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586B1 -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586B1
KR102504586B1 KR1020200008427A KR20200008427A KR102504586B1 KR 102504586 B1 KR102504586 B1 KR 102504586B1 KR 1020200008427 A KR1020200008427 A KR 1020200008427A KR 20200008427 A KR20200008427 A KR 20200008427A KR 102504586 B1 KR102504586 B1 KR 102504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ation
terminal
destination
user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4774A (ko
Inventor
윤석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윈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윈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윈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00008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586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교통수단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으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대중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방법은 목적지입력단계와, 목적지송신단계와, 교통정보수신단계와, 사용자송신단계와, 도착지정보수신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지입력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는다. 상기 목적지송신단계는 상기 목적지입력단계에서 입력된 목적지를 정류장의 단말로 송신한다. 상기 교통정보수신단계는 상기 목적지로 가는 교통수단 중 상기 정류장의 단말로 이동하는 교통수단의 정보를 상기 정류장의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송신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교통수단의 단말로 송신한다. 상기 도착지정보수신단계는 상기 교통수단의 단말로부터 상기 목적지에 도달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탑승할 교통수단 번호 또는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해당 번호의 교통수단 또는 해당 목적지로 향하는 교통수단에 탑승자의 여부가 전송되어 교통수단 운전자는 정류장에 정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The method for providing public traffic service}
본 발명은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교통수단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을 발달로 인하여 대중 교통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 노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류장으로 들어오는 버스의 번호, 도착예정 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런데 버스 운전자가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최근에는 대중 교통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량에 버스 탑승자의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교통정보 활용방법까지 개발되었다.
등록특허 제10-1855257호(등록일자 2018년 4월 30일) 등록특허 제10-1246370호(등록일자 2013년 3월 15일)
종래의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의 경우 버스 운전자에게 버스 탑승자의 정보를 알려주더라도 버스가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거나 또는 버스가 정류장에 정차하였더라도 탑승자가 탑승이 이루어지기 전에 출발한 경우 다시 탑승할 버스 정보를 선택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스 이용자가 새로운 정류소에 간 경우 버스 노선을 알지 못할 경우 목적지에 맞는 버스 번호를 검색해서 선택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탑승자가 버스에 탑승하기 전까지 탑승할 수 있는 버스에 계속적으로 탑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대중 교통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자가 목적지를 입력하면 그 목적지를 통과하는 버스에 자동으로 탑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대중 교통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으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대중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방법은 목적지입력단계와, 목적지송신단계와, 교통정보수신단계와, 사용자송신단계와, 도착지정보수신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지입력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는다. 상기 목적지송신단계는 상기 목적지입력단계에서 입력된 목적지를 정류장의 단말로 송신한다. 상기 교통정보수신단계는 상기 목적지로 가는 교통수단 중 상기 정류장의 단말로 이동하는 교통수단의 정보를 상기 정류장의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송신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교통수단의 단말로 송신한다. 상기 도착지정보수신단계는 상기 교통수단의 단말로부터 상기 목적지에 도달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의 사용자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송신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존재를 상기 정류장의 단말로도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대중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류장 단말의 방법은 교통수단정보수신단계와, 목적지수신단계와, 검색단계와, 교통정보송신단계와, 탑승통지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교통정보수신단계는 상기 정류장 단말로 진입하는 교통수단의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목적시수신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목적지를 수신받는다. 상기 검색단계는 상기의 목적지수수단에서 수신된 목적지를 통과하는 상기 교통수단을 검색한다. 상기 교통정보송신단계는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상기 교통수단 중 상기 교통수단정보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교통수단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한다. 상기 탑승통지단계는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상기 교통수단 중 상기 교통수단정보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교통수단의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탑승을 통지한다.
또한, 상기 정류장 단말의 방법은 탑승수신단계와, 탑승해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승수신단계는 상기 교통수단의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탑승여부를 수신한다. 상기 탑승해제단계는 상기 탑승수신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탑승이 수신되면 상기 탑승통지단계에서 통지한 상기 교통수단의 단말에 상기 사용자의 탑승해제를 통지한다.
