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751B1 - 오수 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수 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751B1
KR102523751B1 KR1020220105893A KR20220105893A KR102523751B1 KR 102523751 B1 KR102523751 B1 KR 102523751B1 KR 1020220105893 A KR1020220105893 A KR 1020220105893A KR 20220105893 A KR20220105893 A KR 20220105893A KR 102523751 B1 KR102523751 B1 KR 102523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uction pump
storage tank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이
Original Assignee
(주)에스피에스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피에스솔루션 filed Critical (주)에스피에스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05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4Controlling the feed distribution; Controlling the liquid level ; Control of process parame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수저장탱크 내에 잔량이 남지 않도록 오수와 부유물질을 완전 배출시키도록 오수 흡입 펌프의 위치와 배출관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오수저장탱크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수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에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바닥에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오수저장탱크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오수저장탱크에서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관과; 일측은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토출관에 연결되는 오수 흡입 펌프와; 상기 오수저장탱크가 완전히 비워지도록 오수 흡입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수 배출 시스템{Sewage Discharge System}
본 발명은 오수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수저장탱크 내에 잔량이 남지 않도록 오수와 부유물질을 완전 배출시키도록 오수 흡입 펌프의 위치와 배출관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오수저장탱크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수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아파트와 같은 집단 주거시설이나 군부대 또는 학교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생활하는 집단 취사시설에서는 다량의 오수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버려지는 오수의 대부분은 욕실 및 세탁실에서 발생하는 오수와, 주방의 싱크대에서 버려지는 오수 및 음식물 찌꺼기가 포함되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방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주방에서 발생하는 오수는 정해진 관로를 통해 배출되어 저장된 후 침전, 원심분리, 정화, 살균, 소독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별도의 배출경로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상기한 오수 처리장에는 오수가 임시로 저장되는 오수 저장탱크가 구비되며, 상기 오수 저장탱크의 근처에는 오수 저장탱크의 내부로 유입된 오수를 다음 공정으로 배출하기 위한 오수 펌프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오수 처리장에서 특히 유입된 오수를 임시로 저장하는 오수 저장탱크의 구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오수 저장탱크에 있는 오수에는 많은 고형물질과 부유물질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한 고형물질과 부유물질들은 대부분 지방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오수와 섞인 상태에서는 오수의 수위 상측으로 부상하거나 유영하게 된다.
따라서, 오수를 배출하기 위해 오수 펌프를 가동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면 오수는 오수 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쉽게 배출되지만, 오수의 상측에서 부상하거나 유영하는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에는 오수 펌프의 흡입력이 미치지 않아 쉽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부상하며 유영하는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은 점성이 강하여 오수 저장탱크의 내벽 면에 부착되어 덩어리 상태로 고착되거나 케익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요인에 의해 배출되지 않은 고형물질과 부유물질들을 배출시키기 위해 오수 펌프를 반복적으로 가동하게 되면 그에 따라 소비전력이 상승하게 되고 오수 펌프에는 피로가 누적되어 결국은 오수 펌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48207호에서는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통기구가 구비된 본체를 포함하고; 일측은 오수 흡입 펌프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와 연결된 오수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깔때기 형상의 공간 구획부가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 구획부는 내측에 오수에 함유된 고형물질과 부유물질이 수거되고 하측의 관체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오수를 본체의 내부로 흘러 저수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관체의 수직 중심선은 상기 오수 배출관의 수직 중심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본체 또는 상기 뚜껑에는 복수 개의 수위감지 센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 최하측에 위치한 수위감지 센서가 감지되면 오수 배출 펌프가 정지하기 때문에 오수저장탱크 본체 바닥부에 오수와 부유물질이 남아 있어 악취가 발생하고 고형물이 오수저장탱크 본체에 고착화되어 유지, 관리상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4820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00679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수저장탱크 