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898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898B1
KR102503898B1 KR1020190066347A KR20190066347A KR102503898B1 KR 102503898 B1 KR102503898 B1 KR 102503898B1 KR 1020190066347 A KR1020190066347 A KR 1020190066347A KR 20190066347 A KR20190066347 A KR 20190066347A KR 102503898 B1 KR102503898 B1 KR 102503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image
signal pattern
image forming
prin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834A (ko
Inventor
히로아키 오가와
타케루 사사키
타카시 후지타
오키노리 츠치야
아키토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40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 B41J2/355Control circuits for heating-element sel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2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 B41J2/355Control circuits for heating-element selection
    • B41J2/3555Historic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 B41J2/355Control circuits for heating-element selection
    • B41J2/3556Preheating pul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 B41J2/355Control circuits for heating-element selection
    • B41J2/3558Voltage control or deter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 B41J2/355Control circuits for heating-element selection
    • B41J2/36Print density control
    • B41J2/365Print density control by compensation for variation in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4Multicolour therm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는, 다른 발색특성을 갖고 열에 응답하여 발색하는 복수의 발색층을 포함하는 화상부재에 에너지를 부여하는 인쇄 헤드; 및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발색층에 대응한 복수의 신호 패턴과,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해 상기 화상부재에 부여되는 에너지를 제어하는데 사용된 색들을 상기 복수의 발색층 중 적어도 2개가 발색하게 함으로써 재현된 색에 대응한 적어도 1개의 신호 패턴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서멀프린터에 있어서, 감열지를 사용한 모노크롬 인쇄나, 잉크 리본을 사용한 칼라 인쇄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복수색에 대응한 복수의 발색층을 구비한 용지를 사용한 칼라 화상형성이 시장에 제공되어, 사진등의 인쇄 수단으로서 보급되고 있다.
상기 용지에 설치된 복수의 발색층은 다른 발색특성을 갖고, 주어진 에너지(가열온도와 가열시간)에 따라서 발색한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2013-506582호 공보나 일본특허 제4677431호 공보에서는, 각 발색층의 발색특성간의 차이를 이용해서 특정한 발색층을 발색시키는 것에 의해 칼라 화상을 형성하고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방법에서는, 발색층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발색을 위한 에너지를 부여하고, 발색층들이 순서대로 발색을 행하게 하였다. 그 때문에, 발색을 위한 제약이 있고, 복수의 발색층을 조합해서 재현한 색의 재현성이 충분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서는, 다른 발색특성을 갖고 열에 응답하여 발색하는 복수의 발색층을 포함하는 화상부재에 에너지를 부여하는 인쇄 헤드; 및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발색층에 대응한 제 1 신호 패턴과,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해 상기 화상부재에 부여되는 에너지를 제어하는데 사용된 색들을 상기 복수의 발색층 중 적어도 2개가 발색하게 함으로써 재현된 색에 대응한 제 2 신호 패턴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신호 패턴은, 상기 복수의 발색층 중 적어도 2개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신호 패턴의 조합과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신호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패턴은, 에너지를 부여하기 위한 개시 타이밍에서, 상기 제 1 신호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패턴과는 다른,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 제공한 화상형성장치는, 다른 발색특성을 갖고 부여된 에너지에 따라 발색하는 N개의 발색층을 포함하는 화상부재에 에너지를 부여하는 인쇄 헤드; 및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들을, 상기 N개의 발색층 중 1개 또는 복수의 발색층들을 발색시킴으로써 재현될 수 있는 색에 대응한 M(>N)개의 값들로 변환하고, 해당 변환한 값에 대응한 펄스 폭 및 펄스수를 갖고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해 상기 화상부재에 부여되는 상기 에너지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신호 패턴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 제공한 화상형성장치는, 다른 발색특성을 갖고 열에 응답하여 발색하는 복수의 발색층을 포함하는 화상부재에 에너지를 부여하는 인쇄 헤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해 상기 화상부재에 부여되는 상기 에너지를 제어하는데 사용된 신호 패턴을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화상부재의 온도를 검지하는 검지부; 및 상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역치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지부에서 검지한 온도가, 상기 소정의 역치를 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한 화상형성을 대기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복수의 발색층에 대응한 제 1 신호 패턴과, 상기 복수의 발색층 중 적어도 2개가 발색하게 함으로써 재현된 색에 대응한 제 2 신호 패턴을 사용하여, 다른 발색특성을 갖고 부여된 에너지에 따라 발색하는 복수의 발색층을 포함하는 화상부재에 에너지를 부여하기 위한 인쇄 헤드에 의해 상기 화상부재에 부여되는 에너지를 제어하는데 사용된 신호 패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신호 패턴은, 상기 복수의 발색층 중 적어도 2개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신호 패턴의 조합과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신호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패턴은, 에너지를 부여하기 위한 개시 타이밍에서, 상기 제 1 신호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패턴과는 다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발색층을 조합해서 재현한 색의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2는 화상형성층의 활성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3a,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
도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
도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부재에 있어서의 발색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서비스의 시퀀스 도,
도7은 종래의 가열 펄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층의 활성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9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 펄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10은 제1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의 처리의 흐름도,
도11은 제1의 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가열 펄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12는 제1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가열 펄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13은 제1의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예에 따른 가열 펄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14는 제2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 펄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15는 제2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의 처리의 흐름도,
도16은 제2의 실시예의 변형 예1에 따른 가열 펄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17은 제2의 실시예의 변형 예2에 따른 가열 펄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시의 대기 처리의 흐름도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 등은 일례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다.
<제1의 실시예>
[화상부재]
도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의 열원으로서 적외선을 사용한 적외선영상화 방법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그렇지만, 다른 방법이나 열원을 사용해도 좋다.
도1에 있어서, 화상부재(10)에는, 가장 아래의 층으로부터 순서대로, 광을 반사하는 기재(base material)(12), 화상형성층18, 스페이서층17, 화상형성층16, 스페이서층15, 화상형성층14, 및 보호막층(13)이 형성되어 있다. 화상형성층14, 16 및 18은 각각, 풀 칼라 인쇄시에는 일반적으로는 옐로, 마젠타 및 시안이다. 그렇지만, 다른 색의 조합가 가능하다. 즉, 도1에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색에 대응한 화상형성층(발색층)이 설치된다. 그렇지만, 더욱 많은 화상형성층이 설치되어도 좋다.
각 화상형성층은, 처음(화상형성전)은 무색이고, 그 화상형성층의 활성화 온도라고 불리는 특정한 온도까지 가열되면 대응한 색으로 변화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층들에 있어서의 발색을 위한 발색특성은 다르다. 화상부재(10)에 있어서의 화상형성층들의 색들의 순번(적층의 순)은 임의로 선택가능하다. 하나의 적합한 색순은, 상술한 대로다. 다른 적합한 순서로서는, 3개의 화상형성층14, 16 및 18이, 각각 시안, 마젠타 및 옐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의 옐로, 마젠타 및 시안의 순번으로 구성되어 있는 예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1에서는, 각 화상형성층의 두께가 같게 적층되어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두께는 색(색재료)에 따라 변경되어도 좋다.
또,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화상형성층의 사이에는, 스페이서층이 설치된다. 각 스페이서층의 두께는, 각 화상형성층의 발색특성이나 각 층의 열의 전도 특성이나 열확산율 등에 따라 규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또한, 각 스페이서층은 같은 재료이여도 좋고, 다른 재료이여도 좋다. 각 스페이서층의 기능은, 화상부재(10)내에서의 열확산의 제어다. 적합하게는, 스페이서층17은, 스페이서층15와 같은 부재로 구성될 경우에는, 적어도 4배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12)에 배치된 모든 층은, 화상형성이전에는 실질적으로 투명하다. 기재(12)가 반사하는 색(예를 들면, 백색)일 경우, 화상부재(10)로 형성된 칼라 화상은, 기재(12)에 의해 제공되는 반사 배경에 대하여, 보호막층(13)을 통해 시인된다. 기재(12) 위에 적층된 각 층이 투명하므로, 그 화상형성층들 위에 인쇄된 색들의 조합을 인간이 시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부재(10)중의 3개의 화상형성층14, 16 및 18은, 기재(12)의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몇개의 화상형성층은, 기재(12)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형성층14, 16 및 18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조절가능한 2개의 파라미터, 즉 온도와 시간의 변화에 근거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독립적으로 처리된다. 이것들의 파라미터는, 화상부재(10)에 열이 가해질 때의, 인쇄 헤드의 온도와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화상형성층에 화상이 형성된다. 즉, 화상부재(10)에 대하여 부여하는 온도와 시간을 제어할 때, 원하는 화상형성층에 대하여 원하는 농도의 색을 발색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층14, 16 및 18의 각각은, 인쇄 헤드가, 화상부재(10)의 최상층, 다시 말해, 도1에 나타낸 보호막층(13)에 접촉하면서 열을 가할 때, 처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각 화상형성층의 발색특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형성층14, 16 및 18의 활성화 온도를, 각각 Ta3, Ta2, Tal이라고 한다. 이 경우에, 화상형성층14의 활성화 온도(Ta3)는, 화상형성층16의 활성화 온도(Ta2)보다 크고, 또한, 화상형성층18의 활성화 온도(Tal)보다 크다. 각 화상형성층의 활성화(발색특성)의 관계는, 도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인쇄 헤드(즉, 보호막층(13))로부터 보다 먼 거리에 위치하는 화상형성층들의 가열은, 각 스페이서층을 통해서 그것들의 층에 전도 및 확산하기 때문에, 가열에 필요한 시간만큼 지연된다. 따라서, 인쇄 헤드로부터 화상부재(10)의 표면(즉, 보호막층(13))에 대하여 부여된 온도가, 실질적으로, 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화상형성층(인쇄 헤드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된 층)의 활성화 온도보다 낮을 경우도, 각 층에 의한 열의 확산에 기인한 가열의 지연 때문에, 인쇄 헤드에 보다 가까운 상기 화상형성층에 대한 활성화 온도까지 가열하면서, 보다 아래측의 화상형성층을 활성화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장 보호막층(13)에 가까운 화상형성층(14)만을 처리(발색)할 때, 인쇄 헤드는, 단시간에, 비교적 높은 온도(Ta3이상)까지 가열된다. 이 경우, 화상형성층16, 18의 양쪽에 대해서도 불충분한 가열이 행해지고, 이것들의 발색(활성화)은 행해지지 않는다.
