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873B1 - 디아이싱 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 - Google Patents

디아이싱 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873B1
KR102503873B1 KR1020210108530A KR20210108530A KR102503873B1 KR 102503873 B1 KR102503873 B1 KR 102503873B1 KR 1020210108530 A KR1020210108530 A KR 1020210108530A KR 20210108530 A KR20210108530 A KR 20210108530A KR 102503873 B1 KR102503873 B1 KR 102503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ntenna
heating
reflector
refl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근호
황종욱
황성호
조성만
Original Assignee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210108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873B1/ko
Priority to PCT/KR2022/006723 priority patent/WO202302233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2Arrangements for de-icing; Arrangements for drying-out ; Arrangements for cool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8Adaptation for use in or on aircraft, missiles, satellites, or ballo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8Adaptation for use in or on aircraft, missiles, satellites, or balloons
    • H01Q1/288Satellit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01Q15/16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curved in two dimensions, e.g. paraboloid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일측에 위치한 송수신기 및 상기 반사판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판을 설치 지점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은 전자기파를 반사시키는 반사층, 상기 반사층의 하부 면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층의 상부로 전달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층 및 상기 발열층의 하부 면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층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발열층의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 단열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아이싱 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ANTENNA WITH DE-ICING DEVICE}
아래의 실시예들은 디아이싱 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전자기파를 공간으로 전달하거나 받기 위한 변환 장치를 의미하고, 안테나는 송신할 때는 송신기에 의해 변조된 교류전압을 전자기파로서 대기 중에 방사하고, 반대로 수신할 때는 전자기파를 송수신기에 의해 평가된 교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안테나에 전파가 수신될 때, 전파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크기의 반사판의 표면에 전파가 반사되어 모인다. 이후 반사되어 모인 전파는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다. 따라서 수신부로 전파를 정확하게 모으기 위하여 반사판의 표면 상태 유지가 중요하다.
마찬가지로 안테나가 전파를 송신하는 때에도 반사판은 방사되는 전파를 모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반사판의 표면 상태 유지는 역시 중요하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10-1757681호는 다중대역 신호 수신이 가능한 위성 통신용 안테나를 개시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반사판 위에 쌓인 눈 또는 얼음을 녹임으로써 반사판의 표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반사판의 표면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내구성이 좋은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일측에 위치한 송수신기 및 상기 반사판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판을 설치 지점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전자기파를 반사시키는 반사층, 상기 반사층의 하부 면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층의 상부로 전달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층 및 상기 발열층의 하부 면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층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발열층의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 단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단열층의 하부 면에 위치하고, 상기 안테나의 강도를 높이는 강화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은 상기 강화층의 하부 면에 위치하고, 상기 강화층의 강도 및 형태를 유지시키는 제1 유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반사층의 상부 면 및 상기 제1 유지층의 하부 면에 위치하고 상기 안테나의 부식 및 변색을 방지하는 상부 보호층 및 하부 보호층, 상기 상부 보호층의 상부 면에 위치하고 외력에 대한 상기 안테나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상부 제2 유지층 및 상기 하부 보호층의 하부 면에 위치하고 외력에 대한 상기 안테나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하부 제2 유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층은, 상기 반사층 하부 면의 전면적을 커버하는 열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열선부는 복수 개의 동심원 형태를 갖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층은, 상기 반사층 하부의 전면적을 커버하는 열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열선부는 열선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구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선부는 상기 열선에 대응하는 부가 열선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부가 열선은 대응하는 상기 열선에 대해 일측으로 이격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발열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열층의 발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기온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통해 연산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반사판 위에 쌓인 눈 또는 얼음을 녹임으로써 반사판의 표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반사판의 표면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내구성이 좋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반사판의 단면도이다.
도 2b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반사판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발열층을 포함하는 반사판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다른 형태의 열선부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발열층을 포함하는 반사판의 평면도이다.
