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552B1 -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552B1
KR102304552B1 KR1020210062359A KR20210062359A KR102304552B1 KR 102304552 B1 KR102304552 B1 KR 102304552B1 KR 1020210062359 A KR1020210062359 A KR 1020210062359A KR 20210062359 A KR20210062359 A KR 20210062359A KR 102304552 B1 KR102304552 B1 KR 102304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upled
image
unit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김현동
정학수
장성욱
Original Assignee
한국공간정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간정보(주) filed Critical 한국공간정보(주)
Priority to KR1020210062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16F15/02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comprising control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영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DB 및 저장DB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도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도화 작업 중 이미지 이동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이미지 이동 구성의 내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쾌적한 환경에서 이미지 이동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공간영상 이미지의 자동 도화가 가능한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AUTOMATICALLY DRAWING OPTIMAL SPATIAL IMAGE BY COMPARISON OF COLLECTED IMAGES}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와 소프트웨어의 발전, 정밀 광학 기계 및 레이저 계측기기의 발달 등으로 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하게 되면서 관련 기술들이 꾸준히 발전하여 종래 아날로그 방식의 지도 제작은 디지털 방식의 지도 제작으로 급속히 바뀌고 있다.
지도 제작에 있어서 도화란 지리정보를 근거로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의 지도를 도시하는 작업을 지칭하는 것으로, 디지털 출력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근래에는 디지털 이미지 또는 3차원 그래픽 이미지로 도시할 수 있게 되면서 실사와 같다는 의미로 공간영상도화라고도 불린다.
이와 같이 공간영상도화 기술이 발달하면서 보다 사실적이고 정밀한 지도제작이 가능해졌으며, 지형 및 지리정보의 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정보의 갱신이 용이해졌다.
이러한 발달에 따라 오늘날 지리정보는 대중적인 정보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정확성과 갱신효율이 크게 향상되면서 그 활용에 대한 신뢰도까지 높은 유용한 정보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도화기의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일반적인 도화기는 중앙처리장치(40), 영상장치(10) 및 입력장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장치에는 마우스(20)나 풋 휠(60) 또는 핸드휠 장치(30) 등이 포함된다.
입력장치 중 핸드휠 장치(30)는 공간영상 이미지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종래의 핸드휠 장치(30)는 공간영상 이미지의 X축 또는 Y축 이동만 가능하고, Z축 이동시에는 풋 휠(60)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함께 편집명령어를 선택할 때는 마우스(20)를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 일반적인 도화기에서는 풋 휠(60)을 사용할 시, 사용자가 원형의 발판을 발을 이용하여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풋 휠(60)의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공간영상 이미지를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화 작업 중 이미지 이동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이미지 이동 구성의 내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쾌적한 환경에서 이미지 이동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공간영상 이미지의 자동 도화가 가능한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공간영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DB; 및 저장DB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도화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도화기는, 도화기에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 저장DB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유닛; 입력유닛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이미지의 위치를 이동하는 이미지위치제어모듈; 및 입력유닛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도화이미지에 객체를 자동도화하는 도화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입력유닛은, 풋수용홈을 구비한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좌우이동부;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높낮이부; 높낮이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 회전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평판; 및 수평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4개의 공기완충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은, 후측이 개구된 풋수용홈, 후측이 풋수용홈과 연통되어 풋수용홈의 전방에 구비되는 망수용홈을 구비한 본체; 본체의 풋수용홈 좌측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미지가 이동하도록 이미지위치이동신호를 이미지위치제어모듈에 입력하는 제1버튼; 본체의 풋수용홈 우측에 설치되어 타방향으로 이미지가 이동하도록 이미지위치이동신호를 이미지위치제어모듈에 입력하는 제2버튼; 본체의 망수용홈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람통과망; 본체의 망수용홈에 설치되어 바람통과망을 후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 본체의 망수용홈에 설치되어 바람통과망과 접촉시 팬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 및 바람통과망의 전방에 위치하게 본체에 설치되어 감지센서로부터 팬구동신호를 수신하면 후방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팬;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좌우이동부는,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의 본체 내부에 결합되며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홀이 형성되는 좌우케이스; 좌우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 한 쌍의 슬라이딩부에 각각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한 쌍의 좌우로드부; 한 쌍의 좌우로드부의 중앙에 결합되는 금속 소재의 중앙금속부; 중앙금속부의 상부로 연장되며 이동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하로드부; 좌우케이스의 내부 하단 중앙에 결합되며 자성을 띠는 중앙자석; 중앙자석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하여 배치되며 자성을 띠는 한 쌍의 좌우자석; 좌우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홀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레일; 및 상하로드부의 측부에 결합되며 한 쌍의 이동레일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레일이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자석은 한 쌍의 좌우자석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큰 자성을 띠고, 평상시 중앙금속부는 중앙자석에 의해 가해지는 자기력에 의해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하로드부가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좌우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중앙금속부도 일측으로 이동하고, 상하로드부가 다시 중앙으로 복귀하면 상대적으로 큰 자성을 띠는 중앙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중앙금속부가 중앙으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회전부는, 수평판의 상부에 결합된 돌출부의 상단에 압입된 