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236B1 - 씽크볼 마개 - Google Patents

씽크볼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236B1
KR101123236B1 KR1020090067898A KR20090067898A KR101123236B1 KR 101123236 B1 KR101123236 B1 KR 101123236B1 KR 1020090067898 A KR1020090067898 A KR 1020090067898A KR 20090067898 A KR20090067898 A KR 20090067898A KR 101123236 B1 KR101123236 B1 KR 101123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plate
drain
elevating plat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370A (ko
Inventor
조화자
Original Assignee
조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윤성 filed Critical 조윤성
Priority to KR1020090067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236B1/ko
Publication of KR20110010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6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plug being operated by hand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entrifugal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7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ransmission of actuation force involves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으로 배수구 마개를 개폐할 수 있고, 탈수 장치의 온/오프 제어를 할 수 있는 배수구 마개 및 이러한 배수구 마개를 구비하는 씽크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마개는, 싱크볼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를 단속하는 배수구 마개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 고정되며, 측면에 다수개의 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다수개의 물 유출구가 형성되는 기초판; 상기 기초판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취부되며, 일정한 간격 내에서 승강하면서 상측면이 상기 배수구를 단속하고, 하측면이 상기 다수개의 물 유입구를 단속하는 승강판; 상기 기초판의 상부 중앙 부분 및 상기 승강판의 하부 중앙 부분을 결합하되, 상기 승강판을 반복하여 누르는 동작에 대하여 교번적으로 상기 승강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씽크볼, 배수구, 마개, 탈수장치

Description

씽크볼 마개{DRAIN CAP FOR SINK BOWL}
본 발명은 배수구 마개 및 탈수 장치가 하부에 구비되는 씽크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터치 방식으로 배수구 마개를 개폐할 수 있고, 탈수 장치의 온/오프 제어를 할 수 있는 배수구 마개 및 이러한 배수구 마개를 구비하는 씽크볼에 관한 것이다.
씽크볼(sink bowl)은 주방용 싱크대에서 조리 용구 및 그릇들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를 저장하고 세척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씽크볼의 바닥면에는 세척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수구는 마개에 의하여 폐쇄된다. 상기 마개는 배수구를 전면 개방 또는 전부 폐쇄시키는 타입과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때 배수구를 일부 개방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배수구를 전부 개방 또는 전부 폐쇄시키는 마개의 구조는 단순히 원판형 마개의 바닥면 또는 외주면에 고무 패킹을 결합한 것으로, 세척수의 배출 속도를 조절하기 어려우며 배수구에서 소용돌이가 발생하고 배출속도가 비교적 빠르므로 물살을 타고 음식물 찌꺼기가 떠다니는 문제점이 있다. 배수구를 일부 개방시키는 구조는, 사용자가 고무장갑을 낀 불편한 상태에서 배수구의 개폐 동작을 용이하게 수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 음식물 쓰레기에 관한 규제 및 관심이 높아지면서 씽크볼 자체에 음식물 탈수장치를 구비하여 출시되는 제품들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은 씽크볼의 배수구 하단에 탈수장치를 결합한 구조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수거할 필요없이 배수구를 통하여 음식물 쓰러기를 탈수장치로 배출하여 즉시 탈수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러한 탈수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여 탈수 과정에서 발생한 물이 다시 배수구를 통하여 역류하지 않도록 마개를 준비한 상태에서 탈수장치를 작동시켜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 탈수장치의 구동을 위한 스위치와 배수구 마개의 개폐 동작이 연동되어 있지 않아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터치 방식으로 배수구 전체를 개폐할 수 있고, 배수구 마개를 회전시켜 탈수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배수구 마개 및 이러한 배수구 마개를 구비한 씽크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마개는, 싱크볼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를 단속하는 배수구 마개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 고정되며, 측면에 다수개의 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다수개의 물 유출구가 형성되는 기초판; 상기 기초판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취부되며, 일정한 간격 내에서 승강하면서 상측면이 상기 배수구를 단속하고, 하측면이 상기 다수개의 물 유입구를 단속하는 승강판; 상기 기초판의 상부 중앙 부분 및 상기 승강판의 하부 중앙 부분을 결합하되, 상기 승강판을 반복하여 누르는 동작에 대하여 교번적으로 상기 승강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판의 상측면 둘레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판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배수구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배수구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초판의 하측면 둘레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구 측면과의 밀착력으로 상기 기초판을 상기 배수구에 고정시키는 실리콘 고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배수구 마개 를 상기 배수구에 설치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 결합부는, 상기 승강판과의 결합 부분에 상기 승강판이 승강 결합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이중 풀림 방지 구조로 결합되는 것이 상기 승강판을 자유롭게 회전시켜서 상기 탈수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마개에서, 상기 물 유입구 및 물 유출구는 상기 배수구의 전 방향에 걸쳐서 배치되는 것이, 상기 배수구 전체를 개폐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져와서 소용돌이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세척수를 배수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씽크볼은, 바닥면에 