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283B1 -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283B1
KR102305283B1 KR1020210076628A KR20210076628A KR102305283B1 KR 102305283 B1 KR102305283 B1 KR 102305283B1 KR 1020210076628 A KR1020210076628 A KR 1020210076628A KR 20210076628 A KR20210076628 A KR 20210076628A KR 102305283 B1 KR102305283 B1 KR 102305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ghting
couple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근
정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국지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국지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국지에스
Priority to KR1020210076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PS수신부와 레이저발진기를 탑재한 측량장비 및 측량장비로 지하시설물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측량타깃을 포함하되, 상기 측량타깃은,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타깃하우징 및 타깃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안착되는 커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레이저와 지피에스가 통합된 무선통신 기반을 이용하여 측량시 거리오차를 없애도록 거리측정 기능을 이중화하여 편리하고 정확한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UNDERGROUND FACILITIES DETECTION SYSTEM FOR MEASURING LOC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IN REAL TIME}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및 생활, 문화 수준의 향상 등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지중에는 상하수도관이나 가스관, 전기 및 통신선로, 난방관, 송유관 등과 같은 수많은 지하시설물들이 급증하였으며, 지중에 매설되는 지하시설물의 관로 종류 또한 다양하게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하시설물들은 도시의 미관과 안전을 이유로 지하에 매설되고 있는데, 다양한 유형을 갖는 지하시설물의 보수 및 관리를 위해서는 지하시설물의 위치정보가 정확히 확인되어야 하고 기록에 의해 유지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상하수도 신규 매설 및 노후관 교체시 발생한 DB 갱신을 실측을 통하여 데이터의 최신성을 확보하고 있다. 여기서, 지하시설물의 실측이라 함은 공사가 완료되기 전 시공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에서 직접측량(이격거리 및 심도 측량)하는 것을 말한다.
지하시설물의 매설 깊이(심도) 측량을 위해서는 표척수가 굴착홈에 표척을 세우고, 기계수가 레벨기를 이용하여 심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표척은 통상적인 수준측량용 표척이 사용된다.
종래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은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를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다수의 측정 작업자가 요구되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에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되면 토사 등을 되메우기 전에, 측정 작업자 중 1명은 타깃을 지지한 채 서있고, 다른 측정 작업자는 지상에서 토털스테이션과 같은 공지, 공용의 측량장비를 이용해서 타깃의 위치를 확인한 후 해당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정 및 연산했다.
그러나 지하시설물의 위치 측정을 위한 용역 단가는 낮아지고 인건비는 오히려 증가하면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정하는 용역의뢰에 대한 기피현상이 발생했다. 하지만, 지하시설물의 위치측정결과는 지하시설물에 대한 원활한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자료로 쓰임은 물론 인접지역에 대한 토목 및 건축 시공시 중요한 기반자료로 활용되므로, 지하시설물의 위치 측정 작업은 도심기반 시설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업무이다.
또한, 지하시설물의 위치측정 결과는 해당 지하시설물에 대한 보호 및 관리는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지역에 대한 토목 및 건축 시공시 중요한 기반자료로서 활용되므로, 상기 위치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도와 정확도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지하시설물의 위치측정 작업을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1인 쉽게 측정할 수 있고, 나아가 그 측정 결과에 대한 정확도와 신뢰도를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이저와 지피에스가 통합된 무선통신 기반을 이용하여 측량시 거리오차를 없애도록 거리측정 기능을 이중화하여 편리하고 정확한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피에스를 통해 측량 지점의 좌표를 즉시 확인하여 지하시설물의 원점에 대한 위치인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GPS수신부와 레이저발진기를 탑재한 측량장비; 및 측량장비로 지하시설물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측량타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측량타깃은,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타깃하우징; 및 타깃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안착되는 커버체; 를 포함하고, 상기 타깃하우징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는 원통형상이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앙보스가 돌출되고, 중앙보스를 기준으로 그 외측 둘레에는 배터리와 컨트롤박스가 설치되며, 타깃하우징의 하부면 중앙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사각형상의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체의 하단면 중앙에는 중앙보스의 내부로 끼워지면서 나사결합되는 볼스크류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커버체의 내부에는 회동모터가 내장되고, 회동모터의 모터축은 볼스크류의 내부로 연장된 후 고정핀에 의해 볼스크류와 결속되며, 회동모터의 상측에는 커버체에 고정되는 밀폐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밀폐커버의 상부에는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수평조절부가 결합되고, 다수의 수평조절부의 상단에는 수평판이 결합되며, 수평판의 상부에는 공기완충부가 결합되고, 공기완충부의 상부에는 회전기구가 결합되며, 회전기구의 상부에는 카메라가 결합되고, 카메라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조명기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수평조절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하부조절부; 하부조절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간조절부; 및 중간조절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조절부, 중간조절부, 상부조절부의 중공에는 세로탄성부가 수용되며, 세로탄성부는 상부조절부의 내부면 끝단과 하부조절부의 내부면 끝단 사이를 연결하고, 상부조절부의 내부면 끝단에는 세로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고, 세로와이어의 타단은 하부조절부의 끝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하부조절부의 하단에는 인출된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세로인출부가 결합되고, 상기 세로인출부로부터 세로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상부조절부-중간조절부 순으로 높이조절부의 길이가 신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회전기구는, 카메라의 하단에 결합되어 카메라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 및 수평회전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회전부는, 카메라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 회전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에 수용되는 회전로드; 회전로드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 회전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 및 회전연장판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제어부는, 회전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단이 수용되는 제어케이스; 제어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어로드; 제어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멈춤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는 멈춤부; 멈춤부와 회전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제어스프링; 제어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의 삽입될 수 있는 방지부; 방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어이동부;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어이동케이스; 및 제어이동케이스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이 제어이동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제어손잡이;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조명기구는, 카메라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사각링 형태의 조명케이스; 조명케이스의 우측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소켓; 및 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케이스는 카메라의 상부측에 놓이는 제1조명케이스와 카메라의 하부측에 놓이는 제2조명케이스로 구분되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일측 사이는 조명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고,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타측에는 조명잠금장치가 장착되어 조명케이스를 카메라에 고정시키거나 카메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조명레일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다수의 조명레일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태양전지모듈의 일측면은 태양전지판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접촉되는 조명접촉면으로 형성되며, 조명접촉면에는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 사이는 원호 형상의 조명간격부가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무인 방식의 타깃을 사용하여 지상에서 자측정 작업 1인이 토털스테이션과 같은 측량장비를 통해 지하시설물에 대한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완충부를 이용하여 카메라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지하시설물 측량 작업의 정확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회전기구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수평 회전시킬 수 있고, 다수의 수평조절부를 이용하여 카메라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조명기구를 이용하여 야간에도 측량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의 측량타깃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의 측량장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장비를 구성하는 측량방식의 이중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타깃의 표면 모습을 일부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타깃의 실시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측량타깃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측량타깃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측량타깃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측량타깃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측량타깃의 실시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에 카메라가 더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공기완충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로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의 측량타깃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의 측량타깃(100a)은 지하에 매설되는 각종 지하시설물 등의 매설위치와 깊이 등을 현장에서 정확히 측정해서 이를 기록에 남길 수 있도록 하는 도구로, 상기 지하시설물에 부착되어서 토털스테이션과 같은 공지,공용의 측량장비(200)의 측량 대상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a)은 지하시설물의 매설깊이에 상관없이 지상에 위치한 측량장비(2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도록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량타깃(100a)은 지하시설물에 연결되는 고정자(110)와, 고정자(110)에 고정되는 힌지(120)와, 힌지(1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막대(130)로 구성된다.
