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970Y1 - 부동전의 퇴수공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부동전의 퇴수공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970Y1
KR200353970Y1 KR20-2004-0008878U KR20040008878U KR200353970Y1 KR 200353970 Y1 KR200353970 Y1 KR 200353970Y1 KR 20040008878 U KR20040008878 U KR 20040008878U KR 200353970 Y1 KR200353970 Y1 KR 200353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tap water
closing ring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기
Original Assignee
이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기 filed Critical 이장기
Priority to KR20-2004-0008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9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5Arrangement of devices for control of pressure or flow rat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수도용 부동전의 퇴수장치를 제어하여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밸브를 잠그면 남아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퇴수공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에서의 원터치식 회전으로 개폐링과 볼을 제어하여 수돗물의 공급과 차단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도록 잠그는 경우에는 내부에 남아있는 물이 퇴수되도록 하여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동전의 퇴수공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작동축(140)의 하측에 연결되며 다수의 공급구(280)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 개폐링(260)을 설치하여 그 개폐링(260)이 퇴수구(310)와 입수구(290)를 개폐시키는 제어장치(20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부동전의 퇴수공 조절장치{A water withdrawal hole regulation device of ice-free water works}
본 고안은 상수도용 부동전의 퇴수장치를 제어하여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밸브를 잠그면 남아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퇴수공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에서의 원터치식 회전으로 개폐링과 볼을 제어하여 수돗물의 공급과 차단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도록 잠그는 경우에는 내부에 남아있는 물이 퇴수되도록 하여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동전의 퇴수공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수도의 부동전은 내부에 고인 물을 퇴수구로 퇴수하여 파이프가 겨울에 동파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수돗물의 공사나 기타 여러 가지 원인으로 미량이나마 고형물질이 함유하게 되고 이 고형물질이 함유된 수돗물이 부동전의 지수 동작으로 파이프에 고이게 되면 퇴수구로 완만하게 서서히 자연 퇴수하는 중에 침전물이 퇴수공으로 퇴수되지 못하고 퇴수공을 막아 결국 퇴수 기능이 쌓이게되면 수관에 물이 고여 겨울에 동파되는 폐단이 있다.
이러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퇴수구에 각종 여과망을 설치한 것이 있으나퇴수구는 지하 깊은 곳에 매설되어 있어서 부동전을 파내어 분해하기 전에는 퇴수공의 여과망에 여과된 침전물을 소제할 수 없어 결국 여과망의 청소 없이 부동전을 사용하는 중에 퇴수구와 여과구멍이 모두 막혀 퇴수불능으로 인한 동파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1991-0001725호(1991. 03. 22. 공고)는 변간의 하측으로 나사홈과 나사부의 결합에 의하여 상측의 제어에 따라서 하강하면서 패킹을 누르면 퇴수공을 개방하여 남아있는 물이 퇴수되도록 하고, 나사부를 상승시키면 패킹을 누르던 힘이 제거되면서 패킹이 퇴수공을 막고 있으면서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하부동체에 나사홈과 나사부를 성형작업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하여 많은 공정이 필요하며, 다수의 부품에 의한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패킹과 밸브의 작용이 원활하지 못하며, 높은 수압이 작용되는 상태에서 부동전의 외부로 돌출된 핸들을 반복해서 많은 수를 회전시켜야만 하므로 사용자가 많은 불편을 겪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개폐링에 공급구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승 및 하강에 따라서 수돗물의 개폐와 퇴수구의 개폐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작동축의 하측에 연결되며 다수의 공급구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 개폐링을 설치하여 그 개폐링이 퇴수구와 입수구를 개폐시키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제어장치에서 퇴수공을 폐쇠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제어장치에서 퇴수공을 개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제어장치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부동전 110 : 핸들
120 : 상부캡 130 : 몸체
140 : 작동축 200 : 제어장치
201 : 걸름망 210 : 나사축
220 : 나사부 230 : 급수공
240 : 상측 연결구 250 : 하측 연결구
260 : 개폐링 270 : 스넵링
280 : 공급구 290 : 입수구
300 : 퇴수장치
본 고안의 부동전(100)은 몸체(130)의 상측으로 핸들(110)이 설치되고 연결파이프(160)에 의하여 지하 깊은 곳에 매설되도록 하며, 그 하측으로 제어장치(200)가 설치되는 것이다.
