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401B1 -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401B1
KR101946401B1 KR1020180158157A KR20180158157A KR101946401B1 KR 101946401 B1 KR101946401 B1 KR 101946401B1 KR 1020180158157 A KR1020180158157 A KR 1020180158157A KR 20180158157 A KR20180158157 A KR 20180158157A KR 101946401 B1 KR101946401 B1 KR 101946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ps
height
case
leg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Priority to KR1020180158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6Members preventing slipping of the fe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측량기기의 높이와 방향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켜 측량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용 삼각대를 구비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유효한 NMEA(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그 NMEA 데이터의 경도와 위도를 보완하여 생성되는 GPS 보정값을 이용하여 보다 더 정밀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System for surveying earth surface to GPS coordinate of control point}
본 발명은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측량기기의 높이와 방향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켜 측량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용 삼각대를 구비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유효한 NMEA(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그 NMEA 데이터의 경도와 위도를 보완하여 생성되는 GPS 보정값을 이용할 수 있는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GPS에 사용되는 수치지도를 제작 또는 보정하기 위해서는 일정 지역을 항공촬영하고, 촬영된 항공사진을 데이터화하여 항공촬영정보를 제작한 후, 이를 활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하며, 제작된 수치지도 일정 주기로 항공촬영을 다시 하여 새롭게 제작된 항공촬영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게 된다.
그러나 수치지도를 보정할 때에는 수치지도와 항공촬영정보에 기록된 지형이나 지물 또는 인공구조물 등의 좌표에 오차가 발생할 경우, 기존의 수치지도에 오차가 있는지 또는 새로 제작된 항공촬영정보에 오차가 있는지를 판단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오차가 발생된 지점을 실측하여 오차를 보정하여야 하는데 측정점을 정밀 측정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측량기기를 이용하게 된다.
측량기기는 삼각대에 장착하여 관측점에 거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측량용 삼각대에 요구되는 조건은 지면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바람이나 외부 층격에 의하여 쉽게 넘어지지 않고 측량기기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과 측량기기가 높이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종래의 측지측량용 삼각대는 3개의 다리와 다리들의 상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지지구 및 상단지지구의 상부에 결합되어 측량기기가 장착되는 측정기기 마운트 등의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리들은 상부다리와 하부다리를 구비하여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부다리의 상단이 상단지지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다리를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측지측량용 삼각대는 측량장소의 지면이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삼각대가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접지봉이 지면에 삽입될 수 없으므로 삼각대에 충격이 가해지면 삼각대가 쉽게 쓰러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삼각대의 다리 중의 어느 하나에만 충격이 가해져도 삼각대가 균형을 잃고 쉽게 쓰러지며, 야외에서는 강풍에 의해 삼각대가 흔들려 쓰러지기도 하므로 고가의 측량기기가 파손되는 큰 경제적 손실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 측지측량용 삼각대는 측량기기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회전시키는 경우 고정 과정에서 측량기기가 미세하게 움직여 측량 작업을 다시 실시하여야 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 측지측량용 삼각대는 지면으로부터 충격이나 진동이 삼각대에 가해지는 경우 그 충격이나 진동이 다리를 통해 마운트에 장착되어 있는 측량기기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측량기기가 충격을 받거나 흔들리게 되어 측량기기의 측량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다리에 완충장치를 설치한 기술도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완충장치는 다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다리 자체가 상하로 흔들릴 가능성이 있어 측량 작업 중에 측량기기가 상하로 유동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GPS 수신기를 통해 얻게 되는 좌표값은 오차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오차는 일반적으로 인공위성 시간 오차, 인공위성 위치 오차, 전리층과 대류층의 굴절, 잡음(Noise), 다중 경로(Multi path)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다중 경로에 의한 오차는 GPS위성으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GPS 수신기에 아주 근접하여 국지적인 신호반사에 의한 신호지연이 발생됨으로 인해 나타난다.
이와 같은 GPS 수신을 2~4시간 이내일 때 작동되는 핫 스타트(Hot Start)와, 그리고, GPS 수신단말이 정상 작동되고 있을 때 높은 건물이나 터널 안, 지하차도 안, 고가도로와 같은 수신기의 주변환경 및 태양 흑점 활동에 의한 위성신호 전파 방해 또는 대기환경이나 기상환경에 의해 GPS 수신이 끊어져 다시 GPS 수신을 시작하는 리액큐이서션(Reacquisition Time)시, 위치보정 알고리즘이 제시된 바 있으나, 전력소모가 많고, 가상수치범위내에서 위치보정을 하므로, 정확한 위치보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높이조절부를 통해 안착부의 높이가 조절되고 안착부가 자동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측량기기가 안정적으로 자세를 변환되어 측량 정밀도가 향상되는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지봉이 상하로 승강 가능하므로 접지봉을 삽입하기 어려운 딱딱한 지면이나 실내에서도 삼각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완충부를 이용해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할 수 있는 삼각대를 구비하는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소모가 적고, GPS 수신율을 높일 수 있고, 실시간으로 위치보정을 통해 정확한 좌표값과 고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GPS와 가속도센서를 통합한 위치보정단말을 구비하는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대위치값을 가지며 GPS 위성(G)으로부터의 위치값을 수신하여 이를 상호 연산하여 GPS 보정값을 출력하고, 출력된 GPS 보정값을 외부로 무선출력하는 기준국(A); 삼각대의 안착부에 장착되어 측정점에 거치되며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측정,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해 표시 및 저장하는 기능 및 유무선 통신기능을 갖는 기준측량기(B); 상기 기준측량기(B)의 측량기기(T)로부터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측정 및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유무선으로 수신하는 측지데이터처리장치(C)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삼각대는, 다수의 다리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부(200);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상하로 신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높이조절부(300);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측량기기(T)가 안착되는 안착부(400);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지면에 삽입되는 접지봉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접지부(500); 및 상기 다리부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며 다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완충부(600);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100)는, 그 상단이 지지부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며, 한 쌍의 연장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다리(110); 상기 상부다리의 하부에 배치되어 한 쌍의 연장부재 사이로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다리(130); 및 상기 상부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부다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구(120);를 구비하고,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오일이 주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내부가 비어 있는 높이케이스(310); 상기 높이케이스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그 상단이 높이케이스에 형성된 케이스홀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 돌출부(320); 상기 돌출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높이케이스의 내주면과 동일한 크기의 외주면을 가져 높이케이스의 내주면에 접하는 확장부(330); 상기 확장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오일이 유동하는 한 쌍의 관통홀(331); 상기 돌출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관통홀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환형의 상단폐쇄링(340); 상기 확장부의 하부에 높이스프링을 매개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관통홀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하단폐쇄판(350); 및 상기 높이케이스와 연결되어 높이케이스 내부의 오일에 압력을 가하는 유압펌프(360); 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는 확장부의 