막대(130)는 하단이 힌지(120)와 연결되는 관 형상의 모체(131)와, 모체(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탈하면서 막대(130)의 길이를 조정하는 자체(132)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둘 이상의 자체(132)를 모체(131)와 일렬로 연결시켜서, 막대(130)의 최장길이가 최단길이의 수 배에 이르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막대(130)에 통상적인 막대 안테나의 연결구조를 적용해서, 모체(131)로부터 자체(132)를 인출하는 형태로 막대(130)의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힌지(12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모체(131)의 하단에는 연직추(131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직추(131a)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해 뿔 형태로 돌출된 돌기로, 힌지(120)를 기준으로 막대(130)를 회동하는 과정에서 막대(130)의 하단이 지면의 어디를 향하는지를 자측정 작업자가 육안으로 가늠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연직추(131a)와 지면(또는 지하시설물의 일지점)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원거리가 아니므로, 자측정 작업자는 연직추(131a)의 방향을 개략적이면서 비교적 정확히 인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측량장비(200)에서 확인되는 측량타깃(100a)의 위치가 지하시설물의 어느 지점에 해당하는지를 추적할 수 있다.
계속해서, 막대(130)의 외면에는 눈금(미도시함)이 형성될 수 있다. 눈금은 자측정 작업자가 측량장비(200)의 조준점이 어디인지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기준으로 측량타깃(100a)이 가리키는 지하시설물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자(110)는 지하시설물의 일지점에 부착 고정되는 것으로, 일정한 자중을 가지면서 자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지하시설물은 금속재, 특히 자화 가능한 철재로 주로 제작된다.
이러한 지하시설물의 특성을 고려해서 고정자(110)를 자성 재질로 제작할 경우, 현장의 자측정 작업자는 측량타깃(100a)을 철재 지하시설물에 인접시키는 것만으로도 고정자(110)에 의한 측량타깃(100a)의 안정된 위치고정을 실현할 수 있고, 아울러 지하시설물에 부착한 측량타깃(100a)은 다른 자측정 작업자가 잡고 있지 않아도 바람과 같은 각종 자연력 등에 저항해 현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측량장비(200)를 조작하는 자측정 작업자 혼자서도 정확한 위치측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자(110)를 일정한 무게 이상이 되도록 제작해서, 부도체 재질의 지하시설물에서도 고정자(110)의 자중이 앵커 기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힌지(120)는 고정자(110)와 막대(130)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수단으로, 고정자(110)와는 회전축(122)을 매개로 고정되고, 막대(130)와는 고정수단(121)을 매개로 고정된다.
이때, 회전축(122)은 고정자(110)와 회전가능하게 맞물려서, 힌지(120)가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고정자(110)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고정수단(121)은 고정자(110)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ㄷ' 형상 프레임(123)과 막대(130)를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는 볼트(121a)와, 프레임(123)이 막대(130)를 감싸 조여서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압하는 너트(121b)로 구성된다.
따라서, 자측정 작업자는 현장 상황에 따라 막대(130)의 위치를 조정한 후, 너트(121b)가 볼트(121a)를 따라 이동하도록 너트(121b)를 조이거나 풀어서, 위치가 조정된 막대(130)의 현 위치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120)는 자측정 작업자가 현장에서 막대(130)의 수직 상태를 맞추기 위해 고정자(110)를 기준으로 막대(130)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맞추어진 막대(130)의 수직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즉, 자측정 작업자는 너트(121b)의 조임을 해제한 상태에서 막대(130)를 회동시켜 그 수직 상태를 맞춘 후 너트(121b)를 다시 조여서 힌지(120)가 막대(130)를 감싸쥐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막대(130)의 수직 상태 확인은 공지,공용의 기포관(미도시함)을 통해 이룰 수 있다.
참고로, 기포관은 기포의 움직임을 확인해서, 기포관이 설치된 대상물의 수평상태를 자측정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로, 막대(130)의 최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자측정 작업자는 지상(도 5 참조)에서 막대(130)의 최상단에 배치된 기포관의 기포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막대(130)를 회동시켜서, 상기 막대(130)를 수직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의 측량장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장비를 구성하는 측량방식의 이중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상기 측량장비(200)는 각도와 거리를 함께 측정할 수 있는 공지,공용의 토털스테이션으로, 전자식 세오돌라이트(electronic theodolite)와 광파측거기(EDM: electro-optical instruments)가 하나의 기기로 통합되어 있어서, 측정한 자료를 빠르게 처리해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식 측거ㆍ측각기이다.
종류에는 광파측거기에 측각기능을 부가한 광파측거기 주체형과, 광학식 세오돌라이트에 광파측거기를 부착한 광학식 세오돌라이트 주체형과, 전자식 세오돌라이트에 광파측거기를 부착한 전자식 세오돌라이트 주체형 등이 있다.
측량장비(200)는 안정된 지지를 위한 삼발이(210)와, 삼발이(210)에 지지 고정되는 본체(220)로 구성된다.
이때, 본체(220)는 광파측거기(221)와, 광파측거기(221)의 상하 이동으로 생기는 연직각을 측정하는 연직각 검출부(미인출함)와, 본체(220)의 좌우 회전으로 생기는 수평각을 측정하는 수평각 검출부(미인출함)와, 본체(220)의 수평을 측정하고 보정하는 틸팅 센서(미인출함) 4가지 구조로 되어 있다.