기재(12)에 가까운 화상형성층(이 경우, 화상형성층16 또는 18)만을 활성화시킬 때, 기재(12)로부터 보다 먼 화상형성층(예를 들면, 화상형성층14)의 활성화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충분히 긴 기간 그 화상형성층을 가열한다. 이렇게 하여, 보다 낮은 화상형성층(화상형성층16 혹은 18)이 활성화될 때, 보다 높은 화상형성층(예를 들면, 화상형성층14)은 활성화되지 않는다.
상술한 것 같이, 화상부재(10)에 대한 가열은, 열 인쇄 헤드를 사용해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변조된 광원(레이저와 같은 수단)등의 임의의 기지의 수단이 사용되어도 좋다.
[발색특성]
도2는, 화상부재(10)를 형성하는 화상형성층14, 16 및 18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2에 있어서, 종축은 인쇄 헤드에 접촉하는 화상부재(10)의 표면상의 가열온도를 나타내고, 횡축은 가열시간을 나타낸다. 여기에서의 가열시간은, 인쇄 헤드가 공급하는 온도와 동일한 것으로서 설명한다.
영역21은, 비교적 높은 가열온도, 및, 비교적 짧은 가열시간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영역21은, 화상형성층14의 옐로에 대응한다. 즉, 화상형성층14는, 영역21로 나타낸 에너지가 공급되었을 경우, 발색(화상형성)이 행해진다. 영역22는, 중간의 가열온도, 및 중간의 가열시간을 나타낸다. 영역22는, 화상형성층16의 마젠타에 대응한다. 즉, 화상형성층16은, 영역22로 나타낸 에너지가 공급되었을 경우, 발색(화상형성)이 행해진다. 영역23은, 비교적 낮은 가열온도, 및 비교적 긴 가열시간을 나타낸다. 영역23은, 화상형성층(18)의 시안에 대응한다. 즉, 화상형성층(18)은, 영역23으로 나타낸 에너지가 공급되었을 경우, 발색(화상형성)이 행해진다. 화상형성층(18)의 영상화(발색)에 필요한 시간은, 실질적으로 화상형성층14를 영상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보다 길다.
화상형성층에 대해 선택된 활성화 온도는, 예를 들면, 약 90℃ 내지 약 300℃의 범위내를 사용한다. 화상형성층(18)의 활성화 온도(Tal)는, 출시 및 보관 동안에, 화상부재(10)의 열 안정성을 위해, 될 수 있는 한 일정하게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하게는 약 100℃ 또는 그 이상이다. 화상형성층14의 활성화 온도(Ta3)는, 이 층을 통해서 화상형성층16, 18이 가열되어 활성화 됨으로써, 일정하게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적합하게는 약 200℃ 또는 그 이상이다. 화상형성층16의 활성화 온도(Ta2)는, Tal와 Ta3와의 사이이며, 적합하게는 약 140℃ 내지 약 180℃이다.
이때, 각 화상형성층에서, 대응하는 영역내의 에너지가 부여되었을 경우라도, 그 영역내의 위치에 따라, 상기 형성된 색의 농도는 변화된다. 예를 들면, 화상형성층16에 대하여 영역22내의 에너지가 주어진 경우에, 같은 가열시간이여도, Ta3에 가까운 온도를 준쪽이, Ta2에 가까운 온도를 준쪽 보다도 높은 농도의 화상이 형성된다. 이것은 가열시간이 변동하는 경우에도 같다.
[인쇄 헤드]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헤드는, 화상의 폭전체에 걸쳐 연신되는, 저항들의 실질적인 직선배열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인쇄 헤드는 화상부재(10)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화상부재(10)의 폭방향)에 연신하고, 그 폭방향을 따라 그 저항들이 설치된다. 또한, 인쇄 헤드의 폭은, 화상보다도 짧아도 좋다. 이러한 경우, 인쇄 헤드는, 화상의 폭전체를 처리하기 위해서, 피화상 형성체인 화상부재(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도 좋거나, 또는 다른 인쇄 헤드와 병용되어도 좋다.
인쇄 헤드에 구비된 저항들에 전류를 공급할 때, 저항들이 열원으로서 동작한다. 화상부재(10)가 상기 인쇄 헤드의 저항들로부터의 열을 받으면서 반송될 때, 각 화상형성층에서 그 받은 열에 따라, 영상화가 행해진다. 상술한 것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저항들이, 적외선을 화상부재에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인쇄 헤드에 의해 화상부재(10)에 열이 가해지는 시간은, 전형적으로 화상의 라인마다 약 0.001로부터 약 100밀리 초까지의 범위다. 상한은, 인쇄 시간과의 균형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하한은, 전자회로(도시되지 않음)의 제약에 의해 정의된다. 화상을 형성하는 도트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화상부재(10)의 반송 방향 및 폭방향의 양방향으로, 1인치마다 100∼600라인의 범위다. 이 방향들로 다른 간격이 설정되어도 좋다.
도3a, 도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의 인쇄 헤드와, 화상부재(10)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다. 도3a에 있어서, 화상형성시에, 화상부재(10)는, 우방향으로 반송된다. 또한, 상술한 화상부재(10)의 폭방향은, 도3a의 깊이 방향에 대응한다. 인쇄 헤드(30)는, 기반(31) 위에 글레이즈(glaze)32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글레이즈32는 철면(convex) 글레이즈33을 더욱 구비한다. 저항(34)은, 철면 글레이즈33의 표면에 배치되고,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 화상부재(10)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철면 글레이즈33은 다른 형상이여도 좋거나,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도, 저항(34)이 화상부재(10)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보호막층(도시되지 않음)이, 저항(34), 글레이즈32, 및 철면 글레이즈33 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재료로 되어 있는 글레이즈32 및 철면 글레이즈33의 조합을, 이하 "인쇄 헤드의 글레이즈"라고 칭한다.
글레이즈32 위에 기반(31)과 히트 싱크(35)가 설치된다. 기반(31)은, 히트 싱크(35)와 접하여 있고, 팬(도시되지 않음)등의 냉각부에 의해 냉각된다. 화상부재(10)는, 일반적으로, 실제의 가열저항의 반송 방향의 길이보다 긴 인쇄 헤드의 글레이즈와 접촉한다. 전형적인 저항은, 화상부재(10)의 반송 방향으로 약 120미크론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일반적인 인쇄 헤드의 글레이즈와 화상부재(10)간의 열적 접촉 영역은, 200미크론 또는 그 이상이 된다.
도3b는, 저항(34)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배열의 예를 도시하는 도다. 저항(34)은, 폭방향으로 복수 배열됨으로써, 화상부재(10)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이 배열을 따라, 1라인의 화상이 형성된다. 이하에 도시된 예에서는, 화상부재(10)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1라인마다 화상이 형성된다.
[화상형성장치]
도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화상형성장치(40)는, 인쇄 헤드(30), 격납부(41), 반송롤러(42), 플라텐(43), 배출구(44), 및 온도 센서(45)를 구비한다. 격납부(41)에는 인쇄 매체로서, 복수매의 화상부재(10)를 격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버(도시되지 않음)를 개/폐하는 것으로 화상부재(10)를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쇄시에는, 화상부재(10)는 반송롤러(42)에 의해 인쇄 헤드(30)에 보내져, 플라텐(43)과 인쇄 헤드(30)의 사이에서 화상형성된 후, 배출구(44)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인쇄를 완료한다. 또한, 인쇄 헤드(30)와 플라텐(43)의 사이의 니프(nip)부의 주변에는 온도 센서(45)가 설치되고, 온도 센서(45)는 인쇄 헤드(30)에 의해 공급된 온도를 검지한다. 또한, 온도 센서(45)에서 검지하는 대상은, 예를 들면, 인쇄 헤드(30)에 구비된 저항(34)(열원)의 온도이어도 좋거나, 화상부재(10)의 표면온도이여도 좋다. 또한, 온도 센서(45)는, 하나의 부분만의 온도를 검지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부분의 온도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더욱, 온도 센서(45)는, 화상형성장치(40)의 환경온도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화상부재(10)의 반송 속도는, 화상형성의 속도나 화상형성시의 해상도 등에 근거해 제어된다. 예를 들면,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할 때, 저해상도의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반송 속도를 느리게 하여도 좋다. 인쇄 속도를 우선할 경우에는, 반송 속도를 상승시키고, 해상도를 저하시켜도 좋다.
[시스템 구성]
도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도4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40)와, 이 장치에 대한 호스트 장치로서의 퍼스널 컴퓨터(PC)(50)를 구비한다.
PC(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501), RAM(Read Only Memory)(502), HDD(Hard Disk Drive)(503), 통신I/F(504), 입력 디바이스I/F(505), 및 표시 디바이스I/F(506)를 구비한다. 각 부위는 내부 버스를 거쳐 서로 통신가능하게 접속된다. CPU(501)는, HDD(503)와 RAM(502)에 보유된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RAM(502)은, 휘발성의 스토리지이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유한다. 또한, HDD(503)는, 불휘발성의 스토리지이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한다.
통신I/F(504)는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이며, 여기에서는 화상형성장치(40)에/로부터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여기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의 접속 방식으로서는, USB, IEEE1394, LAN(Local Area Network)등의 유선접속이나, Bluetooth(등록상표), WiFi(등록상표)등의 무선접속을 사용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I/F(505)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HID(Human Interface Device)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이며, 유저에 의한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디바이스I/F(506)는,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등의 표시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표시를 제어한다.
화상형성장치(40)는, CPU(401), RAM(402), ROM(403), 통신I/F(404), 헤드 콘트롤러(405), 화상처리 액셀레이터(406), 및 온도 센서(45)를 구비한다. 각 부위는, 내부 버스를 거쳐 서로 통신가능하게 접속된다. CPU(401)는, ROM(403)과 RAM(402)에 보유된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에 따라, 후술하는 각 실시예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RAM(402)은, 휘발성의 스토리지이며,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유한다. 또한, ROM(403)은 불휘발성의 스토리지이며, 후술하는 처리에서 사용된 테이블 데이터와 프로그램들을 보유한다.
통신I/F(404)는,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이며, 여기에서는 PC(50)에/로부터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헤드 콘트롤러(405)는, 도3a 및 도3b에 나타낸 인쇄 헤드(30)에 대하여 인쇄 데이터에 근거해서 가열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헤드 콘트롤러(405)는, RAM(402)의 소정의 어드레스로부터 제어 파라미터와 인쇄 데이터를 로드(load)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CPU(401)가 제어 파라미터와 인쇄 데이터를 RAM(402)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기록하면, 헤드 콘트롤러(405)에 의해 처리가 기동되어, 인쇄 헤드(30)의 가열동작이 행해진다.
