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396B1 -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 Google Patents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396B1
KR102502396B1 KR1020220124859A KR20220124859A KR102502396B1 KR 102502396 B1 KR102502396 B1 KR 102502396B1 KR 1020220124859 A KR1020220124859 A KR 1020220124859A KR 20220124859 A KR20220124859 A KR 20220124859A KR 102502396 B1 KR102502396 B1 KR 102502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se
coupled
heigh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Original Assignee
(주)국토해양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국토해양기술 filed Critical (주)국토해양기술
Priority to KR1020220124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아 현재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연산하여 GPS보정값을 무선송출하는 기준국, 기준국으로부터 GPS보정값을 수신하는 측지장치 및 측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측지정보의 변화를 확인하는 측지정보확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수준 및 지형 간 거리를 측량할 수 있는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GEODETIC SURVEYING SYSTEM FOR PRECISELY OBSERVING SURVEY DATA BASED ON GIS}
본 발명은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가 등 공공기관에서 발주하는 공공측량, 지하시설물 측량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측지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표척과 레벨기, 토털스테이션 등의 측량장치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차를 구하는 측량으로 그 정확도는 2급 수준 측량의 경우 5mm * S/2 (여기서, S는 편도거리로서 단위는 km 이다) 이내로 규정하고 있을 정도로 세밀한 측량이 요구된다.
이러한 토탈스테이션(Total Station)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전자식 세오돌라이트(Electronic Theodolite)와 광파측거기(EDM:Electro-Optical Instruments)가 하나의 기기로 통합되어 있는 것이다.
토탈스테이션(Total Station)의 구조 크게 4가지로 구분되는데, 망원경의 상하 이동으로 생기는 연직각을 측정하는 연직각 검출부와, 본체의 좌우 회전으로 생기는 수평각을 측정하는 수평각 검출부, 본체의 중심부에서 프리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본체의 수평을 측정하고 보정하는 틸링 센서로 되어 있으며, 측정한 자료를 거리를 단시간 내에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전자식 측거·측각기이다.
토탈스테이션을 통해 측지 측량할 시, 일정 기준을 통해 정해진 기준점의 좌표가 정확한지 기준 측량을 통해 확인하고, 이러한 기준점을 기반으로 지형 간 거리 또는 지표면의 고저를 측량하여, 정확한 좌표가 확인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시스템이 없어, 수준점에 변화가 생겼을 경우, 이를 신속하면서도 올바르게 보정 하기가 어려웠으며, 이로 인해 정확한 측지데이터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측지시스템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측지측량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다 개선된 토탈스테이션 장치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편리하게 수준 및 지형 간 거리를 측량할 수 있는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측정방향을 바꾸더라도 작업자는 계속적으로 강한 빛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한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아 현재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연산하여 GPS보정값을 무선송출하는 기준국; 기준국으로부터 GPS보정값을 수신하는 측지장치; 및 측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측지정보의 변화를 확인하는 측지정보확인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측지장치는, 다수의 지지다리를 구비하는 설치체; 설치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탄성지지유닛; 하부가 탄성지지유닛에 수용되어 탄성 지지되며, 회전모터 및 회전스크류를 구비하는 회전부;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토탈스테이션; 토탈스테이션의 상단에 형성된 제1커넥터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모듈연결부; 모듈연결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멀티홀을 구비한 조절체; 및 조절체에 결합되는 차광기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차광부는, 조절체의 멀티홀에 맞대어져 연통되는 고정홀을 갖춘 지지체; 지지체에 상하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조절체의 멀티홀 및 지지체의 고정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체를 조절체에 고정하는 차광기구체결부재; 회전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중심축; 일단이 중심축에 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을 이루어 접히거나 펼쳐지는 다수의 부채살과, 다수의 부채살 간에 설치되어 빛을 차광하는 차광막을 갖춘 차광체; 및 멀티홀과 맞대어지는 체결홀을 갖추고서 지지체 및 회전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체의 하방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체와, 멀티홀 및 체결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동제한체를 조절체에 고정하는 이동제한체체결부재를 구비한 이동제한기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탄성지지유닛은, 회전모터의 외벽을 감싸도록 회전모터에 결합되는 클램프부; 일측부가 클램프부에 탈착 결합되어 클램프부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 클램프부와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가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의 타측부가 탈착 결합되고 탄성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용바디; 및 일측부는 수용바디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탄성케이스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어 수용바디를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제2탄성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클램프는, 회전모터의 일측부를 둘러싸며 양단부에 제1플랜지가 마련된 제1클램프바디; 회전모터의 타측부를 둘러싸며 양단부에 제2플랜지가 마련된 제2클램프바디; 서로 마주보는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에 결합되어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를 회전모터에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에 마련되어 자력으로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를 회전모터에 부착시키는 복수의 클램프자석부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제2탄성지지부는, 일측부는 수용바디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탄성케이스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 양단부가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제2스프링;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제2자석부재; 