초기에는 수평거리와 고저차의 변환은 나중에 별도로 계산하는 방식이었으나 전자기술의 발달로 광파측거기(221)에 계산 기능이 내장되고, 상기 연직각 및 수평각 측정을 위한 상기 검출부가 점차 소형화ㆍ경량화되면서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거리측정 기능의 이중화 기술과, 지피에스 측정 기술을 더 접목하여 측량시 거리 측정오차를 없애고, 지하시설물의 좌표를 지피에스로부터 즉시 확인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확성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본 발명은 본체(220)에 구비된 광파측거기(221) 외에 별도로 레이저발진기(2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레이저발진기(230)는 레이저빔을 조사한 후 반사판(130b)을 통해 되돌아오는 레이저빔의 시간차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유닛으로서 공지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이저발진기(230)로부터 방출된 빔을 조사받은 후 반사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반사판(130b)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반사판(130b)은 일종의 거울로서, 상기 막대(130) 상의 특정 지점에 설치되거나, 후술되는 도 9의 제5실시예의 경우에는 타깃하우징(310)의 둘레면 중 대응되는 일지점에 설치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파측거기(221)와 재귀반사체(130a)의 조합을 통한 1차 거리측정값과, 레이저 거리측정기(230)와 반사판(130b)의 조합을 통한 2차 거리측정값을 함께 취득한 후 이들 값의 차를 확인하여 거리 오차를 없애도록 함으로써 거리측량에 있어 측량기술의 이중화를 통해 더욱 더 정확한 거리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이와 같이 거리오차를 줄여야 하는 이유는 측량시 미소한 각도 오차만으로도 실제상에서는 현저한 거리 오차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며, 이것이 지도상에 표시될 때에는 더욱 더 그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거리 측정기술의 이중화를 위해, 본체(220)에 구성된 측량장비제어부(240)에는 비교연산부(242)와, 메모리(244)가 더 구비된다.
상기 비교연산부(243)는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기(230)가 계측한 거리값과, 상기 광파측거기(221)가 계측한 거리값을 비교판독하여 오차 여부를 확인하고, 측정값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계측값의 오차 범위는 ±1/10000mm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비교연산부(243)는 비교 연산시, 각 계측값들을 메모리(244)에 저장한 후 입출력하여 비교 연산시 활용하게 되며, 연산된 값은 다시 메모리(244)에 저장되고, 입,출력부(250)를 통해 출력되어 측량장비(200)의 본체(22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로 표시된다.
이를 위해, 상기 측량장비제어부(240)에는 입,출력부(250)가 더 연결되며, 상기 입,출력부(250)는 설정 등을 위한 입력시 또는 계측데이터, 산술연산값 등을 출력할 때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측량장비제어부(240)에는 현지조사 확인을 위한 조사확인부(260)가 별도의 버튼 형태로 입,출력부(250)와 별개로 할당되어 있어, 측량시 산출값들과 위치 확인이 완료된 후 측량기사가 상기 조사확인부(260)를 통해 완료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측량장비제어부(240)는 계측작업을 완료하고, 후술되는 지피에스에 의한 좌표값과 함께 최종 계측값을 무선통신부(270)를 통해 원격지서버(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현지조사 확인까지 종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원격지서버는 메인측량서버로서, 관리회사나 국가기관 혹은 지자체 기관 등에서 구축된 서버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무선통신부(270)는 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며, 상기 원격지서버와 무선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량장비제어부(240)와 연결 제어된다.
또한, 상기 측량장비제어부(240)에는 지피에스수신부(246)와 좌표연산부(248)가 더 연결된다.
상기 지피에스수신부(246)는 위성을 통해 지피에스(GPS)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는 측량장비제어부(240)와 좌표연산부(248) 및 메모리(244)의 조합을 통해 측량장비(200)인 본체(220)의 좌표로부터 타깃이 설치된 위치, 다시 말해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좌표값으로 정확하게 산출한다.
이때, 앞서 취득한 거리측정값이 활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거리 측정오차를 없앰으로써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타깃의 표면 모습을 일부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a)의 표면에는 재귀반사를 위한 필름형태의 재귀반사체(130a)가 포장된다.
재귀반사란, 광원으로부터 온 빛이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광원으로 돌아가는 현상을 뜻하는 것으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각도에 상관없이 재귀반사체(130a)는 해당 빛을 광원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물리적 성질을 갖는다.
재귀반사체(130a)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외면이 곡면 또는 3면체의 절곡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요철을 이루고, 3면체의 절곡면 형태가 적용될 경우엔 도 3의 원 안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모습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타깃의 실시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지하시설물(10)의 매설을 위해 절개지(30)에 매설 대상이 되는 지하시설물(10)을 설치한 후 절개지(30)를 다시 매립하기 전, 자측정 작업자는 지하시설물(1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a)을 해당 지하시설물(1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지하시설물(10)이 자화 가능한 금속성 재질일 경우, 측량타깃(100a)에 구성된 자성을 갖는 고정자(110)는 자력으로 측량타깃(100a)과 지하시설물(10)을 상호 연결 및 고정해서, 측량타깃(100a)이 쓰러짐 없이 지하시설물(10)에 안정적으로 입설 배치되도록 한다.
한편, 절개지(30)에는 해당 지하시설물(10) 외에도 다른 지하시설물(20)이 함께 매설될 수 있고, 다른 지하시설물(20)의 매설 위치가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지하시설물(10)의 바로 위쪽을 가리는 위치일 수도 있다.
따라서, 지하시설물(10, 20)의 배치 모습이 도시한 바와 같을 경우엔, 하부에 위치한 해당 지하시설물(10)의 위치 측정은 곧은 막대 형상의 측량타깃으로는 곤란함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a)은 힌지(120)를 매개로 회동가능한 구조를 이루므로, 상부에 위치한 지하시설물(20)을 회피해서 측량타깃(100a)의 막대(130)를 곧게 입설시킬 수 있고, 지상에서는 자측정 작업자가 절개지(30)로부터 곧게 인출된 측량타깃(100a)의 막대(130)를 측량장비(200)를 이용해 감지해서 하부에 위치한 해당 지하시설물(10)의 실제 매설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막대(130)는 힌지(120)를 매개로 고정자(110)와 회동 가능하게 되므로, 측량타깃(100a)의 고정자(110)가 안착되는 지하시설물(10)의 외면이 경사지거나 평면이 아닌 굴곡면이더라도, 고정자(110)를 기초로 입설되는 막대(130)가 항시 곧게 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심지의 지하시설물(10, 20)은 상하수관은 물론 각종 통신라인 및 지중전선 라인 등이 상호 인접 매설되므로, 이웃하는 다른 지하시설물(10, 20)에 의해 그 위치에 대한 확인이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a)은 이웃하는 다른 지하시설물(10, 20)의 간섭을 회피해 해당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확한 위치확인을 할 수 있도록 되므로, 도심지의 지하시설물에 대한 위치 정보 데이터 구축작업을 정확하면서도 비교적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측량타깃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인 측량타깃(100b)은 지지수단(140)을 더 포함한다. 지지수단(140)은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시설물(10)의 외형에 상응하는 형상을 한 클립(141)과, 클립(141)의 일 지점에 설치되어서 측량타깃(100b)의 고정자(110)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커(142)로 구성된다.
