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549B1 - 화상 처리 시스템, 화상 처리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시스템, 화상 처리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549B1
KR102499549B1 KR1020217014169A KR20217014169A KR102499549B1 KR 102499549 B1 KR102499549 B1 KR 102499549B1 KR 1020217014169 A KR1020217014169 A KR 1020217014169A KR 20217014169 A KR20217014169 A KR 20217014169A KR 102499549 B1 KR102499549 B1 KR 102499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ambient light
effect
color space
imag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629A (ko
Inventor
사토미 키도구치
타카시 나카마에
레오 아오키
마사타카 쇼지
Original Assignee
에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6Colour space trans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유색 환경광 하에서의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으로 표현되는 색 공간을 변환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으로서, 색 공간 변환부와,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색 공간 변환부는, 환경광에 의해 생기는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넓어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유지되고 또한 상기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좁아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캔슬되도록, 상기 색 공간을 변환함으로써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을 보정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보정된 색 성분으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출력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시스템, 화상 처리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시스템, 화상 처리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특정의 유색 환경광 하에서 표시 장치가 사용되는 사례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유색 환경광 하에서는, 사람의 지각(知覺)에 관하여 색순응이라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색순응은, 환경광에 순응함으로써 동일한 대상색을 백색광 하에서 지각하는 색과 다른 색으로서 지각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색순응의 영향 하에서는, 특정의 색 성분은 지각되기 쉬워지는 한편 다른 색 성분은 지각되기 어려워지는 현상이 생긴다. 그래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1은 환경광이 변화되어도 사용자가 지각하는 색이 변화되지 않도록, 색순응을 캔슬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2002-41017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에서의 기술에서는 색순응의 영향을 캔슬하기 때문에, 특정의 색 성분을 지각되기 쉬워지게 하는 색순응의 메리트도 캔슬되어 버리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실시된 것이며, 유색 환경광 하에서의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으로 표현되는 색 공간을 변환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으로서, 색 공간 변환부와,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색 공간 변환부는, 환경광에 의해 생기는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넓어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유지되고 또한 상기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좁아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캔슬되도록, 상기 색 공간을 변환함으로써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을 보정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보정된 색 성분으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출력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색 영역이 좁아지는 특정의 색 성분만에 대해 해당 색순응의 영향을 캔슬하기 때문에,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색 영역이 넓어지는 색 성분에 대해서는, 보다 선명한 색으로서 지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색순응에 의한 메리트를 유지하면서, 특정의 색에 대해서만 색순응의 영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유색 환경광 하에서의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또한, 각 특징이 독립적으로 발명을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환경광 정보 취득부와, 색순응 산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환경광 정보 취득부는 환경광에 관한 정보를 환경광 정보로서 취득하고, 상기 색순응 산출부는 취득된 상기 환경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광에 의해 생기는 색순응의 영향을 산출하고, 상기 색 공간 변환부에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색 성분이 적색, 녹색, 청색의 3원색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환경광은 청색 계열 색광이고, 상기 특정의 색 성분은 녹색 계열 색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색 성분이 적색, 녹색, 청색의 3원색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환경광은 적색 계열 색광이며, 상기 특정의 색 성분은 적색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색 성분이 적색, 녹색, 청색의 3원색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환경광은 녹색 계열 색광이며, 상기 특정의 색 성분은 적색 계열 색 및/또는 녹색 계열 색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는, 변환 후의 상기 색 공간보다 넓은 색 영역을 표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색 공간 변환부는, 변환 후의 상기 색 공간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 가능한 색 영역을 초과할 경우, 해당 색 영역 내에 수습되도록 해당 색 공간에 대해 라운딩 처리를 실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색 공간은 sRGB색 영역이며, 상기 표시부에 표시 가능한 색 공간은 적색(X=0.640, Y=0.330), 녹색(X=0.210, Y=0.710), 청색(X=0.150, Y=0.060)으로 규정되는 색 영역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색 공간 변환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색 성분의 보정의 정도를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환경광의 색 성분을 상기 환경광 정보로서 검지하는 컬러 센서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색순응 산출부는 미리 정해진 기간에 있어서 상기 컬러 센서가 감지한 상기 환경광의 정보를 평균화하여 상기 색순응의 영향을 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색 공간 변환부는, 중간색에서의 상기 색순응의 영향이 더 캔슬되도록, 상기 색 공간의 변환에서 기준으로 되는 기준 색도를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 색도는 상기 환경광의 영향에 의해 백색으로 지각되는 색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 색도는 상기 환경광의 영향에 의해 지각되는 색 영역이 넓어지는 색 성분에 속하는 색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색 공간 변환부는 상기 색 공간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영역에 대해 다른 변환 처리를 실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으로 표현되는 색 공간을 변환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색 공간 변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색 공간 변환부는, 환경광에 의해 생기는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넓어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좁아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캔슬되도록, 상기 색 공간을 변환함으로써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을 보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는,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으로 표현되는 색 공간을 변환하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색 공간 변환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색 공간 변환 스텝에서는, 환경광에 의해 생기는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넓어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좁아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캔슬되도록, 상기 색 공간을 변환함으로써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을 보정하는, 화상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는, 컴퓨터에,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으로 표현되는 색 공간을 변환하는 화상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화상 처리 방법은 색 공간 변환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색 공간 변환 스텝에서는, 환경광에 의해 생기는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넓어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좁아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캔슬되도록, 상기 색 공간을 변환함으로써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을 보정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도 1은 색 순응의 영향에 의한 색 영역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1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1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화상 처리 시스템(1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중, 도 4A는 색 공간 변환부(6)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B는 보정 행렬 결정부(61)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중, 도 5A는 스텝S1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색도도(色度圖)이다. 도 5B는 스텝S2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색도도이다.