상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상부로 이격하여 영구자석(321)이 삽입되고, 상기 상단폐쇄링(340)은 자성체로 이루어져 영구자석에 의해 상단폐쇄링이 확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단폐쇄판(350)은 높이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확장부의 하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유압펌프(360)에 의해 높이케이스의 하부에 유압이 가해지면 하단폐쇄판이 확장부의 하단에 밀착되어 관통홀(331)의 하단을 폐쇄함으로써 유압 차에 의해 돌출부(320)가 전체적으로 상승되며, 상기 유압펌프(360)에 의해 높이케이스(310)의 상부에 유압이 가해지면 상단폐쇄링(340)이 확장부(330)의 상단에 밀착되어 관통홀(331)의 상단을 폐쇄함으로써 유압 차에 의해 돌출부(320)가 전체적으로 하강되고, 상기 유압펌프(360)에 의해 높이케이스(310)의 상부와 하부에 동일한 유압이 가해지면 돌출부(320)가 높이를 유지하며, 상기 안착부(400)는, 그 내주면에 돌출부의 상단이 압입되고 외주면이 안착부의 하면에 압입되어 안착부가 돌출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베어링(410);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고정 결합되는 고정기어(420); 상기 고정기어에 맞물려 결합되고 하면이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안착부의 하면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1기어(430); 상기 제1기어의 하면에 직교하도록 맞물려 결합되는 원추형 제2기어(440); 및 상기 제2기어를 축 회전시키며 안착부의 하면에 고정되는 회전모터(450); 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모터(450)는 지지부(200)에 내장된 제어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되고, 상기 회전모터(450)가 구동됨에 따라 제2기어(440)가 회전되어 제1기어(430)가 고정기어(42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안착부(400)가 회전하며, 상기 접지부(500)는, 상기 하부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면에 접지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승강홈이 형성된 접지케이스(510); 상기 접지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며 접지봉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되는 승강실린더(520); 및 상기 접지케이스의 하면에 결합되는 마찰부(540); 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실린더(520)가 최대로 전개되었을 때 접지봉(530)의 최하단은 접지케이스(510)의 하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아래에 위치하고, 승강실린더(520)가 최대로 축소되었을 때 접지봉(530)의 최하단은 접지케이스(510)의 하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위에 위치하여 승강홈(511)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완충부(600)는, 내부에 오일이 수용된 원통형의 완충케이스(610); 상기 완충케이스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완충판(620); 상기 완충판의 상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며 완충판과 함께 상하로 이동 가능한 완충로드(630); 및 일단이 상기 고정구(1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완충로드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달바(640); 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판(620)에는 오일이 유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완충홀(62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완충홀과 인접한 완충판(620)의 상부면에는 오일의 압력에 따라 완충홀의 상단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지니는 한 쌍의 상부날개(622)가 결합되며, 상기 완충홀과 인접한 완충판(620)의 하부면에는 오일의 압력에 따라 완충홀의 하단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지니는 한 쌍의 하부날개(623)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날개(622)는 그 일단이 완충판(620)의 상부면에 고정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부 방향으로 만곡되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하부날개(623)는 그 일단이 완충판(620)의 하부면에 고정 결합되며 그 타단은 하부 방향으로 만곡되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GPS 보정값은 기준국(A)의 제어부(A2)가 포함하는 GPS 보정단말기(100)로부터 생성되되, 상기 GPS 보정단말기(100)는, GPS 위성(G)으로부터 유효한 NMEA(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는 핫 스타트(Hot Start)와 리액큐이서션(Reacquisition Time)시, 다시 유효한 NMEA 데이터를 획득할 때까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NMEA 데이터의 X축(경도)과 Y축(위도)을 보완해 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710), GPS 모듈(720), 저잡음증폭부(LAN)(730), 가속도센서(740), 마이크로컨트롤유닛(750), 송신부(7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750)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초기화를 담당하고, 디바이스들을 초기화시켜서, GPS 모듈로부터 입력받은 NMEA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UART를 통해 NMEA 데이터를 전달하는 메인 태스크부(751)와, GPS 모듈로부터 NMEA 데이터를 수신받아 각 정보들을 파싱하여 변수에 저장하는 GPS 태스크부(752)와, 평상시에 대기 태스크 상태로 있다가 GPS로부터 유효한 NMEA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했을 경우 메인 태스크부의 동작신호로 인해 가속도센서부의 동작시키는 센서 태스크부(753)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에 의하면, 삼각대 높이조절부의 돌출부가 상하로 이동하여 안착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측량기기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측량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높이케이스의 내부에는 오일이 주입되어 어느 정도 완충 작용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i) 삼각대 안착부의 하면에 회전모터 등을 설치하여 안착부가 수평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측량기기의 방향 전환시 흔들리지 않고 정확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ii) 접지봉이 접지케이스의 내부로 진입하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접지봉이 삽입될 수 없는 딱딱한 지면이나 실내에서도 삼각대가 쓰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iii) 삼각대 다리부의 측부에 완충부를 연결하여 다리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 완충부로 전달되어 감쇠될 수 있으므로 측량기기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GPS 보정값을 산출함에 있어서, GPS 보정단말기를 이용하여 전력소모가 적고, GPS 수신율을 높일 수 있고, 실시간으로 위치보정을 통해 정확한 좌표값과 고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어, 기존의 GPS 수신기에 비해 보정값의 정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대 안착부에 안착되는 측량기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이 포함하는 삼각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대 높이조절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대 높이조절부의 종단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대 안착부의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대 접지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대 완충부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PS 위치보정단말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PS 위치보정단말이 구비하는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GPS 위치보정단말의 저잡음증폭부(LAN)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GPS 위치보정단말의 GPS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GPS 위치보정단말의 가속도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GPS와 가속도센서를 통합한 위치보정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대 안착부에 안착되는 측량기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은 절대위치값을 가지며 GPS 위성(G)으로부터의 위치값을 수신하여 이를 상호 연산하여 GPS 보정값을 출력하고, 출력된 GPS 보정값을 외부로 무선출력하는 기준국(A);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측정,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해 표시 및 저장하는 기능 및 유무선 통신기능을 갖는 기준측량기(B); 상기 기준측량기(B)의 측량기기(T)로부터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측정 및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유무선으로 수신하는 측지데이터처리장치(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량기기(T)는 공지의 토털스테이션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준국(A)은 GPS안테나(A1a)를 구비하여 인공위성(G)으로부터 위치값을 수신하는 GPS수신기(A1)와, GPS수신기(A1)로부터 전달받은 현재의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 연산하여 GPS보정값을 출력하는 제어부(A2)와, DGPS안테나(A3a)를 구비하여 제어부(A2)로부터 GPS 보정값을 전달받아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DGPS송신기(A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기준국(A)의 제어부(A2)를 통해 연산된 GPS보정값은 DGPS송신기(A3)로부터 전달되고, DGPS송신기(A3)와 연결된 DGPS안테나(A3a)를 통해 후술하는 측량기기(T)의 DGPS안테나로 무선송출하게 된다.
상기 GPS 보정값은 기준국(A)의 제어부(A2)가 포함하는 GPS 보정단말기(100)로부터 생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기준측량기(B)는 삼각대와, 삼각대에 장착되는 측량기기(T)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량기기(T)는 기준국(A)으로부터 수신한 GPS보정값과 GPS 위성(G)으로부터 수신한 GPS값을 연산하여 자신의 정밀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정밀위치를 기준으로 측정점의 좌표를 연산처리하기 위해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를 정밀 측위하여 유무선으로 송출한다.