클립(141)은 일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어서,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에 의해 지하시설물(10)의 둘레를 강제로 감싸면서 상기 지하시설물(1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벨트와 같은 가요성 재질로 제작되고 말단에는 공지,공용의 버클(미도시함) 또는 벨크로 테입(미도시함)과 같은 결속수단이 설치되어서, 이를 매개로 지하시설물(10)의 둘레를 감싸듯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상기 결속수단을 매개로 클립(141)의 양단을 서로 고정하는 실시예가 적용될 경우엔, 클립(141)의 길이를 지하시설물(10)의 둘레를 감쌀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제작하거나, 고무줄과 같이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링커(142)는 클립(141)의 일 지점에 고정 배치되어서, 막대(130)의 하단에 위치되는 고정자(110)와 탈부착하는 것으로, 고정자(110)는 자력을 발하므로, 이에 상응해서 링커(142)는 자력에 반응해 부착되는 재질로 제작된다.
결국, 자측정 작업자는 막대(130)와는 분리된 지지수단(140)을 지하시설물(10)에 감싸서 우선 고정한 후, 지지수단(140)의 링커(142)에 고정자(110)를 부착시켜서, 막대(130)가 링커(142) 및 고정자(110)를 기초로 입설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측량타깃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측량타깃(100c)은 입면체 형상의 구조물로, 외면에는 재귀반사체가 포장됨은 물론 측량장비(200)의 조준을 위한 조준점(101)이 표시된다.
한편, 도 7의 (a)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인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량타깃(100c)에는 자성을 갖는 고정자(110')가 내설되어서, 이 고정자(110')를 매개로 지하시설물(10)에 안정하게 고정된다.
즉, 자측정 작업자가 위치 측량 대상이 되는 지하시설물(10)의 해당 위치에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인 측량타깃(100c)을 올려놓으면, 측량타깃(100c)에 내설된 고정자(110')는 자력에 의해서 해당 지하시설물(10)에 부착돼 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자측정 작업자는 지상으로 이동해서 측량장비(200)의 광파측거기(221)를 측량타깃(100c)의 조준점(101)에 조준시킨 후 광파를 발사하면, 상기 광파는 측량타깃(100c)의 조준점(101)에 명중한 후 재귀반사체에 의해 반사되어서 측량장비(200)로 수신된다.
참고로, 측량장비(200)는 광파의 발신 및 수신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처리해서, 해당 지하시설물(1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c)은 지하시설물(10) 상에 안착해서 고정할 수 있는 입면체라면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을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체 형상을 이루는 것이 좋을 것이다.
사면체는 삼각형의 측면을 갖는 입면체로서, 뿔 형상을 이루므로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측량장비(200)가 측면에 표시된 조준점(101)을 상방에서 효과적으로 감지 및 조준할 수 있고,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측면의 면적이 동일한 체적을 갖는 입면체 중에서는 가장 넓으므로, 측량장비(200)를 통한 측량시 측량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측량타깃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측량타깃(100d)은 반구 형상을 한 입체물로, 지하시설물(10)과의 결속을 위해 고정자(110')를 구비함은 제3실시예로 제시된 측량타깃(100c)과 동일하다.
반구 형상의 측량타깃(100d)은 상방의 어느 방향에서도 정면을 향하므로, 측량장비(200)는 다양한 방향에서 정반사되는 광파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측량장비(200)는 측량타깃(100d)이 위치한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수집해 기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측량타깃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측량타깃의 실시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측량타깃(100e)은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타깃하우징(31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타깃하우징(310)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는 동일형상이지만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중앙보스(312)가 돌출된다. 특히, 상기 중앙보스(31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타깃하우징(310)의 상단에는 둘레를 따라 안쪽 모서리 부분이 'ㄴ' 형상으로 절삭되어 단차면(314)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단차면(314)을 형성하는 이유는 후술될 커버체(320)가 안정적으로 안착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중앙보스(312)의 돌출높이는 상기 단차면(310)과 동일선상을 유지하면 된다.
또한, 상기 중앙보스(312)를 기준으로 그 외측 둘레에는 상기 타깃하우징(310)의 바닥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배터리(330)와 컨트롤박스(340)를 더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타깃하우징(310)의 하부면 중앙에는 하방향으로 고정돌기(350)가 돌출되는데, 상기 고정돌기(350)의 하단면에는 하우징접속단자(352)가 돔스위치 형태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접속단자(352)는 상기 컨트롤박스(340)와 연결되어 제어되며, 컨트롤박스(340)의 구동전류는 상기 배터리(330)를 통해 얻는다.
한편, 상기 커버체(320)는 상단면이 돔형상을 이루고 하단면 중앙에는 상기 중앙보스(312)의 내부로 끼워지면서 나사결합되는 볼스크류(32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볼스크류(322)의 길이 내부에는 축설치홈(324)이 일정길이 형성되고, 상기 축설치홈(324)의 상단은 상기 커버체(320)에 형성된 모터고정홈(326)과 연통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축설치홈(324)의 길이 일부에는 이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볼스크류(322)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하여 축설치홈(324)과 연통되는 핀고정공(328)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고정홈(326)에는 회동모터(M)가 삽입 고정되고, 회동모터(M)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축(MS)은 상기 축설치홈(324) 속에 끼워지며, 모터축(MS)의 길이 일부에는 직교되게 관통된 핀홀(PH)이 형성되어 상기 핀고정공(328)과 일치된 상태에서 고정핀(360)으로 끼워 고정됨으로써 상기 모터축(MS)이 상기 볼스크류(322)와 일체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모터(M)도 상기 모터고정홈(326) 내부에 견고히 고정되어 상기 커버체(320)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회동모터(M)의 상부에는 판상의 스페이서(SP)가 안착되고, 상기 스페이서(SP)의 상부에는 모터배터리(BT)가 안착되며, 상기 모터배터리(BT)는 밀폐커버(37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밀폐커버(370)는 그 둘레가 상기 커버체(320)의 상면에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면, 상기 회동모터(M)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커버체(320)의 볼스크류(322)는 모터축(MS)과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결국 커버체(320)가 전체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중앙보스(312)을 타고 상승하거나 혹은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중앙보스(312)의 상단부 둘레 일부에는 제1검출센서(SS1)가 매립되고, 상기 볼스크류(322)의 하단부 둘레 일부에는 제2검출센서(SS2)가 매립되어 상호 감지시 회동모터(M)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커버체(320)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2검출센서(SS1,SS2)는 근접센서가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의 예시와 같이, 지하시설물(10)의 직상방에는 사각판상의 지지판(400)이 표면만 노출된 상태로 매립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400)의 상면 중앙에는 사각홈을 갖는 사각고정구(410)가 돌출되고, 상기 사각고정구(410)의 바닥면에는 돔형상의 지지판 단자(412)가 설치되며, 상기 사각고정구(410)에는 사각단면을 갖는 상기 고정돌기(350)가 삽입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판 단자(412)는 상기 지지판(400)에 내장된 제어기(414)와 연결되는데, 상기 제어기(414)는 매립된 지하시설물(10)의 종류, 깊이, 좌표, 매립년월일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 정보는 지지판(400) 설치시 입력하도록 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판(400)의 하단면은 유실방지와이어(WW)에 의해 지하시설물(10)과 결속되는데, 이를 통해 지각 변동에 의해 지지판(400)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여 지하시설물(10)에 관한 정보를 안전하게 확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측량타깃(100e)을 교체 사용하거나 회수, 재설치 등이 자유롭고, 타깃하우징(310)을 지지판(400)에 꽂게 되면 하우징접속단자(352)가 지지판 단자(412)와 접속되면서 지지판(400)이 가지고 있던 지하시설물(10)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시켜 타깃하우징(310) 상의 정보를 업데이트시키게 된다.