도 6 중, 도 6A는 스텝S3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색도도이다. 도 6B는 색 공간 변환에 의한 색 영역의 변화를 나타내는 색도도이다.
도 7 중, 도 7A는 변형예1에 있어서의 색순응의 영향을 나타내는 색도도이다. 도 7B는 변형예1에 있어서의 색 공간 변환에 의한 색 영역의 변화를 나타내는 색도도이다.
도 8 중, 도 8A는 변형예2에 있어서의 색순응의 영향을 나타내는 색도도이다. 도 8B는 변형예2에 있어서의 색 공간 변환에 의한 색 영역의 변화를 나타내는 색도도이다.
도 9 중, 도 9A는 변형예3에 있어서의 중간색의 보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색도도이다. 도 9B는 변형예3에 있어서의 중간색의 보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색도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2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2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3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3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4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41)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5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52)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기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색 영역마다의 변환 행렬의 설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색 순응의 영향 하의 색 영역의 변화>
도 1을 참조하여 색순응의 영향에 의한 색 영역의 변화를 설명한다. 도 1은 sRGB의 색 영역 G1과, 색 영역 G1을 소정의 청색 환경광 하에서 사람이 지각하는 색 영역 G2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 영역 G1이 해당 청색 환경광에서 지각되는 색 영역 G2는 색 영역 G1에 비해 적색 방향으로 색 영역이 넓어지도록 어긋나게 형성된다. 이것은 청색 환경광에서는, 보색 방향의 적색 성분이 보다 선명하게 지각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색 영역 G2는 색 영역 G1에 비해 녹색 방향의 색 영역이 좁게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청색 환경광에서는 녹색 성분이 지각되기 어려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색순응의 영향을 받는 사례로서, 청색 환경광 하에서의 내시경 수술을 들 수 있다. 청색 조명의 수술실에서, 수술 종사자는 내시경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수술을 실시한다. 이 때, 수술 종사자는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적색 성분을 보다 선명하게 지각한다. 한편, 녹색 성분에 대해서는 지각하기 어렵게 된다. 이 것은 상술한 색순응의 영향에 의한 색 영역의 변화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청색 환경광에 있어서 적색 성분이 보다 선명하게 지각되는 것은 수술 종사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 한편, 녹색 성분에 대해 지각하기 어렵게 되는 것은 수술 종사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좁아지는 특정의 색 성분만에 대해 그 영향이 캔슬되도록 색 공간을 변환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을 발명했다. 이하 그 구성을 설명한다.
<2. 실시 형태1>
(2.1. 화상 처리 시스템(10)의 하드웨어 구성)
도 2를 참조하여 화상 처리 시스템(10)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시스템(10)은 화상 처리 장치(1)와 화상 표시 장치(2)를 구비한다. 화상 처리 장치(1)와 화상 표시 장치(2)는 영상 신호 케이블(11)과 제어 신호 케이블(12)에 의해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화상 처리 장치(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는 영상 신호 케이블(11)을 통해 화상 표시 장치(2)에 송신된다. 이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이 화상 표시 장치(2)의 표시부(7)에 표시된다. 화상 처리 장치(1)와 화상 표시 장치(2)의 사이의 제어 신호나 데이터의 송수신은 제어 신호 케이블(12)을 통해 실시된다.
화상 처리 장치(1)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내시경 검사 장치와 접속된다. 따라서, 내시경 수술의 종사자는 내시경 검사 장치로부터 출력된 화상을 표시부(7)에서 시인할 수 있다.
(2.2. 화상 처리 시스템(10)의 기능 구성)
도 3을 참조하여 화상 처리 시스템(10)의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1)는 환경광 정보 취득부(3)와, 색순응 산출부(4)와, 화상 출력부(5)를 포함한다. 화상 표시 장치(2)는 색 공간 변환부(6)와, 표시부(7)를 포함한다.
환경광 정보 취득부(3)는 예를 들면 환경광의 색을 감지하는 컬러 센서를 이용하여 화상 처리 장치(1)가 설치된 환경광의 LMS값을 환경광 정보로서 취득한다. LMS값은 추체(錐體) 자극값으로도 불리고, 색채에 대한 사람의 광 수용체(추체)의 반응에 기초하여 색을 규정하기 위한 물리량이다.
색순응 산출부(4)는 환경광 정보 취득부(3)에 의해 취득된 환경광 정보에 기초하여 환경광에 의해 생기는 색순응의 영향을 산출한다. 색순응 산출부(4)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환경광 정보 취득부(3)가 감지한 환경광 정보에 기초하여 색순응의 영향을 산출해도 되고, 미리 정해진 기간에 있어서 환경광 정보 취득부(3)가 감지한 측정값을 평균화하여 색순응의 영향을 산출해도 된다. 색순응 산출부(4)의 처리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화상 출력부(5)는 화상 표시 장치(2)의 표시부(7)에 표시하는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해당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적색, 녹색, 청색의 3원색으로 구성되는 색 성분을 포함하고, 해당 색 성분으로 표현되는 색 공간을 갖는다. 색 공간은 색 성분이 취할 수 있는 값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색 공간 변환부(6)는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좁아지는 특정의 색 성분만에 대해 해당 영향이 캔슬되도록 화상 데이터의 색 공간을 변환함으로써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색 성분을 보정한다. 색 영역은 색 성분이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를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색 공간에 포함될 수 있는 개념이다. 색 공간 변환부(6)의 처리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상술한 각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할 경우,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화상 처리 장치(1) 또는 화상 표시 장치(2)가 내장한 기억부(메모리, HDD 또는 SSD 등)에 격납되어도 되고,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에 격납되어도 된다. 또한, 외부의 기억부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소위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할 경우, ASIC, FPGA 또는 DRP등 여러가지 회로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표시부(7)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액정 모니터 패널, 유기EL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및 기타 디스플레이로 구성된다. 표시부(7)는 색 공간 변환부(6)에 의해 보정된 색 성분으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 화상으로서 표시한다.
