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0873A -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 Google Patents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0873A
KR20060130873A KR1020050049161A KR20050049161A KR20060130873A KR 20060130873 A KR20060130873 A KR 20060130873A KR 1020050049161 A KR1020050049161 A KR 1020050049161A KR 20050049161 A KR20050049161 A KR 20050049161A KR 20060130873 A KR20060130873 A KR 20060130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over
disabled
elderly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5067B1 (ko
Inventor
최낙영
최선영
Original Assignee
최낙영
최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낙영, 최선영 filed Critical 최낙영
Priority to KR1020050049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067B1/ko
Publication of KR20060130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2Wall mounted grab bars or handles, with or without support on the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4Bowls of flat shape with only slightly inclined bottom ; Squat-type clo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2017/006Defecation help for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약자 및 장애인이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변기몸체와, 상기 변기몸체의 상부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변기커버를 갖는 좌변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는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이 불편한 신체를 180°회전할 필요없이 들어온 자세 그대로 다리를 약간 벌린 상태에서 앉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는 신체가 미약한 노약자는 물론 휠체어 사용자와 같은 하체 장애인에 이르기까지 용변시 변기에 앉기 위해 불편한 신체를 이끌고 180°회전해야 하는 수고로움과 불편함을 제거하는 동시에 소변이 외부로 노출되는 위생상의 문제해결, 그리고 배변의 완료시 부담스러운 용변처리문제 역시 노약자 및 장애인 스스로가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노약자, 장애인, 화장실, 좌변기, 변기커버, 휠체어커버.

Description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THE COMMODE OF TOILET FOR THE OLD AND THE WEAK AND THE HANDICAPP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커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내지 도 2c는 도 1의 변기커버의 평면도, 측면도, 저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개폐수단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커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a내지 도 5d는 도 4의 휠체어커버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휠체어커버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지지대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커버 및 휠체어커버를 종래의 변기몸체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좌변기, 110; 변기몸체,
130; 변기커버, 130a; 개구부,
130b; 좌대부, 150; 프레임,
170; 고정볼트, 190; 고정볼트구멍,
210; 가이드레일, 230; 소변커버,
250; 세척부, 270; 개폐수단,
290; 연결볼트, 310; 연결볼트구멍,
330; 높낮이조절 볼트구멍, 400; 휠체어커버,
410; 전단부, 430; 경사부,
450; 받침부, 450a; 쿠션재,
470; 결합부, 500; 연결지지대,
600; 고정부재, 700; 지지대.
본 발명은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에 힘이 없는 노약자나 휠체어 사용자와 같은 하체 장애인에 이르기까지 용변시 변기에 앉기 위해 불편한 신체를 이끌고 180°회전해야 하는 수고로움과 불편함을 제거하는 동시에 소변이 외부로 노출되는 위생상의 문제해결, 그리고 배변의 완료시 부담스러운 용변처리문제 역시 노약자 및 장애인 스스로가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장소나 관공서 등에 설치된 화장실에는 노약자 및 장애인이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애인 전용 좌변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장애인 전용 좌변기가 설치된 화장실의 내부는 장애인의 편리한 사용을 위해 상대적으로 일반인이 사용하는 화장실의 내부에 비하여 그 공간이 크고 넓게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며, 이와 함께 상기 좌변기의 양측 또는 일측에 장애인이 손으로 잡고서 몸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또는 장애인은 출입문으로 들어간 후, 상기 지지대를 붙잡거나 제3자의 도움으로 몸을 일으켜 세우고, 거기에 더하여 불편한 몸을 거의 180°가까이 회전하고 나서야 상기 좌변기에 앉을 수 있게 된다.(특히, 휠체어 사용자와 같은 하체 장애인이나 다리에 힘이 없는 노약자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손으로만 상기 지지대를 붙잡아 몸 전체의 하중을 견딘다는 것이 매우 힘들고 어려운 일임은 주지의 사실이고, 거기에 더하여 상기 좌변기에 앉기 위해 몸을 회전시켜야 하는 일은 노약자 및 장애인은 물론 이들을 보조하는 제3자의 입장에서도 매우 곤혹스럽고도 힘든 일이었다.
