스펜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디스펜서 용기는 당해기술, 예컨대 DE 10 2014 113 535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디스펜서 용기에서는, 내측 용기롭터 유체를 후퇴시킴으로써 부압이 생성되고, 이는 외측 용기 내의 압력 보상 개구를 통해 보상되며, 상기 내측 용기는 베이스 영역 또는 중앙 영역 내에서 변형되어, 먼지 입자 및 유해한 입자가 베이스 영역 내의 압력 보상 개구를 통해 디스펜서 용기 내로 관통할 수 있으므로, 디스펜서 용기를 잠재적으로 손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펜서 용기를 위한 대안적인 통기 설계를 제공하여 종래기술의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따라 성취된다.
본 발명의 본질적인 요지는,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외측 용기 및 내측 용기로 구성된 디스펜서 용기로서, 상기 외측 용기 및 상기 내측 용기는 블로우-성형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서로 일체 연결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내측 용기를 형성하는 제1 플라스틱은 상기 외측 용기를 형성하는 제2 플라스틱보다 높은 탄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내측 용기가 변형가능하고, 상기 외측 용기는, 상기 외측 용기와 상기 내측 용기 사이의 영역에서 압력 보상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압력 보상 개구를 갖고, 상기 내측 용기는 제1 출구 영역을 갖고, 상기 외측 용기는 제2 출구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출구 영역은 상기 제2 출구 영역에 대해 출구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디스펜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출구방향의 개념은 종방향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 상기 디스펜서 용기, 및 특히 상기 외측 용기 및 내측 용기 각각은 베이스 영역 및 중앙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영역은 중앙 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중앙 영역은 각 경우에 출구 영역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출구 영역은 상기 제2 출구 영역에 대해 상기 출구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이는 2가지 상태, 즉 이동된 상태 및 이동되지 않은 상태가 있으며, 상기 내측 용기는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변형되지 않고, 상기 내측 용기는 이동된 상태에서 변형됨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제1 출구 영역 상의 외부 힘 작용에 의해 이동이 생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출구 영역은 이동 운동에 의해 이동되므로, 상기 내측 용기는 변형된다.
상기 출구 영역은, 특히 상기 내측 용기로부터 유체를 후퇴시키기 위한 예컨대 펌프 장치가 배치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출구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출구 영역보다 상기 출구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이는 상기 제2 출구 영역의 임의의 영역보다 출구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상기 제1 출구 영역의 부분이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상기 제1 출구 영역이 상기 제2 출구 영역보다 전체적으로 더 연장되는 경우 유리하다.
특히, 상기 제1 출구 영역의 제1 단부는 상기 제2 출구 영역의 대응하는 제1 단부보다 디스펜서 용기로부터 더 멀어지게 배치되는 것이 고려가능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 용기는, 외부면 상에, 상기 압력 보상 개구를 밀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상보적인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압력 보상 개구 내로 돌출하며 상기 제1 출구 영역이 상기 제2 출구 영역에 대해 이동하기 전에 상기 압력 보상 개구에 비능동적(non-positively)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출구 영역의 이동 후에 상기 압력 보상 개구로부터 해제된다.
이는 상기 제1 출구 영역이 상기 제2 출구 영역에 대해 이동될 때, 즉 이동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압력 보상 개구는 더 이상 밀봉되지 않아서, 상기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 사이의 영역 내의 압력 보상이 가능해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압력 보상은 유체가 내측 용기로부터 실제로 후퇴되기 전에 이미 가능하다. 종래기술에서는, 유체가 내측 용기로부터 후퇴될 때 통기 또는 압력 보상이 가능하다.
대응하는 펌프 장치가 장착 또는 피팅된다면, 상기 펌프 장치가 우선 사용되기 전에도 압력 보상이 제공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 보상 개구는 상기 제2 출구 영역 상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압력 보상 개구는 상기 출구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 사이의 전이부에 배치되는 것이 고려가능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출구 영역은 상기 제2 출구 영역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를 갖고, 상기 출구방향으로, 상기 이동 전에 상기 제2 출구 영역으로부터 제1 이격거리에 있고, 상기 이동 후에 상기 제2 출구 영역으로부터 제2 이격거리에 있으며, 상기 제2 이격거리는 상기 제1 이격거리보다 짧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이격거리는 1-10 mm의 범위에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이격거리는 최대 0.5 mm, 보다 바람직하게 0.1 mm, 특히 바람직하게 0 mm이다.
