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887B1 - 정확도 향상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 Google Patents

정확도 향상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887B1
KR102071887B1 KR1020190130673A KR20190130673A KR102071887B1 KR 102071887 B1 KR102071887 B1 KR 102071887B1 KR 1020190130673 A KR1020190130673 A KR 1020190130673A KR 20190130673 A KR20190130673 A KR 20190130673A KR 102071887 B1 KR102071887 B1 KR 102071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huck
measurer
cover
sc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유복
윤상현
신창수
홍성옥
Original Assignee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0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01D13/12Graduation
    • G01D13/20Graduation with luminescent mark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제1척대(10)와 제2척대(20)로 분할 형성되어 제2척대(20)가 제1척대(10)에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삽입되되, 제1척대(10)로부터 인출되는 제2척대(20)는 펼쳐져 제1척대(10)의 상면에 얹혀지는 커버(22)에 의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필요한 측량높이까지만 제1척대로부터 제2척대를 인출하면 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전체를 인출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탈피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고, 또한 막대부의 전면에 형성된 형광눈금을 커버가 보호해 줌에 따라 형광눈금이 스크래치로 인해 손상되거나 볕에 노출됨으로서 바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척대를 필요한 높이까지 인출 후 커버를 펼치게 되면, 펼쳐진 커버에 의해 제2척대는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별도의 스토퍼기구를 근본적으로 필요 없게 되어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정확도 향상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기구{Staff equipment for leveling}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필요한 측량높이까지만 제1척대로부터 제2척대를 인출하면 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전체를 인출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탈피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정확도 향상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 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며, 이러한 측지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스타프(표척)와 전자레벨기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 차를 구하는 측량을 말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스타프(표척)는 안테나와 같이 인입출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스타프(표척)는 측량시 불필요하게 모두 인출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인입한 상태에서 다음 측량지점으로 이동해야 했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3942호(2011.10.18)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8458호(2014.02.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질적으로 필요한 측량높이까지만 제1척대로부터 제2척대를 인출하면 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전체를 인출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탈피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정확도 향상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갖는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전면에는 형광눈금이 새겨지고, 형광눈금이 새겨진 전면 가장자리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수힌지가 일체로 형성된 막대부와,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전면에는 눈금이 새겨지고, 일측 가장자리에는 수힌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암힌지가 형성되어 막대부의 전면을 개폐하는 불투명재질의 커버와,
수힌지와 암힌지에 관통되게 끼워져 막대부와 커버를 상호 연결하는 축핀으로 구성된 제1척대;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갖는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전면에는 형광눈금이 새겨지고, 형광눈금이 새겨진 전면 가장자리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수힌지가 일체로 형성된 막대부와,
전면에 형성되는 눈금과, 일측 가장자리에 수힌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암힌지를 갖추고서 막대부의 전면을 개폐하는 불투명재질의 복수의 커버와,
수힌지와 암힌지에 관통되게 끼워져 막대부와 커버를 상호 연결하는 축핀으로 구성된 제2척대;로 분할 형성되어 제2척대가 제1척대에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척대로부터 인출되는 제2척대는 펼쳐져 제1척대의 상면에 얹혀지는 커버에 의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필요한 측량높이까지만 제1척대로부터 제2척대를 인출하면 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전체를 인출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탈피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고, 또한 막대부의 전면에 형성된 형광눈금을 커버가 보호해 줌에 따라 형광눈금이 스크래치로 인해 손상되거나 볕에 노출됨으로서 바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척대를 필요한 높이까지 인출 후 커버를 펼치게 되면, 펼쳐진 커버에 의해 제2척대는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별도의 스토퍼기구를 근본적으로 필요 없게 되어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막대부의 전면에 형성된 형광눈금을 통해 관측자는 주·야간에 상관없이 명확하게 눈금을 확인(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측량작업을 실현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표척지점의 바닥이 판판한 경우, 제1척대의 막대부에 맞대어진 커버를 펼쳐주게 되면, 펼쳐진 커버가 막대부를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관측자가 측량을 하는 동안 표척수가 표척기구를 잡고 있어야 했던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해소해 줄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척기구가 인입된 상태와 인출된 상태 및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표척기구의 제1척대와 제2척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표척기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척기구가 인입된 상태와 인출된 상태 및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표척기구의 제1척대와 