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093B1 - 핸들 캐치 - Google Patents

핸들 캐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093B1
KR102501093B1 KR1020180042550A KR20180042550A KR102501093B1 KR 102501093 B1 KR102501093 B1 KR 102501093B1 KR 1020180042550 A KR1020180042550 A KR 1020180042550A KR 20180042550 A KR20180042550 A KR 20180042550A KR 102501093 B1 KR102501093 B1 KR 102501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ook lever
handle
hook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146A (ko
Inventor
타카치요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6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05B83/08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with elongated bars for actuating the fastening means
    • E05B83/10Rotary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3Preventing opening by insertion of a tool, e.g. flexible, between door and jamb to withdraw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05B77/38Cushion elements, elastic guiding elements or holding elements, e.g. for cushioning or damping the impact of the bolt against the striker during closing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05B83/1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for back doors of v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핸들 캐치(C)는 본체부 부재(P1) 및 배면부 부재(P2)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기구(3)의 부착부로서 배면부 부재(P1)의 전면 및 훅 레버(2)의 후면에 각각 단면 대략 원호 형상의 홈(106, 206)이 형성되고, 스프링 기구(3)는 대략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홈(106, 206) 내에 경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와, 양단이 각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에 걸어지고 배면부 부재(P2), 훅 레버(2) 사이에 압축하여 배치되는 코일스프링(32)에 의해 구성된다.

Description

핸들 캐치{HANDLE CATCH}
본 발명은 밴보디 타입의 트럭의 박스형의 적재함(알루미늄제 컨테이너)이나 수송용의 컨테이너 등의 좌우 여닫이식의 도어의 개폐에 사용되는 도어 개폐용 핸들의 구속, 시정에 사용하는 핸들 캐치(걸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컨테이너의 도어는 좌우 여닫이식이며, 도어를 폐쇄했을 때, 도어 개폐용 핸들에 의해 로킹 샤프트를 회전하여, 로킹 샤프트의 상하 단부의 로킹 캠을 컨테이너측의 캠 키퍼에 걸어 맞추어지게 하여, 도어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형식을 채용한다. 그리고, 이 도어 개폐용 핸들은 도어에 부착된 핸들 캐치(걸쇠 장치)에 의해 구속되고, 이 핸들 캐치에 장비된 자물쇠 유닛을 열쇠로 시정함으로써 로킹(시정)된다.
운송업자의 업무에서 사용하는 트럭에서는, 컨테이너의 도어의 개폐 조작과 함께, 핸들 캐치의 개폐, 시정(施錠)/해정(解錠)이 반복하여 행해지므로, 핸들 캐치의 조작은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본원 출원인은, 종전에, 이 종류의 핸들 캐치를 JP-2002-227494-A에 의해 제안했다.
이 핸들 캐치를 도 12, 도 13에 도시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핸들 캐치(C)는 본체(6)와, 훅 레버(7)와, 스프링 기구(8A)와, 로킹 레버(92)와, 실린더 자물쇠 형식의 자물쇠 유닛(9)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다. 본체(6)는 정면부(601), 배면부(602), 양측면부(603) 및 저면부(604)로 이루어지고, 정면부(601)의 상부와 배면부(602)의 상부 사이에 도어 개폐용 핸들(H)를 횡단시켜 지지하는 핸들 횡단 지지부(61)를 갖고, 정면부(601)의 대략 중앙에 상부 중앙으로부터 수직 방향을 향하여 대략 U자형으로 절결되어 이루어지는 레버 수납부(62)를 갖는다. 훅 레버(7)는 본체(6)의 레버 수납부(62)에 끼워 넣어져, 중간부를 수평 방향의 회전축(71)(도 13 참조)을 통하여 기복 자유롭게 피벗식 지지되고, 핸들 횡단 지지부(61)에 대향하여 상부에 홈형으로 형성되고, 핸들 횡단 지지부(61)에 횡단 지지되는 도어 개폐용 핸들(H)에 걸어맞춤 가능한 핸들 유지부(72)를 갖는다. 스프링 기구(8A)는 본체(6)의 배면부(602)와 훅 레버(7) 사이에 끼워 설치되어, 훅 레버(7)를 도복 방향 또는 기립 방향으로 회동 바이어스 한다(도 13 참조). 로킹 레버(92)는 본체(6)와 훅 레버(7)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편입되고, 훅 레버(7)의 하단에 대하여 걸고 풀기 가능하게 배치된다(도 13 참조). 자물쇠 유닛(9)은, 본체(6)의 정면부(601)와 배면부(602) 사이에, 정면부(601)에 열쇠구멍(90)을 표출하여 설치되고, 로킹 레버(92)에 작동 연결되어, 열쇠(K)에 의한 일방향 또는 타방향의 회전 조작에 의해, 로킹 레버(92)를 훅 레버(7)의 하단에 대하여 걸어 맞추어지게 하는 시정 위치와 이탈시키는 해정 위치 사이에서 구동한다(도 13 참조).
스프링 기구(8A)는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81)과, 스프링받이 플레이트(82)와, 가이드판(83)과, 코일스프링(8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핀(81)은 훅 레버(7)의 배면에서 회전축(71)의 하방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스프링받이 플레이트(82)는 본체(6)의 배면부(602)측에 고정되는 배면부측 고정부(821)와, 배면부측 고정부(821)의 상부 가장자리부 양측으로부터 정면부(601)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중간 암(822)과, 각 중간 암(822)의 상단부의 연장상에 형성되고, 정면부(601)에 고정되는 정면부측 고정부(823)와, 배면부측 고정부(821)의 상단부 중앙으로부터 핀(81)을 향하여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스프링 받이부(824)를 갖는다. 가이드판(83)은 선단에 받이 홈(831)을 갖고, 기단이 확대되어 받이 홈(832)을 갖는다. 코일스프링(84)은 가이드판(83)의 주위에 감겨 장착되고, 선단의 받이 홈(831)을 핀(81)에 걸어 맞추고, 기단의 받이 홈(832)을 스프링받이 플레이트(82)의 스프링 받이부(824)에 걸어 맞추고, 이 가이드판(83)을 통하여 핀(81)과 스프링받이 플레이트(82)의 스프링 받이부(824) 사이에 압축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훅 레버(7)를 개동(開動) 조작하면, 도 1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84)을 지지하는 스프링받이 플레이트(82)의 스프링 받이부(824)와 훅 레버(7) 배면의 핀(81)을 연결하는 직선이 훅 레버(7)의 회전축(71)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스프링 기구(8A)가 훅 레버(7)를 기립 방향으로 회동 바이어스 한다. 반대로, 훅 레버(7)를 폐동(閉動) 조작하면, 도 13(b),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받이부(824)와 핀(81)을 연결하는 직선이 훅 레버(7)의 회전축(71)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스프링 기구(8)는 훅 레버(7)를 도복 방향으로 회동 바이어스 하게 되어 있다.