내에 잔량이 남지 않도록 오수와 부유물질을 완전 배출시키도록 오수 흡입 펌프의 위치와 배출관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오수저장탱크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오수저장탱크 내부에 고형물이 고착화되어 운전 및 유지 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오수 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부와 수위감지 센서를 통해 오수 흡입 펌프의 작동과 정지를 제어함으로써, 배출관에 잔류하는 오수의 수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오수 흡입 펌프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오수 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수 배출 시스템은 부유물질이 함유된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부에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바닥에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오수저장탱크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오수저장탱크에서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관과;
일측은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토출관에 연결되는 오수 흡입 펌프와;
상기 오수저장탱크가 완전히 비워지도록 오수 흡입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은 일측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곡관부와, 상기 곡관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오수 흡입 펌프의 흡입측에 연결되는 직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곡관부가 상기 직관부 보다 낮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오수 흡입 펌프의 작동이 멈춘 상태에서 상기 오수 흡입 펌프 내 오수의 일부가 상기 배출관 쪽으로 역류하더라도 직관부의 부유물질은 상기 곡관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수 흡입 펌프의 흡입측은 상기 오수저장탱크 바닥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곡관부는,
일측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아래로 연장되는 하향 곡관부와, 상기 하향 곡관부에서 절곡되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직관부에 연결되는 경사 곡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오수 흡입 펌프 내 오수의 일부가 상기 배출관 쪽으로 역류한 경우 상기 하향 곡관부(31a)와 경사 곡관부(31b)의 경계에 있는 절곡점(31c)이 역류된 오수의 직관부에서의 수위 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오수 흡입 펌프의 정지 시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수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토출관에는 오수 흡입 펌프의 동작이 멈춘 경우 상기 토출관에 수용된 오수가 상기 오수 흡입 펌프 측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체크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오수저장탱크 내에는 복수 개의 수위감지 센서가 장착되며, 최상측에 위치한 수위감지 센서에서 오수의 수위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수 흡입 펌프를 동작시키고, 최하측에 위치한 수위감지 센서에서 오수의 수위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수저장탱크가 완전히 비워지도록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이 경과한 다음 상기 오수 흡입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수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오수저장탱크는 직육면체 구조이며, 상기 오수저장탱크의 바닥 중심에 위치한 배출구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오수저장탱크의 일측 벽면으로 연결되는 방지판이 설치되어, 오수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때 소용돌이 중심에서 형성되는 동공을 통해 공기가 오수 흡입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 배출 시스템에 의하면, 오수저장탱크 내에 잔량이 남지 않도록 오수와 부유물질을 완전 배출시키도록 오수 흡입 펌프의 위치와 배출관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오수저장탱크에서 악취 발생과 오수저장탱크 내부에 고형물이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지, 관리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수 배출 시스템에 의하면, 제어부와 수위감지 센서를 통해 오수 흡입 펌프의 작동과 정지를 제어함으로써, 배출관에 잔류하는 오수의 수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오수 흡입 펌프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탱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출관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와 다른 구조의 곡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수저장탱크에 방지판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방지판이 설치된 오수저장탱크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탱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배출관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와 다른 구조의 곡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수 배출 시스템은 부유물질(a)이나 고형물질 등이 함유된 오수(A)를 오수저장탱크(10)에서 완전히 배출하여 잔량이 남지 않도록 운전함으로써, 오수저장탱크 바닥(12)이나 하부에 고형물이 고착되고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오수 배출 시스템은 크게 오수저장탱크(10)와, 상기 배출구(13)에 연결되어 상기 오수저장탱크(10)에서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관(30)과, 일측은 상기 배출관(30)에 연결되고 타측은 토출관(60)에 연결되는 오수 흡입 펌프(50)와, 상기 오수저장탱크(10)가 완전히 비워지도록 오수 흡입 펌프(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오수 흡입 펌프(50)는 흡입측(51)은 오수저장탱크(10) 바닥 보다 낮게 배치한다.
