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452B1 -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 - Google Patents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452B1
KR102519452B1 KR1020220133238A KR20220133238A KR102519452B1 KR 102519452 B1 KR102519452 B1 KR 102519452B1 KR 1020220133238 A KR1020220133238 A KR 1020220133238A KR 20220133238 A KR20220133238 A KR 20220133238A KR 102519452 B1 KR102519452 B1 KR 102519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ed
geodetic
connecto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환
Original Assignee
(주)지오투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투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지오투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22013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아 현재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연산하여 GNSS보정값을 무선송출하는 기준국, 기준국으로부터 GNSS보정값을 수신하는 측지장치 및 측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측지정보의 변화를 확인하는 측지정보확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수준 및 지형 간 거리를 측량할 수 있는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GEODETIC SURVEYING SYSTEM FOR PRECISELY OBSERVING SURVEY DATA BASED ON GIS}
본 발명은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가 등 공공기관에서 발주하는 공공측량, 지하시설물 측량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측지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표척과 레벨기, 토털스테이션 등의 측량장치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차를 구하는 측량으로 그 정확도는 2급 수준 측량의 경우 5mm * S/2 (여기서, S는 편도거리로서 단위는 km 이다) 이내로 규정하고 있을 정도로 세밀한 측량이 요구된다.
이러한 토탈스테이션(Total Station)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전자식 세오돌라이트(Electronic Theodolite)와 광파측거기(EDM:Electro-Optical Instruments)가 하나의 기기로 통합되어 있는 것이다.
토탈스테이션(Total Station)의 구조 크게 4가지로 구분되는데, 망원경의 상하 이동으로 생기는 연직각을 측정하는 연직각 검출부와, 본체의 좌우 회전으로 생기는 수평각을 측정하는 수평각 검출부, 본체의 중심부에서 프리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본체의 수평을 측정하고 보정하는 틸링 센서로 되어 있으며, 측정한 자료를 거리를 단시간 내에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전자식 측거·측각기이다.
토탈스테이션을 통해 측지 측량할 시, 일정 기준을 통해 정해진 기준점의 좌표가 정확한지 기준 측량을 통해 확인하고, 이러한 기준점을 기반으로 지형 간 거리 또는 지표면의 고저를 측량하여, 정확한 좌표가 확인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시스템이 없어, 수준점에 변화가 생겼을 경우, 이를 신속하면서도 올바르게 보정 하기가 어려웠으며, 이로 인해 정확한 측지데이터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측지시스템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측지측량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다 개선된 토탈스테이션 장치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편리하게 수준 및 지형 간 거리를 측량할 수 있는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측정방향을 바꾸더라도 작업자는 계속적으로 강한 빛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한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아 현재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연산하여 GNSS보정값을 무선송출하는 기준국; 기준국으로부터 GNSS보정값을 수신하는 측지장치; 및 측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측지정보의 변화를 확인하는 측지정보확인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측지장치는, 다수의 지지다리를 구비하는 설치체; 설치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수단; 이동수단의 상부에 장착되는 진동흡수부; 진동흡수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기초대; 기초대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토탈지지대; 기초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토탈지지대의 측면에 연결되어 토탈지지대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승강회전부; 토탈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토탈스테이션; 토탈스테이션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모듈연결부; 모듈연결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멀티홀을 구비한 조절체; 및 조절체에 결합되는 차광기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차광부는, 조절체의 멀티홀에 맞대어져 연통되는 고정홀을 갖춘 지지체; 지지체에 상하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조절체의 멀티홀 및 지지체의 고정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체를 조절체에 고정하는 차광기구체결부재; 회전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중심축; 일단이 중심축에 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을 이루어 접히거나 펼쳐지는 다수의 부채살과, 다수의 부채살 간에 설치되어 빛을 차광하는 차광막을 갖춘 차광체; 및 멀티홀과 맞대어지는 체결홀을 갖추고서 지지체 및 회전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체의 하방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체와, 멀티홀 및 체결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동제한체를 조절체에 고정하는 이동제한체체결부재를 구비한 이동제한기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진동부는, 기초대의 하부에 형성된 기초다리의 내벽에 돌출 형성된 단턱; 단턱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 상부지지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지지구; 일단은 상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아 상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체; 일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받침부 내측 바닥면에 맞닿아 하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제2탄성체; 하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상측부는 하부지지구의 하방돌기에 결합되어 하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1중심지지부; 하측부는 하부지지구의 상방돌기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상부지지구에 결합되어 상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2중심지지부; 상부지지구와 받침부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에 마련되어 상부지지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 및 상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레일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제1중심지지부는, 받침부에 하측부가 나사 결합되며 제1홈이 마련된 하부조절바; 하부조절바의 상면부에 하측부가 지지되는 제1스프링; 및 상측부는 하방돌기에 마련된 제2홈에 나사 결합되고 하측부에는 제1스프링이 지지되는 상부 조절바;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조절바에는 제1돌기가 마련되어 하부지지구의 하강 시 제1돌기가 제1홈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제2중심지지부는, 상방돌기에 마련된 제3홈에 마련되는 제2스프링; 및 하측부는 제2스프링에 지지되고 상측부는 상부지지구에 마련된 제4홈에 나사 결합되는 중심바; 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바의 