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792Y1 - 좌욕기 - Google Patents

좌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792Y1
KR200351792Y1 KR20-2004-0006585U KR20040006585U KR200351792Y1 KR 200351792 Y1 KR200351792 Y1 KR 200351792Y1 KR 20040006585 U KR20040006585 U KR 20040006585U KR 200351792 Y1 KR200351792 Y1 KR 2003517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
toilet
soft
support plate
bid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락
Original Assignee
최봉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봉락 filed Critical 최봉락
Priority to KR20-2004-0006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7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7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7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95Arrangements for varying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1Inlet to the bath
    • A61H33/6021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68Outlet from the b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 및 비데에 설치되는 좌욕기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엉덩이가 안치될 수 있는 받침면을 구비하여 양변기 및 비데(20)의 안치판(21)이나 겉뚜껑(22)의 회동축상에 끼워지며, 상기 회동축과의 결합부가 일측된 개방된 원형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상에 임의로 착탈가능한 받침판(11)과; 연질의 시트 또는 자바라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판(11) 내측에 결합되며, 평판형상으로부터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부를 구비한 욕조형상으로 용이하게 절곡 및 형상변형되는 연질좌욕조(12)와; 상기 연질좌욕조(12) 외부로의 유출로를 구비하여 상기 연질좌욕조(12) 하부에 결합되며, 뚜껑부(13a)가 상하이동됨에 따라 개폐조절되는 개폐구(13)와; 상기 받침판(11) 및 연질좌욕조(12)를 상기 양변기의 겉뚜껑(22)상에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받침판(11) 및 연질좌욕조(12)와 상기 양변기의 겉뚜껑(22)과의 접촉면 또는 접촉단부에 설치되는 착탈구(1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양변기 및 비데형 양변기에 설치하기 용이하면서도 미사용시에는 양변기의 겉뚜껑에 깔끔하게 정돈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좌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좌욕기{a hip bath}
본 고안은 양변기 및 비데에 설치되는 좌욕기에 관한 것으로, 양변기 또는 비데의 안치판 상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내측에 결합되며 욕조형상 및 평판형상으로 용이하게 절곡 및 형상변형될 수 있는 연질시트 등으로 이루어진 연질좌욕조, 상기 받침판과 연질좌욕조를 상기 양변기의 겉뚜껑상에 착탈가능하도록 하는 착탈구를 구비하여 통상의 양변기 및 비데형 양변기에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미사용 시에는 깔끔하게 정돈할 수 있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좌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항문 부위나 질부의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오물을 배출, 세정하는 기능 외에 용변 후 둔부를 세정할 수 있는 온수세정 기능이 구비된 비데형 양변기가 일반적으로 설치되고 있으며, 온수세정 기능이 없는 기존의 양변기에도 양변기용 비데를 설치하여 둔부를 위생적으로 세정하고자 하는 가정이 많아지고 있다.