때문에, 타깃하우징(310)이 신품으로 제작되어 새로 설치되더라도 설치되는 순간 지하시설물(10)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측량시 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커버체(320)의 외표면에는 좌표 정보를 확인하거나 보정할 수 있도록 위성과 통신가능한 GPS수신기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타깃하우징(310)의 둘레면은 앞서 설명한 재귀반사체(130a)로 형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에 카메라가 더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커버(370)의 상부에는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수평조절부(600)가 결합되고, 다수의 수평조절부(600)의 상단에는 수평판(680)이 결합되며, 수평판(680)의 상부에는 공기완충부(700)가 결합되고, 공기완충부(700)의 상부에는 회전기구(500)가 결합되며, 회전기구(500)의 상부에는 카메라(CMR)가 결합되고, 카메라(CMR)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조명기구(800)가 결합된다.
상기 카메라(CMR)는 영상정보까지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측량 작업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게 되며, 공기완충부(700)는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카메라(CMR)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부(6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하부조절부(610), 하부조절부(6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간조절부(620) 및 중간조절부(62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조절부(63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조절부(610)는 상측에 위치하는 중간조절부(620)보다 굵게 형성되고, 중간조절부(620)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조절부(630)보다 굵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평조절부(600)는 3단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사한 방식으로 2단 또는 4단 이상으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부조절부(610)는 내부에 중공(6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조절부(610)의 상단 양측에는 케이스단부(612)가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하부조절부(610)의 내부면 하부 양측에는 반구형 케이스돌기(61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중간조절부(620)는 하부조절부(6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6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중간조절부(620)의 하단 양측에는 케이스단부(612)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제1외측하단부(621)가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고, 제1외측하단부(621)에 대향되도록 제1내측하단부(622)가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상기 중간조절부(620)의 상단 양측에는 제1세로단부(623)가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상기 상부조절부(630)는 중간조절부(62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6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조절부(630)의 하단 양측에는 제1세로단부(623)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제2세로단부(631)가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즉, 상기 중간조절부(620)의 제1외측하단부(621)는 하부조절부(610)의 케이스단부(612)에 접촉될 수 있고, 중간조절부(620)의 제1세로단부(623)는 상부조절부(630)의 제2세로단부(631)에 접촉될 수 있으며, 중간조절부(620)의 제1내측하단부(622)는 상부조절부(630)의 제2세로단부(631)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조절부(620)의 제1외측하단부(621)는 중간조절부(620)가 하부로 이동되었을 때 케이스돌기(613)를 타고 넘어 하부조절부(610)의 내부면 하단과 케이스돌기(613)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중간조절부(620)는 케이스돌기(613)를 타고 넘을 정도의 힘이 가해져야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하단부(621)의 좌우방향 길이는 케이스단부(612)의 좌우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내측하단부(622) 및 제1세로단부(623)의 좌우방향 길이는 제2세로단부(631)의 좌우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조절부(610), 중간조절부(620) 및 상부조절부(630)의 중공(611)에는 세로탄성부(640)가 수용된다. 상기 세로탄성부(640)는 상부조절부(630)의 내부면 상단과 하부조절부(610)의 내부면 하단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상부조절부(630)의 내부면 상단에는 세로와이어(650)가 결합된다. 세로와이어(650)는 일단이 상부조절부(630)의 내부면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조절부(610)의 하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하부조절부(610)의 하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 세로와이어(650)는 하부조절부(610)의 하단에 배치된 세로인출부(660)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조절부(610)의 하단에는 세로인출부(6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인출결합부(670)가 장착된다.
즉, 세로와이어(650)는 일단이 상부조절부(630)의 내부면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세로인출부(660)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세로인출부(660)에서 세로와이어(650)를 감으면 상부조절부(630)는 하부로 이동하고, 세로인출부(660)에서 세로와이어(650)를 풀면 상부조절부(630)는 상부로 이동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부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조절부(630)는 세로와이어(650)에 의해 당겨져 있으므로 세로탄성부(640)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하부로 이동되어 있고, 중간조절부(620)도 제1내측하단부(622)가 제2세로단부(631)에 접촉되어 하부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중간조절부(620)와 상부조절부(630)는 하부조절부(6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사용자가 세로인출부(660)에서 세로와이어(650)를 풀면, 상부조절부(630)가 세로탄성부(64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고, 상부조절부(630)는 하부조절부(610)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상기 중간조절부(620)의 제1외측하단부(621)는 하부조절부(610)의 내부면 하단과 케이스돌기(613)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우선 상부조절부(630)만 하부조절부(610)로부터 인출되고 중간조절부(620)는 하부조절부(61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상부조절부(630)가 상부로 더욱 이동하여 중간조절부(620)의 제1세로단부(623)와 상부조절부(630)의 제2세로단부(631)가 접촉되면, 중간조절부(620)에도 세로탄성부(640)의 탄성력이 가해지고, 중간조절부(620)의 제1외측하단부(621)가 케이스돌기(613)를 타고 넘으며 중간조절부(620)도 하부조절부(610)로부터 인출된다.
중간조절부(620)와 상부조절부(630)가 어느정도 인출되면, 사용자는 세로인출부(660)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세로인출부(660)로부터 세로와이어(650)가 풀림에 따라 하부조절부(610)로부터 상부조절부(630), 중간조절부(620) 순으로 표척(300)의 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량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세로와이어(650)가 세로인출부(660)에 감겨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간조절부(620) 또는 상부조절부(630)가 사용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공기완충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완충부(700)는 공기하우징(710), 공기유동부(720), 한 쌍의 공기개폐부(740), 공기링(730) 및 상부하우징(7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기완충부(700)는 수평판(680)의 상부에 결합되며, 수평판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공기하우징(710)에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공간(711)이 형성된다. 공기하우징(710)은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수평판(68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공기유동부(720)는 공기하우징(710)의 상부에 결합되며, 공기하우징(710)과 마찬가지로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다. 공기유동부(720)의 중앙에는 상하로 공기홀(721)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홀(721)을 통해 공기유동부(720)의 상부와 공기하우징(710)의 충진공간(711)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공기개폐부(740)는 공기홀(721)의 상단에 결합된다. 공기개폐부(740)는 탄성력을 지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공기유동부(720)의 상부면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된다.