본 발명의 오수저장탱크(10)는 오수 처리장치의 라인 중에 설치되며, 상단 또는 덮개에는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통기구가 구비되고, 바닥(12)에는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3)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배출관(30)은 일측이 상기 배출구(13)에 연결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곡관부(31)와, 상기 곡관부(31)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오수 흡입 펌프(50)의 흡입측(51)에 연결되는 직관부(3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배출관(30)을 곡관부(31)와, 직관부(33)로 분리 형성한 이유는 오수저장탱크(10)가 완전히 비워져 오수 흡입 펌프(50)의 작동이 멈추게 되면 토출관(60)이나 오수 흡입 펌프(50)에 남아있던 오수(A)가 배출관(30) 쪽으로 역류하게 되는데 이때 역류하는 오수에 함유된 부유물질(a)이 직관부(33)에만 잔류하고 곡관부(31)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부유물질(a)이 곡관부(31)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곡관부(31)의 최하단은 직관부(33)의 최하단 보다 낮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곡관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배출구(13)에 연결되어 아래로 연장되는 하향 곡관부(31a)와, 상기 하향 곡관부(31a)에서 절곡되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오수 흡입 펌프(50)의 흡입측(51)에 연결되는 경사 곡관부(3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향 곡관부(31a)와 경사 곡관부(31b)의 경계에 있는 절곡점(31c)은 역류된 오수의 직관부에서의 수위 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직관부 오수에 함유된 부유물질은 대부분 지방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오수의 수면이나 오수 수위 상측에 부상하기 때문에 직관부의 부유물질은 물 보다 비중이 작기 때문에 직관부 수위 보다 낮은 절곡 지점으로 하강하여 곡관부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오수 흡입 펌프(50)에서 오수(A)가 직관부(33)와 곡관부(31)로 역류가 진행될 때 오수(A)의 유속이 상부에 떠있는 부유물질(a)보다 현저히 빠르기 때문에 곡관부(31)로 유입되는 부유물질(a)의 양은 일부에 불과하게 된다.
상기 오수 흡입 펌프(50)의 작동이 정지되어 직관부(33)에 집중되어 있는 부유물질은 이후 오수 흡입 펌프(50)가 재가동될 때 우선 배출된다.
또한, 상기 곡관부(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절곡점(31c)의 폭이 넓어 부유물질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으나, 오수 흡입 펌물 작동시 오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물저항과 충격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곡관부(31)의 구조적 특징을 고려해보면, 하향 곡관부(31a)와, 경사 곡관부(31b)로 이루어진 도 2의 곡관부 구조가 도 3의 곡관부 구조 보다 더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오수저장탱크(10)가 완전히 비워지고 오수 흡입 펌프(50)가 멈춘 상태에서 오수 흡입 펌프(50)에 잔류하던 오수가 배출관(30)으로 역류할 때 배출관(30)의 수위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직관부(33)의 수위가 상술한 절곡점(31c)보다 낮은 경우에는 부유물질의 곡관부(31)로의 이동이 자유로워지고 오수저장탱크(10)로 악취가 유입되기 때문이다.