이와 동시에 비데와 같이 급수의 흐름에 의한 단순한 세정 외에도 온수를 충전하여 좌욕을 함으로써 찜질 및 마사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좌욕기의 사용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양변기 및 비데에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좌욕기를 적합하게 접목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서 본원 고안의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90874호의 비데 겸용 좌욕기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상기 비데 겸용 좌욕기가 양변기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비데 겸용 좌욕기는 비데형 양변기의 상측 회동축에 착탈회동되게 결합되며, 내부가 하측으로 함몰되어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부(101)가 형성된 겉뚜껑 겸용 좌욕기 본체(100)와,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며, 용변이나 비데 시 인체의 엉덩이가 걸림되는 받침판(110)과, 상기 비데형 양변기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좌욕기 본체(100)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 비데의 온수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좌욕기 본체에 물을 충전시키는 물공급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데형 양변기의 겉뚜껑을 좌욕기 형상으로 형성하여 용변 및 비데를 하는 경우에는 겉뚜껑을 상측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사용하며, 좌욕시에는 겉뚜껑을 내린 상태에서 물을 충전시켜 좌욕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좌욕기의 본체(1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110)에 앉게되면 상기 좌욕기의 공간부(101) 하단면상에 사용자의 등부위가 접하게 되어 불결함을 끼치고, 양변기의 사용자체에 심적인 부담을 갖게 하며, 자주 사용하지 않는 좌욕기를 양변기와 비데의 겉뚜껑 대신으로 사용하여 방치시킴에 따라 먼지와 오물 등에 의해 오염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변기나 비데의 양변기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시킴에 있어서 기존의 겉뚜껑과 동일하게 힌지축에 의해 양변기나 비데상에 결합고정된 실시예만 제시되어 임의로 착탈이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병원 등과 같은 공공시설에서 개인용으로 사용하기에 위생적으로 부적합하다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양변기 및 비데형 양변기상에 임의로 탈착시키기 용이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개인용으로 사용하기에적합한 좌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미사용시에는 양변기나 비데의 겉뚜껑에 깔끔하게 정돈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좌욕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 기술에 따른 비데 겸용 좌욕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좌욕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좌욕기의 일실시예가 양변기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 - 미사용 시 양변기 겉뚜껑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좌욕기 11 : 받침판
12 : 연질좌욕조 13 : 개폐구
13a : 뚜껑부 14 : 착탈구
14a : 자성부재 14b : 걸림고리
15 : 기포공급관 16 : 공급통로
20 : 양변기 및 비데 21 : 안치판
22 : 겉뚜껑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인체의 엉덩이가 안치될 수 있는 받침면을 구비하여 양변기 및 비데(20)의 안치판(21)이나 겉뚜껑(22)의 회동축상에 힌지부(17)가 끼워짐에 따라 회동가능하며, 상기 힌지부(17)가 일측된 개방된 원형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상에 임의로 착탈가능한 받침판(11)과; 연질의 시트 또는 자바라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판(11) 내측에 결합되며, 평판형상으로부터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부를 구비한 욕조형상으로 용이하게 절곡 및 형상변형되는 연질좌욕조(12)와; 상기 연질좌욕조(12) 외부로의 유출로를 구비하여 상기 연질좌욕조(12) 하부에 결합되며, 뚜껑부(13a)가 상하이동됨에 따라 개폐조절되는 개폐구(13)와; 상기 받침판(11) 및 연질좌욕조(12)를 상기 양변기의 겉뚜껑(22)상에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받침판(11) 및 연질좌욕조(12)와 상기 양변기의 겉뚜껑(22)과의 접촉면 또는 접촉단부에 설치되는 착탈구(14);를 포함하여 구성된 좌욕기(10)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11)에는, 비데(20)로부터 온수 및 온풍을 상기 연질좌욕조(12) 내측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비데(20)의 온수공급관 및 온풍구측에 