그 결과, 상기 출구 영역 내의 상기 외측 용기와 상기 내측 용기 사이에는 보다 양호한 밀봉 효과가 성취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제2 출구 영역에 대한 상기 제1 출구 영역의 이동성의 결과로서 기밀성에 대한 일부 결여가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출구 영역은 상기 출구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3 돌출부를 갖는다. 상기 제3 돌출부로 인해, 특히 디스펜서 용기 상에 펌프 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디스펜서 용기에 대해 상기 펌프 장치를 보유하기 위한 보유 장치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펜서 용기 상에 피팅하기 위한 펌프 장치로서, 상기 펌프 장치는, 상기 펌프 장치가 상기 디스펜서 용기 상에 피팅되는 동안에, 상기 제1 출구 영역이 상기 제2 출구 영역에 대해 이동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펌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람직하게, 상기 펌프 장치가 상기 디스펜서 용기 상에 피팅된 후에, 상기 제1 출구 영역은 이동된 상태에 있고, 이러한 이동된 상태로 유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펌프 장치의 보유 장치는 상기 피팅 후에, 상기 제3 돌출부와 상호작용하는 제4 돌출부를 구비하며, 이는 특히 스냅-온, 클릭, 크림프 및 나사 연결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디스펜서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디스펜서 용기는 동일한 상기 장치 내에서 프리폼(preform)을 사출-성형(injection-moulding)하고, 상기 프리폼을 연신-블로잉(stretch-blowing)을 위한 블로우-성형법을 이용하여,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외측 용기 및 내측 용기로 구성되는, 상기 장치에 있어서,
a. 적어도 2개의 층을 구성하는 상기 프리폼 상에 주입하기 위한 다중-구성요소 사출-성형 수단(multi-component injection-moulding means)으로서, 상기 제1 층의 플라스틱은 상기 제2 층의 플라스틱과 일체 연결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1 층의 플라스틱은 상기 제2 층의 플라스틱보다 더 높은 탄성을 갖는, 상기 다중-구성요소 사출-성형 수단;
b. 상기 프리폼을 형성하는 상기 층이 도포되는 블로우 사출-성형 코어(injection blow-moulding core);
c. 상기 제1 층을 형성하는 제1 캐비티;
d. 제2 층을 형성하며, 슬라이더 코어를 도입할 수 있는 제2 캐비티;
e. 상기 제2 캐비티 내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 돌출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코어로서, 상기 제2 캐비티 내에 위치된 상기 슬라이더 코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 돌출부는 상기 제2 층 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오목하게 들어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상기 외측 용기 내에 적어도 하나의 압력 보상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슬라이더 코어; 및
f. 상기 프리폼을 연신-블로잉하기 위한 연신-블로잉 수단으로서, 상기 디스펜서 용기를 형성하도록 사출-성형 공정에 의해 가열되며 연신-블로잉에 요구되는 작동 압력에 있는, 상기 연신-블로잉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캐비티 및 상기 제2 캐비티는 상기 연신-블로잉 후에, 상기 제2 출구 영역에 대해 상기 제1 출구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캐비티는 제1 돌출부를 제공하기에 적합하도록 제공된 확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 코어는 상기 확장 영역에서 상기 제2 캐비티 내로 돌출하고 상기 영역과 접촉하며 상기 압력 보상 개구를 형성하기에 적합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디스펜서 용기를 펌프 장치와 조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디스펜서 용기 및 상기 펌프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디스펜서 용기 상에 상기 펌프 장치를 배치하여 접촉시키는 단계;
c. 출구방향을 따라 펌프 장치 상에 힘을 가하여 제2 출구 영역에 대해 제1 출구 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펌프 장치와 상기 디스펜서 용기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외측 용기 및 상기 내측 용기가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탄성중합체로 구성된다면 더욱 유리하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에서 명백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이점 및 방편은 도면과 관련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도 1은 디스펜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상세도이다.
도 3a는 이동되지 않은 상태의 디스펜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상세도이다.
도 4a는 이동된 상태의 디스펜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상세도이다.
도 5a는 이동되지 않은 상태의 펌프 장치를 갖는 디스펜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이동된 상태의 펌프 장치를 갖는 디스펜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캐비티 내의 프리폼을 도시한다.
도 7은 슬라이더 코어를 갖는 제2 캐비티 내의 프리폼을 도시한다.
도 8은 디스펜서 용기를 제조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은 외측 용기(2) 및 내측 용기(3)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용기(1)에 대한 사시도로서, 특히 외측 용기(2)는 도 1에서 식별가능하다. 또한, 외측 용기(2) 및 내측 용기(3) 각각은 이하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는 중앙 영역(17) 및 베이스 영역(18)을 포함한다.
또한, 내측 용기(3)의 제1 출구 영역(6) 및 외측 용기(2)의 제2 출구 영역(7)이 식별가능하며, 제1 출구 영역(6)은 출구방향(8)에 수직인 방향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출구 영역(7) 내에 배치된다.
