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207B1 -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8207B1 KR102348207B1 KR1020210071080A KR20210071080A KR102348207B1 KR 102348207 B1 KR102348207 B1 KR 102348207B1 KR 1020210071080 A KR1020210071080 A KR 1020210071080A KR 20210071080 A KR20210071080 A KR 20210071080A KR 102348207 B1 KR102348207 B1 KR 1023482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wage
- suspended
- pipe
- solid
- tank syste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통기구가 구비된 본체를 포함하고;일측은 오수 흡입 펌프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와 연결된 오수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깔때기 형상의 공간 구획부가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 구획부는 내측에 오수에 함유된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이 수거되고 하측의 관체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오수를 본체의 내부로 흘러 저수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관체의 수직 중심선은 상기 오수 배출관의 수직 중심선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통기구가 구비된 본체를 포함하고;일측은 오수 흡입 펌프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와 연결된 오수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깔때기 형상의 공간 구획부가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 구획부는 내측에 오수에 함유된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이 수거되고 하측의 관체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오수를 본체의 내부로 흘러 저수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관체의 수직 중심선은 상기 오수 배출관의 수직 중심선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수 처리장치에서 오수가 수거되며 임시 저장되는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공간 구획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인 오물을 분리 수거하되 오수는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로 흘러가 저수되도록 한 후 오수 펌프의 흡입 동작에 의해 고형물질과 부유물질 그리고 오수를 효과적으로 흡입 및 배출하도록 한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아파트와 같은 집단 주거시설이나 군부대 또는 학교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생활하는 집단 취사시설에서는 다량의 오수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버려지는 오수의 대부분은 욕실 및 세탁실에서 발생하는 오수와, 주방의 싱크대에서 버려지는 오수 및 음식물 찌꺼기가 포함되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방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주방에서 발생하는 오수는 정해진 관로를 통해 배출되어 저장된 후 침전, 원심분리, 정화, 살균, 소독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별도의 배출경로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상기한 오수 처리장에는 오수가 임시로 저장되는 오수 저장탱크가 구비되며, 상기 오수 저장탱크의 근처에는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로 유입된 오수를 다음 공정으로 배출하기 위한 오수 펌프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오수 처리장에서 특히 유입된 오수를 임시로 저장하는 오수 저장탱크의 구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오수 저장탱크에 있는 오수에는 많은 고형물질과 부유물질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한 고형물질과 부유물질들은 대부분 지방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오수와 섞인 상태에서는 오수의 수위 상측으로 부상하거나 유영하게 된다.
따라서, 오수를 배출하기 위해 오수 펌프를 가동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면 오수는 오수 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쉽게 배출되지만, 오수의 상측에서 부상하거나 유영하는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에는 오수 펌프의 흡입력이 미치지 않아 쉽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부상하며 유영하는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은 점성이 강하여 오수 저장탱크의 내벽 면에 부착되어 덩어리 상태로 고착되거나 케익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요인에 의해 배출되지 않은 고형물질과 부유물질들을 배출시키기 위해 오수 펌프를 반복적으로 가동하게 되면 그에 따라 소비전력이 상승하게 되고 오수 펌프에는 피로가 누적되어 결국은 오수 펌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한 특허 등록번호 10-2246436호(발명의 명칭 : 자가세정 기능이 구비된 오수펌프 시스템)를제안한 바 있으며, 그 발명의 구성상 특징부 중 하나는, 오수 탱크에 수용된 오수가 분기관을 향하여 원활하게 흘러내리며 이송될 수 있도록 내부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구비한 것이다.
즉, 상기한 등록번호 10-2246436호의 오수 탱크에서는 오수 탱크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그 바닥면의 한쪽에 오수 펌프에서 연장된 분기관을 설치하여 오수 탱크의 바닥에 있는 고형물 및 오수가 바닥에 쌓이지 않고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린 후 오수 펌프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분기관을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오수 탱크의 경사면은 오수 탱크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한 분기관은 오수 탱크의 전방 어느 한 쪽에 부분적으로 관통 설치된 구조에 의해 오수 펌프가 구동하며 발생하는 흡입력은 오수 탱크의 전방에 가라앉은 물질들만 흡입 가능하고, 오수와 함께 둥둥 떠다니며 부유하고 있는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에는 오수 펌프의 흡입력이 충분히 미치지 않아 고형물질과 부유물질들을 충분히 흡입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은 그대로 남아 있었다.