하측부는 제3홈에 슬라이딩 승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회전부는, 기초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승강회전본체;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되는 모터프레임;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는 좌우이동모터; 모터프레임에 이동되게 마련되며 좌우이동모터와 연결되어 토탈지지대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프레임; 좌우이동프레임에 마련되어 좌우이동프레임과 같이 이동되는 회전부회전모터; 회전부회전모터에 연결되어 토탈지지대의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며 토탈지지대의 측면에 결합되는 홀더프레임; 및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상하승강모터;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모듈부는, 일측부에 제1커넥터가 삽입되고 타측부에 제2커넥터가 삽입되는 커플러바디; 및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커플러바디의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록킹부는,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록킹바디; 및 복수의 록킹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이격시키는 스토퍼플랜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커플러바디의 내부에는 복수의 단턱부가 마련되며, 복수의 록킹바디는 제1두께부 및 제1두께부보다 두껍게 마련되는 제2두께부를 포함하고, 커플러바디의 회전 시 복수의 단턱부가 제2두께부를 회전시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록킹시키며, 커플러바디의 반대 방향 회전 시 록킹을 해제시키고, 제1커넥터에는 복수의 제1돌기가 이격 마련되고, 제2커넥터에는 복수의 제2돌기가 이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측지장치를 이용하여 수준 측량이 가능하며, 지형간 거리를 용이하게 측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량 작업자가 강한 빛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어, 작업환경이 우수하여 효율적인 측지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자가 측정방향을 바꾸더라도 작업자는 계속적으로 강한 빛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어, 작업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차광기구가 접이식이므로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장치에서 차광기구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장치에서 차광기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광기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심지지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회전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작동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장치에서 차광기구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지장치에서 차광기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광기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은 기준국(10)과, 측지장치(20) 및, 측지정보확인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국(10)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안테나(11a)를 갖추고서, 위성(G)로부터 위치값을 수신받는 GNSS수신기(11)와, GNSS수신기(11)로부터 전달받은 현재의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 연산하여 GNSS보정값을 출력하는 제어부(12)와, DGNSS안테나(13a)를 갖추고서, 제어부(12)로부터 GNSS보정값을 전달받아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DGNSS송신기(13)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기준국(10)의 제어부(12)를 통해 연산된 GNSS보정 값(즉 위치 값)은 DGNSS송신기(13)로 전달되고, DGNSS송신기(13)와 연결된 DGNSS안테나(13a)를 통해 이후에 설명된 토탈스테이션(110)의 DGNSS안테나로 무선송출하게 된다.
상기 측지장치(20)는 다수의 지지다리(212)를 구비하는 설치체(210), 설치체(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수단(600), 이동수단(600)의 상부에 장착되는 진동흡수부(700), 진동흡수부(7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기초대(300), 기초대(30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토탈지지대(310), 기초대(300)의 상부에 결합되며 토탈지지대(310)의 측면에 연결되어 토탈지지대(310)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승강회전부(500), 토탈지지대(310)의 상부에 결합되는 토탈스테이션(110), 토탈스테이션(1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모듈연결부(400), 모듈연결부(4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멀티홀(221)을 구비한 조절체(220) 및 조절체(220)에 결합되는 차광기구(230)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체(210)는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체(211), 고정체(211)에 설치되어 고정체(211)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다리(21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체(211)는 원판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다리(212)는 4개가 구비되어 안정적으로 고정체(211)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체(220)는, 측방으로 관통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멀티홀(221)을 갖추고서, 토탈스테이션(110)의 상부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체(220)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각바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상기 차광기구(230)는 지지체(231)와, 회전체(232)와, 차광기구체결부재(233)와, 중심축(235)과, 차광체(234) 및, 이동제한기구(236)를 갖춘다.
상기 지지체(231)는 조절체(220)의 멀티홀(221)에 맞대어져 연통되는 고정홀(231a)을 갖추고서, 조절체(2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체(232)는 별도의 회전축(미인출)를 매개로 지지체(231)에 상하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차광기구체결부재(233)는 조절체(220)의 멀티홀(221) 및 지지체(231)의 고정홀(23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체(221)를 조절체(232)에 고정한다. 이때 차광기구체결부재(232)는 나사산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축(235)은 회전체(23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차광체(234)는 일단이 중심축(235)에 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을 이루어 접히거나 펼쳐지는 다수의 부채살(234a)과, 다수의 부채살(234a) 간에 설치되어 빛을 차광하는 차광막(234b)을 갖춘다. 이때 차광막(234b)은 부채살(234a)의 이동에 따라 용이하게 펴지거나 접히기 위해 접는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질은 천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기구(236)는 멀티홀(221)과 맞대어지는 체결홀(236a1)을 갖추고서 지지체(231) 및 회전체(232)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체(232)의 하방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체(236a)와, 멀티홀(221) 및 체결홀(236a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동제한체(236a)를 조절체(220)에 고정하는 이동제한체체결부재(236b)를 갖춘다. 이때 이동제한체체결부재(236b)는 나사산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탈스테이션(110)은, 기준국(10)으로부터 GNSS보정 값과 위성(G)로부터 받은 GNSS 값을 연산하여, 자신의 정밀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정밀위치를 기준으로 측정점의 좌표를 연산처리하기 위해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를 정밀 측위하여 유,무선 송출한다.