회전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판; 돌출부의 상부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고정 결합되는 고정기어; 고정기어에 맞물려 결합되고 하면이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회전판의 하면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1기어; 제1기어의 하면에 직교하도록 맞물려 결합되는 원추형 제2기어; 및 제2기어를 축 회전시키며 회전판의 하면에 고정되는 수평회전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회전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제2기어가 회전되어 제1기어가 고정기어의 둘레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회전판이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공기완충부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공기하우징; 공기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상하로 공기홀이 형성되는 공기유동부; 공기홀의 상단에 결합되며 탄성력을 지니는 한 쌍의 공기개폐부; 공기유동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공기홀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링 형태의 공기링; 및 공기유동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하우징과 공기유동부는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공기링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부하우징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공기개폐부의 하단에는 공기홀의 상단 내측벽에 접촉되어 공기개폐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접촉지지단부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공기하우징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공기링은 진동되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가 진동되어 공기개폐부가 개방되며, 상부하우징의 통기공, 공기홀 및 충진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수집 영상이미지를 비교하여 신규 객체를 기존 도화이미지에 도화함으로써, 정확한 도화이미지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를 위치 이동하기 위해 발의 좌우 이동을 통해 제1,2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미지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으므로 발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어 편리하게 도화 작업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풋수용홈에 발을 수용하기 때문에, 도화 작업 시 외부 충격으로 발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화 작업 중 풋수용홈을 통풍시켜 풋수용홈 내부의 습도 및 온도를 낮춤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도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제1,2버튼을 습도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통과망이 바람은 통과시키면서 작업자의 발이 송풍팬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여, 풋수용홈의 내부를 쾌적하게 하면서 작업자의 발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발을 이동하던 중 바람통과망과 접촉하더라도 바람통과망이 스프링에 의해 완충되어, 작업자가 발을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감지센서가 본체의 망수용홈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발이 이동하면서 감지센서를 터치하여, 감지센서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도화기의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유닛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의 평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X-X'선 단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우이동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우이동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완충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은 저장DB(100)와, 저장DB(100)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도화기(200)를 갖춘다.
상기 저장DB(100)는 공간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110)와,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120)를 갖춘다.
상기 도화기(200)는 입력유닛(210)과, 디스플레이유닛(220)과, 이미지위치제어모듈(230) 및, 도화모듈(240)을 갖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위치제어모듈(230) 및 도화모듈(240)은 별도의 중앙처리장치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유닛(210)는 도화기(200)에 신호를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유닛(2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우스(20)와, 핸드휠(30)을 갖추며, 키보드와 같은 입력수단을 갖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입력유닛(210)은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211)을 더 갖춘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20)은 저장DB(100)의 이미지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유닛(220)은 도 1과 같이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위치제어모듈(230)은 입력유닛(210)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이미지의 위치를 이동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위치제어모듈(230)은 제1,2버튼(211b,211c)으로부터의 이미지위치이동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유닛(220)에 출력된 이미지의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 도화모듈(240)은 입력유닛(210)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도화이미지에 객체를 자동도화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도화기(200)는 상기에서 언급한 구성 외에 기본적인 도화를 위한 다양한 구성을 더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유닛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유닛(210)은, 풋수용홈(211a1)을 구비한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211),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2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좌우이동부(400),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211)의 하부에 결합되는 높낮이부(500), 높낮이부(5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600), 회전부(6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평판(670) 및 수평판(670)의 하부에 결합되는 4개의 공기완충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211)은 사용자의 발(F)이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는 발을 좌우로 움직여서 이미지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으므로 발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400)는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211)의 내부 하부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발(F)이 삽입되었을 때 발 아래에 배치된다. 즉, 사용자는 발을 좌우이동부(400) 위에 두고 용이하게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높낮이부(500)는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211)의 하부에 결합되며,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211)을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한 높이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회전부(600)는 높낮이부(5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211)을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한 각도에 배치하기 위한 구성이다.