경사면과 단턱을 가지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 하측에 탈수장치가 구비되는 싱크볼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 고정되며, 측면에 다수개의 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다수개의 물 유출구가 형성되는 기초판; 상기 기초판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취부되며, 일정한 간격 내에서 승강하면서 상측면이 상기 배수구를 단속하고, 하측면이 상기 다수개의 물 유입구를 단속하는 승강판; 상기 기초판의 상부 중앙 부분 및 상기 승강판의 하부 중앙 부분을 결합하되, 상기 승강판을 반복하여 누르는 동작에 대하여 교번적으로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승강 결합부; 상기 승강판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판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탈수장치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위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구 가장자리 중 상기 탈수장치의 자력 인식 센서 설치 위치와 동일한 방향에 표시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승강판 중 상기 스위치가 설치된 위치의 직상방에 표시되는 제2 표시부;를 일치시키는 경우에 상기 탈수장치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마개는 사용자가 상측에서 배수구 마개의 상면을 한번 눌러주는 동작에 의하여 배수구 마개가 개방되고, 또한 폐쇄되는 방식의 매우 간단한 조작 방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매우 크다.
또한 배수구 전체를 개폐하는 것과 동일하게 배수구 전면에 걸쳐서 물 유입구가 형성되므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세척수를 배수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구의 일부를 개폐하는 방식과 달리 밀착부재에 의하여 배수구를 세척수 유출 현상없이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씽크볼은 상기 배수구 마개의 상부 승강판을 단순히 돌려서 표시 부분을 일치시키는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상기 탈수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마개(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판(210), 승강판(220), 승강 결합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기초판(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또는 캡(310)에 고정되며, 측면에 다수개의 물 유입구(211)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다수개의 물 유출구(212)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물 유입구(211)는 상기 기초판(210)의 측면 상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때, 다수개의 물 유입구(211)는 기초판(210)의 전 구간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이, 넓은 구간에 대하여 세척수를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 유출구(212)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판(210)의 하면을 관통하여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이 다수개의 물 유출구(212) 역시 상기 물 유입구(211)와 마찬가지로 상기 기초판(210)의 하면 전체에 걸쳐서 고르게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초판(210)의 하면 중앙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설치공(252)이 상기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 하우징 설치공(252)은 상기 기초판(210)과 승강판(220)을 결합시킬 때, 상기 승강 결합부(240)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이 하우징 설치공(252)의 내면에는 상기 하우징(241)의 외면에 형성되는 숫나사면과 대응되는 암나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초판(210)의 하면에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센서 관통공(21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자력센서 관통공(215)은 후술하는 자력센서(2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기초판(210)의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후술하는 탈수장치(300)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자석(234)의 자력이 자력 인식 센 서(311)에 의하여 방해없이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기초판(210)의 측면 외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고정부(2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실리콘 고정부(213)는 상기 기초판(210)을 배수구 또는 후술하는 캡(310)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배수구 또는 캡(310)에 억지끼움 형식으로 밀착되고, 자신의 부착력에 의하여 상기 기초판(210)을 배수구 또는 캡(3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마개(200)는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승강판(220)은 상기 기초판(210)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취부되며, 일정한 간격 내에서 승강하면서 상측면이 상기 배수구를 단속하고, 하측면이 상기 다수개의 물 유입구(211)를 단속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승강판(220)의 측면 외측 둘레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판(220)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배수구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 부재(222)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판(220)은 사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일정한 경도를 가지는 성형물이다. 따라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배수구와 완전히 밀착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신축성이 있고, 금속소재와 완벽하게 밀착할 수 있는 실리콘 소재로 상기 밀착 부재(222)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이 밀착부재(222)는 상기 승강판(220)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배수구와 접촉하면서 약간 변형됨과 동시에 완벽하게 밀착되고, 세척수가 일체 배수구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220) 측면의 내면은 상기 승강판(220)이 하강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판(210)의 상측면 즉, 상기 물 유입구(211)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맞물려서 상기 물 유입구(211)를 차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마개(200)는 상기 밀착부재(222)에 의하여 1차적으로 배수구가 차단되고, 상기 승강판(220) 측면 내면과 기초판(210) 상측면이 서로 맞물리면서 2차적으로 배수구가 차단된다.
