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347A - 볼 밸브 타입의 절수형 좌변기 - Google Patents

볼 밸브 타입의 절수형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347A
KR20190130347A KR1020180054877A KR20180054877A KR20190130347A KR 20190130347 A KR20190130347 A KR 20190130347A KR 1020180054877 A KR1020180054877 A KR 1020180054877A KR 20180054877 A KR20180054877 A KR 20180054877A KR 20190130347 A KR20190130347 A KR 20190130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toilet seat
discharge pipe
drain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희
진성월
박종현
강희주
한지원
박만욱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4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0347A/ko
Publication of KR20190130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좌변기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는 변좌(100) 내부에 구비되는 보울(bowl)(110), 상기 보울(110)의 하단에 연결되는 배수관(120), 상기 보울(110)로 유입된 오물이 배출되는 배출관(140), 상기 배수관(120) 및 상기 배출관(140)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를 관통하는 배수 유로(131)를 가진 밸브(130) 및 상기 밸브(130)를 회전시켜 상기 배수 유로(131)가 상기 배출관(140)과 연통하도록 하는 구동 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볼 밸브 타입의 절수형 좌변기{WATER SAVING TOILET SEAT OF BALL VALVE TYPE}
본 출원은 볼 밸브 타입의 절수형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좌변기의 배수 트랩은 일반적으로, 트랩 내부에 물이 항상 고여 있는 구간을 만들어 하수도로부터 올라오는 악취와 가스를 차단하고, 그와 동시에 사이펀 작용에 필요한 사이펀 언덕을 제공하여 오물을 한번에 힘차게 내보내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기존의 고정식 배수 트랩은 오물을 하수도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고,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고자 가변식 배수 트랩이 적용된 좌변기가 개발되어 왔다.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3-0031199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7-40058호는, 모터 회전에 의한 가변식 배수 트랩이 적용된 좌변기를 개시하나, 이들에 적용된 모터는 양방향 회전을 통해 배수 트랩을 가변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며 그에 따라 잦은 고장이 발생하였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배수 트랩의 일단이 좌변기의 보울과 고정되고, 타단이 가변되는 방식이므로, 배수 트랩의 가변을 위한 일정 크기 이상의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좌변기의 크기가 대형화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3-0031199호 (2013.03.28) 일본공개특허문헌 특개2017-40058호 (2017.02.23)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볼 밸브 타입의 밸브를 이용하여 좌변기의 소형화를 추구하면서도,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절수를 이룰 수 있는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변좌(100) 내부에 구비되는 보울(bowl)(110), 상기 보울(110)의 하단에 연결되는 배수관(120), 상기 보울(110)로 유입된 오물이 배출되는 배출관(140), 상기 배수관(120) 및 상기 배출관(140)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를 관통하는 배수 유로(131)를 가진 밸브(130) 및 상기 밸브(130)를 회전시켜 상기 배수 유로(131)가 상기 배출관(140)과 연통하도록 하는 구동 장치(150)를 포함하는, 좌변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로(131)는, 상기 밸브(130)의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 상기 배수관(120)과 연통하는 유입구(131a), 상기 회전축과 소정 각도(α)를 이루는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밸브(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관(140)과 연통하거나 연통하지 않는 배출구(131b) 및 상기 유입구(131a) 및 상기 배출구(131b)를 연결하도록 상기 소정 각도(α) 굽어져 형성된 연결관(131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131b)는 상기 밸브(130)의 회전에 의해 하측을 향함으로써 상기 배출관(140)과 연통되거나, 상측을 향함으로써 상기 배출관(140)과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150)는 상기 밸브(130)를 중심으로 상기 배수관(120)과 대향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밸브(130)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120)과 상기 밸브(130)의 연결부분 주변을 실링하는 제1 실링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130)와 상기 구동 장치(132)의 연결부분 주변을 실링하는 제2 실링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150)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함으로써 상기 밸브(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130)는 타원 구 또는 구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130)의 일측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 장치(150)는 상기 다수의 톱니와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밸브(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150)는, 상기 좌변기의 시트(200) 내에 구비된 센서(201)의 동작을 감지하거나, 상기 좌변기에 구비된 레버(160)의 동작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밸브(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비교적 간단한 볼 밸브 타입의 밸브를 이용하여 좌변기의 물 내림 시 사용되는 물의 양을 줄일 수 있다.
평시에는 좌변기의 보울이 하수도와 연통되지 않아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 내림 동작을 감지할때만 보울이 하수도와 연통되도록 하여 절수를 이룰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트랩 가변 구조로서, 좌변기 후방에 일정 크기 이상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단점이 일거에 해소된다.
또한, 구동 장치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절수를 이룰 수 있음에 따라, 기존의 양방향 회전하여 트랩을 가변시키는 장치에 비하여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4는 도 2의 좌변기의 내부를 확대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는 변좌(100), 시트(200), 커버(300) 및 조작부(400)를 포함한다.
