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458B1 - 지표에 설치된 기준좌표점의 측지정보 확인을 위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지표에 설치된 기준좌표점의 측지정보 확인을 위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458B1
KR101358458B1 KR1020130105659A KR20130105659A KR101358458B1 KR 101358458 B1 KR101358458 B1 KR 101358458B1 KR 1020130105659 A KR1020130105659 A KR 1020130105659A KR 20130105659 A KR20130105659 A KR 20130105659A KR 101358458 B1 KR101358458 B1 KR 101358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housing
rod
chuc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조
Original Assignee
네이버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시스템(주) filed Critical 네이버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30105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4Scales; Gradu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단 스프링 지지부가 완충스프링의 하단에 지지되고, 완충스프링은 하부척대의 하단에 고정된 베어링 하우징의 베어링 수용부에 압입된 베어링의 인너레이스에 압입된 회전축의 하단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부에 지지되며 표척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접지봉에 가해지더라도 완충스프링에 의하여 완충되어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이 단위막대에 전달되지 않고, 베어링 수용부, 회전축, 완충스프링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부에는 오일이 주입되어 접지봉에 가해지는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기계수가 레벨기를 통하여 단위막대의 눈금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고, 하부척대의 하단에는 베어링 하우징이 고정되고, 베어링 하우징의 베어링 수용부에는 베어링의 아웃레이스가 압입되며, 베어링의 인너레이스에는 회전축이 압입되고, 회전축에는 완충스프링의 상단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완충스프링의 하단은 하우징에 관통된 접지봉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베어링 수용부와 하우징은 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접지봉을 지면에 대고 있는 상태에서 단위막대를 돌려 표척의 방향을 전환시키므로 표척의 위치 변동에 따른 측량 오차를 배제하고 하부척대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되는 수직확인수단에 의하여 표척을 수직 설치할 수 있어 측량정밀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표에 설치된 기준좌표점의 측지정보 확인을 위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Apparatus for installing staff in geodetic surveying}
본 발명은 측지측량시에 사용하는 표척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측지측량시 표척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외부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표척을 보호할 수 있음과 아울러 표척수가 제자리에서 표적의 방향을 바꾸는 경우 표척을 들어 올리지 않고 지면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수평 회전시켜 기계수의 레벨기를 향하게 할 수 있어 측량 오차 없이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게 되며, 표척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측량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지표에 설치된 기준좌표점의 측지정보 확인을 위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지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차를 구하는 측량으로 그 정확도는 2급 수준 측량의 경우 (여기서, S는 편도거리로서 단위는 km 이다.)이내로 규정하고 있을 정도로 세밀한 측량이 요구된다.
도 1 은 표척(1)과 레벨기(3)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단계로, 표척수(標尺手)가 표척을 고도를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a0)에 세우고, 기계수(機械手)는 일정 거리 떨어진 제1관측점(b1)에서 레벨기로 표척의 눈금을 읽는다.