또한 상기 승강판(220)의 하면 중앙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결합부(240)의 상측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224)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220)의 하면 가장자리 부분에는 자력센서 설치홈(223)이 형성된다. 이 자력센서 설치홈(223)은 상기 탈수장치(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자력 센서(23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력 센서(230)는 상기 자력 센서 설치홈(223)에 삽입되는 설치관(231)과, 상기 설치관(231) 내부에 삽입되는 용수철(232), 그리고 상기 용수철(232)의 하단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자석(23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판(220)이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자석(234)이 상기 기초판(210)의 하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 이격된 정도의 높이로 상승되어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승강판(220)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자석(234)이 상기 용수철(232)에 눌려서 상기 기초판(210) 하면과 접촉할 정도로 하강되어, 자력 감지 센서(311)와 가까운 위치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승강판(220)의 상면은 별도로 금속판(221)으로 덮힐 수 있다. 이 금속판(221)은 미관상의 이유로 덮히기도 하고, 우수한 경도를 확보하여 주방기구 등에 의하여 배수구 마개(200)의 상면이 긁히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이 상면(22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부(120)가 형성된다. 이 제2 표시부(120)는 상기 자력 센서 설치홈(223)이 형성된 바로 상측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승강 결합부(240)는 상기 기초판(210)의 상부 중앙 부분 및 상기 승강판(220)의 하부 중앙 부분을 결합하되, 상기 승강판(220)을 반복하여 누르는 동작에 대하여 교번적으로 상기 승강판(2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에서 '승강판을 반복하여 누르는 동작에 대하여 교번적으로 상기 승강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함은, 상기 승강판(220)을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가압하여 한번 누르면 상기 승강 결합부(240)가 수축하여 상기 승강판(220)을 하측으로 당기고, 이 상태에서 상기 승강판(220)을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다시 한번 누르면 상기 승강 결합부(240)가 신장되어 상기 승강판(22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동작이 계속하여 반복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판(220)은 상측에서 누르는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한번은 하강하고 한번은 상승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마개(200)에서는 상기 승강판(220)을 사용자가 단순히 한 번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배수구가 차단되기도 하고, 열리기도 하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승강 결합부(240)는 볼펜 상단과 같이, 반복적인 누름 동 작에 대하여 교번적으로 승강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결합부(242), 하측 결합부(243), 하우징(241), 용수철(24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241)은 상기 기초판(210)의 하우징 설치공(252)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상측 결합부(242) 및 하측 결합부(243)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241)은 내부에 일정한 중공을 가지며, 그 상단에는 이 중공에 삽입된 상측 결합부(242) 하단의 단턱이 걸리도록 단턱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측 결합부(242)는 그 상단이 상기 승강판(220)의 결합홈(224)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하우징(241)의 중공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이 상측 결합부(242)는 상기 하측 결합부(243)를 합입할 수 있도록 중공을 가지며, 하측 결합부(243)의 외면에 형성된 걸림부에 교번적으로 걸리도록 삼각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결합부(242)의 상단은 상기 승강판(220)의 결합홈(224)에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220)이 상측 결합부(242)와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2중 풀림 방지 구조'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마개(200)는 상기 승강판(220)을 회전시켜 제2 표시부(292)와 제1 표시부(120)를 일치시킴으로써, 상기 탈수장치(300)를 온/오프시키므로, 상기 승강판(220)은 상기 자력 센서(230)의 회동을 위하여 자유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결합부(242)와 결합홈(224) 사이에 쐐기 부재((225)를 개재시켜 결합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상측 결합부(242) 상단은 상기 쐐기 부 재(225)와 나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쐐기 부재(225)가 상기 결합홈(224)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자유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 쐐기 부재(225)에는 상기 결합홈(224) 하단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하측 결합부(243)는 상기 하우징(241)의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하측 결합부(243) 외면에는 상기 상측 결합부(242)의 삼각홈과 맞물려서 교번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걸림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삼각홈과 한번 맞물린 상태에서는 상기 하측 결합부(243)가 상기 상측 결합부(242)의 중공으로 삽입되고, 다음번 맞물린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부에 걸려서 상기 하측 결합부(243)가 상기 상측 결합부(242)의 중공으로 삽입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이 하측 결합부(243)의 하부에는 상기 용수철(244)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는 용수철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용수철(244)은 그 상단이 상기 용수철 삽입홈에 삽입되고, 하단은 후술하는 하측 마개(214)의 상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 용수철(244)은 상기 상측 결합부(242)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수축되며,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다가 상기 승강판(220)을 밀어올리는 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41)의 중공 입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마개(214)에 의하여 폐쇄된다. 