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142Y1 -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142Y1
KR200257142Y1 KR20010020519U KR20010020519U KR200257142Y1 KR 200257142 Y1 KR200257142 Y1 KR 200257142Y1 KR 20010020519 U KR20010020519 U KR 20010020519U KR 20010020519 U KR20010020519 U KR 20010020519U KR 200257142 Y1 KR200257142 Y1 KR 2002571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water
sink
cent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20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종원
Original Assignee
심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종원 filed Critical 심종원
Priority to KR20010020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1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1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actuation force being transmitted to the plug via rigi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구 마개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가 일측으로 이동되어 배수되는 용수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이 작동레버에 걸려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인바, 본 고안은 세면기에 장착되어 승강 및 회동작동에 의하여 세면기 내부에 용수의 공급과 용수선택을 행할 수 있는 손잡이 후단저부상에는 손잡이의 승강작동에 의하여 연동할 수 있는 푸쉬로드를 구비하고 이 푸쉬로드의 끝단에는 내측으로 용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구비되며 배수마개의 중심과 수직된 상태에서 일치되도록 형성된 하우징의 일측부로는 이 중심과 직교하는 중심을 갖는 연결관에는 작동레버가 삽설되어 이루어진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마개의 머리부 하방으로 드래인바디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판평 또는 호평으로 형성된 날개와 날개 사이에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날개 중 어느하나에 작동레버가 연결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opening and shntting device of drain-ontlet for basin}
본 고안은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구 마개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가 일측으로 이동되어 배수되는 용수에 포함되어 있던이물질이 작동레버에 걸려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기(100)에 장착되어 승강 및 회동작동에 의하여 세면기 내부(110)에 용수의 공급과 용수선택을 행할 수 있는 용수개폐콕의 손잡이 후단 저부상에는 손잡이의 승강작동에 의하여 연동할 수 있는 푸쉬로드(300)를 구비하고 손잡이의 회동작동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승강작동을 할 수 있는 작동로드(400)를 구비하여, 상기 푸쉬로드(300)와 작동로드(400)의 교호승강작동에 의하여 배수마개(500)가 승강하면서 배수공(200)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기(100)에 고정 설치되는 드래인바디(600)와 이의 내측으로는 배수마개(500)가 설치되며, 드래인바디(6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에는 하우징(700)이 나합고정되되 이의 사이에는 패킹(800)과 룩크너트(810) 및 플랜지너트(820)가 설치된다.
한편, 하우징(700)의 외측면에는 그 중심과 직교하도록 수평되게 연결부(710)를 구비하되 이 연결부(710)에는 푸쉬로드(300)에 의하여 연동되는 작동로드(400)가 삽입 설치되며 이의 끝단에는 배수마개(500)와 연결 구성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같는 종래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는 상기 손잡이의 교호승강작동에 의하여 배수마개(500)를 작동시키는 푸쉬로드(300)에 결합 설치된 작동로드(400)가 작동되어 배수마개(500)를 상부로 들어올려 배수공(200)을 개방하면 세면기 내부(110)의 용수는 하우징(700)을 통과하여 배수파이프(900)를 통해 하수구로 배수된다.
이때, 하우징(700)을 통과하는 용수는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700)의 측부에서 인입 설치된 작동레버(400)와 붙딪혀 흐름에 제약을 받게됨과 동시에 용수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들이 작동레버(400)에 걸려 배수구를 막게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작동레버가 배수관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배수되는 용수와의 마찰을 방지함으로 상기 작동레버에 의한 배수구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한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배수마개의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배수마개가 드로인바디에 설치시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수마개 11 : 머리부
12 : 날개 13 : 연결공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세면기에 장착되어 승강 및 회동작동에 의하여 세면기 내부에 용수의 공급과 용수선택을 행할 수 있는 손잡이 후단저부상에는 손잡이의 승강작동에 의하여 연동할 수 있는 푸쉬로드를 구비하고 이 푸쉬로드의 끝단에는 내측으로 용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구비되며 배수마개의 중심과 수직된 상태에서 일치되도록 형성된 하우징의 일측부로는 이 중심과 직교하는 중심을 갖는 연결관에는 작동레버가 삽설되어 이루어진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마개의 머리부 하방으로 드래인바디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판평 또는 호평으로 형성된 날개와 날개 사이에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날개중 어느하나에 작동레버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기(100)에 장착되어 승강 및 회동작동에 의하여 세면기 내부(110)에 용수의 공급과 용수선택을 행할 수 있는 용수개폐콕의 손잡이 후단저부상에는 손잡이의 승강작동에 의하여 연동할 수 있는 푸쉬로드(300)를 구비하고 배수마개(500)의 손잡이 일측하부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이에 슬라이드를 결합되며 손잡이의 회동작동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승강작동을 할 수 있는 작동로드(400)를 구비하여, 상기 양 푸쉬로드(300)와 작동로드(400)의 교호승강작동에 의하여 배수마개(500)가 승강하면서 배수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작동로드(400)에는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인바디(600) 내측에 설치되는 배수마개(10)가 연결 설치되되, 상기 배수마개(10)의 구조는 머리부(11) 하방으로 드래인바디(600)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판평 또는 호평으로 형성된 날개(12)와 날개 사이에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날개 중 어느 하나에 작동레버(400)가 연결 설치되는 연결공(13)을 형성한 구조이다.