제2척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척기구는 제1척대(10)와 제2척대(20)로 구성되어 제2척대(20)가 제1척대(10)에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필요에 따라 제2척대(20)에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2척대(2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3척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척대(10)는 막대부(11)와 커버(12) 및 축핀(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막대부(11)는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갖는 직육면체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막대부(11)의 전면에는 형광눈금(11a)이 새겨지며, 이 형광눈금(11a)에 의해 관측자는 주·야간에 상관없이 명확하게 눈금을 확인(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형광눈금(11a)이 새겨진 전면 가장자리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축핀(13)이 끼워져 고정되는 수힌지(1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12)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는 불투명한 재질의 플레이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막대부(11)에 축핀(13)을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막대부(11)의 전면을 개폐토록 하여 형광눈금(11a)이 스크래치로 인해 손상되거나 볕에 노출됨으로서 바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커버(12)의 전면에는 형광이 아닌 눈금(12a)이 새겨지고, 일측 가장자리에는 수힌지(11b)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암힌지(12b)가 형성되며, 수힌지(11b)와 암힌지(12b)는 축핀(13)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또한, 상기 축핀(13)이 끼워지는 암힌지(12b)의 내경은 축핀(13)이 끼워지는 수힌지(11b)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고, 수힌지(11b)의 내경은 축핀(13)의 단면 직경과 동일하다.
상기 축핀(13)은 금속재질의 봉으로 막대부(11)와 커버(12)에 관통되게 끼워져 막대부(11)와 커버(12)를 상호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2척대(20)는 전체적으로 제1척대(10)와 구조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커버(22)가 다수 개로 분할되어 있다는 점이 상이하다.
상기 제2척대(20)는 막대부(21)와 커버(22) 및 축핀(23)으로 구성된다.
상기 막대부(21)는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갖는 직육면체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막대부(21)의 전면에는 형광눈금(21a)이 새겨지며, 이 형광눈금(21a)에 의해 관측자는 주·야간에 상관없이 명확하게 눈금을 확인(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형광눈금(21a)이 새겨진 전면 가장자리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축핀(23)이 끼워져 고정되는 수힌지(2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22)는 일정한 두께를 갖으며 다수 개로 분할된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는 불투명한 재질의 플레이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막대부(21)에 축핀(23)을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막대부(21)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형광눈금(21a)이 스크래치로 인해 손상되거나 볕에 노출됨으로서 바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1척대(10)로부터 인출되는 제2척대(20)의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일종에 스토퍼 역할을 함께 겸한다.
또한, 상기 커버(22)의 전면에는 형광이 아닌 눈금(22a)이 새겨지고, 일측 가장자리에는 수힌지(21b)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암힌지(22b)가 형성되며, 수힌지(21b)와 암힌지(22b)는 축핀(23)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또한, 상기 축핀(23)이 끼워지는 암힌지(22b)의 내경은 축핀(23)이 끼워지는 수힌지(21b)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고, 수힌지(21b)의 내경은 축핀(23)의 단면 직경과 동일하다.
상기 축핀(23)은 금속재질의 봉으로 막대부(21)와 커버(22)에 관통되게 끼워져 막대부(21)와 커버(22)를 상호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표척기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척지점에 본 발명에 따른 표척기구를 배치한다.
그리고 표척수는 제1척대(10)에 인입된 제2척대(20)를 필요한 높이만큼 인출한다.
상기와 같이 제2척대(20)를 인출한 다음 표척수는 제2척대(20)의 커버(22)를 펼쳐 막대부(21)의 전면에 형성된 형광눈금(21a)이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펼쳐진 제2척대(20)의 커버(22)에 하단이 제1척대(10)의 상면에 안착됨에 따라 제2척대(20)는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관측장비를 통한 관측자의 측량작업이 완료되면, 표척수는 펼쳤던 커버(22)를 닫아 커버(22)의 배면과 막대부(21)의 전면이 밀착되도록 한 다음 제2척대(20)를 제1척대(10)의 내측으로 인입하여 보관토록 한다.
한편, 표척지점의 바닥이 판판한 경우, 제1척대(10)의 막대부(11)에 맞대어진 커버(12)를 펼쳐주게 되면, 펼쳐진 커버(12)가 막대부(11)를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관측자가 측량을 하는 동안 표척수가 표척기구를 잡고 있어야 했던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해소해 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필요한 측량높이까지만 제1척대(10)로부터 제2척대(20)를 인출하면 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전체를 인출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탈피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고, 또한 막대부(11,21)의 전면에 형성된 형광눈금(11a,21a)을 커버(12,22)가 보호해 줌에 따라 형광눈금(11a,21a)이 스크래치로 인해 손상되거나 볕에 노출됨으로서 바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척대(20)를 필요한 높이까지 인출 후 커버(22)를 펼치게 되면, 펼쳐진 커버(22)에 의해 제2척대(20)는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별도의 스토퍼기구를 근본적으로 필요 없게 되어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막대부(11,21)의 전면에 형성된 형광눈금(11a,21a)을 통해 관측자는 주·야간에 상관없이 명확하게 눈금을 확인(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측량작업을 실현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표척지점의 바닥이 판판한 경우, 제1척대(10)의 막대부(11)에 맞대어진 커버(12)를 펼쳐주게 되면, 펼쳐진 커버(12)가 막대부(11)를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관측자가 측량을 하는 동안 표척수가 표척기구를 잡고 있어야 했던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해소해 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제1척대 11,21: 막대부 11a,21a: 형광눈금
11b,21b: 수힌지 12,22: 커버 12a,22a: 눈금
12b,22b: 암힌지 13,23: 축핀 20: 제2척대
30: 제3척대