또한 로킹 레버(92)는 일단에 훅 레버(7)의 하단부에 걸고 풀기 가능한 자물쇠 고정 암(921)을 갖고, 본체(6)와 훅 레버(7) 사이에 수평 방향의 피벗축(920)을 통하여 피벗식 부착되어, 전후 방향(본체(6)의 정면부(601) 또는 배면부(602)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로킹 레버(92)는 본체(6)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스프링 기구(8B)에 의해, 정면부(601) 방향 또는 배면부(602) 방향으로 회전 바이어스 되어, 훅 레버(7)를 본체(6)에 도복시킨 상태에서는, 로킹 레버(92)를 이 하부 스프링 기구(8B)에 의해 배면부(602) 방향으로 회전 바이어스 하여, 자물쇠 고정 암(921)을 훅 레버(7)의 하단부에 대하여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에 놓는다.
또한 자물쇠 유닛(9)은 레버 수납부(62)의 하부에 근접하여 본체(6)에 설치되고, 자물쇠 유닛(9)의 열쇠구멍(90)이 정면부(601)에 표출되어, 자물쇠 유닛(9)의 로터(91)에 캠 원반(910)이 고착된다. 캠 원반(910)에는 돌기(911)를 갖고, 이 돌기(911)는 로킹 레버(92)에 걸어맞추어진다.
이렇게 하여 열쇠(K)의 조작에 의해 자물쇠 유닛(9)의 로터(91)를 회동하고, 캠 원반(910)의 돌기(911)를 회동함으로써,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킹 레버(92)가 정면부(601) 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물쇠 고정 암(921)이 훅 레버(7)의 하단부에 대하여 걸어맞춤 불능한 위치로 퇴피된다. 이 상태로부터, 도 1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 레버(7)를 개동함으로써, 도어 개폐용 핸들(H)을 본체(6) 정면부(601)의 상부와 배면부(602)의 상부 사이의 핸들 횡단 지지부(61) 위에 횡단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핸들 캐치(C)에서는 도어 개폐용 핸들(H)을 핸들 횡단 지지부(61) 위에 횡단 지지하면, 도어 개폐용 핸들(H)이 훅 레버(7) 배면의 캠 사면에 부딪치고, 훅 레버(7)는 회전축(7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도복 회전하여,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개폐용 핸들(H)이 훅 레버(7)의 횡단 홈부(72)에 다시 걸어 맞추어진다. 이 훅 레버(7)의 회전 도중에, 스프링 기구(8A)의 바이어스 방향이 역전되어, 이 도어 개폐용 핸들(H)과 훅 레버(7)의 걸어맞춤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이 핸들 캐치(C)의 경우, 로킹 레버(92), 자물쇠 유닛(9) 및 스프링 기구(8B) 사이에 오토 로킹 기구가 구성되어 있어, 훅 레버(7)가 도복 방향으로 회전하면, 훅 레버(7)의 하단부가 로킹 레버(92)의 자물쇠 고정 암(921)의 배면부를 배면측으로부터 누름으로써, 로킹 레버(92)의 자물쇠 고정 암(921)이 훅 레버(7)의 하단부에 대하여 걸어맞춤 불능한 위치까지 회전 퇴피된다. 이 로킹 레버(92)의 회전에 따라 로킹 레버(92)에 의해 캠 원반(910)의 돌기(911)가 눌려, 자물쇠 유닛(9)의 로터(91)가 시정 상태로 되돌려져, 자동적으로 시정된다. 이것에 의해, 열쇠(K)를 자물쇠 유닛(9)의 열쇠구멍(90)에 삽입하고 로터(91)를 회전조작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이 핸들 캐치(C)에서는 훅 레버(7)의 개폐, 시정/해정의 조작을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핸들 캐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6)가 정면부(601), 배면부(602), 양측면부(603) 및 저면부(604)로 이루어지고, 정면부(601)의 상부와 배면부(602)의 상부 사이에 핸들 횡단 지지부(61)를 갖고, 정면부(601)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수직 방향을 향하여 대략 U자형으로 절결되어 이루어지는 레버 수납부(62)를 갖고, 또한, 스프링 기구(8A), 로킹 레버(92), 실린더 자물쇠(9)를 내부에 배치하는데 필요한 형상을 구비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본체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제작 비용이나 유지 비용이 증대하고, 또한 금형의 제작에 많은 시간을 요한다.
(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기구(8A)는 훅 레버(7)의 배면에서 수평 방향에 배치되는 핀(81)과, 배면부측 고정부(821), 한 쌍의 중간 암(822), 정면부측 고정부(823), 및 스프링 받이부(824)를 갖는 스프링받이 플레이트(82)와, 가이드판(83)과, 이 가이드판(83)을 통하여 핀(81)과 스프링받이 플레이트(82)의 스프링 받이부(824) 사이에 압축되어 배치되는 코일스프링(84)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비용이 증대한다.
(3)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 레버(7)의 조작 시에, 금속제의 훅 레버(7)가 금속제의 본체 배면부(602)나 본체 정면부(601)에 충돌 접촉하기 때문에, 큰 조작음(금속음)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이 종류의 핸들 캐치에 있어서, 본체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금형의 제작 비용이나 유지 비용을 포함하는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 스프링 기구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부품수를 적게 하여,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 훅 레버의 조작에 의한 금속제의 훅 레버와 금속제의 본체 배면부와의 충돌 접촉에 의한 큰 조작음(금속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핸들 캐치는,
정면부의 상부와 배면부의 상부 사이에 도어 개폐용 핸들을 횡단시켜 지지하기 위한 홈형의 핸들 횡단 지지부, 및 상기 정면부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대략 U자형으로 절결된 레버 수납부와, 상기 정면부의 상부에서 상기 레버 수납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베어링을 갖는 본체와,
상기 레버 수납부에 끼워 넣어져, 양측면의 상하 방향 중간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회전축을 상기 베어링에 지지되어 기복 자유롭게 피벗식 지지되고, 상기 핸들 횡단 지지부에 대향하여 상부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핸들 횡단 지지부에 횡단 지지되는 도어 개폐용 핸들에 걸어맞춤 가능한 핸들 유지부를 갖는 훅 레버와,
상기 배면부와 상기 훅 레버 사이에 끼워 설치되어, 상기 훅 레버를 도복 방향 또는 기립 방향으로 회동 바이어스 하는 스프링 기구와,
상기 정면부의 상기 레버 수납부의 하방에 설치한 개구로부터 상기 본체 배면부 방향으로 대략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자물쇠 수납부 내에, 상기 개구에 열쇠구멍을 면하게 하여 삽입통과 배치되는 실린더 자물쇠와,
상기 실린더 자물쇠에 작동 연결되어, 상기 레버 수납부에 대하여 도복 상태의 상기 훅 레버의 하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로킹 위치와, 상기 훅 레버의 하부로부터 이탈 가능한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 자물쇠의 시정 조작에 의해 상기 로킹 위치로 회동되어, 상기 실린더 자물쇠의 해정/시정 장치 조작에 의해 상기 언로킹 위치로 회동되는 로킹 레버
를 구비하고, 상기 훅 레버에 의해 도어 개폐용 핸들을 구속·이탈하고, 상기 실린더 자물쇠에 의해 상기 훅 레버를 로킹/언로킹 하는 핸들 캐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면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어, 본체부 부재와 배면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훅 레버에 대향하는 상기 배면부 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훅 레버의 상기 회전축의 축심보다도 아래의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단면 대략 원호 형상의 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배면부 부재에 대향하는 상기 훅 레버의 후면의 상기 양쪽 회전축 사이에는, 상기 훅 레버가 상기 레버 수납부 내에 도복 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회전축의 축심보다도 아래의 위치에, 상기 훅 레버가 상기 레버 수납부로부터 기립 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회전축의 축심보다도 위의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상하 방향으로 단면 대략 원호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기구는,
상기 배면부 부재 및 상기 훅 레버의 상기 홈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대략 반원통형 또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 내에 상하 방향으로 경동(傾動) 가능하게 배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면에 코일스프링 걸음부를 갖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와,
양단이 각각 상기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의 상기 코일스프링 걸음부에 걸어지고, 상기 양쪽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 사이에 압축하여 배치되는 코일스프링
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훅 레버를 수동 조작하여 상기 레버 수납부 내에 도복시킴으로써, 상기 훅 레버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도복 방향으로 회동 바이어스 되어 도복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훅 레버를 수동 조작하여 상기 레버 수납부로부터 기립시킴으로써, 상기 훅 레버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기립 방향으로 회동 바이어스 되어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핸들 캐치는 각 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본체부 부재의 상기 홈 및 배면부 부재의 상기 홈은 훅 레버의 회전축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다.