이때 상기 토탈스테이션(110)은, DGNSS안테나(111a)를 갖추고서, 기준국(10)의 DGNSS송신기(13)로부터 GNSS보정 값을 수신받는 DGNSS수신기(111)와, GNSS안테나(112a)를 갖추고서, 위성(G)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는 GNSS수신기(112)와, 일측에 렌즈부를 갖추고서,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를 정밀측정할 수 있도록 된 측정장치부(113)와, DGNSS수신기(111)로부터 받은 GNSS보정 값을 이용하여 GNSS안테나(112a)의 정밀위치 연산을 통해 토탈스테이션(110)의 정밀위치를 확인하고, 측정장치부(113)로부터 측정된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를 입력받아 상기 정밀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연산처리하는 제어부(114)와, 제어부(114)로부터 연산된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측정 및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전달받아 유,무선으로 송출하는 데이터송신기(115)를 갖춘다.
한편 상기 토탈스테이션(110)은 측지 측량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측지정보확인장치(30)는 토탈스테이션(110)의 데이터송신기(115)로부터 수준측량 데이터 및 지형간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모듈(31)과, 수신모듈(31)로부터의 수준측량 데이터 및 지형간 거리 데이터를 통해 측지정보의 변화를 확인하는 측지정보확인모듈(32)을 갖춘다.
우선 작업자는 측지장치(20)를 수준점 또는 지형 간의 거리 측지를 필요로 하는 곳에 위치시킨 후, 측지가능하도록 셋팅한다. 이때 차광기구(230)는 펼쳐져 하부에 그늘이 형성되도록 한다.
측지장치(20)의 측정 셋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수준점 또는 지형 간의 거리를 측량하여 측지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측지정보는 데이터송신기(115)를 통해 송출되고, 측지정보확인장치(30)의 수신모듈(31)은 송출된 측지정보를 수신하여 측지정보확인모듈(32)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측지정보확인모듈(32)은 수준점의 측지정보가 기존의 측지정보와 동일한 지 확인하여 수준점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거나, 지형 간 거리가 기존의 거리와 동일한 지 확인하여 지형 간 거리의 변화 여부를 확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심지지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진동흡수부(700)는, 기초대(300)의 하부에 형성된 기초다리(320)의 내벽에 돌출형성된 단턱(710), 단턱(7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720), 상부지지구(720)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지지구(730), 일단은 상부지지구(720)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730)에 맞닿아 상부지지구(720)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체(740), 일단은 하부지지구(730)에 맞닿고 타단은 받침부(321) 내측 바닥면에 맞닿아 하부지지구(730)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탄성체(750) 및 상부지지구(720)와 하부지지구(730)와 받침부(321) 내측 바닥면에 구비된 흡수체(7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탄성체(740)의 내부 중심에 진동을 흡수하면서 소음을 흡수하는 제1진동소음흡수체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제2탄성체(750)의 내부 중심에도 진동을 흡수하면서 소음을 흡수하는 제2진동소음흡수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진동소음흡수체와 제2진동소음흡수체는 발포성고무, 우레탄, 발포성 우레탄, 스폰지, 솜, 다공성 섬유 뭉치 등의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턱(710)은 기초대(300)의 기초다리(320) 내벽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거나 환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기초다리(32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나사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초다리(320)의 외주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나사를 관통 결합시키고 관통되어 노출된 일단에 너트를 결합하여 이를 고정하고, 기초다리의 내측에 배치되는 나사의 부위에 상부지지구(720)의 상면이 맞닿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기초다리(320)의 내벽에 단턱(710)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금형 제작 및 제고 공정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지지구(720)는 상면이 기초다리(320)에 형성된 단턱(710)에 맞닿고 하방에 배치된 제1탄성체(740)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으로, 하면에 하방을 향해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제1탄성체(740)가 돌기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지지구(720)는 기초다리(320)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직경이 기초다리(320)의 내주면 직경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지지구(730)는 상부지지구(720)의 하방에 배치되어 제1탄성체(740)의 타단이 맞닿아 지지된 것으로, 상면이 기초다리(320)의 하단 개구부에 맞닿고 테두리가 받침부(321)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322)에 형성된 결합부(323)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지지구(730)는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상방돌기(731)가 형성되어 제1탄성체(740)가 상방돌기(731)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하방돌기(732)가 형성되어 제2탄성체(750)가 하방돌기(732)를 중심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하부지지구(730)는 제2탄성체(750)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제1탄성체(740)의 타단을 하방에서 지지해줌으로써 제1탄성체(740)가 상방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1탄성체(740)는 상부지지구(720)와 하부지지구(730)사이에 배치되어 상부지지구(720)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부지지구(720)의 하면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730)의 상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탄성체(740)는 외부 압력 및 충격에 의해 기초대(300)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기초대(300)의 기초다리(320)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힘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탄성복원력을 통해 복원되면서 기초대(300)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상기 제2탄성체(750)는 하부지지구(730)와 받침부(321)의 내측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지지구(730)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제1탄성체(740)와 함께 압축 및 복원되면서 외부 압력 및 충격을 상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탄성체(750)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부는 좁고 하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의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받침부(321)의 내측 바닥면의 직경이 기초다리(320)의 하부 개구부에 비해 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받침부(321)의 내측 바닥면의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흡수체(760)는 상부지지구(720), 하부지지구(730) 및 받침부(321)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된 것으로,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이 탄성력을 지닌 연질 소재로 형성되며 제1탄성체(740)와 제2탄성체(750)가 맞닿도록 배치된다.