즉, 공기개폐부(740)는 공기유동부(720)의 상부면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다. 공기개폐부(740)가 하부로 이동하였을 때 공기홀(721)의 상단은 폐쇄되고, 공기개폐부(740)가 상부로 이동하였을 때 공기홀(721)의 상단은 개방된다.
상기 공기개폐부(740)의 하부면 중앙에는 공기홀(721)의 상단 내측벽에 접촉되어 공기개폐부(7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접촉지지단부(741)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접촉지지단부(741)에 의해 공기개폐부(740)는 아래로 처지지 않고 공기홀(721)의 상단을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공기링(730)은 공기유동부(720)의 내부에 장착되며 공기홀(721)을 둘러싸도록 결합된다. 공기링(730)은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링 형태로 형성된다. 공기링(730)은 공기하우징(710)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하우징(750)은 공기유동부(7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부하우징(750)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751)이 형성되며, 이러한 통기공(75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수평판(680)으로부터 발생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공기하우징(710)은 진동하고, 전달된 진동에 의해 공기링(730)도 진동된다.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720)가 진동되어 공기개폐부(740)가 개방되며, 도시된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현한 것처럼 상부하우징(750)의 통기공(751), 공기홀(721) 및 충진공간(71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홀(721)과 공기개폐부(740)를 통해 충진공간(711)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감쇠력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수평판(680)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 고 주파수이면, 공기하우징(710)의 진동이 커지며 공기링(730)의 진동도 커지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720)가 크게 진동되어 공기개폐부(740)가 개방된다.
공기개폐부(740)가 개방되면, 상부하우징(750)의 통기공(751), 공기홀(721) 및 충진공간(71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고, 목표 주파수의 감도가 상향되어 진동이 감쇠된다.
수평판(680)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 저 주파수이면, 공기하우징(710)의 진동이 작아지며 공기링(730)의 진동도 작아지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720)의 진동도 작아져서 공기개폐부(740)가 폐쇄된다.
공기개폐부(740)가 폐쇄되면, 충진공간(711) 내부의 공기가 유동되지 못하고, 반공진대역 주파수의 감도가 상향되어 진동이 감쇠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회전로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구(500)는, 카메라(CMR)의 하단에 결합되어 카메라(CMR)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510) 및 수평회전부(510)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회전부(510)는, 카메라(CMR)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511), 회전케이스(511)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카메라(CMR)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511)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520)에 수용되는 회전로드(512), 회전로드(512)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513), 회전케이스(511)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513)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511a) 및 회전연장판(513)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511)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514)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로드(512)는 회전케이스(511) 및 다른 부품에 대해 상대적인 수평 회전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회전로드(512)의 상단에 결합된 카메라(CMR)도 수평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로드(512)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회전로드(512)의 측부에는 회전연장판(513)이 외측으로 링 형태로 돌출 연장된다. 회전연장판(513)은 회전걸림부(511a)에 접촉된다.
상기 다수의 회전볼(514)은 회전케이스(511)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512)가 수평 회전할 때 회전케이스(511)와 회전로드(512)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주어 회전로드(512)가 더욱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CMR)의 방향을 전환함에 있어서 카메라(CMR)를 결합하여 세운 상태에서 그대로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카메라(CMR)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른 측량 오차를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회전제어부(520)는 수평회전부(510)의 하단에 장착되며, 제어케이스(521), 제어로드(522), 멈춤부(523), 제어스프링(524), 방지부(525), 제어이동부(526), 제어이동케이스(527) 및 제어손잡이(5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케이스(52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회전케이스(511)의 하단에 결합된다. 제어케이스(521)의 상단에는 회전케이스(511)와 연통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이러한 홀을 통해 회전로드(512)의 하단이 제어케이스(5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로드(522)는 제이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512)와 직교하는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어로드(522)의 우측 단부에는 멈춤부(523)가 결합되고, 제어로드(522)의 좌측 단부에는 방지부(525)가 결합된다.
상기 멈춤부(523)는 납작한 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어로드(522)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회전로드(512)의 하부에는 다수의 멈춤홈(512a)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데, 멈춤부(523)는 이러한 멈춤홈(512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어로드(522)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멈춤부(523)는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에 삽입 수용되고, 제어로드(522)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멈춤부(523)는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멈춤부(523)가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에 삽입 수용되면, 회전로드(512)는 멈춤부(523)에 가로막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고정된다. 멈춤부(523)가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으로부터 이탈되면 회전로드(512)는 다시 수평 회전 가능하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에는 다수의 멈춤돌기(512b)가 돌출될 수 있다. 다수의 멈춤돌기(512b)는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멈춤홈(5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다수의 멈춤돌기(512b)는 마주보는 멈춤돌기(512b)끼리 소정의 높이 차이를 둘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수의 멈춤돌기(512b)는 깍지를 낀 손처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다수의 멈춤돌기(512b)는 멈춤부(523)가 회전로드(512)의 멈춤홈(512a)에 삽입되었을 때 멈춤부(523)가 멈춤홈(512a)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그 내부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스프링(524)은 멈춤부(523)와 회전케이스(511)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된다. 제어스프링(524)은 제어로드(522) 및 멈춤부(523)를 좌측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방지부(525)는 제어케이스(521)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521a)에 삽입될 수 있다. 제어로드(522)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방지부(525)는 방지홈(521a)에 삽입되고, 제어로드(522)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방지부(525)는 방지홈(521a)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방지부(525)의 외측면과 방지홈(521a)의 내측면은 톱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방지부(525)가 방지홈(521a)에 삽입되었을 때, 제어로드(522) 및 멈춤부(523)는 축 회전 및 상하전후 이동이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회전로드(512)의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이동부(526)는 방지부(525)의 좌측 단부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제어이동케이스(527)는 제어케이스(521)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526)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이동부(526)는 제어이동케이스(527)에 수용되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손잡이(528)는 제어이동케이스(527)의 상부에 결합된다. 제어손잡이(528)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어손잡이(528)의 하단은 제어이동부(526)의 상부면에 접촉된다.