화상처리 액셀레이터(406)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성되고, CPU(401) 보다도 고속으로 화상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처리 액셀레이터(406)는, RAM(402)의 소정의 어드레스로부터 화상처리에 필요한 파라미터와 데이터를 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CPU(401)가 상기 파라미터와 데이터를 RAM(402)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기록하면, 화상처리 액셀레이터(406)가 기동되어, 소정의 화상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화상처리 액셀레이터(406)는 항상 필요한 요소가 아니고, 프린터의 사양등에 따라, CPU(401)에 의한 처리만으로 상기한 테이블 파라미터의 작성 인쇄 및 화상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또한, 온도 센서(45)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 헤드(30)의 저항(34)의 주변온도를 검지하고, 그 온도정보를 CPU(401)등에 제공한다. CPU(401)는, 취득한 온도정보에 근거하여, 저항(34)의 발열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파라미터들을 생성한다. 상세한 제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40)와 PC(50)가 다른 장치로서 설명되었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이것들이 일체로 되어 시스템을 형성하여도 좋거나, 그 시스템이 화상형성장치(40)와 촬상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일체로 되어도 좋다. 또한, 호스트 장치로서, 상기 PC를 예로 들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마트 폰이나 타블렛 단말, 또는 촬상 장치등의 휴대 단말을 사용해도 좋다.
[프린트 서비스]
도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린트 서비스 실시시의 시퀀스를 나타낸다. 도6에 있어서, 단계 S601∼S605는, PC(50)에 있어서의 처리를 나타내고, 단계 S611∼S616은 화상형성장치(40)의 처리를 나타낸다. 또한, 도6에 있어서, 점선 화살표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나타낸다. 각 단계는, 각 장치의 CPU가 격납부에 보유된 프로그램들을 판독해서 실행할 때 실현된다. 유저가 인쇄를 실시하려고 할 때에 본 시퀀스가 개시된다.
단계 S611에서, 화상형성장치(40)는, 전원투입 후, 스스로가 인쇄 가능한 것을 확인하고, 프린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을 결정하고,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
한편, 단계 S601에서, PC(50)는, 프린트 서비스Discovery을 실시한다. 여기에서의 프린트 서비스Discovery은, 유저 조작에 따라 주변기기의 검색을 행해도 좋거나, 정기적으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검색하여도 좋다. 혹은, PC(50)와 화상형성장치(40)가 접속될 때, PC(50)가 문의를 송신하여도 좋다.
단계 S612에서, 화상형성장치(40)는, PC(50)로부터 프린트 서비스Discovery을 수신하면, 이것에 대한 응답으로서, 스스로가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기인 것을 PC(50)에 통지한다.
단계 S602에서, PC(50)는, 화상형성장치(40)로부터,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수신했을 경우,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인쇄 가능정보를 요구한다.
단계 S613에서, 화상형성장치(40)는, PC(50)로부터의 인쇄 가능정보의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스스로가 제공할 수 있는 프린트 서비스의 정보를 PC(50)에 통지한다.
화상형성장치(40)로부터 인쇄 가능정보를 수신하면, 단계 S603에서, PC(50)는, 그 인쇄 가능정보를 바탕으로, 인쇄 잡 작성용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축한다. 구체적으로는, PC(50)는, 화상형성장치(40)의 인쇄 가능정보를 바탕으로, 인쇄 화상의 지정, 인쇄 사이즈, 인쇄 가능 용지 사이즈 등의 적절한 표시로 적절한 선택지의 유저에의 제공을,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을 통해서 행한다. 그리고, PC(50)는, 키보드 등의 입력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를 거쳐 유저로부터의 설정을 접수한다.
단계 S604에서, PC(50)는, 접수한 설정에 근거해 인쇄 잡을 발행하여, 화상형성장치(40)에 송신한다.
단계 S614에서, 화상형성장치(40)는, PC(50)로부터의 인쇄 잡을 수신한다.
단계 S615에서, 화상형성장치(40)는, 수신한 인쇄 잡을 해석하고,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잡에 대한 화상형성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인쇄가 완료하면, 단계 S616에서, 화상형성장치(40)는, 인쇄 완료를 PC(50)에 통지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40)측의 처리는 완료하고, 화상형성장치(40)는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
단계 S605에서, PC(50)는, 인쇄 완료 통지를 수신하고, 그 취지를 유저에게 통지한다. 그리고, PC(50)측의 처리를 완료한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각종 정보전달에 관해서, PC(50)측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40)에 대하여 리퀘스트를 보내고, 그 리퀘스트에 대하여 화상형성장치(40)가 응답하는 통신 예를 서술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위 Pull형의 통신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화상형성장치(40)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1개 또는 복수의 PC(50)에 대하여 자발적으로 발신하는, 소위 Push형의 통신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헤드(30)에 설치된 저항(34)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펄스 신호)를, 헤드 콘트롤러(405)로부터 출력함으로써 가열제어를 행한다.
(종래의 가열 펄스)
우선, 본 발명에 대한 비교 예로서, 종래의 가열제어에 사용된 신호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7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헤드에 인가된, 각 색에 대응하는 신호 패턴(가열 펄스)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1화소중에 있어서의, 화상부재(10)에 있어서 발색시키고 싶은 색들과, 그 때의 가열 펄스의 구성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위에서 순서대로, 옐로(Y), 마젠타(M), 시안(C), 적색(R), 녹색(G), 청색(B), 흑색(K)을 나타내고 있다. 도7에 있어서, 1화소에 대한 가열 펄스는, 7개의 구간(pO∼p6)을 포함하고, 1개의 구간의 길이는 △tO이다. 즉, 1화소를 형성하기 위해서 요하는 가열 펄스의 시간은, △tO×7구간(pO∼p6)이다. 즉, 1화소의 발색에 대해서는, 7구간에 대응한 펄스의 사이클 수를 사용한다. 이것에 포함된 펄스 신호 열에 의하여 발색이 제어된다.
도7에 있어서, 각 신호는, High와 Low(ON과 OFF)에 의한 2값을 나타낸다. High에서, 저항(34)에 의한 가열이 행해진다. Low에서는, 가열이 행해지지 않는다. 각 색에 대한 가열 펄스에 포함된 펄스의 펄스 폭 및 펄스수를 제어함으로써, 발색을 제어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PWM(Pulse width modulation)제어에 의해, 각 펄스의 펄스 폭의 조정을 행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구간의 기점을, 펄스의 상승 타이밍(ON타이밍)으로서 설정하여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옐로(Y)를 발색시킬 경우, 도2에 도시된 영역21(비교적 높은 가열온도, 및 비교적 짧은 가열시간)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tl의 시간 가열한다. 또한, 마젠타(M)를 발색시킬 경우, 도2에 도시된 영역22(중간의 가열온도, 및, 중간의 가열시간)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t2의 시간가열을 총 2회, 인터벌을 두고 실시한다. 여기에서, 제1의 펄스와 제2의 펄스간의 인터벌은, (△tO-△t2)이다. 마찬가지로, 시안(C)을 발색시킬 경우, 도2에 도시된 영역23(비교적 낮은 가열온도, 및 비교적 긴 가열시간)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t3의 시간가열을 총 4회, 인터벌을 두고 실시한다. 여기에서, 제1의 펄스와 제2의 펄스간의 인터벌은, (△tO-△t3)이다. 이 인터벌을 설치함으로써, 목적 온도(활성화 온도)이상으로 화상부재(1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ON시간과 OFF시간을 제어 함으로써, 목적 온도를 유지한다.
도7에 있어서,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tl=△t2×2=△t3×4
로 표현된 관계로 하고, 색을 발색시키는 것에 상관없이 인쇄 헤드(30)에 인가된 가열 펄스의 총 시간을 동일한 것으로 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tl∼t3, Tal∼Ta3은, 도2의 기재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가열시간은,
t2>Y의 가열시간△tl>tl
t3>M의 가열시간△t2+△tO>t2
C의 가열시간△t3+△tO×3>t3이
성립되고, 가열시간간의 상대적인 관계는,
Y<M<C
로 표현된다.
여기서, 인쇄 헤드(30)에 의해 화상부재(10)에 인가된 에너지(열량)는, 각 신호에 있어서의 인터벌 시간에 있어서,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인쇄 헤드(30)의 글레이즈(32)(및 철면 글레이즈33), 기반(31), 및 히트 싱크(35)에 열전도 된다. 그 때문에, 인터벌 시간에는, 화상부재(10)의 온도는 저하한다. 마찬가지로, 화상부재(10)에 열전도된 열량은, 도4에 도시된 플라텐(43)등의 주변에도 열을 전파시키므로, 이에 따라, 화상부재(10)의 온도는 저하한다. 그 결과, 인가된 에너지(열량)가 동일할 경우에, 가열에 의한 피크 온도는,
Y>M>C
로 표현된 관계가 성립한다.
여기서,
Y의 피크 온도>Ta3
Ta3>M의 피크 온도>Ta2
Ta2>C의 피크 온도>Tal을 충족하도록 제어가 수행될 때,
Y, M, C 각각의 색을 독립적으로 발색시킬 수 있다.
다음에, 2차색인 R, G, B, 및 3차색인 K의 발색을 제어하는 가열 펄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N차색이란, N개의 색재료(화상형성층)를 발색시켜서 조합하는 것으로 표현된 색을 의미한다.
도7에 도시된 적색(R)은, 옐로(Y)→마젠타(M)의 순서로 발색하도록 가열 펄스를 제어하고 있다. 즉, 옐로(Y)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층14와 마젠타(M)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층16을 발색시키는 것으로, 적색(R)의 화상을 형성한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녹색(G)은, 옐로(Y)→시안(C)의 순서로 발색하도록 가열 펄스를 제어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7에 도시된 청색(B)은, 마젠타(M)→시안(C)의 순서로 발색하도록 가열 펄스를 제어하고 있다. 도7에 도시된 흑색(K)은, 옐로(Y)→마젠타(M)→시안(C)의 순서로 발색하도록 가열 펄스를 제어하고 있다.
상기의 종래의 방식의 경우,
Y층을 발색시킬 때는, C층과 M층을 발색시키지 않고,
M층을 발색시킬 때는, Y층과 C층을 발색시키지 않고,
C층을 발색시킬 때는, M층과 Y층을 발색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조건하에서 발색을 행하므로, 각 화상형성층의 활성화에는 제약이 있다. 즉, 화상형성층을 개별로 발색시키기 때문에, 발색시의 조합에 있어서 충분한 재현이 수행될 수 없다. 그 때문에, 화상부재(10)내에서의 각 화상형성층의 발색률이 낮아져, 발색을 불충분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에 서술한 종래의 활성화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아래의 방식으로 제어를 행한다.