및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제2스프링을 밀폐하는 주름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높이케이스; 높이케이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높이로드; 높이로드의 측부에 결합되어 높이로드의 외측면과 높이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높이조절판; 높이케이스와 연결되어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유압펌프; 및 일측이 높이케이스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열교환기와 연결되며,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1열교환기에 공급할 수 있는 공급밸브;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공급부는, 내부가 온도감지실 및 유체배출실로 구획되어 있는 밸브케이스; 온도감지실과 높이케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유로;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1이동부; 온도감지실과 유체배출실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유로;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어 온도감지실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2이동부; 유체배출실과 제1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 및 유체배출실과 제2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제1이동부는,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1이동케이스; 제1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이동로드; 제1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간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유닛; 및 제1이동케이스와 제1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제2이동부는,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2이동케이스; 제2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이동로드; 제2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배출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유닛; 및 제2이동케이스와 제2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모듈연결부는, 일측부에 제1커넥터가 삽입되고 타측부에 제2커넥터가 삽입되는 커플러바디; 및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커플러바디의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잠금록킹부는,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록킹바디; 및 복수의 록킹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이격시키는 스토퍼플랜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커플러바디의 내부에는 복수의 단턱부가 마련되며, 복수의 록킹바디는 제1두께부 및 제1두께부보다 두껍게 마련되는 제2두께부를 포함하고, 커플러바디의 회전 시 복수의 단턱부가 제2두께부를 회전시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록킹시키며, 커플러바디의 반대 방향 회전 시 록킹을 해제시키고, 제1커넥터에는 복수의 제1돌기가 이격 마련되고, 제2커넥터에는 복수의 제2돌기가 이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측지장치를 이용하여 수준 측량이 가능하며, 지형간 거리를 용이하게 측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량 작업자가 강한 빛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어, 작업환경이 우수하여 효율적인 측지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자가 측정방향을 바꾸더라도 작업자는 계속적으로 강한 빛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어, 작업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차광기구가 접이식이므로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장치에서 차광기구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장치에서 차광기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광기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유닛의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의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밸브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작동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장치에서 차광기구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장치에서 차광기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광기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은 기준국(10)과, 측지장치(20) 및, 측지정보확인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국(10)은, GPS안테나(11a)를 갖추고서, 인공위성(G)로부터 위치값을 수신받는 GPS수신기(11)와, GPS수신기(11)로부터 전달받은 현재의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 연산하여 GPS보정값을 출력하는 제어부(12)와, DGPS안테나(13a)를 갖추고서, 제어부(12)로부터 GPS보정값을 전달받아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DGPS송신기(13)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기준국(10)의 제어부(12)를 통해 연산된 GPS보정 값(즉 위치 값)은 DGPS송신기(13)로 전달되고, DGPS송신기(13)와 연결된 DGPS안테나(13a)를 통해 이후에 설명된 토탈스테이션(110)의 DGPS안테나로 무선송출하게 된다.
상기 측지장치(20)는 다수의 지지다리(212)를 구비하는 설치체(210), 설치체(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탄성지지유닛(700), 하부가 탄성지지유닛(700)에 수용되어 탄성 지지되며, 회전모터(610) 및 회전스크류(620)를 구비하는 회전부(600), 회전부(6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800), 높이조절부(8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토탈스테이션(110), 토탈스테이션(110)의 상단에 형성된 제1커넥터(4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모듈연결부(300), 모듈연결부(3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멀티홀(221)을 구비한 조절체(220) 및 조절체(220)에 결합되는 차광기구(230)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체(210)는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체(211), 고정체(211)에 설치되어 고정체(211)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다리(21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체(211)는 원판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다리(212)는 4개가 구비되어 안정적으로 고정체(211)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지지유닛(700), 회전부(600), 높이조절부(800) 및 모듈연결부(3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조절체(220)는, 측방으로 관통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멀티홀(221)을 갖추고서, 토탈스테이션(110)의 상부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체(220)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각바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상기 차광기구(230)는 지지체(231)와, 회전체(232)와, 차광기구체결부재(233)와, 중심축(235)과, 차광체(234) 및, 이동제한기구(236)를 갖춘다.