몸체(130)의 상측에는 상부캡(120)이 설치되고 그 상측으로 핸들(11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핸들(110)의 하측으로 작동축(140)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30)의 하측에는 수도관(180)이 상측 연결구(24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측캡(150)과 하측캡(170)에는 연결 파이프(160)가 연결되어 있다.
제어장치(200)는 상측 연결구(240)의 내부에서 나사부(220)가 형성되어 있고,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부(220)에는 수직방향으로 급수공(230)이 형성되어 있어서 나사부(220)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나사부(220)에는 작동축(140)의 하단에 나사축(210)이 설치되어 상호 나사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 연결구(240)의 하측면에는 단이 지도록 형성되어 퇴수구(310)가 형성된다.
상기 상측 연결구(240)의 내부에는 나사부(220)의 하측과 개폐링(260)의 상측으로 걸름망(201)이 형성되어 있어서 퇴수구(310)로 향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과 불순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퇴수구(310)의 선단에는 내부의 물을 외부로 서서히 배출하고 외부의 물은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통상적인 퇴수장치(300)가 설치된다.
상측 연결구(240)와 결합된 하측 연결구(250)는 상측에 개폐링(260)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 입수구(290)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링(260)은 작동축(140)의 하측에 삽입되어 상측이 스넵링(270)으로 고정되고 하측이 너트(180)로 고정되며 상측에서 하측방향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다수의 급수공(28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제어장치(200)의 하측 연결구(250)에 수도관을 연결하고 몸체(130)의 일측으로 수도꼭지를 연결하며 연결 파이프(160)의 대부분이 흙속에 묻히도록 설치한다.
수돗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동전(100)의 핸들(110)을 회전시키면 도 2 와 같은 상태에서 작동축(140)이 회전됨에 따라서 나사축(210)이 회전된다.
나사축(210)이 회전되면서 나사부(220)와의 결합으로 하강을 시작하게 되며, 하강되면 나사축(210)의 하측으로 형성된 개폐링(260)이 동시에 하강한 후 입수구(290)를 도 3 과 같이 밀폐시키게 되므로 입구수(290)를 막아 수돗물의 공급을 정지시킨다.
이때 퇴수구(310)가 개방되면서 수도관(180)의 내부에 남아있는 물은 퇴수장치(300)가 내부의 수압으로 개방되면서 서서히 외부로 배출되어 내부에는 수돗물이남아있지 않고 모두 배출 되므로 동절기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의 물은 통상적인 퇴수장치(300)에 의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부에는 물이 남아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개폐링(260)의 상측에서 상측 연결구(240)의 내부에 설치된 걸름망(201)은 내부에 잔류한 물에 혼합된 이물질로 인하여 퇴수공(310)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개폐링(260)이 하측 연결구(350)의 입수구(290)를 막음과 동시에 다수의 공급구(280)는 하측 연결구(250)의 내부에 형성된 턱에 걸려서 수돗물의 공급로가 차단되는 것이다.
도 3 과 같이 수돗물의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수돗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핸들(11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축(140)이 회전되면서 나사축(210)이 나사부(220)를 따라서 상승하면서 개폐링(260)로 상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개폐링(260)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퇴수구(310)를 막고 도 2 와 같이 정지하게 되면 공급구(280)가 개방되면서 다수의 공급구(280)를 통하여 입수구(290)로 공급되는 수돗물을 공급하게 된다.