4개의 공기완충부(300)는 수평판(670)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면으로부터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211)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쇠시켜 보다 정확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좌우이동부(400), 높낮이부(500), 회전부(600) 및 공기완충부(3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의 평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X-X'선 단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211)은 본체(211a)와, 제1버튼(211b)과, 제2버튼(211c)과, 바람통과망(211d)과, 스프링(211e)과, 감지센서(211f)와, 송풍팬(211g) 및, 미끄럼방지패널(211h)을 갖춘다.
상기 본체(211a)는 후측이 개구된 풋수용홈(211a1)과, 후측이 풋수용홈(211a1)과 연통되어 풋수용홈(211a1)의 전방에 구비되는 망수용홈(211a2)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망수용홈(211a2)의 양측에는 내측으로 개구된 스프링설치홈(h)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풋수용홈(211a1)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F)이 삽입될 시, 발(F)의 움직임이 편리하도록 한다.
상기 제1버튼(211b)은 본체(211a)의 풋수용홈(211a1) 좌측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유닛(220) 상에서 일방향으로 이미지(공간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가 이동하도록 이미지위치이동신호를 이미지위치제어모듈(230)에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버튼(211b)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이동량이 변화된다.
상기 제2버튼(211c)은 본체(211a)의 풋수용홈(211a1) 우측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유닛(220) 상에서 타방향으로 이미지(공간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가 이동하도록 이미지위치이동신호를 이미지위치제어모듈(230)에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버튼(211c)의 누르는 횟수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이동량이 변화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2버튼(211b,211c)이 눌리면 디스플레이유닛(220) 상에 출력된 이미지가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2버튼(211b,211c)의 눌림에 따라, 스테레오 영상 내의 객체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스테레오 영상 내의 객체가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바람통과망(211d)은 본체(211a)의 망수용홈(211a2)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람통과망(211d)은, 양측에 접촉돌부(211d1)이 구비되어, 양측이 망수용홈(211a2)의 스프링설치홈(h)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211e)은 본체(211a)의 망수용홈(211a2)에 설치되어 바람통과망(211d)을 후방으로 탄발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211e)은 스프링설치홈(h)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감지센서(211f)는 본체(211a)의 망수용홈(211a2)에 설치되어 바람통과망(211d)과 접촉시 팬구동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센서(211f)는 스프링설치홈(h)의 전면에 설치되어 접촉돌부(211d1)의 접촉을 감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감지센서(211f)는 접촉센서가 적용되지만, 바람통과망(211d)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초음파센서와 같은 다양한 센서가 적용가능하다.
상기 송풍팬(211g)는 바람통과망(211d)의 전방에 위치하게 본체(211a)에 설치되어 감지센서(211f)로부터 팬구동신호를 수신하면 후방으로 바람을 송풍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팬(211g)은 본체(211a)의 망수용홈(211a2)의 전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가 망수용홈(211a2)로 유입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송풍팬(211g)은 구동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오프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널(211h)은 본체(211a)의 하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미끄럼방지패널(211h)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하면에 다수의 돌기가 구비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항공촬영되어 수집된 공간영상이미지는 영상이미지DB(110)에 저장되고, 작업자는 본 발명의 도화기를 이용하여 공간영상이미지를 매개로 도화이미지를 제작한다. 즉 작업자가 입력유닛(240)을 통해 도화신호를 입력하면, 도화모듈(240)은 입력된 도화신호에 따라 객체를 자동 도화한다.
이때, 영상이미지(DB)에 신규 공간영상이미지가 저장되면, 작업자는 같은 지역을 나타내는 '기존 공간영상이미지(도 6(a) 참조)와 신규 공간영상이미지(도 6(b))'를 디스플레이유닛(220)에 출력하여, 기존 공간영상이미지와 신규 공간영상이미지를 비교한다.
여기서, 신규 공간영상이미지에서 신규 객체(a)를 발견하면, 작업자는 디스플레이유닛(220)에 기존 도화이미지를 출력하여 상기 신규 객체(a)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도화이미지에 도화한다.