이때 상기 측량기기(T)는 GPS안테나(T1a)를 구비하여 위성(G)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하는 GPS수신기(T1)와, DGPS안테나(T3a)를 구비하여 기준국(A)의 DGPS송신기(A3)로부터 GPS보정값을 수신하는 DGPS수신기(T3)와, 일측에 렌즈부(L)를 구비하여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를 정밀측정할 수 있도록 된 측정장치부(T4)와, DGPS수신기(T3)에 의해 수신한 GPS보정값을 이용하여 GPS안테나(T1a)의 정밀거리 연산을 통해 측량기기(T)의 정밀위치를 확인하고 측정장치부(T4)에 의해 측정된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를 입력받아 상기 정밀위치를 기준으로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연산처리하는 제어부(T2)와, 제어부(T2)에 의해 연산된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측정 및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전달받아 유무선으로 송출하는 데이터송신기(T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L)의 렌즈 표면에는 퍼플루오르폴리에테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8 내지 15 중량부, 퍼플루오르메틸비닐에테르 8 내지 15 중량부, 플루오르아크릴아마이드 6 내지 12 중량부 및 퍼플루오르인산화염 7 내지 14 중량부를 포함하며, 30dyne/cm 이하의 표면장력을 가지고 0.2 이하의 동마찰계수를 갖는 코팅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L)의 코팅층은 20 내지 40nm의 두께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코팅층이 20nm 미만의 두께로 도포되면 렌즈 자체의 보호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고, 코팅층이 40nm 초과의 두께로 도포되면 광 투과율이 악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30dyne/cm 이하의 표면장력을 가지고 0.2 이하의 동마찰계수를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는데, 낮은 표면장력 및 높은 슬립을 가지는 물질로 렌즈의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렌즈 표면의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 투과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부(L)의 낮은 표면장력 및 높은 슬립을 가지는 물질로 코팅층을 구비함에 따라 렌즈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렌즈에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지 아니하고, 더불어서 광 투과율로 상승되는 바, 보다 더 정밀한 측량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발명의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그 구동시 6Khz ~ 14Khz의 주파수, 7Khz ~ 24Khz의 주파수, 16Khz ~ 27Khz의 주파수 및 29Khz ~ 43Khz의 주파수가 30~60초 단위로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출력되는 초음파발진기(K)를 측정장치부(T)의 주변에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측정장치부(T)의 주변에 벌레 등 해충이 날아들어 렌즈부(L) 등으로 인한 측정시 해충에 의해 렌즈부(L)의 구동이 방해받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6Khz ~ 14Khz의 주파수는 기어다니는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유효하고, 상기 7Khz ~ 24Khz의 주파수는 모기 등 여름해충의 접근 방지용으로 유효하며, 상기 16Khz ~ 27Khz의 주파수는 바퀴벌레 종류의 해충의 접근 방지용으로 유효하고, 상기 29Khz ~ 43Khz의 주파수는 작은 종류의 해충의 접근 방지용으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지형변화를 측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기준측량기(B)는 작업자에 의해 임의의 측정위치(c)에 거치되며, 미리 설정된 제1기준점 및 제2기준점의 좌표를 측지하며, 측지된 제1기준점 및 제2기준점의 데이터를 측량기기(T)의 데이터송신기(T5)를 통해 측지데이터처리장치(C)로 송출한다.
상기 측지데이터처리장치(C)는 제1기준점 또는 제2기준점에 설치된 기준측량기(B)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통해, 제2기준점 또는 제1기준점의 좌표가 기존의 좌표와 동일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기준점 또는 제2기준점의 좌표가 기존의 좌표와 동일할 경우, 측지데이터처리장치(C)는 제1기준점 및 제2기준점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측지데이터처리장치(C)는, 측정위치에 설치된 기준측량기(B)로부터 측지한 제1기준점 또는 제2기준점의 좌표를 확인하여, 제1기준점 또는 제2기준점에 변화가 없을 경우, 해당 측정위치를 재측량이 필요한 곳으로 설정하지 않는다.
상기 측지데이터처리장치(C)는, 측정위치에 설치된 기준측량기(B)로부터 측지한 제1기준점 또는 제2기준점 좌표를 확인하여, 제1기준점 또는 제2기준점에 변화 있을 경우, 해당 측정위치를 재측량이 필요한 곳으로 설정한다.
한편, 상기 측지데이터처리장치(C)는, 제1기준점 또는 제2기준점에 설치된 기준측량기(B)로부터 측지된 제1기준점 또는 제2기준점의 좌표가 기존의 좌표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측지데이터처리장치(C)는 제1기준점 또는 제2기준점에 변화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측지데이터처리장치(C)는 측정위치에 설치된 기준측량기(B)에서 측지한 제1기준점 또는 제2기준점의 좌표를 통해 제1기준점 및 제2기준점 중 어느 점에서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제1기준점 및 제2기준점 중 변화가 발생한 점에 대해서는 재측량이 필요한 곳으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측지데이터처리장치(C)는, 측정위치에 설치된 기준측량기(B)에서 측지한 제1기준점 또는 제2기준점의 좌표가 모두 변화되었을 경우, 해당 측정위치도 변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기준점, 제2기준점, 측정위치에 대해 재측량이 필요한 곳으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 측량기기(T)는 삼각대의 안착부(400)에 안착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측지측량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측량기기이므로 기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이 포함하는 삼각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이 구비하는 삼각대는 다수의 다리부(10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부(200),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상하로 신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높이조절부(300),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측량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부(400),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지면에 삽입되는 접지봉(53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접지부(500) 및 상기 다리부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며 다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완충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0)는 전체적으로 삼각형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부(200)의 하부면에는 3개의 다리부(100)가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삼각대를 보관할 때에는 다리부(100)를 오므려 보관하고, 삼각대로 측량 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다리부(100)를 펼쳐서 벌린 상태로 측량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100)는 상부다리(110) 및 하부다리(130)로 구성되어 신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다리(110)는 상단이 지지부(20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고 한 쌍의 연장부재(111)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하부다리(130)는 상부다리(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한 쌍의 연장부재(111) 사이로 활주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상부다리(110)의 하단에는 고정구(120)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구(120)는 상부와 하부가 모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다리(130)가 삽입되어 관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부다리(130)는 고정구(120)를 통과하여 상부다리(110)의 한 쌍의 연장부재(111) 사이로 삽입된다.