상기 배출관(30)의 오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서 토출관에는 오수 흡입 펌프(50)의 동작이 멈춘 경우 상기 토출관(60)에 수용된 오수가 상기 오수 흡입 펌프(50) 측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체크 밸브(61)가 설치되고, 상기 오수저장탱크(10) 내에는 복수 개의 수위감지 센서(41, 42, 43)가 장착된다. 그리고 제어부(40)에서는 수위감지 센서(41, 42, 43)의 수위 신호에 따라 오수 흡입 펌프(50)의 작동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최상측에 위치한 수위감지 센서(41)에서 오수의 수위 신호를 상기 제어부(40)로 송신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오수 흡입 펌프(50)를 동작시키고, 최하측에 위치한 수위감지 센서(43)에서 오수의 수위 신호를 상기 제어부(40)로 송신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오수저장탱크(10)가 완전히 비워지도록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이 경과한 다음 상기 오수 흡입 펌프(5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만일 지연 시간을 두지 않고 최하측에 위치한 수위감지 센서에서 오수의 수위 신호에 따라 오수 흡입 펌프를 정지시키면 오수저장탱크 바닥에 있는 오수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연 시간은 오수저장탱크 내의 오수의 수위가 최하측에 위치한 수위감지 센서를 지난 때부터 오수저장탱크가 완전히 비워지고 배출관에 있는 오수까지 흡입한 직후까지 흡입 펌프가 작동하도록 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이러한 지연 시간은 오수저장탱크의 크기, 최하측에 위치한 수위감지 센서의 위치, 배출관의 부피 및 오수 흡입 펌프의 흡입 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5~2초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실제 실험에서는 지연 시간을 1.5초로 설정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수저장탱크에 방지판이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방지판이 설치된 오수저장탱크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오수가 오수저장탱크(10)에서 배출구(13)를 통해 상당량 배출된 후, 오수저장탱크 바닥(12) 근처의 오수가 배출될 때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소용돌이가 발생할 때 그 중심에 생기는 동공을 통해 공기가 오수 흡입 펌프(50)로 유입되면 오수 흡입 펌프 작동이 멈출 수도 있고, 파손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소용돌이를 방지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오수저장탱크(10) 일측 벽면에서부터 바닥 중심에 위치한 배출구(13)의 일측까지 연장 형성된 삼각형의 방지판(15)을 설치함으로써, 오수가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될 때 소용돌이 중심에서 형성되는 동공을 통해 공기가 오수 흡입 펌프(5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채택하였다.
상기 오수저장탱크(10)에서 배출되는 오수는 북반구의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일측 벽면에만 방지판(15)이 설치되면 오수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난류가 형성되면서 소용돌이 발생이 억제된다.
그리고 오수저장탱크(10)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구조인 경우, 오수저장탱크 바닥(12)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13)에서 제1벽면(14a)까지 삼각형의 방지판(15)을 경사지게 설치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오수저장탱크 11 : 유입구
12 : 바닥 13 : 배출구
14a, 14b, 14c : 벽면 15 : 방지판
30 : 배출관 31 : 곡관부
31a : 하향 곡관부 31b : 경사 곡관부
31c : 절곡점 33 : 직관부
40 : 제어부 41, 42, 43 : 센서
50 : 오수 흡입 펌프 51 : 흡입측
53 : 토출측 60 : 토출관
61 : 체크 밸브 A : 오수
a : 부유물질

Claims (5)

  1. 부유물질이 함유된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부에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바닥에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오수저장탱크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오수저장탱크에서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관과;
    일측은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토출관에 연결되는 오수 흡입 펌프와;
    상기 오수저장탱크가 완전히 비워지도록 오수 흡입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은 일측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곡관부와, 상기 곡관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오수 흡입 펌프의 흡입측에 연결되는 직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곡관부가 상기 직관부 보다 낮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오수 흡입 펌프의 작동이 멈춘 상태에서 상기 오수 흡입 펌프 내 오수의 일부가 상기 배출관 쪽으로 역류하더라도 직관부의 부유물질은 상기 곡관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수 흡입 펌프의 흡입측은 상기 오수저장탱크 바닥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곡관부는,
    일측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아래로 연장되는 하향 곡관부와, 상기 하향 곡관부에서 절곡되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직관부에 연결되는 경사 곡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오수 흡입 펌프 내 오수의 일부가 상기 배출관 쪽으로 역류한 경우 상기 하향 곡관부(31a)와 경사 곡관부(31b)의 경계에 있는 절곡점(31c)이 역류된 오수의 직관부에서의 수위 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오수 흡입 펌프의 정지 시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배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에는 오수 흡입 펌프의 동작이 멈춘 경우 상기 토출관에 수용된 오수가 상기 오수 흡입 펌프 측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체크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오수저장탱크 내에는 복수 개의 수위감지 센서가 장착되며,
    최상측에 위치한 수위감지 센서에서 오수의 수위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수 흡입 펌프를 동작시키고,
    최하측에 위치한 수위감지 센서에서 오수의 수위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수저장탱크가 완전히 비워지도록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이 경과한 다음 상기 오수 흡입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배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저장탱크는 상기 오수저장탱크의 바닥 중심에 위치한 배출구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오수저장탱크의 일측 벽면으로 연결되는 방지판이 설치되어, 오수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때 소용돌이 중심에서 형성되는 동공을 통해 공기가 오수 흡입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배출 시스템.