변좌(100)는 좌변기의 본체로서, 도기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변좌(100)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보울(bowl)(110)로 용변을 볼 수 있으며, 보울(110)로 유입된 오물은 배수관(120), 밸브(130) 및 배출관(140)을 거쳐 하수도로 배출된다.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시트(200)는 변좌(10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착석 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쿠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착석 또는 그 자체의 회동을 감지하도록 별도의 압력 센서 등의 센서(201)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300)는 시트(2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커버(200)의 후방에 장착된다.
조작부(400)는 변좌(100)의 우측 또는 좌측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조작부(400)에 구비된 버튼을 입력하면 물 내림 기능, 비데 기능, 세정 기능, 건조 기능 등이 활성화된다. 이를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는 비데 기능을 위한 비데 노즐(미도시), 세정 기능을 위한 세정 노즐(미도시), 건조 기능을 위한 건조 덕트(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400)에 물 내림 기능 버튼이 구비되는 대신, 좌변기에 물 내림을 위한 별도의 레버가 더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 및 4는 밸브(1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사용자는 시트(200)에 착좌 또는 변좌(100) 전방에 기립하여 보울(110)에 용변을 보게 된다. 보울(110)은 일정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제한되지 않는다.
보울(110)의 하단에는 그와 연결되는 배수관(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좌변기의 하단에는 하수도와 연통하는 배출관(140)이 형성되어 연결되어 있다. 보울(110)로 유입된 용변은 배출관(140)을 통하여 하수도로 배출된다.
배수관(120)과 배출관(14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170)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170)에는 밸브(130)가 위치한다. 밸브(130)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나, 전체적인 형상이 타원의 구, 더 바람직하게는 구 형상일 수 있다.
밸브(130)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배수 유로(131)가 형성되는데, 배수 유로(131)는 후술하는 구동 장치(132)에 의해 그 위치가 변동되면서, 배수관(120) 및 배출관(140)을 연통하거나, 연통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 유로(131)는 밸브(130)의 회전축 상에 위치하는 유입구(131a), 상기 회전축과 소정의 각도(α)를 이루는 부분에 위치하는 배출구(131b) 및 유입구(131a) 및 배출구(131b)를 연결하도록 상기 소정의 각도(α) 굽어져 형성된 연결관(131c)을 포함한다.
전술한 소정의 각도(α)는 배수관(120)과 배출관(140)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5도 내지 95도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90도일 수 있다.
구동 장치(132)는 배수관(120)과 대향하는 부분에서 밸브(13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장치(132)란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그와 연결된 구성 요소에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서, 구동 장치(132)로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구동 장치(132)가 회전하게 되면, 그와 연결된 밸브(130) 또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유입구(131a)는 회전축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밸브(130)가 회전하더라도 배수관(120)과 지속적으로 연통되어 있으며, 배출구(131b)는 밸브(130)의 회전에 따라 배출관(140)과 연통되거나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밸브(130)의 회전에 의해 배출구(131b)가 상방을 향할 때, 보울(110)에 수용된 물과 오물은 배출관(140)으로 배출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게 되며, 배출관(140)을 통하여 악취 또한 올라오지 않게 된다.
밸브(130)의 회전에 의해 배출구(131b)가 하방을 향하여, 배출관(140)과 연통되면, 보울(110)에 수용된 물과 오물은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 배출관(140)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사이펀 작용에 의해 오물을 배출하는 좌변기에 비해 많은 양의 물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배수관(120)과 밸브(130)의 연결부분에는 그 주변을 실링하는 제1 실링부(18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링부(180)는 연결부분의 주변을 실링함으로써, 배수관(120)을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이 배수 유로(131)가 아닌 다른 공간(170)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구동 장치(132)와 밸브(130)의 연결부분에는 그 주변을 실링하는 제2 실링부(19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링부(190)는 밸브(130)에 삽입된 구동 장치(132)를 지지함으로써, 구동 장치(132)의 회전력이 밸브(130)에 온전히 전달되도록 한다.
여기서, 구동 장치(132)는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나, 구동 장치(132)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 장치(132)는 조작부(400)에 구비된 물 내림 버튼의 작동, 또는 좌변기에 구비된 레버 작동을 감지함으로써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시트(200)에 구비된 센서(201)에 의한 센싱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도 회전할 수 있다. 센싱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물 내림 버튼의 작동 또는 레버 작동이 없는 경우, 사용자가 물을 내리지 않고 자리를 이탈하였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밸브(130)의 일측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다수의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장치(132)는 상기 다수의 톱니와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하여 밸브(13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출원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변좌
110: 보울
120: 배수관
130: 밸브
131: 배수 유로
131a: 유입구
131b: 배출구
131c: 연결관
140: 배출관
150: 구동 장치
160: 레버
170: 공간
180: 제1 실링부
190: 제2 실링부
200: 시트
201: 센서
300: 커버
400: 조작부