상기 고정구(120)의 측부에는 고정나사가 체결되며, 상기 고정나사는 고정구(120)를 관통하여 그 선단이 하부다리(130)에 밀착 지지됨으로써 하부다리(13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상기 상부다리(110)의 상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다리(130)가 상부다리(110) 사이에서 활주 가능하므로 3개의 다리부(100)는 각각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삼각대가 경사를 가지는 지면에 세워져야 할 때, 사용자는 높은 경사 쪽에 배치된 다리부(100)의 길이를 줄이거나 각도를 늘려서 지지부(20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지지부(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안착부(400)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측량기기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내부에 오일이 유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어느정도의 완충 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측량기기의 높낮이는 다리부(100)의 길이나 각도를 통해서도 조절할 수 있으나, 다리부(100)를 통해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우 측량기기 전체가 과도하게 흔들리거나 높낮이를 조절한 후 다시 수평을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다리부(100)를 통해 어느 정도 높낮이가 결정되면 높이조절부(300)를 통해 미세하게 측량기기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부(400)는 높이조절부(3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안착부(400)의 상부에는 측량기기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측량기기를 장착하기 위해 3개의 홀이 안착부(400)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장착하고자 하는 측량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통상의 기술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안착부(400)가 수평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상부에 결합된 측량기기는 방향 전환시에도 흔들리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500)는 하부다리(130)의 하단에 결합되며, 접지봉(53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접지봉(530)은 아랫부분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삽입되기에 적합하며, 접지부(500)의 하면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 상에 접촉된다.
상기 접지봉(530)이 지면에 삽입되어 다리부(100)를 고정시키므로 삼각대에 충격이 가해져도 삼각대가 쓰러지지 않고 세워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등 접지봉(530)을 지면에 삽입하기 어려운 장소나 실내에서 측량 작업이 이루어질 때에는 접지부(500)의 하면이 지면에 접촉되어 삼각대가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완충부(600)는 다리부(100)의 측부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지면에 놓이며, 지면으로부터 다리부(100)에 전달되는 진동을 다시 전달 받아 다리부(100)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구성이다.
종래 완충장치들이 다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리부와 직접적으로 결합되고, 내부에 완충부재들을 삽입하여 상하로 유동하면서 진동을 감쇠시키는 구성을 가지므로 측량 작업 중 다리 자체가 상하로 흔들려 측량기기가 상하로 흔들릴 가능성이 있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600)는 다리부(100)의 길이방향 상에 직접 결합되어 있지 않아 다리부(100) 자체가 상하로 유동되지 않으므로 측량 작업 중 다리부(100) 자체가 흔들려 발생하는 측량기기의 흔들림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대 높이조절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대 높이조절부의 종단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대의 높이조절부(300)는 지지부(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케이스(310) 및 상기 높이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돌출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320)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그 상부에 결합된 안착부(400)가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높이케이스(310)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오일이 주입된다. 상기 돌출부(320)는 높이케이스(310)의 상단에 형성된 케이스홀(311)에 삽입되거나 또는 케이스홀(31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20)는 상하로 긴 원통형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돌출부(320)의 하단에는 돌출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확장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확장부(330)는 돌출부(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돌출부(320)의 하단에 나사 결합 등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확장부(330)의 외주면 직경은 높이케이스(310)의 내주면 직경과 동일하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확장부(330)의 외주면에는 슬리브(sleeve) 등이 결합되어 높이케이스(310)와의 사이에 기밀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확장부(330)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한 쌍의 관통홀(33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31)을 통해 높이케이스(310) 내부의 오일은 평상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20)에는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환형의 상단폐쇄링(340)이 삽입된다. 상기 상단폐쇄링(340)의 직경은 관통홀(331)을 충분히 덮을 수 있을 정도로 크게 형성되며, 상단폐쇄링(340)이 관통홀(331)의 상부를 폐쇄함에 따라 오일이 더 이상 유동하지 못한다.
상기 상단폐쇄링(340)은 자기장 안에서 자화될 수 있는 자성체(예를 들어, 철)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320)의 내부에는 영구자석(321)이 삽입된다. 영구자석(321)은 확장부(330)의 상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상부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즉, 상기 영구자석(321)이 확장부(33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단폐쇄링(340)은 평상시 관통홀(331)을 폐쇄하지 않고 확장부(330)의 상단으로 이격되어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330)의 하부에는 하단폐쇄판(35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하단폐쇄판(35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폐쇄판(350)의 직경은 관통홀(331)의 하단을 충분히 덮을 수 있을 정도로 크게 형성된다. 하단폐쇄판(350)이 관통홀(331)의 하부를 폐쇄함에 따라 오일이 더 이상 유동하지 못한다.
상기 하단폐쇄판(350)은 높이스프링(351)을 매개로 확장부(33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높이스프링(351)의 탄성력에 의해 평상시 확장부(330)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아래로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단폐쇄링(340)과 하단폐쇄판(350)은 평상시 관통홀(331)의 상단 또는 하단을 각각 막지않고, 확장부(330)의 상단 또는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오일이 관통홀(331)을 통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높이케이스(310)의 측부에는 유압펌프(360)로부터 높이케이스(310)의 내부에 유압이 가해질 수 있도록 상부주입구(312)와 하부주입구(313)가 형성된다. 상기 유압펌프(360)는 삼각제어부(210)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하부주입구(313)를 통해 높이케이스(310)의 하부에 유압이 가해지면, 하단폐쇄판(350)의 아래에 가해지는 유압이 높이스프링(351)의 탄성력보다 더 높아지고, 이에 따라 하단폐쇄판(350)은 확장부(330)의 하단에 밀착되어 관통홀(331)의 하단을 폐쇄한다.
상기 하단폐쇄판(350)에 의해 관통홀(331)의 하단이 폐쇄되어 있으므로 오일은 더 이상 관통홀(331)을 통해 유동되지 못하고, 확장부(330) 하부의 유압이 확장부(330) 상부의 유압보다 더 커짐에 따라 돌출부(320)는 전체적으로 상승된다.
반대로, 상기 상부주입구(312)를 통해 높이케이스(310)의 상부에 유압이 가해지면, 상단폐쇄링(340)의 위에 가해지는 유압이 자기력보다 더 강해지고, 이에 따라 상단폐쇄링(340)은 확장부(330)의 상단에 밀착되어 관통홀(331)의 상단을 폐쇄한다.
상기 상단폐쇄링(340)에 의해 관통홀(331)의 상단이 폐쇄되어 있으므로 오일은 더 이상 관통홀(331)을 통해 유동되지 못하고, 확장부(330) 상부의 유압이 확장부(330) 하부의 유압보다 더 커짐에 따라 돌출부(320)는 전체적으로 하강된다.
상기 돌출부(320)가 전체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됨에 따라 그 상부에 결합된 안착부(400) 역시 상승 또는 하강되고, 측량기기의 높이 또한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된다.
측량기기의 높이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도달하면, 상부주입구(312)와 하부주입구(313)를 통해 유압펌프(360)에서 동일한 유압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확장부(330) 상부와 하부의 유압이 같아져 돌출부(320)는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리부(100)의 길이 조절을 통한 안착부(400)의 높이 조절뿐만 아니라 높이조절부(300)가 상하로 이동하여 측량기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측량기기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도 자유로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대 안착부의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삼각대의 안착부(400)는 전체적으로 삼각형 판 형태로 형성되고, 돌출부(32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돌출부(3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400)의 하면에는 회전베어링(410)의 외주면이 압입되어 있으며, 회전베어링(410)의 내주면에는 돌출부(320)의 상단이 압입되어 있으므로 안착부(400)는 돌출부(3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돌출부(320)는 높이케이스(310)에 키 등이 결합되어 회전되지 않고 상하로만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320)의 외주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고정기어(420)가 고정 결합된다. 상기 고정기어(42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되며, 고정기어(420)의 기어치는 제1기어(430)와 맞물린다.