도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시간과 가열온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8에 도시된 영역21, 22, 23은, 도2에 도시된 영역21, 22, 23과 같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영역24는, 도1에 도시된 화상형성층14, 16, 18 중, 옐로(Y)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층14와 마젠타(M)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층16이 활성화하는 영역이다. 따라서, 영역24에 대응하는 에너지가 부여되었을 경우, 화상부재(10)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발색은 적색(R)이다.
영역25는, 도1에 도시된 화상형성층14, 16, 18 중, 마젠타(M)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층16과 시안(C)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층(18)이 활성화하는 영역이다. 따라서, 영역25에 대응하는 에너지가 부여되었을 경우, 화상부재(10)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발색은 청색(B)이다.
영역26은, 도1에 도시된 화상형성층14, 16, 18의 모두가 활성화하는 영역이다. 따라서, 영역26에 대응하는 에너지가 부여되었을 경우, 화상부재(10)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발색은 흑색(K)이다.
종래 예에서는, 영역24, 25, 26은 복수의 발색층이 동시에 병행적으로 활성화해버리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종래 사용하고 있었던 영역21∼23에 더해서, 영역24∼26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화상부재(10)에서의 발색(색의 재현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 펄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 펄스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9에서는, 도7의 가열 펄스로서 도시된 Y, M, C, G는 변경되지 않은 채로 있지만, R, B, K용의 가열 펄스는 변경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Y→M→C→R→B→K의 순서대로 발색하도록 가열 펄스를 제어한다. 또한, 펄스 폭과 인터벌 기간(△tO, △tl, △t2, △t3등)은, 인쇄 헤드(30)와 그 밖의 부품의 구조에서 유래된 인터벌 시간의 냉각 특성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차색인 적색(R)을 발색시킬 경우, △tl시간의 가열을 총 2회, (△tO-△tl)의 인터벌로 실시하고 있다. 이것은, 옐로(Y)를 발색시키는 온도에서 마젠타(M)를 발색시키는 시간 동안, 가열을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도8에 도시된 영역24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부여한다. 이 제어는, 옐로(Y)와 마젠타(M)를 독립적으로 발색시켰던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옐로(Y)를 발색시키는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온도를 이용해서 마젠타(M)를 발색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마젠타(M)의 발색이 개선된다. 또한, 마젠타(M)를 발색시키기 위해서 요하는 시간을 사용해서 동시 병행적으로 옐로(Y)를 발색시킬 수 있으므로, 옐로(Y)의 발색의 면적률, 즉 화소당 발색면적이 개선되고, 이에 따라, 옐로(Y)의 발색효율, 즉 화소당 발색 정도가 개선된다.
마찬가지로, 2차색인 청색(B)을 발색시킬 경우, △t2시간의 가열을 총 4회, (△tO-△t2)의 인터벌로 실시하고 있다. 이것은, 마젠타(M)를 발색시키는 온도에서 시안(C)을 발색시키는 시간 동안, 가열을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도8에 도시된 영역25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부여한다. 이 제어는, 마젠타(M)와 시안(C)을 독립적으로 발색시키고 있었던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마젠타(M)를 발색시키는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온도를 이용해서 시안(C)을 발색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시안(C)의 발색이 개선된다. 또한, 시안(C)를 발색시키기 위해서 요하는 시간을 사용해서 동시 병행적으로 마젠타(M)를 발색시킬 수 있으므로, 마젠타(M)의 발색의 면적률이 개선되고, 이에 따라, 마젠타(M)의 발색효율이 개선된다.
마찬가지로, 3차색인 흑색(K)을 발색시킬 경우, △tl시간의 가열을 총 4회, (△tO-△tl)의 인터벌로 실시하고 있다. 이것은, 옐로(Y)를 발색시키는 온도에서 시안(C)을 발색시키는 시간 동안 가열을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도8에 도시된 영역26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부여한다. 이 제어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을 독립적으로 발색시키고 있었던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옐로(Y)를 발색시키는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온도를 이용해서 마젠타(M) 및 시안(C)을 발색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마젠타(M) 및 시안(C)의 발색이 개선된다. 또한, 시안(C)을 발색시키기 위해서 요하는 시간을 사용해서 동시 병행적으로 옐로(Y) 및 마젠타(M)를 발색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옐로(Y) 및 마젠타(M)의 발색 면적률이 개선되고, 이에 따라, 옐로(Y) 및 마젠타(M)의 발색효율이 개선된다.
[처리 과정]
도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 펄스를 실현하는 화상처리의 흐름도다. 도10에 도시된 과정은, 도6에 도시된 단계 S615의 처리에서 실행된다. 본 과정은,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40)의 CPU(401)가 ROM(403)등에 구비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판독해서 실행 함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본 처리는 화상처리 액셀레이터(406)에서 부분적으로 실행되어도 좋다.
단계 SlOOl에서, CPU(401)는, 도6의 단계 S614에서 수신한 인쇄 잡중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여기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1페이지마다 취득하는 것으로서 설명하겠다.
단계 SlOO2에서, CPU(401)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상 데이터가 압축이나 부호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본 처리를 생략해도 좋다. 그 복호화처리에 의해, 화상 데이터는 RGB데이터로 변경된다. RGB 데이터의 종별로서는, 예를 들면, SRGB이나 adobe(등록상표)RGB등의 표준적인 색정보를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는, 색마다 0∼255 범위의 8bit의 정보를 가져도 된다. 그렇지만, 그 화상 데이터는, 다른 비트 수의 정보, 예를 들면 16bit 정보로 구성되어도 좋다.
단계 SlOO3에서, CPU(401)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색보정처리를 행한다. 또한, 색보정처리는, PC(50)측에서 행해도 좋거나, 화상형성장치(40)에 따른 색보정을 행할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40)내에서 행해져도 좋다. 색보정처리후의 화상 데이터는 RGB데이터다. 이 시점에서, 그 RGB데이터는, 화상형성장치(40)에 특화된 RGB, 소위 디바이스 RGB의 형식을 갖는다.
단계 SlOO4에서, CPU(401)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3차원 룩업 테이블을 사용해서 휘도/농도변환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펄스 제어에서는,
R, G, B→C, M, Y
로서 표현된 3색에서 3색으로의 변환이 아니고,
R, G, B→C, M, Y, R, B, K
로서 표현된 3색에서 6색으로의 변환을 행한다. 따라서, 3차원 룩업 테이블 등의 방법을 사용한 휘도/농도변환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3개의 화상형성층의 발색을 조합해서 재현가능한 색으로서, R, B, K에 대한 값도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와 같이 3차원 룩업 테이블을 사용해서 휘도/농도변환을 행한다. 이하에 사용된 그 3차원 룩업 테이블의 함수3D_LUT[R][G][B][N]에 있어서, 변수R, G, B에 각각 RGB데이터의 값이 입력된다. 변수N에 대해서는, 출력되는 C, M, Y, R, B, K의 값 중 하나가 지정된다. 여기에서는, C, M, Y, R, B, K로서, 각각 0, 1, 2, 3, 4, 5가 지정되는 것으로 한다.
C = 3D_LUT[R][G][B][0]
M = 3D_LUT[R][G][B][1]
Y = 3D_LUT[R][G][B][2]
R = 3D_LUT[R][G][B][3]
B = 3D_LUT[R][G][B][4]
K = 3D_LUT[R][G][B][5]
상기의 3D_LUT는, 256×256×256×6=100,663,296개의 데이터 테이블로 구성된다. 각 데이터는, 도9의 pO∼p16에서 인가된 펄스 폭에 대응하는 데이터다. 또한, 룩업 테이블의 데이터량을 삭감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그리드 수를 256으로부터 17로 저감하고, 17×17×17×6=29,478개의 데이터 테이블을 사용해서 보간연산에 의해 결과를 산출해도 좋다. 당연하지만, 17그리드이외에도, 16그리드, 9그리드 및 8그리드 등으로, 적절하게 그리드 수를 설정해도 된다. 보간방법으로서, 기지의 사면체 보간등, 어떠한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3차원 룩업 테이블은, 미리 규정되고, 화상형성장치(40)의 ROM(403)등에 보유되어 있다.
상기 3차원 룩업 테이블을 사용할 때, 각 색을 구성하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의 제어 파라미터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적색(R)을 구성하는 옐로 및 마젠타, 녹색(G)을 구성하는 시안 및 옐로, 청색(B)을 구성하는 마젠타 및 시안, 흑색(K)을 구성하는 옐로, 마젠타 및 시안의 각각에 대한 상기 제어 파라미터를 독립적으로 설정가능해진다. 또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안(C)이나 마젠타(M)와 같이, 1개의 색을 발색할 때에 복수의 펄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복수의 펄스를, 모두 같은 펄스 폭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거나, 다른 펄스 폭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보다 미세하게 발색의 제어가 가능하고, 색의 재현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 3차원 룩업 테이블이외에도,
C= 255-R
M= 255-G
Y= 255-B
K= min(C, M, Y)
C= C-K
M= M-K
Y= Y-K
R= min(M, Y)
B= min(M, C)
C= C-B
M= M-B-R
Y= Y-R
처럼, 연산에 의해 상기 값들이 산출될 수 있다. 적절하게 적합한 수단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에 나타낸 함수min(x, y)은, 변수x, y의 최소값을 선택하는 함수다.
단계 SlOO5에서, CPU(401)는, 그 변환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출력 보정을 행한다. 우선, CPU(401)는, 각 색에 대응한 변환 테이블을 사용하여, C, M, Y, R, B, K의 농도를 실현하기 위한 펄스 폭을 산출한다. c, m, y, r, b, k의 값은, 각각, C, M, Y, r, k, b의 값에 대응한 펄스 폭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변환 테이블(변환식)은 미리 규정되고, 화상형성장치(40)의 ROM(403)등에 보유된다.
c= 1D_LUT[C]
m= 1D_LUT[M]
y= 1D_LUT[Y]
r= 1D_LUT[C]
b= 1D_LUT[M]
k= 1D_LUT[Y]
여기서, c로 나타낸 펄스 폭의 최대치는, 도9에서의 △t3이다. m으로 나타낸 펄스 폭의 최대치는, 도9에서의 △t2이다. y로 나타낸 펄스 폭의 최대치는, 도9에서의 △tl이다. r로 나타낸 펄스 폭의 최대치는, 도9에서의 △tl이다. b로 나타낸 펄스 폭의 최대치는, 도9에서의 △t2이다. k로 나타낸 펄스 폭의 최대치는 도9에서의 △tl이다. 화상형성장치(40)는, 펄스 폭의 변조에 의해, 화상부재(10)에서의 발색강도를 변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c, m, y, r, b, k가 최대치보다도 작을 경우에는, 적절하게, 펄스 폭을 짧게 해서 원하는 계조를 실현할 수 있다. 이 처리는, 기지의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되어도 된다.