(2.3. 색순응 산출부(4)의 처리)
색순응 산출부(4)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나타내는 변환식 및 변환 행렬은 단순한 일례이며,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색순응 산출부(4)는 환경광 하에서의 색순응의 영향을 산출한다. 색순응의 영향의 산출식은 여러가지가 이미 알려져 있고, 일례로서 CIECAM02 모델에서는 이하의 산출식 (1) 및 (2)가 제시되어 있다.
Figure 112021054328010-pct00001
Figure 112021054328010-pct00002
식 (1)에서 L, M, S는 백색광 하에 있어서의 대상물의 LMS값이고 Lc, Mc, Sc는 환경광 하에서 사람에게 지각되는 대상물의 LMS값이다. 식 (2)에서, Lp, Mp, Sp는 백색광과 환경광의 LMS값의 비율이고 환경광의 영향을 받아 변화되는 양이다. D는 순응 인자라 불리고, 해당 환경에서의 사용자의 순응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며, 환경에 따라 0~1의 사이에서 적당히 설정된다.
식 (2)에서의 Mad는 색순응 변환 행렬이라 불리고, 환경광에 의한 색순응의 영향을 나타낸다. 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색광 하에서의 대상물의 LMS값에 대해, 색순응 변환 행렬을 연산함으로써, 환경광 하에서 사람에게 지각되는 대상물의 LMS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색순응 산출부(4)는 환경광 정보 취득부(3)로부터 연계된 환경광 정보(LMS값)에 기초하여 색순응 변환 행렬 Mad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색순응 변환 행렬 Mad를 색순응의 영향으로서 색 공간 변환부(6)에 연계한다.
(2.4. 색 공간 변환부(6)의 처리)
도 4A를 참조하여 색 공간 변환부(6)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 공간 변환부(6)는 보정 행렬 결정부(61)와, γ연산부(62)와, 보정 행렬 연산부(63)와, 표시 특성 보정부(64)를 구비한다.
보정 행렬 결정부(61)는 색순응 산출부(4)로부터 연계된 색순응의 영향으로서의 색순응 변환 행렬 Mad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의 특정의 색 성분만에 대해 환경광의 영향을 캔슬하기 위한 보정 행렬 Mam을 결정한다. 보정 행렬 결정부(61)의 처리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γ연산부(62)는 화상 출력부(5)로부터 연계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표시부(7)에 표시할 때의 계조 특성(γ커브)을 결정하고 γ보정을 실시한다. γ연산부(62)는 계조 특성이 결정된 화상 데이터를 보정 행렬 연산부(63)에 연계한다.
보정 행렬 연산부(63)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 보정 행렬 결정부(61)가 결정한 보정 행렬 Mam에 의한 연산 처리를 실시한다. 보정 행렬 연산부(63)는 보정 행렬 Mam에 의한 연산 처리가 실시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 특성 보정부(64)에 연계한다. 보정 행렬 연산부(63)의 처리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표시 특성 보정부(64)는 표시부(7)의 표시 특성에 맞춘 보정 처리를 실시한다. 표시 특성 보정부(64)는 표시 특성에 맞춘 보정 처리가 실시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 화상으로서 표시부(7)에 표시한다.
(2.5. 보정 행렬 결정부(61) 및 보정 행렬 연산부(63)의 처리)
도 4B~도 6B를 참조하여 보정 행렬 결정부(61) 및 보정 행렬 연산부(63)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환경광을 청색 계열 색광, 화상 데이터의 색 성분이 갖는 색 영역을 sRGB, 표시부(7)의 표시 특성으로서의 색 영역을 Adobe RGB(Adobe는 등록상표: 적색(X=0.640, Y=0.330), 녹색(X=0.210, Y=0.710), 청색(X=0.150, Y=0.060))로 한다.
스텝 S1에서, 보정 행렬 결정부(61)는 화상 데이터의 색 영역인 sRGB색 영역 G1에 대해 색순응 산출부(4)로부터 연계된 색순응 변환 행렬 Mad에 기초하여 식(3)~(5)로 나타내어지는 색 영역 변환을 실시하고 색 영역 G3을 구한다.
Figure 112021054328010-pct00003
Figure 112021054328010-pct00004
Figure 112021054328010-pct00005
식 (3)에서의 Mxl은 XYZ값을 LMS값으로 변환하는 변환 행렬이다. XYZ값은 색을 XYZ표 색계로 나타내기 위한 물리량이며, 색도도를 나타낼 때에 이용된다. 일례로서, CIECAM02 모델에서는, Mxl로서 이하의 변환 행렬이 제시되어 있다.
Figure 112021054328010-pct00006
식 (4)에서의 변환 행렬 Mad-1은 색순응 변환 행렬 Mad의 역행렬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색 영역 G1에 대해 색순응 변환 행렬 Mad의 역행렬을 연산함으로써, 청색 환경광 하에서 지각되는 색 영역이 G1로 되는 색 영역 G3을 구할 수 있다. 즉, 이하의 관계식 (7)이 성립한다.
Figure 112021054328010-pct00007
식 (5)에서의 Mlx는 LMS값을 XYZ값으로 변환하는 변환 행렬이다. 변환 행렬 Mlx는 변환 행렬 Mxl의 역행렬로서 구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스텝S1에서 구한 색 영역 G3의 색도도를 도 5A에 나타낸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 영역 G3은 색 영역 G1에 비해 적색 방향과 반대측으로 어긋나게 형성된다.