또한, 상기 심신이 미약한 노약자나 하체 장애인이 용변을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스스로 처리하기는 거의 불가능하여 대부분 제3자의 도움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제3자를 통한 용변처리방식은 상기 노약자나 장애인의 국부 및 용변 상황을 제3자에게 필연적으로 노출시켜야 하므로 노약자나 장애인에게 커다란 수치심을 유발시키는 동시에 제3자에게는 불쾌감을 유발시키기에 충분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장애인용 절첩식 지지대를 갖는 변기(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175258호), 노약자 및 하체 장애인용 좌변기(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32669호), 장애인용 좌변기(국내 공개특허 제10-2002-0046940호), 신체 장애인용 가동식 손잡이 고정장치(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80467호), 장애인용 좌변기(국내 공개특허 제10-2004-0093351호) 등의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장애인용 절첩식 지지대를 갖는 변기(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175258호), 노약자 및 하체 장애인용 좌변기(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32669호), 신체 장애인용 가동식 손잡이 고정장치(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80467호)는 종래의 좌변기에 지지대, 손잡이, 받침편과 같은 지지수단만을 부가한 것에 불과하여 여전히 상술한 문제점을 지니며,
상기 장애인용 좌변기(국내 공개특허 제10-2002-0046940호)와 장애인용 좌변기(국내 공개특허 제10-2004-0093351호)는 공히 강제적인 구동부를 부설하여 장애인이 자신의 손과 팔을 이용하여 용변처리를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상기 좌변기에 앉기 위해서는 장애인 스스로 또는 보조하는 제3자의 도움에 힘입어 상술한 바와 같이 힘들고 불편하게 몸을 회전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지니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이 불편한 신체를 이끌고 180°회전하여 상기 좌변기에 앉을 필요없이 들어온 자세 그대로 다리만을 약간 벌린 상태에서 앉을 수 있도록 개선된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변기몸체에 변기커버만을 떼어내고 본 변기커버를 부착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도록 하여 설치비용과 제작, 보수, 유지비용을 감소시키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약자 및 장애인의 배뇨시 쉽게 상기 변기커버의 외부로 노출, 방뇨되는 소변을 차단하여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의 옷에 소변이 묻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화장실의 청결상태를 유지하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조하는 제3자에게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의 국부 및 용변상황을 노출시키지 않고 스스로 용변처리를 할 수 있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좌변기 양측 또는 일측에 설치된 지지대와 더불어 휠체어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상기 변기커버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약자 및 장애인이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변기몸체와, 상기 변기몸체의 상부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변기커버를 갖는 좌변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는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이 불편한 신체를 180°회전할 필요없이 들어온 자세 그대로 다리를 약간 벌린 상태에서 앉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인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기커버는 중앙의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감싸며 엉덩이를 받치는 좌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대부의 저부에는 상기 변기몸체의 프레임과 고정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기커버의 좌대부의 내측에는 상기 변기커버의 전·후 수평이동을 가능케 하도록 상기 고정볼트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일정길이의 가이드레일이 더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기커버의 개구부의 전단에는 소변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소변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변기커버의 개구부 후단에는 용변을 마친 후 용변처리를 위해 손을 엉덩이 후방으로 넣어 휴지를 사용할 수 있는 세척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더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부의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좌대부의 내주에 힌지결합되는 올림커버나 상기 좌대부의 내측으 로 슬라이딩결합되는 미닫이도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변기커버의 좌대부 후단에는 휠체어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상기 변기커버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휠체어커버의 전단과 연결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볼트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휠체어커버는 상기 변기커버의 좌대부 후단과 상기 연결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높낮이조절 볼트구멍을 갖는 전단부와, 상기 전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전단부 방향으로 일정한 하향경사를 갖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일단에 연접되고 상부에 쿠션재가 