이 하측 마개(214)는 상기 상측 결합부(242), 하측 결합부(243) 및 용수철(244)이 모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41)의 증공 입구를 막는다. 이 하측 마개(214)의 상면에는 상기 용수철(244)의 하단을 함입할 수 있는 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하측 마개(214)의 측면에는 상기 하우징(241)의 중공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면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씽크볼(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00)에 배수구(110)가 형성되되, 배수구(110)가 형성되는 바닥면에는 상기 배수구 주변으로 경사면과 단턱을 가지는 배수 유도부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판의 밀착부재(222)가 상기 배수 유도부의 경사면(112)과 밀착하여 배수구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이 배수구(110)가 형성된 바닥면(100) 중 일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120)가 형성된다. 이 제1 표시부(120)는 상기 배수구(110) 가장자리 중 상기 탈수장치(300)의 자력 인식 센서(311) 설치 위치와 동일한 방향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판(220)을 회전시켜 상기 제2 표시부(292)를 상기 제1 표시부(120)와 엇갈린 위치에 두면, 상기 자석(234)이 상기 자력 인식 센서(311)와 이격되어 상기 자력 인식 센서(311)가 자석을 인지하지 못하여 탈수장치(300)가 작동되지 않고, 상기 승강판(220)을 회전시켜 제2 표시부(292)를 상기 제1 표시부(120)와 일치시키면 상기 자석(234)이 자력 인식 센서(311)와 가까워져서 탈수장치(300)가 작동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220)이 상승하여 배수구(11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수철(232)에 고정된 자석(234)이 승강판(220)을 따라서 상승하게 되어 탈수장치(300)가 원천적으로 작동할 수 없으며, 상기 승강판(220)이 하강하여 배수구(110)가 차단된 상태가 되면, 상기 자석(234)이 함께 하강하여 탈수장치(300)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상기 승강판(200)을 하강시켜 배수구(110)를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표시부(292)를 제1 표시부(120)와 일치시켜야만 상기 탈수장치(300)가 작동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씽크볼(1)에 설치되는 탈수장치(300)는 일반적인 탈수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수구 마개(200)의 하단으로는 캡(310)이 결합되며, 이 캡(310)의 내측으로 거름망(320)이 결합된다. 상기 캡(310)의 내주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자력 인식 센서(311)가 결합되어 있다. 캡(310)의 하측으로는 하우징(340)이 결합되며, 하우징(340)과 캡(310) 사이에는 수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고무링(330)이 끼워진다. 하우징(340) 내에는 거름망(320)에 적재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시키는 탈수모터 및 기타 부품들이 결합 설치되어 있으며 하우징(340)의 측면 또는 하부면으로는 세척수 및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수된 물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관(350)이 연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씽크볼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마개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마개에서 승강판이 하강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마개에서 승강판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Claims (10)

  1. 싱크볼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를 단속하는 배수구 마개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 고정되며, 측면에 다수개의 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다수개의 물 유출구가 형성되는 기초판;
    상기 기초판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취부되며, 일정한 간격 내에서 승강하면서 상측면이 상기 배수구를 단속하고, 하측면이 상기 다수개의 물 유입구를 단속하는 승강판;
    상기 기초판의 상부 중앙 부분 및 상기 승강판의 하부 중앙 부분을 결합하되, 상기 승강판을 반복하여 누르는 동작에 대하여 교번적으로 상기 승강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결합부; 및
    상기 승강판의 상측면 둘레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판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배수구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마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판의 하측면 둘레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구 측면과의 밀착력으로 상기 기초판을 상기 배수구에 고정시키는 실리콘 고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마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결합부는,
    상기 승강판과의 결합 부분에 상기 승강판이 승강 결합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이중 풀림 방지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마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유입구 및 물 유출구는 상기 배수구의 전 방향에 걸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마개.