또, CPU(401)는, 온도 센서(45)에 의해 취득한 화상부재(10)(혹은, 인쇄 헤드(30))의 온도에 따라, 가열 펄스를 변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온도 센서(45)에 의해 검지한 온도가 높아지는 것에 따라, 활성화 온도에 도달시키기 위해서 사용된 가열 펄스의 펄스 폭을 짧게 하도록 제어한다. 이 처리는 기지의 수단을 사용해서 수행되어도 된다. 화상부재(10)의 온도에 대해서는, 그 온도가 온도 센서(45)에 의해 항상 취득될 필요는 없다. 상기 PC 또는 화상형성장치(40)에 있어서, 화상부재(10)나 인쇄 헤드(30)의 온도를 추정하고, 그 추정 온도에 근거하여 제어해도 좋다. 그 온도 추정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공지의 방법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화상부재(10)의 온도가 허용 온도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화상형성 동작을 대기(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부재(10)의 온도가 허용 온도이하로 떨어진 후에, 화상형성을 재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페이지의 화상형성의 도중에 화상형성을 대기했을 경우, 대기전과 재개후의 화상형성 농도를 일치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이 때문에, 대기의 유/무에 대해서는, 단계 SlOOl에서 판단을 행하고, 페이지 단위로 대기하고, 그 후에 재개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lOO6에서, CPU(401)는, 헤드 콘트롤러(405)를 거쳐 인쇄 헤드(3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에서 구한 각 펄스 폭을 사용하여, 도9에 도시된 17구간(pO∼p16)과 관련된 이하의 신호들이 출력된다. 이하의 pO∼p16은 각각, 도9에 도시된 구간에 대응한다.
pO=y
p1=m
p2=m
p3=c
p4=c
p5=c
p6=c
p7=r
p8=r
p9=b
p10=b
p11=b
p12=b
p13=k
p14=k
p15=k
p16=k
상술한 것 같이, pO∼p16의 펄스 폭을 제어하여서, 원하는 색을 화상부재(10) 위에 형성한다.
단계 SlOO7에서, CPU(401)는, 해당 페이지의 인쇄가 완료했는지를 판정한다. 그 인쇄가 완료했을 경우(단계 SlOO7에서 YES), 본 처리 과정을 종료하고, 다음 페이지의 처리, 혹은, 도6의 단계 S616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 인쇄가 완료하지 않은 경우는(단계 SlOO7에서 NO), 단계 SlOO2의 프로세스로 진행되어, 해당 페이지에 대한 화상형성 처리를 계속한다.
도9에 있어서, 종래는, 적색(R)에 대해서, pl에서 옐로(Y)가 발색되고, p2+p3에서는 마젠타(M)가 발색되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p7과 p8의 양쪽에서 옐로(Y)와 마젠타(M)를 발색시킨다. 이에 따라, 발색이 개선되어, 화질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총 구동 펄스수가 종래의 7구간(pO∼p6)과 비교하여 17구간(pO∼p16)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인쇄 헤드(30)에 의한 가열과 화상부재(10)의 반송을, 동시에 행하는 것보다도, 교대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기 처리]
도10의 단계 SlOO5의 출력 보정의 설명에 관해, 화상형성의 대기 판정에 대해서 서술했다. 상술한 것 같이, 대기 판정에 대해서는, 화상부재(10) 자체의 온도의 상승과 함께 각 화상형성층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다른 온도의 화상부재(10)에 대하여, 같은 에너지(가열)를 주었을 경우에는, 다른 화질의 화상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화상부재(10)의 온도에 따라서는, 화상형성을 일단 정지하고, 온도가 저하할 때까지 대기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에 있어서는, 종래의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유효하게 대기 판정을 행할 수 있고, 그 처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것 같이, 종래의 방식에서는,
Y층을 발색시킬 때는, C층과 M층을 발색시키지 않고,
M층을 발색시킬 때는, Y층과 C층을 발색시키지 않고,
C층을 발색시킬 때는, M층과 Y층을 발색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조건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화상부재(10)의 온도가 C층의 활성화 온도에 근접한 상태에서, M층과 Y층의 발색의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방식에서는,
R층을 발색시킬 때는, C층을 발색시키지 않고,
B층을 발색시킬 때는, Y층을 발색시키지 않고,
K층을 발색시킬 때는, 발색시키지 않는 층은 없다고 하는 조건이 된다. 종래의 방식에 비교하면 제약이 보다 적다. 구체적으로는,
R의 화상이면, 펄스의 인가 시간 <T3이면 되고, 온도조건은 없고,
B의 화상이면, 온도 <Ta3이면 되고, 인가 시간 조건은 없고,
K의 화상이면, 온도조건도 인가 시간 조건도 없다. 단, 적색(R)의 조건완화의 정도는, 화상부재(10)의 온도가 C층의 활성화 온도에 근접한 상태에서는, 청색(B) 및 흑색(K)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화상형성의 대기 판정을 행할 때, R, B, K, C가 지배적인 (화상에서의 비율이 크다) 화상이며, M, Y의 화상형성이 거의 없는 화상에 대해서는, 대기 조건을 완화하여서 그 인쇄의 연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기 판정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색마다의 대기를 요하는 온도(대기 온도)를 설정한다. 이 경우에, 적어도,
K, B, R, C>Y, M
를 설정하고, K, B, R, C중 하나에 대해서는 Y, M보다도 높은 대기 온도를 설정 가능하다. 그 대기 온도를 2그룹으로 나누어서 설정해도 좋거나, 그 색들에 대한 개별의 대기 온도를 설정해도 좋다. 그리고, 적어도 소정의 면적이상을 화상형성하는 색들에서 최소의 대기 온도를 설정하는 구성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화상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쓸데 없는 대기를 발생시키지 않는, 적절한 대기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기 판정 처리)
도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의 대기 처리의 흐름도다. 상술한 것처럼, 본 처리는, 도10의 단계 SlOOl의 처리 시작의 타이밍에서, 해당 페이지의 인쇄를 시작하기 전에 행하는 예를 설명한다. 본 과정은,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40)의 CPU(401)가 ROM(403)등에 포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판독해서 실행할 때 실현된다. 또한, 본 처리는 화상처리 액셀레이터(406)에서 부분적으로 실행되어도 좋다.
단계 S1801에서, CPU(401)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때, 화상 데이터에 대한 색들의 누적 카운트를 행하는데 사용된 변수들(Total) 및 플래그들(Judge)을 초기화한다.
TotalC = O JudgeC=FALSE
TotalM = O JudgeM=FALSE
TotalY = O JudgeY=FALSE
TotalR = O JudgeR=FALSE
TotalB = O JudgeB=FALSE
TotalK = 0 JudgeK=FALSE
단계 S1802∼단계 S1804에서, 도10의 단계 SlOO2∼단계 SlOO4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단계 S1805에서, CPU(401)는, 지금까지 얻어진 C, M, Y, R, B, K 각각의 양을 1페이지내에서 누적 카운트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S1801에서 초기화한 각 색에 대응하는 변수Total의 누적 농도값을 화소단위로 누적 가산함으로써, 각 색의 빈도를 구한다.
TotalC = TotalC +C
TotalM = TotalM +M
TotalY = TotalY +Y
TotalR = TotalR +R
TotalB = TotalB +B
TotalK = TotalK +K
단계 S1806에서, CPU(401)는, 해당 페이지에 포함된 화소 모두에 대하여 누적 카운트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화소 모두에 대하여 누적 카운트를 했을 경우(단계 S1806에서 YES), 단계 S1807의 프로세스로 진행된다. 화소 모두에 대하여 누적 카운트하지 않은 경우는(단계 S1806에서 NO) 단계 S1802의 프로세스로 되돌아가 그 처리를 계속한다.
단계 S1807에서, CPU(401)는, 각 색에 대하여 카운트한 결과를 사용하여, 소정량이상의 면적을 인쇄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각 색에 대하여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조건에 근거하여, 그 처리를 행한다. 이하의 예에서는, IF함수로 예시하고 있다.
If(TotalC>Threshold) JudgeC=TRUE
If(TotalM>Threshold) JudgeM=TRUE
If(TotalY>Threshold) JudgeY=TRUE
If(TotalR>Threshold) JudgeR=TRUE
If(TotalB>Threshold) JudgeB=TRUE
If(TotalK>Threshold) JudgeK=TRUE
상기의 예에서, 역치Threshold는 전체 화소에 대한 인쇄율, 예를 들면 1%로서 설정된다. 이 Threshold이상의 색에 관해서는, 적절한 화상형성 결과에 대한 대기 온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 역치Threshold의 값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 색 공통의 값을 사용한다. 그렇지만, 각 색에 대하여 다른 값을 설정해도 좋다.
단계 S1808에서, CPU(401)는, 전체에 대해 대기 온도를 결정한다. Judge=TRUE의 경우에, 상기 검출된 온도가 Total에 대한 인쇄가 행해지는 경우에도 기준 온도 아래인 온도 Temp까지 저하할 때까지 대기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Temp를, Total=Threshold인 온도로 한다. Temp는, 농도 값들의 누적 카운트를 온도로 변환하기 위한 인수f로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TempC=f×(Threshold-TotalC)
TempM=f×(Threshold-TotalM)
TempY=f×(Threshold-TotalY)
TempR=f×(Threshold-TotalR)
TempB=f×(Threshold-TotalB)
TempK=f×(Threshold-TotalK)
그렇지만, Temp는 하나의 누적 카운트에 뿐만 아니라 전체 누적 카운트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각 누적 카운트의 분포율은 다음과 같이 a로서 표현되어도 된다.