더욱이, 압력 보상 개구(4)가 마찬가지로 식별가능하고 제2 출구 영역(7) 상에 배치되며, 압력 보상 개구(4)는 바람직하게 제2 출구 영역(7)으로부터 외측 용기(2)의 중앙 영역(17)으로 제1 전이 영역(19) 내에 배치된다.
도 2a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1)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상세도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측 용기(3)는 외부면(21) 및 내부면(22)을 가지며, 내측 용기(3)의 외부면(21)은 외측 용기(2)의 내부면(24)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고, 내부면(24)은 유체와 접촉한다. 또한, 외측 용기(2)는 환경과 접촉하는 외부면(23)을 갖는다. 내측 용기(3)와 외측 용기(2) 사이에는,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은 영역(25)이 배치된다. 이러한 영역(25)은 유체가 내측 용기(3)로부터 후퇴될 때 외측 용기(2)와 내측 용기(3) 사이에서 발생하는 용적에 대응하고, 그 결과 내측 용기(3)가 변형하여, 특히 접촉 또는 수축하고, 그 결과 영역(25)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영역(25)은 압력 보상 개구(4)와 접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 용기(2)는 압력 보상 개구(4)를 갖고, 내측 용기(3)는, 제1 출구 영역(6)의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압력 보상 개구(4)에 연결되어 밀봉하는 제1 돌출부(9)를 가지며, 제1 돌출부(9)는 압력 보상 개구(4)에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도 2b는 제1 출구 영역(6) 및 제2 출구 영역(7)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용기(1)의 출구 영역에 대한 확대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제1 출구 영역(6)은 출구방향(8)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12)를 더 갖는다. 그에 반해, 제2 출구 영역(7)은 제2 돌출부(12) 아래에 출구방향(8)으로 배치된 제3 돌출부(13)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압력 보상 개구(4)는 절두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압력 보상 개구(4)의 상부면은 외측 용기(2)의 외부면(23) 상에 배치되고, 압력 보상 개구(4)의 베이스면은 외측 용기(2)의 내부면(24) 상에 배치된다. 본원에서, 상부면 및 베이스면은 개구를 나타내기로 되어 있으므로 가상적임에 주목해야 한다.
본원에서, 제1 출구 영역(6) 및 제2 출구 영역(7)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용기(1)의 출구 영역(28)의 영역에서, 내측 용기(3)의 제1 두께(26) 및 외측 용기(2)의 제2 두께는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 대응하는 출구 영역(6, 7)의 제1 두께(26) 및 제2 두께(27)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고려가능하다. 본원에서, 그 두께는 각 경우에 출구방향(8)에 수직으로 측정되어야 하며, 임의의 돌출부가 본원에서는 고려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중앙 영역(17)에서의 두께 및 베이스 영역(18)에서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일정하고, 중앙 영역(17) 및 베이스 영역의 영역에서의 내부 용기의 제3 두께(29) 및 중앙 영역(17) 및 베이스 영역(18)의 영역에서의 외측 용기(3)의 제4 두께(30)는 일정하며, 제3 두께(29)가 제4 두께(30)보다 작은 것이 유리하다. 또한, 유리하게, 제2 두께(27)는 제4 두께(30)에 대응하는데, 이는 외측 용기(2)가 전체적으로 일정한 벽 두께를 가짐을 의미한다. 그에 반해, 제1 두께(26)가 제3 두께(29)보다 더 크다면, 즉 내측 용기(3)가 출구 영역(6)에서보다 중앙 영역(17) 및 베이스 영역(18)에서 더 두꺼운 벽으로 형성되면 유리하다. 그 결과, 내측 용기(3)는 유체가 후퇴할 때 훨씬 더 용이하게 접촉하여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 내부 용기(3)의 두께는 하기와 같이 변한다. 제1 출구 영역(6)에서, 제1 두께(26)가 제공되는 한편, 중앙 영역(17) 및 베이스 영역(18)에서는 제3 두께(28)가 제공된다. 출구 영역(6)과 중앙 영역(17) 사이의 전이부(19)에서, 내측 용기(3)는 내측 용기(3)의 두께가 제3 두께(28)로 감소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특히, 두께 전이부가 연속적으로, 즉 두께의 급격한 바뀜이 없이 형성된다.
특히 유리하게, 출구방향(8)은 제1 또는 제2 출구 영역(6, 7)의 중심축(M)에 대응하며, 출구 영역(6, 7)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제1 내경(31) 및 제2 내경(32)을 갖는다. 또한, 압력 보상 개구(4)는 중심축(M) 둘레에서 반경으로서 제1 거리(33)를 갖는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거리는 중심축(M)과, 중심축(M)에 수직으로 본 바와 같이 제3 돌출부(13)의 가장 먼 지점 사이에 배치된다.