상기 지지체(231)는 조절체(220)의 멀티홀(221)에 맞대어져 연통되는 고정홀(231a)을 갖추고서, 조절체(2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체(232)는 별도의 회전축(미인출)를 매개로 지지체(231)에 상하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차광기구체결부재(233)는 조절체(220)의 멀티홀(221) 및 지지체(231)의 고정홀(23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체(221)를 조절체(232)에 고정한다. 이때 차광기구체결부재(232)는 나사산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축(235)은 회전체(23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차광체(234)는 일단이 중심축(235)에 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을 이루어 접히거나 펼쳐지는 다수의 부채살(234a)과, 다수의 부채살(234a) 간에 설치되어 빛을 차광하는 차광막(234b)을 갖춘다. 이때 차광막(234b)은 부채살(234a)의 이동에 따라 용이하게 펴지거나 접히기 위해 접는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질은 천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기구(236)는 멀티홀(221)과 맞대어지는 체결홀(236a1)을 갖추고서 지지체(231) 및 회전체(232)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체(232)의 하방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체(236a)와, 멀티홀(221) 및 체결홀(236a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동제한체(236a)를 조절체(220)에 고정하는 이동제한체체결부재(236b)를 갖춘다. 이때 이동제한체체결부재(236b)는 나사산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탈스테이션(110)은, 기준국(10)으로부터 GPS보정 값과 위성(G)로부터 받은 GPS 값을 연산하여, 자신의 정밀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정밀위치를 기준으로 측정점의 좌표를 연산처리하기 위해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를 정밀 측위하여 유,무선 송출한다.
이때 상기 토탈스테이션(110)은, DGPS안테나(111a)를 갖추고서, 기준국(10)의 DGPS송신기(13)로부터 GPS보정 값을 수신받는 DGPS수신기(111)와, GPS안테나(112a)를 갖추고서, 위성(G)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는 GPS수신기(112)와, 일측에 렌즈부를 갖추고서,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를 정밀측정할 수 있도록 된 측정장치부(113)와, DGPS수신기(111)로부터 받은 GPS보정 값을 이용하여 GPS안테나(112a)의 정밀위치 연산을 통해 토탈스테이션(110)의 정밀위치를 확인하고, 측정장치부(113)로부터 측정된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를 입력받아 상기 정밀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연산처리하는 제어부(114)와, 제어부(114)로부터 연산된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측정 및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전달받아 유,무선으로 송출하는 데이터송신기(115)를 갖춘다.
한편 상기 토탈스테이션(110)은 측지 측량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측지정보확인장치(30)는 토탈스테이션(110)의 데이터송신기(115)로부터 수준측량 데이터 및 지형간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모듈(31)과, 수신모듈(31)로부터의 수준측량 데이터 및 지형간 거리 데이터를 통해 측지정보의 변화를 확인하는 측지정보확인모듈(32)을 갖춘다.
우선 작업자는 측지장치(20)를 수준점 또는 지형 간의 거리 측지를 필요로 하는 곳에 위치시킨 후, 측지가능하도록 셋팅한다. 이때 차광기구(230)는 펼쳐져 하부에 그늘이 형성되도록 한다.
측지장치(20)의 측정 셋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수준점 또는 지형 간의 거리를 측량하여 측지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측지정보는 데이터송신기(115)를 통해 송출되고, 측지정보확인장치(30)의 수신모듈(31)은 송출된 측지정보를 수신하여 측지정보확인모듈(32)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측지정보확인모듈(32)은 수준점의 측지정보가 기존의 측지정보와 동일한 지 확인하여 수준점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거나, 지형 간 거리가 기존의 거리와 동일한 지 확인하여 지형 간 거리의 변화 여부를 확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유닛의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의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유닛(700)은, 회전모터(610)의 외벽을 감싸도록 회전모터(610)에 결합되는 클램프부(710)와, 일측부가 클램프부(710)에 탈착 결합되어 클램프부(710)를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와, 클램프부(710)와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가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의 타측부가 탈착 결합되고 탄성케이스(750)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용바디(730)와, 일측부는 수용바디(730)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탄성케이스(750)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어 수용바디(730)를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제2탄성지지부(74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600)는 회전모터(610) 및 회전스크류(620)를 구비하며, 상부에 결합된 토탈스테이션(1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클램프부(710)는, 회전모터(610)의 일측부를 둘러싸며 양단부에 제1플랜지(711a)가 마련된 제1클램프바디(711)와, 회전모터(610)의 타측부를 둘러싸며 양단부에 제2플랜지(712a)가 마련된 제2클램프바디(712)와, 서로 마주보는 제1플랜지(711a)와 제2플랜지(712a)에 결합되어 제1클램프바디(711)와 제2클램프바디(712)를 회전모터(610)에 체결시키는 체결부(713)와, 제1클램프바디(711)와 