(2) 훅 레버의 회전축은 본체부 부재의 레버 수납부의 양측에 단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본체부 부재측의 한 쌍의 베어링과, 이것에 대응하여 배면부 부재의 전면에 단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배면부 부재측의 한 쌍의 베어링에 의해 협지되어 지지된다.
(3) 핸들 유지부의 일부를 이루는 훅 레버의 후면과 전면 사이의 두께는 배면부 부재의 두께와 대략 동일 또는 약간 두껍게, 전체적으로 박형으로 형성된다.
(4) 훅 레버가 레버 수납부 내에 도복 상태에 있을 때에, 훅 레버의 전면 하부와 본체부 부재의 정면부 후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의 일방, 및 훅 레버가 레버 수납부로부터 기립 상태에 있을 때, 훅 레버의 후면 하부와 배면부 부재의 전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의 일방에, 각각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쿠션이 설치된다.
(5) 로킹 레버는 상기 실린더 자물쇠에 작동 연결되어, 본체부 부재의 실린더 자물쇠 수납부의 주위에서, 훅 레버의 하부의 회동 경로 상의 로킹 위치와 훅 레버의 하부의 회동 경로 상에서 벗어난 언로킹 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핸들 캐치에 의하면, 본체가 배면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어, 본체부 부재와 배면부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본체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금형의 제작 비용이나 유지 비용을 포함하는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훅 레버에 대향하는 배면부 부재의 전면에는, 훅 레버의 회전축의 축심보다도 아래의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단면 대략 원호 형상의 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훅 레버의 후면의 양쪽 회전축 사이에는, 훅 레버가 레버 수납부 내에 도복 상태에 있을 때는 회전축의 축심보다도 아래의 위치로, 훅 레버가 레버 수납부로부터 기립 상태에 있을 때는 회전축의 축심보다도 위의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상하 방향으로 단면 대략 원호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스프링 기구는 배면부 부재 및 훅 레버의 홈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대략 반원통형 또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홈 내에 상하 방향으로 경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면에 코일스프링 걸음부를 갖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와, 양단이 각각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의 코일스프링 걸음부에 걸어지고, 양쪽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 사이에 압축하여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므로, 스프링 기구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부품수를 적게 하고, 비용이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본 발명 독자의 각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핸들 캐치에서는, 훅 레버가 레버 수납부 내에 도복 상태에 있을 때에, 훅 레버의 전면 하부와 본체부 부재의 정면부 후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의 일방, 및 훅 레버가 레버 수납부로부터 기립 상태에 있을 때에, 훅 레버의 후면 하부와 배면부 부재의 전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의 일방에, 각각,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쿠션이 설치되므로, 훅 레버의 조작에 의한, 금속제의 훅 레버와 금속제의 배면부 부재(본체 배면부)와의 충돌 접촉에 의한 큰 조작음(금속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본 발명 독자의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핸들 캐치의 외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평면도, (d)는 저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핸들 캐치의 외부 구성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핸들 캐치의 외부 구성을 도시하는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핸들 캐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핸들 캐치의 특히 본체부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후면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핸들 캐치의 특히 배면부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전면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핸들 캐치의 특히 본체부 부재, 훅 레버 및 로킹 레버의 각 구성을 도시하는 후면측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핸들 캐치의 특히 훅 레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상방에서 본 전면측 사시도, (b)는 하방에서 본 전면측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핸들 캐치의 특히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면측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핸들 캐치의 사용예를, 훅 레버가 본체의 레버 수납부에 도복되고, 시정된 상태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도 1의 A-A선에 대응하는 단면도, (b)는 도 1의 B-B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핸들 캐치의 사용예를, 훅 레버가 해정되고, 본체의 레버 수납부로부터 기립된 상태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도 1의 A-A선에 대응하는 단면도, (b)는 도 1의 B-B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핸들 캐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핸들 캐치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훅 레버가 본체에 도복되고, 시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b)는 훅 레버가 해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c)는 훅 레버가 본체로부터 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에서, 도어 개폐용 핸들(H)은 밴보디 타입의 트럭의 박스형의 적재함(알루미늄제 컨테이너)이나 수송용의 컨테이너 등의 좌우 여닫이식의 도어의 개폐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핸들이다(상기 배경기술 및 도 12, JP-2002-227494-A의 도 1 참조).
도 1 내지 도 4에 핸들 캐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도 5 내지 도 9에 핸들 캐치의 각 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핸들 캐치(C)는 본체(1)와, 훅 레버(2)와, 스프링 기구(3)(도 4 참조)와, 실린더 자물쇠(4)와, 로킹 레버(5)(도 4 참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1,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는 정면부(101)의 상부와 배면부(102)의 상부 사이에 도어 개폐용 핸들(H)을 횡단시켜 지지하기 위한 홈형의 핸들 횡단 지지부(11)와, 정면부(101)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대략 U자형으로 절결된 레버 수납부(12)와, 정면부(101)의 상부에서 레버 수납부(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베어링(13)과, 스프링 기구(3)의 부착부로서, 훅 레버(2)에 대향하는 배면부(102)의 전면에서, 훅 레버(2)의 회전축(21)의 축심보다도 아래의 위치에 형성되는 상하 방향으로 단면 대략 원호 형상의 홈(106)과, 정면부(101)의 레버 수납부(12)의 하방에 설치한 개구(107)로부터 배면부(102) 방향으로 대략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자물쇠 수납부(108)를 구비한다.
도 1,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는 또한 배면부(102)의 일부가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어, 본체부 부재(P1)와 배면부 부재(P2)로 이루어진다.