사용자가 제어손잡이(528)를 잡고 아래로 힘을 가하면, 제어손잡이(528)의 하단부가 제어이동부(526)의 상부면에 접촉되면서 제어이동부(526)를 밀게되고, 이에 따라 제어이동부(526)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이동부(526)가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방지부(525)는 방지홈(521a)으로부터 이탈되고, 제어로드(522)는 제어스프링(524)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로드(522)가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멈춤부(523) 역시 멈춤홈(512a)으로부터 이탈되고, 회전로드(512) 및 그 상부에 결합된 카메라(CMR)는 멈춤부(523)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수평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카메라(CMR)의 수평 회전이 끝나면, 사용자는 제어손잡이(528)를 놓고, 제어스프링(524)의 탄성력에 따라 제어로드(522)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어로드(522)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멈춤부(523)가 멈춤홈(512a)에 삽입되어 회전로드(512)의 수평 회전이 제한된다. 이때, 방지부(525)는 방지홈(521a)에 삽입되며, 제어이동부(526)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어손잡이(528)를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기구(800)는, 카메라(CMR)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사각링 형태의 조명케이스(810), 조명케이스(810)의 우측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소켓(820) 및 조명케이스(810)의 상하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830)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소켓(820)에는 조명원이 삽입된다. 조명원은 조명소켓(820)에 돌려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조명소켓(8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조명케이스(81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케이스(810)는 다시 카메라(CMR)의 상부측에 놓이는 제1조명케이스(811)와 카메라(CMR)의 하부측에 놓이는 제2조명케이스(812)로 구분되며, 제1조명케이스(811)와 제2조명케이스(812)의 일측 사이는 조명핀(813)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다.
상기 제1조명케이스(811)와 제2조명케이스(812)의 타측에는 조명잠금장치(814)가 장착되어 조명케이스(810)를 카메라(CMR)에 고정시키거나 카메라(CMR)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조명기구(800)를 카메라(CMR)에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야간에도 손쉽게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측량 작업이 외진 곳에서 실시되어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조명케이스(811)와 제2조명케이스(812)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조명레일(815)이 종방향으로 형성된다. 다수의 조명레일(815)은 평행하게 배치되며, 단면이 'T'자 형태로 형성되어 태양전지모듈(830)이 다수의 조명레일(81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조명케이스(810) 외부에 삽입되는 태양전지모듈(830)의 수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태양에너지 수급 효율을 보일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모듈(830)은 다수의 조명레일(81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태양전지모듈(830)의 일측면은 태양전지판(831)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1조명케이스(811)와 제2조명케이스(812)의 상하면에 접촉되는 조명접촉면(832)으로 형성된다.
상기 태양전지판(831)은 조명기구(800)의 각 부품에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태양전지판(831)은 효율이 뛰어난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한 박막 태양전지 셀을 이용하며, 최대 전압은 11 내지 24V이고, 최대 전력은 80 내지 100W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접촉면(832)에는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833)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조명케이스(811)와 제2조명케이스(812)의 상하면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833) 사이는 원호 형상의 조명간격부(834)가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1조명케이스(811)와 제2조명케이스(812)의 외측면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태양전지모듈(830)의 조명접촉면(832)에는 태양전지모듈(830)을 조명케이스(810)에 결합시키는 자석접촉부(833)와 조명간격부(834)가 교대로 형성되며, 자석접촉부(833)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방열 효과가 뛰어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소켓(820)과 조명케이스(810)의 우측면 사이에는 열전도피막(822)이 형성된다. 상기 열전도피막(822)은 열 전도성이 뛰어난 소재로 이루어지며, 조명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조명케이스(810)로 전달하여 방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명소켓(820)은 좌측 단부의 접착제(821)를 통해 열전도피막(82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조명소켓(820)의 하부에는 리드선(823)이 연결되어 열전도피막(822)에 결합된다. 상기 열전도피막(822)의 우측면 일측에는 동박패턴(824)이 형성되어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명케이스(810)의 좌측면에는 추가로 방열판을 설치하여 방열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명원에서 발생된 열은 조명소켓(820)의 통해 조명케이스(810)로 바로 전달되는 방식, 리드선(823)을 통해 조명케이스(810)로 전달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방열되고, 그리고도 남아있는 열은 열전도피막(822)의 우측면에 결합된 동박패턴(824)을 통해 외기로 방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2가지 상이한 방식을 통해 신속하게 조명소켓(820)의 열을 방출하고, 남아있는 열은 동박패턴(824)을 통해 빠르게 방출하여 방열 효과를 극대회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e : 측량타깃 200 : 측량장비 210 : 삼발이
220 : 본체 230 : 레이저발진기 240 : 측량장비제어부
250 : 입,출력부 260 : 조사확인부 270 : 무선통신부
310 : 타깃하우징 320 : 커버체 330 : 배터리
340 : 컨트롤박스 350 : 고정돌기 360 : 고정핀
370 : 밀폐커버 400 : 지지판 410 : 사각고정구
500 : 회전기구 510 : 수평회전부 511 : 회전케이스
511a : 회전걸림부 512 : 회전로드 512a : 멈춤홈
512b : 멈춤돌기 513 : 회전연장판 514 : 회전볼
520 : 회전제어부 521 : 제어케이스 521a : 방지홈
522 : 제어로드 523 : 멈춤부 524 : 제어스프링
525 : 방지부 526 : 제어이동부 527 : 제어이동케이스
528 : 제어손잡이 600 : 수평조절부 610 : 하부조절부
611 : 중공 612 : 케이스단부 613 : 케이스돌기
620 : 중간조절부 621 : 제1외측하단부 622 : 제1내측하단부
623 : 제1세로단부 630 : 상부조절부 631 : 제2세로단부
640 : 세로탄성부 650 : 세로와이어 660 : 세로인출부
670 : 인출결합부 680 : 수평판 700 : 공기완충부
710 : 공기하우징 711 : 충진공간 720 : 공기유동부
721 : 공기홀 730 : 공기링 740 : 공기개폐부
741 : 접촉지지단부 750 : 상부하우징 751 : 통기공
800 : 조명기구 810 : 조명케이스 811 : 제1조명케이스
812 : 제2조명케이스 813 : 조명핀 814 : 조명잠금장치
815 : 조명레일 820 : 조명소켓 821 : 접착제
822 : 열전도피막 823 : 리드선 824 : 동박패턴
830 : 태양전지모듈 831 : 태양전지판 832 : 조명접촉면
833 : 자석접촉부 834 : 조명간격부

Claims (1)

  1. GPS수신부와 레이저발진기를 탑재한 측량장비; 및 측량장비로 지하시설물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측량타깃; 을 포함하되,
    상기 측량타깃은,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타깃하우징; 및 타깃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안착되는 커버체; 를 포함하고,
    상기 타깃하우징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는 원통형상이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앙보스가 돌출되고, 중앙보스를 기준으로 그 외측 둘레에는 배터리와 컨트롤박스가 설치되며, 타깃하우징의 하부면 중앙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사각형상의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체의 하단면 중앙에는 중앙보스의 내부로 끼워지면서 나사결합되는 볼스크류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커버체의 내부에는 회동모터가 내장되고, 회동모터의 모터축은 볼스크류의 내부로 연장된 후 고정핀에 의해 볼스크류와 결속되며, 회동모터의 상측에는 커버체에 고정되는 밀폐커버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밀폐커버의 상부에는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수평조절부가 결합되고, 다수의 수평조절부의 상단에는 수평판이 결합되며, 수평판의 상부에는 공기완충부가 결합되고, 공기완충부의 상부에는 회전기구가 결합되며, 회전기구의 상부에는 카메라가 결합되고, 카메라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조명기구가 결합되며,
    상기 수평조절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하부조절부; 하부조절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간조절부; 및 중간조절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상부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조절부, 중간조절부, 상부조절부의 중공에는 세로탄성부가 수용되며, 세로탄성부는 상부조절부의 내부면 끝단과 하부조절부의 내부면 끝단 사이를 연결하고, 상부조절부의 내부면 끝단에는 세로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고, 세로와이어의 타단은 하부조절부의 끝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하부조절부의 하단에는 인출된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세로인출부가 결합되고,