결과적으로, 오수 처리장치에서 오수 탱크의 내부로 유입된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을 오수 펌프가 효과적으로 흡입한 후 다음 공정을 향하여 강제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이 해결해야 할 선행 과제로 남아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오수 처리장치에서 특히, 오수가 수거되는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깔때기 형상의 공간 구획부를 별도로 구획하고, 공간 구획부에는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인 오물을 수거하고, 오수는 공간 구획부를 통하여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로 흘러가 저수되도록 한 후 오수 펌프의 흡입 동작에 의해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입 및 배출하도록 한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수 처리장치에서 특히, 오수가 수거되는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깔때기 형상의 공간 구획부를 별도로 구획하고, 공간 구획부에 수거된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의 밀도를 높게하여 오수펌프의 동작 초기부터 고형물질 및 부유물질이 오수보다 우선적으로 방출되도록 내부설계하여 고형물질과 부유물질 그리고 오수를 효과적으로 흡입 및 배출하도록 한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수 처리장치에서 특히, 오수가 수거되는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깔때기 형상의 공간 구획부를 별도로 구획하고, 공간 구획부에는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을 수거하고, 오수는 공간 구획부를 통하여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로 흘러가 저수되도록 한 후 오수 흡입 펌프의 흡입 동작에 의해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의 오물과 오수를 효과적으로 흡입 및 배출하도록 하여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에서 고형물질과 부유물질들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수가 수거되는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오수 흡입 펌프의 동작에 의해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있는 고형물의 오물과 오수를 효과적으로 흡입 및 배출하도록 하여 오수 흡입 펌프의 과도한 운전을 미연에 방지하고 그에 따른 피로도를 줄여 오수 흡입 펌프의 수명연장을 기대할 수 있는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통기구가 구비된 본체를 포함하고; 일측은 오수 흡입 펌프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와 연결된 오수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깔때기 형상의 공간 구획부가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 구획부는 내측에 오수에 함유된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이 수거되고 하측의 관체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오수를 본체의 내부로 흘러 저수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관체의 수직 중심선은 상기 오수 배출관의 수직 중심선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오수 저장탱크의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 씌워지며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통기구가 구비된 뚜껑을 포함하고; 일측은 오수 흡입 펌프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와 연결된 오수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깔때기 형상의 공간 구획부가 장착된 후 상기 뚜껑에 의해 고정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 구획부는 내측에 오수에 함유된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이 수거되고 하측의 관체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오수를 본체의 내부로 흘러 저수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관체의 수직 중심선은 상기 오수 배출관의 수직 중심선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를 제공한다.
상기 제1,2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변형 예는, 상기 공간 구획부의 상측에는 적어도 한 개의 통기구가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2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변형 예는, 상기 관체의 하단 부는 상기 본체의 바닥 면과 밀착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체의 하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의 유로가 관통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2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3 변형 예는, 상기 관체의 직경(L)은 상기 오수 배출관의 직경(l)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2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5 변형 예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뚜껑에는 복수 개의 수위감지 센서가 장착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2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6 변형 예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은 상기 오수 배출관을 향하여 경사 또는 만곡된 것을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오수 처리장치에서 특히, 오수가 수거되는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깔때기 형상의 공간 구획부를 별도로 구획하고, 공간 구획부에는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이 수거되고, 오수는 공간 구획부를 통하여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로 흘러가 저수되도록 함으로써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이 오수에서 부상하거나 유영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오수 펌프에 의해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입 및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오수 처리장치에서 특히, 오수가 수거되는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깔때기 형상의 공간 구획부를 별도로 구획하고, 공간 구획부에는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이 수거되되 공간 구획부의 하부 배관이 탱크의 하부 배출구와 근접하도록 하여 그에 따라 오수 펌프에 의해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의 흡입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셋째, 오수 처리장치에서 특히, 오수가 수거되는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깔때기 형상의 공간 구획부를 별도로 구획하고, 공간 구획부에는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이 수거되도록 한 후 수거된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을 오수 펌프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에서 고형물질과 부유물질들이 엉겨붙어 고착되거나 케이크 화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넷째, 오수 처리장치에서 특히, 오수가 수거되는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오수 펌프의 동작에 의해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에 있는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입 및 배출하도록 하여 오수 펌프의 과도한 운전을 미연에 방지하고 그에 따른 피로도를 줄여 오수 펌프의 수명연장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탱크 시스템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탱크 시스템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전체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체와 유로의 다른 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탱크 시스템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전체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체와 유로의 다른 예를 보인 구성도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저장탱크의 본체(10)는 오수 처리장치의 라인 중에 설치되며,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통기구(12)가 구비된다.