구비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화장실 바닥면에 고정·지지되는 연결지지대와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휠체어커버의 받침부의 후단에는 휠체어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커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내지 도 2c는 도 1의 변기커버의 평면도, 측면도, 저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개폐수단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커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a내지 도 5d는 도 4의 휠체어커버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휠체어커버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지지대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커버 및 휠체어커버를 종래의 변기몸체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커버(130)는 도 1 및 도 2a,b,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의 개구부(130a)와 상기 개구부(130a)를 감싸며 엉덩이를 받치는 좌대부(130b)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대부(130b)는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의 불편한 신체를 편안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에 비해 후방이 약간 비스듬하게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은 자신의 불편한 신체를 180°회전하는 불편함과 수고스러움을 겪지 않고 출입문을 통해 들어온 자세 그대로 약 간 다리를 벌려 상기 변기커버(130)에 앉을 수 있게 되고, 결국 엉덩이가 출입구를 향한 앞으로 자세에서 편안하게 용변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변기커버(130)의 폭은 기존의 변기몸체(110)의 프레임(150) 폭보다 약간 작거나 최소한 같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변기커버(130)의 폭이 너무 넓은 경우에는 하체에 힘이 없거나 하체를 거의 쓸 수 없는 노약자 및 장애인이 다리를 벌려 상기 변기커버(130)에 앉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변기커버(130)의 좌대부(130b)의 저부에는 도 2a내지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변기몸체(110)의 프레임(150)과 고정볼트(170)에 의해서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구멍(19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볼트구멍(190)은 도2a내지 도 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대부(130b)의 전방 저부 양측에 2개와, 상기 좌대부(130b)의 후방 저부 양측에 2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변기몸체(110)의 프레임(150)에 상기 변기커버(130)를 확고히 고정결합시킬 수 있다면 그 개수와 위치는 문제되지 않음을 밝힌다.
단, 상기 좌대부(130b)의 전방 저부 양측에 형성된 2개의 고정볼트구멍(190)은 기존의 좌변기에서 변기커버를 떼어내고, 본 발명에 따른 변기커버(130)를 기존의 변기몸체(110)에 고정결합하여 설치비용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즉, 상기 2개의 고정볼트구멍(190)은 종래의 변기커버에 형성된 고정볼트구멍(190)의 위치 및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설치비용을 감소시키고 기존의 변기몸체(11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좌대부(130b)의 내측에는 상기 변기커버(130)의 전·후 수평이동을 가능케 하도록 상기 고정볼트(170)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일정길이의 가이드레일(21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내지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10)은 상기 좌대부(130b)의 후방 저부 양측에 형성된 2개의 고정볼트구멍(190)의 끝단에 전·후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형성되며, 그 폭은 상기 고정볼트(170)의 머리부를 수용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가이드레일(210)은 반드시 상기 좌대부(130b)의 후방 저부 양측에 형성된 2개의 고정볼트구멍(190)의 끝단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좌대부 (130b)의 전방 저부 양측에 형성된 2개의 고정볼트구멍(190)의 끝단에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상기 가이드레일(210)을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변기몸체(110)를 재사용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지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변기커버(130)의 개구부(130a)의 전단에는 소변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소변커버(23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a내지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30a)의 전단 중앙부에 소정의 굴곡과 각도를 갖으며 상부로 돌출형성된 소변커버(23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 특히 남성인 경우 신체적 특성과 구조상 쉽게 외부로 노출, 방뇨되는 소변을 방지하여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의 의복에 묻는 것과 화장실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변기커버(130)의 개구부(130a) 후단에는 도 2a내지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변을 마친 후 용변처리를 위해 손을 엉덩이 후방으로 넣어 휴지를 사용할 수 있는 세척부(250)가 더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척부(250)는 상기 개구부(130a)의 후단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약자나 장애인의 손이 그 내부로 들어가 