TempC = f × Threshold - f × (a_cc × TotalC + a_cm × TotalM + a_cy ×TotalY + a_cr × TotalR + a_cb × TotalB + a_ck × TotalK)
TempM = f × Threshold - f × (a_mc × TotalC + a_mm × TotalM + a_my ×TotalY + a_mr × TotalR + a_mb × TotalB + a_mk × TotalK)
TempY = f × Threshold - f × (a_yc × TotalC + a_ym × TotalM + a_yy ×TotalY + a_yr × TotalR + a_yb × TotalB + a_yk × TotalK)
TempR = f × Threshold - f × (a_rc × TotalC + a_rm × TotalM + a_ry ×TotalY + a_rr × TotalR + a_rb × TotalB + a_rk × TotalK)
TempB = f × Threshold - f × (a_bc × TotalC + a_bm × TotalM + a_by ×TotalY + a_br × TotalR + a_bb × TotalB + a_bk × TotalK)
TempK = f × Threshold - f × (a_kc × TotalC + a_km × TotalM + a_ky ×TotalY + a_kr × TotalR + a_kb × TotalB + a_kk × TotalK)
초기값TempDefault는, 대기 온도WaitTemp로서 설정된다. 이 값은, 거의 백지인채로 배출할 경우에 있어서의 대기 온도다. 그리고, 화상형성이 필요한 색에 대해서, 보다 낮은 대기 온도가 필요할 경우에는, 그 온도를 대기 온도로서 설정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IF함수로 나타내는 조건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판정순서는, 이하에 나타낸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각 화상형성층의 발색특성에 따라 결정되어도 좋다.
WaitTemp = TempDefault
If(JudgeC = TRUE && TempC < WaitTemp) WaitTemp = TempC
If(JudgeM = TRUE && TempM < WaitTemp) WaitTemp = TempM
If(JudgeY = TRUE && TempY < WaitTemp) WaitTemp = TempY
If(JudgeR = TRUE && TempR < WaitTemp) WaitTemp = TempR
If(JudgeB = TRUE && TempB < WaitTemp) WaitTemp = TempB
If(JudgeK = TRUE && TempK < WaitTemp) WaitTemp = TempK
단계 S1809에서, CPU(401)는, 온도 센서(45)로 검출한 온도가 대기 온도이하인지를 판정한다. 그 온도가 대기 온도이하가 아닌 경우는(단계 S1809에서 NO), 그 온도가 대기 온도이하가 될 때까지 처리는 대기한다. 그 온도가 대기 온도이하인 경우는(단계 S1809에서 YES), 본 과정을 종료하고, 도10의 단계 SlOOl의 처리에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lOOl의 처리에 되돌아갈 때에, 도18의 단계 S1802∼단계 S1804의 처리로 얻어진 결과를, 도10의 단계 SlOO2∼단계 SlOO4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재이용하여도 좋다.
[제1의 실시예의 변형 예]
상기한 제1의 실시예에서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색인 적색(R)과 청색(B), 및 3차색인 흑색(K)의 전용의 가열 펄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화상부재(10)상에서의 발색을 개선하는 예를 설명했다. 그러나, 도7과 도9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제1의 실시예에서는 총구동 펄스수가 2배이상으로 증가해버린다. 따라서, 본 변형 예에서는, 총구동 펄스수의 증가율을 억제하면서, 화상부재(10)상에서 특정한 색영역에서의 발색을 개선하는 예를 설명한다.
(가열 펄스)
도11은, 본 변형 예에 따른 가열 펄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9에 도시된 가열 펄스와 비교하여, 청색(B)과 흑색(K)의 구성이 다르다. 여기에서는, Y→M→C→R의 순서대로 발색하도록 가열 펄스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2차색인 적색(R)을 발색시킬 경우, 적색(R)용의 가열 펄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도9와 같은 제어가 행해진다. 그 때문에, 상술한 것 같이, 종래 방법과 비교하여, 적색(R)의 발색은 개선된다.
2차색인 청색(B)을 발색시킬 경우, 도9에 도시된 것 같은 청색(B)용의 가열 펄스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 방법의 도7과 같은 제어가 행해진다. 그 때문에, 청색(B)의 발색은 종래 방법과 동등하다.
3차색인 흑색(K)을 발색시킬 경우, 시안(C)과 적색(R)을 발색시키도록 가열 펄스를 제어한다. 이 경우, 종래 방법과 비교하면, 적색(R)용의 가열 펄스를 사용하므로, 옐로(Y)를 발색시키는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온도를 이용해서 마젠타(M)를 발색시킬 수 있으므로, 마젠타(M)의 발색이 개선된다. 또한, 마젠타(M)를 발색시키기 위해서 요하는 시간을 사용해서 동시 병행적으로 옐로(Y)를 발색시킬 수 있으므로, 옐로(Y)의 발색하는 면적률이 개선되고, 그에 따라 옐로(Y)의 발색효율이 개선된다. 한편, 도11에 도시된 방법에서는, 흑색(K)용의 가열 펄스가 존재하는 도9에 도시된 방법과 비교하여, 흑색(K)의 발색이 감소된다.
도9와 도11의 총구동 펄스량을 비교하면, Y, M, C, R, B, K용의 6종류의 가열 펄스 제어를 행하는 도9에 도시된 방법보다는, Y, M, C, R용의 4종류의 가열 펄스 제어를 행하는 도11에 도시된 방법에서의 총구동 펄스량이 작다. 그 때문에, 도11에 도시된 방법쪽이, 1도트를 인쇄하기 위한 처리 시간이 짧아진다. 구체적으로는, 도11에 도시된 방법에서는, 9개의 구간(pO∼p8)에 대응한 시간에서 1도트의 화상형성이 수행될 수 있고, 도9와 비교하여 대응한 8구간분의 시간만큼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가열 펄스로서 C, M, Y, R의 4종류를 조합해서 사용할 때, 도9에 도시된 방법과 비교하여 총구동 펄스의 증가율을 억제하면서, 화상부재(10)상에서 적색(R)의 발색을 개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청색(B), 흑색(K)의 색영역에서의 발색을 개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2는, 청색(B)용의 가열 펄스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Y→M→C→B의 순서대로 발색하도록 가열 펄스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2차색인 적색(R)을 발색시킬 경우, 도9에 도시된 것 같은 적색(R)용의 가열 펄스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 방법의 도7과 같은 제어가 행해진다. 그 때문에, 적색(R)의 발색은 종래 방법과 동등하다.
2차색인 청색(B)을 발색시킬 경우, 청색(B)용의 가열 펄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도9와 같은 제어가 행해진다. 그 때문에, 상술한 것 같이, 종래 방법과 비교하여, 청색(B)의 발색은 개선된다.
3차색인 흑색(K)을 발색시킬 경우, 옐로(Y)와 청색(B)을 발색시키도록 가열 펄스를 제어한다. 이 경우, 종래 방법과 비교하면, 청색(B)용의 가열 펄스를 사용하고, 마젠타(M)를 발색시키는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온도를 이용해서 시안(C)을 발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안(C)의 발색이 개선된다. 또한, 시안(C)을 발색시키기 위해서 요하는 시간을 사용해서 동시 병행적으로 마젠타(M)를 발색시킬수 있으므로, 마젠타(M)의 발색하는 면적률이 개선되고, 그에 따라, 마젠타(M)의 발색효율이 개선된다. 한편, 도11에 도시된 방법에서, 흑색(K)용의 가열 펄스가 존재하는 도9에 도시된 방법과 비교하여, 흑색(K)에 있어서의 발색이 감소된다.
도9와 도12의 총구동 펄스량을 비교하면, Y, M, C, R, B, K용의 6종류의 가열 펄스 제어를 행하는 도9의 방법보다, Y, M, C, B용의 4종류의 가열 펄스 제어를 행하는 도12의 방법에서의 총구동 펄스량은 작다. 그 때문에, 도12에 도시된 방법쪽이, 1도트를 인쇄하기 위한 처리 시간이 짧다. 구체적으로는, 도12에 도시된 방법에서는, 11개의 구간(pO∼plO)에 대응한 시간에서 1도트의 화상형성이 가능하고, 그 시간은 도9와 비교하여 시간 대응한 6구간만큼 단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13은, 흑색(K)용의 가열 펄스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Y→M→C→K의 순서대로 발색하도록 가열 펄스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2차색인 적색(R), 청색(B)을 발색시킬 경우, 도9에 도시된 것 같은 적색(R)용의 가열 펄스 및 청색(B)용의 가열 펄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 방법의 도7과 같은 제어가 행해진다. 그 때문에, 적색(R) 및 청색(R)의 발색은 종래 방법과 동등하다.
3차색인 흑색(K)을 발색시킬 경우, 흑색(K)용의 가열 펄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도9와 같은 제어가 행해진다. 그 때문에, 상술한 것 같이, 종래 방법과 비교하여, 흑색(K)의 발색은 개선된다.
도9와 도13의 총구동 펄스량을 비교하면, Y, M, C, R, B, K용의 6종류의 가열 펄스 제어를 행하는 도9의 방법보다, Y, M, C, K용의 4종류의 가열 펄스 제어를 행하는 도13의 방법에서의 총구동 펄스량이 작다. 그 때문에, 도13의 방법쪽이, 1도트를 인자하기 위한 처리 시간이 짧아진다. 구체적으로는, 도13의 방법에서는, 11개의 구간(pO∼plO)분의 시간에서 1도트의 화상형성이 가능하고, 그 시간은 도9와 비교하여 시간 대응한 6구간만큼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적색(R), 청색(B), 흑색(K)의 3개의 색영역 중 2개의 색영역에서의 발색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용이하게 상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1∼도13에 도시된 각 방법, 및 (도시되지 않은) 2색영역 개선과, 도9에 도시된 3색영역 개선은,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다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10의 단계 SlOO2에 있어서, 복합 화상을 해석하고,
적색이 지배적인 화상은 도11에 도시된 가열 펄스를 사용하고,
청색이 지배적인 화상은 도12에 도시된 가열 펄스를 사용하고,
흑색이 지배적인 화상은 도13에 도시된 가열 펄스를 사용하고,
상기 이외의 화상은 도9에 도시된 가열 펄스를 사용하는, 구성을 사용하여도 좋다. 실제로, 화상부재(10)상에서의 발색에 필요한 색영역에 대한 처리만을 강화할 때, 발색개선의 효과를 충분히 얻으면서, 총구동 펄스수의 증가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의 해석에 대해서는, 상기한 것 같이, 도10의 단계 SlOO2에서 해석을 행하여도 좋다. 또는, 도10의 단계 SlOOl의 단계에서 인쇄 시작전에 인쇄 페이지 전체의 화상정보를 사용해서 판정하는 것에 의해, 페이지의 화상형성 동작 도중에 가열 펄스의 전환이 불필요할 수 있다.