제2 단계로, 표척수가 제1지점(a1)으로 이동하여 표척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1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지상기준점(a0)과 제1지점(a1)에서 읽은 눈금의 차와 지상기준점의 고도로부터 제1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제3 단계로, 기계수는 제1지점(a1) 뒤의 제2관측점(b2)으로 이동하고, 표척수가 표척을 제자리(제1지점)에서 방향 전환시켜 표척이 레벨기를 바라보도록 하면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레벨기로 제1지점(a1)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제4 단계로, 표척수가 제2지점(a2)으로 이동하여 표척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제2지점(a2)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제2관측점(b2)에서 읽은 제1지점(a1)과 제2지점(a2)의 눈금 차이로부터 제2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표척(1)과 레벨기(3)를 계속하여 이동시키면서 각 지점의 표척과 각 관측점에서의 레벨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 목표지점까지 각 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그러나 종래의 표척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눈금막대(1a, 1b)를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한 것으로, 측지측량 과정에서 표척수가 지면에 세우고 있는 표척이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을 받을 경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레벨기에 의하여 표척의 눈금을 읽는 과정에서 표척이 흔들리게 되어 표척 눈금을 정확하게 읽을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측량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표척은 상기 제3 단계에서 표척수가 표척의 방향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표척을 지면에서 들어 올려서 표척의 방향을 전환한 다음 다시 표척을 원래의 자리에 내려놓아야 하는데 이때 표척수가 표척을 원래의 자리에 정확하게 내려놓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측량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표척수가 표척의 방향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표척의 지점이 변경되지 않도록 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표척을 지면에 세우고 측량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면으로부터 표척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질 경우 표척이 흔들리게 되어 측량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면으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이 표척에 가해지더라도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켜 표척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측량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표척은 정확하게 수직으로 세우지 않은 경우 측량정밀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표척수가 표척을 지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기계수가 측량기기로 표척의 상태를 확인하여 표척수에게 표척을 바로 설치할 수 있도록 방향을 지시하는 것에 의하여 표척을 어느 정도 수직으로 설치할 수는 있으나, 기계수가 측량기기로 표척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좌우방향 수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전후방향 수직 여부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표척을 좌우방향과 전후방향 모두에 대하여 정확하게 수직으로 세우는 것은 실질적으로 매우 어렵게 되고, 이에 따라 측량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표척을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에 대하여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073942호(2011.10.10. 등록)의 “수준 측량용 표척”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227188호(2013.01.22. 등록)의 “측지측량데이터의 오차발생을 최소화하는 수준측량시스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233719호(2013.02.08. 등록)의 “측지측량에서 영상정보 취득을 이용한 국가수준기준점 측량장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208592(2012.11.29. 등록)의 “수준 측량용 스타프 하부고정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지측량시 표척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외부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표척을 보호할 수 있음과 아울러 표척수가 제자리에서 표적의 방향을 바꾸는 경우 표척을 들어 올리지 않고 지면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수평 회전시켜 기계수의 레벨기를 향하게 할 수 있어 측량 오차 없이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게 되며, 표척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측량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지표에 설치된 기준좌표점의 측지정보 확인을 위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눈금이 새져지고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가지는 기다란 통모양으로 형성되는 하부척대와, 전면이 모두 폐쇄된 막대모양으로 형성되는 상부척대를 구비하여 상부척대가 하부척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척대의 하단에는 회전식 완충접지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척대의 상단과 하단에는 수직확인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식 완충접지수단은, 복수개의 나사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편과, 결합편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링홈이 형성된 베어링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나사관통공을 관통하는 고정나사를 상기 하부척대의 하면에 형성된 나사공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하부척대의 하단에 