상기 제1기어(430)는 안착부(400)의 하면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기어(430)의 하면은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기어(430)의 원추형으로 형성된 하면에는 제2기어(440)가 맞물려 결합된다.
상기 제2기어(440)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제1기어(430)와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기어(440)는 회전모터(450)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회전모터(450)는 안착부(400)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회전모터(450)는 지지부(200)에 내장된 삼각제어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된다.
이러한 삼각제어부(210)의 전기적인 연결구조는 통상적인 기술이고 본 발명의 핵심구성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지지부(200)의 일측에는 배터리 등이 내장되어 삼각제어부(210)를 통해 각 부품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회전모터(450)를 작동시키면, 회전모터(450)에 연결된 제2기어(440)가 회전되고, 제2기어(440)가 회전되면 제2기어와 직교하도록 결합된 제1기어(430)가 회전된다. 상기 제1기어(430)는 고정기어(420)와 맞물려 있으므로 고정기어(420)를 회전시키고자 하지만, 고정기어(420)는 돌출부(3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기어(430) 자기 자신이 고정기어(42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제1기어(430), 제2기어(440) 및 회전모터(450)는 고정기어(420)를 중심에 두고 자전과 동시에 공전하게 되고, 제1기어(430) 및 회전모터(450)가 안착부(400)의 하면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안착부(400)는 돌출부(320) 및 회전베어링(410)을 중심으로 수평 회전한다.
상기 회전모터(450)가 정방향으로 작동하면 안착부(400) 역시 한 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시계방향)하고, 상기 회전모터(450)가 역방향으로 작동하면 안착부(400)는 반대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반시계방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안착부(400)의 하면에 회전모터(450) 등을 설치하여 안착부(400)가 수평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측량기기의 방향 전환시 흔들리지 않고 정확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대 접지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삼각대의 접지부(500)는 하부다리(130)의 하단에 결합되며,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 접지케이스(510)를 포함한다. 상기 접지케이스(510)의 하면에는 접지봉(530)이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단면 'ㄷ'자 형상의 승강홈(511)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접지케이스(510)의 내부에는 접지봉(53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되는 승강실린더(520)가 내장된다. 상기 승강실린더(520)는 삼각제어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520)가 상부를 향해 축소되면 접지봉(530)은 승강홈(511) 내부에 수용되고, 승강실린더(520)가 하부를 향해 신장되면 접지봉(530)은 승강홈(511)으로부터 노출되어 접지케이스(510)의 하면 아래까지 연장된다.
즉, 상기 승강실린더(520)가 최대로 전개되었을 때 접지봉(530)의 최하단은 접지케이스(510)의 하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아래에 위치하고, 승강실린더(520)가 최대로 축소되었을 때 접지봉(530)의 최하단은 접지케이스(510)의 하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위에 위치하여 승강홈(511)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다.
상기 접지케이스(510)의 하면에는 마찰부(540)가 결합된다. 상기 마찰부(540)는 접지봉(530)이 승강홈(511) 내부에 수납되었을 때,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여 다리부(100)가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부(540)는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 수지 70 내지 75 중량부, 소포제 4 내지 5 중량부, 평활제 4 내지 5 중량부, 경화제 30 내지 40 중량부가 혼합된 혼합물과 에머리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부(540)는 폴리우레탄 수지에 투명 아크릴 수지가 혼합된 투명한 합성수지 혼합물에 에머리가 혼합되어, 미끄럼 방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내마모성은 물론 방수성까지 담보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540)는 43 내지 48N 정도의 마찰력을 갖게 되어 각 다리부(100)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지부(500)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쇠(550)가 추가로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쇠(550)는 접지케이스(510)의 측부에 장착된 고정브라켓(551)에 줄을 매개로 연결되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사용자는 평상시 고정쇠(550)를 고정브라켓(551)에 감아놓은 상태로 보관하다가, 측량 작업을 실시할 때 고정쇠(550)를 뽑아내어 지면에 추가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쇠(550)가 지면에 추가로 고정됨에 따라 삼각대의 미세한 이동이나 자세 변형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쇠(550)는 접지봉(530)과 마찬가지로 지면에 삽입하기에 적절한 소재, 예를 들어 금속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쇠(550)는 한 쌍으로 장착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3개 이상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접지봉(530)이 접지케이스(510)의 내부로 진입하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흙과 같이 접지봉(530)을 지면에 삽입하기에 적절한 환경에서는 접지봉(530)을 지면에 삽입하여 삼각대가 고정되도록 하고,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또는 실내 등과 같이 접지봉(530)을 지면에 삽입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접지봉(530) 대신 마찰부(540)가 지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삼각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대 완충부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대의 완충부(600)는 내부에 오일이 수용된 원통형의 완충케이스(610) 및 완충케이스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완충판(620)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판(620)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오일의 댐핑력에 의해 다리부(100)에 가해지는 진동이 감쇠된다. 상기 완충판(620)의 상부에는 완충판과 함께 상하로 이동 가능한 완충로드(630)가 수직으로 연장되고, 완충로드(630)는 전달바(640)를 통해 다리부(100)에 연결된다.
상기 전달바(640)는 일단이 고정구(1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완충로드(63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전달바(640)에 의해 다리부(100)에 가해지는 진동은 완충로드(630)로 전달되고, 완충로드(630)가 진동함에 따라 완충판(620)이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종래 대부분의 완충장치가 다리의 길이방향에 장착되어 다리가 상하로 유동하면서 진동을 감쇠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측량 작업 중에도 측량기기가 흔들릴 가능성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은 전달바(640)를 통해 다리부(100)와 이격된 별도의 완충부(600)에서 진동을 감쇠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측량기기가 진동에 의해 흔들릴 가능성을 현저히 낮추는 효과가 있다.
상기 완충판(620)에는 오일이 유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완충홀(62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완충판(620)의 외주면에는 완충케이스(610)와의 기밀을 더 높이기 위해 슬리브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완충홀(621)과 인접한 완충판(620)의 상부면에는 오일의 압력에 따라 완충홀(621)의 상단 일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지니는 한 쌍의 상부날개(622)가 결합된다. 상기 상부날개(622)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날개(622)의 일단은 완충판(620)의 상부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부 방향으로 만곡되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날개(622)는 평상시 상부 방향으로 활처럼 휘어 완충홀(621)을 개방하고 있다.
만약, 상기 완충판(620)이 상부로 급격하게 이동하여 오일의 압력이 아래 방향으로 강하게 작용하면 상부날개(622)는 완충홀(621)의 상단을 일부 덮어 오일의 유동량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댐핑력은 더욱 증대된다. 이때에도 상기 상부날개(622)는 완충홀(621)의 상단을 완전히 덮지는 않는다.