제2클램프바디(712)에 마련되어 자력으로 제1클램프바디(711)와 제2클램프바디(712)를 회전모터(610)에 부착시키는 복수의 클램프자석부재(7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클램프바디(711)에는 복수의 제1돌기(711b)가 마련되어 제1클램프바디(711)가 회전모터(610)로부터 미끄러지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클램프바디(712)에도 복수의 제2돌기(712b)가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제2돌기(712b)는 복수의 제1돌기(711b)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클램프바디(711)와 제2클램프바디(712)는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에 의해 지지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으므로 긴급을 요하는 경우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713) 없이도 회전모터(61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는, 일측부는 수용바디(131)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클램프부(710)의 제1플랜지(711a)와 제2플랜지(712a)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탄성지지바디(721)와, 양단부가 한 쌍의 제1탄성지지바디(721)에 각각 결합되는 제1스프링(722)과, 한 쌍의 제1탄성지지바디(721)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제1자석부재(72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는 외부에서 수용바디(730)의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는 자력에 의해 클램프부(710), 수용바디(730)에 탈착 결합되므로 탈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클램프부(710), 수용바디(730)가 자석이 부착되는 금속 재질로 마련되지 않는 경우 자석과 부착되는 금속 부재를 클램프부(710), 수용바디(730)에 마련할 수 있다.
수용바디(730)에는, 클램프부(710)와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가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의 타측부가 탈착 결합되고 탄성케이스(7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탄성지지부(740)는, 일측부는 수용바디(730)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탄성케이스(750)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어 수용바디(73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2탄성지지부(740)는 일측부가 수용바디(730)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가 탄성케이스(750)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741)와, 양단부가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741)에 각각 결합되는 제2스프링(742)과,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741)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제2자석부재(743)와,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741)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제2스프링(742)을 밀폐하여 제2스프링(742)을 보호하는 주름부(744)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2탄성지지부(740)는 수용바디(730)의 외부에 배치되어 탄성케이스(750)의 외부에서 수용바디(73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수용바디의 내부에서는 물론 수용바디의 외부에서 회전부(600)로 가해지는 충격을 이중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회전부(600)를 더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2탄성지지부(740)는, 각각의 제2탄성지지부(7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7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745)는 각각의 제2탄성지지부(740)를 연결하므로 제2탄성지지부(74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밸브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높이조절부(800)는 회전부(6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높이케이스(810), 높이로드(820), 높이조절판(830), 유압펌프(840) 및 공급밸브(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케이스(810)는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높이케이스(810)의 내부에는 유체(예를 들어, 오일 등)가 수용된다.
상기 높이로드(820)는 높이케이스(8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높이로드(820)의 상단에는 토탈스테이션(110)이 결합된다. 높이로드(820)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토탈스테이션(110)도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높이조절판(830)은 높이로드(820)의 측부에 결합되어 높이로드(820)의 외측면과 높이케이스(81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유압펌프(840)는 높이케이스(810)와 연결되어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840)는 제어유닛(미도시)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840)가 높이조절판(830) 하부의 유체 압력이 높이조절판(830) 상부의 유체 압력보다 더 높아질 수 있도록 작동되면, 높이조절판(830) 및 높이로드(820)는 상승되고, 유압펌프(840)가 높이조절판(830) 상부의 유체 압력이 높이조절판(830) 하부의 유체 압력보다 더 높아질 수 있도록 작동되면, 높이조절판(830) 및 높이로드(820)는 하강된다.
이때, 상기 높이로드(820)의 승강이 반복됨에 따라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는 온도가 점차 올라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급밸브(900), 제1열교환기(850) 및 제2열교환기(860)를 추가로 더 구비한다.