도 4은 다른 형태의 열선부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제어부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반사판(1)의 단면도이고, 도 2b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반사판(1)의 단면도이고,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발열층(12)을 포함하는 반사판(1)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다른 형태의 열선부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발열층을 포함하는 반사판의 평면도이고, 도 4은 다른 형태의 열선부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제어부를 나타낸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사시도가 나타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는 반사판(1), 반사판(1)의 일측에 위치한 송수신기(2) 및 반사판(1)의 타측에 위치한 지지대(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3)는 지면 또는 선박 등의 안테나(100) 설치 지점에서, 설치 지점으로부터 반사판(1)을 이격되게 위치시킬 수 있다. 개방된 공간을 향하는 반사판(1)은 개방된 공간을 지나 반사판(1)에 입사되는 전파를 반사시켜서 송수신기(2)가 전파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게 한다. 이 반사판(1)의 곡면은 전파를 송수신기(2)로 정확하게 반사시키기 위하여 설계될 수 있고, 또한 송수신기(2)로부터 방사되는 전파를 모아주기 위하여 설계될 수 있다.
다만, 기상 환경에 따라 개방된 공간을 향하는 반사판(1)의 표면에 눈(S)이 쌓일 수 있고, 심지어 눈(S)은 융해와 응고를 반복하며 반사판(1) 표면에 단단히 고정된 얼음(S)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반사판(1)은 후술할 것과 같이 발열층(12)을 포함할 수 있어서, 쌓인 눈(S) 또는 얼음(S)을 녹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반사판(1)은 강설과 같은 기상현상에도 불구하고 전파를 정확하게 반사시키기 위해 설계된 표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악천후에 관계없이 안테나 게인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발열층(12)은 쌓인 눈(S)을 녹이게 한다는 점에서 레이더 돔과 차이가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반사판(1)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반사판(1)은 전자기파를 반사시키는 반사층(11), 반사층(11)의 하부 면에 위치한 발열층(12) 및 발열층(12)의 하부 면에 위치한 단열층(13)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층(11)은 무선 통신의 전파를 반사하는 도전층이고, 알루미늄 또는 카본과 같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본을 포함하는 재료에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하, CFRP라 함)이 있다.
예를 들어 반사층(11)이 CFRP를 주 재료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CFRP의 열 팽창 계수가 0에 수렴하기 때문에 발열층(12)으로부터 전달된 열로 반사층의 온도가 올라가더라도 반사층의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층(11)이 알루미늄을 주 재료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은 열전도성이 뛰어나지만 열팽창 계수는CFRP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반사판(1) 표면의 눈(S)에 빠르게 열을 전달하여 녹일 수 있으나, CFRP를 주 재료로 포함하는 반사층(11)보다는 열변형이 더 클 수 있다.
그에 따라 강설량이 많지 않고 극심하게 추운 지역에 설치되는 안테나에는, 고온의 열이 필요 없어서 대신에 빠른 열전도를 위한 재료가 채택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안테나에 대해 원하는 스펙 및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열팽창 계수를 가진 여러 도전성 재료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발열층(12)은 전류가 저항을 지나면서 생기는 열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열층(12)은 반사층(11)의 하부 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발생한 열을 반사층(11)에 전도시킬 수 있다. 이 열을 통해서 반사층(11)의 온도는 올라가게 되고, 그에 따라 반사층(11) 상부 표면의 눈(S) 또는 얼음(S)을 녹일 수 있다. 발열층(12)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열층(13)은 발열층(12)에서 발생한 열이 발열층(12) 상부에 위치한 반사층(11)으로 집중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는 안테나(100)의 아래쪽으로는 열을 전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반사층(11)이 있는 상부로만 열을 전달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안테나(100)는 개방된 공간을 향하게 설치되고, 반사층(11)이 개방된 공간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강설 시, 눈(S)은 반사층(11)과 같은 반사판(1)의 상부에만 쌓이게 되고, 반사판(1)의 하부에는 쌓이지 않는다. 따라서 반사판(1)의 하부로 열을 전달할 필요가 없다. 즉 단열층(13)은 불필요한 열전도를 막고 반사판(1)의 상부로만 열이 전달될 수 있게 하여 효과적인 디아이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단열층(13)의 재료는 유리 섬유를 포함한는 재료, 예를들면 코어 매트(core ma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 섬유는 유리를 섬유처럼 가늘게 뽑은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단열성이 뛰어나고 가공이 쉬운 물질이다. 그리하여 단열재로 이용하기 유리한 것이다.
