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347B1 - 배수용 연결 소켓 - Google Patents

배수용 연결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347B1
KR102502347B1 KR1020210089239A KR20210089239A KR102502347B1 KR 102502347 B1 KR102502347 B1 KR 102502347B1 KR 1020210089239 A KR1020210089239 A KR 1020210089239A KR 20210089239 A KR20210089239 A KR 20210089239A KR 102502347 B1 KR102502347 B1 KR 102502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valve
flow path
coupled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8512A (ko
Inventor
이춘식
Original Assignee
이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식 filed Critical 이춘식
Priority to KR1020210089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34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용 연결 소켓에 관한 것으로, 물이 이동되도록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배수관과 연결되는 입수구와, 몸체의 측부에 형성되어 연결관과 연결되는 출수구와,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내부의 저장공간에 물이 수용되고, 하단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단이 통로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입수구와 출수구를 양측으로 분할하고, 하단이 저장공간에 설정높이로 위치되는 격벽과, 배출구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밀봉캡 및, 상단이 체결홀과 암수로 결합되고, 체결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유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되는 배출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수용 연결 소켓{CONNECTING SOCKET FOR DRAIN}
본 발명은 배수용 연결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봉캡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물과 이물질(찌꺼기 등)이 함께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배수용 연결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 화장실 등에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관이 설치되고, 배수관에는 유해 가스와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P'자 모양의 배수용 연결 소켓(피 트랩이라고도 함)이 사용된다.
종래의 배수용 연결 소켓은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배수관의 하단과 연결되는 입수구와, 몸체의 측부에 구비되어 연결관의 일단과 연결되는 출수구와, 통로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을 일정 수위로 저장하는 수용부 및, 통로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입수구와 출수구를 양측으로 분할하고, 하단이 수용부의 내부에서 물에 잠긴 상태로 위치되는 격벽 등으로 구성되고, 몸체의 하부에는 수용부에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밀봉캡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배수용 연결 소켓은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를 내부의 통로를 통해 연결관으로 이동시키고, 통로에 설치된 격벽에 의해 출수구 방향의 유해 가스와 악취 등이 배수관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는다. 또한 물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밀봉캡을 몸체로부터 분리시켜 수용부에 누적된 물과 이물질(찌꺼기 등)을 제거할 수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배수용 연결 소켓은 막힌 배관 청소를 위하여 밀봉캡을 분리시키는 경우, 수용부에 저장된 물과 이물질(찌꺼기 등)이 함께 쏟아져 주변을 오염시킬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수용부에 고여 있는 슬러지를 밀봉캡 개방 전에 배출시킨 후 밀봉캡을 분리시켜 수용에 누적된 이물질을 위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8302호(2013년 08월 08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하수관용 P-트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밀봉캡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물과 이물질(찌꺼기 등)이 함께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배수용 연결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은 물이 이동되도록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배수관과 연결되는 입수구와, 상기 몸체의 측부에 형성되어 연결관과 연결되는 출수구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내부의 저장공간에 물이 수용되고, 하단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단이 상기 통로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입수구와 출수구를 양측으로 분할하고, 하단이 상기 저장공간에 설정높이로 위치되는 격벽과, 상기 배출구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밀봉캡 및, 상단이 상기 체결홀과 암수로 결합되고, 상기 체결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되는 배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홀과 상기 배출 밸브의 상단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는 상기 배출 밸브의 상하로 관통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는 일측이 상기 배출 밸브의 일측에 개방 또는 폐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레버 및, 상기 유로의 내부에서 상기 레버와 연동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에 의해 내부의 관통홀이 개방 또는 폐쇄 방향에 위치되는 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밸브의 하단에는 상기 유로가 상하로 관통되는 하부 연결구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연결구의 돌출된 하단에는 상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물을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하부 배출관이 암수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는 상기 배출 밸브의 상부에 수직하게 관통되는 수직 유로 및, 상기 수직 유로의 측부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 밸브의 측방으로 개방되는 수평 유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는 상단이 상기 수직 유로의 하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배출 밸브의 하부로 노출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 회전조작 가능하게 구비되고, 정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결합부를 상기 수평 유로를 폐쇄시키는 위치로 상승시키며, 역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결합부를 상기 수평 유로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하강시키는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밸브의 