또한, 상기 정류장 단말의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존재를 수신하는 사용자수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탑승해제단계는 상기 사용자수신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탈되면 상기 사용자의 탑승해제를 더 통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대중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통수단의 단말의 방법은 위치정보송신단계와, 탑승자여부수신단계와, 탑승자표시단계와, 탑승수신단계와, 탑승완료통지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정보송신단계는 상기 교통수단의 위치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탑승자여부수신단계는 상기 정류장 단말로부터 탑승자의 탑승통지 및 탑승해제를 수신한다. 상기 탑승자표시단계는 상기 탑승자여부수신단계에 수신된 탑승여부를 운전자에게 안내한다. 상기 탑승수신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교통수단에 탑승을 수신받는다. 상기 탑승완료통지단계는 상기 탑승수신단계에서 수신된 탑승신호를 정류장 단말에 송신한다.
또한, 상기의 교통수단의 단말의 방법은 목적지수신단계와, 도착지송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지수신단계는 상기 탑승수신단계에서 탑승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목적지를 수신 받는다. 상기 도착지송신단계는 상기 목적지를 수신받은 사용자 단말에 상기 목적지에 도달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탑승할 교통수단 번호 또는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해당 번호의 교통수단 또는 해당 목적지로 향하는 교통수단에 탑승자의 여부가 전송되어 교통수단 운전자는 정류장에 정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해당 목적지로 향하는 교통수단이 정류장에서 정차시 사용자가 탑승하지 못하였더라도 다음에 도착하는 교통수단에 탑승자의 여부가 전송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중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에서 대중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의 방법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3은 통신 시스템에서 대중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류장 단말의 방법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4는 통신 시스템에서 대중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통수단의 단말의 방법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1은본 발명에 따른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따른 대중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과, 정류장 단말(20)과, 교통수단 단말(3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대중 교통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지닌 단말로서, 사용자로부터는 탑승할 교통수단의 번호 또는 이동할 목적지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은 NFC 기능을 지원하며 정류장 단말(20) 또는 교통수단 단말(20)과 신호를 송수신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정류장 단말(20)로 이동한 경우 정류장 단말(20)에 사용자 단말(10)의 존재를 송신하고,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교통수단의 번호 또는 이동할 목적지의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정류장 단말로 진입하는 교통수단의 번호와, 그리고 목적지를 송신한 경우 정류장 단말(20)로부터는 그 목적지를 경유하는 교통수단 중 정류장 단말로 진입하는 교통수단의 번호를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교통수단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 단말(10)의 존재와, 그리고 목적지를 입력한 경우 목적지의 정보를 교통수단 단말(30)에 송신하며, 또한 목적지를 입력한 경우 그 목적지에 도착시 도착한다는 도착지 정보를 교통수단 단말(30)로부터 수신 받는다.
정류장 단말(20)은 버스 정류장 또는 택시 정류장과 같은 대중 교통수단의 정류장에 설치된 단말로서 해당 대중 교통수단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예를들어 해당 정류장으로 진입하는 교통수단의 현재 위치, 도착예정시간 등을 수집한다. 이때 교통수단의 정보를 해당 교통수단 단말(30)로부터 수집할 수 있으며, 또는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총괄하는 시스템의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정류장 단말(20)은 사용자 단말(10)이 접근할 경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 단말(10)의 존재여부를 입력받으며, 사용자 단말(10)이 탑승하고자 하는 교통수단의 번호나, 목적지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이 정류장 단말(20)에서 이탈된 경우 그 이탈여부도 파악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목적지를 경유하는 교통수단을 검색한다. 그리고 정류장 단말(20)은 해당 정류장 단말(20)로 진입하는 교통수단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송신하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 그 목적지를 경유하는 교통수단 중 해당 정류장 단말(20)로 진입하는 교통수단의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정류장 단말(20)은 교통수단 단말(30)에 사용자 단말(10)의 탑승여부를 통지하며, 사용자 단말(10)이 탑승된 경우 교통수단 단말(30)로부터 탑승되었음을 수신받는다. 그리고 교통수단 단말(30)로부터 탑승수신을 받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0)이 이탈된 경우 사용자 단말(10)이 탑승한다고 통지한 다른 교통수단 단말(30)에 사용자 단말(10)의 탑승해제를 송신한다.