한편, 작업자는 도화이미지(또는 공간영상이미지)를 디스플레이유닛(220) 상에 출력한 후, 디스플레이유닛(220) 상에서 도화이미지의 위치를 옮겨야 할 경우, 본체(211a)에 삽입된 발을 발 뒤꿈치를 축으로 좌방 또는 우방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발(F)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방으로 회전하여 제1버튼(211b)이 눌리면, 도화이미지가 좌방으로 이동하고, 발(F)이 우방으로 회전하여 제2버튼(211c)이 눌리면, 도화이미지가 우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제1,2버튼(211b,211c) 조작을 통해 도 9(a)와 같이 한쪽으로 치우진 도화이미지를 도 9(b)와 같이 센터로 맞추거나, 도화이미지를 원하는 작업 위치로 옮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211)을 사용할 시, 작업자는 편의성을 위해 신발을 신지 않고 본체(211a)에 발(F)을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오랜 시간 작업을 하다보면 본체(211a) 내부에 습기가 차거나 온도가 상승하여, 작업자가 불편함을 느낀다.
여기서, 작업자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F)을 전방으로 내밀면, 바람통과망(211d)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통과망(211d)의 접촉돌부(211d1)가 감지센서(211f)와 접촉한다.
그러면, 감지센서(211f)로부터 팬구동신호를 수신한 송풍팬(211g)이 구동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화살표 방향 참조)이 이루어진다. 이때 송풍된 바람이 바람통과망(211d)을 통과하면서 본체(211a)의 풋수용홈(211a1)으로 유입되어, 풋수용홈(211a1)의 습도 및 온도가 낮아져, 작업 환경이 쾌적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우이동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우이동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부(400)는 좌우케이스(410), 한 쌍의 슬라이딩부(420), 한 쌍의 좌우로드부(430), 중앙금속부(440), 상하로드부(450), 중앙자석(460), 좌우자석(461), 한 쌍의 이동레일(470) 및 레일이동부(4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케이스(410)는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211)의 내부에 결합된다. 좌우케이스(410)의 내부에는 각종 부품이 들어갈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좌우케이스(410)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홀(411)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부(420)는 좌우케이스(410)의 내부 양측에 결합된다. 슬라이딩부(42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홀(421)이 관통 형성된다. 슬라이딩홀(421)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인식홀(422)이 형성되며, 다수의 인식홀(422)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420)의 내부 하단에는 인식감지부(423)가 장착된다. 인식감지부(423)는 다수의 인식홀(422)로부터 아래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슬라이딩홀(42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좌우로드부(430)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420)에 각각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한 쌍의 좌우로드부(430)의 중앙에는 금속 소재의 중앙금속부(440)가 결합된다.
상기 좌우로드부(430)의 단부에는 인식부(431)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식부(431)의 이동 거리를 인식감지부(423)에서 체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좌우로드부(430)가 슬라이딩부(420)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인식부(431)도 슬라이딩홀(421)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되는데, 이때 등간격으로 배치된 인식홀(422)을 인식부(431)가 지나게 되고, 이를 인식감지부(423)에서 인식하여 좌우로드부(430)의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상하로드부(450)는 중앙금속부(440)의 상부로 연장되며 이동홀(4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하로드부(450)의 측부에는 레일이동부(480)가 결합된다. 레일이동부(480)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이동레일(470)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사용자의 발(F)은 이러한 상하로드부(450)의 상부에 놓인다.
상기 한 쌍의 이동레일(470)은 좌우케이스(410)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홀(411)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양측에 결합된다. 이동레일(470)은 'ㄱ'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단이 상하로드부(450)에 접촉되고, 하단이 레일이동부(480)에 접촉된다.
상기 중앙자석(460)은 좌우케이스(410)의 내부 하단 중앙에 결합되고, 한 쌍의 좌우자석(461)은 중앙자석(460)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하여 배치된다. 중앙자석(460)과 한 쌍의 좌우자석(461)은 자성을 띠고 있으므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중앙금속부(440)에 자기력을 가해 중앙금속부(440)를 멈출 수 있다.