본체부 부재(P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부(101), 좌우 양측면부(103, 104), 상면부(105a) 및 저면부(105b)를 갖고, 배면부(102)는 개구되고, 좌우 양측면부(103, 104) 및 저면부(105b)에 연접하여 하반부에 형성되는 대략 U자형의 프레임(102f)만으로 이루어지는, 전체적으로 박형의 케이스로 되어 있다. 배면부 부재(P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 부재(P1)의 배면부(102)를 이루는 프레임(102f)의 상단부 사이에 하부측이 끼워맞추어지고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되어, 본체부 부재(P1)의 배면부(102) 개구의 상반부에 프레임(102f)의 상부에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본체부 부재(P1)의 상면부(105a)로부터 상방으로 또한 좌우 양측면부(103, 104)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로 되어 있다. 또한, 배면부 부재(P2)의 두께(전면과 후면 사이의 치수)는 본체부 부재(P1)의 배면부(102)를 이루는 프레임(102f)의 두께(프레임(102f)을 좌우 각 측에서 본 경우의 전후 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 부재(P1)의 정면부(101)의 상단부는 상면부(105a) 및 좌우 양측면부(103, 104)의 상단부보다도 높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부 부재(P2)의 상단부는 이 배면부 부재(P2)가 본체부 부재(P1)의 배면부(102)를 이루는 프레임(102f) 위에 부착된 상태에서, 정면부(101)의 상단부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정면부(101)의 상단부와 배면부 부재(P2)의 상단부 사이에, 본체부 부재(P1)의 상면부(105a)를 홈 바닥부로 하여, 도어 개폐용 핸들(H)을 횡단시켜 지지하는 홈형의 핸들 횡단 지지부(11)가 설치된다.
또한 도 1,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 부재(P1)의 정면부(101)의 대략 중앙이, 상면부(105a)의 중앙과 함께, 상부 중앙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대략 U자형으로 절결되어, 훅 레버(2)를 위한 레버 수납부(12)가 설치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수납부(12)에 의해 좌우로 분할된 정면부(101)의 좌우의 각 상면부(105a)의 하방에서 또한 정면부(101)의 후면에, 서로 대칭의 단면 대략 ㄷ자형이며, 안쪽측(정면부(101)측)의 면을 상하 방향으로 단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훅 레버(2)의 회전축(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13)의 절반부(131)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본체부 부재(P1)의 정면부(101)의 후면이며 또한 좌우의 각 상면부(105a)와 좌우의 각 측면부(103, 104) 사이에, 베어링(13)의 절반부(131)에 인접하고, 배면부 부재(P2)를 부착하기 위한 나사 구멍(110) 부착의 부착 보스(109)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이것들에 대응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 레버 수납부(12)에 대향하는 배면부 부재(P2)의 전면, 즉, 이 레버 수납부(12)에 부착되는 훅 레버(2)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훅 레버(2)의 회전축(21)의 축심보다도 조금 아래가 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단면 대략 원호 형상의 홈(106)이 형성되어, 나사 기구(3)의 부착부가 설치된다. 또한 배면부 부재(P2)의 전면 하부에는, 정면부(101)의 베어링(13)의 절반부(131)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절반부(131)의 단면 ㄷ자형 내에 삽입 가능한 한 쌍의 사각기둥이 돌출되고, 사각기둥의 선단이 서로 대칭의 단면 대략 ㄷ자형이며, 안쪽측(배면부 부재(P2)의 후면측)의 면이 상하 방향으로 단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훅 레버(2)의 회전축(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13)의 절반부(132)가 설치된다. 또한, 배면부 부재(P2)의 하부측에서, 정면부(101)의 부착 보스(109)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 부착 보스(109)의 나사 구멍(110)에 연통하는 나사 삽입통과 구멍(14)이 설치된다. 또한, 이 배면부 부재(P2)에는, 전면의 좌우 양측부에서 상하 방향 중간에 후면측을 향하여 원통 형상의 오목부(151)가 형성되고, 그 바닥부에 부착 나사의 통과 구멍(152)이 뚫어지고, 핸들 캐치(C)를 컨테이너의 도어 등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나사의 나사 삽입통과 구멍(15)이 함께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배면부 부재(P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나사 삽입통과 구멍(14)이 본체부 부재(P1)의 각 부착 보스(109)와 맞추어지고, 하부측이 본체부 부재(P1)의 배면부(102)를 이루는 프레임(102f)의 상단부 사이에 끼워 맞추어지고, 배면부 부재(P2)의 각 나사 삽입통과 구멍(14)으로부터 부착 나사(S1)(도 2 참조)가 통과되어 본체부 부재(P1)의 각 부착 보스(109)의 나사 구멍(110)에 체결되고, 본체부 부재(P1)의 배면부(102) 개구의 상반부에, 배면부(102)의 프레임(102f)의 상부에 연속적으로 배치 고정된다.
또한, 본체부 부재(P1)에서는, 도 1,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부(101)의 레버 수납부(2)의 하방에 실린더 자물쇠 수납부(108)가 설치되고, 이 실린더 자물쇠 수납부(108)의 하방에 부착 나사를 위한 나사 삽입통과 구멍(16)이 설치된다. 실린더 수납부(108)는 정면부(101)의 레버 수납부(12)의 하방, 여기에서는 좌측면측으로 비켜난 위치에 개구(107)를 갖고, 배면부(102) 방향으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나사 삽입통과 구멍(16)은 정면부(101)의 하부 중앙을 관통하여 후면측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면부(102)측의 끝부는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소직경 단차부로 되어 있다.
또한, 더욱이 도 2,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 부재(P1) 또는 배면부 부재(P2) 또는 훅 레버(2)에는 선택적으로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쿠션(17)이 부착된다. 이 쿠션(17)은, 훅 레버(2)가 레버 수납부(12) 내에 도복 상태에 있을 때, 훅 레버(2)의 전면 하부와 본체부 부재(P1)의 정면부(101) 후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의 일방, 및 훅 레버(2)가 레버 수납부(12)로부터 기립 상태에 있을 때, 훅 레버(2)의 후면 하부와 배면부 부재(P2)의 전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의 일방에 각각 설치된다. 이 경우, 전자의 일방의 쿠션(17)은 훅 레버(2)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것으로 하고, 후자의 타방의 쿠션(17)은 배면부 부재(P2)의 전면에 설치된다. 도 4,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부 부재(P2)의 하부에는, 훅 레버(2)가 충돌 접촉하도록 비스듬히 후방 하방을 향하여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의 좌우 양측에 각각 쿠션 부착부(18)가 형성되어, 각 쿠션 부착부(18)에 쿠션(17)이 부착된다. 여기에서 쿠션 부착부(18)는 경사면의 좌우 양측에 전면과 후면 사이를 관통하여 통과 구멍(18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쿠션(17)은 엘라스토머 등의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전측부가 통과 구멍(180)보다도 큰 직경의 원반 형상을 이루고, 후측부가 통과 구멍(180)에 삽입통과 가능하게 통과 구멍(180)과 대략 동일한 직경이거나 약간 작은 원기둥 형상, 통과 구멍(180)에 삽입통과 가능하고 또한 통과 구멍(180)의 후면측 주연부에 걸어질 수 있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이루어지고(도 10 참조), 후측부가 통과 구멍(180)에 전면측으로부터 통과시켜져 후측부의 테이퍼 형상이 통과 구멍(180)의 후면측 주연부에 걸어지고, 전측부의 원반 형상이 배면부 부재(P2)의 전면 하부에 볼록 형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이 본체(1)는 본체부 부재(P1) 내에 후술하는 훅 레버(2), 스프링 기구(3)를 이루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 및 코일스프링(32), 실린더 자물쇠(4), 로킹 레버(5)가 편입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 부재(P1)의 배면부(102) 개구의 상반부에 배면부 부재(P2)가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2개의 부착 나사(S1)가 배면부 부재(P2)의 나사 삽입통과 구멍(14)으로부터 통과시켜지고 본체부 부재(P1)의 나사 구멍(110)에 체결되어 조립된다.
