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534B1 -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534B1
KR102499534B1 KR1020210078583A KR20210078583A KR102499534B1 KR 102499534 B1 KR102499534 B1 KR 102499534B1 KR 1020210078583 A KR1020210078583 A KR 1020210078583A KR 20210078583 A KR20210078583 A KR 20210078583A KR 102499534 B1 KR102499534 B1 KR 102499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basin
disabled
bathroom
fix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726A (ko
Inventor
고영준
김기원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8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53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E03C1/32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connected to the wall only
    • E03C1/324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connected to the wall only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90Basins movable between several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기를 좌변기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좌변기에 착석한 상태에서도 세면기 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애인의 세면기 사용에 대한 편의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전을 포함하는 세면기; 상기 세면기의 하방에 설치된 지지대; 및 상기 세면기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대에 축 결합되어 상기 세면기를 세면기 일측의 좌변기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바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바는 내부에 급수관 및 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세면기는 상기 회전바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축 결합되고, 상기 세면기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안전바가 설치되되, 상기 안전바는 상,하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화장실의 벽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승강장치에는 상기 세면기의 하중을 받칠 수 있는 고정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도 상기 승강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대는 상기 세면기의 외주면 일부에 대응되는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에는 탄성지지된 고정볼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볼에 대응되는 세면기의 측면에는 고정볼이 삽입되어 세면기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은 세면기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단차진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세면기와 고정대 사이에는 완충패드가 설치되어 세면기와 고정대간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A washbasin in the toilet for the disabled}
본 발명은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의 세면기 사용을 위한 동선을 최소화하여 세면기 사용에 대한 편의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 노약자나 장애인 등은 활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이는 욕실이나 화장실에서 세면할 경우나 용변을 볼 경우에 관절 및 근육부위 등에 많은 힘이 가해지므로 혼자 사용하는 욕실이나 화장실 내에서 신체를 균형있게 지지하지 못하여 미끄러지거나,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여 애로를 겪는 등 다수의 불편이 있어 왔으며, 나아가 노약자나 장애인 등이 욕실이나 화장실 내에서 안전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노약자 및 장애인의 화장실 사용에 대한 안전성 및 편의성을 위해, 공공장소 및 사회복지시설 등의 화장실은 노약자 및 장애인 전용 화장실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장애인용 화장실의 내부 공간은 휠체어 사용이 가능하도록 일반 화장실의 내부 공간에 비해 크게 제공되며, 화장실 사용에 대한 노약자 및 장애인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안전바가 좌변기 또는 세면대 양측에 설치된다.
이하, 노약자 및 장애인 전용 화장실에 대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약자 및 장애인 전용 화장실은 출입구(10)와, 세면기(20)와, 좌변기(30)를 포함한다. 좌변기(30)와 세면기(20)는 화장실의 벽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는데, 좌변기(30)와 세면기(20)의 배치 구조는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장애인용 화장실은 좌변기(30)와 세면기(20) 앞 공간이 비교적 넓게 제공되어 휠체어 이동이 비교적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노약자 또는 장애인이 화장실 사용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여 좌변기(30)에 옮겨 착석하였다가, 용변 후 다시 휠체어에 착석한 후, 세면기(20)로 이동한다. 이후, 세면기(20) 사용을 마친 사용자는 출입구(10)를 통해 빠져나옴으로써 화장실 사용이 완료된다.