고정되는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베어링 수용부 내주면에 아웃레이스가 압입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인너레이스에 압입되며 하단부에 스프링 지지부가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스프링 지지부에 상단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베어링 수용부를 수용하며 내주면에 상기 링홈에 대응하는 링홈이 형성되고, 하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하단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가 상단에 형성되며, 지면에 접지되는 접지부가 형성되는 접지봉과; 상기 하우징 내에 주입되는 오일과; 상기 하우징의 주벽에 관통 설치되는 원통형 니플본체와, 상기 내플본체의 외측단부에 삽입되는 개폐볼 및, 상기 니플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볼을 니플본체의 외측단부로 탄성지지하는 니플스프링이 구비된 주유용 니플; 및 상기 베어링 수용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링홈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링홈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과 베어링 수용부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직확인수단은, 상기 하부척대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 결합구와, 상기 상단 결합구의 후면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며 1축회동안내공이 형성된 1축회동지지판과, 상기 1축회동지지공에 삽입되어 1축회동지지판에 1축회동지지축에 의해 1축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2축회동안내공이 형성되는 되는 1축회동체와, 상기 2축회동안내공에 삽입되어 1축회동체에 2축회동지지축에 의해 상기 1축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2축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2축회동체와, 상기 2축회동체에 직각을 이루며 2축회동체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유지봉과, 상기 수직유지봉에 직각을 이루며 수직유지봉의 하단에 중심부가 결합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연장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부가 구비되는 결합캡과, 상기 결합캡의 원통부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연장 형성되어 하단에 레이저빔 투사공이 형성되는 상광하협의 원추통부와 상기 원추통부의 내부에 충전되는 중량체가 구비되는 케이싱과, 상기 원통부와 원추통부 사이에 삽입 설치되며 레이저 다이오드가 하향 실장되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용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중량체를 관통하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하부에 상단이 위치하고 상기 레이저빔 투사공의 상부에 하단이 위치하는 도광부재와, 상기 레이저빔 투사공에 설치되는 집광렌즈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용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며,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구비되며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홀더와, 상기 하부척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 결합구와, 상기 상단 결합구의 후면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마커판과, 상기 마커판의 상면에 표시되며 교차선 마커와 복수개의 동심원 마커가 구비된 센터마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에 의하면, 접지봉의 상단 스프링 지지부가 완충스프링의 하단에 지지되어 있고, 완충스프링은 하부척대의 하단에 고정된 베어링 하우징의 베어링 수용부에 압입된 베어링의 인너레이스에 압입된 회전축의 하단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표척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접지봉에 가해지더라도 완충스프링에 의하여 완충되어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이 단위막대에 전달되지 않게 되고, 베어링 수용부, 회전축, 완충스프링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부에는 오일이 주입되어 있으므로 접지봉에 가해지는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기계수가 레벨기를 통하여 단위막대의 눈금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에 의하면, 하부척대의 하단에는 베어링 하우징이 고정되고, 베어링 하우징의 베어링 수용부에는 베어링의 아웃레이스가 압입되어 있으며, 베어링의 인너레이스에는 회전축이 압입되어 있고, 회전축에는 완충스프링의 상단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완충스프링의 하단은 하우징에 관통된 접지봉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베어링 수용부와 하우징은 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접지봉을 지면에 대고 있는 상태에서 단위막대를 돌리는 것에 의하여 표척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표척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른 측량 오차를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에 의하면, 하부척대의 상단에 설치되어 항상 수직방향으로 레이저빔을 조사함과 아울러 하부척대의 하단에 레이저빔의 스팟을 확인하기 위한 센터마커를 구비함으로써 표척을 항상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측량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상면 방향에서 본 정면 사시도,
도 2는 저면 방향에서 본 정면 사시도,
도 3은 상면 방향에서 본 배면 사시도,
도 4는 상면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저면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6은 종단 정면도,
도 7은 종단 측면도,
도 8은 종래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그리고
도 9는 종래 표척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측지측량용 표척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식으로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단위막대(10, 2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단위막대(10, 20)는 하측에 위치하는 단위막대, 즉 도 1의 단위막대(10)가 상측에 위치하는 단위막대, 즉 도 1의 단위막대(20)보다 굵게 형성된다.
상기 각 단위막대(10, 20)에는 기계수가 레벨기로 읽을 수 있도록 눈금(11, 21)이 새겨져 있다.