상기 중앙자석(460)은 한 쌍의 좌우자석(461)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큰 자성을 띤다. 평상시 중앙금속부(440)는 중앙자석(460)에 의해 가해지는 자기력에 의해 좌우케이스(410)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발(F)에 의해 상하로드부(450)가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중앙금속부(440)의 자체의 자중과 좌우자석(461)의 자기력에 의해 중앙금속부(440)도 중앙케이스의 일측으로 이동하고, 상하로드부(450)가 다시 수평으로 복귀하면 상대적으로 큰 자성을 띠는 중앙자석(460)의 자기력에 의해 중앙금속부(440)가 좌우케이스(410)의 중앙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발(F)을 좌우이동부(400) 위에 두고 좀 더 용이하게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낮이부(5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높낮이케이스(510), 높낮이케이스(510)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측면에 다수의 고정홈(521)이 형성되는 높낮이로드(520) 및 높낮이케이스(510)의 상단에 결합되며 다수의 고정홈(521)으로 진입 가능한 고정로드(532)를 구비하는 높낮이고정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높낮이케이스(510)는 회전부(60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높낮이스프링(511)이 수용된다. 높낮이스프링(511)은 높낮이로드(520)의 하단과 높낮이케이스(510)의 내측 하단 사이를 연결하며, 높낮이로드(520)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높낮이로드(520)는 높낮이케이스(5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높낮이로드(5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그 상부에 결합된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211)의 높낮이도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높낮이고정부(530)는, 높낮이케이스(5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케이스(531), 고정케이스(531)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단부가 다수의 고정홈(521)에 진입할 수 있는 고정로드(532), 고정케이스(531)의 내부에 수용되며 고정로드(532)의 우단과 고정케이스(531)의 내측 우단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스프링(533) 및 고정케이스(531)의 상부에 장착되며 고정로드(532)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제한부(5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케이스(531)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고정로드(532)를 수용할 수 있다. 고정케이스(531)의 상부면에는 후술되는 고정제한부(534)의 제한로드(538)가 진입할 수 있도록 제한홀(531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로드(532)는 고정케이스(53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고정로드(532)의 단부는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로드(532)의 단부가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로드(532)는 높낮이로드(520)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521)을 타고 넘을 수 있다.
즉, 높낮이로드(520)가 상하로 이동할 때, 고정로드(532)는 고정홈(521)이 위치한 부분에서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고정홈(521)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높낮이로드(52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스프링(533)에 의해 고정로드(532)는 좌우로 이동하였다가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고정로드(532)의 상부면에는 고정케이스(531)의 제한홀(53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로드홈(532a)이 형성된다. 이러한 로드홈(532a) 역시 후술되는 고정제한부(534)의 제한로드(538)가 진입할 수 있다.
상기 고정제한부(534)는, 고정케이스(531)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한판(535), 제한판(535)의 상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한스프링(536), 제한스프링(536)의 하단에 연결되는 링 형태의 제한이동부(537) 및 제한이동부(537)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한로드(5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제한스프링(536)은 제한이동부(537) 및 제한로드(538)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상기 제한로드(538)는 고정케이스(531)의 제한홀(531a) 및 고정로드(532)의 로드홈(532a)에 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부(500)의 높이 조절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제한이동부(537)가 한 쌍의 제한스프링(53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부로 이동된다. 제한이동부(537)의 이동에 따라 제한로드(538) 역시 제한홀(531a) 및 로드홈(532a)으로부터 이탈되고, 고정로드(532)는 자유롭게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높낮이로드(520)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높낮이로드(520)가 높낮이케이스(510)에 삽입되는 정도를 결정한다. 이때, 높낮이스프링(511)은 높낮이로드(520)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높낮이로드(520)가 상하로 이동될 때 고정로드(532)는 다수의 고정홈(521)을 타고 넘을 수 있으며, 고정홈(521)이 위치한 부분에서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고정홈(521)이 위치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높낮이로드(52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높낮이로드(520)의 높낮이가 결정되면, 제한이동부(537)를 놓아 제한스프링(536)의 탄성력에 의해 제한로드(538)가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제한로드(538)의 하단은 제한홀(531a) 및 로드홈(532a)에 삽입되어 고정로드(532)가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높낮이부(500)는 더 이상 상하로 움직이지 않고 높낮이가 고정되며, 높낮이부(500)의 상부에 결합된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211)도 높낮이가 결정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판(670)의 상부에 결합된 돌출부(620)의 상단에는 회전베어링(611)이 압입되고, 회전베어링(611)을 매개로 회전판(610)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회전판(610)의 상부에는 높낮이부(500)가 결합되어 회전판(610)과 함께 회전되며, 높낮이부(500)의 상부에 결합된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211)도 회전 가능하다.
상기 돌출부(620)의 외주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고정기어(630)가 고정 결합된다. 상기 고정기어(63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되며, 고정기어(630)의 기어치는 제1기어(640)와 맞물린다.