더욱이, 제2 돌출부(10) 및 제3 돌출부(13) 각각은 단면에서 중심축(M)에 각을 이루는 제1 부분(34)을 가지며, 그 각도는 30° 내지 6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 40° 내지 50°의 범위, 바람직하게 45°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2 돌출부(10) 및 제3 돌출부(13) 각각은 단면에서 중심축(M)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부분(36, 37)을 가질 수 있다.
도 3a 및 도 3a의 상세도인 도 3b는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디스펜서 용기를 도시하며, 이는 제1 출구 영역(6)이 제2 출구 영역(7)에 대해 이동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3a 및 3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에서, 출구방향(8)으로 본 바와 같은 제2 돌출부(10)는 외측 용기(2)의 제2 출구 영역(7)으로부터 제1 이격거리(11)에 배치된다. 화살표(38)는 제1 출구 영역(6)이 이동가능한 이동방향(38)을 특정한다. 본원에서, 제1 돌출부는 압력 보상 개구(4)가 밀봉되는 방식으로 압력 보상 개구(4)에 연결된다.
도 4a 및 도 4a의 상세도인 도 4b는 이동된 상태에서의 디스펜서 용기(1)를 도시하며, 이는 제1 출구 영역(6)이 제2 출구 영역(7)에 대해 이동되거나 이동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출구 영역(6)의 이동은 이동방향(38)을 따라 제1 출구 영역(6) 상의 힘(39) 작용에 의해 발생되었다.
제1 출구 영역(6)은 이동방향(38) 또는 중심축(M)을 따라 디스펜서 용기(1)의 내부로 푸시되며, 제1 이격거리(11)는 제2 이격거리(12)로 감소된다.
이동된 상태에서, 특히 도 4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출구 영역(7)에 대한 제1 출구 영역(6)의 이동의 결과로서, 제1 돌출부(9)는 압력 보상 개구(4)를 더 이상 밀봉하지 않는 방식으로 마찬가지로 이동되어 있어, 압력 보상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그 이동의 결과로서, 내측 용기(3)가 변형되어 있고, 이는 내측 용기(3)와 외측 용기(2) 사이에 영역(25)이 형성되게 한다.
이동된 상태에서 유체가 이제 디스펜서 컨테이너(1)로부터 후퇴된다면, 결과적인 부압이 압력 보상 개구(4)를 통해 보상되는데, 그 이유는 그 결과로서 공기가 디스펜서 컨테이너(1) 내로 흐를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출구 영역(7)에 대한 제1 출구 영역(6)의 이동으로 인한 내측 용기(3)의 변형의 결과로서, 영역(25)이 내측 용기(3)와 외측 용기(2)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압력 보상 개구(4)를 통해 환경과 접촉하는데, 그 이유는 제1 출구 영역(6)의 이동의 결과로서, 제1 돌출부(9)가 압력 보상 개구(4)를 더 이상 밀봉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5a 및 5b 각각은 펌프 장치(14)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용기(1)의 단면도이며, 펌프 장치(14)는 도 5a에서 디스펜서 용기(1)에 아직 연결되지 않고, 펌프 장치(14)는 도 5b에서 디스펜서 용기(1)에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펌프 장치(14)는 펌프(40)와, 바람직하게 펌프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는 방식으로 펌프(40)에 연결되는 캡(41)을 갖는다.
유리하게, 펌프 장치(14)는 제1 수용 영역(44) 및 제2 수용 영역(45)을 가지며, 제1 수용 영역(44)은 제1 길이(42) 위로 중심축(M)의 방향 또는 출구방향(8)으로 연장되고, 제2 수용 영역(45)은 제2 길이(43) 위로 중심축(M)의 방향 또는 출구방향(8)으로 연장된다. 길이(42, 43) 각각은 펌프 장치(14)의 하단부(46)로부터 볼 때 동일한 방향에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수용 영역(44, 45)은 제2 출구 영역(7)이 제1 수용 영역(44)에 의해 수용될 수 있고 제1 출구 영역(6)이 제2 수용 영역(45)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 출구 영역(6)은 제2 수용 영역(45)의 길이(43)보다 출구방향(8)으로 더 연장되며, 그 후 제1 출구 영역(6)은 펌프 장치(14)가 피팅될 때의 결과로서 제2 출구 영역(7)에 대해 이동된다.
또한, 펌프 장치(14)는 유리하게 제3 돌출부(13)와 접촉하여 디스펜서 용기(1)에 대해 펌프 장치(14)를 로킹할 수 있는 제4 돌출부(16)를 갖는다.