상기 하부척대(10)는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가지는 기다란 통모양으로 형성되며, 상부척대(20)는 전면이 모두 폐쇄된 막대모양으로 형성되어 상부척대(20)가 하부척대(1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하부척대(10)의 하단에는 회전식 완충접지수단(3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식 완충접지수단(30)은, 상기 하부척대(10)의 하단에 고정나사(43)로 결합되는 결합편(41)과, 외주면에 링홈(45)이 형성된 베어링 수용부(44)가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 하우징(40)과; 상기 베어링 수용부(44) 내주면에 아웃레이스가 압입되는 베어링(50)과; 상기 베어링(50)의 인너레이스에 압입되며 하단부에 스프링 지지부(61)가 형성된 회전축(60)과; 상기 회전축(60)의 스프링 지지부(61)에 상단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완충스프링(70)과; 상기 베어링 수용부(44)를 수용하며 내주면에 상기 링홈(45)에 대응하는 링홈(71)이 형성되고, 하면에 관통공(72)이 형성된 하우징(80)과; 상기 완충스프링(70)의 하단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91)가 상단에 형성되며, 지면에 접지되는 접지부(92)가 형성되는 접지봉(90)과; 상기 하우징(80) 내에 주입되는 오일(100)과; 상기 하우징(80)의 주벽에 관통 설치되는 원통형 니플본체(111)와, 상기 니플본체(111)의 외측단부에 삽입되는 개폐볼(112) 및, 상기 니플본체(1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볼(112)을 니플본체(111)의 외측단부로 탄성지지하는 니플스프링(113)이 구비된 주유용 니플(110); 및 상기 베어링 수용부(44)의 외주면에 형성된 링홈(121)과 상기 하우징(80)의 내주면에 형성된 링홈(122)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80)과 베어링 수용부(44)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링(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편(41)에는 상기 고정나사(43)가 관통되는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나사공(42)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척대(10)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나사(43)가 체결되는 나사공(1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척대(10)의 상단과 하단에는 수직확인수단(200)이 구비된다.
상기 수직확인수단(200)은,
상기 하부척대(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 결합구(210)와,
상기 상단 결합구(210)의 후면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며 1축회동안내공(221)이 형성된 1축회동지지판(220)과,
상기 1축회동안내공(221)에 삽입되어 1축회동지지판(220)에 1축회동지지축(232)에 의해 1축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2축회동안내공(231)이 형성되는 되는 1축회동체(230)와,
상기 2축회동안내공(231)에 삽입되어 1축회동체(230)에 2축회동지지축(242)에 의해 상기 1축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2축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2축회동체(240)와,
상기 2축회동체(240)에 직각을 이루며 2축회동체(220)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유지봉(250)과,
상기 수직유지봉(250)에 직각을 이루며 수직유지봉(250)의 하단에 중심부가 결합는 원판부(261)와 상기 원판부(261)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연장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부(262)가 구비되는 결합캡(260)과,
상기 결합캡(260)의 원통부(262)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부(271)와 상기 원통부(271)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연장 형성되어 하단에 레이저빔 투사공(273)이 형성되는 상광하협의 원추통부(272)와 상기 원추통부(272)의 내부에 충전되는 중량체(274)가 구비되는 케이싱(270)과,
상기 원통부(271)와 원추통부(272) 사이에 삽입 설치되며 레이저 다이오드(281)가 하향 실장되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용 인쇄회로기판(280)과,
상기 중량체(274)를 관통하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281)의 하부에 상단이 위치하고 상기 레이저빔 투사공(273)의 상부에 하단이 위치하는 도광부재(290)와,
상기 레이저빔 투사공(273)에 설치되는 집광렌즈(300)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용 인쇄회로기판(280) 상에 설치되며, 양극단자(311)와 음극단자(312)가 구비되며 배터리(313)가 수납되는 배터리 홀더(310)와,
상기 하부척대(1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 결합구(320)와,
상기 상단 결합구(320)의 후면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마커판(330)과,
상기 마커판(330)의 상면에 표시되며 교차선 마커(341)와 복수개의 동심원 마커(342)가 구비된 센터마커(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단 결합구(210)는 상하면에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벽에 관통되는 결합나사(211)를 상기 하부척대(10)의 상단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하부척대(10)의 상단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1축회동지지판(220)은 상기 상단 결합구(210)의 후벽에 관통되는 결합나사(222)를 1축회동지지판(220)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단 결합구(210)의 후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단 결합구(210)의 전벽에는 상기 결합나사(222)와 이 결합나사(222)를 돌리기 위한 드라이버가 통과하는 통과공(212)이 형성된다.
상기 1축회동체(230)를 1축회동지지판(220)에 지지하는 1축회동지지축(232)은 하부척대(10)의 후면벽에 평행한 수평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2축회동체(240)를 1축회동체(230)에 지지하는 2축회동지지축(242)은 상기 1축회동지지축(232)에 직각을 이루는 수평축으로 구성된다.