한편, 종래의 노약자 및 장애인 전용 화장실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가 용변후 세면기(20)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기(20)와 좌변기(30)의 배치 구조는 사용자가 좌변기(30) 사용 후 세면기(20)를 사용하기 위한 동선(動線)이 불편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장애인용 화장실은 사용자의 세면기 사용에 대한 편의성이 떨어지고, 사용자가 좌변기 사용후 세면기 사용과정에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297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좌변기를 향해 세면기가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노약자 및 장애인의 용변후 세면기 사용을 위한 동선을 줄여 세면기 사용을 위한 편의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전을 포함하는 세면기; 상기 세면기의 하방에 설치된 지지대; 및 상기 세면기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대에 축 결합되어 상기 세면기를 세면기 일측의 좌변기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바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바는 내부에 급수관 및 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세면기는 상기 회전바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축 결합되고, 상기 세면기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안전바가 설치되되, 상기 안전바는 상,하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화장실의 벽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승강장치에는 상기 세면기의 하중을 받칠 수 있는 고정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도 상기 승강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대는 상기 세면기의 외주면 일부에 대응되는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에는 탄성지지된 고정볼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볼에 대응되는 세면기의 측면에는 고정볼이 삽입되어 세면기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은 세면기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단차진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세면기와 고정대 사이에는 완충패드가 설치되어 세면기와 고정대간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때, 상기 승강 장치는, 화장실의 벽에 고정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 구동판; 상기 구동판과 상기 고정판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판의 승강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며 평기어를 포함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평기어에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구동판에 설치된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는 수전이 설치된 세면기가 좌변기를 향해 근접하게 회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좌변기에 착석한 상태에서 세면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세면기 사용을 위한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세면기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회전바를 통해 세면기의 회전 반경을 늘릴 수 있으므로, 좌변기와 세면대간 거리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좌변기의 설치 방향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면기의 높이조절을 위한 승강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세면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관계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면기와 고정대 사이에 세면기의 회동을 구속할 수 있는 구속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세면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장애인용 화장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에서 세면기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에 있어서, 구속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에 있어서, 세면기의 승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가 설치된 화장실을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으로써, 세면기 사용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는 세면기가 일측의 좌변기를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하여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용변후 세면기 사용에 대한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였으며, 세면기 높이 조절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하였다.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기(100)와, 지지대(200)와, 회전바(300)와, 안전바(400)와, 고정대(500)를 포함한다.
세면기(100)는 손을 씻거나 얼굴을 씻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수전(110)을 포함한다. 세면기(100)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회전바(300)에 축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지지대(200)는 세면기(100)의 회동을 위해 회전바(300)가 설치되는 구성이며, 후술하는 승강장치에 고정된다. 지지대(200)는 세면기(100)가 회전바(300)를 통해 바닥에 대하여 수평 회전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회전바(300)는 지지대(200)를 중심으로 세면기(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세면기(100)와 지지대(200) 사이에 설치된다. 회전바(300)는 외팔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회전바(300)의 양단부는 지지대(200) 및 세면기(100)와 축 결합된다. 이에 따라, 세면기(100)는 회전바(300)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바(300)의 타단부는 지지대(20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세면기(100)는 회전바(300)에 연동되어 반경이 크게 회전될 수 있고 회전바(300)상에서 반경이 작게 회전될 수 있다. 회전바(300)는 직선이기 보다는 상방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바(300)의 내부에는 세면기(100)의 수전(110)에 연결된 급수관(미도시)과, 세면기(100)의 배수구에 연결된 배수관(미도시)이 설치되며, 급수관 및 배수관은 지지대(200)를 통해 설치된다.
안전바(400)는 사용자(장애인, 노약자)의 안전 및 편의를 위해 제공되며, 세면기(100)의 양측에 설치된다. 안전바(400)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직선의 바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바(400)는 상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는 세면기(100) 회전시 안전바(400)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안전바(400)에는 안전바(400)가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구속하는 스토퍼(410)가 형성되며, 스토퍼(410)는 안전바(400)의 회동을 위한 회동브라켓(420)에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된다.