  6. 바닥면에 경사면과 단턱을 가지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 하측에 탈수장치가 구비되는 싱크볼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 고정되며, 측면에 다수개의 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다수개의 물 유출구가 형성되는 기초판;
    상기 기초판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취부되며, 일정한 간격 내에서 승강하면서 상측면이 상기 배수구를 단속하고, 하측면이 상기 다수개의 물 유입구를 단속하는 승강판;
    상기 기초판의 상부 중앙 부분 및 상기 승강판의 하부 중앙 부분을 결합하되, 상기 승강판을 반복하여 누르는 동작에 대하여 교번적으로 상기 승강판을 승강 시키는 승강 결합부;
    상기 승강판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판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탈수장치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구 가장자리 중 상기 탈수장치의 자력 인식 센서 설치 위치와 동일한 방향에 표시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승강판 중 상기 스위치가 설치된 위치의 직상방에 표시되는 제2 표시부;를 일치시키는 경우에 상기 탈수장치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판의 하측면 둘레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구 측면과의 밀착력으로 상기 기초판을 상기 배수구에 고정시키는 실리콘 고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결합부는,
    상기 승강판과의 결합 부분에 상기 승강판이 승강 결합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이중 풀림 방지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 유입구 및 물 유출구는 상기 배수구의 전 방향에 걸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볼.
KR1020090067898A 2009-07-24 2009-07-24 씽크볼 마개 KR101123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898A KR101123236B1 (ko) 2009-07-24 2009-07-24 씽크볼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898A KR101123236B1 (ko) 2009-07-24 2009-07-24 씽크볼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370A KR20110010370A (ko) 2011-02-01
KR101123236B1 true KR101123236B1 (ko) 2012-03-20

Family

ID=4377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898A KR101123236B1 (ko) 2009-07-24 2009-07-24 씽크볼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2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4143B (zh) * 2017-01-20 2019-02-19 台州河云机械有限公司 一种智能灶台柜
KR102443576B1 (ko) * 2020-12-30 2022-09-16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싱크대 배수구용 자외선 엘이디 살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725A (ko) * 1996-11-27 1998-08-17 김창현 씽크의 배수구에 설치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KR200257171Y1 (ko) * 2001-08-07 2001-12-24 이용만 싱크대 배수관 뚜껑
KR20080042059A (ko) * 2008-04-23 2008-05-14 주식회사 두두제스코 싱크볼
KR20100010185U (ko) * 2009-04-09 2010-10-19 주식회사 천일 음식물쓰레기 탈수 및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725A (ko) * 1996-11-27 1998-08-17 김창현 씽크의 배수구에 설치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KR200257171Y1 (ko) * 2001-08-07 2001-12-24 이용만 싱크대 배수관 뚜껑
KR20080042059A (ko) * 2008-04-23 2008-05-14 주식회사 두두제스코 싱크볼
KR20100010185U (ko) * 2009-04-09 2010-10-19 주식회사 천일 음식물쓰레기 탈수 및 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370A (ko) 201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05642A (zh) 一种内桶无孔洗衣机
CN201962747U (zh) 一种螺旋式面盆下水器
KR101123236B1 (ko) 씽크볼 마개
CN202164673U (zh) 一种台控下水器
KR100564717B1 (ko) 세면대의 배수밸브 자동개폐장치
KR100701785B1 (ko) 공동주택의 악취방지 배수전
US20100138985A1 (en) Offset grid drain and drain closure mechanism
KR20120087579A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CN211257177U (zh) 一种电动控制水槽进排水的控制系统
CN202595838U (zh) 面盆去水器
CN208685726U (zh) 带自动排溢水的下水器
KR100632446B1 (ko)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CN202767198U (zh) 用于地漏中快速排水与消除异味的装置
JP2016098568A (ja) 排水栓開閉構造
CN210104888U (zh) 一种洗脸盆下水器
JP2018025023A (ja) 排水栓装置
CN207633448U (zh) 下水器
KR100891131B1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200250204Y1 (ko)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CN217379121U (zh) 一种拉绳式防臭下水器
KR20110007997U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384846Y1 (ko)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KR20200139981A (ko) 싱크 배수장치
KR101669801B1 (ko)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
JP2019100044A (ja) 排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