상기 완충판(620)이 상부로 스무스하게 이동하여 오일의 압력이 아래 방향으로 약하게 작용하면, 상부날개(622)는 완충홀(621)의 상단을 거의 덮지 않고 오일의 유동량이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다리부(100)에 가해지는 진동의 양에 대응하여 완충부(600)의 댐핑력이 가변될 수 있으므로 각 상황에 맞추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완충홀(621)과 인접한 완충판(620)의 하부면에는 오일의 압력에 따라 완충홀(621)의 하단 일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지니는 한 쌍의 하부날개(623)가 결합된다. 상기 하부날개(623)는 상부날개(622)와 마찬가지로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날개(622)와 대칭되도록 하부날개(623)의 일단은 완충판(620)의 하부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 방향으로 만곡되어 호(弧) 형상으로 형성된다. 평상시 하부날개(623)는 완충홀(621)의 하단을 폐쇄하지 않는다.
상기 완충판(620)이 하부로 급격하게 이동하여 오일의 압력이 위 방향으로 강하게 작용하면, 하부날개(623)는 완충홀(621)의 하단 일부를 덮어 댐핑력을 증대시키고, 완충판(620)이 하부로 스무스하게 이동하면 완충홀(621)의 하단을 거의 덮지 않고 오일의 유동량이 증가하도록 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300)의 돌출부(320)가 상하로 이동하여 안착부(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측량기기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측량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부(400)의 하면에 회전모터(450) 등을 설치하여 안착부(400)가 수평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측량기기의 방향 전환시 흔들리지 않고 정확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접지봉(530)이 접지케이스(510)의 내부로 진입하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접지봉(530)이 삽입될 수 없는 딱딱한 지면이나 실내에서도 삼각대가 쓰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다리부(100)의 측부에 완충부(600)를 연결하여 다리부(100)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 완충부(600)로 전달되어 감쇠될 수 있으므로 측량기기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PS 위치보정단말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PS 위치보정단말이 구비하는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NMEA(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데이터는 해양관련 장비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표준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GPS장치의 NMEA0183 프로토콜이 국제표준으로 되어있어, 대다수의 GPS 장치들이 NMEA0183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있다.
NMEA 데이터는 ASCII 코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장은 '$'표시로 시작, 캐리지 리턴, 라인피드(<cr><lf>)로 끝을 표기하며, 데이터는 컴마(,)로 구분되고, 모든 컴마는 꼭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메시지 ID 중 GPS 수신기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GGA와, GPS 위성의 활동에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GSA와, GPS 위성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GSV와, GGA에 있는 최소한의 정보를 나타내는 RMC와, 속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VTG와, 시간과 날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ZDA로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PS 위치보정단말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이는 GPS 위성으로부터 유효한 NMEA(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는 핫 스타트(Hot Start)와 리액큐이서션(Reacquisition Time)시, 다시 유효한 NMEA 데이터를 획득할 때까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NMEA 데이터의 X축(경도)과 Y축(위도)을 보완해 주는 GPS 보정단말기(700)는 기준국(A)의 제어부(A2)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GPS 보정단말기(700)는 디스플레이부(710), GPS 모듈(720), 저잡음증폭부(LAN)(730), 가속도센서(740),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50), 송신부(76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10)는 GPS 위성(G)으로부터 수신받은 현재 위치와 시간, 그리고, 보정연산된 좌표값과 고도 데이터를 표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LCD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GPS 모듈(720)은 GPS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와 시간을 수신받아 RS 232 포트를 통해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으로 전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GPS 모듈(720)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으로 NMEA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RS 232포트를 통해 연결한다. 즉, GPS 모듈(720)의 8번 핀 TX0에서 NMEA 데이터가 출력되므로, 이 신호를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의 RS 232 데이터 입력핀과 연결시킨다. 또한, GPS 모듈(720)의 시그널 레벨이 +1.8V 즉, '1'로 인식하는 레벨이 +1.8V 이므로 레벨 쉬프트를 통해 호스트 프로세서가 알 수 있게 인터페이스한다. 즉, GPS 모듈(720)의 NMEA 출력단자(NMEA_TX)에 3 상태 버퍼(74AHC125)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저잡음증폭부(LAN)(730)는 GPS 모듈(720) 일측에 연결되어, 900~4000MHz의 동작주파수 범위를 통해 수신율을 조건에 따라 +14dB까지 증폭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RF2370 IC가 구성되어 900~4000MHz의 동작주파수 범위를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가속도센서(740)는 GPS 보정단말기(700)의 X축과 Y축에 관한 2축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ADXL311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ADXL311센서는 3.3V에서도 동작이 가능한 저전력 센서이고, X축과 Y축에 관한 2축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며, 그 출력신호는 가속도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ADXL311의 X축 출력단자(XOUT)가 센싱저항 R26을 통해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의 X축 가속도 입력단자와 연결되고, ADXL311의 Y축 출력단자(YOUT)가 센싱저항 R27을 통해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의 Y축 가속도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750)은 GPS 모듈(720)로부터 좌표값과 고도 데이터를 전송받고, 가속도센서로부터 GPS 보정단말기(700)의 X축과 Y축에 관한 2축의 가속도 데이터를 전송받아, 핫 스타트(Hot Start)와 리액큐이서션(Reacquisition Time)시, NMEA 데이터의 X축과 Y축을 보정연산해주고, 보정연산된 좌표값과 고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710)에 표출시키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ATmel AVR128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RS 232 데이터 입력핀에 GPS 모듈(720)의 8번 핀 TX0가 연결되어, NMEA 데이터가 입력되고, X축 가속도 입력단자에 가속도센서(740)의 X축 출력단자(XOUT)가 센싱저항 R26을 통해 연결되어 X축 가속도 변환 데이터가 입력되고, Y축 가속도 입력단자에 가속도센서(740)의 Y축 출력단자(YOUT)가 센싱저항 R27을 통해 연결되어 Y축 가속도 변환 데이터가 입력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750)은 시스템 구조 중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층(APP layer)에 메인 태스크부(751), GPS 태스크부(752), 센서 태스크부(753)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태스크부(751)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초기화를 담당하고, 디바이스들을 초기화시켜서, GPS 모듈(720)로부터 입력받은 NMEA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UART를 통해 NMEA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GPS 태스크부(752)는 GPS 모듈로부터 NMEA 데이터를 수신받아 각 정보들을 파싱하여 변수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센서 태스크부(753)는 평상시에 대기 태스크 상태로 있다가 GPS로부터 유효한 NMEA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했을 경우 메인 태스크부의 동작신호로 인해 가속도센서부의 동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센서 태그부(753)는 가속도센서부(740)로부터 입력되는 값을 ADC 포트를 이용해 디지털 값을 받는다. 상기 송신부(160)는 보정연산된 좌표값과 고도 데이터를 RS 232포트를 통해 PC로 전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GPS와 가속도센서를 통합한 위치보정방법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마이크로컨트롤유닛(750)에서 가속도센서부(740)로부터 GPS 보정단말기(700)의 X축과 Y축에 관한 2축의 가속도 데이터를 전송받는다(S100). 이어서, 마이크로컨트롤유닛(750)에서 전송받은 2축의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X축과 Y축의 진행속도를 추출한다(S200). 이어서, 핫 스타트(Hot Start)와 리액큐이서션(Reacquisition Time)시, X축의 위치가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300). 이어서, X축의 위치가 변화되면, 경도와 위도의 속도를 보정한다(S400). 끝으로, 경도와 위도의 속도를 진행방향에 따라 보정한다(S500).