상기 오수 저장탱크의 본체(10)는 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지만,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설치하고자 환경과 오수의 성분 등을 고려하며 재질이 선택될 것이다.
상기 본체(10) 또는 본체(10)와 인접한 곳에는 후술하는 오수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다.
또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오수 흡입 펌프(2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와 상기 오수 흡입 펌프(20)는 오수 배출관(30)을 매개로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지배적인 특징부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깔때기 형상의 공간 구획부(40)가 장착된다는 점이다.
상기 공간 구획부(40)는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본체(10)의 내벽 면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화 될 수 있고, 본체(10) 역시 별도의 뚜껑이 없이 용접에 의해 밀폐된 통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공간 구획부(40)의 적소에는 적어도 한 개의 통기구(40a)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간 구획부(40)는 별도로 제작된 후 도 2와 같이, 본체(10)의 상측에 걸쳐진 형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별도로 제작된 뚜껑(10A)을 본체(10)에 씌움으로써 공간 구획부(40)를 고정하며 본체(10)를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뚜껑(10A)에는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통기구(12)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공간 구획부(40)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연장된 관체(41)는 상기 본체(10)의 바닥면과 이격되며 형성된 유로(42)를 형성한다.
즉, 상기 공간 구획부(40)는 폭이 넓은 상측에 오수와 함께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이 수거될 때 오수는 관체(41)와 그 하단부에 형성된 유로(42)를 통하여 배출되고, 폭이 넓은 상측과 관체(41)에는 점차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이 쌓이게 된다.
상기 관체(41)의 하단부와 상기 본체(10)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t)의 높이는 배출되는 부유물질의 양과 종류에 따라 설정이 가능하지만 유로(42)를 통하여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의 유출은 억제하며 오수 위주로 유출이 용이하도록 유로(42)를 형성하는 간극(t)의 높이는 1mm~100mm 의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간극은 본체(10)의 내부 용량 및 크기 그리고 배출되는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의 양에 따라 비례하며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흡입 펌프(20)가 구동하며 발생하는 흡입력이 상기 오수 배출관(30)을 통하여 발생할 때 상기 관체(41)에 쌓인 부유물질과 고형물질 그리고 공간 구획부(40)의 폭이 넓은 구간에 쌓인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을 먼저 흡입한 후 상기 관체(41)의 하단부와 본체(10)의 바닥 면 사이에 형성된 유로(42)를 통하여 오수를 흡입하도록 간극(t)의 높이가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관체(41)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제작한 후 상기 본체(10)의 높이에 맞춰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0)의 바닥 면과 맞닿게 구비하거나, 관체(41)의 하단 면이 폐쇄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때에는 상기 관체(41)의 하단 부에 다수의 홀을 원주방향으로 형성하며 유로(4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체(42)의 수직 중심선, 즉, 관체(42)의 관축 방향은 상기 본체(10)와 관통하는 상기 오수 배출관(30)의 수직 중심선 방향과 일치하는 직상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관체(42)와 상기 오수 배출관(30)의 설치 방향을 일치시켜야만 상기 흡입 펌프(2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이 그 직상방에 배치된 상기 관체(42)를 향하여 새어나감이 집중되기 때문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10)의 바닥 면은 상기 오수 배출관(30)을 향하여 경사 또는 만곡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의 바닥 면이 상기 오수 배출관(30)을 향하여 경사지거나 만곡되면 오수 배출관(30)의 주변에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이 쌓이고 또한 수위도 주변보다 깊으므로 오수 배출관(30) 주변의 압력이 증대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체의 직경(L)은 상기 오수 배출관(30)의 직경(l)보다 크거나 같게 구성하고, 상기 유로(42)를 형성하는 공간의 면적은 상기 배출관(30)의 단면적보다 작게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관체(41)의 직경(L)을 한정하는 이유는, 상기 오수 흡입 펌프(2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이 상기 오수 배출관(30) 그리고 상기 관체(41)를 향하여 발생할 때, 오수 배출관(30)의 직경(l)이(또는 대향 면적) 상기 관체(41)의 직경(또는 대향 면적)보다 크게 되면 오수 흡입 펌프(2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이 관체(41)에 지나치게 집중되면 부작용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또는 상기 뚜껑(10A)에는 복수 개의 수위 감지센서 (51)(52)(53)가 장착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수위 감지센서(51)(52)(53)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저수된 오수의 수위를 센싱하고, 센싱한 수위를 미도시한 제어부로 송신하면, 제어부는 수위 감지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판독한 후 상기 오수 흡입 펌프(2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처음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구(11)를 통하여 오수, 즉,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면 음식물 쓰레기는 공간 구획부(40)를 경유한 후 관체(41)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관체(41)의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가 점차 쌓이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은 관체(41)의 내부에 존재하지만, 오수는 상기 관체(41)의 하단부에 형성된 유로(42) 또는 관체(41)의 하측에 형성된 유로(42)를 통하여 배수된 후 본체(10)의 내부에서 점차 차오르게 된다.