도 1,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 레버(2)는 본체(1)의 핸들 횡단 지지부(11)에 대향하여 상부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핸들 횡단 지지부(11)에 횡단 지지되는 도어 개폐용 핸들(H)에 걸어맞춤 가능한 핸들 유지부(22)를 가지며, 본체부 부재(P1) 정면부(101)의 레버 수납부(12)에 끼워 넣어져, 좌우 양측면의 상하 방향 중간부로부터 돌출되는 회전축(21)이, 레버 수납부(12) 좌우 양측에 형성된 베어링(13)의 절반부(131)(도 5 참조)와, 본체부 부재(P1)측의 각 베어링(13)의 절반부(131)에 대응하여 배면부 부재(P2)의 전면에 형성된 베어링(13)의 절반부(132)(도 6 참조)에 의해 협지되어 지지되고, 본체부 부재(P1)와 배면부 부재(P2) 사이에 기복 자유롭게 피벗식 지지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부 부재(P2)에 대향하는 훅 레버(2)의 후면의 양쪽 회전축(21) 사이에는, 훅 레버(2)가 레버 수납부(12) 내에 도복 상태에 있을 때는 회전축(21)의 축심보다도 조금 아래의 위치로, 훅 레버(2)가 레버 수납부(12)로부터 기립 상태에 있을 때는 회전축(21)의 축심보다도 조금 위의 위치로 회동 변위 가능하게, 상하 방향으로 단면 대략 원호 형상의 홈(206)이 형성되어, 스프링 기구(3)의 부착부가 설치된다.
훅 레버(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 부재(P1)의 레버 수납부(12)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또한 배면부 부재(P2)의 상단보다도 높은 높이까지 연장되는 정면에서 보아 세로로 긴 장방형의 판 형상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면의 상단부에는 훅 형상부(낫 형상부)(23)가 설치되고, 후면의 중간부에는 볼록 형상부(24)가 본체부 부재(P1)의 상면부(105a)와 동일한 높이로부터, 배면부 부재(P2) 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여, 본체(1)의 핸들 횡단 지지부(11)에 대향하여 훅 레버(2)의 후면의 상부측(훅 형상부(23)와 볼록 형상부(24) 사이)에 핸들 유지부(22)가 단면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 훅 레버(2)의 경우, 핸들 유지부(22)의 일부를 이루는 후면과 전면 사이의 두께가 배면부 부재(P2)의 두께와 대략 동일 또는 약간 두껍게, 전체적으로 박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훅 레버(2)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 형상부(24)의 하방으로 단면 대략 원호 형상으로 팽출부(25)가 형성되고, 이 팽출부(25)에 스프링 기구(3)의 부착부로서 홈(206)이 형성되고, 이 팽출부(25)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회전축(21)이 일체로 형성된다. 팽출부(25)에 있어서 홈(206)은, 전술한 바와 같이, 훅 레버(2)가 레버 수납부(12) 내에 도복 상태에 있을 때는 회전축(21)의 축심보다도 조금 아래의 위치로, 훅 레버(2)가 레버 수납부(12)로부터 기립 상태에 있을 때는 회전축(21)의 축심보다도 조금 위의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상하 방향으로 단면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훅 레버(2)측의 홈(206)은 회전축(21)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고, 배면부 부재(P2)측의 홈(106)(도 6 참조)과 동일한 크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회전축(21)은 팽출부(25)의 좌우 양측면의 중심으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그 양단이 양측방(수평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훅 레버(2)의 전면 하부에는 쿠션(17)(도 2 참조)이 설치된다. 이 경우, 훅 레버(2)의 하부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옆으로 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부가 측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이 하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쿠션 부착부(28)가 설치되고, 이 쿠션 부착부(28)에 쿠션(17)이 부착된다. 여기에서 쿠션 부착부(28)는 훅 레버(2)의 전면측에 쿠션(17)을 배치 가능하게 쿠션(17)과 대략 동일한 직경의 원형의 오목부(281)가 형성되고, 후면측에 이 오목부(281)보다도 작은 직경의 오목부(283)(도 10 참조)가 형성되고, 이들 오목부(281, 283) 사이에 이들 오목부(281, 283)보다도 작은 직경의 통과 구멍(28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쿠션(17)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 등의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전측부가 원반 형상을 이루고, 후측부가 쿠션 부착부(28)의 통과 구멍(282)에 삽입 통과 가능한 원기둥 형상과, 쿠션 부착부(28)의 통과 구멍(282)을 삽입통과 가능하고 또한 후면측의 오목부(283)에 걸 수 있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이루어져, 후측부가 전면측으로부터 통과 구멍(282)으로 통과되어 후측부의 테이퍼 형상이 후면측의 오목부(283)에 걸어지고, 전측부의 원반 형상이 전면의 오목부(281) 내에 볼록 형상으로 배치된다(도 10 참조).