또, 화상에 의거해 자동적으로 판정하는 방법이외에, 유저의 지시에 근거해서 특정한 색영역을 강조하는 이하의 구성을 이용하여도 좋다. 여기에서는, 유저가 화상형성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질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화질 모드의 예들은, 적색(R)을 강조하면서 화상형성을 행하는 "핫"모드, 청색(R)을 강조하면서 화상형성을 행하는 "쿨"모드, 흑색(K)을 강조하면서 화상형성을 행하는 "나이트"모드, 및, 밸런스를 중시한 "표준"모드가 있다. 유저의 선택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가열 펄스를 전환한다.
"핫"모드의 선택시는 도11에 도시된 가열 펄스를 사용한다.
"쿨"모드의 선택시는 도12에 도시된 가열 펄스를 사용한다.
"나이트"모드의 선택시는 도13에 도시된 가열 펄스를 사용한다.
"표준"모드의 선택시는 도9에 도시된 가열 펄스를 사용한다.
또, 화질 모드가 유저에 의해 필요에 따라 선택되지 않고, 화상형성장치(40)측에 사전에 등록된 구성에 의해, 유저에 의한 인쇄 잡마다의 설정을 불필요로 하여도 좋다. 이때, 화상형성장치(40)의 UI(User Interface)의 외장의 형상이나 색으로 인쇄 모드의 설정을 유저가 시인할 수도 있다.
<제2의 실시예>
제1의 실시예에서는, 2차색인 적색(R)과 청색(B), 및 3차색인 흑색(K)의 전용의 가열 펄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화상부재(10)상에서의 발색을 개선하는 예를 설명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의 실시예에서는, 더욱 총구동 펄스수를 이전과 비교하여 감소하면서, 화상부재(10)상에서의 발색을 개선하는 예를 설명한다.
[가열 펄스]
도14는, 제2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 펄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14에서는, 도9에 도시된 C, M, Y, R, B, K의 가열 펄스들이 중첩되도록 제어된다. 여기에서, "중첩"이란, 2차색이나 3차색을 재현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화상부재(화상형성층)를 발색시킬 때에, 각 색성분에 대응하는 펄스의 논리합(OR)을 연산하는 것으로, 가열 펄스의 펄스 폭 및 펄스의 수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각 색에 대한 가열 펄스에 포함되는 상기 색성분에 대한 펄스의 시작 위치를 pO로 한다. 즉, 각 색성분에 대한 최초의 펄스의 상승 위치가 pO에서 일치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4개의 구간(pO∼p3)에 대응한 시간에서, 1화소의 화상형성이 행해진다. 옐로(Y)의 발색에 사용된 펄스수의 총 펄스수에 대한 비율은, 총 4펄스중의 1펄스다. 도9에 도시된 방법에서는, 옐로(Y)의 발색에 사용된 펄스수의 총 펄스수에 대한 비율은, 총 17펄스중의 1펄스다. 도14에 도시된 방법쪽이 옐로(Y)의 면적률이 개선되고, 이에 따라, 옐로(Y)의 발색효율이 개선된다. 각 M, Y, R, B, K에 대해서도, 총 펄스수에 대한 비율이 개선되고, 면적률이 개선된다. 따라서, 각 색의 발색효율이 개선된다.
또, 그 펄스를 중첩하는 제어에 의해, 1도트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총구동 펄스수가, 종래 방법의 도7과 비교하면 7개의 구간에 대응한 수로부터 4개의 구간에 대응한 수로 감소되고, 또한, 도9와 비교하면 17개의 구간에 대응한 수로부터 4개의 구간에 대응한 수로 감소된다. 그 결과, 인쇄에 필요한 처리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처리 과정]
도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 펄스를 실현하는 화상처리 흐름도다. 도9에 도시된 과정은, 도6에 도시된 단계 S615의 처리에서 실행된다. 본 과정은,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40)의 CPU(401)가 ROM(403)등에 포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판독해서 실행 함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본 처리는 화상처리 액셀레이터(406)에서 부분적으로 실행되어도 좋다. 단계 S1501∼S1505는, 제1의 실시예에서 서술한 도10의 단계 SlOOl∼단계 SlOO5와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1506에서, CPU(401)는, 각 색에 대응하는 펄스를 중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PO=max(y, m, c, r, b, k)
Pl=max(m, c, r, b, k)
P2=max(c, b, k)
P3=max(c, b, k)로 펄스를 중첩하고,
여기서, 함수max(x, y)는 펄스 폭x 및 y의 최대의 펄스 폭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처리를 전기회로로 실현할 경우에는, 이것은,
PO=y+m+c+r+b+k
Pl=m+c+r+b+k
P2=c+b+k
P3=c+b+k
의 논리합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여기서, y, m, c, r, b, k는 상술의 각 색의 제어 펄스다. 또한, 기호 "+"는 논리합을 나타낸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색에 대응하는 펄스의 기점(상승 타이밍)은 일치한다.
단계 S1507에서, CPU(401)는, 헤드 콘트롤러(405)를 통해 인쇄 헤드(30)를 제어한다. 도14에 도시된, pO/pl/p2/p3에 있어서의 펄스를 제어 함으로써, 원하는 색을 화상부재(10)상에 형성한다.
단계 S1508에서, CPU(401)는, 해당 페이지의 인쇄가 완료했는지를 판정한다. 인쇄가 완료했을 경우는(단계 S1508에서 YES), 본 처리 과정을 종료하고, 다음 페이지의 처리, 혹은, 도6의 단계 S616의 처리로 프로세스가 진행된다. 인쇄가 완료하지 않은 경우는(단계 S1508에서 NO), 단계 S1502의 프로세스로 진행되고, 해당 페이지에 대한 화상형성의 처리를 계속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도14를 예로서 사용하면, pO∼p3의 4펄스 중, 적색(R)의 발색에 사용할 수 있는 펄스는 pO∼pl의 2펄스가 된다. 청색(B)에서는 pO∼p3의 4펄스를 사용할 수 있고, 흑색(K)에서는 pO∼p3의 4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효율적으로 발색할 수 있으므로, 화상부재(10)상의 발색의 면적률이 개선된다. 그에 따라, 각 색의 발색효율이 개선된다.
또, 상기한 것처럼, 1도트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총구동 펄스수가 감소하므로, 인쇄에 필요한 처리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의 실시예의 변형 예1]
상술한 제2의 실시예에서는, 제1의 실시예의 구성에 더해서, 가열 펄스를 중첩하는 것에 의해 화상부재(10)상에서의 발색의 면적률을 증대시켜서, 발색효율을 개선하는 예를 설명했다. 본 변형 예에서는, 더욱, 색 오정렬의 관점에서, 가열 펄스의 종료 위치를 일치시키는 예를 설명한다.
도16은, 본 변형 예에 따른 가열 펄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14와 같이, C, M, Y, R, B, K가 중첩되도록 제어된다. 단, 도14와 달리, 펄스를 중첩시키는 위치가, 펄스의 시작 위치pO가 아니고, 펄스의 종료 위치p3이다.
도14에 도시된 것처럼, 선두에서 펄스를 중첩할 경우, 일차색인 옐로(Y), 마젠타(M), 시안(C)에 대해서, 발색의 타이밍이 시프트된다. 이 때문에, 각 색의 도트가 중합되지 않고, 색 오정렬이 발생할 수도 있다. 즉, 일차색은, 발색을 행하게 하기 위한 가열 펄스에서, 최후의 펄스의 주변의 타이밍에서 발색이 행해진다. 따라서, 가열 펄스의 구성(수)이 다른 경우에는, 발색의 타이밍이 변화한다.
펄스를 중첩시키는 위치를 펄스의 시작 위치pO가 아니고, 펄스의 종료 위치p3으로 설정 함으로써, 색 오정렬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도14에 도시된 가열 펄스의 경우, 옐로(Y)의 발색 타이밍은 pO이다. 마젠타(M)의 발색 타이밍은 pl이다. 시안(C)의 발색 타이밍은 p3이다. 따라서, 옐로(Y)의 발색 타이밍과 마젠타(M)의 발색 타이밍 사이에는 대략 △tO(=pl-pO)의 시간차이가 생긴다. 또한, 옐로(Y)의 발색 타이밍과 시안(C)의 발색 타이밍 사이에는, 대략 △tO×3(=p3-pO)의 시간차이가 생긴다. 마젠타(M)의 발색 타이밍과 시안(C)의 발색 타이밍 사이에는, 대략 △tO×2(=p3-pl)의 시간차이가 생긴다.
한편, 도16에 도시된 가열 펄스의 경우, 옐로(Y)의 발색 타이밍은 p3이다. 마젠타(M)의 발색 타이밍은 p3이다. 시안(C)의 발색 타이밍은 p3이다. 따라서, 옐로(Y), 마젠타(M), 시안(C)의 발색 타이밍은, 동일 혹은 대략 동일하고, 발색 타이밍에 관한 시간차이가 없어지거나, 혹은, 작아진다.
도14와 도16에 도시된 시간차이를 비교한다. 옐로(Y)와 마젠타(M)에 대해서는 △tO-0=△tO, 옐로(Y)와 시안(C)에 대해서는 tO×3-0=△tO×3, 마젠타(M)와 시안(C)에 대해서는 △tO×2-0=△tO×2만큼, 도16에서 시간차이가 보다 작다.
이상의 방식으로, 펄스를 중첩시키는 위치를 펄스의 시작 위치pO가 아니고, 펄스의 종료 위치p3로 설정 함으로써, 발색이 행해지는 타이밍을 일치시킬 수 있다. 발색이 행해지는 타이밍을 일치시킬 때, 색 오정렬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것은, 화상형성과 화상부재(10)의 반송을 동시 병행적으로 행하는 경우나, 화상형성의 속도보다 반송 속도가 빠른 경우에 색 오정렬을 억제하는 높은 효과를 제공한다.
[제2의 실시예의 변형 예2]
제2의 실시예의 변형 예1에서는, 색 오정렬의 관점에서, 가열 펄스의 종료 위치를 일치시키는 예를 설명했다. 한편, 본 변형 예에서는, 발색효율 및 색 오정렬의 양쪽의 관점에서, 가열 펄스의 중심위치(중앙의 펄스의 상승 위치)를 일치시키는 예를 설명한다.
도17은, 본 변형 예에 따른 가열 펄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다. 도14와 같이, C, M, Y, R, B, K가 중첩되도록 제어된다. 단, 도14와 달리, 펄스를 중첩시키는 위치가, 펄스의 시작 위치pO가 아니고, 펄스 중앙 위치pl이다.