도 5b는 도 5a의 요소를 도시하지만, 디스펜서 용기(1) 상에 피팅되는 펌프 구성체(14)를 갖는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펜서 용기(1) 상에 펌프 장치(14)를 피팅하는 것은 제2 출구 영역(7)에 대한 제1 출구 영역(6)의 이동을 야기하고 있고, 그 결과 제1 돌출부(9)는 압력 보상 개구(4)를 더 이상 밀봉하지 않고, 영역(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돌출부(13)는 제4 돌출부(16)와 접촉하여 디스펜서 용기(1)에 대해 펌프 장치(14)를 로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압력 보상 개구(4)는 중심축(M) 둘레에 반경으로서 제1 거리(33)를 갖는 영역 내에 배치되며, 제1 거리는 중심축(M)에 수직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제3 돌출부(13)의 가장 먼 지점과 중심축(M)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1 거리(33)는 마찬가지로 펌프 장치(14)의 최대 내경에 대응한다. 또한, 펌프 장치(14)의 하단부(46)가 외측 용기(2)와 기밀하게 접촉하지 않는 결과로서, 이는 공기가 환경으로부터 통해 여전히 흐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압력 보상 개구(4)가 펌프 장치(14)에 의해 환경으로부터 보호됨을 의미하며, 이는 압력 보상 개구(4)를 통해 디스펜서 용기(1) 내에 외부 입자가 도달할 수 없어 상기 용기가 손상으로부터 보호됨을 의미한다.
도 6은 적어도 2개의 층(102, 103)을 구성하는 프리폼(101) 상에 주입하기 위한 다중-구성요소 사출-성형 수단(multi-component injection-moulding means)(104)의 제1 부분을 도시하며, 제1 층(103)의 플라스틱은 제2 층(102)의 플라스틱과 일체 연결을 형성하지 않고, 제1 층(103)의 플라스틱은 제2 층(102)의 플라스틱보다 더 높은 탄성을 갖는다. 상기 장치는 제1 캐비티(105) 내에 위치된 블로우 사출-성형 코어(106)를 포함한다. 제1 층(103)은 공급 수단(114)에 의해 제1 캐비티(105) 내에 주입된다. 본원에서, 캐비티(105)는 디스펜서 용기(1)의 제1 돌출부(9)를 형성하는 제1 돌출부 형성부(105')를 갖는다.
도 7은 다중-구성요소 사출-성형 수단(104)의 제2 캐비티(107)를 도시한다. 제1 층(103)에 이미 주입한 블로우 사출-성형 코어(106)는 이러한 제1 캐비티 내에 위치된다. 또한, 돌출부(109)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코어(108)는 돌출부(109)가 제1 층(103), 특히 제1 돌출부(9)가 형성되는 위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제2 캐비티(107) 내에 도입될 수 있다. 제2 플라스틱이 또 다른 공급 수단(114a)에 의해 제2 캐비티(107) 내에 주입되면, 슬라이더 코어의 돌출부는 압력 보상 개구(4)에 의해 형성된 영역(110)에 오목하게 들어간다. 본 발명은 각각의 캐비티(105, 107) 상의 공급 수단(114, 114a)의 도 6 및 7에 도시된 배치 지점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은 디스펜서 용기(1)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100)로서, 동일한 장치(100) 내에서 프리폼(101)을 사출-성형하고, 프리폼(101)을 연신-블로잉(stretch-blowing)을 위한 블로우 사출-성형에서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외측 용기(2) 및 내측 용기(3)로 구성되는,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 및 7에 전술된 다중-구성요소 사출-성형 수단(104)뿐만 아니라, 장치(100)는 프리폼(101)을 연신-블로잉하기 위한 연신-블로잉 수단(111)을 더 가지며, 연신-블로잉 수단(111)은 사출-성형 공정에 의해 가열되며 연신-블로잉에 요구되는 작동 압력에 있다. 또한, 팽창된 디스펜서 용기(1)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수단(112) 및 마무리된 디스펜서 용기(1)를 장치(100)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후퇴 수단(113)이 제공된다.
본 출원에 개시된 모든 특징은 종래기술에 대해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신규하기만 하면 본 발명에 본질적인 것으로 청구된다.