상기 공급밸브(900)는 일측이 높이케이스(8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열교환기(850)와 연결되며,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1열교환기(85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850)와 연결된 제1열교환유로(851)와 접하는 높이케이스(810)의 내측에는 역류방지판(811)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역류방지판(811)은 높이케이스(810)의 내측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여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가 제1열교환기(850)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밸브(900)는 밸브케이스(910), 공급유로(920), 제1이동부(930), 중간유로(940), 제2이동부(950), 제1배출유로(960) 및 제2배출유로(970)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8의 (a)는 제1개폐유닛(934)이 중간유로(940)를 폐쇄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의 (b)는 제1개폐유닛(934)이 중간유로(940)를 개방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의 (c)는 제2개폐유닛(954)이 제2배출유로(970)를 개방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밸브케이스(910)는 내부가 온도감지실(911) 및 유체배출실(912)로 구획되어 있다. 온도감지실(911)의 하단에는 온도감지실(911)과 높이케이스(810)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유로(920)가 형성되고, 온도감지실(911)의 상단에는 온도감지실(911)과 유체배출실(912)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유로(940)가 형성된다. 유체배출실(912)의 상단 좌측에는 유체배출실(912)과 제1열교환기(850)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960)가 형성되고, 유체배출실(912)의 상단 우측에는 유체배출실(912)과 제2열교환기(860)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97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이동부(930)는 온도감지실(911)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고, 제2이동부(950)는 유체배출실(912) 내부에 장착되어 온도감지실(911)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이동부(930)는, 온도감지실(911)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1이동케이스(931), 제1이동케이스(93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이동로드(932), 제1이동로드(932)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간유로(940)를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유닛(934) 및 제1이동케이스(931)와 제1개폐유닛(934)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스프링(933)을 포함한다.
상기 온도감지실(911)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예를 들어, 40도) 이하일 경우, 도 8(a)에 도시된 것처럼 제1개폐유닛(934)은 제1이동스프링(9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중간유로(940)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는 제1열교환기(850)로 전달되지 않고,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는 적정 온도를 유지하여 높이조절부(80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도감지실(911)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예를 들어, 40도) 이상일 경우,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제1이동케이스(931) 내부의 왁스는 팽창하여 제1이동로드(932)를 우측으로 밀고, 제1개폐유닛(934)은 제1이동스프링(933)의 탄성복원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하여 중간유로(940)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중간유로(940)를 통과한 유체는 제1배출유로(960)를 통과하여 제1열교환기(850)로 전달된다. 제1열교환기(850)로 전달된 유체는 외부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아지고, 다시 제1열교환유로(851)를 통해 높이케이스(8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중간유로(940)와 제1배출유로(96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유체가 더욱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2개폐유닛(954)은 제1배출유로(960)와 제2배출유로(970) 사이에 배치되어 유체가 제1배출유로(960)는 통과할 수 있지만 제2배출유로(970)는 통과할 수 없도록 한다.
상기 제2이동부(950)는, 유체배출실(912)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2이동케이스(951), 제2이동케이스(95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이동로드(952), 제2이동로드(952)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배출유로(970)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유닛(954) 및 제2이동케이스(951)와 제2개폐유닛(954)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스프링(953)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배출실(912)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예를 들어, 40도) 이상이고 제2온도(예를 들어, 80도) 이하일 경우,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제2개폐유닛(954)은 제2이동스프링(9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배출유로(960)와 제2배출유로(970) 사이에 배치되고, 유체는 제1배출유로(960)는 통과할 수 있지만 제2배출유로(970)는 통과할 수 없다.
상기 유체배출실(912)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온도(예를 들어, 80도) 이상일 경우, 도 8(c)에 도시된 것처럼 제2이동케이스(951) 내부의 왁스는 팽창하여 제2이동로드(952)를 우측으로 밀고, 제2개폐유닛(954)은 제2이동스프링(953)의 탄성복원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2배출유로(970)를 개방한다.
즉, 상기 제1이동케이스(931) 내부의 왁스는 미리 설정된 제1온도 이상일 때 팽창하고, 제2이동케이스(951) 내부의 왁스는 미리 설정된 제1온도 이상일 때에는 팽창하지 않으며 제2온도 이상일 때 팽창한다.
이에 따라, 제1배출유로(960)를 통과한 유체는 제1열교환기(850)로 전달되고, 제2배출유로(970)를 통과한 유체는 제2열교환기(860)로 전달되며, 제2열교환기(860)로 전달된 유체는 외부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아지고, 다시 제2열교환유로(861)를 통해 높이케이스(810)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높이케이스(810) 내부의 유체가 미리 설정된 제2온도 이상으로 고온일 경우 제1열교환기(850)와 제2열교환기(860)를 통해 열교환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고, 더 빨리 냉각된 유체를 다시 공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토탈스테이션(110)의 상부에는 제1커넥터(400)가 마련되고, 제1커넥터(400)는 모듈연결부(30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넥터(400)의 외벽에는 복수의 제1돌기(410)가 마련되어 모듈연결부(300)에 미끄러짐없이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듈연결부(300)는 토탈스테이션(110)과 조절체(220)를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탈착 결합시키는 것으로, 일측부에 제1커넥터(400)가 삽입되고 타측부에 제2커넥터(500)가 삽입되는 커플러바디(310)와, 커플러바디(3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커플러바디(310)의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400)와 제2커넥터(500)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부(320)와, 커플러바디(310)의 일측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커버(330)와, 커플러바디(310)의 타측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2커버(340)를 구비한다.