상기 2축회동체(240)의 중심부와 수직유지봉(250)의 상단은 2축회동체(240)의 중심부에 결합공(241)을 형성하고 이 결합공(241)에 수직유지봉(250)의 상단을 압입하여 결합하거나, 결합공(241)의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수직유지봉(250)의 상단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이들 암나사부와 수나사부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캡(260)의 원판부(261) 중심부와 수직유지봉(250)의 하단을 결합함에 있어서는 원판부(261)의 중심부에 결합보스(263)를 형성하고 이 결합보스(263)에 수직유지봉(250)의 하단을 압입하여 결합하거나, 결합보스(263)의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수직유지봉(250)의 하단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이들 암나사부와 수나사부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중량체(274)로서는 상기 원추통부(272) 내에 충전되는 금속분말이나 케이싱(27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원추통부(272)에 인서트되는 인서트금속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캡(260)과 케이싱(270)을 결합함에 있어서는 결합캡(260)의 원통부(262) 하단 내주면에 암나사부(264)를 형성하고 케이싱(270)의 원통부(271) 상단 외주면에 수나사부(275)를 형성하여 이들 암나사부(264)와 수나사부(275)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80)은 케이싱(270)의 원통부(271)와 원추통부(272)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부(276)에 안착시키고 인쇄회로기판(280)을 관통하는 고정나사(282)를 단턱부(276)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케이싱(270)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도광부재(290)는 통상적으로 광선을 유도하는 데에 사용되는 광섬유 또는 광도파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홀더(31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며 양측 내면에 양극단자(311)와 음극단자(312)를 구비한 통상적인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홀더(300)는 상기 양극단자(311)와 음극단자(312)가 상기 인쇄회로기판(2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인쇄회로기판(280)에 실장된다.
상기 집광렌즈(300)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281)에서 발생하여 도광부재(290)를 통해 유도되는 레이저빔이 상기 마커판(330) 상면에 스팟(spot) 형태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광부재(290)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하거나 레이저빔 투사공(273)에 삽입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하단 결합구(320)는 상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벽에 관통되는 결합나사(321)를 상기 하부척대(10)의 하단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하부척대(10)의 하단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마커판(330)은 상기 하단 결합구(320)의 후벽에 관통되는 결합나사(322)를 마커판(330)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하단 결합구(320)의 후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하단 결합구(320)의 전벽에는 상기 결합나사(331)와 이 결합나사(331)를 돌리기 위한 드라이버가 통과하는 통과공(322)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척수가 단위막대(10, 20)를 잡고 접지봉(90)을 지상기준점(a0), 제1지점(a1), 제2지점(a2), 제3지점(a3) 등의 지면에 대고 설치한 상태에서 기계수가 레벨기를 이용하여 단위막대(10, 20)의 눈금(11, 21)을 읽어 측지측량하는 데에 사용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접지봉(90)은 그 상단의 스프링 지지부(91)가 완충스프링(70)의 하단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완충스프링(70)은 상기 하부척대(10)의 하단에 고정된 베어링 하우징(40)의 베어링 수용부(44)에 압입된 베어링(50)의 인너레이스에 압입된 회전축(60)의 하단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부(61)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표척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접지봉(90)에 가해지더라도 완충스프링(70)에 의하여 완충되어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이 단위막대(10, 20)에 전달되지 않게 되어 기계수가 레벨기를 통하여 단위막대(10, 20)의 눈금(11, 21)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 수용부(44), 회전축(60), 완충스프링(70)을 수용하는 하우징(80)의 