수돗물이 공급되면 몸체(130)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수도꼭지를 이용하여 수돗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핸들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되는 나사축이 나사부를 타고 상승 및하강하면서 개폐링을 이동시킴에 따라서 퇴수구를 개폐시킴과 동시에 입수구를 개폐시키면서 수돗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개폐링 하나를 상승 및 하강시킴에 따라서 수돗물의 공급이 결정되는데, 개폐링에 형성된 다수의 공급구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하측으로 이동시에는 입수구를 막고 있으며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퇴수구를 막는 동시에 수돗물을 상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1)

  1. 몸체(130)의 상측으로 작동축(140)이 연결되는 핸들(110)이 설치되고 하측으로 상측 연결구(240)와 하측 연결구(250)가 형성되어 내부에 작동축(140)에 설치된 나사축(210)이 나사부(220)와의 결합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면서 퇴수장치(350)가 설치된 퇴수구(351)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부동전(100)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140)의 하측에 연결되며 다수의 공급구(280)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 개폐링(260)을 설치하여 그 개폐링(260)이 퇴수구(310)와 입수구(290)를 개폐시키는 제어장치(20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전의 퇴수공 조절장치.
KR20-2004-0008878U 2004-03-31 2004-03-31 부동전의 퇴수공 조절장치 KR200353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878U KR200353970Y1 (ko) 2004-03-31 2004-03-31 부동전의 퇴수공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878U KR200353970Y1 (ko) 2004-03-31 2004-03-31 부동전의 퇴수공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970Y1 true KR200353970Y1 (ko) 2004-06-23

Family

ID=49347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878U KR200353970Y1 (ko) 2004-03-31 2004-03-31 부동전의 퇴수공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97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821B1 (ko) 2007-03-05 2008-05-28 김하용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101063659B1 (ko) 2009-09-24 2011-09-07 김영모 분출압력을 이용한 입상수도관 내부 물 퇴수장치
KR101097385B1 (ko) 2009-11-26 2011-12-23 (주)에프엠유니코 상수도용 부동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821B1 (ko) 2007-03-05 2008-05-28 김하용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KR101063659B1 (ko) 2009-09-24 2011-09-07 김영모 분출압력을 이용한 입상수도관 내부 물 퇴수장치
KR101097385B1 (ko) 2009-11-26 2011-12-23 (주)에프엠유니코 상수도용 부동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8138Y1 (ko) 동파방지용 수도전
KR100618594B1 (ko) 부표식 자동 차단밸브
KR200353970Y1 (ko) 부동전의 퇴수공 조절장치
KR101911497B1 (ko) 무전원 침수방지 장치
KR100900261B1 (ko) 세면대 배수밸브 개폐장치
CN208363234U (zh) 一种浮筒闸板控制截流管道流量的溢流井
KR200353969Y1 (ko) 부동전의 퇴수공 조절장치
CN111632417B (zh) 一种带有过滤组件的厨房污水阀门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CN208329045U (zh) 净水机废水回收再利用装置
JP2004324061A (ja) 洗面化粧台の排水構造
CN113586129A (zh) 一种自动放水器
KR101132763B1 (ko) 비데와 변기용 자동 물내림의 선택사용이 가능한 후레쉬 밸브 장치
CN208587500U (zh) 一种防堵塞自动排水阀以及带排水阀的污水管道
KR200215632Y1 (ko) 하수맨홀용 개폐밸브
KR20070037275A (ko) 퇴수 역류방지 밸브 부착형 부동급수전
KR100403447B1 (ko) 무퇴수 부동전
CN201087456Y (zh) 家庭废水使用器
KR200288371Y1 (ko) 건축 설비용 에어밴트
CN215518887U (zh) 一种具有过滤效果的市政排水沟窨井盖
CN219343426U (zh) 一种建筑施工降雨排水结构
KR200257142Y1 (ko)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CN219137843U (zh) 一种室外消火栓
CN218091159U (zh) 一种先导型无动力出水控制装置
CN220918243U (zh) 一种虹吸排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