상기 커플러바디(3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커플러바디(310)의 일측부에는 제1커넥터(400)가 삽입되고 타측부에는 제2커넥터(500)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310)의 내벽에는 록킹홈(311)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록킹홈(311)은 3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록킹홈(311)은 복수의 단턱부(312)의 사이에 마련되며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단턱부(312) 중 어느 하나의 단턱부(312)에서 다른 하나의 단턱부(312)까지 두께가 얇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상기 록킹부(320)의 제1두께부(321b)에 대응되는 영역의 록킹홈(311)은 두께가 얇게 마련되고, 록킹부(320)의 제2두께부(321c)에 대응되는 영역의 록킹홈(311)은 두께가 더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310)의 내벽에는 단턱부(312)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단턱부(312)는 3개가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310)에는 복수의 바디홀(313)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바디홀(313)에 잠금 부재를 삽입시켜 록킹부(320)의 록킹바디(321)를 가압함으로써 복수의 록킹바디(321)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잠금 부재는 바디홀(313)의 내벽에 마련된 나사산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310)의 전방 외벽과 후방 외벽에는 바디 나사산이 마련되어 제1커버(330)와 제2커버(340)가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320)는, 커버 바디의 일정 각도 예를 들어 120도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400)와 제2커넥터(500)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록킹부(320)는 커플러바디(3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록킹바디(321)와, 복수의 록킹바디(321)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400)와 제2커넥터(500)를 이격시키는 스토퍼플랜지(322)와, 복수의 록킹바디(321)를 연결시켜 복수의 록킹바디(321)의 이격 간극을 유지시키는 연결부재(323)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부(320)의 록킹바디(321)는 3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록킹바디(321)의 내부에는 복수의 스토퍼돌기(321a)가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록킹바디(321)는 제1두께부(321b)와, 제1두께부(321b)보다 더 두껍게 마련되는 제2두께부(321c)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두께부(321b)에서 제2두께부(321c)로 갈수록 록킹바디(321)의 두께는 점차적으로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320)의 스토퍼플랜지(322)는 록킹바디(321)의 내벽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400)와 제2커넥터(500)가 서로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플랜지(322)는 부채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고, 록킹바디(321)에 접하는 영역이 길게 마련되고, 록킹바디(321)의 내벽에서 멀어지는 영역이 짧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플랜지(322)는 각각의 록킹바디(321)에 마련되고 각각의 록킹바디(321)의 내벽에서 멀어지는 영역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록킹부(320)의 연결부재(323)는 각각의 록킹바디(321)를 연결시켜 각각의 록킹바디(321)의 이격 위치를 유지함과 아울러 각각의 록킹바디(321)가 같이 회전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323)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각각의 록킹바디(321)에 마련된 바디홈에 결합되어 본 실시 예를 제1커넥터(400)와 제2커넥터(500)에 탈착 시 스프링의 힘으로 복수의 록킹바디(321)를 커플러바디(310)의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323)는 원형 형상으로 복수의 록킹바디(321)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연결부재(323)는 록킹부(320)가 제1커넥터(400)와 제2커넥터(500)를 잠글 시, 잠그기 전보다 더 노출되어 록킹바디(321)의 잠금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록킹바디(32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연결부재(323)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하나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록킹부(320)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록킹부(320)가 커넥터를 잠그기 전에 제2두께부(321c)는 단턱부(312)와 근접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커플러바디(310)를 일정 각도 예를 들어 120도 회전시키면, 두꺼운 영역의 록킹홈(311)이 제2두께부(321c)를 가압하여 제1커넥터(400)를 잠금시킬 수 있다. 이 잠금의 회전은 커플러바디(310)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커버(330)는 커플러바디(31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록킹바디(3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커버(340)는 커플러바디(310)의 후방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록킹바디(3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절체(220)는 모듈연결부(300)를 통해 토탈스테이션(11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500)는 조절체(220)의 하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커넥터(500)의 외벽에는 복수의 제2돌기(510)가 이격 마련되어 모듈연결부(300)에 미끄러짐없이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기준국 20 : 측지장치 30 : 측지정보확인장치
110 : 토탈스테이션 210 : 설치체 220 : 조절체
230 : 차광기구 300 : 모듈연결부 310 : 커플러바디
311 : 록킹홈 312 : 단턱부 313 : 바디홀
320 : 록킹부 321 : 록킹바디 321a : 스토퍼돌기
321b : 제1두께부 321c : 제2두께부 322 : 스토퍼플랜지
323 : 연결부재 330 : 제1커버 340 : 제2커버
400 : 제1커넥터 410 : 제1돌기 500 : 제2커넥터
510 : 제2돌기 600 : 회전부 610 : 회전모터
620 : 회전스크류 700 : 탄성지지유닛 710 : 클램프부
711 : 제1클램프바디 711a : 제1플랜지 711b : 제1돌기
712 : 제2클램프바디 712a : 제2플랜지 712b : 제2돌기
713 : 체결부 714 : 클램프자석부재 720 : 제1탄성지지부