1: 디스펜서 용기
2: 외측 용기
3: 내측 용기
4: 압력 보상 개구
5: 영역
6: 제1 출구 영역
7: 제2 출구 영역
8: 출구방향
9: 제1 돌출부
10: 제2 돌출부
11: 제1 이격거리
12: 제2 이격거리
13: 제3 돌출부
14: 펌프 장치
16: 제4 돌출부
17: 중앙 영역
18: 베이스 영역
19: 제1 전이 영역
20: 제2 전이 영역
21: 내측 용기의 외부면
22: 내측 용기의 내부면
23: 외측 용기의 외부면
24: 외측 용기의 내부면
25: 영역
26: 제1 두께
27: 제2 두께
28: 출구 영역
29: 제3 두께
30: 제4 두께
31: 제1 내경
32: 제2 내경
33: 제1 거리
34: 제1 부분
35: 제1 부분
36: 제2 부분
37: 제2 부분
38: 이동방향
39: 힘
40: 펌프
41: 캡
42: 제1 길이
43: 제2 길이
44: 제1 수용 영역
45: 제2 수용 영역
46: 하단부
100: 장치
101: 프리폼
102: 제2 층
103: 제1 층
104: 사출-성형 장치
105: 제1 캐비티
105': 보호-형성 영역
106: 블로우 사출-성형 코어
107: 제2 캐비티
108: 슬라이더 코어
109: 슬라이더 코어 상의 보호
110: 제2 층 내의 오목한 영역
111: 연신-블로우 수단
112: 냉각 장치
113: 후퇴 장치

Claims (11)

  1.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외측 용기(2) 및 내측 용기(3)로 구성된 디스펜서 용기(1)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2) 및 상기 내측 용기(3)는 블로우-성형 플라스틱(blow-moulded plastics)으로 형성되어 서로 일체로 분리되고, 상기 내측 용기(3)를 형성하는 제1 플라스틱은 상기 외측 용기(2)를 형성하는 제2 플라스틱보다 높은 탄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내측 용기(3)가 변형가능하고, 상기 외측 용기(2)는, 상기 외측 용기(2)와 상기 내측 용기(3) 사이의 영역(25)에서 압력 보상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압력 보상 개구(4)를 갖고,
    상기 내측 용기(3)는 제1 출구 영역(6)을 갖고, 상기 외측 용기(2)는 제2 출구 영역(7)을 갖고, 상기 제1 출구 영역(6)은 상기 제2 출구 영역(7)에 대해 출구방향(8)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내측 용기(3)는, 외부면 상에, 상기 압력 보상 개구(4)를 밀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상보적인 제1 돌출부(9)를 가지며, 상기 제1 출구 영역(6)은 상기 제2 출구 영역(7)에 대해 상기 출구방향(8)으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제1 출구 영역(6)이 상기 제2 출구 영역(7)에 대해 이동되는 이동된 상태(shifted state)와, 상기 제1 출구 영역(6)이 상기 제2 출구 영역(7)에 대해 이동되지 않은 비이동 상태(unshifted state)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돌출부(9)는 상기 비이동 상태에서 상기 압력 보상 개구(4) 내로 돌출하여 상기 압력 보상 개구(4)를 밀봉하고, 상기 제1 돌출부(9)는 상기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 보상 개구(4)로부터 해제되는,
    디스펜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구 영역(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출구 영역(7)보다 상기 출구방향(8)으로 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보상 개구(4)는 상기 제2 출구 영역(7)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구 영역(6)은 상기 제2 출구 영역(7)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10)를 갖고, 상기 출구방향(8)으로, 상기 이동 전에 상기 제2 출구 영역(7)으로부터 제1 이격거리(11)에 있고, 상기 이동 후에 상기 제2 출구 영역(7)으로부터 제2 이격거리(12)에 있으며, 상기 제2 이격거리(12)는 상기 제1 이격거리(11)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격거리(11)는 1-10 mm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구 영역(7)은 상기 출구방향(8)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3 돌출부(1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1) 상에 피팅하기 위한 펌프 장치(14)에 있어서,
    상기 펌프 장치(14)는, 상기 펌프 장치가 상기 디스펜서 용기(1) 상에 피팅되는 동안에, 상기 제1 출구 영역(6)이 상기 제2 출구 영역(7)에 대해 이동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장치(14)는 제4 돌출부(16)를 구비하는 보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돌출부(16)는, 상기 피팅 후에, 스냅-온, 크림프 및 나사 연결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3 돌출부(13)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펜서 용기(1)의 제2 출구 영역(7)은 상기 출구방향(8)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3 돌출부(13)를 갖고, 상기 제3 돌출부(13)는 상기 디스펜서 용기(1)에 대해 상기 펌프 장치(14)를 보유하기 위한 상기 보유 장치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1)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100)로서, 상기 디스펜서 용기(1)는 동일한 상기 장치 내에서 프리폼(preform)을 사출-성형(injection-moulding)하고, 상기 프리폼을 연신-블로잉(stretch-blowing)을 위한 블로우-성형법을 이용하여, 유체를 수용하기 위해 외측 용기(2) 및 내측 용기(3)로 구성되는, 상기 장치(100)에 있어서,
    a. 적어도 2개의 층(102, 103)인 제1 층(103) 및 제2 층(102)을 포함하는 상기 프리폼(101) 상에 주입하기 위한 다중-구성요소 사출-성형 수단(multi-component injection-moulding means)(104)으로서, 상기 제1 층(103)의 플라스틱은 상기 제2 층(102)의 플라스틱과 일체 연결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1 층(103)의 플라스틱은 상기 제2 층(102)의 플라스틱보다 더 높은 탄성을 갖는, 상기 다중-구성요소 사출-성형 수단(104);
    b. 상기 프리폼(101)을 형성하는 상기 층(102, 103)이 도포되는 블로우 사출-성형 코어(injection blow-moulding core)(106);
    c. 상기 제1 층(103)을 형성하는 제1 캐비티(105);
    d. 상기 제2 층(102)을 형성하며, 슬라이더 코어(108)를 도입할 수 있는 제2 캐비티(107);