휴지를 이용하여 용변처리를 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별도의 세척부(250)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에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휠체어 사용자와 같은 하체 장애인은 용변을 마친 후에도 스스로 엉덩이를 들어올리는 일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령 양손으로 도 7내지 도9에서 도시한 지지대(700)를 잡고 엉덩이를 들어올리더라도 스스로 용변처리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을 극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250)의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27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개폐수단(270)은 상기 좌대부(130b)의 내주에 힌지결합되는 올림커버나 상기 좌대부(130b)의 내측으로 슬라이딩결합되는 미닫이도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도 3a 및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대부(130b)의 내주에 힌지결합되는 올림커버를 설치하여 상기 세척부(250)의 내부공간을 사용자가 임의대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올림커버를 설치한 경우에는 상기 올림커버의 전단에 상기 올림커버의 원활한 개폐를 위해 일정한 걸림홈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홈을 잡아당겨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기커버(130)의 좌대부(130b) 후단에는 도 2a내지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휠체어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상기 변기커버(130)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휠체어커버(400)의 전단과 연결볼트(290)에 의해서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볼트구멍(3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휠체어커버(400)는 도 4내지 도 5a,b,c,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변기커버(130)의 좌대부(130b) 후단과 상기 연결볼트(290)에 의해서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높낮이조절 볼트구멍(330)을 갖는 전단부(410)와, 상기 전단부(41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전단부(410) 방향으로 일정한 하향경사를 갖는 경사부(430)와, 상기 경사부(430)의 일단에 연접되고 상부에 쿠션재(450a)가 구비된 받침부(450)와, 상기 받침부(450)의 하부에 형성되어 화장실 바닥면에 고정·지지되는 연결지지대(500)와 결합되는 결합부(47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단부(410)의 높낮이조절 볼트구멍(330)에는 상기 연결볼트(290)가 체결되어 상기 변기커버(130)의 좌대부(130b)의 후방 일단과 고정연결되며, 상기 휠체어커버(400)의 높낮이는 상기 높낮이조절 볼트구멍(330)에 체결되는 상기 연결볼트(290)의 체결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430)는 상기 전단부(410) 방향으로 일정한 하향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이 상기 휠체어커버(400)에서 상기 변기커버(130)로 이동하기 쉽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받침부(450)의 상부에는 소정의 쿠션재(450a)가 구비되어 휠체어로부터 상기 휠체어커버(400)로 이동하는 동안 생길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의 신체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450)의 하부의 연결부는 상기 연결지지대(500)를 상기 휠체어커버(400)에 연결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지지대(50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X자형 링크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I자형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 등 그 구체적인 형상은 문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연결지지대(500)는 그 일단은 화장실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휠체어커버(400)에 고정되면 족하다.
아울러, 상기 휠체어커버(400)를 화장실 바닥에 연결하여 지지해주는 상기 연결지지대(500)의 외관을 감싸는 마감커버(미도시)를 부설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휠체어커버(400)의 받침부(450)의 후단에는 도 4 및 도 5a,b,c,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휠체어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6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600)는 도 4 및 도 5a,b,c,d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한 쌍의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휠체어를 상기 휠체어커버(400)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그 구체적인 형상은 문제되지 않는다.
아울러, 도 7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이 곧바로 상기 변기커버(130)에 앉거나 혹은 상기 휠체어커버(400)에 앉고 그 다음에 상기 변기커버(130)로 이동하는 경우에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상하 2단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대(700)를 수평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기존의 변기몸체(110)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변기커버(130)와 상기 휠체어커버(400)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기존의 변기몸체(110)를 교체하지 않고 재사용 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보여준다.