한편, 상기의 동작이 반복되면 상기 관체(41)의 내부에는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이 쌓이게 되고, 본체(10)의 내부에는 오수의 수위가 점차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위 감지센서(51)(52)는 오수의 수위를 센싱한 후 제어부로 센싱한 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는 수신된 신호를 판독한 후 상기 오수 흡입 펌프(20)를 동작시킨다.
상기와 같이 오수 흡입 펌프(20)가 동작되면 상기 오수 배출관(30)을 통하여 흡입력이 발생되고, 상기 오수 배출관(30)은 그 상측에 대향하고 있는 상기 관체(41)의 하단부를 향해 흡입력이 부여된다.
이때, 상기 관체(41)의 직경(L)은 상기 오수 배출관(30)의 직경(l)보다 크게 형성된 구조에 오수 배출관(30)을 통하여 부여되는 오수 흡입 펌프(20)의 흡입력은 관체(L) 내부 및 외부의 오수에 동시에 작용하나, 관체(41) 내부에 우선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오수 흡입 펌프(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본체(10) 내부의 오수가 배출되면 가장 하측에 배치된 상기 수위 감지센서(53)가 오수의 수위를 감지한 후 본체(10) 내부에 잔존하는 오수가 저수위 수준을 감지할 경우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와 오수 흡입 펌프(20)로 명령을 전달하여 오수 흡입 펌프(2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관체(41)의 내부에 쌓인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을 오수 배출관(30)이 흡입한 후 상기 오수 흡입 펌프(20)를 통하여 다음 경로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수 흡입 펌프(20)의 흡입력이 손실되지 않은 상태에서 오수 배출관(30) 및 관체(41)로 전달되므로 관체(41)의 내부에 쌓인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을 오수보다 우선적으로 효과적으로 흡입, 배출하며 잔존물도 없게 한다는 점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해당 분야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0A ; 뚜껑
11 ; 유입구 12 ; 통기구
20 ; 오수 흡입 탱크 30 ; 오수 배출관
30 ; 공간 구획부 41 ; 관체
42 ; 유로 51, 52, 53 ; 수위 감지센서
11 ; 유입구 12 ; 통기구
20 ; 오수 흡입 탱크 30 ; 오수 배출관
30 ; 공간 구획부 41 ; 관체
42 ; 유로 51, 52, 53 ; 수위 감지센서
Claims (7)
-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통기구가 구비된 본체를 포함하고;
일측은 오수 흡입 펌프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와 연결된 오수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깔때기 형상의 공간 구획부가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 구획부는 내측에 오수에 함유된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이 수거되고 하측의 관체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오수를 본체의 내부로 흘러 저수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관체의 수직 중심선은 상기 오수 배출관의 수직 중심선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
- 오수 저장탱크의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 씌워지며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통기구가 구비된 뚜껑을 포함하고;
일측은 오수 흡입 펌프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와 연결된 오수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깔때기 형상의 공간 구획부가 장착된 후 상기 뚜껑에 의해 고정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 구획부는 내측에 오수에 함유된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이 수거되고 하측의 관체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오수를 본체의 내부로 흘러 저수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관체의 수직 중심선은 상기 오수 배출관의 수직 중심선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구획부의 상측에는 적어도 한 개의 통기구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의 하단 부는 상기 본체의 바닥 면과 밀착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체의 하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의 유로가 관통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관체의 직경(L)은 상기 오수 배출관의 직경(l)보다 크거나 같게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복수 개의 수위감지 센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은 상기 오수 배출관을 향하여 경사 또는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1080A KR102348207B1 (ko) | 2021-06-01 | 2021-06-01 |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1080A KR102348207B1 (ko) | 2021-06-01 | 2021-06-01 |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8207B1 true KR102348207B1 (ko) | 2022-01-07 |