이어서, 스텝S2에서, 보정 행렬 결정부(61)는 색 영역 G3에 대해 색 영역 라운딩 처리를 실시한다. 도 5A의 영역D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 영역 G3은 표시부(7)에 표시 가능한 Adobe RGB의 색 영역 G4의 외측의 영역을 포함한다. 이 경우, 표시부(7)에 표시할 때에 색 성분의 정보가 정확하게 반영되지 않는다. 그래서, 색 영역 G4 내에 수습되도록 색 영역 G3에 대해 라운딩 처리를 실시한다. 따라서, 도 5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라운딩 처리 후의 색 영역 G3*을 구할 수 있다.
이어서, 스텝S3에서, 보정 행렬 결정부(61)는 보정 색 영역 G5를 결정한다. 도 6A의 영역 D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정 색 영역 G5의 녹색 성분은 스텝S2의 라운딩 처리로 구한 색 영역 G3*과 같은 값으로 한다. 한편, 영역 D2 및 D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정 색 영역 G5의 적색 성분 및 청색 성분은 색 영역 G1과 같은 값으로 한다. 이렇게 하여, 보정 색 영역 G5가 결정된다.
이어서, 스텝S4에서, 보정 행렬 결정부(61)는 보정 행렬 Mam을 결정한다. 보정 행렬 Mam은 표시부(7)의 표시 특성인 Adobe RGB의 색 영역 G4의 RGB값을 스텝S3에서 구한 보정 색 영역 G5의 RGB값으로 표시하도록 보정하기 위한 변환 행렬이다. 보정 행렬 Mam은 이하의 식 (8) 및 (9)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21054328010-pct00008
Figure 112021054328010-pct00009
식 (9)에서의 Mrx는 RGB값을 XYZ값으로 변환하는 변환 행렬이다. 변환 행렬 Mrx는 색 영역과 백색점을 결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일례로서, sRGB색 영역 G1에 대해 기준 색도 P를 백색점 D65로 했을 경우의 변환 행렬을 이하의 식 (10)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말하는 기준 색도는 색 공간의 변환의 전후에 있어서 기준으로 하는 색도이다. 바꾸어 말하면, 기준 색도는 보정 후의 백색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목표점을 말한다.
Figure 112021054328010-pct00010
식 (9)에서의 Mxr은 XYZ값을 RGB값으로 변환하는 변환 행렬이다. 변환 행렬 Mxr은 변환 행렬 Mrx의 역 행렬로서 구할 수 있다. 즉, 변환 행렬 Mxr에 대해서도, 색 영역과 기준 색도 P를 결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보정 행렬 결정부(61)는 표시부(7)의 표시 특성으로서의 색 영역 G4와, 스텝S3까지에서 구한 보정 색 영역 G5 및 기준 색도 P에 기초하여 식 (9)에서의 보정 행렬 Mam을 결정한다. 그리고, 보정 행렬 연산부(63)에 보정 행렬 Mam을 연계한다.
보정 행렬 연산부(63)에서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 보정 행렬 Mam에 의한 색 성분의 보정을 실시한다. 따라서, 표시부(7)에서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색 영역이 Adobe RGB의 색 영역 G4로부터 보정 색 영역 G5로 변환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보정 색 영역 G5에 대해 청색 환경광 하에서 지각되는 색 영역 G6에 의해 표시부(7)에 표시되는 화상을 지각한다.
도 6B에, 보정 색 영역 G5가 청색 환경광 하에서 지각되는 색 영역 G6을 나타낸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 영역 G6은 녹색 성분에 대해서는 색 영역 G1과 거의 같은 값으로 된다. 이것은 스텝S3에서 녹색 성분에 대해서는 색 영역 G1에 대해 색 영역 변환을 실시한 변환 후의 값과 거의 같은 값을 보정 색 영역 G5의 값으로 했기 때문이다(도 5A 및 도 5B의 영역D1 참조). 그 결과, 사용자의 청색 환경광 하에서의 화상 데이터의 녹색 계열 색 성분의 지각은 백색광 하에서의 지각에 근접하는 것으로 된다.
한편, 적색 성분에 대해서는, 색 영역 G6은 색 영역 G1이 청색 환경광 하에서 지각되는 색 영역 G2와 같은 값으로 된다. 이것은, 스텝S3에서 적색 성분에 대해서는 색 영역 G1과 같은 값을 보정 색 영역 G5로 했기 때문이다(도 6A의 영역 D2 참조). 그 결과, 사용자는 청색 환경광 하에서 화상 데이터의 적색 성분에 대해서는 백색광 하에서 보다 선명하게 지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이러한 화상 처리 시스템(10)에서는, 색순응에 의한 메리트를 누리면서, 특정의 색에 대해서만 색순응의 영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유색 환경광 하에서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2.7. 변형예1)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실시 형태1의 변형예1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환경광이 청색 계열 색광이었기 때문에, 색 공간 변환부(6)는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색 영역이 좁아지는 녹색 계열 색 성분에 대해 해당 영향을 캔슬하도록 색 영역의 변환을 실시했다. 이것에 대해, 변형예1에서는 환경광이 적색 계열 색광일 경우를 설명한다.
도 7A는 환경광이 적색 계열 색광일 경우의 sRGB색 영역 G1의 지각 색 영역 G2를 나타낸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 영역 G2는 색 영역 G1에 비하면, 녹색 방향으로 넓게 되어 있고, 적색 방향으로는 좁게 되어 있다. 한편, 청색 방향에 대해서는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그래서, 변형예1에서는, 색 공간 변환부(6)는 환경광에 의해 색 영역이 좁아지는 특정의 색 성분인 적색 계열 색만에 대해 색순응의 영향이 캔슬되도록 색 영역의 변환을 실시한다. 여기에서, sRGB색 영역 G1과 Adobe RGB의 색 영역 G4는 적색 및 청색의 색 영역이 동일하기 때문에, 변형예1에서는, Adobe RGB보다 넓은 색 영역을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다.