721 : 제1탄성지지바디 722 : 제1스프링 723 : 제1자석부재
730 : 수용바디 740 : 제2탄성지지부 741 : 제2탄성지지바디
742 : 제2스프링 743 : 제2자석부재 744 : 주름부
745 : 연결부재 750 : 탄성케이스 800 : 높이조절부
810 : 높이케이스 811 : 역류방지판 820 : 높이로드
830 : 높이조절판 840 : 유압펌프 850 : 제1열교환기
851 : 제1열교환유로 860 : 제2열교환기 861 : 제2열교환유로
900 : 공급밸브 910 : 밸브케이스 911 : 온도감지실
912 : 유체배출실 920 : 공급유로 930 : 제1이동부
931 : 제1이동케이스 932 : 제1이동로드 933 : 제1이동스프링
934 : 제1개폐유닛 940 : 중간유로 950 : 제2이동부
951 : 제2이동케이스 952 : 제2이동로드 953 : 제2이동스프링
954 : 제2개폐유닛 960 : 제1배출유로 970 : 제2배출유로

Claims (1)

  1.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아 현재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연산하여 GPS보정값을 무선송출하는 기준국; 기준국으로부터 GPS보정값을 수신하는 측지장치; 및 측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측지정보의 변화를 확인하는 측지정보확인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측지장치는,
    다수의 지지다리를 구비하는 설치체; 설치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탄성지지유닛; 하부가 탄성지지유닛에 수용되어 탄성 지지되며, 회전모터 및 회전스크류를 구비하는 회전부;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토탈스테이션; 토탈스테이션의 상단에 형성된 제1커넥터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모듈연결부; 모듈연결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멀티홀을 구비한 조절체; 및 조절체에 결합되는 차광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기구는,
    조절체의 멀티홀에 맞대어져 연통되는 고정홀을 갖춘 지지체; 지지체에 상하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조절체의 멀티홀 및 지지체의 고정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체를 조절체에 고정하는 차광기구체결부재; 회전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중심축; 일단이 중심축에 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을 이루어 접히거나 펼쳐지는 다수의 부채살과, 다수의 부채살 간에 설치되어 빛을 차광하는 차광막을 갖춘 차광체; 및 멀티홀과 맞대어지는 체결홀을 갖추고서 지지체 및 회전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체의 하방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체와, 멀티홀 및 체결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동제한체를 조절체에 고정하는 이동제한체체결부재를 구비한 이동제한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유닛은,
    회전모터의 외벽을 감싸도록 회전모터에 결합되는 클램프부; 일측부가 클램프부에 탈착 결합되어 클램프부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 클램프부와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가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의 타측부가 탈착 결합되고 탄성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용바디; 및 일측부는 수용바디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탄성케이스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어 수용바디를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제2탄성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회전모터의 일측부를 둘러싸며 양단부에 제1플랜지가 마련된 제1클램프바디; 회전모터의 타측부를 둘러싸며 양단부에 제2플랜지가 마련된 제2클램프바디; 서로 마주보는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에 결합되어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를 회전모터에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에 마련되어 자력으로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를 회전모터에 부착시키는 복수의 클램프자석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탄성지지부는,
    일측부는 수용바디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탄성케이스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 양단부가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제2스프링;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제2자석부재; 및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제2스프링을 밀폐하는 주름부; 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높이케이스; 높이케이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높이로드; 높이로드의 측부에 결합되어 높이로드의 외측면과 높이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높이조절판; 높이케이스와 연결되어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유압펌프; 및 일측이 높이케이스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열교환기와 연결되며,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1열교환기에 공급할 수 있는 공급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밸브는,
    내부가 온도감지실 및 유체배출실로 구획되어 있는 밸브케이스; 온도감지실과 높이케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유로;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1이동부; 온도감지실과 유체배출실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유로;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어 온도감지실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2이동부; 유체배출실과 제1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 및 유체배출실과 제2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부는,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1이동케이스; 제1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이동로드; 제1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간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유닛; 및 제1이동케이스와 제1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제2이동부는,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2이동케이스; 제2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이동로드; 제2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배출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유닛; 및 제2이동케이스와 제2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연결부는,