그러나,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변기몸체(110)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이 다리를 벌린 상태로 전방으로 진 입하여 상기 변기커버(130)에 앉기가 곤란하므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변기몸체(110)의 형상 및 크기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변기커버(130)와 형상은 물론 크기까지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이 용변을 보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상기 변기몸체(11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변경된 상기 변기몸체(110)에 상기 변기커버(130) 및 상기 휠체어커버(40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 도 9로서, 종래의 저수조를 제거하여 전방의 화장실벽면에 여유공간을 확보하여 독서대나 기타 인터폰 등 편의시설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100)는 신체가 미약한 노약자는 물론 휠체어 사용자와 같은 하체 장애인에 이르기까지 용변시 변기에 앉기 위해 불편한 신체를 이끌고 180°회전해야 하는 수고로움과 불편함을 제거하는 동시에 소변이 외부로 노출되는 위생상의 문제해결, 그리고 배변의 완료시 부담스러운 용변처리문제 역시 노약자 및 장애인 스스로가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변기몸체와 변기커버를 갖는 좌변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는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이 불편한 신체를 180°회전할 필요없이 들어온 자세 그대로 다리를 약간 벌린 상태에서 앉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이 불편한 신체를 이끌고 180°회전하여 상기 좌변기에 앉을 필요없이 들어온 자세 그대로 다리만을 약간 벌린 상태에서 앉을 수 있도록 상기 좌변기의 구조 자체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은 물론 보조하는 제3자의 수고로움과 불편함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상기 변기커버의 좌대부의 저부에 상기 변기몸체의 프레임과 고정볼트에 의해서 체결가능한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구멍을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변기커버만을 떼어내고 본 변기커버를 부착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설치비용의 감소는 물론 유지 보수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상기 변기커버의 좌대부의 내측에 상기 고정볼트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가이드레일을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변기커버의 크기와 본 변기커버의 크기가 완전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고정볼트의 위치가 조절되므로 별 어려움없이 호환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넷째, 상기 변기커버의 개구부의 전단에 소변커버를 구비함으로써, 남성의 경우 배뇨시 쉽게 상기 변기커버의 외부로 노출, 방뇨되는 소변을 차단하여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의 옷에 소변이 묻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화장실의 청결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섯째, 상기 변기커버의 개구부의 후단에 용변을 마친 후 용변처리를 위한 세척부를 구비함으로써, 보조하는 제3자에게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의 국부 및 용변상황을 노출시키지 않고 스스로 용변처리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섯째, 상기 세척부의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별도의 개폐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용변 중에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의 둔부의 일부가 걸리거나 빠지지 않게 함과 동시에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일곱째, 휠체어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상기 변기커버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단부, 상기 경사부,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결합부로 이루어진 상기 휠체어커버를 상기 변기커버의 좌대부 후단과 연결함으로써, 오로지 본 좌변기 양측 또는 일측에 설치된 지지대만에 의지해서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이 본 좌변기에 앉는 것이 아니라 상기 휠체어커버에 먼저 안착을 한 후, 상기 지지대를 잡고 서서히 본 좌변기에 편안하게 안착하여 용변을 볼 수 있어 보조자와 같은 제3자의 도움이 없더라도 스스로 용변을 보고 용변처리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덟째, 상기 휠체어커버의 받침부의 후단에 휠체어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이 상기 휠체어커버에 안착하기 위해 이동하더라도 상기 휠체어는 그대로 고정되며, 그에 의해 상기 휠체어는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이 몸을 이동하는 동안 그들의 몸을 지지해주는 버팀목 역할을 해주며 낙상 등의 우려 역시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9)