공급통로(16);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판의 공급통로(16)에는, 상기 연질좌욕조(12) 내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공급관(15)이 설치되며, 상기 기포공급관(15) 단부에는 금속 또는 자성구를 구비한 상기 비데(20)의 기포공급관 단부에 밀착되는 금속 또는 자성구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질좌욕조(12)는, 2겹의 연질시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2겹의 연질시트는 상기 기포공급관(15)의 단부로부터 중앙부측으로 관로를 형성하며 상호 밀착형성되는 실시예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탈구(14)는, 상기 받침판(11), 연질좌욕조(12) 또는 양변기의 겉뚜껑(22)에 부착된 자성부재(14a)와, 상기 받침판(11)을 상기 양변기의 겉뚜껑(22)상에 위치고정시키는 걸림고리(14b);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통상의 양변기 및 비데형 양변기에 설치하기 용이하면서도 미사용시에는 양변기의 겉뚜껑에 깔끔하게 정돈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좌욕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좌욕기의 일실시예가 양변기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미사용 시의 양변기 겉뚜껑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좌욕기(10)는, 양변기(20) 또는 비데의 안치판(22)과 겉뚜껑(22) 사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됨에 따라 필요에 따라 승하강시켜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좌욕기에 있어서, 기존의 양변기(20) 및 비데 상으로의 착탈 및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미 사용시에는 양변기의 겉뚜껑(22)상에 깔끔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편리함과 미감과 위생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상기 좌욕기(10)는 양변기 또는 비데의 안치판 상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받침판(11)과, 욕조형상 및 평판형상으로 용이하게 절곡 및 형상변형될 수 있는 연질시트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판(11) 내측에 결합되는 연질좌욕조(12)와, 상기 연질좌욕조(12) 내부의 온수를 외부로 유출조절시키는 개폐구(13)와, 상기 받침판(11)과 연질좌욕조(12)를 상기 양변기의 겉뚜껑(22)상에 착탈가능하도록 하는 착탈구(14)를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상기 받침판(11)은 인체의 엉덩이가 안치될 수 있는 받침면을 구비하여 상기 양변기(20) 및 양변기용 비데의 안치판(21) 상측에 착탈회동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받침판(11)을 내려 상기 안치판(21) 상면에 놓으면 사람이 상기 받침면상에 편안히 앉아 좌욕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받침판(12)을 올려 상기 양변기의 겉뚜껑(22)상에 부착시키면 사람이 양변기나 비데의 안치판(21) 상에 앉아 대소변을 보거나, 비데로 둔부를 세척하기 용이한 상태가 된다.
상기 받침판(11)은 상기 양변기 및 비데의 안치판(21)이나 겉뚜껑(22)의 회동축상에 힌지부(17)가 끼워짐에 따라 상기 양변기 및 비데의 안치판(21) 상측에서 회동되는데, 상기 힌지부(17)는 사용자가 상기 회동축 상에 임의로 탈착시키기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원형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11)과 상기 힌지부(17)의 결합부상에 끼움부를 구비하여 상기 힌지부(17)가 상기 받침판(11)으로부터도 탈착가능하도록 하여 양변기나 비데 중 어느 것에서도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11)에는 비데(20)로부터 온수 및 온풍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비데(20)의 온수공급관 및 온풍구측에 공급통로(16)가 하측으로 절곡형성되는데, 좌욕시 상기 비데(20)의 온수공급관을 상기 연질좌욕조(12) 내측으로 제공받아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비데(20)의 온풍구를 통해 온풍을 제공받아 좌욕기(10) 자체에 별도의 온수 및 온풍공급에 대한 장치가 마련되지 않더라도 기존의 비데(20)로부터 좌욕에 필요한 요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연질좌욕조(12)는 약간의 외력에 의해서도 지정된 욕조형상으로의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연질의 시트 또는 자바라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판(11) 내측에 매끈하게 결합되며, 또한 사용자가 평판형상으로도 변형하기 용이하다.
상기 받침판(11)을 내려 사용할 시에는 사용자의 외력이나 온수의 무게 등에 의해 지정된 형상의 내부공간부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받침판(11)을 상기 겉뚜껑(22)에 부착시킬 시에는 상기 겉뚜껑(22)과의 접촉면에 대응되는 평판형상으로 변형하여 내부공간부가 제거되면서 상기 겉뚜껑(22)상에 밀착시킴에 따라 상기 연질좌욕조(12)의 하단면상에 사용자의 등부위가 접하게 됨에 따른 불결함을 해소시키고 등뒤의 공간부가 설치이전과 거의 동일하게 유지됨에 따라 자세의 불편함도 해소시키게 된다.