고정대(500)는 세면기(100)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화장실의 벽체 또는 후술하는 승강장치에 설치된다. 세면기(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바(300)의 일단부에 축 결합되어 있으므로, 고정대(500)는 세면기(100)를 원위치에서 세면기(100)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이다. 고정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기(100)의 외주면 일부에 대응되는 수용홈(510)을 형성한다. 즉, 세면기(100)가 고정대(500)의 수용홈(510)에 위치되는 순간 세면기(100)는 수용홈(510)에서 회전이 구속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용홈(510)은 단차진 단턱(520)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단턱(520)은 세면기(100)의 저면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세면기(10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회전바(300)와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대(500)와 세면기(100) 사이에는 세면기(100)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600)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성상 세면기(100)가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면기(100)가 고정대(500)에 원위치되었을 때에는 세면기(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위치상에서의 세면기(100) 사용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물론, 세면기(100)가 수용홈(510)에 위치되기 때문에, 세면기(100)의 회전은 구속되지만, 지지대(200)를 중심으로 한 회전바(300)의 회전으로 인해 수용홈(510)으로부터 세면기(100)가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에, 구속수단(600)은 세면기(100)가 수용홈(51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구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속수단(6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500)로부터 수용홈(510)을 향해 돌출되되 고정대(500)의 내부에서 탄성지지된 고정볼(610) 및 스프링(620)과, 세면기(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고정홈(63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세면기(100)는 수용홈에 출입할 때 스프링(620)을 신축시키면서 고정볼(610)을 밀어내거나 원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고정대(500)에서의 세면기(100) 구속 및 해제 작용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세면기(100)는 승강장치(700)를 통해 바닥으로부터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승강장치(700)는 화장실의 일측 벽에 설치된다. 승강장치(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710)과, 구동판(720)과, 가이드수단(730)과, 구동모터(740)와, 랙기어(750)를 포함한다,
고정판(710)은 화장실의 벽에 고정되며, 구동판(720)의 승강을 위해 기준이 되는 구성이다. 구동판(720)은 구동모터(740)의 동력에 의해 고정판(710)을 기준으로 승강되며, 세면기(100) 및 지지대(200)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가이드수단(730)은 고정판(710)에 구동판(720)을 결합시켜주는 매개수단이며, 구동판(720) 승강시 승강경로를 가이드해주는 구성이다. 가이드수단(730)은 고정판(710)의 상,하부에 설치된 가이드바(731)와, 구동판(720)에 설치된 승강봉(732)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740)는 구동판(720)을 승강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며, 고정판(710)에 설치된다. 이때, 구동모터(740)에는 평기어(741)가 축 결합된다. 또한, 구동모터(740)는 고정판(710)의 양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평기어(741)는 구동모터(740)의 동력에 의해 정,역 회전될 수 있다. 랙기어(750)는 구동판(720)의 양측면에 설치되며, 구동모터(740)의 평기어(741)에 맞물린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구동판(720)은 구동모터(740)의 정,역 회전에 의해 평기어가 랙기어를 승강시킴에 따라 구동판 역시 승강작용을 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 사용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화장실 사용자는 휠체어를 탄 장애인을 예로 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휠체어를 타고 화장실에 들어가고, 휠체어에서 좌변기(30)로 옮겨 착석한다. 이후, 사용자는 용변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기(100)를 당겨 사용자 앞으로 위치시킨다. 이때, 좌변기(30)에서 사용자의 팔이 세면기(100)에 닿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휠체어를 타고 화장실 안으로 진입하면서 세면기(100)를 고정대(500)로부터 빼내어 좌변기(30) 주변에 위치시켜 놓을 수도 있다.
한편, 세면기(100)는 회전바(300)에 의해 지지대(20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사용자 앞에 위치된다. 이때, 구속수단(600)의 고정볼(610)은 스프링(620)이 수축되면서 세면기(100)의 고정홈(630)으로부터 유연하게 빠짐에 따라 세면기(100) 움직임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세면기(100)는 회전바(300)상에서도 회전되기 때문에 세면기(100)의 방향 및 위치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수전(110)을 틀어 손을 씻고, 휠체어에 옮겨 탄다. 이후, 사용자는 세면기(100)를 밀어 고정대(500)에 원위치시키면서 출입구(10) 밖으로 빠져나옴으로써 화장실 사용이 완료된다. 이때, 세면기(100)는 고정대(500)의 수용홈(510)에 위치되는 과정에서, 세면기(100)의 양측면은 구속수단(600)의 고정볼(610)을 간섭하며, 고정볼(610)은 스프링(620)의 신축작용에 의해 밀려났다가 고정홈(630)에 삽입됨으로써 세면기(100)는 고정대(200)에 안전하게 원위치된다. 이때,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기(100)와 고정대(200) 사이에는 완충패드(P)가 설치되어 고정대(200)와 세면기(100)간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구동모터(740)를 작동하여 세면기(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구동모터(740)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모터(740)를 작동시키면 평기어(741)는 랙기어(750)를 승강시킨다. 이때, 구동판(720)은 가이드수단(730)을 통해 가이드되면서 승강됨에 따라 사용자는 구동판(720)에 설치된 세면기(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는 세면기(100)를 회전하여 좌변기(30)측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장애인이 좌변기 시용후 세면기(100) 사용을 위한 동선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장애인의 세면기 사용에 대한 편의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세면기 110 : 수전