상기 제1기어(640)는 회전판(610)의 하면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기어(640)의 하면은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기어(640)의 원추형으로 형성된 하면에는 제2기어(650)가 맞물려 결합된다.
상기 제2기어(650)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제1기어(640)와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기어(650)는 수평회전모터(660)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수평회전모터(660)는 회전판(610)의 하면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상기 수평회전모터(660)를 작동시키면, 수평회전모터(660)에 연결된 제2기어(650)가 회전되고, 제2기어(650)가 회전되면 제2기어와 직교하도록 결합된 제1기어(640)가 회전된다.
상기 제1기어(640)는 고정기어(630)와 맞물려 있으므로 고정기어(630)를 회전시키고자 하지만, 고정기어(630)는 돌출부(6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기어(640) 자기 자신이 고정기어(63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제1기어(640), 제2기어(650) 및 수평회전모터(660)는 고정기어(630)를 중심에 두고 자전과 동시에 공전하게 되고, 제1기어(640) 및 수평회전모터(660)가 회전판(610)의 하면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판(610)은 돌출부(620) 및 회전베어링(611)을 중심으로 수평 회전한다.
상기 수평회전모터(660)가 정방향으로 작동하면 회전판(610) 역시 한 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시계방향)하고, 상기 수평회전모터(660)가 역방향으로 작동하면 회전판(610)은 반대쪽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반시계방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판(610)이 돌출부(620)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211)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고, 직접 연결하는 것에 비해 진동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완충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공기완충부(300)는 공기하우징(310), 공기유동부(320), 한 쌍의 공기개폐부(340), 공기링(330) 및 상부하우징(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기완충부(300)는 수평판(670)의 하부에 결합되며,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공기하우징(310)에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공간(311)이 형성된다. 공기하우징(310)은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유동부(320)는 공기하우징(310)의 상부에 결합되며, 공기하우징(310)과 마찬가지로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다. 공기유동부(320)의 중앙에는 상하로 공기홀(321)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홀(321)을 통해 공기유동부(320)의 상부와 공기하우징(310)의 충진공간(311)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공기개폐부(340)는 공기홀(321)의 상단에 결합된다. 공기개폐부(340)는 탄성력을 지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공기유동부(320)의 상부면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된다.
즉, 공기개폐부(340)는 공기유동부(320)의 상부면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다. 공기개폐부(340)가 하부로 이동하였을 때 공기홀(321)의 상단은 폐쇄되고, 공기개폐부(340)가 상부로 이동하였을 때 공기홀(321)의 상단은 개방된다.
상기 공기개폐부(340)의 하부면 중앙에는 공기홀(321)의 상단 내측벽에 접촉되어 공기개폐부(3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접촉지지단부(341)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접촉지지단부(341)에 의해 공기개폐부(340)는 아래로 처지지 않고 공기홀(321)의 상단을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공기링(330)은 공기유동부(320)의 내부에 장착되며 공기홀(321)을 둘러싸도록 결합된다. 공기링(330)은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링 형태로 형성된다. 공기링(330)은 공기하우징(310)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하우징(350)은 공기유동부(3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부하우징(350)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351)이 형성되며, 이러한 통기공(35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지면으로부터 발생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공기하우징(310)은 진동하고, 전달된 진동에 의해 공기링(330)도 진동된다.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320)가 진동되어 공기개폐부(340)가 개방되며, 도시된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현한 것처럼 상부하우징(350)의 통기공(351), 공기홀(321) 및 충진공간(31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홀(321)과 공기개폐부(340)를 통해 충진공간(311)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감쇠력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 고 주파수이면, 공기하우징(310)의 진동이 커지며 공기링(330)의 진동도 커지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320)가 크게 진동되어 공기개폐부(340)가 개방된다.
공기개폐부(340)가 개방되면, 상부하우징(350)의 통기공(351), 공기홀(321) 및 충진공간(31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고, 목표 주파수의 감도가 상향되어 진동이 감쇠된다.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 저 주파수이면, 공기하우징(310)의 진동이 작아지며 공기링(330)의 진동도 작아지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320)의 진동도 작아져서 공기개폐부(340)가 폐쇄된다.