도 7B는 변형예1에서 보정 행렬 결정부(61)가 결정한 보정 색 영역 G5의 적색 환경광 하에서의 지각 색 영역 G6을 나타낸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경광이 적색 계열 색광일 경우에도,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색 영역이 좁아지는 적색 방향에 대해서는 그 영향을 캔슬하면서,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색 영역이 넓어지는 녹색 방향에 대해서는 보다 넓은 색 영역이 지각되는 것으로 된다.
(2.8. 변형예2)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실시 형태1의 변형예2에 대해 설명한다. 변형예1에 있어서는 환경광이 적색 계열 색광이었기 때문에,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색 영역이 좁아지는 적색 계열 색 성분에 대해 해당 영향을 캔슬되도록 색 영역의 변환을 실시했다. 이것에 대해, 변형예2에서는 환경광이 녹색 계열 색광일 경우를 설명한다.
도 8A는 환경광이 녹색 계열 색광일 경우에서의 sRGB색 영역 G1의 지각 색 영역 G2을 나타낸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 영역 G2은 색 영역 G1에 비하면, 녹색 방향 및 적색 방향으로 좁게 되어 있고, 핑크 방향으로 넓게 되어 있다. 한편, 청색 방향에 대해서는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그래서, 변형예2에서는, 색 공간 변환부(6)는 환경광에 의해 색 영역이 좁아지는 특정의 색 성분인 녹색 계열 색 및 적색 계열 색 중의 적어도 한 방향만에 대해 색순응의 영향이 캔슬되도록 색 영역의 변환을 실시한다. 여기에서, sRGB색 영역 G1과 Adobe RGB의 색 영역 G4는, 적색 및 청색의 색 영역이 동일하기 때문에, 변형예2에서는, Adobe RGB보다 넓은 색 영역을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다.
도 8B는 변형예2에서 보정 행렬 결정부(61)가 결정한 보정 색 영역 G5의 녹색 환경광 하에서의 지각 색 영역 G6을 나타낸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경광이 녹색 계열 색일 경우에도,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색 영역이 좁아지는 적색 방향 및 녹색 방향에 대해서는 그 영향을 캔슬되하면서,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색 영역이 넓어지는 핑크 방향에 대해서는, 보다 넓은 색 영역이 지각되는 것으로 된다.
(2.9. 변형예3)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실시 형태1의 변형예3에 대해 설명한다. 변형예3에서는, 기준 색도 P로서, 백색점 D65 이외의 색도를 설정한다. 이렇게 기준 색도 P가 설정됨으로써, 일부의 중간색(즉 색 영역 내부의 색도)에서의 색순응의 영향이 더 캔슬된다.
도 9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준 색도 P로서, 환경광(청색 계열 색광)의 영향에 있어서 백색으로 지각되는 색도 P1을 설정한다. 해당 색도 P1은 상술한 변환 행렬 Mad-1을 이용하여 이하의 식(11)~(13)로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21054328010-pct00011
Figure 112021054328010-pct00012
Figure 112021054328010-pct00013
이렇게 하여, 환경광의 영향에 있어서 백색으로 지각되는 색도 P1을 구할 수 있다. 이 색도 P1을 기준 색도 P로 설정하고, 식 (9)에서의 보정 행렬 Mam을 결정한다. 이렇게 하여 구해진 보정 행렬 Mam을 이용하여 색 영역 변환을 실시하면, 중간색에서의 색순응의 영향이 캔슬되도록 화상 데이터의 색 성분이 보정된다. 즉,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정 후의 백색점의 위치가 D65로부터 색도 P1로 이동하도록 기준 색도 P를 설정함으로써, 해당 기준 색도 P에 기초하여 중간색이 화살표 방향(즉, 색순응의 영향이 캔슬되는 방향)으로 전이하도록 보정된다.
또한, 도 9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준 색도 P로서, 상기 환경광의 영향에 의해 지각되는 색 영역이 넓어지는 색 성분에 속하는 색도 P2가 설정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환경광이 청색 계열 색광이기 때문에, 지각되는 색 영역이 넓어지는 색 성분은 적색이다.
색도 P2를 기준 색도 P로 설정함으로써, 도 9B의 화살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도 P2보다 적색 성분이 강한 중간색에 있어서의 색순응의 영향은 유지되면서, 색도 P2보다 적색 성분이 약한 일부의 중간색(이 경우에는 녹색 성분이 강한 중간색)에 있어서의 색순응의 영향이 캔슬되도록 화상 데이터의 색 성분이 보정된다.
색도 P2의 도출의 일례로서는, γ연산부(62)에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 백색광 하에서의 색도를 픽셀마다 취득하고, 해당 취득된 색도의 평균치를 색도 P2로 해도 되고, 다른 방법에 의해 임의로 설정해도 된다.
<3. 실시 형태2>
도 10을 참조하여 제2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20)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처리 시스템(20)은 환경광 정보 취득부(23)가 기억부(8)로부터 환경광 정보를 취득하는 점에서, 제1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환경광 정보는 기억부(8)에 미리 등록되어 있다. 환경광 정보 취득부(23)는 기억부(8)로부터 취득한 환경광 정보를 색순응 산출부(4)에 연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환경광 정보 취득부(33)로서 컬러 센서를 실장할 필요가 없고,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기억부(8)에 복수의 환경광 정보가 등록되고, 사용자가 복수의 환경광 정보 중으로부터 설정 화면에서 선택하는 것 같은 사양으로 해도 된다.