    상기 세로인출부로부터 세로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상부조절부-중간조절부 순으로 수평조절부의 길이가 신장되며,
    상기 회전기구는,
    카메라의 하단에 결합되어 카메라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 및 수평회전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회전부는,
    카메라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 회전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높이조절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에 수용되는 회전로드; 회전로드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 회전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 및 회전연장판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제어부는,
    회전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단이 수용되는 제어케이스; 제어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어로드; 제어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며 회전로드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멈춤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는 멈춤부; 멈춤부와 회전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는 제어스프링; 제어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의 삽입될 수 있는 방지부; 방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어이동부; 제어케이스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어이동케이스; 및 제어이동케이스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이 제어이동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제어손잡이; 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기구는,
    카메라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사각링 형태의 조명케이스; 조명케이스의 우측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소켓; 및 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케이스는 카메라의 상부측에 놓이는 제1조명케이스와 카메라의 하부측에 놓이는 제2조명케이스로 구분되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일측 사이는 조명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고,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타측에는 조명잠금장치가 장착되어 조명케이스를 카메라에 고정시키거나 카메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조명레일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다수의 조명레일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태양전지모듈의 일측면은 태양전지판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접촉되는 조명접촉면으로 형성되며, 조명접촉면에는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 사이는 원호 형상의 조명간격부가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0210076628A 2021-06-14 2021-06-14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305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628A KR102305283B1 (ko) 2021-06-14 2021-06-14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628A KR102305283B1 (ko) 2021-06-14 2021-06-14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283B1 true KR102305283B1 (ko) 2021-09-27

Family

ID=7792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628A KR102305283B1 (ko) 2021-06-14 2021-06-14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2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1922A (zh) * 2022-09-01 2022-12-09 江苏泽隆自动化工程有限公司 一种水文流量信息智能监测机构
CN117330028A (zh) * 2023-12-01 2024-01-02 深圳市瑞芬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检开关量输出倾角测量传感器
KR102635162B1 (ko) * 2023-07-31 2024-02-08 (주)국토공간정보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635219B1 (ko) * 2023-08-07 2024-02-08 (주)신일지리정보 Gnss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619B1 (ko) * 2012-10-30 2013-03-11 (주)디에스정보기술 지상 및 지하시설물의 위치정보를 기록하는 지아이에스의 실시간 갱신시스템
KR101875879B1 (ko) * 2018-01-22 2018-07-06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지하시설물 실시간 위치 측량장치
KR102200901B1 (ko) * 2020-10-19 2021-01-11 주식회사 미추홀공간지적 지하시설물의 실시간 위치측정을 위한 측량 타깃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619B1 (ko) * 2012-10-30 2013-03-11 (주)디에스정보기술 지상 및 지하시설물의 위치정보를 기록하는 지아이에스의 실시간 갱신시스템
KR101875879B1 (ko) * 2018-01-22 2018-07-06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지하시설물 실시간 위치 측량장치
KR102200901B1 (ko) * 2020-10-19 2021-01-11 주식회사 미추홀공간지적 지하시설물의 실시간 위치측정을 위한 측량 타깃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1922A (zh) * 2022-09-01 2022-12-09 江苏泽隆自动化工程有限公司 一种水文流量信息智能监测机构
KR102635162B1 (ko) * 2023-07-31 2024-02-08 (주)국토공간정보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635219B1 (ko) * 2023-08-07 2024-02-08 (주)신일지리정보 Gnss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CN117330028A (zh) * 2023-12-01 2024-01-02 深圳市瑞芬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检开关量输出倾角测量传感器
CN117330028B (zh) * 2023-12-01 2024-02-09 深圳市瑞芬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检开关量输出倾角测量传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283B1 (ko)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US9858712B2 (en)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navigating and/or mapping any multi-dimensional space
KR100954221B1 (ko) 항공영상정보와 지피에스 기준점을 이용한 수치지도작성용 수치정보확인시스템
US20050057745A1 (en) Measurement methods and apparatus
KR102477382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처리시스템
WO2019197064A1 (en) Construction machine guidance system
KR101318269B1 (ko) 기준점 및 수준점의 성과 비교를 통한 측량성과 업데이트용 관측시스템
KR101318257B1 (ko)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통합기준점 및 수준점의 성과 수집장치
KR101531025B1 (ko) 측지측량 시 삼각대 보호장치
KR102336835B1 (ko) 국가기준점을 이용하는 측량 작업의 정밀도를 현저히 향상시킨 측지측량시스템
KR101729616B1 (ko) 1인 측량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위치 측정 방법로 전신주와 지하시설물의 지도제작을 위한 측량장치
KR101349381B1 (ko) 지피에스(gps)를 이용한 상하수관 지하 매설물 관찰 시스템의 운용장치
KR101349256B1 (ko) 레이저 거리측정기와 지피에스가 통합된 무선통신 기반 상하수도 지하시설물 위치 실시간 확인과 현지 검증 시스템
KR102232145B1 (ko) 1인 측량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098015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기준표시 장치에 따른 측지측량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
KR101349384B1 (ko) 지형 기준점 설정에 따른 지피에스 좌표 합성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200901B1 (ko) 지하시설물의 실시간 위치측정을 위한 측량 타깃 시스템
KR101652291B1 (ko) 지도제작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지측량장치
KR101210520B1 (ko) 레이저 거리 측정기 및 지피에스가 통합된 무선통신 기반 지하시설물 측량 및 현지조사 시스템
KR101234348B1 (ko) 지하시설의 지도제작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 측지측량 시스템
KR101234344B1 (ko) 지리 참조된 영상정보와 지피에스 지상기준점 정보의 정밀해석을 통한 수치지도 위치오차 확인시스템
KR101349146B1 (ko) 위치정보와 촬영이미지 합성을 기반으로 한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처리 시스템
KR101189793B1 (ko)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기준점기반 지형지물의 측지측량 처리시스템
KR102635219B1 (ko) Gnss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1209287B1 (ko) 기준점의 편차 확인을 위한 지피에스 위치계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