상기 흡수체(760)는 외부 압력 및 충격에 의해 제1탄성체(740) 및 제2탄성체(750)가 압축 및 복귀될 때 발생하는 소음 및 힘을 흡수하여 소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발생한 힘을 흡수하여 제1탄성체(740) 및 제2탄성체(750)가 보다 적은 횟수로 압축 및 복귀되면서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진동흡수부(700)는 하측부는 받침부(321)에 결합되고 상측부는 하부지지구(730)의 하방돌기(732)에 결합되어 하부지지구(730)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1중심지지부(770), 하측부는 하부지지구(730)의 상방돌기(731)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상부지지구(720)에 결합되어 상부지지구(720)의 중심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부지지구(720)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2중심지지부(780), 상부지지구(720)와 받침부(321)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322)에 마련되어 상부지지구(72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7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중심지지부는 기초대(300)를 지지하는 기초다리(320)의 승강 시 기초다리(320)의 중심부를 잡아줌으로써 그 중심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초대(300)를 지지하는 기초다리(320)의 중심부로 전달되는 미세 진동을 감쇄할 수 있고, 제1중심지지부(77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기초다리(320)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중심지지부(770)는, 받침부(321)에 하측부가 나사 결합되며 제1홈(771a)이 마련된 하부조절바(771), 하부조절바(771)의 상면부에 하측부가 지지되는 제1스프링(772), 상측부는 하방돌기(732)에 마련된 제2홈에 나사 결합되고 하측부에는 제1스프링(772)이 지지되는 상부조절바(77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중심지지부(770)의 하부조절바(771)는 받침부(321)에 나사 결합되므로 하부조절바(771)의 받침부(321)에의 결합 깊이를 조절하면 제1스프링(772)의 신축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하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조절바(771)를 상부조절바(773)의 방향으로 상승시키면 제1스프링(772)이 수축되어 하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고, 이는 기초다리(320)의 지지력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때 하부지지구(73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하부조절바(771)의 상부에는 제1홈(771a)이 마련되고, 제1홈(771a)의 내벽에는 하부지지구(730)의 하강 시 상부조절바(773)에 마련된 제1돌기(773a)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하부조절바(771)의 하측 외벽에는 제1나사산(771b)이 마련되어 받침부(321)에 마련된 홈을 통과한 후 이동블럭(620)에 마련된 블럭홈(62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받침부(321)에 마련된 홈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제1나사산(771b)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중심지지부의 제1스프링(772)은 하측부는 하부조절바(771)의 상면부에 지지되고 상측부는 제1돌기(773a)를 통과하여 상부조절바(773)의 저면부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스프링(772)은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하부조절바(771)와 상부조절바(773)의 결합 깊이 조절에 의해 제1스프링(772)의 탄성 에너지는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중심지지부(770)의 상부조절바(773)는 외벽에 마련되는 제2나사산(773b)에 의해 하방돌기(732)에 마련된 제3나사산(73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부조절바(773)는 결합 상태에서 하부지지구(730)에 마련된 제2홈(733)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부조절바(773)를 하부조절바(771)의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제1스프링(772)이 수축되어 하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하부지지구(73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1중심지지부(770)의 사이즈는 제2탄성체(750)보다 작게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도시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으로 제2탄성체(750)의 수축 및 팽창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중심지지부(780)는 기초대(300)를 지지하는 기초다리(320)의 승강 시 제1중심지지부(770)와 같이 기초다리(320)의 중심부를 잡아줌으로써 그 중심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초대(300)를 지지하는 기초다리(320)의 중심부로 전달되는 미세 진동을 제1중심지지부(770)와 같이 감쇄할 수 있고, 제2중심지지부(78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기초다리(320)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중심지지부(780)는 상방돌기(731)에 마련된 제3홈(735)에 마련되는 제2스프링(781), 하측부는 제2스프링(781)에 지지되고 상측부는 상부지지구(720)에 마련된 제4홈(721)에 나사 결합되는 중심바(78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중심바(782)의 하측부는 제3홈(735)에 슬라이딩 승강되고, 이는 제2스프링(781)이 수축 및 팽창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 예에서 중심바(782)의 상부에는 제4나사산(782a)이 마련되고, 중심바(782)는 제4나사산(782a)을 통해 상부지지구(720)에 마련된 제5나사산(72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중심바(782)를 하부지지구(730)의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제2스프링(781)이 수축되어 상부지지구(720)와 하부지지구(73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하부지지구(730)와 상부지지구(72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 승강가이드부(790)는 상부지지구(720)와 받침부(321)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322)에 마련되어 상부지지구(72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가이드부(790)는 상부지지구(720)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가이드축(791), 가이드축(791)의 상부에 마련되며 양단부가 기초대(300)의 기초다리(320)에 마련된 다리홀(320a)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바(792), 덮개(322)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가이드바(792)의 양단부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포스트(79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가이드포스트(793)에는 가이드바(792)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가이드홈(793a)이 마련되는 상부지지구(720)의 승강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측부는 받침부(321)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레일(610)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321)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부(630), 이동블럭(620)과 지지다리부(630)에 마련되어 지지다리부(63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진동감쇄부(6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다리부(630)는 상측부는 