KR1020220105893A 2022-08-24 2022-08-24 오수 배출 시스템 KR102523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893A KR102523751B1 (ko) 2022-08-24 2022-08-24 오수 배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893A KR102523751B1 (ko) 2022-08-24 2022-08-24 오수 배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751B1 true KR102523751B1 (ko) 2023-04-20

Family

ID=8614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893A KR102523751B1 (ko) 2022-08-24 2022-08-24 오수 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7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619A (ja) * 1993-07-08 1995-01-27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真空式汚水収集システム
JP2004122131A (ja) * 2003-12-26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ごみ処理装置
KR100795592B1 (ko) * 2007-07-16 2008-01-21 양재구 하수처리장에서의 자원절감형 처리수 이송펌프시스템
KR20100000679A (ko) 2008-06-25 2010-01-06 허종삼 고농축 풀 제조장치
KR102348207B1 (ko) 2021-06-01 2022-01-07 (주)에스피에스솔루션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619A (ja) * 1993-07-08 1995-01-27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真空式汚水収集システム
JP2004122131A (ja) * 2003-12-26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ごみ処理装置
KR100795592B1 (ko) * 2007-07-16 2008-01-21 양재구 하수처리장에서의 자원절감형 처리수 이송펌프시스템
KR20100000679A (ko) 2008-06-25 2010-01-06 허종삼 고농축 풀 제조장치
KR102348207B1 (ko) 2021-06-01 2022-01-07 (주)에스피에스솔루션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9176B1 (en) Grease separator for kitchen sinks and other applications
US8900463B2 (en) Self-disposal of solids in an immiscible liquid separator
US8657583B2 (en) Centrifugal pump with coaxial inlet and outlet and liquid level detector
JP5990423B2 (ja) 浄化槽排水処理システム
US8784651B2 (en) Water separator
JP2002320964A (ja) 分離器デバイス
CA2512023A1 (en) Floor level waste pumping system for toilets
KR102523751B1 (ko) 오수 배출 시스템
WO2003075646A1 (en) Waste extraction system
CN108301501A (zh) 一种无沉积式污水提升泵站
KR101532275B1 (ko) 슬러지 배출 저류조
US3302575A (en) Control for sewage ejectors and sump pumps
SE190445C1 (ko)
CN202936829U (zh) 一种全自动自清洁式地下污水提升排放设备
KR102348207B1 (ko)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
JP2001025604A (ja) 油水分離装置
JP2002266399A (ja) 圧送装置
KR101621768B1 (ko) 방사형 물입자와 비산먼지 사이의 물마찰튀김효과를 통한 스마트 비산먼지 제거 장치
JPH0823174B2 (ja) 汚水移送ポンプユニット
JP4971959B2 (ja) 厨芥排水処理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などに使用される排水処理槽
JP2008208807A (ja) ポンプ設備およびポンプ設備の異物除去方法
CN208545800U (zh) 一种污水提升器
JP2010207716A (ja) 厨芥処理排水の移送装置
JP7162256B2 (ja) 電解水生成装置
JPH06336307A (ja) 厨芥圧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