<4. 실시 형태3>
도 11을 참조하여 제3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처리 시스템(30)에서는, 화상 표시 장치(32)가 환경광 정보 취득부(33)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1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환경광 정보 취득부(33)는 화상 표시 장치(32)가 설치된 환경에서의 환경광 정보를 취득하고, 화상 처리 장치(31)가 구비하는 색순응 산출부에 연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부(7)에서의 환경광의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5. 실시 형태4>
도 12를 참조하여 제4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4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처리 장치(41)가 제공된다. 화상 처리 장치(41)는 환경광 정보 취득부(3)와, 색순응 산출부(4)와, 색 공간 변환부(6)를 구비한다. 색 공간 변환부(6)는 화상 출력 장치(45)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색 공간의 변환 처리를 실시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존의 화상 출력 장치(45) 및 화상 표시 장치(42)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6. 실시 형태5>
도 13을 참조하여 제5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52)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표시 장치(52)가 제공된다. 화상 표시 장치(52)는 컬러 센서가 실장된 환경광 정보 취득부(3)와, 색순응 산출부(4)와, 색 공간 변환부(6)와, 표시부(7)를 구비한다. 색 공간 변환부(6)는 화상 출력 장치(45)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색 공간의 변환 처리를 실시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표시부(7)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52)에 본 발명의 구성이 일체적으로 내장된 형태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52)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환경광 정보 취득부(3)가 기억부로부터 환경광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즉, 환경광 정보는 기억부에 미리 등록되어 있다. 환경광 정보 취득부(3)는 기억부로부터 취득한 환경광 정보를 색순응 산출부(4)에 연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환경광 정보 취득부(3)로서 컬러 센서를 구현할 필요가 없어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기억부에 복수의 환경광 정보가 등록되고 사용자가 복수의 환경광 정보 중으로부터 설정 화면에서 선택하는 사양으로 해도 된다.
<7. 기타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적용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식 (2)에서의 순응 인자D를 사용자가 변경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색 공간 변환에 의한 색 성분의 보정의 정도를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보정 행렬 결정부(61)는 도 4B의 스텝S2에서 Adobe RGB색 영역 내에 수습하기 위한 색 영역 라운딩 처리를 실시하고 있지만, 스텝S1에서의 색 영역 변환 후의 색 공간보다 넓은 색 영역을 표시 가능한 표시부를 이용함으로써, 색 영역 라운딩 처리S2를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상 처리 시스템(10)은 환경광 정보 취득부(3)와 색순응 산출부(4)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환경광에 기초하는 색순응의 영향이 미리 산출되어 있고, 색 공간 변환부(6)가 기억부에 기억된 색순응의 영향에 기초하여 색 공간의 변환 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색순응 산출부(4)는 색순응의 영향으로서 색순응 변환 행렬 Mad를 산출하고 있지만,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색순응 산출부(4)는 식 (2)에서의 Lp, Mp, Sp를 산출하고, 색순응의 영향으로서 색 공간 변환부(6)에 연계해도 된다.
또한, 색 공간 변환부(6)는 색 공간 내에서의 복수의 영역에 대해 다른 변환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 공간 변환부(6)는 색 공간 내에서의 복수의 영역에 대해, 다른 복수의 보정 행렬 Mam1~Mam7을 산출하여 해당 복수의 보정 행렬을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을 보정해도 된다. 여기에서, 복수의 보정 행렬에 대응하는 색 공간내서의 영역의 설정 방법은 임의이지만, 백색점 및 그 근방의 영역과 그 이외의 영역에서 다른 변환 행렬에서 변환하도록 설정해도 된다.
또한, 색 공간 변환부(6)는 보정 행렬 Mam을 산출하는 것이 아니고, 색 공간의 변환의 전후의 색도의 대응을 기억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을 보정해도 된다. 이 경우, 백색점 및 그 근방의 영역의 색도에 대해서는, 환경광 하에서 백색으로 보이도록(즉, 색순응의 영향이 캔슬되도록) 보정되고, 그 이외의 영역에서는 색순응의 영향이 유지되게 보정되도록 룩업 테이블을 설정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 화상 데이터의 색 성분으로 표현되는 색 공간을 변환하는 화상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화상 처리 방법은 색 공간 변환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색 공간 변환 스텝에서는, 환경광에 의해 생기는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넓어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유지되고 또한 상기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좁아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캔슬되도록 상기 색 공간을 변환함으로써 상기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색 성분을 보정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로서 실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러가지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은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해당 실시 형태는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해당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동시에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0, 20, 30: 화상 처리 시스템,
1, 21, 31, 41: 화상 처리 장치,
2, 32, 42: 화상 표시 장치,
3, 23, 33: 환경광 정보 취득부,
4: 색순응 산출부,
5: 화상 출력부,
6: 색 공간 변환부,
7: 표시부,
8: 기억부,
11: 영상 신호 케이블,
12: 제어 신호 케이블,
45: 화상 출력 장치,
61: 보정 행렬 결정부,
62: γ연산부,
63: 보정 행렬 연산부,
64: 표시 특성 보정부

Claims (18)

  1.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으로 표현되는 색 공간을 변환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으로서,
    색 공간 변환부와,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색 공간 변환부는, 환경광에 의해 생기는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넓어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유지되고 또한 상기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좁아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캔슬되도록, 상기 색 공간을 변환함으로써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을 보정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보정된 색 성분으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출력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환경광 정보 취득부와, 색순응 산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환경광 정보 취득부는 상기 환경광에 관한 정보를 환경광 정보로서 취득하고,
    상기 색순응 산출부는 취득된 상기 환경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광에 의해 생기는 색순응의 영향을 산출하고, 상기 색 공간 변환부에 출력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 성분이 적색, 녹색, 청색의 3원색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환경광은 청색 계열 색광이고, 상기 특정의 색 성분은 녹색 계열 색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 성분이 적색, 녹색, 청색의 3원색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환경광은 적색 계열 색광이며, 상기 특정의 색 성분은 적색 계열 색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 성분이 적색, 녹색, 청색의 3원색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환경광은 녹색 계열 색광이며, 상기 특정의 색 성분은 적색 계열 색 및/또는 녹색 계열 색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변환 후의 상기 색 공간보다 넓은 색 영역을 표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처리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 공간 변환부는, 변환 후의 상기 색 공간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 가능한 색 영역을 초과할 경우, 해당 색 영역 내에 수습되도록 해당 색 공간에 대해 라운딩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의 색 공간은 sRGB색 영역이며, 상기 표시부에 표시 가능한 색 공간은 적색(X=0.640, Y=0.330), 녹색(X=0.210, Y=0.710), 청색(X=0.150, Y=0.060)으로 규정되는 색 영역인, 화상 처리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 공간 변환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색 성분의 보정의 정도를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화상 처리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광의 색 성분을 환경광 정보로서 검지하는 컬러 센서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순응 산출부는 미리 정해진 기간에 있어서 컬러 센서가 감지한 상기 환경광의 정보를 평균화하여 상기 색순응의 영향을 산출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 공간 변환부는, 중간색에서의 상기 색순응의 영향이 더 캔슬되도록, 상기 색 공간의 변환에서 기준으로 되는 기준 색도를 설정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색도는 상기 환경광의 영향에 의해 백색으로 지각되는 색도인, 화상 처리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색도는 상기 환경광의 영향에 의해 지각되는 색 영역이 넓어지는 색 성분에 속하는 색도인, 화상 처리 시스템.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 공간 변환부는 상기 색 공간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영역에 대해 다른 변환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16.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으로 표현되는 색 공간을 변환하는 화상 처리 장치로서,