받침부(321)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레일(610)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321)를 지지함으로써 토탈스테이션(110)의 이동 시 받침부(3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토탈스테이션(11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다리부(630)는 받침부(321)의 외벽에 마련되는 제1수평부(631), 제1수평부(63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마련되는 수직부(632), 수직부(632)의 단부에서 레일(610)의 방향으로 마련되어 레일(610)의 측벽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2수평부(63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수평부(633)는 레일(610)의 측벽에 마련된 제2레일홈(6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토탈스테이션(110)이 레일(610)을 이동 시 제2수평부(633)도 제2레일홈(612)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지지다리부(630)는 받침부(321)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쇄부(640)는 이동블럭(620)과 지지다리부(630)에 마련되어 지지다리부(63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진동감쇄부(640)는 지지다리부(630)의 내부에 배치되는 진동감쇄바디(641), 일측부는 진동감쇄바디(641)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이동블록(620)과 지지다리부(630)에 마련되는 복수의 진동감쇄스프링(64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진동감쇄바디(641)는 복수의 진동감쇄스프링(642)을 4개의 영역에서 등 각도로 지지하기 위해 십자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진동감쇄스프링(642)은 지지다리부(630)의 내부에 십자가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진동감쇄스프링(642)을 기준으로 정할 때,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642)의 단부는 제1수평부(631)에 결합되고, 우측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642)의 단부는 수직부(632)에 결합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642)은 제2수평부(633)에 결합되고, 좌측에 배치되는 진동감쇄스프링(642)은 이동블록(6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토탈스테이션(110)을 설치체 상에서 수평방향(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60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이동수단(600)은 설치체의 상면에 배치된 레일(610), 받침부(321)에 구비되며 레일(6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럭(6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610)은 설치체의 상면에 배치되되 설치체의 형태 및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가 가능하다.
상기 이동블럭(620)은 받침부(321) 저면에 구비되어 레일(6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내부에 볼 베어링, 슬라이딩 베어링 등이 배치되어 레일(61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블럭(620)에는 블럭돌기(621)가 마련되고, 블럭돌기(621)는 레일(610)에 마련된 제1레일홈(6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블럭(620)은 받침부(321)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회전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토탈지지대(310)는 토탈스테이션(110)을 지지하는 것으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토탈지지대(310)의 상단에는 토탈스테이션(11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승강회전부(500)는 토탈스테이션(110)이 장착되는 토탈지지대(31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킴과 아울러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켜 토탈스테이션(110)의 수직선상 위치를 더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승강회전부(500)는, 기초대(30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승강회전본체(510)와, 승강회전본체(510)에 마련되는 모터프레임(520)과, 모터프레임(520)에 마련되는 좌우이동모터(530)와, 모터프레임(520)에 이동되게 마련되며 좌우이동모터(530)와 연결되어 토탈지지대(310)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프레임(540)과, 좌우이동프레임(540)에 마련되어 좌우이동프레임(540)과 같이 이동되는 회전부회전모터(550)와, 회전부회전모터(550)에 연결되어 토탈지지대(310)의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며 토탈지지대(310)의 측면에 결합되는 홀더프레임(560)과, 모터프레임(520)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510)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513)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520)을 승강시키는 상하승강모터(57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회전본체(510)는 복수의 세로프레임(511)과 복수의 가로프레임(512)을 결합시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세로프레임(511)에는 세로프레임(511)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가이드랙(513)이 마련되고, 이 승강가이드랙(513)은 상하승강모터(570)의 구동 기어와 맞물려 모터프레임(52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모터(530)는 좌우이동프레임(540)을 토탈지지대(310)의 방향으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회전모터(550)는 홀더프레임(56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때 홀더프레임(560)에 결합된 토탈지지대(310)도 홀더프레임(560)과 같이 시계 방향(후방) 또는 반시계 방향(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승강모터(570)는 모터프레임(520)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510)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513)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520)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다. 모터프레임(520)의 승강에 따라 토탈스테이션(110)도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승강회전부(500)에 의해 능동적으로 토탈스테이션(110)의 수직 선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연결부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토탈스테이션(110)의 상부에는 제1커넥터(450)가 마련되고, 제1커넥터(450)는 모듈연결부(40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넥터(450)의 외벽에는 복수의 제1돌기(451)가 마련되어 모듈연결부(400)에 미끄러짐없이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듈연결부(400)는 토탈스테이션(110)과 조절체를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탈착 결합시키는 것으로, 일측부에 제1커넥터(450)가 삽입되고 타측부에 제2커넥터(460)가 삽입되는 커플러바디(410)와, 커플러바디(4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커플러바디(410)의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부(420)와, 커플러바디(410)의 일측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커버(430)와, 커플러바디(410)의 타측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2커버(440)를 구비한다.