위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GPS 보정값을 산출함에 있어서, GPS 보정단말기를 이용하여 전력소모가 적고, GPS 수신율을 높일 수 있고, 실시간으로 위치보정을 통해 정확한 좌표값과 고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어, 기존의 GPS 수신기에 비해 보정값의 정확성을 높이고, 이와 같이 정확성이 담보된 GPS 보정값을 이용하여 측지측량을 하게 되므로, 측지측량 데이터의 신뢰성 및 정밀도를 담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다리부 110 : 상부다리 111 : 연장부재
120 : 고정구 130 : 하부다리 200 : 지지부
210 : 삼각제어부 300 : 높이조절부 310 : 높이케이스
311 : 케이스홀 312 : 상부주입구 313 : 하부주입구
320 : 돌출부 321 : 영구자석 330 : 확장부
331 : 관통홀 340 : 상단폐쇄링 350 : 하단폐쇄판
351 : 높이스프링 360 : 유압펌프 400 : 안착부
410 : 회전베어링 420 : 고정기어 430 : 제1기어
440 : 제2기어 450 : 회전모터 500 : 접지부
510 : 접지케이스 511 : 승강홈 520 : 승강실린더
530 : 접지봉 540 : 마찰부 550 : 고정쇠
551 : 고정브라켓 600 : 완충부 610 : 완충케이스
620 : 완충판 621 : 완충홀 622 : 상부날개
623 : 하부날개 630 : 완충로드 640 : 전달바
700 : GPS 보정단말기 710 : 디스플레이부
720 : GPS 모듈 730 : 저잡음증폭부(LAN)
740 : 가속도센서 750 :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
760 : 송신부 751: 메인 태스크부
752: GPS 태스크부 753: 센서 태스크부

Claims (3)

  1. 절대위치값을 가지며 GPS 위성(G)으로부터의 위치값을 수신하여 이를 상호 연산하여 GPS 보정값을 출력하고, 출력된 GPS 보정값을 외부로 무선출력하는 기준국(A); 삼각대의 안착부에 장착되어 측정점에 거치되며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측정,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산출해 표시 및 저장하는 기능 및 유무선 통신기능을 갖는 기준측량기(B); 상기 기준측량기(B)의 측량기기(T)로부터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측정 및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유무선으로 수신하는 측지데이터처리장치(C)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삼각대는, 다수의 다리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부(200);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상하로 신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높이조절부(300);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측량기기(T)가 안착되는 안착부(400);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지면에 삽입되는 접지봉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접지부(500); 및 상기 다리부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며 다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완충부(600);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100)는,
    그 상단이 지지부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며, 한 쌍의 연장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다리(110); 상기 상부다리의 하부에 배치되어 한 쌍의 연장부재 사이로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다리(130); 및 상기 상부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부다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구(120);를 구비하고,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오일이 주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내부가 비어 있는 높이케이스(310); 상기 높이케이스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그 상단이 높이케이스에 형성된 케이스홀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 돌출부(320); 상기 돌출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높이케이스의 내주면과 동일한 크기의 외주면을 가져 높이케이스의 내주면에 접하는 확장부(330); 상기 확장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오일이 유동하는 한 쌍의 관통홀(331); 상기 돌출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관통홀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환형의 상단폐쇄링(340); 상기 확장부의 하부에 높이스프링을 매개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관통홀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하단폐쇄판(350); 및 상기 높이케이스와 연결되어 높이케이스 내부의 오일에 압력을 가하는 유압펌프(360); 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는 확장부의 상단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상부로 이격하여 영구자석(321)이 삽입되고, 상기 상단폐쇄링(340)은 자성체로 이루어져 영구자석에 의해 상단폐쇄링이 확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단폐쇄판(350)은 높이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확장부의 하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유압펌프(360)에 의해 높이케이스의 하부에 유압이 가해지면 하단폐쇄판이 확장부의 하단에 밀착되어 관통홀(331)의 하단을 폐쇄함으로써 유압 차에 의해 돌출부(320)가 전체적으로 상승되며, 상기 유압펌프(360)에 의해 높이케이스(310)의 상부에 유압이 가해지면 상단폐쇄링(340)이 확장부(330)의 상단에 밀착되어 관통홀(331)의 상단을 폐쇄함으로써 유압 차에 의해 돌출부(320)가 전체적으로 하강되고, 상기 유압펌프(360)에 의해 높이케이스(310)의 상부와 하부에 동일한 유압이 가해지면 돌출부(320)가 높이를 유지하며,
    상기 안착부(400)는,
    그 내주면에 돌출부의 상단이 압입되고 외주면이 안착부의 하면에 압입되어 안착부가 돌출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베어링(410);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고정 결합되는 고정기어(420); 상기 고정기어에 맞물려 결합되고 하면이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안착부의 하면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1기어(430); 상기 제1기어의 하면에 직교하도록 맞물려 결합되는 원추형 제2기어(440); 및 상기 제2기어를 축 회전시키며 안착부의 하면에 고정되는 회전모터(450); 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모터(450)는 지지부(200)에 내장된 제어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되고, 상기 회전모터(450)가 구동됨에 따라 제2기어(440)가 회전되어 제1기어(430)가 고정기어(42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안착부(400)가 회전하며,
    상기 접지부(500)는,
    상기 하부다리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면에 접지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승강홈이 형성된 접지케이스(510); 상기 접지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며 접지봉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되는 승강실린더(520); 및 상기 접지케이스의 하면에 결합되는 마찰부(540); 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실린더(520)가 최대로 전개되었을 때 접지봉(530)의 최하단은 접지케이스(510)의 하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아래에 위치하고, 승강실린더(520)가 최대로 축소되었을 때 접지봉(530)의 최하단은 접지케이스(510)의 하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위에 위치하여 승강홈(511)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600)는,
    내부에 오일이 수용된 원통형의 완충케이스(610);
    상기 완충케이스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완충판(620);
    상기 완충판의 상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며 완충판과 함께 상하로 이동 가능한 완충로드(630); 및
    일단이 상기 고정구(1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완충로드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달바(640); 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판(620)에는 오일이 유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완충홀(62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완충홀과 인접한 완충판(620)의 상부면에는 오일의 압력에 따라 완충홀의 상단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지니는 한 쌍의 상부날개(622)가 결합되며, 상기 완충홀과 인접한 완충판(620)의 하부면에는 오일의 압력에 따라 완충홀의 하단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지니는 한 쌍의 하부날개(623)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날개(622)는 그 일단이 완충판(620)의 상부면에 고정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부 방향으로 만곡되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하부날개(623)는 그 일단이 완충판(620)의 하부면에 고정 결합되며 그 타단은 하부 방향으로 만곡되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PS 보정값은 기준국(A)의 제어부(A2)가 포함하는 GPS 보정단말기(100)로부터 생성되되,
    상기 GPS 보정단말기(100)는,
    GPS 위성(G)으로부터 유효한 NMEA(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는 핫 스타트(Hot Start)와 리액큐이서션(Reacquisition Time)시, 다시 유효한 NMEA 데이터를 획득할 때까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NMEA 데이터의 X축(경도)과 Y축(위도)을 보완해 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710), GPS 모듈(720), 저잡음증폭부(LAN)(730), 가속도센서(740), 마이크로컨트롤유닛(750), 송신부(7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750)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초기화를 담당하고, 디바이스들을 초기화시켜서, GPS 모듈로부터 입력받은 NMEA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UART를 통해 NMEA 데이터를 전달하는 메인 태스크부(751)와, GPS 모듈로부터 NMEA 데이터를 수신받아 각 정보들을 파싱하여 변수에 저장하는 GPS 태스크부(752)와, 평상시에 대기 태스크 상태로 있다가 GPS로부터 유효한 NMEA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했을 경우 메인 태스크부의 동작신호로 인해 가속도센서부의 동작시키는 센서 태스크부(753)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시스템.