    색 공간 변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색 공간 변환부는, 환경광에 의해 생기는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넓어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좁아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캔슬되도록, 상기 색 공간을 변환함으로써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을 보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17.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으로 표현되는 색 공간을 변환하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색 공간 변환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색 공간 변환 스텝에서는, 환경광에 의해 생기는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넓어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좁아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캔슬되도록, 상기 색 공간을 변환함으로써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을 보정하는, 화상 처리 방법.
  18. 컴퓨터에,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으로 표현되는 색 공간을 변환하는 화상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화상 처리 방법은 색 공간 변환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색 공간 변환 스텝에서는, 환경광에 의해 생기는 색순응의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넓어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영향에 의해 사용자에게 지각되는 색 영역이 좁아지는 특정의 색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영향이 캔슬되도록, 상기 색 공간을 변환함으로써 상기 화상 데이터에서의 색 성분을 보정하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7014169A 2018-11-12 2019-11-07 화상 처리 시스템, 화상 처리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99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8/041871 2018-11-12
PCT/JP2018/041871 WO2020100200A1 (ja) 2018-11-12 2018-11-12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PCT/JP2019/043749 WO2020100724A1 (ja) 2018-11-12 2019-11-07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629A KR20210060629A (ko) 2021-05-26
KR102499549B1 true KR102499549B1 (ko) 2023-02-13

Family

ID=70730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169A KR102499549B1 (ko) 2018-11-12 2019-11-07 화상 처리 시스템, 화상 처리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80239B2 (ko)
EP (1) EP3859729A4 (ko)
JP (1) JP6926347B2 (ko)
KR (1) KR102499549B1 (ko)
CN (1) CN113016026B (ko)
WO (2) WO2020100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8621A1 (en) * 2019-07-26 2021-02-04 Ams International Ag Determining ambient light characteristics using a sensor behind a display
US11837140B2 (en) * 2020-04-17 2023-12-05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Chromatic ambient light correction
CN113744689B (zh) * 2020-05-29 2022-11-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屏色域校准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2365858B (zh) * 2020-12-10 2022-03-0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伽玛校正中目标色点捕获方法及伽玛校正系统
JP2022170407A (ja) * 2021-04-28 2022-11-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1017A (ja) * 2000-05-15 2002-02-08 Sharp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並びに画像表示方法
US20050212824A1 (en) * 2004-03-25 2005-09-29 Marcinkiewicz Walter M Dynamic display control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
JP4151643B2 (ja) 2004-11-16 2008-09-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色変換行列作成装置、色変換行列作成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4250863B2 (ja) 2000-11-08 2009-04-08 ソニー株式会社 色補正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20140063039A1 (en) * 2012-08-30 2014-03-06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djusting color gamut in response to ambient conditions
US20170280029A1 (en) 2016-03-23 2017-09-28 Karl Storz Imaging, Inc. Image transformation and display for fluorescent and visible imaging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5265B2 (ja) * 1998-07-24 2002-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3692989B2 (ja) * 2000-11-13 2005-09-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US6947079B2 (en) * 2000-12-22 2005-09-20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having verification display with reverse white balanced viewer adaptation compensation and method
US6762741B2 (en) * 2000-12-22 2004-07-1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atic brightn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display device using a logarithmic sensor
JP3841151B2 (ja) * 2001-06-28 2006-11-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7184057B2 (en) * 2002-06-24 2007-02-27 Microsoft Corpoar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lor management
US7397485B2 (en) * 2002-12-16 2008-07-08 Eastman Kodak Company Color OLED display system having improved performance
US7259769B2 (en) * 2003-09-29 2007-08-21 Intel Corporation Dynamic backlight and image adjustment using gamma correction
KR100553938B1 (ko) * 2003-12-15 2006-02-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색보정방법 및 장치
US20060082844A1 (en) * 2004-10-14 2006-04-20 White Don M Process color with interference pigments
US7404645B2 (en) * 2005-06-20 2008-07-29 Digital Display Innovations, Llc Image and light source modulation for a digital display system
JP2007081586A (ja) * 2005-09-12 2007-03-29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と、そ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080303918A1 (en) * 2007-06-11 2008-12-11 Micron Technology, Inc. Color correcting for ambient light
KR100916484B1 (ko) * 2007-08-14 2009-09-08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 화이트 밸런스 방법
JP4950846B2 (ja) * 2007-11-02 2012-06-13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画像表示装置及び色変換装置