    e. 상기 제2 캐비티(107) 내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 돌출부(109)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코어(108)로서, 상기 제2 캐비티(107) 내에 위치된 상기 슬라이더 코어(108)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 돌출부(109)는 상기 제2 층(102) 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110)에 오목하게 들어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110)은 상기 외측 용기(2) 내에 적어도 하나의 압력 보상 개구(4)를 형성하는, 상기 슬라이더 코어(108); 및
    f. 상기 프리폼(101)을 연신-블로잉하기 위한 연신-블로잉 수단(111)으로서, 상기 디스펜서 용기(1)를 형성하도록 사출-성형 공정에 의해 가열되며 연신-블로잉에 요구되는 작동 압력에 있는, 상기 연신-블로잉 수단(111)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캐비티(105) 및 상기 제2 캐비티(107)는 상기 연신-블로잉 후에, 상기 제2 출구 영역(7)에 대해 상기 제1 출구 영역(6)을 이동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비티는 제1 돌출부(9)를 형성하는 확장 영역(105')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 코어(108)는 상기 확장 영역(105')에서 상기 제2 캐비티 내로 돌출하고 상기 영역과 접촉하며 상기 압력 보상 개구(4)를 형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97032869A 2017-09-19 2018-03-12 디스펜서 용기 KR102507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1702.9A DE102017121702B4 (de) 2017-09-19 2017-09-19 Spenderbehälter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 Spenderbehälters
DE102017121702.9 2017-09-19
PCT/EP2018/056090 WO2019057344A1 (de) 2017-09-19 2018-03-12 Spenderbehä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043A KR20190135043A (ko) 2019-12-05
KR102507502B1 true KR102507502B1 (ko) 2023-03-09

Family

ID=6176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869A KR102507502B1 (ko) 2017-09-19 2018-03-12 디스펜서 용기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11185878B2 (ko)
EP (1) EP3609808B1 (ko)
JP (1) JP6993431B2 (ko)
KR (1) KR102507502B1 (ko)
CN (1) CN110603206B (ko)
AU (1) AU2018334971B2 (ko)
CA (1) CA3061813C (ko)
CY (1) CY1124396T1 (ko)
DE (1) DE102017121702B4 (ko)
ES (1) ES2882716T3 (ko)
HU (1) HUE056555T2 (ko)
LT (1) LT3609808T (ko)
LU (1) LU101205B1 (ko)
MX (1) MX2019013002A (ko)
PL (1) PL3609808T3 (ko)
PT (1) PT3609808T (ko)
WO (1) WO2019057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1702B4 (de) 2017-09-19 2019-07-11 Inotech Kunststofftechnik Gmbh Spenderbehälter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 Spenderbehälters
DE102019127017A1 (de) * 2019-10-08 2021-04-08 Inotech Kunststofftechnik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orformlings
CN112849724A (zh) * 2021-03-15 2021-05-28 广州长霖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单向密封的双层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48925A1 (en) 1999-02-19 2000-08-24 Allergan Sales, Inc. Container sealing structure
US20050067432A1 (en) * 2003-08-29 2005-03-31 L'oreal Pocket and packaging device including a pocket
US20120279995A1 (en) * 2011-05-06 2012-11-08 Specialty Lubricants Corporation Accordion bottle
EP2998240B1 (de) 2014-09-19 2017-05-17 INOTECH Kunststofftechnik GmbH Spender mit beutel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8434A (en) 1975-06-20 1978-07-04 Owens-Illinois, Inc. Fluid product dispenser
DE4106919A1 (de) * 1991-03-05 1992-09-10 Kautex Werke Gmbh Quetschflasche mit innenbehaelter
CA2113117C (en) * 1992-05-11 2005-10-11 Tsutomu Kobayashi Laminated bottle and pump device therefor
JP3595571B2 (ja) * 1993-05-07 2004-12-02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二重壁ボトルとその成形方法及び装置
DE69632354T2 (de) * 1995-03-10 2005-05-04 Yoshino Kogyosho Co., Ltd. Behälter aus laminiertem, leicht schälbarem Material
US5569473A (en) * 1995-05-23 1996-10-29 Electra Form, Inc. Apparatus for forming a recyclable lined container
JP4485627B2 (ja) * 1999-10-08 2010-06-23 大成化工株式会社 積層剥離ボトル、並びに、ポンプ容器
US6503440B2 (en) * 2000-04-07 2003-01-07 Boehringer Ingelheim Pharma Kg Process for making a container with a pressure equalization opening and containers produced accordingly
US20150266620A1 (en) * 2007-04-19 2015-09-24 Anheuser-Busch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a bag anchoring point;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tool thereof