도 2, 3, 4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 상기 좌욕기(100)에는 온수공급관 외에 상기 연질좌욕조(12) 내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공급관(15)이 구비되는데, 상기 기포공급관(15) 외에도 세척 및 마사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추가로 구비되는 실시예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상기 기포공급관(15)은 둔부의 중앙부에 해당되는 상기 연질좌욕조(12)의 중앙부까지 단부가 연장되어야 적합한데, 이때 상기 연질좌욕조(12)는 2겹의 연질시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2겹의 연질시트는 상기 기포공급관(15)의 단부로부터 중앙부측으로 관로를 형성하며 상호 밀착형성되고, 상기 관로의 양단부에 위치한 상측의 연질시트를 천공형성되어, 상기 기포공급관(15)의 단부를 상기 관로의 천공에 끼우면, 상기 관로를 통해 상기 연질좌욕조(12)의 중앙부까지 온수나 기포가 자동으로 공급되게 되어 상기 기포공급관(15)의 재질에 상관없이 상기 연질좌욕조(12)의 연질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기포공급관(15)의 소재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포공급관(15)의 단부에는 금속 또는 자성구를 구비한 상기 비데(20)의 기포공급관 단부에 밀착되는 금속 또는 자성구가 설치되어 상기 비데(20)의 기포공급관 단부에 기밀하게 밀착고정되고 착탈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질좌욕조(12)의 최하부 및 중앙부에는 개폐구(13)가 설치되는데, 상기 개폐구(13)에는 상기 연질좌욕조(12) 내의 오염된 온수를 외부로 버릴 수 있도록 외부로의 유출로가 구비되며, 상기 유출로는 상기 개폐구의 뚜껑부(13a)가 상하이동됨에 따라 개폐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뚜껑부(13a)에 연결된 당김끈을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뚜껑부(13a)를 쉽게 상측으로 들어올려 상기 유출로를 개방시켜 오염된 물을 상기 연질좌욕조(12)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상기 받침판(11), 연질좌욕조(12), 겉뚜껑(22)에는 상기 받침판(11) 및 연질좌욕조(12)을 상기 겉뚜껑(22)상에 안정되고 간편하게 밀착고정 및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11) 및 연질좌욕조(12)와 상기 양변기의 겉뚜껑(22)과의 접촉면 또는 접촉단부상에 설치되는 착탈구(14)가 구비되며, 본 고안에 따른 좌욕기(10)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성부재(14a), 걸림고리(14b)를 포함한 다양한 작동구조의 착탈조절구들을 구비한 실시예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상기 착탈구(14)는 상기 연질좌욕조(12)를 상기 겉뚜껑(22)에 부착시키기 위해 상기 연질좌욕조(12)에 설치된 상기 개폐구(13)를 금속재를 포함하여 형성시키고, 상기 개폐구(13)가 접촉하게 되는 상기 겉뚜껑(22) 상에 자성부재(14a)를 접착설치하였으며, 상기 받침판(11)을 상기 양변기의 겉뚜껑(22)상에 위치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겉뚜껑(22)의 상단부에 걸림고리(14b)를 설치하여, 본 좌욕기(10)의 미사용 시 상기 연질좌욕조(12)에 결합된 상기 개폐구(13)를 상기 겉뚜껑(22)의 자성부재(14a)에 붙이고 상기 걸림고리(14a)를 내려 상기 겉뚜껑(22)을 위치고정시킴으로써 간편하면서도 안정되게 본 고안에 따른 좌욕기를 상기 겉뚜껑(22)상에 부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양변기 및 비데형 양변기상에 임의로 탈착시키기 용이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개인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사용시에는 양변기나 비데의 겉뚜껑에 깔끔하게 정돈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인체의 엉덩이가 안치될 수 있는 받침면을 구비하여 양변기 및 비데(20)의 안치판(21)이나 겉뚜껑(22)의 회동축상에 힌지부(17)가 끼워짐에 따라 회동가능하며, 상기 힌지부(17)가 일측된 개방된 원형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상에 임의로 착탈가능한 받침판(11)과;
    연질의 시트 또는 자바라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판(11) 내측에 결합되며, 평판형상으로부터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부를 구비한 욕조형상으로 용이하게 절곡 및 형상변형되는 연질좌욕조(12)와;
    상기 연질좌욕조(12) 외부로의 유출로를 구비하여 상기 연질좌욕조(12) 하부에 결합되며, 뚜껑부(13a)가 상하이동됨에 따라 개폐조절되는 개폐구(13)와;
    상기 받침판(11) 및 연질좌욕조(12)를 상기 양변기의 겉뚜껑(22)상에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받침판(11) 및 연질좌욕조(12)와 상기 양변기의 겉뚜껑(22)과의 접촉면 또는 접촉단부에 설치되는 착탈구(1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욕기(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1)에는,