Claims (10)

  1. 변좌(100) 내부에 구비되는 보울(bowl)(110);
    상기 보울(110)의 하단에 연결되는 배수관(120);
    상기 보울(110)로 유입된 오물이 배출되는 배출관(140);
    상기 배수관(120) 및 상기 배출관(140)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를 관통하는 배수 유로(131)를 가진 밸브(130); 및
    상기 밸브(130)를 회전시켜 상기 배수 유로(131)가 상기 배출관(140)과 연통하도록 하는 구동 장치(150);를 포함하는,
    좌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로(131)는,
    상기 밸브(130)의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 상기 배수관(120)과 연통하는 유입구(131a);
    상기 회전축과 소정 각도(α)를 이루는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밸브(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관(140)과 연통하거나 연통하지 않는 배출구(131b); 및
    상기 유입구(131a) 및 상기 배출구(131b)를 연결하도록 상기 소정 각도(α) 굽어져 형성된 연결관(131c);을 포함하는,
    좌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131b)는 상기 밸브(130)의 회전에 의해 하측을 향함으로써 상기 배출관(140)과 연통되거나, 상측을 향함으로써 상기 배출관(140)과 연통되지 않는,
    좌변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150)는 상기 밸브(130)를 중심으로 상기 배수관(120)과 대향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밸브(130)에 장착되는,
    좌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120)과 상기 밸브(130)의 연결부분 주변을 실링하는 제1 실링부(180)를 더 포함하는,
    좌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30)와 상기 구동 장치(132)의 연결부분 주변을 실링하는 제2 실링부(190)를 더 포함하는,
    좌변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150)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함으로써 상기 밸브(130)를 회전시키는,
    좌변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30)는 타원 구 또는 구형인,
    좌변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30)의 일측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 장치(150)는 상기 다수의 톱니와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밸브(130)를 회전시키는,
    좌변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150)는, 상기 좌변기의 시트(200) 내에 구비된 센서(201)의 동작을 감지하거나, 상기 좌변기에 구비된 레버(160)의 동작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밸브(130)를 회전시키는,
    좌변기.
KR1020180054877A 2018-05-14 2018-05-14 볼 밸브 타입의 절수형 좌변기 KR20190130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77A KR20190130347A (ko) 2018-05-14 2018-05-14 볼 밸브 타입의 절수형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77A KR20190130347A (ko) 2018-05-14 2018-05-14 볼 밸브 타입의 절수형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347A true KR20190130347A (ko) 2019-11-22

Family

ID=6873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877A KR20190130347A (ko) 2018-05-14 2018-05-14 볼 밸브 타입의 절수형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03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512A (ko) * 2021-07-07 2023-01-16 이춘식 배수용 연결 소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1199A (ko) 2011-09-20 2013-03-28 파나소닉 주식회사 변기 장치
JP2017040058A (ja) 2015-08-18 2017-02-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便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1199A (ko) 2011-09-20 2013-03-28 파나소닉 주식회사 변기 장치
JP2017040058A (ja) 2015-08-18 2017-02-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便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512A (ko) * 2021-07-07 2023-01-16 이춘식 배수용 연결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98593A1 (fr) Procede d'alimentation de la soupape d'arret en eau, soupape d'arret pour toilettes, dispositif d'alimentation en eau destine a nettoyer les toilettes, toilettes occidentales sans reservoir, et toilettes occidentales, dispositif de commutation de la voie d'ecoulement, et toilettes
JP2013513049A (ja) 回転可能な小便器が装着された一体型洋式便器
US20140289946A1 (en) Operating device for flush water tank assembly
AU2008276589A1 (en) Diverter spout
KR20190130347A (ko) 볼 밸브 타입의 절수형 좌변기
RU2585848C1 (ru) Водосберегающий унитаз
KR101229955B1 (ko) 자동으로 회전되는 남성용 소변기를 구비한 좌변기
KR20040037290A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101990484B1 (ko) 펌프식 비데 일체형 양변기
KR20090043779A (ko) 악취제거 및 건조공기 공급이 용이한 양변기용 비데
KR200306436Y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JP5967872B2 (ja) 排水管の接続構造
KR20190130346A (ko) 배수 트랩 가변이 가능한 절수형 좌변기
KR100727812B1 (ko) 양변기용 배수장치
JP2011111780A (ja) 排水構造
JP4260780B2 (ja) 圧送装置付き衛生機器
WO2009136549A1 (ja) 洗浄タンク装置及び水洗式便器
JP7072813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401106Y1 (ko) 양변기 세척수 절수 시스템
CN220908590U (zh) 一种具有防虹吸结构的盖板洁身器
JP7266874B2 (ja) 圧送水洗便器
CN101307615B (zh) 翻斗式坐便器
JP6497610B2 (ja) 便器装置
JP2001073434A (ja) タンクレス便器
JP2019027065A (ja) 便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