교통수단 단말(30)은 버스나 택시와 같은 교통수단에 설치된 단말기로서, GPS 기능을 포함하여 해당 차량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이때 차량의 위치 정보는 시스템의 서버에 전송하거나 또는 정류장 단말(2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정류장 단말(20)로부터 사용자 단말(10)이 탑승한다는 탑승자을 수신 받으며, 그리고 사용자 단말(10)의 탑승이 취소된 경우 그 탑승자 해제를 수신 받는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이 탑승한다는 정보가 수신된 경우 운전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탑승자표시를 한다. 이는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음성으로 경고할 수 있다. 또는 교통수단의 하차벨이 눌러지면서 운전자에게 알림을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이 탑승한 경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탑승수신을 하며, 탑승완료되었다는 통지를 정류장 단말(2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이 목적지를 입력한 경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목적지를 수신하며, 도착지에 도달할 경우 사용자 단말(10)에 도착지를 송신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10)과, 정류장 단말(20) 및 교통수단 단말(30)의 동작절차를 설명한다.
도 2는 사용자 단말(10)을 사용하여 교통 서비를 제공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을 사용하여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먼저 정류장 단말(20)에 사용자 단말(10)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사용자 송신(101)을 한다. 즉 사용자 단말(10)이 정류장 단말(20)에 접근하면 사용자 단말(10)의 접근 여부를 알 수 있도록 사용자 송신(101)을 한다. 여기서 사용자 송신(101)은 사용자 단말(10)에 교통수단에 탑승한 경우에도 교통수단 단말(30)에게 사용자 단말(10)의 탑승을 알리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10)의 존재 여부를 알린다. 즉 사용자 송신(101)은 정류장 단말(20) 뿐만 아니라 교통수단 단말(30)에게도 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이 정류장 단말(20)에게 사용자 송신(101)을 하면 정류장 단말(20)은 그 정류장 단말(10)로 진입하는 교통정보를 송신하므로 사용자 단말(10)은 정류장 단말(20)로부터 정류장 단말의 교통정보수신(103)을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탑승을 원하는 교통번호를 선택하거나 또는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교통수단번호 또는 목적지선택(105)을 입력 받는다.
만약 사용자 단말(10)이 사용자로부터 탑승할 교통수단의 번호를 입력 받은 경우 정류장 단말(20)에 교통수단번호송신(113)을 한다.
사용자 단말(10)이 교통수단번호(111) 대신 목적지(121)를 입력받은 경우 정류장 단말(20)에 목적지송신(123)을 한다.
교통수단 단말(20)에 목적지송신(123)을 하면 교통수단 단말(20)은 그 목적지를 경유하는 교통수단 중 정류장 단말(20)에 진입하는 교통수단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송신한다. 그래서 사용자 단말(10)은 정류장 단말(20)로부터 교통정보수신(125)을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수용된 교통정보수신(125)을 보고 탑승할 교통수단의 위치 및 도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목적지를 향하는 교통수단에 탑승한 경우 교통수단 단말(30)에 목적지의 도착지정보송신(127)을 한다. 그러면 교통수단이 목적지에 도달할 때가 되면 사용자 단말(10)에 도착지를 알려주므로 사용자 단말(10)은 교통수단 단말(30)로부터 도착지 정보수신(129)을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목적지에서 하차할 수 있다.
도 3은 정류장 단말(20)을 사용하여 교통 서비를 제공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장 단말(20)을 사용하여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정류장 단말(20)이 시스템의 서버 또는 교통수단 단말(30)로부터 정류장 단말(20)로 진입하는 교통수단의 위치, 도달시간 등의 교통수단정보수신(203)을 한다.
그리고 정류장 단말(20)은 사용자 단말(10)이 접근했을 경우 사용자 단말(10)의 존재를 인식하는 사용자수신(201)을 한다.
정류장 단말(20)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수신(201)을 하면 사용자 단말(10)로 교통수단정보수신(203)한 정보를 전송하는 교통수단정보송신(205)을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원하는 교통수단의 번호를 선택하거나 또는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탑승할 교통수단의 번호 또는 목적지를 사용자 단말(10)을 통하여 송신하면 정류장 단말(20)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교통수단번호 또는 목적지수신(207)을 한다.