US7595786B2 (en) * 2007-11-13 2009-09-29 Capella Microsystems, Corp. Illumination system and illumination control method for adaptively adjusting color temperature
US20090237423A1 (en) * 2008-03-20 2009-09-24 Capella Microsystems, Corp. Display apparatus of adjusting gamma and brightness based on ambient light and its display adjustment method
US20100225673A1 (en) * 2009-03-04 2010-09-09 Miller Michael E Four-channel display power reduction with desaturation
KR101786161B1 (ko) * 2009-09-01 2017-11-06 엔터테인먼트 익스페리언스 엘엘씨 컬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미징 장치
US8730218B2 (en) * 2010-02-12 2014-05-20 Blackberry Limited Ambient light-compensated reflective display devic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9251761B2 (en) * 2011-01-13 2016-02-02 Sharp Kabushiki Kaisha Gray-scale correction method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display device
TW201319677A (zh) * 2011-11-02 2013-05-16 Hon Hai Prec Ind Co Ltd 具有光補償模組的反射型顯示裝置
KR101965723B1 (ko) * 2012-08-13 2019-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데이터 처리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4093020A1 (en) * 2012-12-12 2014-06-1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ynamic adaptive illumination control for field sequential color mode transitions
US20140160137A1 (en) * 2012-12-12 2014-06-1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Field-sequential color mode transitions
US10073283B2 (en) * 2013-03-14 2018-09-11 Global Ophthalmic Consultants, Llc Ophthalmic eyewear for viewing electronic displays
JP6122716B2 (ja) * 2013-07-11 2017-04-26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
US10271054B2 (en) * 2014-02-25 2019-04-23 Apple, Inc. Display-side adaptive video processing
US10410590B2 (en) * 2015-06-26 2019-09-10 Intel Corporation Facilitating chromatic adaptation of display contents at computing devices based on chromatic monitoring of environmental light
CN105096910B (zh) * 2015-07-09 2018-02-16 西安诺瓦电子科技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
KR102608822B1 (ko) * 2015-10-26 202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 컴포넌트의 동적 범위를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DE102016123195A1 (de) * 2015-12-15 2017-06-22 Canon Kabushiki Kaisha Bildanzeigevorrichtung und umwandlungsinformationserzeugungsverfahren
US10306729B2 (en) * 2016-04-19 2019-05-28 Apple Inc. Display with ambient-adaptive backlight color
US10319268B2 (en) * 2016-06-24 2019-06-11 Nanosys, Inc. Ambient light color compensating device
WO2018076375A1 (zh) * 2016-10-31 2018-05-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色温调节方法、装置以及图形用户界面
US20180204524A1 (en) * 2017-01-19 2018-07-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rolling brightness of an emissive display
US11158032B2 (en) * 2017-03-20 2021-10-26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Perceptually preserving scene-referred contrasts and chromaticities
US11037526B2 (en) * 2017-04-24 2021-06-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mbient light color compensation
US11974374B2 (en) * 2017-08-02 2024-04-30 Reopia Op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tarding myopia progression
US10785384B2 (en) * 2017-09-27 2020-09-22 Apple Inc. Submersible electronic devices with imaging capabilities
CN113228156A (zh) * 2018-10-17 2021-08-06 康宁股份有限公司 用于实现降低的显示设备能耗的方法及具有降低的显示设备能耗的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1017A (ja) * 2000-05-15 2002-02-08 Sharp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並びに画像表示方法
JP4250863B2 (ja) 2000-11-08 2009-04-08 ソニー株式会社 色補正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20050212824A1 (en) * 2004-03-25 2005-09-29 Marcinkiewicz Walter M Dynamic display control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
JP4151643B2 (ja) 2004-11-16 2008-09-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色変換行列作成装置、色変換行列作成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装置
US20140063039A1 (en) * 2012-08-30 2014-03-06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djusting color gamut in response to ambient conditions
US20170280029A1 (en) 2016-03-23 2017-09-28 Karl Storz Imaging, Inc. Image transformation and display for fluorescent and visible im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16026B (zh) 2023-07-25
JPWO2020100724A1 (ja) 2021-09-02
US20210398471A1 (en) 2021-12-23
CN113016026A (zh) 2021-06-22
JP6926347B2 (ja) 2021-08-25
US11380239B2 (en) 2022-07-05
WO2020100200A1 (ja) 2020-05-22
EP3859729A1 (en) 2021-08-04
KR20210060629A (ko) 2021-05-26
EP3859729A4 (en) 2022-08-03
WO2020100724A1 (ja)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549B1 (ko) 화상 처리 시스템, 화상 처리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122716B2 (ja) 画像処理装置
KR1013483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 변환 방법 및 장치
WO2002076106A1 (fr) Systeme d&#39;affichage d&#39;images adaptatif a tout environnement, support de memorisation d&#39;informations et procede de traitement d&#39;images
JP5460805B1 (ja) 画像表示装置
KR102496558B1 (ko) 색역 제어 장치 및 방법, 색역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52057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表示判定方法
JP201506626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CN107705767B (zh) 显示装置及色彩校正方法
KR102184917B1 (ko) 신호 생성 장치, 신호 생성 프로그램, 신호 생성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JP5305490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
JP5591286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測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7220889A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表示装置
KR102453070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
JP5939765B2 (ja) 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その制御方法、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661075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表示判定方法
JP6610757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表示判定方法
JP661075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表示判定方法
JP661075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表示判定方法
KR101122615B1 (ko) 색상 보정 장치 및 색상 보정 방법
JP4860514B2 (ja) 7軸色補正装置及び方法
JP5203344B2 (ja) 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制御装置に用いられる表示制御装置、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1212150A (ja) 内視鏡プロセッサおよび内視鏡ユニット
KR20110137668A (ko) 색재현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JP2016092506A (ja) 画像調整装置、画像調整方法及び画像調整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