특히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하 GFRP라 함)처럼, 플라스틱과 함께 가공되는 경우에는 강도 또한 높아지게 된다.
한편, 유리 섬유 미세한 가닥을 필라멘트(filament)라고 하고, 이를 더 조직화 한 정도에 따라 스트랜드(strand), 얀(yarn), 얀 크로스(yarn cloth)라고 한다. 한편 유리 섬유 이용하여 솜 형태로 뭉친 것을 울(wool) 또는 매트(mat)라고 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반사판(1)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2b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반사판(1)은 도 2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반사판(1)에 추가적인 층들이 적층 된 것이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반사판(1)은 안테나(100)의 강도를 높이는 강화층(14), 강화층(14)의 강도 및 형태를 유지시키는 제1 유지층(15), 안테나(100)의 부식과 변색을 방지하는 상부 및 하부 보호층(16), 외력에 대한 안테나(100)의 변형을 방지하는 상부 및 하부 제2 유지층(17)을 선택적 또는 복합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강화층(14)은 단열층(13)의 하부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단열층(13)의 하부가 아닌 다른 곳에도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는 안테나(100)의 전체적인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강화층(14)은 허니컴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허니컴 구조는 육각형 기둥 모양의 빈 공간으로 이루어진 격자 구조를 말하는 것으로, 적은 재료를 가지고 효율적으로 중량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제1 유지층(15)은 강화층(14)의 하부 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적층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는 강화층(14)의 강도 및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발열층(12)에서 발생된 열이 반사층(11)등의 다른 층을 열 팽창시키게 되는 경우, 안테나(10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사층(11)등의 표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제1 유지층(15)은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 섬유를 포함한 재료는 구체적으로 매트 또는 크로스 형태의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상부 보호층(16)은 반사층(11)의 상부 면에 위치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하부 보호층(16)은 제1 유지층(15)의 하부 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적층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보호층 및 하부 보호층(16)은 안테나(100)의 부식 및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겔 코트(gal coat)와 같은 물질을 포함하는 층인 상부 보호층(16) 및 하부 보호층(16)을 위치시킴으로써, 수분 또는 햇빛에 의한 내구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반사판(1)은 상부 보호층(16)과 하부 보호층(16)을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겔코트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안료, 요변제 등을 분산시켜 만든 열경화성 젤 상의 액상 도료이다. 이에 촉진제와 경화제를 첨가하면 분자 내 2중결합이 중합반응에 의한 불용 및 불화가 되어, 그에 따라 양호한 기계적, 전기적, 내수성, 내후성, 내유성 및 내산성이 강하게 된다. 그래서 코팅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도료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상부 제2 유지층(17)은 상부 보호층(16)의 상부 면에 위치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하부 제2 유지층(17)은 하부 보호층(16)의 하부 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적층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는 외력에 대해 안테나(100)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제2 유지층(17) 및 하부 제2 유지층(17)은 유리 섬유 또는 카본을 포함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FRP 또는 GFRP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CFRP 및 GFRP는 뛰어난 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열 팽창 등으로 인한 반사층(11) 표면 변형 등의 형상 변형을 강화층(14)과 함께 막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반사판(1)은, 반사층(11) 위의 얼음(S)을 녹일 수 있는 발열층(12)과 일 방향으로만 열이 전달되게 하는 단열층(13)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상술한 층 구조를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 포함으로써 안테나(100)의 강도 향상, 내구 향상 또는 변색 방지를 꾀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발열층(12)이 나타난다. 발열층(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층(11) 밑에 위치할 수 있고 단열층(13)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발열층(12)은 열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열선부(120)는 열선들(121)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열선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고, 그 전류가 저항이 있는 열선에 흐르면서 열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열선부(120)는 반사층(11) 하부 면의 전면적을 커버하며 복수 개의 동심원 형태를 갖는 열선들(121)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동심원 형태의 열선들(121)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한 동심원 형태의 열선(121)이 단선되는 경우라도 여전히 다른 열선(121)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각각의 동심원 형태의 열선들 사이의 간격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되는 한도에서, 열선부(1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의 세기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다른 형태의 열선부(220)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열선(221, 222, 223, 224)의 구획들 및 부가 열선(221', 222', 223', 224')이 도시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발열층(12)은 반사층(11) 하부의 전면적을 커버하는 열선부(220)로써 열선(221, 222, 223, 