상기 커플러바디(4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커플러바디(410)의 일측부에는 제1커넥터(450)가 삽입되고 타측부에는 제2커넥터(460)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내벽에는 록킹홈(411)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록킹홈(411)은 3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록킹홈(411)은 복수의 단턱부(412)의 사이에 마련되며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단턱부(412) 중 어느 하나의 단턱부(412)에서 다른 하나의 단턱부(412)까지 두께가 얇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상기 록킹부(420)의 제1두께부(421b)에 대응되는 영역의 록킹홈(411)은 두께가 얇게 마련되고, 록킹부(420)의 제2두께부(421c)에 대응되는 영역의 록킹홈(411)은 두께가 더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내벽에는 단턱부(412)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단턱부(412)는 3개가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410)에는 복수의 바디홀(413)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바디홀(413)에 잠금 부재를 삽입시켜 록킹부(420)의 록킹바디(421)를 가압함으로써 복수의 록킹바디(421)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잠금 부재는 바디홀(413)의 내벽에 마련된 나사산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전방 외벽과 후방 외벽에는 바디 나사산이 마련되어 제1커버(430)와 제2커버(440)가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420)는, 커버 바디의 일정 각도 예를 들어 120도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록킹부(420)는 커플러바디(4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록킹바디(421)와, 복수의 록킹바디(421)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를 이격시키는 스토퍼플랜지(422)와, 복수의 록킹바디(421)를 연결시켜 복수의 록킹바디(421)의 이격 간극을 유지시키는 연결부재(423)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부(420)의 록킹바디(421)는 3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록킹바디(421)의 내부에는 복수의 스토퍼돌기(421a)가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록킹바디(421)는 제1두께부(421b)와, 제1두께부(421b)보다 더 두껍게 마련되는 제2두께부(421c)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두께부(421b)에서 제2두께부(421c)로 갈수록 록킹바디(421)의 두께는 점차적으로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420)의 스토퍼플랜지(422)는 록킹바디(421)의 내벽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가 서로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플랜지(422)는 부채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고, 록킹바디(421)에 접하는 영역이 길게 마련되고, 록킹바디(421)의 내벽에서 멀어지는 영역이 짧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플랜지(422)는 각각의 록킹바디(421)에 마련되고 각각의 록킹바디(421)의 내벽에서 멀어지는 영역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록킹부(420)의 연결부재(423)는 각각의 록킹바디(421)를 연결시켜 각각의 록킹바디(421)의 이격 위치를 유지함과 아울러 각각의 록킹바디(421)가 같이 회전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423)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각각의 록킹바디(421)에 마련된 바디홈에 결합되어 본 실시 예를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에 탈착 시 스프링의 힘으로 복수의 록킹바디(421)를 커플러바디(410)의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423)는 원형 형상으로 복수의 록킹바디(421)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연결부재(423)는 록킹부(420)가 제1커넥터(450)와 제2커넥터(460)를 잠글 시, 잠그기 전보다 더 노출되어 록킹바디(421)의 잠금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록킹바디(421)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연결부재(423)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하나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록킹부(420)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록킹부(420)가 커넥터를 잠그기 전에 제2두께부(421c)는 단턱부(412)와 근접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커플러바디(410)를 일정 각도 예를 들어 120도 회전시키면, 두꺼운 영역의 록킹홈(411)이 제2두께부(421c)를 가압하여 제1커넥터(450)를 잠금시킬 수 있다. 이 잠금의 회전은 커플러바디(410)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커버(430)는 커플러바디(41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록킹바디(4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커버(440)는 커플러바디(410)의 후방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록킹바디(4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절체의 하부에는 제2커넥터(460)가 형성되어 모듈연결부(400)에 탈착 결합된다. 상기 제2커넥터(460)의 외벽에는 복수의 제2돌기(461)가 이격 마련되어 모듈연결부(400)에 미끄러짐없이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기준국 20 : 측지장치 30 : 측지정보확인장치
110 : 토탈스테이션 210 : 설치체 220 : 조절체
230 : 차광기구 300 : 기초대 310 : 토탈지지대
320 : 기초다리 320a : 다리홀 321 : 받침부
322 : 덮개 323 : 결합부 400 : 모듈연결부
410 : 커플러바디 411 : 록킹홈 412 : 단턱부
413 : 바디홀 420 : 록킹부 421 : 록킹바디
421a : 스토퍼돌기 421b : 제1두께부 421c : 제2두께부
422 : 스토퍼플랜지 423 : 연결부재 430 : 제1커버
440 : 제2커버 450 : 제1커넥터 451 : 제1돌기
460 : 제2커넥터 461 : 제2돌기 500 : 승강회전부