공기개폐부(340)가 폐쇄되면, 충진공간(311) 내부의 공기가 유동되지 못하고, 반공진대역 주파수의 감도가 상향되어 진동이 감쇠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저장DB 200 : 도화기
210 : 입력유닛 211 :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
220 : 디스플레이유닛 230 : 이미지위치제어모듈
240 : 도화모듈 300 : 공기완충부
310 : 공기하우징 311 : 충진공간
320 : 공기유동부 321 : 공기홀
330 : 공기링 340 : 공기개폐부
341 : 접촉지지단부 350 : 상부하우징
351 : 통기공 400 : 좌우이동부
410 : 좌우케이스 411 : 이동홀
420 : 슬라이딩부 421 : 슬라이딩홀
422 : 인식홀 423 : 인식감지부
430 : 좌우로드부 431 : 인식부
440 : 중앙금속부 450 : 상하로드부
460 : 중앙자석 461 : 좌우자석
470 : 이동레일 480 : 레일이동부
500 : 높낮이부 510 : 높낮이케이스
511 : 높낮이스프링 520 : 높낮이로드
521 : 고정홈 530 : 높낮이고정부
531 : 고정케이스 531a : 제한홀
532 : 고정로드 532a : 로드홈
533 : 고정스프링 534 : 고정제한부
535 : 제한판 536 : 제한스프링
537 : 제한이동부 538 : 제한로드
600 : 회전부 610 : 회전판
611 : 회전베어링 620 : 돌출부
630 : 고정기어 640 : 제1기어
650 : 제2기어 660 : 수평회전모터
670 : 수평판

Claims (1)

  1. 공간영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DB; 및 저장DB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도화기; 를 포함하되,
    상기 도화기는,
    도화기에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 저장DB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유닛; 입력유닛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이미지의 위치를 이동하는 이미지위치제어모듈; 및 입력유닛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도화이미지에 객체를 자동도화하는 도화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유닛은,
    풋수용홈을 구비한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의 내부에 수용되는 좌우이동부;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높낮이부; 높낮이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 회전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평판; 및 수평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4개의 공기완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은,
    후측이 개구된 풋수용홈, 후측이 풋수용홈과 연통되어 풋수용홈의 전방에 구비되는 망수용홈을 구비한 본체; 본체의 풋수용홈 좌측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미지가 이동하도록 이미지위치이동신호를 이미지위치제어모듈에 입력하는 제1버튼; 본체의 풋수용홈 우측에 설치되어 타방향으로 이미지가 이동하도록 이미지위치이동신호를 이미지위치제어모듈에 입력하는 제2버튼; 본체의 망수용홈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람통과망; 본체의 망수용홈에 설치되어 바람통과망을 후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 본체의 망수용홈에 설치되어 바람통과망과 접촉시 팬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 및 바람통과망의 전방에 위치하게 본체에 설치되어 감지센서로부터 팬구동신호를 수신하면 후방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송풍팬; 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이동부는,
    이미지위치이동입력유닛의 본체 내부에 결합되며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홀이 형성되는 좌우케이스; 좌우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 한 쌍의 슬라이딩부에 각각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한 쌍의 좌우로드부; 한 쌍의 좌우로드부의 중앙에 결합되는 금속 소재의 중앙금속부; 중앙금속부의 상부로 연장되며 이동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하로드부; 좌우케이스의 내부 하단 중앙에 결합되며 자성을 띠는 중앙자석; 중앙자석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하여 배치되며 자성을 띠는 한 쌍의 좌우자석; 좌우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홀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레일; 및 상하로드부의 측부에 결합되며 한 쌍의 이동레일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레일이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자석은 한 쌍의 좌우자석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큰 자성을 띠고, 평상시 중앙금속부는 중앙자석에 의해 가해지는 자기력에 의해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하로드부가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좌우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중앙금속부도 일측으로 이동하고, 상하로드부가 다시 중앙으로 복귀하면 상대적으로 큰 자성을 띠는 중앙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중앙금속부가 중앙으로 복귀하며,
    상기 회전부는,
    수평판의 상부에 결합된 돌출부의 상단에 압입된 회전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판; 돌출부의 상부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고정 결합되는 고정기어; 고정기어에 맞물려 결합되고 하면이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회전판의 하면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1기어; 제1기어의 하면에 직교하도록 맞물려 결합되는 원추형 제2기어; 및 제2기어를 축 회전시키며 회전판의 하면에 고정되는 수평회전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회전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제2기어가 회전되어 제1기어가 고정기어의 둘레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회전판이 회전하고,