224)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구획들을 포함할 수 있고, 기존 열선(221, 222, 223, 224)이 단선되는 것을 대비하여 열선에 대응하는 부가 열선(221', 222', 223', 2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열선(221', 222', 223', 224')은 동심원 형태의 열선을 포함하는 열선부(120)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열층(12)의 열선부(220)는 4개의 열선(221, 222, 223, 224) 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발열층(1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4등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구획은 발열층(1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는 복수 개의 원호 형태의 열선(221, 222, 223, 22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발열층(12)의 중심에서부터 각 구획에 해당되는 영역에서 원호를 그린 후, 각 구획의 경계에 닿으면 발열층(12)의 바깥 방향으로 일부 연장 후, 다시 원호를 그리는 것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열선(221, 222, 223, 2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지그재그 형태로 이어지는 열선을 포함함으로써, 열선부(220)가 구획화 되어있더라도 반사층(11) 하부 면의 전면적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열층(12)의 열선부(120)는 열선에 대응하는 부가 열선(221', 222', 223', 224')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열선(221', 222', 223', 224')은 열선(221, 222, 223, 224)에 대응되게 위치한다. 즉 일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선(221, 222, 223, 224)이 단선되더라도 해당 구획의 대응하는 부가 열선(221', 222', 223', 224')이 발열함으로써 여전히 반사층(11) 전면적에 열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원에서는 열선부(120,220)를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를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발열층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판은 반사층과 동일한 크기를 가진 플레이트 형태의 발열층을 포함할 수 있고, 반사판의 중심부와 원주 쪽을 지그재그로 가로지르는 형태의 발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100)가 도시된다. 제어부(4)는 반사판(1)의 발열층(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발열층(12)의 발열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제어부(4)는 기온을 측정하는 센서(41) 및 센서(41)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통해 연산하는 처리 유닛(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처리 유닛(42)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발열층(12)의 발열 정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41)로 기온을 측정한 후 특정 온도 이하인 경우에만 발열층(12)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유닛(42)을 통해 발열층에 공급하는 전류를 조절하여, 발열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는 처리 유닛(42)으로부터 2개의 전선이 하나의 구획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는 열선에 연결되는 전선 및 부가 열선에 연결되는 전선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0)의 제어부(4)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처리 유닛(42)은 모든 구획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안테나
1 : 반사판
2 : 송수신기
3 : 지지대
4 : 제어부
11 : 반사층
12 : 발열층
13 : 단열층
14 : 강화층
15 : 제1 유지층
16 : 상부 및 하부 보호층
17 : 상부 및 하부 제2 유지층
41 : 센서
42 : 처리 유닛
120, 220 : 열선부
121, 221, 222, 223, 224, 225 : 열선
221', 222', 223', 224', 225 : 부가 열선

Claims (8)

  1.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일측에 위치한 송수신기; 및
    상기 반사판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판을 설치 지점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시키는 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은,
    전자기파를 반사시키는 반사층;
    상기 반사층의 하부 면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층의 상부로 전달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층; 및
    상기 발열층의 하부 면에 위치하고, 상기 발열층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발열층의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 단열층;
    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은,
    상기 단열층의 하부 면에 위치하고, 안테나의 강도를 높이는 강화층;
    상기 강화층의 하부 면에 위치하고, 상기 강화층의 강도 및 형태를 유지시키는 제1 유지층;
    상기 반사층의 상부 면 및 상기 제1 유지층의 하부 면에 위치하고, 상기 안테나의 부식 및 변색을 방지하는, 상부 보호층 및 하부 보호층;
    상기 상부 보호층의 상부 면에 위치하고, 외력에 대한 상기 안테나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상부 제2 유지층; 및
    상기 하부 보호층의 하부 면에 위치하고, 외력에 대한 상기 안테나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하부 제2 유지층;
    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상기 반사층 하부 면의 전면적을 커버하는 열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선부는,
    복수 개의 동심원 형태를 갖는 열선을 포함하는,
    안테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상기 반사층 하부의 전면적을 커버하는 열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선부는, 열선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구획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부는, 상기 열선에 대응하는 부가 열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 열선은,
    대응하는 상기 열선에 대해 일측으로 이격하는,
    안테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발열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열층의 발열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온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통해 연산하는 처리 유닛
    을 포함하는,
    안테나.