측단에는 상기 수평 유로가 측방으로 관통되는 측부 연결구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측부 연결구의 돌출된 일측단에는 상기 수평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물을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측부 배출관이 암수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밀봉캡을 분리시키기 전에 물을 먼저 배출시킴으로써 물과 이물질(찌꺼기 등)이 함께 쏟아지지 않아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용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설정높이 이상인 경우 배출 밸브가 자동으로 개방되므로 수용부에 저장된 물을 적정 수위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에 수위 감지부와 램프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에 수위 감지부와 구동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배출 밸브에 레버와 볼부재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배출 밸브에 레버와 볼부재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배출 밸브에 레버와 볼부재를 적용하고, 레버와 볼부재를 개방 위치로 회동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배출 밸브에 레버와 볼부재와 수위 감지부 및 램프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배출 밸브에 레버와 볼부재와 수위 감지부 및 구동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배출 밸브에 결합부와 조절부재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배출 밸브에 결합부와 조절부재를 개방 위치로 하강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배출 밸브에 결합부와 조절부재와 수위 감지부 및 램프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배출 밸브에 결합부와 조절부재와 수위 감지부 및 구동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수용부에 표시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에 수위 감지부와 램프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에 수위 감지부와 구동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배출 밸브에 레버와 볼부재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배출 밸브에 레버와 볼부재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배출 밸브에 레버와 볼부재를 적용하고, 레버와 볼부재를 개방 위치로 회동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배출 밸브에 레버와 볼부재와 수위 감지부 및 램프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배출 밸브에 레버와 볼부재와 수위 감지부 및 구동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배출 밸브에 결합부와 조절부재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배출 밸브에 결합부와 조절부재를 개방 위치로 하강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배출 밸브에 결합부와 조절부재와 수위 감지부 및 램프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배출 밸브에 결합부와 조절부재와 수위 감지부 및 구동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의 수용부에 표시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은 화장실, 주방 등의 하부로 물(W)과 오수 등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관(10)에 연결되어 이물질,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110)와, 입수구(120)와, 출수구(130)와, 수용부(140)와, 격벽(150)과, 밀봉캡(200) 및, 배출 밸브(30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PVC(Poly Vinyl Chloride) 등의 소재를 이용해 관체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물(W)이 이동되도록 내부에 통로(111)가 형성되고, 몸체(110)의 상부에는 배수관(10)의 하단이 연결되도록 통로(111)와 연통된 입구수(120)가 형성되며, 몸체(110)의 측부에는 연결관(20)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통로(111)와 연결된 출수구(130)가 형성된다.
입수구(120)는 배수관(10)의 하단과 암수로 결합될 수 있고, 몸체(110)의 상단에는 배수관(10)의 하단이 일정 길이로 삽입되도록 원통 형상의 제1결합부가 돌출될 수 있으며, 제1결합부의 외부에는 원통 형상의 제1연결캡이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캡은 제1결합부의 상단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배수관(10)의 하단이 관통되도록 중공이 상하로 관통될 수 있으며, 제1연결캡의 내주면에는 배수관(10)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링 형상의 제1실링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출수구(130)는 연결관(20)의 일단과 암수로 결합될 수 있고, 몸체(110)의 측부에는 연결관(20)의 일단이 일정 길이로 삽입되도록 원통 형상의 제2결합부가 돌출될 수 있으며, 제2결합부의 외부에는 원통 형상의 제2연결캡이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캡은 제2결합부의 돌출된 단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연결관(20)의 일단이 관통되도록 중공이 측방으로 관통될 수 있으며, 제2연결캡의 내주면에는 연결관(20)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링 형상의 제2실링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의 하부에는 물(W)을 일정 높이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40)가 형성된다. 수용부(140)의 하단은 후술될 밀봉캡(200)이 암수로 결합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고, 수용부(140)의 내부에는 물(W)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공간(141)이 형성되며, 수용부(140)의 측면에는 후술될 밀봉캡(200)의 상단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장공간(141)은 후술될 밀봉캡(200)을 분리시키는 경우 물(W)이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수직하게 개방될 수 있고, 저장공간(140)은 내부에 수용된 물(W)이 설정용량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출수구(13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140)의 일측에는 도 13에서처럼 저장공간(141)을 외부에서 확인하기 위한 표시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저장공간(141)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수위를 확인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밀봉캡(200)을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저장공간(141)에 수용된 물(W)과 이물질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통로(111)의 상단에는 격벽(150)의 상단이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격벽(150)은 입수구(120)와 출수구(130)를 양측으로 분할하고, 격벽(150)의 하단이 저장공간(141)에 설정높이로 위치되며, 출수구(130)를 통해 입수구(120)로 악취 등이 역류하지 않도록 격벽(150)의 하단이 저장공간(141)에 수용된 물(W)에 잠긴 상태를 유지한다.