내부에는 오일(100)이 주입되어 있으므로 접지봉(90)에 가해지는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계수는 제1지점(a1) 뒤의 제2관측점(b2)으로 이동하고, 표척수가 표척을 제자리(제1지점)에서 방향 전환시켜 표척이 레벨기를 바라보도록 하면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레벨기로 제1지점(a1)의 표척 눈금을 읽는 제3단계에서, 표척수가 표척을 제자리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표척을 들어 올렸다가 다시 제자리에 내려놓을 필요 없이 접지봉(90)을 제1지점의 지면에 대고 있는 상태에서 단위막대(10, 20)를 돌리는 것에 의하여 표척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표척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른 측량 오차를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하부척대(10)의 하단에는 베어링 하우징(40)이 고정되고, 베어링 하우징(40)의 베어링 수용부(44)에는 베어링(50)의 아웃레이스가 압입되어 있으며, 베어링(50)의 인너레이스에는 회전축(60)이 압입되어 있고, 회전축(60)에는 완충스프링(70)의 상단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완충스프링(70)의 하단은 하우징(80)에 관통된 접지봉(9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베어링 수용부(44)와 하우징(80)은 링(1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접지봉(90)을 지면에 대고 있는 상태에서도 단위막대(10, 20)를 수평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80)의 외주면에는 니플본체(111)와 개폐볼(112) 및 니플스프링(113)으로 구성된 주유용 니플(11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하우징(80)의 내부에 주입된 오일(100)을 보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표척을 지면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상기 수직확인수단(200)에 의하여 수직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표적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즉, 표척을 지면에 설치하면, 수직유지봉(250)과 결합캡(260), 그리고 중량체(274)를 포함하는 케이싱(270) 전체의 중량이 수직유지봉(250)을 통해 2축회동체(240)에 가해지고, 다시 1축회동체(230)에 가해지면서 1축회동체(230)는 1축회동지지축(232)을 중심으로, 2축회동체(240)는 2축회동지지축(24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항상 수평을 이루게 되고, 2축회동체(240)에 직각으로 결합된 수직유지봉(250)은 수직을 이루게 되고, 표척이 수직을 이룬 상태는 물론 수직을 이루지 못한 경우에도 레이저 다이오드(281)에서 발생하여 도광부재(290) 및 집광렌즈(300)를 통해 조사되는 레이저빔은 수직 하방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표적이 수직을 이루지 못한 경우에는 레이저빔 스팟의 중심이 센터마커(340)의 교차선 마커(341)의 교차점에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게 됨과 아울러 레이저빔의 스팟이 센터마커(340)의 동심원 마커(342)에 정확하게 동심원을 이루지 못하게 되며, 이를 표척수가 육안으로 관찰하여 표척이 수직으로 설치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레이저빔 스팟에 의하여 표척이 수직으로 설치되지 않았음을 확인한 표척수는 레이저빔 스팟을 확인하면서 표척을 바르게 설치함으로써 레이저빔 스팟이 교차선 마커(341)의 교차점에 정확하게 일치함과 아울러 동심원 마커(342)에 정확하게 동심원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표척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표척수는 표척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측량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20 : 단위막대 30 : 회전식 완충접지수단
40 : 베어링 하우징 44 : 베어링 수용부
50 : 베어링 60 : 회전축
70 : 완충스프링 80 : 하우징
90 : 접지봉 100 : 오일
110 : 주유용 니플 120 : 링
200 : 수직확인수단 220 : 1축회동지지판
230 : 1축회동체 240 : 2축회동체
250 : 수직유지봉 260 : 결합캡
270 : 케이싱 274 : 중량체
280 :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용 인쇄회로기판
290 : 도광부재 300 : 집광렌즈
310 : 배터리 홀더 330 : 마커판
340 : 센터마커

Claims (1)

  1. 눈금(11)이 새져지고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가지는 기다란 통모양으로 형성되는 하부척대(10)와, 전면이 모두 폐쇄된 막대모양으로 형성되는 상부척대(20)를 구비하여 상부척대(20)가 하부척대(1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척대(10)의 하단에는 회전식 완충접지수단(30)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척대(10)의 상단과 하단에는 수직확인수단(200)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식 완충접지수단(30)은