    상기 공기완충부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공기하우징; 공기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상하로 공기홀이 형성되는 공기유동부; 공기홀의 상단에 결합되며 탄성력을 지니는 한 쌍의 공기개폐부; 공기유동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공기홀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링 형태의 공기링; 및 공기유동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하우징과 공기유동부는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공기링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부하우징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공기개폐부의 하단에는 공기홀의 상단 내측벽에 접촉되어 공기개폐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접촉지지단부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공기하우징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공기링은 진동되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가 진동되어 공기개폐부가 개방되며, 상부하우징의 통기공, 공기홀 및 충진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210062359A 2021-05-14 2021-05-14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304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359A KR102304552B1 (ko) 2021-05-14 2021-05-14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359A KR102304552B1 (ko) 2021-05-14 2021-05-14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552B1 true KR102304552B1 (ko) 2021-09-27

Family

ID=77925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359A KR102304552B1 (ko) 2021-05-14 2021-05-14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55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0402A (ko) * 2005-09-13 2007-03-16 김민식 발 조작식 컴퓨터용 입력장치
KR20110048880A (ko) * 2009-11-03 2011-05-12 (주)센트로닉스 입력장치
US20170083112A1 (en) * 2015-09-17 2017-03-23 Edikun Technology Inc. Foot-operated pointing device
KR101946401B1 (ko) * 2018-12-10 2019-02-11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
KR102070173B1 (ko) * 2019-10-10 2020-01-28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 자동 도화 시스템
KR102070166B1 (ko) * 2019-10-11 2020-01-28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라이다 자료와 수집 공간영상을 이용한 건축물의 도화이미지 수정시스템
KR102072229B1 (ko) * 2019-10-15 2020-01-31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사각지대 지형지물에 대한 공간영상도화 이미지 합성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0402A (ko) * 2005-09-13 2007-03-16 김민식 발 조작식 컴퓨터용 입력장치
KR20110048880A (ko) * 2009-11-03 2011-05-12 (주)센트로닉스 입력장치
US20170083112A1 (en) * 2015-09-17 2017-03-23 Edikun Technology Inc. Foot-operated pointing device
KR101946401B1 (ko) * 2018-12-10 2019-02-11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하는 관측 시스템
KR102070173B1 (ko) * 2019-10-10 2020-01-28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 자동 도화 시스템
KR102070166B1 (ko) * 2019-10-11 2020-01-28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라이다 자료와 수집 공간영상을 이용한 건축물의 도화이미지 수정시스템
KR102072229B1 (ko) * 2019-10-15 2020-01-31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사각지대 지형지물에 대한 공간영상도화 이미지 합성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8421A (en) Gyroscopic pointer and method
AU2017201545B2 (en) Noncontact measuring device
CN103842038B (zh) 利用开始传感器的虚拟体育运动系统
CN100376866C (zh) 多维测量系统
CN1931410B (zh) 信息处理设备以及由信息处理设备执行的方法
CN103502772A (zh) 坐标定位机器控制器
KR101944724B1 (ko) 항공촬영이미지를 이용한 고정밀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01809529A (zh) 输入装置以及搭载有该输入装置的电子设备
JP2019074362A (ja) 姿勢位置推測システム、姿勢位置推測方法、および姿勢位置推測装置
CN107754310B (zh) 手持式装置以及其定位方法
KR102304552B1 (ko) 수집 영상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TW201841586A (zh) 自行移動式行走器具之操作方法
KR101732514B1 (ko) 3차원 스캐닝 모드 및 3차원 프린팅 모드를 갖는 병렬 로봇을 이용한 복합 시스템
JP2018153375A (ja) 電気機器、電気機器としての自律走行型掃除機、及び、電気機器とベースとを有するシステム
US20090009474A1 (en) Improvements to input peripherals for a computer or the like
US6246391B1 (en) Three-dimensional tactile feedback computer input device
JP638572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066432B1 (ko) 은폐된 지형지물에 대한 촬영 오차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JPH08191953A (ja) ゲーム機及びコンピュータ及び機械器具における操作器具
KR20210026314A (ko) 캐스터 장치, 이를 구비하는 로봇 및 로봇 구동 방법
KR102070173B1 (ko)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공간영상 이미지 자동 도화 시스템
KR102070166B1 (ko) 라이다 자료와 수집 공간영상을 이용한 건축물의 도화이미지 수정시스템
CN103268158A (zh) 一种获取重力传感数据的方法、装置及一种电子设备
KR102099248B1 (ko) 지형정보의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보정시스템
KR102029906B1 (ko) 이동수단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