이와 같이 하여 훅 레버(2)는, 도 1,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 부재(P1) 정면부(101)의 레버 수납부(12)에 끼워 넣어지고, 팽출부(25)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회전축(21)이 본체부 부재(P1)의 레버 수납부(12)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베어링(13)의 절반부(131)(도 5 참조)와, 배면부 부재(P2)의 전면에 형성된 베어링(13)의 절반부(132)(도 6 참조)에 의해 협지되어 지지되고, 정면부 부재(P1)와 배면부 부재(P2) 사이에 기복 자유롭게 부착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기구(3)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와 1개의 코일스프링(32)에 의해 구성된다.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배면부 부재(P2) 및 훅 레버(2)에 스프링 기구(3)의 부착부로서 형성된 각 홈(106, 206)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대략 반원통형 또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홈(106, 206)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면에 코일스프링 걸음부(311)(도 9 참조)를 갖는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경우,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는 대략 반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홈(106, 206)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외주면의 일부를 이루는 평탄면의 중앙에 코일스프링 걸음부(311)가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는 배면부 부재(P2) 및 훅 레버(2)의 홈(106, 206) 내에 상하 방향으로 경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코일스프링(32)은 배면부 부재(P2)의 홈(106)과 훅 레버(2)의 홈(206) 사이에 압축하여 배치 가능하게, 종래에 비해 축방향의 치수가 비교적 짧게 되어, 스프링(신축) 스트로크가 짧게 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32)은 양단이 각각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의 코일스프링 걸음부(311)에 걸어지고, 배면부 부재(P2)측의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와 훅 레버(2)측의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 사이에 압축하여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스프링 기구(3)는 본체(1)의 배면부(102)와 훅 레버(2) 사이에 끼워 설치되어, 훅 레버(2)를 도복 방향 또는 기립 방향으로 회동 바이어스 하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 자물쇠(4)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핀 실린더 자물쇠 또는 디스크 실린더 자물쇠가 사용된다. 이 경우, 실린더 자물쇠(4)의 로터(도시생략)의 후측부의 중심축 위, 즉 로터의 후단면의 중심에 뿔형의 돌기(도시 생략)를 갖고, 이 돌기의 중심축 위에 나사 구멍(도시 생략)이 설치된다. 실린더 자물쇠(4)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의 정면부(101)의 레버 수납부(12)의 하방의 실린더 자물쇠 수납부(108) 내에, 개구(107)에 열쇠구멍(40)을 면하게 하고 삽입통과 배치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킹 레버(5)는 레버 수납부(12)에 대하여 도복 상태의 훅 레버(2)의 하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로킹 위치와, 훅 레버(2)의 하부로부터 이탈 가능한 언로킹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실린더 자물쇠(4)에 작동 연결된다. 이 경우, 로킹 레버(5)는 본체부 부재(P1)의 실린더 자물쇠 수납부(108)의 후부측 주위에 외측 끼움(외측에 끼워맞춤 하여) 배치 가능하게, 전단이 개구되고, 후단이 중심에 나사 삽입통과 구멍(50)을 가지고 폐색되는 대략 바닥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51)와, 이 연결부(51)의 외주면의 일부에 일체적으로 연결부(51)의 축심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 형상의 스토퍼 레버(52)로 이루어진다. 이 로킹 레버(5)는 연결부(51)가 실린더 자물쇠 수납부(108)의 후부측의 주위에 외측에서 끼워지고, 이 연결부(51)의 후단의 나사 삽입통과 구멍(50)으로부터 통과시켜진 부착 나사(S2)(도 2 참조)를 실린더 자물쇠(4)의 로터 후부의 돌기의 나사 구멍에 체결하여 로터와 함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로킹 레버(5)는 실린더 자물쇠(4)에 작동 연결되고, 스토퍼 레버(52)가, 본체부 부재(P1)의 실린더 자물쇠 수납부(108)의 주위에서, 훅 레버(2)의 하부의 회동 경로 상의 로킹 위치와 훅 레버(2)의 하부의 회동 경로 상에서 벗어난 언로킹 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로킹 레버(5)는 실린더 자물쇠(4)의 열쇠에 의한 시정 조작에 의해 스토퍼 레버(52)가 로킹 위치로 회동되어, 실린더 자물쇠(4)의 열쇠에 의한 해정 조작에 의해 언로킹 위치로 회동되게 되어 있다.
이 핸들 캐치(C)는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고, 도 1을 참조하면, 배면부 부재(P2)의 좌우 양측 및 본체부 부재(P1)의 하부 중앙의 각 부착 나사 삽입통과 구멍(15, 16)에 부착 나사(S3)가 삽입통과되어 컨테이너의 도어에 부착되고, 훅 레버(2)를 수동 조작하여 레버 수납부(12) 내에 도복시킴으로써, 훅 레버(2)는 코일스프링(32)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도복 방향으로 회동 바이어스 되어 도복 상태를 유지하고, 훅 레버(2)를 수동 조작하여 레버 수납부(12)로부터 기립시킴으로써, 훅 레버(2)는 코일스프링(32)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기립 방향으로 회동 바이어스 되어 기립 상태를 유지한다. 이 훅 레버(2)의 기복 조작에 의해, 도어 개폐용 핸들(H)을 구속·이탈하고, 실린더 자물쇠(4)의 시정/해정에 의해 훅 레버(2)를 로킹/언로킹 하게 되어 있다.
도 10, 도 11에 이 핸들 캐치(C)의 사용예 및 핸들 캐치(C) 각 부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도어가 닫혀 있을 때는, 통상, 도어 개폐용 핸들(H)은 핸들 캐치(C) 상부에 있는 홈형의 핸들 횡단 지지부(11) 내에 끼워 넣어지고, 훅 레버(2)가 레버 수납부(12)에 대해 도복되어, 도어 개폐용 핸들(H)은 핸들 횡단 지지부(11)와 훅 레버(2)의 훅 형상부(23)에 의해 구속된다. 이 때, 레버 수납부(12)에 대하여 도복된 훅 레버(2)의 하부는 로킹 위치의 로킹 레버(5)에 눌려 있어, 핸들 캐치(C)에 장비된 실린더 자물쇠(4)의 시정에 의해, 이 로킹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도어 개폐용 핸들(H)을 핸들 횡단 지지부(11)로부터 해방하기 위해서는, 실린더 자물쇠(4)에 열쇠를 삽입하여 해정함으로써, 로킹 레버(5)를 언로킹 위치로 회동하여, 훅 레버(2)와 로킹 레버(5)의 걸어맞춤을 해제한다. 이 경우, 실린더 자물쇠(4)의 열쇠구멍(40)에 열쇠를 꽂아넣고, 해정 방향으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로터가 해정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로터의 회전과 함께, 로킹 레버(5)의 연결부(51)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토퍼 레버(52)가 로킹 위치로부터 언로킹 위치로 회동되어, 훅 레버(2)의 하부로부터 이탈한다(도 11 참조). 이것에 의해, 훅 레버(2)는 프리가 되고, 수동 조작에 의해 훅 레버(2)를 본체부 부재(P1)의 레버 수납부(12)로부터 기립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 레버(2)를 기립시키면, 배면부 부재(P2)측의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와 훅 레버(2)측의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 사이의 코일스프링(32)이 훅 레버(2)의 회전축(21)의 축심보다도 아래의 위치로부터 위의 위치로 변위되고, 이 코일스프링(32)에 의해 훅 레버(2)가 기립 방향으로 회동 바이어스 되어, 훅 레버(2)가 열린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훅 레버(2)가 열림으로써 도어 개폐용 핸들(H)을 핸들 캐치(C)의 핸들 횡단 지지부(11)로부터 끌어올릴 수 있고, 이 핸들(H)로 컨테이너의 도어를 열 수 있다.