밀봉캡(200)은 물(W)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때 수용부(140)의 저장공간(141)을 개방시키기 위한 것으로, 밀봉캡(200)은 수용부(140)의 하단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을 가지며, 밀봉캡(200)의 내주면에는 전술한 수용부(140)의 하단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밀봉캡(200)에는 저장공간(141)에 수용된 물(W)을 하부로 배출시킴과 아울러 후술될 배출 밸브(300)를 결합시키기 위해 체결홀(201)이 상하로 관통되고, 체결홀(201)의 내주면에는 배출 밸브(300)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캡(200)을 수용부(140)의 하단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저장공간(141)이 하부로 개방되므로 저장공간(141)에 수용된 이물질 등을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 밸브(300)는 수용부(140)의 저장공간(141)에 수용된 물(W)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출 밸브(300)의 상단이 체결홀(201)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배출 밸브(300)의 측면에는 체결홀(201)의 내부면과 대응되게 맞물림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 밸브(300)의 내부에는 유로(301)가 형성되고, 배츨 밸브(300)에는 유로(301)를 개폐시키기 위한 조작부(310)가 구비된다. 유로(301)의 일측은 체결홀(201)과 연통되고, 반대되는 타측은 배출 밸브(300)의 외부로 연통되며, 배출 밸브(300)의 일측에는 유로(301)와 연통되도록 배출관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출 밸브(300)의 상단과 밀봉캡(200)의 하단 사이에는 링 형상의 제2실링부재(32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제2실링부재(320)는 배출 밸브(300)의 둘레를 감싸고, 상단과 하단이 배출 밸브(300)의 상단과 밀봉캡(200)의 하단에 각각 밀착될 수 있으며,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고무, 실리콘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은 도 2, 7에서처럼 외부의 전원 공급부(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500)와,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저장공간(141)에 저장된 물(W)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감지부(400) 및,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램프(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수위 감지부(40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램프(600)를 점등시키고, 수위 감지부(400)로부터 물 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 램프(600)를 소등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램프(600)의 점등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저장공간(141)에 수용된 물(W)의 용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램프(600)가 점등되는 경우 배출 밸브(300)를 개방시켜 수용부(140)의 하부로 물(W)을 배출시킬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밀봉캡(200)을 분리시켜 수용부(140)의 하부로 물(W)과 이물질을 함께 배출시킬 수 있다.
수위 감지부(400)는 저장공간(141)의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물(W)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고,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공간(141)에 물(W)이 적정 수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수위 감지부(400)가 기설정된 높이에서 물(W)을 감지하고, 수위 감지부(400)의 감지신호가 제어부(500)로 전달될 수 있다.
램프(600)는 수위 감지부(400)가 물(W)을 감지하는 경우 점등되어 외부로 빛(적색, 녹색 등)을 발산시키는 것으로, 몸체(110) 또는 밀봉캡(200)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으나 램프(600)의 설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램프(600)는 엘이디(LED: Light-Emitting Diode)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램프(600)의 점등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물(W)을 배출시켜야 하는 시점을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밸브(300)는 도 4 내지 8에서처럼 유로(301)가 상하로 관통될 수 있고, 조작부(310)는 일측이 배출 밸브(300)의 일측에 개방 또는 폐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타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레버(311) 및, 유로(301)의 내부에서 레버(311)와 연동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레버(311)의 회전 조작에 의해 내부의 관통홀(312a)이 개방 또는 폐쇄 방향에 위치되는 볼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311)는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폐쇄(CLOSED) 위치와 개방(OPEN) 위치로 회동 가능하고, 레버(311)의 일단에 연결된 연결축이 배출 밸브(300)의 측부를 통해 볼부재(312)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볼부재(312)는 정회전 가능하도록 구 형상을 갖고, 관통홀(312a)은 볼부재(312)의 양측으로 관통될 수 있으며, 볼부재(312)의 회동에 의해 개방 위치로 회동시 유로(301)와 상하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배출 밸브(300)의 하단에는 유로(301)가 상하로 관통되는 하부 연결구(313)가 돌출될 수 있고, 하부 연결구(313)의 돌출된 하단에는 유로(301)를 통해 배출되는 물(W)을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하부 배출관(314)이 암수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배출관(314)은 유로(301)의 하부로 배출되는 물(W)을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물(W)이 이동되는 방향을 가변시키기 위해 형태 변형 가능한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311)를 폐쇄 위치로 회동시키는 경우, 도 5에서처럼 볼부재(312)가 90도로 정회전되고, 관통홀(312a)의 관통된 방향이 유로(301)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때 관통홀(312a)의 양단이 폐쇄되고, 유로(301)의 상하 방향이 볼부재(312)에 의해 폐쇄된다.