Family
ID=7935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1080A KR102348207B1 (ko) | 2021-06-01 | 2021-06-01 |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820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3751B1 (ko) | 2022-08-24 | 2023-04-20 | (주)에스피에스솔루션 | 오수 배출 시스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46889A (ja) * | 1993-04-13 | 1994-12-20 | Hitachi Ltd | 汚水・汚物ポンプの停止方法 |
JPH09209993A (ja) * | 1996-02-01 | 1997-08-12 | Kubota Corp | ポンプの吸込水槽 |
KR20130016492A (ko) * | 2011-08-08 | 2013-02-18 | 윤재근 | 폐수와 슬러지분리장치 |
KR20190083289A (ko) * | 2018-01-03 | 2019-07-11 | (주) 일신네이쳐 |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
KR102246436B1 (ko) | 2020-12-10 | 2021-04-29 | 김진이 | 자가세정 기능이 구비된 오수펌프 시스템 |
-
2021
- 2021-06-01 KR KR1020210071080A patent/KR10234820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46889A (ja) * | 1993-04-13 | 1994-12-20 | Hitachi Ltd | 汚水・汚物ポンプの停止方法 |
JPH09209993A (ja) * | 1996-02-01 | 1997-08-12 | Kubota Corp | ポンプの吸込水槽 |
KR20130016492A (ko) * | 2011-08-08 | 2013-02-18 | 윤재근 | 폐수와 슬러지분리장치 |
KR20190083289A (ko) * | 2018-01-03 | 2019-07-11 | (주) 일신네이쳐 |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
KR102246436B1 (ko) | 2020-12-10 | 2021-04-29 | 김진이 | 자가세정 기능이 구비된 오수펌프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3751B1 (ko) | 2022-08-24 | 2023-04-20 | (주)에스피에스솔루션 | 오수 배출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374094A (zh) | 一种具有厨余垃圾处理系统的智能橱柜 | |
US20020108902A1 (en) | Separator device | |
CN104787909B (zh) | 一种污水处理设备及其处理方法 | |
KR102348207B1 (ko) |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 | |
IL214582A (en) | Anti-deck trap with snorkel for variable water | |
US4219428A (en) | Water reservoir | |
CN2566925Y (zh) | 一种油水分离装置 | |
US20050183673A1 (en) | Waste extraction system | |
AU2001258968B2 (en) | Separation apparatus with conveyor and separating hopper | |
US4547917A (en) | Water closet system having a liquid separator | |
CN104787910A (zh) | 水渣油混合物分离装置 | |
KR200383882Y1 (ko) | 오수받이 | |
CN108083564A (zh) | 餐厨废水处理装置 | |
CN107440357A (zh) | 一种智能一体式垃圾固液分离处理橱柜 | |
KR101755113B1 (ko) | 그리스 트랩 | |
JP2006118342A (ja) | 油水分離装置 | |
US9556602B2 (en) | Self-contained oil flush toilet unit and sewage treatment system for separating and pre-treating waste | |
CN214141692U (zh) | 一种模块化串联智能油水分离器 | |
CN105174659B (zh) | 船用生活污水生化排污柜 | |
CN208340179U (zh) | 一种具有除浮层功能的油水分离箱 | |
CN204281446U (zh) | 水渣油混合物分离装置 | |
CN213012230U (zh) | 带预警功能的智能餐饮油污水处理设备 | |
CN207507086U (zh) | 真空吸污固液分离装置 | |
CN111151062A (zh) | 一种餐饮收餐用自动隔油除渣处理器 | |
KR20010097084A (ko) | 슬러지와 유류를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