510 : 승강회전본체 511 : 세로프레임 512 : 가로프레임
513 : 승강가이드랙 520 : 모터프레임 530 : 좌우이동모터
540 : 좌우이동프레임 550 : 회전부회전모터 560 : 홀더프레임
570 : 상하승강모터 600 : 이동수단 610 : 레일
611 : 제1레일홈 612 : 제2레일홈 620 : 이동블럭
621 : 블럭돌기 622 : 블럭홈 630 : 지지다리부
631 : 제1수평부 632 : 수직부 633 : 제2수평부
640 : 진동감쇄부 641 : 진동감쇄바디 642 : 진동감쇄스프링
700 : 진동흡수부 710 : 단턱 720 : 상부지지구
721 : 제4홈 722 : 제5나사산 730 : 하부지지구
731 : 상방돌기 732 : 하방돌기 733 : 제2홈
734 : 제3나사산 735 : 제3홈 740 : 제1탄성체
750 : 제2탄성체 760 : 흡수체 770 : 제1중심지지부
771 : 하부조절바 771a : 제1홈 771b : 제1나사산
772 : 제1스프링 773 : 상부조절바 773a : 제1돌기
773b : 제2나사산 780 : 제2중심지지부 781 : 제2스프링
782 : 중심바 782a : 제4나사산 790 : 승강가이드부
791 : 가이드축 792 : 가이드바 793 : 가이드포스트
793a : 가이드홈

Claims (1)

  1.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아 현재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연산하여 GNSS보정값을 무선송출하는 기준국; 기준국으로부터 GNSS보정값을 수신하는 측지장치; 및 측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측지정보의 변화를 확인하는 측지정보확인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측지장치는,
    다수의 지지다리를 구비하는 설치체; 설치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수단; 이동수단의 상부에 장착되는 진동흡수부; 진동흡수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기초대; 기초대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토탈지지대; 기초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토탈지지대의 측면에 연결되어 토탈지지대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승강회전부; 토탈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토탈스테이션; 토탈스테이션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모듈연결부; 모듈연결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멀티홀을 구비한 조절체; 및 조절체에 결합되는 차광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기구는,
    조절체의 멀티홀에 맞대어져 연통되는 고정홀을 갖춘 지지체; 지지체에 상하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조절체의 멀티홀 및 지지체의 고정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체를 조절체에 고정하는 차광기구체결부재; 회전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중심축; 일단이 중심축에 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을 이루어 접히거나 펼쳐지는 다수의 부채살과, 다수의 부채살 간에 설치되어 빛을 차광하는 차광막을 갖춘 차광체; 및 멀티홀과 맞대어지는 체결홀을 갖추고서 지지체 및 회전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체의 하방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체와, 멀티홀 및 체결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동제한체를 조절체에 고정하는 이동제한체체결부재를 구비한 이동제한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흡수부는,
    기초대의 하부에 형성된 기초다리의 내벽에 돌출 형성된 단턱; 단턱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 상부지지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지지구; 일단은 상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아 상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체; 일단은 하부지지구에 맞닿고 타단은 받침부 내측 바닥면에 맞닿아 하부지지구를 상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제2탄성체; 하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상측부는 하부지지구의 하방돌기에 결합되어 하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1중심지지부; 하측부는 하부지지구의 상방돌기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상부지지구에 결합되어 상부지지구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제2중심지지부; 상부지지구와 받침부의 상단을 폐쇄하는 덮개에 마련되어 상부지지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 및 상측부는 받침부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레일의 측벽에 결합되어 받침부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중심지지부는,
    받침부에 하측부가 나사 결합되며 제1홈이 마련된 하부조절바; 하부조절바의 상면부에 하측부가 지지되는 제1스프링; 및 상측부는 하방돌기에 마련된 제2홈에 나사 결합되고 하측부에는 제1스프링이 지지되는 상부 조절바;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조절바에는 제1돌기가 마련되어 하부지지구의 하강 시 제1돌기가 제1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중심지지부는,
    상방돌기에 마련된 제3홈에 마련되는 제2스프링; 및 하측부는 제2스프링에 지지되고 상측부는 상부지지구에 마련된 제4홈에 나사 결합되는 중심바; 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바의 하측부는 제3홈에 슬라이딩 승강되며,
    상기 승강회전부는,
    기초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승강회전본체;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되는 모터프레임;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는 좌우이동모터; 모터프레임에 이동되게 마련되며 좌우이동모터와 연결되어 토탈지지대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프레임; 좌우이동프레임에 마련되어 좌우이동프레임과 같이 이동되는 회전부회전모터; 회전부회전모터에 연결되어 토탈지지대의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되며 토탈지지대의 측면에 결합되는 홀더프레임; 및 모터프레임에 마련되며 승강회전본체에 마련된 승강가이드랙과 기어 결합되어 모터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상하승강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연결부는,