200 : 지지대 300 : 회전바
400 : 안전바 410 : 스토퍼
420 : 회동브라켓 500 : 고정대
510 : 수용홈 520 : 단턱
600 : 구속수단 610 : 고정볼
620 : 스프링 630 : 고정홈
700 : 승강장치 710 : 고정판
720 : 구동판 730 : 가이드수단
731 : 가이드바 732 : 승강봉
740 : 구동모터 741 : 평기어
750 : 랙기어

Claims (7)

  1. 수전을 포함하는 세면기;
    상기 세면기의 하방에 설치된 지지대; 및
    상기 세면기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대에 축 결합되어 상기 세면기를 세면기 일측의 좌변기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바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바는 내부에 급수관 및 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세면기는 상기 회전바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축 결합되고,
    상기 세면기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안전바가 설치되되, 상기 안전바는 상,하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화장실의 벽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승강장치에는 상기 세면기의 하중을 받칠 수 있는 고정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도 상기 승강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대는 상기 세면기의 외주면 일부에 대응되는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에는 탄성지지된 고정볼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볼에 대응되는 세면기의 측면에는 고정볼이 삽입되어 세면기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은 세면기의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단차진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세면기와 고정대 사이에는 완충패드가 설치되어 세면기와 고정대간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화장실의 벽에 고정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 구동판;
    상기 구동판과 상기 고정판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판의 승강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며 평기어를 포함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평기어에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구동판에 설치된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
  7. 삭제
KR1020210078583A 2021-06-17 2021-06-17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 KR102499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583A KR102499534B1 (ko) 2021-06-17 2021-06-17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583A KR102499534B1 (ko) 2021-06-17 2021-06-17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726A KR20220168726A (ko) 2022-12-26
KR102499534B1 true KR102499534B1 (ko) 2023-02-13

Family

ID=8454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583A KR102499534B1 (ko) 2021-06-17 2021-06-17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5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807Y1 (ko) * 2012-05-25 2012-10-02 홍순진 설치가 용이한 세면대 높낮이 조절장치
KR101198009B1 (ko) * 2012-06-19 2012-11-06 박덕영 장애인용 화장실 안전장치
KR200482988Y1 (ko) * 2016-05-20 2017-03-24 김문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세면장치
CN212897784U (zh) * 2020-06-24 2021-04-06 深圳市佰邦建筑设计顾问有限公司 一种压缩卫浴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352A (ko) * 2001-06-19 2002-12-31 김정근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세면기
KR101082970B1 (ko) 2010-04-22 2011-11-11 심규현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KR101725458B1 (ko) * 2015-06-22 2017-04-11 양윤석 접이식 세정 장치
KR20200065424A (ko) * 2018-11-30 2020-06-09 이재혁 보울 회전기능을 갖는 스마트 세면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807Y1 (ko) * 2012-05-25 2012-10-02 홍순진 설치가 용이한 세면대 높낮이 조절장치
KR101198009B1 (ko) * 2012-06-19 2012-11-06 박덕영 장애인용 화장실 안전장치
KR200482988Y1 (ko) * 2016-05-20 2017-03-24 김문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세면장치
CN212897784U (zh) * 2020-06-24 2021-04-06 深圳市佰邦建筑设计顾问有限公司 一种压缩卫浴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726A (ko) 202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6264B2 (ja) 移送装置
JP4166763B2 (ja) 開閉式浴槽
JPH04221562A (ja) 浴槽
US11622654B2 (en) Rotating shower chair
KR102499534B1 (ko)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
KR101588698B1 (ko) 전동식 샤워 트롤리
JP7053016B2 (ja) 入浴補助装置
JP5511247B2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KR102499535B1 (ko)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
JP5102059B2 (ja) 入浴用リフト装置
JP7305145B2 (ja) 入浴装置
JP5823886B2 (ja) 浴槽及び開閉式浴槽
JP7488000B2 (ja) 移送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入浴介助システム
EP0556237B1 (en) Sanitary seat
JP3726913B1 (ja) 入浴介助装置
JPS58218963A (ja) 身体障害者用浴槽
JP2002065802A (ja) 浴槽、及び入浴装置
JPH1147041A (ja) 昇降手摺り装置
JP6962238B2 (ja) 入浴介助装置
JP7170572B2 (ja) 補助装置及びトイレ
JP7461657B2 (ja) 傾倒防止具
JP5793826B2 (ja) 入浴装置
KR20060130873A (ko)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JP2627859B2 (ja) 浴槽装置
JP2006204689A (ja) 回動式入浴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