반면, 레버(311)를 개방 위치로 회동시키는 경우, 도 6에서처럼 볼부재(312)가 개방 위치로 정회전되고, 관통홀(312a)의 관통된 방향이 상하 방향에 위치되어 유로(301)와 수직하게 연통된다. 이때 수용부(140)의 저장공간(141)에 수용된 물(W)이 유로(301)와 관통홀(312a)을 통해 배출 밸브(300)의 하부로 배출되고, 배출 밸브(300)의 하부로 배출되는 물(W)은 하부 배출관(314)을 따라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은 도 8에서처럼 외부의 전원 공급부(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500)와,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저장공간(141)에 저장된 물(W)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감지부(400) 및,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배출 밸브(300)의 일측에 구비되고, 레버(311)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모터 등, 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수위 감지부(40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구동부(700)를 구동시켜 레버(311)를 개방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다. 즉 저장공간(141)에 수용된 물(W)이 일정 수위까지 상승하는 경우 유로(301)가 수직하게 개방되므로 수용부(140)의 하부로 물(W)이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다.
수위 감지부(400)는 저장공간(141)의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물(W)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고,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공간(141)에 물(W)이 적정 수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수위 감지부(400)가 기설정된 높이에서 물(W)을 감지하고, 수위 감지부(400)의 감지신호가 제어부(500)로 전달될 수 있다.
구동부(700)는 배출 밸브(300)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일측으로 돌출된 구동축이 레버(311)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구동축의 회전과 연동하여 레버(311)가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즉 수위 감지부(400)의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부(700)가 구동되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레버(311)를 조작하지 않아도 저장공간(141)의 물(W)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물(W)이 적정 수위로 유지되므로 유지관리가 편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은 도 9 내지 12에서처럼 배출 밸브(300)의 상부에 수직하게 관통되는 수직 유로(302) 및, 수직 유로(302)의 측부와 연결되고, 배출 밸브(300)의 측방으로 개방되는 수평 유로(303)를 포함하며, 조작부(310)는 상단이 수직 유로(302)의 하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하단이 배출 밸브(300)의 하부로 노출되는 결합부(315) 및, 결합부(315)의 하단에 회전조작 가능하게 구비되고, 정방향으로 회전시 결합부(315)를 수평 유로(303)를 폐쇄시키는 위치로 상승시키며, 역방향으로 회전시 결합부(315)를 수평 유로(303)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하강시키는 조절부재(3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출 밸브(300)의 측단에는 수평 유로(303)가 측방으로 관통되는 측부 연결구(317)가 돌출될 수 있고, 측부 연결구(317)의 돌출된 일측단에는 수평 유로(303)를 통해 배출되는 물(W)을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측부 배출관(318)이 암수로 결합될 수 있다. 측부 배출관(318)은 수평 유로(303)의 일측으로 배출되는 물(W)을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물(W)이 이동되는 방향을 가변시키기 위해 형태 변형 가능한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수직 유로(302)의 내주면과 결합부(315)의 외주면은 원주를 이루고, 수직 유로(302)의 내주면과 결합부(315)의 측면에는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조절부재(316)를 수평 회전시키는 경우 결합부(315)가 회전되면서 상부의 폐쇄 위치와 하부의 개방 위치로 승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부재(316)를 폐쇄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도 9에서처럼 결합부(315)가 수직 유로(302)의 폐쇄 위치로 상승하고, 결합부(315)의 측면이 수평 유로(303)의 일측에 밀착된다. 이때 수평 유로(303)의 일측이 결합부(315)에 의해 폐쇄되므로 수직 유로(302)와 수평 유로(303)의 사이 구간이 폐쇄된다.