    일측부에 제1커넥터가 삽입되고 타측부에 제2커넥터가 삽입되는 커플러바디; 및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커플러바디의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부; 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는,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록킹바디; 및 복수의 록킹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이격시키는 스토퍼플랜지; 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바디의 내부에는 복수의 단턱부가 마련되며, 복수의 록킹바디는 제1두께부 및 제1두께부보다 두껍게 마련되는 제2두께부를 포함하고, 커플러바디의 회전 시 복수의 단턱부가 제2두께부를 회전시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록킹시키며, 커플러바디의 반대 방향 회전 시 록킹을 해제시키고, 제1커넥터에는 복수의 제1돌기가 이격 마련되고, 제2커넥터에는 복수의 제2돌기가 이격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0220124859A 2022-09-30 2022-09-30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502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859A KR102502396B1 (ko) 2022-09-30 2022-09-30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859A KR102502396B1 (ko) 2022-09-30 2022-09-30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396B1 true KR102502396B1 (ko) 2023-02-23

Family

ID=8532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859A KR102502396B1 (ko) 2022-09-30 2022-09-30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3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9549A (en) * 1995-12-29 1998-05-12 Javad Positioning, Llc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tenna supporting tripod
US5769370A (en) * 1995-12-29 1998-06-23 Javad Positioning, Llc Knock-down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tenna supporting tripod
KR101212740B1 (ko) * 2012-05-10 2012-12-14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지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시스템
KR101349215B1 (ko) * 2013-08-20 2014-01-15 (주)미도지리정보 경사지의 수준측량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9549A (en) * 1995-12-29 1998-05-12 Javad Positioning, Llc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tenna supporting tripod
US5769370A (en) * 1995-12-29 1998-06-23 Javad Positioning, Llc Knock-down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tenna supporting tripod
KR101212740B1 (ko) * 2012-05-10 2012-12-14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지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시스템
KR101349215B1 (ko) * 2013-08-20 2014-01-15 (주)미도지리정보 경사지의 수준측량 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190B1 (ko) 지형정보 수집용 수준측량기를 통한 측지데이터 관리시스템
KR101915290B1 (ko) 기준점별 정밀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장치
KR101706097B1 (ko) 수평제어 기능 및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기준점 측지정보 수집 시스템
KR101349652B1 (ko)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JP7438881B2 (ja) 整準台及び測量装置及び測量システム
KR101116193B1 (ko) 설정 기준점 및 수준점을 이용한 지리정보 측지데이터 관리시스템
KR101209286B1 (ko) 지형변화를 감지해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정밀 적용을 가능하게 한 지표면의 측지측량 관측시스템
US20220373419A1 (en) Device for measuring relative heights and inclination sensor
KR102305283B1 (ko)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502396B1 (ko) Gis를 기반으로 지형지물의 위치별 측량데이터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1494855B1 (ko) 레벨기를 활용한 정밀 수준점측량시스템
KR101318269B1 (ko) 기준점 및 수준점의 성과 비교를 통한 측량성과 업데이트용 관측시스템
KR101804933B1 (ko) 측량용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2309902B1 (ko)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하여 기준점 기반 지형지물 측지측량 작업이 가능한 측지측량시스템
KR102519452B1 (ko)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
KR101820122B1 (ko) 측지측량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 수평유지장치
KR102237893B1 (ko) 수준측량 정밀도를 향상시킨 측지측량용 토탈스테이션
KR101358458B1 (ko) 지표에 설치된 기준좌표점의 측지정보 확인을 위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1949725B1 (ko)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스타프장치
KR101919873B1 (ko) 수치지도 생성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310848B1 (ko) 경사면에서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지피에스 기반 정밀 측지측량시스템
KR101494852B1 (ko) 오차요인 확인을 통한 정밀성 향상 수준측량시스템
KR101210539B1 (ko) 지표면의 수준측량과 지형 간 거리를 측량하는 측지정보 확인시스템
KR102336835B1 (ko) 국가기준점을 이용하는 측량 작업의 정밀도를 현저히 향상시킨 측지측량시스템
KR101349395B1 (ko) 경사면에서의 안정된 설치가 용이한 지피에스 위치 정밀 측지측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