도14에 도시된 것처럼, 선두에서 펄스를 중첩할 때, 일차색인 옐로(Y), 마젠타(M), 시안(C)에 대해서, 발색의 타이밍이 시프트된다. 이 때문에, 각 색의 도트가 중합되지 않으면서, 색 오정렬이 발생해버릴 수도 있다. 한편, 도16에 도시된 것처럼, 종단에서 펄스를 중첩할 때, 일차색에 대해서 발색의 타이밍은 같다. 그렇지만, 4개의 펄스중 1개의 펄스에 대해서만 발색을 행하므로, 전체적인 표면 피복률이 낮게 할 수도 있고, 발색효율이 열화할 수도 있다.
따라서, 펄스를 중첩시키는 위치를 펄스의 시작 위치pO와 종료 위치p3도 아니고, 중심위치로 설정 함으로써, 발색을 행하는 타이밍을 개선하면서, 전체적인 표면 피복률을 확보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펄스를 중첩시키는 중심위치로서 pl을 예로 들었다. 그렇지만, 가열 펄스에 있어서의 펄스의 수나, 각 색에 대응하는 펄스의 구성에 따라, 사용되는 중심위치는 변동해도 좋다.
도14에 도시된 가열 펄스의 경우, 옐로(Y)의 발색 타이밍은 pO다. 마젠타(M)의 발색 타이밍은 pl이다. 시안(C)의 발색 타이밍은 p3이다. 따라서, 옐로(Y)의 발색 타이밍과 마젠타(M)의 발색 타이밍 사이에는 대략 △tO(=pl-pO)의 시간차이가 생긴다. 옐로(Y)의 발색 타이밍과 시안(C)의 발색 타이밍 사이에는, 대략 △tO×3(=p3-pO)의 시간차이가 생긴다. 마젠타(M)의 발색 타이밍과 시안(C)의 발색 타이밍 사이에는, 대략 △tO×2(=p3-pl)의 시간차이가 생긴다.
한편, 도17에 도시된 가열 펄스의 경우, 옐로(Y)의 발색 타이밍은 pl이다. 마젠타(M)의 발색 타이밍은 p2이다. 시안(C)의 발색 타이밍은 p3이다. 따라서, 옐로(Y)의 발색 타이밍과 마젠타(M)의 발색 타이밍 사이에는 대략 △tO(=p2-pl)의 시간차이가 생긴다. 옐로(Y)의 발색 타이밍과 시안(C)의 발색 타이밍 사이에는, 대략 △tO×2(=p3-pl)의 시간차이가 생긴다. 마젠타(M)의 발색 타이밍과 시안(C)의 발색 타이밍 사이에는 대략 △tO(=p3-p2)의 시간차이가 생긴다.
도14와 도17의 시간차이를 비교한다. 옐로(Y)와 마젠타(M)에 대해서는 △tO-△tO=0, 옐로(Y)와 시안(C)에 대해서는 △tO×3-△tO×2=△tO, 마젠타(M)와 시안(C)에 대해서는 △tO×2-△tO=△tO만큼, 도17에서, 발색 타이밍에 관한 시간차이가 보다 작다.
또, 도16에 도시된 방법에서는, pl에서 옐로(Y)가 발색하고, p2에서 마젠타(M) 및 적색(R)이 발색하고, p3에서 시안(C), 청색(B) 및 흑색(K)이 발색하므로, 4펄스중 3펄스로 발색이 행해진다. 도17에 도시된 방법의 4펄스중 1펄스에서만의 발색보다도 발색 횟수가 크므로, 도16의 방법은 도17과 비교하여 전체적인 표면 피복률이 상승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가열 펄스의 중심위치를 일치시켜서 그 펄스를 중첩시킬 때, 발색효율 및 색 오정렬의 양쪽을 고려하여, 발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특정 용도 지향 집적회로(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20)

  1. 다른 발색특성을 갖고 열에 응답하여 발색하는 복수의 발색층을 포함하는 화상부재에 에너지를 부여하는 인쇄 헤드; 및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발색층에 대응한 제 1 신호 패턴과,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해 상기 화상부재에 부여되는 에너지를 제어하는데 사용된 색들을 상기 복수의 발색층 중 적어도 2개가 발색하게 함으로써 재현된 색에 대응한 제 2 신호 패턴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신호 패턴은, 상기 복수의 발색층 중 적어도 2개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신호 패턴의 조합과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신호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패턴은, 에너지를 부여하기 위한 개시 타이밍에서, 상기 제 1 신호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패턴과는 다른,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색층은, 상기 인쇄 헤드의 측으로부터 제1의 발색층 및 제2의 발색층의 순서대로 적층하여서 형성되고,
    상기 제 2 신호 패턴은, 상기 제1의 발색층과 상기 제2의 발색층을 발색 시키는데 사용된 신호 패턴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색층은, 상기 인쇄 헤드의 측으로부터 제1의 발색층, 제2의 발색층 및 제3의 발색층의 순서대로 적층하여서 형성되고,
    상기 제 2 신호 패턴은, 상기 제2의 발색층과 상기 제3의 발색층을 발색시키는데 사용된 신호 패턴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 패턴은, 상기 복수의 발색층의 모두를 발색시키는데 사용된 신호 패턴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신호 패턴은, 펄스 폭과 펄스수에 의해, 상기 화상부재에 대한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을 규정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색층은, 옐로, 시안 및 마젠타에 대응하는 발색층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색층은, 상기 인쇄 헤드의 측으로부터, 옐로, 마젠타 및 시안의 순서대로 적층하여서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색층은, 상기 인쇄 헤드의 측으로부터, 시안, 마젠타 및 옐로의 순서대로 적층하여서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패턴과 복수의 상기 제 2 신호 패턴의 최후의 신호의 온 타이밍이 일치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패턴과 복수의 상기 제 2 신호 패턴의 중앙 위치의 신호의 온 타이밍이 일치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부재의 온도를 검지하는 검지부; 및
    상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소정의 역치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지부에서 검지한 온도가, 상기 소정의 역치를 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한 화상형성을 대기시키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 지정된 색을 발색시키는데 사용된 신호 패턴의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역치를 설정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화상부재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 헤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신호 패턴을 출력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는, 상기 화상 부재를 가열하여서 에너지를 상기 화상부재에 부여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복수의 발색층에 대응한 제 1 신호 패턴과, 상기 복수의 발색층 중 적어도 2개가 발색하게 함으로써 재현된 색에 대응한 제 2 신호 패턴을 사용하여, 다른 발색특성을 갖고 부여된 에너지에 따라 발색하는 복수의 발색층을 포함하는 화상부재에 에너지를 부여하기 위한 인쇄 헤드에 의해 상기 화상부재에 부여되는 에너지를 제어하는데 사용된 신호 패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신호 패턴은, 상기 복수의 발색층 중 적어도 2개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신호 패턴의 조합과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신호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패턴은, 에너지를 부여하기 위한 개시 타이밍에서, 상기 제 1 신호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패턴과는 다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066347A 2018-06-12 2019-06-05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03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12219 2018-06-12
JP2018112219A JP7097753B2 (ja) 2018-06-12 2018-06-12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834A KR20190140834A (ko) 2019-12-20
KR102503898B1 true KR102503898B1 (ko) 2023-02-27

Family

ID=6668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347A KR102503898B1 (ko) 2018-06-12 2019-06-05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15036B2 (ko)
EP (1) EP3581389A1 (ko)
JP (1) JP7097753B2 (ko)
KR (1) KR102503898B1 (ko)
CN (1) CN110588180B (ko)
BR (1) BR102019011158A2 (ko)
RU (1) RU2737845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4890C1 (ru) 2018-06-12 2021-09-08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и некратковременный считываемый компьютером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JP2022104428A (ja) * 2020-12-28 2022-07-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リントデータ生成装置及び印刷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8094A (ja) * 2003-05-12 2004-12-02 Nec Access Technica Ltd サーマルヘッド記録装置及び方法
JP2017052261A (ja) * 2015-09-08 2017-03-16 株式会社東芝 レーザ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0336A (en) 1976-04-24 1977-11-01 Oki Electric Ind Co Ltd Thermal head driving means
JPH058423A (ja) * 1991-07-02 1993-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
JPH07227988A (ja) * 1994-02-16 1995-08-29 Fuji Photo Film Co Ltd カラー感熱記録方法
JPH0872414A (ja) * 1994-09-05 1996-03-19 Fuji Photo Film Co Ltd カラー感熱記録方法
JPH1034984A (ja) * 1996-07-19 1998-02-10 Victor Co Of Japan Ltd 投影印刷装置及び記録媒体
JPH10217529A (ja) * 1997-02-10 1998-08-18 Nikon Corp 画像記録装置
USD423559S (en) * 1999-03-16 2000-04-2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for printer
EA008721B1 (ru) 2001-05-30 2007-06-29 Зинк Имэджинг, Ллк Система для термическо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CN1403295A (zh) 2001-09-06 2003-03-19 诚研科技股份有限公司 热打印头的打印方法
US8372782B2 (en) * 2003-02-28 2013-02-12 Zink Imaging, Inc. Imaging system
KR20050112033A (ko) * 2004-05-24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열, 감광 다중색 기록 매체 및 그 기록 방법
CN101541547B (zh) 2005-04-06 2012-06-13 津克成像有限责任公司 多色热成像方法
JP4906762B2 (ja) 2008-03-17 2012-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US8009184B2 (en) 2008-06-13 2011-08-30 Zink Imaging, Inc. Thermal response correction system for multicolor printing
JP5539118B2 (ja) * 2010-08-31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8094A (ja) * 2003-05-12 2004-12-02 Nec Access Technica Ltd サーマルヘッド記録装置及び方法
JP2017052261A (ja) * 2015-09-08 2017-03-16 株式会社東芝 レーザ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214164A (ja) 2019-12-19
EP3581389A1 (en) 2019-12-18
CN110588180B (zh) 2022-03-29
US10915036B2 (en) 2021-02-09
RU2737845C1 (ru) 2020-12-03
KR20190140834A (ko) 2019-12-20
BR102019011158A2 (pt) 2020-01-07
CN110588180A (zh) 2019-12-20
US20190377277A1 (en) 2019-12-12
JP7097753B2 (ja)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3664B2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7309492B2 (ja) プリント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6059591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102503898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66268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colors are developed with multiple color development layers,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20355603A1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 control method
JP202300456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記録方法
US20230391106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80699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method
US20220324247A1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 control method
WO2015181927A1 (ja) 制御装置、印刷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23179243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179232A (ja) 印刷装置、印刷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118168A (ja) 彩度回復機能を有する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