컨테이너의 도어를 닫고, 도어 개폐용 핸들(H)을 핸들 횡단 지지부(11)로 되돌려서 구속할 때는, 수동 조작으로 훅 레버(2)를 레버 수납부(12)로 되돌림으로써 훅 레버(2)가 레버 수납부(12)에 도복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속해서, 실린더 자물쇠(4)를 시정함으로써 이 훅 레버(2)가 로킹된다. 이 경우, 수동 조작으로 훅 레버(2)를 레버 수납부(12)로 되돌리고, 레버 수납부(12)에 도복하면, 배면부 부재(P2)측의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와 훅 레버(2)측의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 사이의 코일스프링(32)이 훅 레버(2)의 회전축(21)의 축심보다도 위의 위치로부터 아래의 위치로 변위되어, 이 코일스프링(32)에 의해 훅 레버(2)가 도복 방향으로 회동 바이어스 되어, 훅 레버(2)의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 계속해서, 실린더 자물쇠(4)의 열쇠구멍(40)에 열쇠를 꽂아넣고, 시정 방향으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로터가 시정 방향으로 회동하여, 이 로터의 회전과 함께, 로킹 레버(5)의 연결부(51)가 회전하여 스토퍼 레버(52)가 언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위치로 회동되고, 훅 레버(2)의 하부에 걸어맞추어진다. 이것에 의해, 훅 레버(2)는 로킹되고, 이 로킹 상태가 실린더 자물쇠(4)의 시정에 의해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핸들 캐치(C)의 개폐, 시정·해정의 조작을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핸들 캐치(C)에 의하면, 본체(1)가 배면부(102)의 일부가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어, 본체부 부재(P1)와 배면부 부재(P2)의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아울러, 본체부 부재(P1)의 레버 수납부(12)의 양측에 단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본체부 부재(P1)측의 베어링(13)의 절반부(131)와, 배면부 부재(P2)의 전면에 단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배면부 부재(P2)측의 베어링(13)의 절반부(132)에 의해, 훅 레버(2)의 회전축(21)이 협지되어 지지되는 샌드위치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본체(1)의 구조를 2분할에 의해 간단하게 하고, 이것에 의해 금형의 제작 비용이나 유지 비용을 삭감할 수 있고, 아울러, 본체(1)의 제작 시간을 단축하여, 본체(1)의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전체적으로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기구(3)의 부착부로서, 훅 레버(2)에 대향하는 배면부 부재(P2)의 전면에는, 훅 레버(2)의 회전축(21)의 축심보다도 아래의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단면 대략 원호 형상의 홈(106)이 형성됨과 아울러, 훅 레버(2)의 후면의 양쪽 회전축(21) 사이에는, 훅 레버(2)가 레버 수납부(12) 내에 도복 상태로 있을 때는 회전축(21)의 축심보다도 아래의 위치로, 훅 레버(2)가 레버 수납부(12)로부터 기립 상태에 있을 때는 회전축(21)의 축심보다도 위의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상하 방향으로 단면 대략 원호 형상의 홈(206)이 형성되어, 스프링 기구(3)가 배면부 부재(P2) 및 훅 레버(2)의 홈(106, 206)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대략 반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홈(106, 206) 내에 상하 방향으로 경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면에 코일스프링 걸음부(311)를 갖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와, 양단이 각각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의 코일스프링 걸음부(311)에 걸어지고, 배면부 부재(P2)측 및 본체부 부재(P1)측의 양쪽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 사이에 압축하여 배치되는 코일스프링(32)으로 구성되는 샌드위치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스프링 기구(3)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부품수를 적게 하여, 전체적으로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스프링 기구(3)에 의하면,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를 합성 수지제로 하여 종래에 비해 금속 간섭을 대폭 삭감하고, 또한 코일스프링(32)을 종래에 비해 대폭 짧게 하여, 스프링 스트로크(신축 스트로크)를 종래에 비해 대폭 작게 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스프링 기구(3)의 내구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핸들 캐치(C)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1) 핸들 수납부(12)의 일부를 이루는 훅 레버(2)의 후면과 전면 사이의 두께가 배면부 부재(P2)의 두께와 대략 동일 또는 약간 두껍게, 전체적으로 박형으로 형성되므로, 훅 레버(2)와 배면부 부재(P2)를 접촉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훅 레버(2)와 배면부 부재(P2)의 접촉에 의한 금속음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어, 훅 레버(2)의 작동음의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다.
(2) 배면부 부재(P2)의 전면 하부에 쿠션 부착부(18)가 형성되어, 이 쿠션 부착부(18)에 쿠션(17)이 부착되고, 훅 레버(2)의 후면 하부에는 쿠션 부착부(28)가 형성되어, 이 쿠션 부착부(28)에 쿠션(17)이 부착되므로, 훅 레버(2)의 기복 조작 시에, 금속제의 훅 레버(2)가 금속제의 본체(1)의 배면부(102), 정면부(101)에 충돌 접촉해도, 이들 쿠션(17)의 개재에 의해, 큰 금속음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훅 레버(12)의 작동음의 발생을 대폭 저하시킬 수 있다.
(3) 로킹 레버(5)는 실린더 자물쇠(4)에 작동 연결되어, 본체부 부재(P1)의 실린더 자물쇠 수납부(108)의 주위에서, 훅 레버(2)의 하부의 회동 경로상의 로킹 위치와 훅 레버(2)의 하부의 회동 경로상에서 벗어난 언로킹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므로, 실린더 자물쇠(4)의 시정 조작에 의해 로킹 레버(5)를 로킹 위치로 확실하게 회동할 수 있고, 실린더 자물쇠(4)의 해정 조작에 의해 로킹 레버(5)를 언로킹 위치로 확실하게 회동할 수 있어, 로킹 레버(5)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시정/해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본체(1)의 배면부(102)의 일부를 분할 가능하게 형성하고 그 일부를 배면부 부재(P2)로 하고 있는데, 배면부(102)의 전부를 분할 가능하게 형성하고 그 전부를 배면부 부재로 해도 된다.
또한 스프링 기구(3)를 구성하는 각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를 스프링 기구(3)의 부착부로서 배면부 부재(P2) 및 훅 레버(2)에 형성된 각 홈(106, 206)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대략 반원통형으로 형성했지만, 각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를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외주면의 일부에 코일스프링 걸음부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배면부 부재(P2) 및 훅 레버(2)에, 홈(106, 206) 대신에, 대략 원통 형상의 유지부를 형성하고, 그 외주면의 일부에 원주 방향을 향하여 코일스프링 걸음부의 가이드 구멍을 설치함으로써, 각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31)를 각 대략 통 형상의 유지부에 배치하고, 코일스프링 걸음부를 가이드 구멍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C 핸들 캐치
1 본체
P1 본체부 부재
P2 배면부 부재
101 정면부
102 배면부
102f 범위
103, 104 측면부
105a 상면부
105b 저면부
106 홈
107 개구
108 실린더 자물쇠 수납부
109 부착 보스
110 나사 구멍
11 핸들 횡단 지지부
12 레버 수납부
13 베어링
131 절반부
132 절반부
14 나사 삽입통과 구멍
15 나사 삽입통과 구멍
151 오목부
152 통과 구멍
16 나사 삽입통과 구멍
17 쿠션
18 쿠션 부착부
180 통과 구멍
2 훅 레버
21 회전축
22 핸들 유지부
23 훅 형상부
24 볼록 형상부
25 팽출부
206 홈
28 쿠션 부착부
281 오목부
282 통과 구멍
283 오목부
3 스프링 기구
31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
311 코일스프링 걸음부
32 코일스프링
4 실린더 자물쇠
40 열쇠구멍
5 로킹 레버
50 나사 삽입통과 구멍
51 연결부
52 스토퍼 레버
S1, S2, S3 부착 나사
H 도어 개폐용 핸들

Claims (6)

  1. 정면부의 상부와 배면부의 상부 사이에 도어 개폐용 핸들을 횡단시켜 지지하기 위한 홈형의 핸들 횡단 지지부, 및 상기 정면부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대략 U자형으로 절결된 레버 수납부와, 상기 정면부의 상부에서 상기 레버 수납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베어링을 갖는 본체와,
    상기 레버 수납부에 끼워 넣어져, 양측면의 상하 방향 중간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회전축을 상기 베어링에 지지되어 기복 자유롭게 피벗식 지지되고, 상기 핸들 횡단 지지부에 대향하여 상부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핸들 횡단 지지부에 횡단 지지되는 도어 개폐용 핸들에 걸어맞춤 가능한 핸들 유지부를 갖는 훅 레버와,
    상기 배면부와 상기 훅 레버 사이에 끼워 설치되고, 상기 훅 레버를 도복 방향 또는 기립 방향으로 회동 바이어스 하는 스프링 기구와,
    상기 정면부의 상기 레버 수납부의 하방에 설치한 개구로부터 상기 본체 배면부 방향으로 대략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자물쇠 수납부 내에, 상기 개구에 열쇠구멍을 면하게 하고 삽입통과 배치되는 실린더 자물쇠와,