US20080257847A1 (en) * 2007-04-19 2008-10-23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a bag anchoring point;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ool therefor
JP6336702B2 (ja) * 2011-08-05 2018-06-06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吐出容器
JP5979467B2 (ja) * 2011-08-31 2016-08-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ブロー成形容器及び吸気孔の形成方法
JP6014405B2 (ja) * 2012-07-31 2016-10-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6011929B2 (ja) * 2012-10-31 2016-10-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2軸延伸ブロー成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EP3037174B1 (en) * 2014-12-24 2017-10-25 Lumson S.p.A. Device to contain and dispense fluid substances
JP6639088B2 (ja) * 2015-01-30 2020-02-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6587829B2 (ja) 2015-05-19 2019-10-09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延伸ブロー二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587830B2 (ja) 2015-05-19 2019-10-09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延伸ブロー二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7121702B4 (de) 2017-09-19 2019-07-11 Inotech Kunststofftechnik Gmbh Spenderbehälter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 Spenderbehälters
JP6879226B2 (ja) * 2018-02-23 2021-06-02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エアレスボトルの製造に使用される内袋容器用プリフォー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48925A1 (en) 1999-02-19 2000-08-24 Allergan Sales, Inc. Container sealing structure
US20050067432A1 (en) * 2003-08-29 2005-03-31 L'oreal Pocket and packaging device including a pocket
US20120279995A1 (en) * 2011-05-06 2012-11-08 Specialty Lubricants Corporation Accordion bottle
EP2998240B1 (de) 2014-09-19 2017-05-17 INOTECH Kunststofftechnik GmbH Spender mit beu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61813C (en) 2021-01-19
US20210146390A1 (en) 2021-05-20
ES2882716T3 (es) 2021-12-02
PT3609808T (pt) 2021-08-09
JP6993431B2 (ja) 2022-01-13
CN110603206A (zh) 2019-12-20
WO2019057344A1 (de) 2019-03-28
CN110603206B (zh) 2022-03-04
CA3061813A1 (en) 2019-10-29
HUE056555T2 (hu) 2022-02-28
LU101205B1 (de) 2019-10-01
US20220048057A1 (en) 2022-02-17
AU2018334971B2 (en) 2020-05-21
EP3609808B1 (de) 2021-06-30
PL3609808T3 (pl) 2021-12-20
MX2019013002A (es) 2020-07-20
LU101205A1 (de) 2019-05-14
KR20190135043A (ko) 2019-12-05
DE102017121702B4 (de) 2019-07-11
LT3609808T (lt) 2021-08-25
US11904331B2 (en) 2024-02-20
AU2018334971A1 (en) 2019-11-28
CY1124396T1 (el) 2022-07-22
DE102017121702A1 (de) 2019-03-21
EP3609808A1 (de) 2020-02-19
BR112019023294A2 (pt) 2020-06-16
US11185878B2 (en) 2021-11-30
JP2020528850A (ja)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7502B1 (ko) 디스펜서 용기
CN102218811B (zh) 用于制作不透气泵的容器的方法
US20130004692A1 (en) Preform and container comprising reinforcing elements
US10286591B2 (en) Blow molding mold
JP5980813B2 (ja) パリソン及びそれを用いた容器のブロー成形方法
US10988277B2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and preform
CN112320063B (zh) 容器和封闭物
MX2008015787A (es) Herramienta de molde para la produccion de productos moldeados por soplado de extrusion.
CN109476065B (zh) 液体吹塑成形装置
US20190039277A1 (en) Method of blow molding a plastic container
WO2011083135A2 (en) Injection mold stack and molding apparatus
US20130228543A1 (en) Pet blow moulding method for producing blow moulded pet containers and such a container
CN107567419B (zh) 包含两个密封部的容器
JP4684038B2 (ja) ブロー成形用プリフォーム
TW200706342A (en)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injection mold of hollow molded product
JP7421428B2 (ja) 射出成形品
JP5267949B2 (ja) 合成樹脂製ピストン状部材及び射出成形金型
CN216579165U (zh) 防尘罩枢轴连接件的吹塑成型模具
JP2001082602A (ja) 密封リングを含む合成樹脂製ホルダ
CN209126070U (zh) 双料成型件及车辆
CN112105491B (zh) 吹塑模具和吹塑设备
JP2010280089A (ja) 化粧料容器
KR100206522B1 (ko) 플라스틱 블로우 용기의 구부성형방법
JP2010042549A (ja) 樹脂成形用金型
JP2008213928A (ja) 段付き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