    일측부에 제1커넥터가 삽입되고 타측부에 제2커넥터가 삽입되는 커플러바디; 및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커플러바디의 회전에 의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잠그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는 록킹부; 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는,
    커플러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록킹바디; 및 복수의 록킹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이격시키는 스토퍼플랜지; 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바디의 내부에는 복수의 단턱부가 마련되며, 복수의 록킹바디는 제1두께부 및 제1두께부보다 두껍게 마련되는 제2두께부를 포함하고, 커플러바디의 회전 시 복수의 단턱부가 제2두께부를 회전시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록킹시키며, 커플러바디의 반대 방향 회전 시 록킹을 해제시키고, 제1커넥터에는 복수의 제1돌기가 이격 마련되고, 제2커넥터에는 복수의 제2돌기가 이격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
KR1020220133238A 2022-10-17 2022-10-17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 KR102519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238A KR102519452B1 (ko) 2022-10-17 2022-10-17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238A KR102519452B1 (ko) 2022-10-17 2022-10-17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452B1 true KR102519452B1 (ko) 2023-04-10

Family

ID=85984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238A KR102519452B1 (ko) 2022-10-17 2022-10-17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657B1 (ko) * 2023-03-20 2023-11-01 (주)신한항업 Gnss를 기반으로 지형구조물의 위치별 측지측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측지측량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835B1 (ko) * 2005-01-27 2005-08-30 새한항업(주) 실시간 측량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작된 수치지도를적용하는 gis의 구축방법
KR100538343B1 (ko) * 2005-07-29 2005-12-21 제일항업(주)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하천 유역 시설물 정보를 수치지도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하천정보 gis의 구축방법
KR100941183B1 (ko) * 2009-06-15 2010-02-10 대주항업 주식회사 지피에스 대비 기준점 및 수치정보 측량 확인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835B1 (ko) * 2005-01-27 2005-08-30 새한항업(주) 실시간 측량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작된 수치지도를적용하는 gis의 구축방법
KR100538343B1 (ko) * 2005-07-29 2005-12-21 제일항업(주)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하천 유역 시설물 정보를 수치지도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하천정보 gis의 구축방법
KR100941183B1 (ko) * 2009-06-15 2010-02-10 대주항업 주식회사 지피에스 대비 기준점 및 수치정보 측량 확인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657B1 (ko) * 2023-03-20 2023-11-01 (주)신한항업 Gnss를 기반으로 지형구조물의 위치별 측지측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측지측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9452B1 (ko) Gis 기반의 지형지물 측량데이터 정밀 관측을 위한 측지측량시스템
KR100963856B1 (ko) 고층 구조물을 위한 조사절차 및 시스템
KR101946401B1 (ko)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
CN103090851B (zh) 一种管桩测斜装置及使用方法
KR102171730B1 (ko) 측량정보의 오차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정확한 측량이 가능한 수준 측지측량장치
US8720074B2 (en) Robotic leveling
CN104390632A (zh) 一种全站仪视准线法水平位移观测台及其使用方法
KR102320523B1 (ko) Gps의 rtk 제어측량을 통해 실시간으로 고정밀 좌표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RU2419766C1 (ru) Стенд для поверки и калибровки цифровых нивелиров и штрихкодовых реек
KR101116193B1 (ko) 설정 기준점 및 수준점을 이용한 지리정보 측지데이터 관리시스템
US20220373419A1 (en) Device for measuring relative heights and inclination sensor
KR102415009B1 (ko) 측정된 데이터의 오차값을 최소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527650B1 (ko) Gis의 지형 변화가 반영되어 수치지도 이미지를 높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160640B1 (ko) 측량용 삼각대의 보호 시스템
KR102309902B1 (ko)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하여 기준점 기반 지형지물 측지측량 작업이 가능한 측지측량시스템
KR102310848B1 (ko) 경사면에서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지피에스 기반 정밀 측지측량시스템
KR101848327B1 (ko) 항공촬영데이터의 왜곡을 보정하고 수정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358458B1 (ko) 지표에 설치된 기준좌표점의 측지정보 확인을 위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1210539B1 (ko) 지표면의 수준측량과 지형 간 거리를 측량하는 측지정보 확인시스템
KR101349395B1 (ko) 경사면에서의 안정된 설치가 용이한 지피에스 위치 정밀 측지측량시스템
CN107462262B (zh) 一种激光准直设备的水准泡调试装置
CN203145065U (zh) 一种管桩测斜装置
US3475101A (en) Optical plumb including means to level
CN115854204A (zh) 一种建筑工程造价现场测绘装置
KR102200901B1 (ko) 지하시설물의 실시간 위치측정을 위한 측량 타깃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