    상기 실린더 자물쇠에 작동 연결되고, 상기 레버 수납부에 대하여 도복 상태의 상기 훅 레버의 하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로킹 위치와, 상기 훅 레버의 하부로부터 이탈 가능한 언로킹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 자물쇠의 시정 조작에 의해 상기 로킹 위치로 회동되고, 상기 실린더 자물쇠의 해정 조작에 의해 상기 언로킹 위치로 회동되는 로킹 레버
    를 구비하고, 상기 훅 레버에 의해 도어 개폐용 핸들을 구속·이탈하고, 상기 실린더 자물쇠에 의해 상기 훅 레버를 로킹/언로킹 하는 핸들 캐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면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어, 본체부 부재와 배면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훅 레버에 대향하는 상기 배면부 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훅 레버의 상기 회전축의 축심보다도 아래의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단면에서 그 형상이 대략 원호 형상인 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배면부 부재에 대향하는 상기 훅 레버의 후면의 상기 양쪽 회전축 사이에는, 상기 훅 레버가 상기 레버 수납부 내에 도복 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회전축의 축심보다도 아래의 위치로, 상기 훅 레버가 상기 레버 수납부로부터 기립 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회전축의 축심보다도 위의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단면에서 그 형상이 대략 원호 형상인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기구는,
    상기 배면부 부재 및 상기 훅 레버의 상기 홈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대략 반원통형 또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홈 내에 상하 방향으로 경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면에 코일스프링 걸음부를 갖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와,
    양단이 각각 상기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의 상기 코일스프링 걸음부에 걸어지고, 상기 양쪽 코일스프링 받이 부재 사이에 압축하여 배치되는 코일스프링
    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훅 레버를 수동 조작하여 상기 레버 수납부 내에 도복시킴으로써, 상기 훅 레버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도복 방향으로 회동 바이어스 되어 도복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훅 레버를 수동 조작하여 상기 레버 수납부로부터 기립시킴으로써, 상기 훅 레버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기립 방향으로 회동 바이어스 되어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캐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부 부재의 상기 홈 및 배면부 부재의 상기 홈은 훅 레버의 회전축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캐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훅 레버의 회전축은 본체부 부재의 레버 수납부의 양측에 단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본체부 부재측의 상기 한 쌍의 베어링과, 이것에 대응하여 배면부 부재의 전면에 단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배면부 부재측의 한 쌍의 베어링에 의해 협지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캐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핸들 유지부의 일부를 이루는 훅 레버의 후면과 전면 사이의 두께는 배면부 부재의 두께와 대략 동일 또는 약간 두껍게, 전체적으로 박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캐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훅 레버가 레버 수납부 내에 도복 상태에 있을 때, 훅 레버의 전면 하부와 본체부 부재의 정면부 후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의 일방, 및 훅 레버가 레버 수납부로부터 기립 상태에 있을 때, 훅 레버의 후면 하부와 배면부 부재의 전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의 일방에, 각각,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쿠션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캐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로킹 레버는 상기 실린더 자물쇠에 작동 연결되고, 본체부 부재의 실린더 자물쇠 수납부의 주위에서, 훅 레버의 하부의 회동 경로상의 로킹 위치와 훅 레버의 하부의 회동 경로상에서 벗어난 언로킹 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캐치.
KR1020180042550A 2017-04-14 2018-04-12 핸들 캐치 KR102501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80577 2017-04-14
JP2017080577A JP6909035B2 (ja) 2017-04-14 2017-04-14 ハンドルキャ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146A KR20180116146A (ko) 2018-10-24
KR102501093B1 true KR102501093B1 (ko) 2023-02-17

Family

ID=6393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550A KR102501093B1 (ko) 2017-04-14 2018-04-12 핸들 캐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09035B2 (ko)
KR (1) KR102501093B1 (ko)
CN (1) CN108729774B (ko)
TW (1) TWI759458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133B1 (ko) 2013-09-11 2015-01-22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컨테이너 도어 봉인장치 및 그 작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5421B2 (ja) * 1989-07-11 1995-07-19 日本フルハーフ株式会社 扉開閉用ハンドルの掛金装置
JP2504714B2 (ja) * 1993-04-07 1996-06-05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CN1085769C (zh) * 1998-10-30 2002-05-29 泷源制造株式会社 平面手柄装置
JP2001049913A (ja) * 1999-08-12 2001-02-20 Takigen Mfg Co Ltd 回転型の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TW506464U (en) * 2002-03-18 2002-10-11 Ke Chong Ind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lock fastener for motor truck door
JP3797485B2 (ja) * 2003-03-27 2006-07-19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扉開閉用ハンドルの掛金装置
JP2005061037A (ja) * 2003-08-12 2005-03-10 Miwa Lock Co Ltd 扉開閉用ハンドル掛け金装置
DE102005021669A1 (de) * 2005-05-06 2006-11-1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oleranzausgleichsvorrichtung für eine kraftübertragende Verbindung zwischen einem Betätigungselement und einem Türschloßauslöser
KR20070027009A (ko) * 2005-08-29 200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잠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133B1 (ko) 2013-09-11 2015-01-22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컨테이너 도어 봉인장치 및 그 작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09035B2 (ja) 2021-07-28
TWI759458B (zh) 2022-04-01
KR20180116146A (ko) 2018-10-24
CN108729774A (zh) 2018-11-02
TW201842268A (zh) 2018-12-01
JP2018178565A (ja) 2018-11-15
CN108729774B (zh)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2777B2 (en) Door lock assembly
US9260890B2 (en) Latch mechanism
US20070246946A1 (en) Latchbolt for a door lock assembly
KR101247697B1 (ko) 격납식 차량용 시트
KR101290535B1 (ko) 핸들 장치
KR102501093B1 (ko) 핸들 캐치
JP4991825B2 (ja) ハンドル装置
KR100945079B1 (ko) 다이얼식 잠금 부재를 구비하는 러기지 박스 조립체
JP2019039181A (ja) 宅配ボックス
JP2010254233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6054776B2 (ja) 移動棚の施錠装置
JP2011094363A (ja) 簡易式ロック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ハンドル装置
JP2005282011A (ja) 扉開閉用ハンドルの掛金装置
KR100339087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JP2007309025A (ja) 車止め
KR101949341B1 (ko) 공구함 잠금장치
JP4216972B2 (ja) 引違い障子用の換気ロック装置
KR200478721Y1 (ko) 냉장 및 냉동고 도어용 도어록장치
CN202358038U (zh) 一种汽车方向盘防盗锁
JPH0748913Y2 (ja) 錠前装置
JP2549050Y2 (ja) キャッチロックの施錠構造
JP4567434B2 (ja) 引戸錠
KR20080092066A (ko) 특장차용 도어록킹 장치
JP2009293330A (ja) 車両扉用開閉装置
JP2668674B2 (ja) 子扉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