    복수개의 나사관통공(42)이 형성된 결합편(41)과, 결합편(41)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링홈(45)이 형성된 베어링 수용부(44)를 구비하며, 상기 나사관통공(42)을 관통하는 고정나사(43)를 상기 하부척대(10)의 하면에 형성된 나사공(12)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하부척대(10)의 하단에 고정되는 베어링 하우징(40)과;
    상기 베어링 수용부(44) 내주면에 아웃레이스가 압입되는 베어링(50)과;
    상기 베어링(50)의 인너레이스에 압입되며 하단부에 스프링 지지부(61)가 형성된 회전축(60)과;
    상기 회전축(60)의 스프링 지지부(61)에 상단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완충스프링(70)과;
    상기 베어링 수용부(44)를 수용하며 내주면에 상기 링홈(45)에 대응하는 링홈(71)이 형성되고, 하면에 관통공(72)이 형성된 하우징(80)과;
    상기 완충스프링(70)의 하단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91)가 상단에 형성되며, 지면에 접지되는 접지부(92)가 형성되는 접지봉(90)과;
    상기 하우징(80) 내에 주입되는 오일(100)과;
    상기 하우징(80)의 주벽에 관통 설치되는 원통형 니플본체(111)와, 상기 니플본체(111)의 외측단부에 삽입되는 개폐볼(112) 및, 상기 니플본체(1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볼(112)을 니플본체(111)의 외측단부로 탄성지지하는 니플스프링(1`13)이 구비된 주유용 니플(110); 및
    상기 베어링 수용부(44)의 외주면에 형성된 링홈(121)과 상기 하우징(80)의 내주면에 형성된 링홈(122)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80)과 베어링 수용부(44)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링(120); 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확인수단(200)은
    상기 하부척대(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 결합구(210)와,
    상기 상단 결합구(210)의 후면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며 1축회동안내공(221)이 형성된 1축회동지지판(220)과,
    상기 1축회동안내공(221)에 삽입되어 1축회동지지판(220)에 1축회동지지축(232)에 의해 1축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2축회동안내공(231)이 형성되는 되는 1축회동체(230)와,
    상기 2축회동안내공(231)에 삽입되어 1축회동체(230)에 2축회동지지축(242)에 의해 상기 1축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2축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2축회동체(240)와,
    상기 2축회동체(240)에 직각을 이루며 2축회동체(220)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유지봉(250)과,
    상기 수직유지봉(250)에 직각을 이루며 수직유지봉(250)의 하단에 중심부가 결합는 원판부(261)와 상기 원판부(261)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연장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부(262)가 구비되는 결합캡(260)과,
    상기 결합캡(260)의 원통부(262)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부(271)와 상기 원통부(271)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연장 형성되어 하단에 레이저빔 투사공(273)이 형성되는 상광하협의 원추통부(272)와 상기 원추통부(272)의 내부에 충전되는 중량체(274)가 구비되는 케이싱(270)과,
    상기 원통부(271)와 원추통부(272) 사이에 삽입 설치되며 레이저 다이오드(281)가 하향 실장되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용 인쇄회로기판(280)과,
    상기 중량체(274)를 관통하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281)의 하부에 상단이 위치하고 상기 레이저빔 투사공(273)의 상부에 하단이 위치하는 도광부재(290)와,
    상기 레이저빔 투사공(273)에 설치되는 집광렌즈(300)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용 인쇄회로기판(280) 상에 설치되며, 양극단자(311)와 음극단자(312)가 구비되며 배터리(313)가 수납되는 배터리 홀더(310)와,
    상기 하부척대(1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 결합구(320)와,
    상기 상단 결합구(320)의 후면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마커판(330)과,
    상기 마커판(330)의 상면에 표시되며 교차선 마커(341)와 복수개의 동심원 마커(342)가 구비된 센터마커(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표에 설치된 기준좌표점의 측지정보 확인을 위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20130105659A 2013-09-03 2013-09-03 지표에 설치된 기준좌표점의 측지정보 확인을 위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1358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659A KR101358458B1 (ko) 2013-09-03 2013-09-03 지표에 설치된 기준좌표점의 측지정보 확인을 위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659A KR101358458B1 (ko) 2013-09-03 2013-09-03 지표에 설치된 기준좌표점의 측지정보 확인을 위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458B1 true KR101358458B1 (ko) 2014-02-06