한편 배수마개(10)가 설치되는 드래인바디(60)의 내측으로는 돌출된 가이드편(610)을 형성시켜 상기 배수마개(10)의 작동시 가이드편(610)을 따라 상하 이송되도록하여 작동시 안정감을 확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드래인바디(600)의 내측에 가이드편(610)을 형성시킬 때에는 날개(12)의 형성 수를 최소 2개로 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가이드편(610)에 끼워진 날개에 의하여 배수마개의 흔들림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작동래버가 종래와 같이 배수관의 수직중심과 지교하도록 수평되게 삽설되지 않고 첨부도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의 내측면에 거의 밀착되게 설치됨으로 배수되는 용수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또한 용수와 마찰을 일으키지 않아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한 막힘도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되는 본 고안은 배수구마개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가 일측으로 이동되어 배수되는 용수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이 작동레버에 걸려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세면기에 장착되어 승강 및 회동작동에 의하여 세면기 내부에 용수의 공급과 용수선택을 행할 수 있는 손잡이 후단저부상에는 손잡이의 승강작동에 의하여 연동할 수 있는 푸쉬로드를 구비하고 이 푸쉬로드의 끝단에는 내측으로 용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구비되며 배수마개의 중심과 수직된 상태에서 일치되도록 형성된 하우징의 일측부로는 이 중심과 직교하는 중심을 갖는 연결관에는 작동레버가 삽설되어 이루어진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마개의 머리부 하방으로 드래인바디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판평 또는 호평으로 형성된 날개와 날개 사이에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날개중 어느하나에 작동레버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드래인바디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편이 날개의 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KR20010020519U 2001-07-06 2001-07-06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KR200257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20519U KR200257142Y1 (ko) 2001-07-06 2001-07-06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20519U KR200257142Y1 (ko) 2001-07-06 2001-07-06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142Y1 true KR200257142Y1 (ko) 2001-12-24

Family

ID=4206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20519U KR200257142Y1 (ko) 2001-07-06 2001-07-06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14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272A1 (en) * 2008-04-21 2009-10-29 Young-Soo Hwang Open and shut valve device for washstand
WO2010101320A1 (ko) * 2009-03-05 2010-09-10 Ryu Hee Won 수전용 밸브소켓과 그 밸브소켓을 이용한 수전결합 시스템
CN102414376A (zh) * 2009-05-01 2012-04-11 朴禧范 排放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272A1 (en) * 2008-04-21 2009-10-29 Young-Soo Hwang Open and shut valve device for washstand
WO2010101320A1 (ko) * 2009-03-05 2010-09-10 Ryu Hee Won 수전용 밸브소켓과 그 밸브소켓을 이용한 수전결합 시스템
CN102414376A (zh) * 2009-05-01 2012-04-11 朴禧范 排放装置
CN102414376B (zh) * 2009-05-01 2013-12-11 朴禧范 排放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573B1 (en) Drain cover assembly
CA2597852A1 (en) Control for a bathtub waste water drain
KR200257142Y1 (ko)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WO2001059339A3 (en) Improved fuel valve
CA2556634A1 (en) A motor activated bathtub drain closure
KR200243146Y1 (ko)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KR200250204Y1 (ko)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JP2004324061A (ja) 洗面化粧台の排水構造
KR100353582B1 (ko) 세면대용 자동막힘 배수장치
KR200200822Y1 (ko) 세면기의 배수공 개폐장치
KR960000164Y1 (ko)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DK1227191T3 (da) Udlöbssifon til håndvaske eller lignende
KR200353970Y1 (ko) 부동전의 퇴수공 조절장치
KR200165276Y1 (ko) 절수용 세면기
KR200321177Y1 (ko) 세면기 배수 장치
KR200229555Y1 (ko)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세면기 배수구 마개
CN219343403U (zh) 一种下水器
KR200212138Y1 (ko) 수전금구용밸브개폐장치
KR200384846Y1 (ko)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KR950003179Y1 (ko) 우산의 빗물받이 및 배출장치
KR200380215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세면대의 팝업밸브 구조
KR900003862Y1 (ko) 양변기의 핸들 구동장치
KR200283239Y1 (ko) 수위조절장치
KR200154937Y1 (ko) 세탁기의 배수유로방향 전환장치
KR200271466Y1 (ko) 손잡이 없는 부동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