교통수단번호(211)를 수신한 경우 정류장 단말(20)은 그 번호의 교통수단에 탑승자가 있음을 알리는 탑승통지(213)을 한다. 교통수단 단말(30)에 탑승통지(213)가 되면 교통수단 단말(30)은 정류장 단말(20)에서 탑승자가 있음을 알고 정차를 해야 한다. 만약 사용자가 탑승통지(213)가 된 후 특별한 이유 등으로 인하여 교통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정류장 단말(20)에서 이탈할 수 있다. 즉 교통수단의 탑승을 포기하고 떠날 수 있다. 이 경우 정류장 단말(20)은 사용자 단말(10)과 통신하여 사용자수신(201)을 하므로 사용자 단말이 이탈되었는지 사용자이탈(215)을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이탈(215)이 감지되면 탑승을 포기한 것으로 판단하여 정류장 단말(20)은 탑승통지(213)를 한 교통수단 단말(30)에 탑승해제(217)를 통지한다. 그러면 교통수단 단말(30)은 탑승자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정류장 단말(20)이 목적지(221)를 수신한 경우 정류장 단말(20)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목적지(221)를 통과하는 교통수단이 무엇인지 교통수단검색(223)을 수행한다.
교통수단검색(223)을 통하여 목적지(221)를 통과하는 교통수단이 검색되면 검색된 교통수단 중 정류장 단말(20)로 진입하는 교통수단을 사용자 단말(10)에게 알려주는 목적지교통정보송신(225)을 할 뿐만 아니라 그 교통수단 단말(30)에 탑승자가 있음을 탑승통지(227)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그 목적지로 가는 교통수단의 번호, 도착시간 등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선택한 목적지를 가는 교통수단 중 정류장 단말(20)로 진입하는 모든 교통수단 단말(30)에 탑승통지가 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먼저 도착한 교통수단에 탑승하지 못하게 된 경우라도 그 다음에 도착하는 교통수단 단말(30)에도 탑승통지(227)가 되어 있으므로 그 교통수단이 정차하게 되어 탑승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교통수단 단말(30)에 탑승하게 되면 정류장 단말(20)은 교통수단 단말(30)로부터 사용자 단말(10)이 탑승했다는 탑승수신을 하게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교통수단에 탑승하거나 다른 특별한 사유로 탑승을 포기하게 되어 정류장 단말(20)을 떠나게 되어 사용자이탈(229)이 발생되면 정류장 단말(20)는 탑승통지(227)를 했던 다른 교통수단 단말(30)에 탑승해제(231)를 통지한다.
도 4은 교통수단 단말(30)을 사용하여 교통 서비를 제공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수단 단말(30)을 사용하여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먼저 시스템의 서버 또는 정류장 단말(20)에 교통수단 단말(30)의 고유정보와 함께 위치정보송신(301)을 한다. 그러면 정류장 단말(20)은 교통수단 단말(30)이 어디쯤 오는지, 도착하는데 얼마나 걸리는지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교통수단 단말(30)은 정류장 단말(20)로부터 탑승자가 있는지 또는 탑승자가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탑승자여부수신(303)을 한다. 만약 탑승자존재(305)가 있는 경우 교통수단 단말(30)은 운전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탑승자표시(307)를 한다. 그래서 운전자는 탑승자가 존재할 경우 정류장 단말(20)을 무정차하지 않고 정차하게 된다.
교통수단이 정류장 단말(20)에 정차하게 되면 사용자가 탑승하게 되고, 그러면 교통수단 단말(30)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수신을 하여 탑승수신(309)을 하게 된다. 탑승수신(309)이 되면 교통수단 단말(30)은 정류장 단말(10)에 탑승완료통지(311)을 하게 된다. 정류장 단말(10)을 교통수단 단말(30)로부터 탑승완료통지(311)를 받게 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목적지로 향하는 다른 교통수단에 탑승해제를 통지할 수 있다.