Claims (1)

  1.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갖는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전면에는 형광눈금(11a)이 새겨지고, 형광눈금(11a)이 새겨진 전면 가장자리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수힌지(11b)가 일체로 형성된 막대부(11)와,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전면에는 눈금(12a)이 새겨지고, 일측 가장자리에는 수힌지(11b)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암힌지(12b)가 형성되어 막대부(11)의 전면을 개폐하는 불투명재질의 커버(12)와,
    수힌지(11b)와 암힌지(12b)에 관통되게 끼워져 막대부(11)와 커버(12)를 상호 연결하는 축핀(13)으로 구성된 제1척대(10);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을 갖는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전면에는 형광눈금(21a)이 새겨지고, 형광눈금(21a)이 새겨진 전면 가장자리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수힌지(21b)가 일체로 형성된 막대부(21)와,
    전면에 형성되는 눈금(22a)과, 일측 가장자리에 수힌지(21b)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암힌지(22b)를 갖추고서 다수 개로 분할되어 막대부(21)의 전면을 개폐하는 불투명재질의 커버(22)와,
    수힌지(21b)와 암힌지(22b)에 관통되게 끼워져 막대부(21)와 커버(22)를 상호 연결하는 축핀(23)으로 구성된 제2척대(20);로 분할 형성되어 제2척대(20)가 제1척대(10)에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척대(10)로부터 인출되는 제2척대(20)는 펼쳐져 제1척대(10)의 상면에 얹혀지는 커버(22)에 의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도 향상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KR1020190130673A 2019-10-21 2019-10-21 정확도 향상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KR102071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673A KR102071887B1 (ko) 2019-10-21 2019-10-21 정확도 향상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673A KR102071887B1 (ko) 2019-10-21 2019-10-21 정확도 향상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887B1 true KR102071887B1 (ko) 2020-02-03

Family

ID=6962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673A KR102071887B1 (ko) 2019-10-21 2019-10-21 정확도 향상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8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7339A (ja) * 1998-05-22 1999-12-10 Sokkia Co Ltd 測量機用標尺
JP2001091256A (ja) * 1999-09-21 2001-04-06 Topcon Corp 水準測量用標尺
KR20110088329A (ko) * 2010-01-28 2011-08-03 (주)해양정보기술 수준 측량용 표척
KR101358458B1 (ko) 2013-09-03 2014-02-06 네이버시스템(주) 지표에 설치된 기준좌표점의 측지정보 확인을 위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7339A (ja) * 1998-05-22 1999-12-10 Sokkia Co Ltd 測量機用標尺
JP2001091256A (ja) * 1999-09-21 2001-04-06 Topcon Corp 水準測量用標尺
KR20110088329A (ko) * 2010-01-28 2011-08-03 (주)해양정보기술 수준 측량용 표척
KR101073942B1 (ko) 2010-01-28 2011-10-18 (주)해양정보기술 수준 측량용 표척
KR101358458B1 (ko) 2013-09-03 2014-02-06 네이버시스템(주) 지표에 설치된 기준좌표점의 측지정보 확인을 위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2038B1 (ko) 야간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장치
US7503126B2 (en) Wall-hanging-aid device and method of use
CN109556583A (zh) 一种桩孔垂直度及方位角测量仪及测量方法
CN106198536A (zh) 具有放大功能的检测装置
KR102071887B1 (ko) 정확도 향상 정밀 수준측량용 표척기구
US4060909A (en) Surveying rod
CN104567816A (zh) 森林样地手机全景正直摄影装置及测树方法
CN207395712U (zh) 一种经纬仪
US1985527A (en) Height measuring rod for scales
CN209295874U (zh) 一种便携式精准脱空量测器
CN211257103U (zh) 基坑偏移监测装置
CN210862655U (zh) 一种便携式墙体垂直度检测装置
CN210486879U (zh) 一种测绘工具
KR101290692B1 (ko) 측지측량용 장비 보호장치
CN110030986B (zh) 一种经纬仪测钎装置及其使用方法
US2149783A (en) Terrace channel checking device
JP3213860U (ja) 建物の危険度判定・調査治具
KR101682514B1 (ko) 다기능 휴대용 지질조사 기구
JP3159407U (ja) 測量器具
CN212005028U (zh) 便捷式对中整平测量三脚架
CN215833133U (zh) 一种用于杨氏模量测量的减震望远镜系统
CN210981262U (zh) 一种新型测距仪
CN219694021U (zh) 一种伸缩测绘标尺
CN217818704U (zh) 一种建筑施工用水准测量仪
CN214369056U (zh) 一种稳定的地质测绘支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