    상기 비데(20)로부터 온수 및 온풍을 상기 연질좌욕조(12) 내측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비데(20)의 온수공급관 및 온풍구측에 공급통로(16);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욕기(10).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공급통로(16)에는,
    상기 연질좌욕조(12) 내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공급관(15)이 설치되며, 상기 기포공급관(15) 단부에는 금속 또는 자성구를 구비한 상기 비데(20)의 기포공급관 단부에 밀착되는 금속 또는 자성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욕기(10).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좌욕조(12)는,
    2겹의 연질시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2겹의 연질시트는 상기 기포공급관(15)의 단부로부터 중앙부측으로 관로를 형성하며 상호 밀착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욕기(10).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구(14)는,
    상기 받침판(11), 연질좌욕조(12) 또는 양변기의 겉뚜껑(22)에 부착된 자성부재(14a)와, 상기 받침판(11)을 상기 양변기의 겉뚜껑(22)상에 위치고정시키는 걸림고리(14b);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욕기(10).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힌지부(17)는,
    상기 받침판(11)으로부터 착탈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욕기(10).
KR20-2004-0006585U 2004-03-11 2004-03-11 좌욕기 KR2003517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585U KR200351792Y1 (ko) 2004-03-11 2004-03-11 좌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585U KR200351792Y1 (ko) 2004-03-11 2004-03-11 좌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792Y1 true KR200351792Y1 (ko) 2004-05-28

Family

ID=4934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585U KR200351792Y1 (ko) 2004-03-11 2004-03-11 좌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7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126B1 (ko) * 2008-03-06 2009-12-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욕기구
KR101423465B1 (ko) * 2014-02-20 2014-08-13 고유삼 좌욕 온수 세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126B1 (ko) * 2008-03-06 2009-12-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욕기구
KR101423465B1 (ko) * 2014-02-20 2014-08-13 고유삼 좌욕 온수 세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2763A (ko) 전면 좌식 가능한 양변기
CA3045100C (en) Toilet having a bidet shower
MX2007016205A (es) Dispositivo de excusado.
GB1595026A (en) Combination water closet and bidet
KR200351792Y1 (ko) 좌욕기
JP2008510084A (ja) 衛生的な散水装置を有する尿器
JP2558894B2 (ja) 駆動便器
JP3670352B2 (ja) 浴用椅子
JPH09273203A (ja) 局部洗滌送水装置付き洋式便器
JP3741988B2 (ja) 介護用浴槽装置
JP2003074106A (ja) 男子小便用補助具
CN105962819B (zh) 沐浴排便椅
JP3690210B2 (ja) 携帯用シャワー装置
JPH1176102A (ja) ポータブル便器及び洋式便器並びに簡易便座
JP2000107088A (ja) 小用補助具付便器
CN220442576U (zh) 一种方便清洗的妇产科座便器
JP3076664U (ja) 介護用水洗トイレ装置
KR200240467Y1 (ko)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KR200198315Y1 (ko) 분만용 욕조
JP2007330533A (ja) 便器用腰掛台及び部屋
TWM618853U (zh) 一種用於衛浴設備的輔助裝置及其系統
KR200336172Y1 (ko) 다기능 환자침대용 서랍식 세면대의 회전밸브 설치구조
KR101848816B1 (ko) 남자 소변용 기구를 포함하는 좌변기
JP2001353096A (ja) 移動式ポータブルトイレ
JP3622075B2 (ja) 入浴装置、入浴装置付ベッド及び入浴装置付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