Family

ID=5026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659A KR101358458B1 (ko) 2013-09-03 2013-09-03 지표에 설치된 기준좌표점의 측지정보 확인을 위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4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038B1 (ko) 2019-10-23 2020-01-31 (주)신한항업 야간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장치
KR102071887B1 (ko) 2019-10-21 2020-02-03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정확도 향상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CN115096254A (zh) * 2022-06-17 2022-09-23 上海铁路北斗测量工程技术有限公司 高精度的可折叠水准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942B1 (ko) 2010-01-28 2011-10-18 (주)해양정보기술 수준 측량용 표척
KR101227188B1 (ko) 2012-08-07 2013-01-28 주식회사 한성유아이 측지측량데이터의 오차발생을 최소화하는 수준측량시스템
KR101233719B1 (ko) 2012-06-29 2013-02-18 주식회사 일도엔지니어링 측지측량에서 영상정보 취득을 이용한 국가수준기준점 측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942B1 (ko) 2010-01-28 2011-10-18 (주)해양정보기술 수준 측량용 표척
KR101233719B1 (ko) 2012-06-29 2013-02-18 주식회사 일도엔지니어링 측지측량에서 영상정보 취득을 이용한 국가수준기준점 측량장치
KR101227188B1 (ko) 2012-08-07 2013-01-28 주식회사 한성유아이 측지측량데이터의 오차발생을 최소화하는 수준측량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887B1 (ko) 2019-10-21 2020-02-03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정확도 향상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KR102072038B1 (ko) 2019-10-23 2020-01-31 (주)신한항업 야간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장치
CN115096254A (zh) * 2022-06-17 2022-09-23 上海铁路北斗测量工程技术有限公司 高精度的可折叠水准尺
CN115096254B (zh) * 2022-06-17 2024-03-26 上海铁路北斗测量工程技术有限公司 高精度的可折叠水准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79952B (zh) 风力机组塔架倾斜度测量方法
US5159760A (en) Device for aligning a geodetic instrument over a defined position mark
US7818889B2 (en) Target object used for retroreflexion of optical radiation
US9625259B2 (en) Clinometer and method for measuring strike and dip angle using same
KR101349652B1 (ko)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1349377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2171730B1 (ko) 측량정보의 오차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정확한 측량이 가능한 수준 측지측량장치
EP0341812A1 (en) Level/Plumb indicator with tilt compensation
KR101358458B1 (ko) 지표에 설치된 기준좌표점의 측지정보 확인을 위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CN103119396A (zh) 具有集成在遥控单元内的摄像机的大地测量系统
KR101791955B1 (ko) 측량정보의 오차발생 범위를 최소화하는 수준 측지측량 장치
US3894805A (en) Mounting apparatus and system for laser surveying instrument
CN103091684A (zh) 全球导航卫星系统的手持终端及其对中和调平方法
KR101804933B1 (ko) 측량용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1494855B1 (ko) 레벨기를 활용한 정밀 수준점측량시스템
KR101351549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의 충격 보호장치
KR101470917B1 (ko) 수준 측량용 이중 고정장치
CN101691999B (zh) 内置测微平板自动安平水准仪及其装配方法
CN103076000A (zh) 三维测距仪
CN107402035A (zh) 用于测量仪器户外作业的减震式支撑装置
JP2019052864A (ja) 芯座標計測装置及び芯座標計測方法
KR101436433B1 (ko) 수준 측량용 높낮이 조절 장치
CN104236525A (zh) 一种激光水平仪
JP3481324B2 (ja) 測量機の機械高測定方法および測定器
JP4418712B2 (ja) 傾き測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