반면, 조절부재(316)를 개방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도 10에서처럼 볼부재(312)가 개방 위치로 하강하고, 결합부(315)의 측면이 수평 유로(303)의 하부로 회피된다. 이때 수평 유로(303)의 일측이 수직 유로(302)와 연통되고, 수직 유로(302)의 하부로 이동된 물(W)이 수평 유로(30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수평 유로(303)를 통해 배출되는 물(W)은 측부 배출관(318)을 따라 외부로 이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은 도 11과 12에서처럼 외부의 전원 공급부(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500)와,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저장공간(141)에 저장된 물(W)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감지부(400) 및,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배출 밸브(300)의 일측에 구비되고, 레버(311)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모터 등, 7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316)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316a) 및, 구동부(700)의 구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톱니(316a)와 대응되게 맞물림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7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수위 감지부(40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구동부(700)를 구동시켜 조절부재(316)를 개방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결합부(315)가 개방 위치로 하강하므로 수평 유로(303)와 수직 유로(302)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즉 저장공간(141)에 수용된 물(W)이 일정 수위까지 상승하는 경우 수평 유로(303)가 수평하게 개방되므로 수용부(140)의 하부로 물(W)이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다.
수위 감지부(400)는 저장공간(141)의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물(W)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고,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공간(141)에 물(W)이 적정 수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수위 감지부(400)가 기설정된 높이에서 물(W)을 감지하고, 수위 감지부(400)의 감지신호가 제어부(500)로 전달될 수 있다.
구동부(700)는 배출 밸브(300)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일측으로 돌출된 구동축이 구동 기어(710)에 의해 조절부재(316)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구동축의 회전과 연동하여 조절부재(316)가 개방측 또는 폐쇄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수위 감지부(400)의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부(700)가 구동되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부재(316)를 조작하지 않아도 저장공간(141)의 물(W)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물(W)이 적정 수위로 유지되므로 유지관리가 편리하다.
여기서, 구동부(700)의 구동축은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고, 구동 기어(710)의 회전중심이 구동축의 하단과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구동 기어(710)의 일측단이 조절부재(316)의 일측단과 수평하게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구동 기어(710)의 기어부와 조절부재(316)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톱니(316a)가 대응되게 맞물림 결합되고, 구동 기어(710)의 수평회전에 의해 조절부재(316)가 개방측과 폐쇄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기어(710)는 도 12에서처럼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조절부재(316)는 개방측과 폐쇄측으로 회전시 구동 기어(710)의 상하 ??향을 따라 슬라이드 승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기어(710)가 폐쇄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도 11에서처럼 조절부재(316)가 연동 회전되면서 상부의 폐쇄 위치로 상승하고, 구동 기어(710)가 개방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도 12에서처럼 조절부재(316)가 연동 회전되면서 상부의 개방 위치로 하강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밀봉캡(200)을 분리시키기 전에 물(W)을 먼저 배출시킴으로써 물(W)과 이물질(찌꺼기 등)이 함께 쏟아지지 않아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용부(140)에 저장된 물(W)의 수위가 설정높이 이상인 경우 배출 밸브(300)가 자동으로 개방되므로 수용부(140)에 저장된 물을 적정 수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연결 소켓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배수관 20: 연결관
110: 몸체 111: 통로
120: 입수구 130: 출수구
140: 수용부 141: 저장공간
150: 격벽 160: 표시부
200: 밀봉캡 201: 체결홀
210: 제1실링부재 300: 배출 밸브
301: 유로 302: 수직 유로
303: 수평 유로 310: 조작부
311: 레버 312: 볼부재
312a: 관통홀 313: 하부 연결구
314: 하부 배출관 315: 결합부
316: 조절부재 316a: 톱니
317: 측부 연결구 318: 측부 배출관
320: 제2실링부재 400: 수위 감지부
500: 제어부 600: 램프
700: 구동부 710: 구동 기어
800: 전원 공급부 W: 물

Claims (6)

  1. 물이 이동되도록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배수관과 연결되는 입수구;
    상기 몸체의 측부에 형성되어 연결관과 연결되는 출수구;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내부의 저장공간에 물이 수용되고, 하단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수용부;
    상단이 상기 통로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입수구와 출수구를 양측으로 분할하고, 하단이 상기 저장공간에 설정높이로 위치되는 격벽;
    상기 배출구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밀봉캡; 및
    상단이 상기 체결홀과 암수로 결합되고, 상기 체결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되는 배출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유로는 상기 배출 밸브에 수직하게 관통되는 수직 유로 및,