  1. 노약자 및 장애인이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변기몸체와, 상기 변기몸체의 상부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변기커버를 갖는 좌변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는 상기 노약자 및 장애인이 불편한 신체를 180°회전할 필요없이 들어온 자세 그대로 다리를 약간 벌린 상태에서 앉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커버는 중앙의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감싸며 엉덩이를 받치는 좌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대부의 저부에는 상기 변기몸체의 프레임과 고정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커버의 좌대부의 내측에는 상기 변기커버의 전·후 수평이동을 가능케 하도록 상기 고정볼트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일정길이의 가이드레일이 더 구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커버의 개구부의 전단에는 소변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소변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커버의 개구부 후단에는 용변을 마친 후 용변처리를 위해 손을 엉덩이 후방으로 넣어 휴지를 사용할 수 있는 세척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의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좌대부의 내주에 힌지결합되는 올림커버나 상기 좌대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결합되는 미닫이도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커버의 좌대부 후단에는 휠체어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상기 변기커버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휠체어커버의 전단과 연결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볼트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커버는 상기 변기커버의 좌대부 후단과 상기 연결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높낮이조절 볼트구멍을 갖는 전단부와,
    상기 전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전단부 방향으로 일정한 하향경사를 갖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일단에 연접되고 상부에 쿠션재가 구비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화장실 바닥면에 고정·지지되는 연결지지대와 결합되는 결합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커버의 받침부의 후단에는 휠체어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KR1020050049161A 2005-06-09 2005-06-09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KR100665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161A KR100665067B1 (ko) 2005-06-09 2005-06-09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161A KR100665067B1 (ko) 2005-06-09 2005-06-09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873A true KR20060130873A (ko) 2006-12-20
KR100665067B1 KR100665067B1 (ko) 2007-01-04

Family

ID=3781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161A KR100665067B1 (ko) 2005-06-09 2005-06-09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0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255Y1 (ko) * 2008-01-29 2010-09-15 황도익 등받이 겸용 커버가 구비된 양변기
KR101329177B1 (ko) * 2011-02-21 2013-11-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라이딩 좌변기를 갖는 시스템 화장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6246U (ko) 1976-05-22 1977-11-28
JPH0737585Y2 (ja) * 1990-12-14 1995-08-30 株式会社ショーワプロダクツ 洋式便器の子供用補助便座
JP2001234573A (ja) 2000-02-22 2001-08-31 Inax Corp 双方向着座便器及びトイレ設備
JP2001355274A (ja) 2000-06-14 2001-12-26 Yoshiaki Masuno 水洗トイレ
JP2002129632A (ja) 2000-10-24 2002-05-09 Osamu Hasegawa 衛生便器
JP2003105845A (ja) 2001-06-28 2003-04-09 Inax Corp 女性用立位小便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255Y1 (ko) * 2008-01-29 2010-09-15 황도익 등받이 겸용 커버가 구비된 양변기
KR101329177B1 (ko) * 2011-02-21 2013-11-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라이딩 좌변기를 갖는 시스템 화장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067B1 (ko)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6264B2 (ja) 移送装置
WO2017120985A1 (zh) 一种多功能护理床
JPS6155369B2 (ko)
KR100665067B1 (ko)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KR102107006B1 (ko) 배변 리프터
KR20170049133A (ko) 실내에서 노약자 및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의자
JPH119625A (ja) 車椅子及び車椅子用便器装置
CN212662135U (zh) 一种家用护理床
JP2015202389A (ja) 水洗トイレ付き自力型介護ベッド
JP7083693B2 (ja) 車椅子
KR200425324Y1 (ko) 욕실 부착형 접이식 의자
KR20100029804A (ko) 양변기용 안전장치
KR200355599Y1 (ko) 좌변기용 발판
JP2003175084A (ja) 介護用ベッド
KR200351792Y1 (ko) 좌욕기
JP2006212377A (ja) 洗浄機能を備えたトイレ付介護用ベッド
JPH1176102A (ja) ポータブル便器及び洋式便器並びに簡易便座
JP3803328B2 (ja) 家庭介護用バスシステム
JP4586207B2 (ja) 身体機能障害者の移動用椅子フレーム
CN201492365U (zh) 单杆墙体支撑坐式马桶
JP2007330533A (ja) 便器用腰掛台及び部屋
JP3115087U (ja) 便器付き療養ベッド
JP2000157440A (ja) 出窓付き浴室並びにこの浴室に用いる浴槽
JP2022038521A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KR20150047230A (ko) 남자 소변용 기구를 갖춘 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