목적지를 입력한 사용자가 교통수단에 탑승하게 되면 교통수단 단말(30)을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목적지수신(313)을 하게 된다. 그리고 목적지의 정류장에 도착할 때가 되면 교통수단 단말(30)은 사용자 단말(10)에 도착지송신(315)을 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하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교통수단의 번호를 선택할 수 있으며,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번호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번호의 교통수단에 통지를 가므로 그 번호의 교통수단은 정류장에 정차하게 된다. 그리고 목적지를 선택한 경우 그 목적지를 가는 모든 교통수단에 통지가 가게 된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먼저 정차한 교통수단에 탑승하지 못하더라도 그 다음에 도착하는 교통수단에도 탑승통지가 가 있으므로 탑승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탑승할 교통수단에 탑승통지가 되어 있더라도 사용자가 탑승을 포기하고 정류장을 이탈한 경우 그 탑승포기가 교통수단에 통지되므로 교통수단은 불필요한 정차를 막을 수 있다.
10 : 사용자 단말 20 : 정류장 단말
30 : 교통수단 단말

Claims (7)

  1. 통신 시스템에서 대중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류장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류장 단말로 진입하는 교통수단의 정보를 수신하는 교통수단정보수신단계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목적지를 수신받는 목적지수신단계와,
    상기의 목적지수신단계에서 수신된 목적지를 통과하는 상기 교통수단을 검색하는 검색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상기 교통수단 중 상기 교통수단정보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교통수단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교통정보송신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상기 교통수단 중 상기 교통수단정보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교통수단의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탑승을 통지하는 탑승통지단계와,
    상기 교통수단의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탑승여부를 수신하는 탑승수신단계와,
    상기 탑승수신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탑승이 수신되면 상기 탑승통지단계에서 통지한 상기 교통수단의 단말에 상기 사용자의 탑승해제를 통지하는 탑승해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존재를 수신하는 사용자수신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탑승해제단계는 상기 사용자수신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탈되면 상기 사용자의 탑승해제를 더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08427A 2020-01-22 2020-01-22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04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427A KR102504586B1 (ko) 2020-01-22 2020-01-22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427A KR102504586B1 (ko) 2020-01-22 2020-01-22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774A KR20210094774A (ko) 2021-07-30
KR102504586B1 true KR102504586B1 (ko) 2023-03-02

Family

ID=77148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427A KR102504586B1 (ko) 2020-01-22 2020-01-22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5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6997A (ja) 2001-02-07 2002-08-23 Casio Comput Co Ltd 乗客端末装置、車両運行管理装置、乗車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832B1 (ko) * 2010-11-12 2012-09-1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기승객 알림 서비스 방법
KR101855257B1 (ko) * 2011-03-29 2018-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46370B1 (ko) 2012-02-23 2013-04-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스 정류장의 정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8510A (ko) * 2013-05-24 2014-12-04 (주)코스텍시스템 버스 정보 시스템
KR102046384B1 (ko) * 2018-03-15 2019-11-19 이성자 버스 승객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6997A (ja) 2001-02-07 2002-08-23 Casio Comput Co Ltd 乗客端末装置、車両運行管理装置、乗車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774A (ko)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25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00034930A1 (fr) Appareil de guidage de vehicule embarque, systeme de serveur de communication et systeme de guidage de vehicule de remplacement
KR101273299B1 (ko) 버스 내장형 비스 단말장치
JP6003824B2 (ja) 信号機制御システム
JP2003137099A (ja) 運行管理システム
JP2010237794A (ja) 交通情報処理装置
JP2001337967A (ja) 交通機関の情報提示システム
JP2012098908A (ja) 車内降車告知を行なう車載通信機および車内降車告知システム
KR102504586B1 (ko) 대중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3076643A (ja) 配車タクシー検索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車載端末
JP612948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2114149A (ja) 交通機関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2312439A (ja) 案内システム、携帯端末、車両側装置、受信側携帯端末、送信元携帯端末、乗降所側装置および乗降センター装置
JPH10170288A (ja) 乗車情報提供システム
JP4317477B2 (ja) バス運行システム、並びにこれに利用されるバス運行管理装置
KR101560489B1 (ko) 목적지 정거장 도착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210076789A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JP2007172116A (ja) タクシーの配車案内システム
JP2012142776A (ja) 携帯端末及び誤乗車判定システム
KR20090002126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통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JP2000207685A (ja) 車載機及びそれを備えた車輌通信システム
KR20180020437A (ko) 재난 정보 알림 방법 및 시스템
JP7162196B2 (ja) 歩行者装置、車載装置、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情報収集方法
KR20100033259A (ko) 도착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
JP2003132480A (ja) 車両運行情報通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