KR1020210108530A 2021-08-18 2021-08-18 디아이싱 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 KR102503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530A KR102503873B1 (ko) 2021-08-18 2021-08-18 디아이싱 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
PCT/KR2022/006723 WO2023022332A1 (ko) 2021-08-18 2022-05-11 디아이싱 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530A KR102503873B1 (ko) 2021-08-18 2021-08-18 디아이싱 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873B1 true KR102503873B1 (ko) 2023-02-28

Family

ID=8523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530A KR102503873B1 (ko) 2021-08-18 2021-08-18 디아이싱 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03873B1 (ko)
WO (1) WO202302233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3916A (ja) * 1992-06-05 1993-12-24 Hitachi Home Tec Ltd パラボラアンテナ融雪装置
JPH10261908A (ja) * 1997-03-18 1998-09-29 Dx Antenna Co Ltd パラボラアンテナ用融雪装置
US5920289A (en) * 1997-04-03 1999-07-06 Msx, Inc. Heated satellite refl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1902B2 (ja) * 1998-11-05 2009-01-21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パラボラアンテナ
KR20030020167A (ko) * 2001-09-03 2003-03-08 곽동구 적설방지형 파라볼라 안테나
KR101757681B1 (ko) 2016-04-12 2017-07-26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다중 대역 신호 수신이 가능한 위성 통신용 안테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3916A (ja) * 1992-06-05 1993-12-24 Hitachi Home Tec Ltd パラボラアンテナ融雪装置
JPH10261908A (ja) * 1997-03-18 1998-09-29 Dx Antenna Co Ltd パラボラアンテナ用融雪装置
US5920289A (en) * 1997-04-03 1999-07-06 Msx, Inc. Heated satellite refl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2332A1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3727B2 (ja) 車両レーダシステム
US20150083863A1 (en) Deicing of a surface of structures in general such as wind turbine blades, aircraft wings using induction or radiation
US5215824A (en) RF-transparent spacecraft thermal control barrier
KR102503873B1 (ko) 디아이싱 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
US5353037A (en) System for deicing dish mounted antennae
US5796368A (en) Rugged, weather resistant parabolic dish
CN213270125U (zh) 一种压电材料与微波加热器联合的风力机自除冰叶片
EP0496388A2 (en) Carbon-fiber based device for heating antennas, preferably for use in space
US5920289A (en) Heated satellite reflector assembly
US5963171A (en) Thermally insulated satellite reflector assembly with non-embedded heater assembly
JP3236203U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電力及び太陽光発電電力による屋根の降雪の積雪回避融雪システムの仕組み。
US5945955A (en) Heating system for microwave antenna reflecto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207457868U (zh) 一种恒温装置
JPH01254003A (ja) レフレクタアンテナ
CN210807692U (zh) 一种电热膜
JPH0234004A (ja) アンテナの融雪構造
JP2680362B2 (ja) アンテナ装置
JP3628760B2 (ja) パラボラアンテナ
CN220947010U (zh) 一种轻质高强电磁波吸收隔热筒
CN117529851A (zh) 卫星天线防冰系统和方法
JP3182207B2 (ja) アンテナ反射体融雪装置
JPH05191138A (ja) オフセットアンテナ
US9543633B2 (en) Antenna dish heating system
JP3085228U (ja) 屋根用融雪装置
JP3038310U (ja) 自己温度制御式積層型面状ヒー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