KR1020180158157A 2018-12-10 2018-12-10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 KR101946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157A KR101946401B1 (ko) 2018-12-10 2018-12-10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157A KR101946401B1 (ko) 2018-12-10 2018-12-10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401B1 true KR101946401B1 (ko) 2019-02-11

Family

ID=65369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157A KR101946401B1 (ko) 2018-12-10 2018-12-10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40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3965A (zh) * 2019-09-05 2019-12-03 邢台职业技术学院 一种电子工程教学用使用的智能型教学设备
KR102098015B1 (ko) * 2019-12-26 2020-04-07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지피에스를 이용한 기준표시 장치에 따른 측지측량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
CN112460438A (zh) * 2020-12-11 2021-03-09 衢州职业技术学院 基于多场景应用的增稳摄影三脚架
KR102304552B1 (ko) * 2021-05-14 2021-09-27 한국공간정보(주)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13446477A (zh) * 2021-06-29 2021-09-28 东北林业大学 一种道路交通环境安全信息远程监测装置
KR102344961B1 (ko) * 2021-07-02 2021-12-30 주식회사 지오앤 도로경계선 측량을 통해 gis를 구축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N114544055A (zh) * 2021-12-29 2022-05-27 江苏兰菱机电科技有限公司 大功率磁滞测功机
CN114623333A (zh) * 2022-03-07 2022-06-14 杨清文 一种用于矿山地质环境的监测装置及其监测方法
CN114623330A (zh) * 2022-02-21 2022-06-14 黄丽丽 一种便于调节的纺织机械用缓冲支撑装置及调节方法
CN117108129A (zh) * 2023-10-19 2023-11-24 山东省国土测绘院 一种水利测绘gnss接收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793B1 (ko) 2012-05-09 2012-10-10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기준점기반 지형지물의 측지측량 처리시스템
KR101223175B1 (ko) 2012-04-19 2013-01-17 주식회사 동운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지형구조물의 위치별 측지측량 데이터를 갱신하는 측량시스템
KR101490312B1 (ko) 2014-05-23 2015-02-06 천우항측 주식회사 지형변화를 감지해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
KR101789211B1 (ko) 2017-07-24 2017-10-26 (주)인화엔지니어링 측지측량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삼각대 자동 수평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175B1 (ko) 2012-04-19 2013-01-17 주식회사 동운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지형구조물의 위치별 측지측량 데이터를 갱신하는 측량시스템
KR101189793B1 (ko) 2012-05-09 2012-10-10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기준점기반 지형지물의 측지측량 처리시스템
KR101490312B1 (ko) 2014-05-23 2015-02-06 천우항측 주식회사 지형변화를 감지해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
KR101789211B1 (ko) 2017-07-24 2017-10-26 (주)인화엔지니어링 측지측량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삼각대 자동 수평조절 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3965A (zh) * 2019-09-05 2019-12-03 邢台职业技术学院 一种电子工程教学用使用的智能型教学设备
KR102098015B1 (ko) * 2019-12-26 2020-04-07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지피에스를 이용한 기준표시 장치에 따른 측지측량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
CN112460438A (zh) * 2020-12-11 2021-03-09 衢州职业技术学院 基于多场景应用的增稳摄影三脚架
KR102304552B1 (ko) * 2021-05-14 2021-09-27 한국공간정보(주)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13446477A (zh) * 2021-06-29 2021-09-28 东北林业大学 一种道路交通环境安全信息远程监测装置
KR102344961B1 (ko) * 2021-07-02 2021-12-30 주식회사 지오앤 도로경계선 측량을 통해 gis를 구축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N114544055A (zh) * 2021-12-29 2022-05-27 江苏兰菱机电科技有限公司 大功率磁滞测功机
CN114623330A (zh) * 2022-02-21 2022-06-14 黄丽丽 一种便于调节的纺织机械用缓冲支撑装置及调节方法
CN114623330B (zh) * 2022-02-21 2024-01-19 福建捷高纺织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的纺织机械用缓冲支撑装置及调节方法
CN114623333A (zh) * 2022-03-07 2022-06-14 杨清文 一种用于矿山地质环境的监测装置及其监测方法
CN114623333B (zh) * 2022-03-07 2024-02-20 李春艳 一种用于矿山地质环境的监测装置及其监测方法
CN117108129A (zh) * 2023-10-19 2023-11-24 山东省国土测绘院 一种水利测绘gnss接收器
CN117108129B (zh) * 2023-10-19 2024-01-09 山东省国土测绘院 一种水利测绘gnss接收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401B1 (ko)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
KR101946400B1 (ko) Rtk 제어측량을 이용한 측지측량시스템
Shala et al. Indoor positioning using sensor-fusion in android devices
EP1806559A1 (en) Surveying procedure and system for a high-rise structure
US9522809B2 (en) Determining a crane tilt angle
KR101949726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 장치
US20130133421A1 (en) Differential altitude measurment
US201502337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accuracy in determining altitude from pressure
US100544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vertical orientations of devices for constraint free portable navigation
KR20100120225A (ko) 지오포지셔닝 및 로컬 모드를 구현하는 트래킹
JP2008516250A (ja) 測位システム
MX2010001604A (es) Metodo y aparato para la inicialización de una herramienta de inspección del agujero del pozo.
KR102035044B1 (ko) 왜곡 영상의 정밀한 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 시스템
KR101896061B1 (ko) 은폐된 지형지물을 정밀하게 촬영하는 항공촬영시스템
US20120270566A1 (en) Weather prediction for pressure sensor
JP6849950B2 (ja) 地上基準点装置およびsar測地システム
KR101659938B1 (ko)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AU2019391004A1 (en) Autonomous mowe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CA2893361C (en) Determination of initial tool orientation
CN212206068U (zh) 一种低空无人机摄影测量装置
JP2022533675A (ja) リアルタイムキネマティックとグローバル衛星測位を備えた地下ライン測位システム
KR101698798B1 (ko) 기준점 측량을 위한 관측지역의 gps 관측시스템
KR101848327B1 (ko) 항공촬영데이터의 왜곡을 보정하고 수정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309902B1 (ko)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하여 기준점 기반 지형지물 측지측량 작업이 가능한 측지측량시스템
KR102336835B1 (ko) 국가기준점을 이용하는 측량 작업의 정밀도를 현저히 향상시킨 측지측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