    상기 수직 유로의 측부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 밸브의 측방으로 개방되는 수평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단이 상기 수직 유로의 하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배출 밸브의 하부로 노출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 회전조작 가능하게 구비되고, 정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결합부를 상기 수평 유로를 폐쇄시키는 위치로 상승시키며, 역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결합부를 상기 수평 유로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하강시키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외부의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감지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배출 밸브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톱니와 대응되게 맞물림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조절부재가 개방측 또는 폐쇄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조절부재를 개방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연결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과 상기 배출 밸브의 상단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연결 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배출 밸브의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조작부는 일측이 상기 배출 밸브의 일측에 개방 또는 폐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레버 및,
    상기 유로의 내부에서 상기 레버와 연동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에 의해 내부의 관통홀이 개방 또는 폐쇄 방향에 위치되는 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연결 소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밸브의 하단에는 상기 유로가 상하로 관통되는 하부 연결구가 돌출되며,
    상기 하부 연결구의 돌출된 하단에는 상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물을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하부 배출관이 암수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연결 소켓.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밸브의 측단에는 상기 수평 유로가 측방으로 관통되는 측부 연결구가 돌출되며,
    상기 측부 연결구의 돌출된 일측단에는 상기 수평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물을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측부 배출관이 암수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연결 소켓.
KR1020210089239A 2021-07-07 2021-07-07 배수용 연결 소켓 KR102502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239A KR102502347B1 (ko) 2021-07-07 2021-07-07 배수용 연결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239A KR102502347B1 (ko) 2021-07-07 2021-07-07 배수용 연결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512A KR20230008512A (ko) 2023-01-16
KR102502347B1 true KR102502347B1 (ko) 2023-02-21

Family

ID=85110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239A KR102502347B1 (ko) 2021-07-07 2021-07-07 배수용 연결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3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37666A1 (en) * 2015-02-13 2016-08-18 Jack Hancosky Drain trap adaptor
JP6837827B2 (ja) 2016-12-26 2021-03-0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排水トラップ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089B1 (ko) * 2007-02-02 2009-05-07 (주) 엔케이텍 고압용기용 이중밸브장치
KR200461936Y1 (ko) * 2007-02-21 2012-08-14 탁준 배수트랩
KR20130088302A (ko) * 2012-01-31 2013-08-08 이종태 하수관용 p-트랩
KR20140005630A (ko) * 2012-07-05 2014-01-15 이순일 세면기 트랩 여과장치
KR20190130347A (ko) * 2018-05-14 2019-11-22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볼 밸브 타입의 절수형 좌변기
KR20200112057A (ko) * 2019-03-20 2020-10-05 차윤도 세면대용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37666A1 (en) * 2015-02-13 2016-08-18 Jack Hancosky Drain trap adaptor
JP6837827B2 (ja) 2016-12-26 2021-03-0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排水トラ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512A (ko) 202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9400B1 (en) Water cooler drip tray drainage apparatus
EP0590762A1 (en) Automatic swimming pool chlorinator
EP2406436B1 (en) Odor trap for a waterless urinal
KR102277045B1 (ko) 케미컬 자동 샘플링 시스템
AU2008362231B2 (en) Water separator
JP2010510487A (ja) 汚廃水処理槽のスラッジ濃度測定装置及び方法
KR102502347B1 (ko) 배수용 연결 소켓
JP2015509735A (ja) モジュール結合式ペット用排便器掃除装置
MX2014002977A (es) Ensamble de sumidero de aguas residuales.
JP6880534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
WO2019099971A1 (en) Garbage separator
KR101958268B1 (ko)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KR102348207B1 (ko)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
KR101282198B1 (ko) 모듈 결합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KR200257526Y1 (ko) 저수물통
US2598708A (en) Water service device
KR101123236B1 (ko) 씽크볼 마개
CA2979360C (en) Mace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00138515A (ko) 선박용 오일 회수장치
US20240156055A1 (en) Self-Filling and Self-Cleaning Pet Bowl
KR200353970Y1 (ko) 부동전의 퇴수공 조절장치
KR19990010806U (ko) 진공청소기(버큠펌프)의 오물자동 배출장치
JPH073866A (ja) 真空式下水道システムに用いる真空弁の遮断弁
JP2005030064A (ja) 排水分別装置
JP4959431B2 (ja) 圧力式下水道システムにおける差圧センサ通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